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졸업앨범 작품분석 : 이근호의 자작곡 ‘How much I love you’, ‘밝고 따뜻하고 아련해’, ‘영화’의 음악분석을 중심으로

        이근호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논문은 졸업앨범에 수록된 자작곡 ‘How much I love you’, ‘밝고 따뜻하고 아련해’,‘영화’ 세 작품의 분석을 통해 각 작품의 음악적 특징을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논문의 구성은 서론, 본론, 결론으로 나뉘며, 본론을 1절에서 3절로 나누어 각 작품에 대한 분석을 서술한다. 본론에서는 각 작품의 형식, 화성과 선율 구조, 악기 구성을 구분하여 작곡 및 편곡의 이론적 배경을 연구하고 서술한다. 작품의 형식은 선율의 형태, 화성의 진행, 악기 구성을 바탕으로 세분하였다. 화성과 선율의 구조는 작품의 화성 진행과 선율적 특징을 분석하고, 이러한 특징이 작품에 끼치는 영향과 창작자의 의도에 관해 서술한다. 악기 구성은 작품의 형식을 바탕으로 악기 구성 특징을 서술한다. 본 논문에 서술된 작품의 형식, 화성과 선율 구조, 악기 구성의 분석을 통하여 작품의 음악적 특징에 대해 고찰해보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used to understand the works by analyzing and explanation on the harmony and melody used in the works of GEUN HO LEE’s tunes ‘How Much I Love You’, ‘Bright, Warm and Distant’, ‘Movie’. The composition of the thesis is divided into introduction, main subject, and conclusion, and the main subject is divided into verses 1 and 3 to describe the analysis of each work. In the main subject,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omposition and arrangement is studied and described by dividing the form of each work, harmony and melody structure, musical instrument composition. The form of the work was subdivided based on the form of melody, progression of harmony, and composition of musical instruments. The structure of harmony and melody analyzes the progression of harmony and melodic characteristics of the work, and describes the influence of these characteristics on the work and the intention of the creator. The musical instrument composition is analyzed based on the form of the work, and the effec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instrument's role and the change of the playing method are described. I hope that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work will be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orm of the work described in this paper, the harmony and melody structure, the composition of musical instruments and the playing method.

      • 자기 효능감과 경쟁불안이 중학교 농구선수들의 농구경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이근호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운동수행결과와 운동경력 및 운동의 만족도 등에 따라 자기 효능감과 경쟁불안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대상을 중학교 농구선수들로 2003년 3월과 4월에 개최되는 전국 중,고등학교 농구대회에 출전하는 선수를 대상으로 하였다. 집단 구분은 운동수행결과 집단으로 상위 4개팀(4강) 36명, 중위 4개팀(8강) 30명, 하위 8개팀(16강) 42명, 운동경력을 2년 미만, 2년~3년, 3년 이상, 운동 만족도를 만족, 보통, 불만족 등으로 나누었다. 질문지는 자기 효능감 검사지(Bandura, 1977)와 경쟁상태 불안검사-2(Competitive State Anxiety Inventory-2: CSAI-2: Martens 등, 1990)를 이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FSSWIN10.0을 이용하여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기 효능감은 선수경력과 운동 만족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선수경력이 많고, 운동 만족도가 높을수록 자기 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2. 경쟁불안은 농구경기수행결과와 운동 만족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농구 경기 수행결과가 우수하고, 운동 만족도가 높을수록 불안수준이 낮게 나타 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중학생 농구선수의 경우 자기 효능감과 경쟁불안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운동에 선수 자신이 만족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참가하고 있는 운동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주어 선수 자신과 팀원전체의 경기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competitive anxiety according to athletic performance outcome, athletic career, and the degree of athletic self-satisfaction. To achieve the aim of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surveyed middle school basketball players who were participated in Middle School Basketball Match in March and April, 2003.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first group included 36 of upper 4 teams, 30 of middle class 4 teams, and 42 of lower 8 teams according to athletic performance outcome. The second included less than 2 years, 2 to 3 years, more than 3years according to athletic career. The third included satisfaction, average, and dissatisfaction according to athletic self-satisfaction. Both Self-Efficacy Inventory developed by Bandura(1977) and Competitive State Anxiety Inventory-2 developed by Martens et al(1990) were used as questionnaire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single variant by using SPSSWIN10.0.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nalyzed in this study, the conclusion were drawn as follows; 1. The difference of self-efficacy on athletic career and the degree of athletic self-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appeared. The players who had more career or had more athletic satisfaction showed higher self-efficacy. 2. The difference of competitive anxiety on basketball performance outcome and athletic self-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appeared. Competitive anxiety was low when performance outcome was good or athletic self-satisfaction was low. The conclusion obtained from this study is that the degree of self-efficacy and competitive anxiety depend on how players themselves are satisfied with what they play. As a result, coaches must try to manage and increase players' athletic self-satisfaction for the increase of their and team performance.

      • 혼합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이 성격유형 및 성별에 따라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이근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혼합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이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와 성격유형 및 성별이 혼합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서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성격유형과 성별을 독립변인으로,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혼합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은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가? 나. 혼합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은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가? 다. 혼합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의한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의 변화는 성격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가? 라. 혼합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의한 학업성취도의 변화는 성격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가? 마. 혼합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의한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의 변화는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가? 바. 혼합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의한 학업성취도의 변화는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가? 이 연구의 실험은 인천광역시 소재 I전문계고등학교 2학년 2개 학급 58명을 대상으로 성격유형과 성별을 고려하여 16모둠으로 구성 사전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를 검사한 후 4주 동안 17차시의 혼합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실시하고 사후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가>에서 혼합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이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전, 사후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검사점수에 대해 두 종속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t값 -4.34, 유의도 .000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혼합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은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킨다고 할 수 있다(p<.05). <연구문제 나>에서 혼합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이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전, 사후 학업성취도 검사점수에 대해 두 종속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t값 -2.185, 유의도 .033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혼합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은 학습자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킨다고 할 수 있다(p<.05). <연구문제 다>에서 혼합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이 성격유형에 따른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향상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내향, 외향 학생별로 사전, 사후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검사점수에 대해 두 종속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내향적 학생은 t값 -5.065, 유의도 .000, 외향적 학생은 t값 -1.919, 유의도 .064로 나타났다. 따라서 혼합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의한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의 변화는 성격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p<.05). <연구문제 라>에서 혼합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이 성격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도 향상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내향, 외향 학생별로 사전, 사후 학업성취도 검사점수에 대해 두 종속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내향적 학생은 t값 -2.104 유의도 .046, 외향적 학생은 t값 -1.345, 유의도 .188로 나타났다. 따라서 혼합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의한 학업성취도의 변화는 성격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p<.05). <연구문제 마>에서 혼합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이 성별에 따른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향상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남녀 학생별로 사전, 사후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검사점수에 대해 두 종속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남학생은 t값 -3.722, 유의도 .001, 여학생은 t값 -2.461, 유의도 .019로 나타났다. 따라서 혼합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의한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의 변화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p<.05). <연구문제 바>에서 혼합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성별에 따른 학업성취도 향상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남녀 학생별로 사전, 사후 학업성취도 검사점수에 대해 두 종속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남학생은 t값 -2.975 유의도 .007, 여학생은 t값 -.093, 유의도 .927로 나타났다. 따라서 혼합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의한 학업성취도의 변화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p<.05).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혼합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은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가 있으며, 혼합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 향상효과는 성격유형과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성격유형과 학습자 변인 별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다양한 프로젝트 학습 환경에서 성격유형과 성별에 따라 미치는 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lended project -based learning on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at personality and the distinction of the sex have an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blended project-based learning. To do the study, This study set up personality and the distinction of sex as independent variabl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as dependent variable. To achieve this purpose, the problems were formulated as follows. A. Can blended project-based learning improve a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 Can blended project-based learning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C.. Does the change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aused by blended project-based learning have an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 D. Does the change in the academic achievement caused by blended project-based learning have any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 E. Does the change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aused by blended project-based learning have any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sex? F. Does the change in the academic achievement caused by blended project-based learning have any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sex? To verify these problems,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58, second grade students of vocational high school in Incheon. Considered personality and sex, they consisted of 4-5 person in a group. This study examined each student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est and academic achievement test. During 4 weeks, who performed blended project-based learning. In addition, examine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nalyzed in T-test. It is condensed like the followings. <Research question A> To verify whether blended project-based learning can improve a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rior and post test scores for self-directed learning resulted T-test -.434, p-value .00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ay that blended project-based learning can improve a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Research question B> To verify whether blended project-based learning can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prior and post test scores for academic achievement resulted T-test -2.185, p-value .033.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ay that blended project-based learning can improve a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Research question C> To compare whether blended project-based learning can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 each of an introvert and an extrovert prior and post test scores academic achievement test score resulted introvert student T-test -5.065, p-value .000, extrovert student T-test -1.919, p-value .0064.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ay the change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aused by blended project-based learning can have the difference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 <Research question D> To compare the change in the academic achievement caused by blended project-based learning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 come out, each of an introvert and an extrovert prior and post achievement test resulted the introvert student T-test -2.104, p-value .046, the extrovert student T-test -1.345, p-value .188.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 change in the academic achievement caused by blended project-based learning has the difference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 <Research question E> To compare the change in self-direct learning ability caused by blended project-based learning according to the dinstinction of sex each of the sex, prior and pos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est scores resulted that male went out T-test -3.722, p-value .001 and female went out, T-test -2.461, p-value .019.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 change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s caused by blended project-based learning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sex have some difference. <Research question F> To compare the change in academic achievement caused by blended project-based learning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sex each of male and female, prior and post academic achievement test scores resulted that male went out T-test -2.975, p-value .007 and female went out T-test -.093, p-value .927. Therefore, the change in academic achievement caused by blended project-based learning has som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sex. This study proved that blended project-based learn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a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he improvement effect of blended project-based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s the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 and the sex. The following research should be about how to effect each the personality and the learner‘s variables, how to effect by the personality and the sex in the various project learning environment.

      • 적분형 액츄에이터를 가지는 시스템의 PID 자동동조에 관한 연구

        이근호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PID 제어기는 오늘날 까지도 우리주변에서 많이 쓰이고 있으며, PID 제어기의 비교적 간단한 구조와 신뢰성으로 인해 앞으로도 굉장히 오래 쓰여 질 것으로 보인다. 1942년 Zigler-Nichols에 의해 최초로 자동동조에 대한 이론이 발표된 이후에 오늘날까지 수많은 자동동조에 대한 연구 노력들이 있어 왔으며 이러한 노력들로 인하여 많은 제어기들이 진보된 자동동조 기능들을 사용하고 있다. 선박과 같은 대규모 온도 제어시스템에선 다이어프램 밸브를 사용하는 일이 많은데 이 밸브의 최초 변위를 알지 못하고 자동동조를 수행하는 것은 전혀 엉뚱하거나 매우 성능이 떨어지는 자동동조가 이루어지게 될 것 이다. 또한 자동동조시 시간이 오래걸리게 되면 그많큼의 비용의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적분형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모델링하고 어떻게 하면 최소의 시간안에 자동동조를 수행하여 최소한의 손실로 자동동조를 수행할 것인가에 대한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통하여 성능을 시험함으로서 제안된 알고리즘이 최소 시간에 자동 동조를 행할 수 있음을 보였고, 적분형 액츄에이터를 포함한 공정에 대해 충분한 성능을 발휘 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하여 보였다. PID controller is widely used as a type of automatic controller for industry. It has been used for a tong time because of its simple structure and reliability. To avoid time consuming process for PID gain tuning, following the Z-N method in 1942, there were much research efforts for the autotuning of PID controller. Some of them have been used for industrial applications successfully. However, when a marine engine system is controlled by a integral type actuator like the diaphragm valve, existing autotuning controller usually shows bad peformance, because the initial position of integral type actuator affect the autotuning result. And also the autotuning takes long time, which results in large costs for tuning. In this paper, modeling of the system having integral type actuator is peformed, and an autotuning algorithm is proposed to reduce the time for autotuning. The proposed algorithm can be effecting used for the plant with integral type actuator. Simulations and tests are done with the proposed algorithm.

      • 최단경로의 최적조건을 이용한 위험물 운송 강건 최적 네트워크 설계

        이근호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considers the problem of network design for hazmat transportation with risk uncertainty. The government can decide which roads have to be prohibited to transport some hazardous materials for minimizing the total transportation risk induced over the entire network. Then the carriers may choose the routes on the network to minimize the transportation costs. Therefore, the hazmat transportation network should be designed minimum total risk and minimum cost path. This study present the single-level model using the shortest path optimality condition for hazmat transportation network design and a robust optimization model with budgeted uncertainty for risk value. Test results on random data show that the robust model has the merit of robustness.

      • Shareware DBMS를 이용한 Mobile GIS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이근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computer systems of high capacity and high performance recently emerged, various researches about GIS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have been in progress and many GIS applications have also been developed. From the domestic situation where many people are using mobile devices, because of the recent advances in the mobile technology, we can infer that the time will come when every individual will carry a mobile device with a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module resulting from the development of a miniature GPS Module. Therefore, a mobile GIS system that can allows users to deal with dynamic GIS data management and perform their tasks while moving will be required. This thesis discusse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obile GIS system using the shareware DBMS, called postgresSQL. The Mobile GIS system in which a mobile concept is utilized at the GIS data server makes it possible to insert, delete, update GIS data, to zoom in and zoom out a displayed map, and to locate the user's position on the client devi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nage dynamic GIS data in order to deal with GIS data on the maps while moving, connect various GIS data servers through the middleware, and connected with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which is one of applications of the Mobile GIS system developed in this thesis.

      • 도면 자동 치수표시 위치결정 전문가 시스템의 적용

        이근호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GDS (Grating automatic Drawing System), which is an automatic design system of metal products called grating, is a system that produces various detailed drawings on the basis of information within a Plan Drawingthat represents layout of the gratings such as locations, shapes, directions, etc. However, automatically produced drawings by GDS do not fully satisfy the standard of the general dimension marking method used among the layout designers. The lack of this standard quality mainly results from the fact that overlapping among dimensionmarkings appears frequently. To solve the overlapping problem we applied the rule-based expert system. The rules for the expert system are designed based on the expertise of skilled layout designers within the grating production l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