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하학적 도상을 통한 상징화 연구 : 본인작품 <Symbolic Transference> 시리즈를 중심으로

        이경자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인의 작업은 지나온 삶의 추억들, 사람과의 관계, 여행에서 얻은 영감 등과 연관된 주관적 심상을 기하학적인 단순한 상징들로 재구성하고 그 위에 다양한 색채를 올려 캔버스를 하나의 음악, 조화로운 리듬의 경험으로 만들고 입히는 방식을 따른다. 또한 상상력을 통해 다른 세계를 표현하고 거기에 색채를 입혀 자신만의 상징을 만들어낸다. 그런 이유로 현실을 소재로 동화적인 환상의 세계를 만들어 내는데 주관적인 느낌과 이미지를 사용한다. 최근작 상징적 전이<Symbolic Transference>, 이 작품론의 연작은 지나간 시간과 기억을 현재로 불러들이고 소생시켜 새로운 삶으로 구성하는데 집중한다. 작가가 작품의 소재를 선택하고 표현하는 과정은 삶을 되돌아보고 미처 인식하지 못했던 세계를 볼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본인은 물질사회가 만들어낸 풍요로움 속에서 꿈을 잊고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인간이 가지고 있는 삶 자체의 경험에서 나타나는 내적 감성을 상징적 이미지를 통해 나타내고자 하였다. 오늘날 현대 사회에서 소홀히 여기게 되는 인간 내면의 감성을 이끌어 내려는 의도인 것이다. 본인의 작업은 바슐라르가 말하는 비현실의 기능인 몽상을 통해 세계를 주관적인 풍경으로 구성하고 상징적인 이미지들의 자유로운 유희를 다양한 색으로 표현하는 특징을 보인다. 선행 작가로 색과 음악, 색과 영혼의 닮음을 이야기했던 클레와 칸딘스키의 색채론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리고 주관적인 느낌이나 이미지를 보편적인 상징을 통해 표출하는 작업을 통해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 모두가 동경하는 다른 세계에 대한 소망을 재현하고 있다. 본 논문은 경험에서 탄생한 본인만의 독자적인 예술세계의 내용적인 풍부함, 형식적 엄밀함, 다양한 색채의 사용을 특징으로 하는 본인의 작업에 대한 미학적, 미술사적 분석이다. 앞으로의 작업이 보다 심도 있고 진지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기회를 얻기 위해 본 논문은 예술가의 상상력과 몽상 및 이미지의 상징화의 가치를 분석하고 색채 예술로서의 회화가 왜 청각 예술로서의 음악을 구현하려고 하는지를 분석했다. My work uses simple geometric images which are symbols of personal images getting from past memories, human relationships, and inspirational travel. With various colors, these images makes Harmony of rhythm like music played on a canvas. I also creates my own symbolism by realizing an imaginary world with colors. For these reasons, the fantasy world that evokes the innocence of childhood is the result of my subjective view of the world. My recent serious of works, Symbolic Transference, focus on drawing a new life by revitalizing past memories into the present. The way I select and express the subject world provides an opportunity that I can look back and find a world that has missed as well. I try to symbolize inner sensitivity of people who lose a dream of life while they live a bountiful life of a material society. It intentionally inspires inner sensitivity that is easily neglected nowadays. My work characterizes in subjective landscapes created in a dream, what Gaston Bachelard says imagination which is a role of unreality, and the use of various colors on the images. The precedents are Paul Klee who insisted the similarity of color, music, and spirit, Wassily Kandinsky who developed chromatics. Furthermore, I try to express personal feelings and images by using universal symbols to represent longing for another world what most people dreams of.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my work, which is defined as ample stories, strict formation, and colors, with a point of view of aesthetic and arts history. For the positive development of future work, it reviews imagination, fantasy and the symbolization used in my work and the reason why I realize art of music on a painting as art of color.

      • 만 5세 영어교육에서 보드게임을 활용한 지도 방법 연구

        이경자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만 5세 영어교육에서 보드게임을 활용한 지도 방법 연구 영어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영어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은 이 시대 에 꼭 필요한 기능 중 하나가 되었다. 이런 이유로 우리나라에서는 1997년 초등학교 3학년부터 영어가 정규 과목이 되었지만 유아교육에서는 영어를 인정하는 국가적 차원의 지원이 없다. 하지만 실제 유아교육현장에서는 노래나 챈트를 이용한 방법과 초등학교 영어교육방법들을 적용하여 유아영어 교육이 일반화 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자는 유아교육의 현장에서 오랜 경험을 토대로 유아대상 조기영어교육의 실효성에 대한 긍정적 견해를 가지게 되었고 이에 조기영어교육울 주장하는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고 바람직한 영어교육방법들을 알아보았다. 그 과정에서 본 연구자는 취학 전 유아기부터 영어교육을 시작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이론에 대하여 확신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초등학교 뿐 아니라 유아영어교육에도 좀 더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하여 그 방법의 하나로 보드게임을 활용한 수업 형태에 관심을 가지고 유아영어교육 수업안에 적용하고자 보드게임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실제 상황에서 언어를 직접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해 주기 위하여 유아영어 수업 중에 보드게임 놀이를 하면서 영어를 사용하는 유아영어 수업지도안을 개발 제시하였다. 보드게임 놀이를 하면서 영어를 사용하는 유아영어 수업지도안은 유아가 놀이를 한다고 생각하는 가운데 학습이 내재되어 있어 영어에 대하여 긍정적이고 선호적인 정의적 감정을 갖게 되는 큰 장점이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시중에는 교구를 이용한 수업 개발은 희박한 실정이며 현장의 교사들을 위한 교재 및 교구 연구가 심도 있게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 특성화 고등학생의 자존감, 자기통제력, 충동성 및 갈망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

        이경자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 충동성 및 갈망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청소년기의 특성을 이해하고 스마트폰 중독과의 변인관계인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 충동성, 갈망의 개념을 바탕으로 스마트폰의 실태를 알아보고, 변인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전북 G시 소재 특성화고 2개 학교를 선정하여 285명(남:185, 여:100)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지는 인구통계학적 질문 및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 충동성, 갈망과 스마트폰 중독을 측정하는 질문을 포함한 자기보고식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 결과는 첫째, 스마트폰 중독은 갈망과 정적 상관, 자존감 및 자기통제력과 부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자존감, 자기통제력, 충동성, 스마트폰 사용 갈망의 변인들의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스마트폰 사용 갈망이 스마트폰 사용행동을 정적으로 예측한 반면, 자존감과 자기통제력은 스마트폰 사용행동을 부적으로 예측했다. 셋째, 본 연구의 특성화고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집단의 잠재군이 27.0%, 고위험군 10.8%로 조사되었다. 향후 이에 대한 후속 연구와 확인 작업이 필요한 것 같다. 본 연구결과 특성화고 실업계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거나 상담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자존감과 자기통제력을 향상시키고, 특히 스마트폰 사용 갈망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상담개입과 예방법의 개발과 실시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특성화고 학생의 수가 비교적 소수이므로 일반화의 제한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사용된 척도도 모두 자기보고식이므로 측정의 타당도와 신뢰도의 제한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향후 특성화고 고등학생에게 적절하고 효율적인 스마트폰 중독 예방이나 상담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of self-esteem, self-control, impulsivity, smartphone use craving and smartphone addiction of 285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boy: 185, girl: 100).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martphone addi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martphone use craving, but negatively with self-esteem and self-control, not correlated with impulsivity. Second, smartphone use craving positively predicted smartphone use. But self-esteem and self-control negatively predicted it. Third, the number of smartphone high-risk group of this students was more than that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It seemed that enhancement of self-esteem and self-control but reduction of smartphone use craving are very important for reducing and preventing smartphone use of specialized high school adolescents. The effective and practical psychological skills and preventive counseling strategies for reducing smartphone addiction will be investigated and implemented.

      • Helicobacter pylori의 마우스 감염 전후의 단백체 비교 분석

        이경자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H. pylori 감염은 모든 사람 위·십이지장 질환을 유발한다. H. pylori가 위점막에 주는 병리학적 기전을 구체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 동물 모델의 적용이 필요하며, 대표적으로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고 있다. 마우스 감염은 H. pylori 균주에 따라 감염능이 다르다는 것이 보고되었다.15-16 본 연구에서는 마우스 모델에서 위점막 감염에 관여하는 H. pylori 감염 인자를 규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 번째 감염능이 다른 균주의 단백체 비교 분석, 두 번째 감염 전 후 세균의 단백체 비교 분석, 세 번째 omp10 결손 균주의 단백체 비교 분석을 하였 다. 한국인으로부터 분리한 균주 H. pylori 51과 H. pylori 52를 각각 마우스에 감염시켜서 감염 전과 감염 후의 단백체 분석을 실시하였다. 감염 전보다 감염 후에 urease alpha/beta, catalase, flagella A/B의 발현량이 증가하였다. H. pylori의 대표적인 발병인자로 알려진 urease, catalase, flagellin이 숙주 위점막에 감염되어 정착하는데 필요한 단백이라는 것을 마우스 감염실험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Helicobacter pylori is a gram-negative, spiral, microaerophilic bacterium that infects more than 50% of the human population over the world and 90% of the Korean people. H. pylori produces a variety of gastric disease from asymptomatic to serious illness. Prolonged exposure of human gastric mucosa to H. pylori has been linked to the development of gastroduodenal ulcers and gastric cancer. Although a lot of research have been carried out, it needs to attempt to explain clearly how H. pylori infections could cause various gastrric symptoms. The mouse model is alleged to be a useful tool for understanding of pathophysiological roles of H. pylori in the development of gastric disorders. However, mouse infectivity of H. pylori has been observed to be dependent on bacterial strains. Components of H. pylori which could affect on its mouse infectivity have to be elucidate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mouse model for H. pylori infections. Here, proteome components of H. pylori 51 (low infectivity strain) and H. pylori 52 (high infectivity strain) were quantitatively compared before and after infection to a mouse. In additions, proteome component of H. pylori were quantitatively compared between wild type and omp10-deleted mutant. After infection on a mouse, H. pylori 51 showed a lot of quantitatively different proteome components. Urease subunit alpha/beta, catalase and flagellin A/B represented elevated components after infection. In the case of H. pylori 52, proteome components showing changed quantity were significantly lesser than H. pylori 51. When proteome components were compared between wild type and omp10-knockout mutant, urease, catalase, and flagellin were highlier expressed in the wild type than the mutant. In conclusion, these results represent that urease, catalase, and flagellin are critical for H. pylori's colonization on the mucosa of a mouse.

      • 미디어 아트를 통한 시각문화 미술교육 지도방안 연구

        이경자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elevision, magazine and movie are called typical visual media. Those media take the lead in popular culture, and they are likely not to be taken seriously for the very reason. The art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needs the active acceptance of visual way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history of civilization, such as industrial design as well as advertisements, films, cartoons, videos and computer vision. Nowadays, the sensibility of visual culture is required to have a right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 flooded with the visual cultures as well as to choose and use quality cultural culture. Even though countless visual cultures with value-free and immoral contents are approaching us, we are accepting visual cultures without any critical judgement and our sentiment is severely affected by the cultures. Thus, a new opportunity to learn the visual culture should be provided so that the art education complies with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and satisfies students who live these days and in the near future as the art education is fitted with their patterns of acceptance of culture as well as their consciousness In comtemporary society, 'Visual Culture' requires right choices and acceptance amid the plethora of information, This can be possible through education. Accordingly, art education is more necessary for appreciation education through criticism learning in the process that learners are developing the actively-expanded ideas. Up to now, art appreciation education has been developed as the program of the DBAE but the new visual culture involves a range of problems, requiring the necessity for appreciation education guidance. Thus, this research thesis aims to search the potential appreciation education through criticism learning by seeking ways for appreciation on animation, film and musical among learners' daily life-based visual cultural media. This research thesis has made reviews on theoretical grounds of the concepts and traits of 'Visual Culture' through literary studies. and this thesis has mentioned the problems from the ongoing criticism learning, and punctuated the necessity for art appreciation education in visual culture learning. and this thesis has presented learning guidance by analyzing and applying the criticism learning of appreciation learning Most of all, it is a pressing task to make the further research on attitudes right for acception others' opinions, alton with research on learning to view and criticize era and culture in the sound and constructive light. As this research is limited to just literary one, it is needed to test and apply the educational purpose effect into the real field.

      • 『태서문예신보』의 정서적 계몽 연구

        이경자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s about the enlightening character and it's way of change change which lasted on 󰡔Taeseo munye sinbo󰡕 since civilization of the Korea. So far, we only evaluated 1920s' free verse in modern korean literature which resulted in isolation of enlightening character that 󰡔Taeseo munye sinbo󰡕 has. 󰡔Taeseo munye sinbo󰡕 is in a 1910s enlightenment magnetic field. When it comes to Modern Korean Literature, enlightenment could be divided into two waves and I'd like to name them teaching enlightenment and emotional one. One is early 1910s' teaching enlightenment by ‘Choi nam-seon’(최남선) and ‘Yi gwang-su’(이광수) the other is emotional one that was lead by 󰡔Taeseo munye sinbo󰡕 - first published in 1918. Teaching enlightenment that swayed enlightenment of 1910s and civilization era can be explained by following three factors. First, separation of the enlightenment subject and object second, segregation of material and spiritual world third, didactic and educational character. At that time, literature was only intellectuals' tools to tell their logics to the public and it was nothing but editorial writings without aesthetic concept of literature. 󰡔Taeseo munye sinbo󰡕was different. It emphasized execution power of enlightenment and internalized understanding as a enlightening main body that is made by individual decision. At that time, intellectuals took emotion as a motive to execute instructional rationality. Emotional enlightenment is anti-teaching and accentuates visionary emotion by using subject matters such as night, dream, sleeping and spring. Visionary emotion defeats negative ideas that hamper social development, so people could get enterprising enlightening thoughts. Visionary emotion also allows free expression of what subjects feel. Through confession subjects create their own inner world and become modern men who follow internal necessity. modern men try to live transcendental and ideal lives which is not ruled by material things. modern men, awakened, feel inner desires and examine theirselves, alter traditional premodern emotion to modern one. The emotional enlightenment of 󰡔Taeseo munye sinbo󰡕 is found at works and editorial column of writers. In the emotional enlightenment, there are two types of speculation. One cogitation is men of letters who enjoy literary works, the other is social men who want to get through a lot with their people. There were social execution and aesthetic autonomy at the same time by acting up emotional enlightenment of 󰡔Taeseo munye sinbo󰡕. In the result, emotional enlightenment of 󰡔Taeseo munye sinbo󰡕 is utilitarian concept that could make people have independent enlightening will, have power of execution will in it and mutual communication locus of aesthetic and social execution at literary works. In other words, emotional enlightenment has subjecthood, practicalism and public interest in it.

      • H.Wolf의 예술가곡 연구 : E.Mörike의 시에 의한 가곡 중심으로

        이경자 群山大學校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Hugo Wolf는 후기 낭만주의 시대의 대표적인 예술가곡 작곡가로 평가받고 있으며, 서정성이 풍부한 그의 가곡은 현대에도 많은 성악가에 의해 연주되고 있다. 본 논문은 그의 대표적 작품인 「뫼리케 가곡집 Mörike Liederbuch」에 수록된 < 소년과 꿀벌 Der Knabe und da Immlein >, < 요정의 노래 Elfenlied >, < 정원사 Der Gärtner >, < 은둔 Verborgenheit >를 중심으로 볼프 가곡의 음악적인 특징을 살펴보고, 심도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그의 작곡 의도를 살려 보다 더 정확한 연주가 이루어지도록 돕는 데 목적이 있다. 그를 위하여 볼프와 뫼리케의 생애를 조사하여 그들의 작품의 시대적 배경을 분석하였고, 가곡 가사의 원문인 뫼리케의 시를 직역하여 의역에 의한 오해를 방지하며 시의 내용의 정확한 이해를 도왔다. 또한, 각 가곡의 성악 성부와 반주의 관계, 리듬, 화음, 특징을 분석하여 그 시의 내용이 어떻게 가곡의 형태로 표현되고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볼프가 가곡 작곡 시에 가장 중요하게 여겼던 것은 시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는 자신의 가곡에서 시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많은 음악적 장치들을 빈번하게 사용하였다. 말하듯이 노래하는 낭송적인 선율로 진행되는 성악 성부는 시의 내용에 집중하게 하였으며, 라이트모티프의 사용으로 등장인물이나 상황의 느낌을 음악에서 바로 떠올릴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이전에서는 빈번하게 무시되곤 하였던 피아노의 역할을 중요하게 여겨 전주, 간주, 후주를 삽입하여 성악이 묘사한 상황을 연결하거나 표현하기 어려운 부분의 분위기를 묘사하였다. 그는 음악이 다른 분야의 예술과 통합하여 존재해야 한다는 바그너의 음악 이론을 그의 방식인 “시의 중요성 부각”으로 성취하였으며, 그의 가곡은 시와 음악이 결합된 하나의 총체예술작품이라고 평가된다. Hugo Wolf is one of the best composer of Kunstlied at post-romantic era. Lots of singers have performed his lyrical Lieds up to now. In this thesis, the style of his Kunstlieds is analyzed with <The boy and the honeybee Der Knabe und da Immlein >, < The song of fairy Elfenlied >, < The Gardener Der Gärtner >, and < Seclusion Verborgenheit > of 「Mörike Liederbuch」.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help performers understand Wolf’s intention and enable to interpret his Lied properly. Some methods are adopted for that. First of all, Wolf’s and Mörike’s life is discussed to figure out the time background of their works. In addition, Mörike’s poems are translated literally to avoid the problems of liberal translation. Finally, the way that wolf converted from poems to Lieds is explained by studying the relationship of vocals and accompaniment, rhythm, harmony, and features in the Lieds. As a result, the most important thing to Wolf when he wrote his Lied was “the poems”. He used many musical devices to express the contents of a poem effectively. Recitative melody just like talking makes itself more focused on contents, and also Leitmotiv allows to imagine characters and situations. Wolf inserted prelude, interlude, and postlude to connect scenes of the vocal part or to audioize a mood hard for vocal to describe, because he placed an importance on the piano part, which was usually disregarded before. He accomplished the theory of Wagner, “Gesamtkunstwerk” that means an artwork that integrates other forms of art with music, by his own way, “emphasis of importance of poems”. His Kunstlied was judged as a Gesamtkunstwerk that music and Lied are comb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