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의 인지와 언어발달에 미치는 효과

        이상연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지체아에게 기본적인 감각계인 전정감각, 촉각, 고유감각을 자극하는 다양한 감각 통합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고차수준인 정신지체아동의 인지와 언어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각통합 훈련이 정신지체 아동의 인지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감각통합 훈련이 정신지체 아동의 언어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수업의 형태(그룹 수업, 개별 수업)가 아동의 인지, 언어발달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정신지체아동 12명으로 실험집단 6명과 통제집단 6명으로 나누어 표집하였다. 그리고 실험집단 6명중 3명은 개별 수업 형태로, 3명은 그룹 수업 형태로 감각 통합 훈련에 참여하였다. 적용도구는 전정 감각, 촉각, 고유감각을 중심으로 구안된 감각 통합 프로그램이며, 검증도구는 KISE 발달척도와 PLS, 사회성숙도 검사를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적용기간은 2003년 11월 17일부터 2004년 3월 12일까지이고, 매주 4회씩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그룹 수업 집단은 40분씩 수업을 진행하였고 개별수업 집단은 그룹 수업 집단과 같은 프로그램으로 15~20분 가량 실시하였다. 모든 프로그램은 각 주마다 같은 프로그램이었고, 전정감각 4주, 촉각 4주, 고유감각은 5주 동안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마지막 3주 동안은 각 영역의 프로그램 중 아동들이 좋아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감각 통합 훈련은 기존의 프로그램보다 정신지체아동의 인지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감각 통합 훈련은 기존의 프로그램보다 정신지체아동의 언어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감각 통합 훈련의 형태는 그룹 수업 형태보다 개별 수업 형태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the sensory integrated program has an effort on development of cognitive and language for mentally retarded children. And children of subject are 12 mentally retarded children and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6 children and the control group of 6 children. The case group was divided into two groups of the group class of 3 children and individual class of 3 children. The applied tool is a sensory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designed with vestibular sense, tactual sense and indigenous sense. The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of the subject children were evaluated by the measure of KISE development, Preschool Language Scale, Social Maturity Scale, and observation. The period of applied program was from NOV. 17, 2003 to MAR. 12, 2004. The group class was scheduled for four 40-minute sessions per week. And each subject of individual class was scheduled for four 15-20 minute sessions on the same program of the group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nsory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was the further significant than general instruction program in cognitive development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Second, the sensory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was the further significant than general instruction program in language development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Third, the sensory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was the further significant to individual class than group class. The results above showed us that sensory integration program was effective for mentally retarded children on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 노래부르기를 통한 언어지도가 언어발달지체아의 어휘습득에 미치는 영향

        이상연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peech therapy of singing on the language delayed children, this thesis deals with three language delayed children case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proposed program consisted of four steps -the learning of main rhythms, rhythmic movements, songs, and vocabulary through singing. I studied the effect of speech therapy through singing on the learning of vocabulary by language delayed children. Moreover, I studied the effect of speech therapy through singing on using the vocabulary by language delayed children. Each subject was scheduled for three 40-minute sessions per week and they were trained based on the multiple alternatives. First, the children applied for this program acquired large receptive vocabulary, so receptive vocabulary of the children were improved during experimental period than before, and it remained the same after the experiment. Second, they acquired large expressive vocabulary, so expressive vocabulary was improved during experimental period than before, and it remained the same after that. The results above showed us that speech therapy of singing was effective for language delayed children on learning and using the vocabulary.

      • 자료포락분석(DEA)을 적용한 사회적기업의 경영효율성 연구

        이상연 SEOUL VENTURE UNIVERSITY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사회적기업의 경우 노동부의 인증이 시작된 2007년도 55개 사회적기업이 2015년 3월까지 총 1,397개의 기업이 인증을 받아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한편, 2013년도 사회적기업의 성과분석에서 전체 인증 사회적기업 중 10%의 기업만 이익을 내고 나머진 적자에 허덕이고 있다는 보고이다. 반면에 2015년도 초까지 정부의 사회적기업 지원 예산 총액은 계속 증가하여 6,442억 원에 달한다. 이처럼 사회적기업의 양적 팽창은 두드러지고 있으며 많은 정부예산 증가에도 불구하고 사회적기업의 경영 자료는 취득도 어렵고 상당히 폐쇄적이다. 따라서 사회적기업의 성과는 공공성에 가려 산출물이나 효과 검증은 더욱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13; dong A.com, 2015). 국내 사회적기업의 외형적 성장에 가린, 사회적기업의 실적 감소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사회적기업의 실체적 효율성 양태를 측정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사회적기업을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를 구분하여 측정한 사례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기업의 목적에 맞게 두 가지 성과를 동시에 측정하였다. 그래서 2015년도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 자율경영 공시한 전체 184개 사회적기업의 사업보고서를 대상으로 비모수적 효율성 측정기법인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모형을 적용하여 효율성을 인증유형별(1단계)과 사회적 산출유형별(2단계) 검증을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1단계 인증유형별 연구결과 사회적기업이 보유한 인증형태와 사회적기업의 사업보고서 내용과 비교하여 실제 경영 중인 업종과 산출하는 사회적 성과에 차이점을 분석하여 인증을 재분류(5개 유형, 4개 부문)하여 정립하였다. 재분류된 사회적기업의 인증유형별로 가장 효율적인 기업의 분포는 혼합형[D]이 58%로 제일 높았다. 반대로 일자리제공형[A]은 46%로 효율성이 가장 낮았다. 또한, 사회적기업의 투입과 산출을 모두 고려한 효율성 높은 기업은 76%로 지역사회공헌형[C]이었다. 규모수익성은 47개 기업이 규모의 증가를 통한 수익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반면에 11개 기업은 규모의 감량을 통한 수익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나머지 사회적기업은 최적 규모를 보유하고 있다. 2단계 산출유형별 연구는 기존 사회적기업의 보유 인증유형을 무시하고, 사회적 성과 산출요소인 취약계층고용, 이윤재분배, 사회서비스제공, 자원연계의 융합 양상에 따라 7개 그룹(A∼G)으로 재분류하였다. 측정 결과, 취약계층고용, 사회서비스제공과 자원연계를 동시에 하는 D 유형이 총자산 회전율이 높았고, 효율적 기업의 보유율이 8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대로, 취약계층 고용과 사회서비스제공을 하는 B 유형은 정부 지원금효율이 가장 낮았고, 효율적 기업의 보유율도 45%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기업의 규모수익성은 89개 기업은 규모를 확장하고, 2개 기업이 효율성 증대를 위해 규모를 줄일 필요가 있으며 나머진 적정규모로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비효율적 사회적기업이 동종 효율적 기업을 벤치마킹하여 어려운 경영지식 없이 유형별로 쉽게 모델링 하여 경영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사회적기업이 효율성 개선을 이룰 수 있는 구체적인 요소를 파악하고, 개선의 목표를 세우는 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회적기업의 효율성이 하락하는 요소와 원인을 파악하여 개선하고, 기업의 폐업 징후나 도태되는 기업을 미리 감지하여 사회적기업의 지속경영에 기여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야기 제조기를 활용한 이야기문법 쓰기 중재가 고등부 경도 정신지체 학생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상연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tory grammar instuction using the story maker activity on writing skills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A Plan for increasing effective student writing skills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Subjects were high school students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in special education school, all of whom exhibited inadequate writing skills. Evidence for the existence of the problem included published test scores, diaries, and teacher obsevations. Analysis of proble cause data showed that students exhibited poor writing skills due to a number of cognitive difficulties and a lack of a writing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were given the opportunity to write to learn. A review of solution strategies by writing experts suggested that story grammar were necessary to increase te writing process and the story maker activities made the beginner write story easier and had motivated students for their story writing. The following interventions were given : establish the frame of story elements and use them effectively to creat their sequence, as well as their causal and chronological relations; and create a writing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were given the opportunity to write to learn. Post-intervention data indicated that the writing workshop environment, which emphasized meaningful communication, promoted real purposes for writing. Findings suggest that students increase their written organization skill, the number of story elements which they product, verb variety in story, and improved their enthusiasm toward writing. Most of students increase the story length. 쓰기는 잘된 글의 모방이나 세분된 기능의 연습이라기보다는 의사소통의 맥락 안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강조되고 있다. 특수학교의 경도 정신지체학생의 경우 특수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속에서 쓰기의 기회를 충분히 갖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인지적인 결함으로 글을 쓰기 위해 생각들을 촉진하고 구조화시키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어 글쓰기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경도 정신지체 학생들에게 글쓰기의 자연스러운 접근과 글을 쓰는 과정에서 다른 구성원과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하면서 쓰기에 필요한 전략들을 직접 수행하고 내면화할 수 있는 쓰기 교수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이야기 제조기를 활용한 이야기 쓰기 중재가 고등부 경도 정신지체 학생의 쓰기 능력과 쓰기 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위해 서울 시내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부 경도 정신지체학생 4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학생들의 일기 내용을 분석하고 동일한 주제로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연구 대상자에게 16회(각 회기 당 60분)의 이야기 제조기를 활용한 이야기 문법 쓰기 중재를 실시하였다. 실험 처치가 끝난 후, 연구 대상자에게 사전검사와 동일하게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의 글은 글의 구조력, 글의 산출력(산출한 구성요소의 수, 글의 길이, 동사의 다양성), 쓰기 동기(행동 관찰) 측면에서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글의 구조력에 있어서 모든 대상자들이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글의 산출력에 있어서 모든 연구 대상자들의 이야기 구성요소 산출량과 동사의 다양성이 증가하였다. 세 명 학생의 글의 길이가 증가하였으며 한 명의 학생은 유지하였다. 셋째, 모든 대상자들의 쓰기 동기 부여에 효과적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이야기 제조기를 활용한 이야기문법 쓰기 중재가 경도 정신지체학생들의 쓰기 능력 및 쓰기 동기 부여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야기 제조기를 활용한 이야기문법 쓰기 중재가 쓰기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들에게 쓰기의 절차를 안내하고 촉진시키며 내용을 풍부하게 만들었다. 또한 말하기에서 쓰기로의 자연스러운 성공지향적 접근은 학생들의 쓰기에 대한 자신감을 키워주었으며 즉각적인 피드백은 학생들의 쓰기 동기를 부여하여 학습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이야기 제조기를 활용한 이야기문법 쓰기 중재가 경도 정신지체 학생의 쓰기 능력 향상과 쓰기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교수 방법의 하나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유부도에서 검은머리물떼새 Haematopus ostralegus osculans 의 번식기 동안의 섭식 행동에 관한 연구

        이상연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Eurasian Oystercatchers Haematopus ostralegus have proven indicators and play important roles as top predators of coastal ecosystems. Eurasian Oystercatcher Haematopus ostralegus has proven indicator and play important role as top predator of coastal ecosystem. There are four subspecies of Eurasian Oystercatcher: Haematopus ostralegus osculans is the subspecies that live in the East Asia have been designated as the Natural Monument No. 326 and the Endangered Wild Species Class Ⅱ in Korea. Because the great majority of the studies about H. o. osculans in Korea have focused in wintering populations until now, there is little detailed studies of H. o. osculans foraging behavior.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on H. o. osculans foraging behavior in Yubu Island large numbers wintering during the breeding season. Study area is the three deserted islands and tidal flats about 2㎞ north of Yubu Island. When the breeding season has come in earnest, late March to late June, I visited the breeding sites to find the nests every two to three days a week. If the nests were confirmed incubation from egg surface temperature, the nests were considered active and were checked to determine whether the chicks had hatched. If the eggs failed before hatching, I tried to determine the causes of hatch failure: predated, washed away, broken, unhatched, abandoned. The individuals started foraging behavior were randomly selected for video recording as close to the individuals as possible. The recording time for each individual was 3.12±0.10min(mean±SE, n=115). The recorded videos were analyzed using slow mode and repeat mode replay walk, prey search, prey swallow(No./recording time). The prey search of H. o. osculans was classified single peck, multiple peck, boring. Analysis of video recordings allowed the distinction among prey items or observation part of body from foraging process, prey items were classified gastropod, polychaeta, bivalve, crustacean. I compared how the factors: ⅰ) breeding stage(pre-incubation, incubation, brood-rearing, fledging), ⅱ) foraging site type(tide line, nearby nest site), ⅲ) age(adult, immature), ⅳ) tidal cycle: affects foraging behavior, prey swallow and prey items. As foraging specialization, individuals of which eat only one, has been observed through the recorded videos, I compared how prey items would cause any difference foraging behavior and prey swallow. In addition, I measured handling time, a prey item until it was searched and swallowed, and head ups, the number of times the head was raised thile a prey item was handled. Significant test was followed by Mann-Whitney U test, Kruskal-Wallis ANOVA test and Spearman's rank correlation as nonparametric statistical analysis. A total of 148 nests in Yubu Island during the breeding season combined 2015 and 2016 were identified. Most nests were created in April, clutch size topped three(56.76%). The average hatching success rate of 132 eggs hatch confirmed or presumed were 30.96±3.50%. The main cause of 240 eggs hatch failed is predated by 37.18±3.72%, which is presumed due to Black-tailed Gulls Larus crassirostris or mammals. Especially, Black-tailed Gulls are invisible before entering into the breeding site but appear as soon as entering, they are witnessed to fly approach. The eggs predated of rate at Site B was about half that of other sites.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sandy areas with gentle slopes, low height and open squares are advantageous for easy monitoring of predators, the predation rate is relatively low. However, it is necessary to execute the survey method using video recording in order to investigate accurate predation status. At early of the breeding season, gastropod Umbonium thomasi account for about 92% of the foraging prey items for H. o. osculans. It gradually decreased over time and only about 27% the breeding was completed. By contrast, at early of the breeding season, bivalve account for about 7% of the foraging prey items for H. o. osculans but increased to 70% later. Although to eat much for a short time at early of the breeding season, H. o. osculans choose gastropod Umbonium thomasi using single peck, by choosing bivalve as a prey item using multiple peck and boring at the late of the breeding season, prey swallow gradually increased. Because bivalve clearly is larger compared with other prey item and dominates benthic invertebrates biomass, H. o. osculans follow the tide line must be an efficient prey item.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 in foraging trends according to the breeding stage, studies on biomass change between gastropod Umbonium thomasi and bivalve must be promoted preferentially. Polychaeta account for about more than 80% of the foraging prey items in the nearby nest site as drained foraging site type. Also, it captured about 43%, highest level in brood-rearing stage. This was utilize the foraging site closest the nest site to protect cheek, the reason choice polychaeta as main prey item might be polychaeta activity increased during the tide retreats all surface water is drained. Despite a lot of walk, more prey search compared to the tide line, result prey swallow was lower supporting that the nearby nest site is not a good foraging site. Although immature often used boring more energy than adult, there is no difference foraging behavior, prey swallow and prey items overall. It was showed the younger foraging ability was not fall necessarily. Foraging ability in younger increased by experiencing which had probably fed with other individuals. Depending on tidal cycle, most foraging behavior and prey swallow could not be confirmed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y items. Unlike gastropod Umbonium thomasi, the frequency of foraging bivalve gradually decreased from high tide to ebb tide. Sometimes H. o. osculans was observed to be taken from the surface of sand at high tide. In order to satisfy the energy demand required for H. o. osculans, it is considered foraging of bivalve is necessarly performed. H. o. osculans population in Yubu Island clearly increased the foraging specialization using both tide line and nearby nest site to forage, but it is uncertain how it affects the long-term fitness of the population. I'm convinced continuous foraging study at the individual level can be quite useful for formulating an effective conservation strategy for H. o. osculans.

      • Paul Hindemith의 'Sonata for Flute and Piano'(1936)에 관한연구

        이상연 성신여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거에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음악은 항상 그 시대의 사조를 반영해 왔으며, 끊임없이 변화되어왔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은 정치·경제적 공황 상태에 이르렀고 이러한 환경과 함께 문학·예술 분야에서도 상당한 변모를 보이기 시작하였다. 20세기 초반의 작곡가들은 지나치게 주관적인 19세기 낭만주의 음악에서 벗어나 새로운 음악을 고안해내려는 노력을 하였으며, 이와 같은 노력은 급진적이며 실험적인 음악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파격적인 시도는 오히려 예술음악이 전통과 급격히 단절되고, 청중과의 거리 또한 멀어지게 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에 예술음악의 위기를 느낀 젊은 음악가들은 음악의 기능성과 목적성을 중요시 여기며 대중의 욕구를 만족시키는 음악을 만들고자 노력하였다. 독일의 대표적인 작곡가이자 이론가, 교육자, 지휘자, 연주자였던 힌데미트 역시 이러한 노력을 하였던 음악가이다. 다양한 음악 활동을 바탕으로 여러 양식의 작품을 발표하였던 힌데미트는 음악이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님을 깨닫고 심오한 사상을 내포하는 예술보다 일반적인 삶 속의 음악, 청중과 연주자 그리고 음악을 좋아하는 모든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는 음악을 추구하였으며, 이에 따라 실제적으로 연주될 수 있는 실용음악을 작곡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20세기의 사회적, 음악적 상황 등을 살펴보고, 「Sonata for Flute and Piano」(1936)의 분석을 통한 힌데미트의 음악세계가 실제 음악에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실제 작품에 반영된 작곡가의 의도를 통한 효율적인 연주를 위한 것이다. From past to present, music was always a reflection of the era and it continued to change and evolve as time passed. After World War I, political and economical stuntation in most of the European nations led the beginning of transformation in the artistic and literary world. The composers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wanted to deviate from the Romantic Music in the 19th century that was very subjective and the deviation started radical and experimental changes in music. However, such unconventional attempt backfired; not only were there a disconnec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lassical music, but there was also an increasing distance between the composer and the audience. Noticing the crisis, the younger generation of composers made practicality and goal of the music as their number one priority and tried to produce music that satisfied the desire of the audience. One of the classical composer who led such movement was Paul Hindemith, who was a German theorist, sociologist, conductor, and performer. Using his diverse musical backgrounds, Hindemith was able to produce different styles of music, which led to his realization that music should not be an item that is exclusively made for those who has in-depth knowledge of music. In his realization, Hindemith tried to portray music that is enjoyed by the musicians and audience alike, music that can shared and related by everyone, but also music that is very basic to its core instead of music that was abstruse and arcane. Being faithful to his ideals, Hindemith started to compose Practical Music that could be played by all musicians. In this thesis, Hindemth's ideals on musics and his composing style, and how Practical Music arose during the political and musical changes in the 20th century will be shown. Additionally, by analyzing 「Sonata for Flute and Piano」 (1936), research of how Hindemith's concept of music is being portrayed through his music will be shown as well.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see how Hindemth's distinctive music style is being projected in his work andsee the composer's intention through the efficient powerful performance of the piece.

      • 개별요소법을 이용한 암반강도 및 압입깊이별 디스크커터 최적간격산정 연구

        이상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When designing TBM, the cutter head is a key design factor that directly affects the excavation performance of TBM construction. It is known that the design of the spacing and penetration depth of the disc cutter in the design of the cutter head determines the efficiency of rock cutting, and to optimize the spacing of the disc cutter, a real-large linear cutting test should be performed. However, in the case of a large-scale experimen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ime and economic costs are consumed, and it is difficult to perform the cutting analysis of the gauge area. In this study, the trend of S/P ratio-specific energy according to rock strength and penetration depth was analyzed through numerical analysis based on the discrete element method, and the range of the optimum spacing of the 17-inch disc cutter was derived. In order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numerical analysis model, we compared and reviewe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isc cutter calculated through the CSM model and the numerical analysis. Furthermore, to check the effect of the diameter of the disc cutter on the optimal spacing, we perform a LCM analysis of the 14-inch disc cutter and compare it with 17-inch analysis results. Numerical analysis of LCM test shows that the rolling force acting on the disc cutter in analysis model is similar to the tendency of the rolling force derived using the theoretical formula of the CSM model. As a result of numerical analysis for the rock strength of 50 to 200 MPa, the minimum energy was in the range of 80 to 100mm, and the optimal spacing of the disc cutter tended to decrease as the rock strength increased. This tends to coincide with the previously reported optimum spacing of the disc cutter, and underpinning the disc cutter spacing calcula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14-inch disc cutter and the 17-inch disc cutter,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ange of the optimum interval was similarly derived. Finally, we conducted numerical analysis to the optimal cutting conditions for the gauge area. The gauge cutter is arranged to increase at a constant angle, and the angle between the gauge cutters is set as a variable. Specific energy wa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rolling force acting on the gauge cutters and the chip volum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tting test of the gauge area. Through this, we plotted the graph to chec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 of the specific energy of the calculated gauge cutters and the angle between the gauge cutters. The plotted graph (angle between gauge cutters – average specific energy of gauge cutters) shows that the mean angle for optimal cutting conditions in the gauge cutter area is 9°. TBM의 설계 시 커터헤드는 TBM시공의 굴진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설계요소이다. 커터헤드의 설계 중 디스크커터의 간격 및 압입깊이의 설계는 암반을 절삭하는 효율을 결정하게 되며, 이러한 디스크커터의 간격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실대형 선형절삭시험을 수행해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대형 실험의 경우 시간적, 경제적 비용이 많이 소모되며, 게이지영역의 경우 절삭 시험을 위한 시편을 제작하기가 쉽지 않으며, 시험장비의 부재로 시험을 제대로 수행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요소법 기반의 수치해석 연구를 통해 암반강도 및 압입깊이에 따른 S/P비 - 비에너지의 경향성을 분석하였고, 17인치 디스크커터의 최적간격의 범위를 도출하였다. 수치해석모델의 적정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CSM 모델을 통해 계산된 디스크커터의 회전력과 수치해석를 통해 계산된 디스크커터의 회전력을 비교·검토하였다. 또한 디스크커터의 직경에 따른 최적간격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14인치 디스크커터의 선형절삭시험해석을 수행하고 17인치의 해석결과와 비교하였다. 디스크커터에 작용되는 회전력은 CSM 모델의 이론식을 이용해 도출한 회전력과 수치해석결과가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것으로 확인되었다. 50 ~ 200MPa의 암반강도의 해석결과, 디스크커터의 최적간격의 범위는 암반강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최소 비에너지는 80~100 mm범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에 보고된 디스크커터의 최적 간격과 유사한 경향을 보이며, 본 연구결과로 산정된 디스크커터 간격을 밑받침한다. 또한 14인치 디스크커터와 17인치 디스크커터의 해석결과 최적간격의 범위가 유사하게 도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게이지영역에 대한 최적절삭 조건을 규명하기 위한 수치해석을 진행하였다. 게이지커터는 일정한 각도로 증가하도록 배치하였으며, 게이지커터사이의 각도를 변수로 설정하였다. 게이지영역의 선형절삭시험 해석을 통해 게이지커터에 작용하는 회전력과 절삭된 부피를 측정하여 비에너지를 계산하였다. 이를 통해, 계산된 게이지커터들의 비에너지 평균과 게이지커터사이의 각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그래프를 작도하였다. 작도된 게이지커터사이의 각도 – 게이지커터들의 평균 비에너지 그래프를 통해 게이지커터영역에서 최적절삭조건을 갖는 평균 각도는 9°로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