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퍼스널 트레이닝 참여자의 참여동기가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유경화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퍼스널 트레이닝 참여자의 참여동기가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련의 절차에 따라 연구를 진행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대상자는 전라북도 지역의 피트니스 센터에서 퍼스널 트레이닝을 참여하는 20대∼50대 이상 성인 남, 여 회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고 최종적으로 200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참여동기의 차이는 연령, 참여빈도, 참여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성별, 참여빈도 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는 성별, 연령, 참여빈도, 참여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참여동기의 하위요인인 즐거움 요인은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인지된 신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무동기는 부적 영향을 나타냈다. 다섯째, 참여동기의 하위요인들은 삶의 질의 하위요인 중 심리적 영역과 자기만족 요인에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나 생활환경 요인에서는 사교 요인만이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여섯째,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인지적 신체능력과 삶의 질의 하위요인 중 생활환경 요인에서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고, 그 외 나머지 모든 요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와 같이 퍼스널 트레이닝에 대한 인식과 활성화를 위해서는 참여동기의 지속적인 동기 부여를 통해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높여주고 궁극적으로 국민의 건강한 삶을 개선해야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a series of procedures to find out the impact of personal training participants' motivation on their physical self-efficiency and quality of life.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male and female members in their 20s and 50s who participated in personal training at the fitness center in Jeollabuk-do, and analyzed the data of 200 people and analyzed them for empirical analysis. First, the difference of participation motiv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participation frequency and participation period. Second, the difference of physical self - efficacy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 according to gender and frequency of participation. Third, the difference of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 according to gender, age, participation frequency, and duration of participation. Fourth, the pleasure factor which is a sub - factor of participation motive influenced the perceived physical ability among the sub - factors of physical self - efficacy, whereas the non - motive showed negative influence. Fifth, sub - 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domain and self - satisfaction factor among the sub - factors of life quality, but only social factor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in living environment factors. Sixth, among the sub - factors of physical self - efficacy,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in the life environment factors among sub - factors of cognitive physical ability and quality of life, and all other facto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order to recognize and activate personal training,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hysical self-efficacy through continuous motivation of participation motive, and ultimately improve the healthy life of the people.

      • 딥러닝 기반 얼굴인식 라이브러리 활용 및 보완에 관한 연구

        유경화 남서울대학교 복지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빅데이터의 축적으로 도움을 받는 분야 중 하나가 얼굴인식분야이다. 본 연구에서는 face recognition분야의 높은 성능을 자랑하는 FaceNet논문을 기반으로 한 Library 2개를 예로 들어 FaceNet이론에서 보완할 점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Library 2개는 학습되지 않는 데이터 전부를 학습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학습된 데이터의 label로 처리하는 방식의 위험성을 확인 후 얼굴인식의 원리를 분석하였다. Face Detect단계에서 쓰인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s)알고리즘에서 사용한 Gradients를 계산하는 방식과, 그로인한 명암처리 방식에서 나온 feature extraction방식이 내놓은 feature들은 얼굴의 표정을 드러내는 부분과 상당수 일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affine transform 알고리즘에서 사용한 Dlib face pose 추정 알고리즘도 얼굴의 표정변화에 기반 하여 인식한다는 것을 알아보았다. 먼저 davidsandiverg Library를 참조한 FaceNet Library에서 학습되지 않은 데이터를 가지고 테스트한 결과 시시각각 변하는 표정에 학습된 데이터의 표정을 비교하여 학습되지 않은 데이터에 label처리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OpenFace Library를 활용하여 한사람을 3가지 표정(Happy, Sardonic, Gloomy)으로 나누어서 각기 다르게 label처리 후 나이, 성별, 인종이 완전히 다른 학습되지 않은 데이터를 가지고 label이 표정에 따라서 어떻게 바뀌는 지를 관찰하였다. 관찰결과 학습되지 않은 데이터에 대해서 얼굴을 인식하는 것이 표정에 상당히 의존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본 연구에서 사용한 얼굴인식기법에 정확도 70%이상의 기준을 세우는 방식으로 개선할 수도 있다. 하지만 얼굴인식과 표정인식을 접목시켜 감지하는 방법을 차후 더 연구하여 얼굴인식기법의 정밀도를 높이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주제어(키워드, 핵심어) : 딥러닝, 오픈페이스, 페이스 넷, 합성곱 신경망, 라이브러리, 인공지능, 얼굴 인식 One of the areas benefiting from the accumulation of big data is face recognition.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what should be supplemented in the FaceNet theory using the example of two libraries based on papers about FaceNet, which boasts incredible performance in the field of face recognition. The two libraries used in this study checked the risk involved in the method of comparing all the untrained data with the trained data, treated the trained data with a label, and analyzed the principle of face recognition. The features derived from the calculation of gradients used in the HOG (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s) algorithm used in the Face Detect stage and the feature extraction method of treating the resulting light and shade matched the parts showing facial expressions to a great degree. The Dlib face pose estimation algorithm used by the affine transformation algorithm recognized a face based on changing facial expressions. The investigator tested the data that had not been trained in the FaceNet Library which consulted the davidsandiverg Library and compared the constant changing facial expressions with those of the trained data, confirming that the untrained data was treated with a label. Furthermore, the investigator divided the facial expressions of a person into three groups (happy, sardonic, and gloomy) by using the OpenFace Library, treated them differently with different labels, and observed how the labels would change according to facial expressions with the untrained data of completely different ages, genders, and races. The observation results show that there was much dependence on facial expressions during face recognition with non-trained data. The face recognition technique used in the present study could be improved with an increased accuracy level of 70% or higher.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however, lies in its attempt at a higher precision of the face recognition technique in a follow-up study on the recognition method of incorporating face recognition into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Key word(Guide word): deep learning, CNN, FaceNet, OpenFace, library, OpenCV, face recognition

      • 동해안 오귀굿의 드렁갱이장단 연구 : 청보장단과 비교를중심으로

        유경화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드렁갱이장단은 동해안 오귀굿 중 초망자굿의 드렁갱이춤 반주장단이며, 굿이 시작되는 첫날 굿의 시작을 알리며 치는 신성한 목적으로 쓰여진 장단이다. 청보장단은 동해안굿 전반에 걸쳐 쓰이는 무가(巫歌)의 반주장단으로 춤 반주장단인 드렁갱이장단에 비해 속도는 느리지만, 전체적으로 드렁갱이장단과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다. 본고에서는 난해한 기교와 복잡한 구조 등으로 인해 미진한 연구로 남아 있던 드렁갱이장단을 청보장단과 비교하여 그 구조를 살펴보았다. 두 장단의 비교는 기본구조·징타점·넘김채 구조의 세 가지 사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두 장단을 비교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드렁갱이장단과 청보장단의 기본구조는 1장의 경우, 드렁갱이장단은 4/4(3·3·2/8)의 기본 리듬형이 열개 모여 한 장단을 이루는 반면, 청보장단은 4/4(3·3·2/8) 다섯개 모여 한 장단을 이룬다. 2장에서 드렁갱이장단은 10/4, 청보장단은 5/□가 한 장단을 이루며, 3장에서 드렁갱이장단은 10/4→10/8(5/4)로, 청보장단은 5/4 → 5/8로 점차 빨라지는 구조를 보인다. 4장에서는 드렁갱이장단과 청보장단이 10/8 한 장단으로 같은 구조를 보이고, 5장에서 드렁갱이장단은 자즌모리 속도와 유사한 6/4(4/□)한 장단을 이루고, 청보장단은 중중모리 속도와 유사한 12/8 한 장단을 이룬다. 결국 두 장단의 기본구조는 한 장단의 길이가 10박과 5박으로 구성되는 점에서 상이하지만, 한 장 내에서 또는 장 전체적으로 속도가 점차 빨라진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다음으로 두 장단의 징 타점은 드렁갱이장단의 경우, 1장 첫번째 장단에는 징이 들어가지 않고, 두번째 장단부터 장단의 첫머리에 징이 항상 들어가며, 5장까지 징을 막지 않고 열여서 친다. 단, 5장에서는 한 장단에 징이 □□ 두 번 들어감으로써 고조된 분위기를 살려준다. 사설이 있는 청보장단의 경우, 1장 첫번째 장단 첫머리에 징이 들어가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드렁갱이장단과 동일하나, 그 다음부터는 두 장단 4/4(3·3·2) × 10 마다 징이 들어간다. 따라서 청보장단 1장의 징 위치는 장단과 무가가 교대로 나오면서 징이 10박에 한번 들어 감으로 인해, 징이 장단과 장단 사이, 무가와 무가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는 특이한 구조를 갖게 된다. 2장과 3장의 징 위치도 이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청보장단 4장의 경우는 장단의 첫머리에 징이 들어가기는 하지만, 10/8 네 장단(장단 2+무가 2)마다 한번씩 쳐서, 역시 무가가 시작되는 부분에는 징이 들어가지 않는다. 4장 뒷부분으로 가면서 고조되는 분위기를 북돋우기 위해 징을 □□□□ 혹은 □□□□으로 치고, 5장에서는 □□□□로 여러번 친다. 마지막으로 드렁갱이장단과 청보장단에 나타난 넘김채 구조를 살펴 보았다. 이 넘김채는 5장으로 구성된 드렁갱이장단과 청보장단을 연주함에 있어 장이 바뀔 때마다 넘어가는 다음 장의 리듬패턴을 신호하듯이 치는 것이다. 이는 진도씻김굿장단의 끌채와 같은 개념으로 장단과 장단의 연결에 있어 그 음악적 흐름을 자연스럽게 해준다. 전체적으로 두 장단의 구조는 3박과 2박의 불균등박 구조에서 균등박 구조로, 느린 템포에서 빠른 템포로 변화되는 전통음악장단의 일반적 특정을 띤다. 이러한 특징은 여러 시대를 걸쳐 변이(變移)되는 전통음악장단의 일반적인 양상으로서 장단의 역사성(歷史性)을 내포한다. 그러므로 드렁갱이장단과 청보장단은 어느 한 시대에 한정된 음악적 특징만을 담고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시대에 걸쳐서 축적된 장단의 역사성을 모두 담고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study the structure of the t?r?nggaengi changdan which has still been under the investigation due to the complicated technique and complex pattern of the t?r?nggaengi itself, by comparing with the ch'?ngbo changdan. First of all, let me clarify the two unique changdan, the t?r?nggaengi and ch'?ngbo changdan. The t?r?nggaengi changdan is defined as an accompaniment changdan for the t?r?nggaengi dance in the ogwikut (the exorcism for the dead) of the eastern coast. It was used for the scared purpose which announces the beginning of the kut (exorcism) in the first day of the ceremony. The ch'?ngbo changdan, which was used for the accompaniment for shamanistic song in the exorcism of the eastern coast, tends to have slower movement than that of the t?r?nggaengi. However, as a whole, it has a similar structure as the t?r?nggaengi changdan. In comparing the two changdan, the t?r?nggaengi and ch'?ngbo, I took into account the three specific matters such as the basic structure, the tapping point of ching and finally, the n?mgimch'ae. ( The signal point of the beating pattern transition.) The major comparative elements that I found by comparing the both two changdan, the t?r?nggaengi and ch'?ngbo,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 the basic structure of the t?r?nggaengi changdan and ch'?ngbo changdan, at the 1st movement, the t?r?nggaengi changdan is composed of one changdan having ten basic beat types of 4/4 (3.3.2/8), while the ch'?ngbo changdan is composed of one changdan having five types of 4/4 (3.3.2/8). At the 2nd movement, the t?r?nggaengi changdan is composed of 10/4, and the ch'?ngbo changdan of 5/□. At the 3rd movement, the t?r˘nggaengi changdan shows more speeding structure from 10/4 to 10/8(5/4), and the ch'?ngbo changdan shows more speeding structure from 5/4 to 5/8. At the 4th movement, the both t?r?nggaengi changdan and the ch'?ngbo changdan have the same structure of one 10/8 beat. At the 5th movement, the t?r?nggaengi changdan is composed of one changdan of 6/4 (4/□), that is the same speed as the chaj?nmori changdan, and the ch'?ngbo changdan is composed of one changdan of 12/8, that is the same speed as the chungjungmori chnngdan. In conclusion, the basis structure of the two kinds of changdan is different in that the length of one changdan is composed of 10 and 5 beats, but same in that its speed gradually gets faster at one movement or as a whole. Second, for the ching tapping point of the two kinds of changdan, for the t?r?nggaengi changdan, ching does not get into the first changdan of the 1st movement, but does at the first part of the 2nd movement, and it is struck at open state, not blocked state. But at the 5th movement, high toned mood is generated the ching is performed two times at one changdan like □□. In case of the ch'?ngbo changdan at having narration, it is the same as the t?r?nggaengi changdan in that the ching does not get into the 1st part of the 1st changdan, but the chins gets into at every two kinds of changdan 4/4(3.3.2)X10 from the next time. Thus, the ching's position at the 1st movement of the ch'?ngbo changdan, has a special structure locating at the middle of shamanistic songs, changdan since the ching is performed once at 10 beats with changdan and shamanistic songs alternating. The ching's position at the 2nd and 3rd movements has such structure as that. However, at the 4th movement of the ch'?ngbo changdan, the ching is performed at the 1st part of changdan, but it is struck once at every four changdan of 10/8 (changdan 2 + shamanistic song 2), so the ching is not performed at the part shamanistic song starts. To invigorate the mood at the latter part of the 4th movement, the ching is performed at □□□□ or □□□□, and at the 5th movement, the ching is performed many times at □□□□. Final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ucture of a n?mgimch'ae revealed at the t?r?nggaengi changdan and ch'?ngbo changdan. This n?mgimch'ae is struck as signaling the beatical pattern of the next movement turning over to every time an movement changes in performing the t?r?nggaengi changdan and ch'?ngbo changdan composed of 5 movements, which is the same concept as the kk?lch'ae of Chindo ssikkim kut, and makes its musical stream smooth. In short, the structure of the two changdan, the t?r?nggaengi and ch'?ngbo, tend to represent the general characteristic that the traditional music changdan pattern has, which is changing from inequal beat of 3 beats and 2 beats to equal, and from slow to rapid tempo. This kind of feature distinctly shows that the two changdan signify the trace of the changes of the changdan accumulated by the long history of Korean music. In that point of view, the t?r?nggaengi and ch'?ngbo changdan can be considered as a historical mark that comprises the past procedure of the change of changdan in Korean music created by over the decades, not limited by a specific period.

      • 金素月 詩 硏究

        劉景花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소월(素月) 김정식(金廷湜)은 한국의 대표적인 근대 시인이다. 개화기 이후 많은 시인들이 이 땅을 스쳐갔지만 소월만큼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고 인구에 회자된 인물은 드물 것이다. 소월 시는 그만큼 대중적인 매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소월 시의 총체적 대중성, 또는 무 계층성은 어디에서 기인하는 것일까, 그것은 아마도 소월의 시가 우리의 민중정서, 그리고 우리의 민족정서에 뿌리를 내리고 있기 때문이며 그의 시가 민중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이유일 것이다. 「진달래꽃」에서 보다시피 소월 시에 주로 다루어지는 소재는 꽃, 새, 시내, 달, 청산과 같은 자연물들이고 또한 시의 기저를 이루는 주정서는 사랑, 이별, 고독, 비애 같은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소재와 시정서는 일반 대중들이 쉽게 접하고 느끼는 보편적인 것들이라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소월 시는 민중적 소재와 민중적 정서에 두고 있는 것이다. 특히 소월의 기본 정서를 이루는 한(限)은 민중적인 속성을 함께 내포하고 있는 정서다. 흔히 한을 우리 민족성의 표상이라고 말하듯이 한은 우리 민족에게 동화된 고유 정서임에 틀림없다. 민중의 고단한 삶 속에 질게 배어 있는 한, 또 우리 민족의 내면에 체취처럼 배어있는 한을 시의 기본 정서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소월의 민중주의와 민족주의 성향을 확연히 엿볼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소월의 시는 민중주의와 민족주의에 시학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소월 시의 특성은 시어와 율격 면에서도 나타난다. 소월의 시어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하는 평범한 언어들로 이루어져 있다. 관념적이고 사변적인 언어를 선택해야만 좋은 시가 될 수 있다는 고정관념을 벗어난다. 소월은 평범한 일상어를 시의 영역으로 자연스럽게 끌어들이는 데 성공하고 있다. 쉽고 평범한 일상어를 시어로 선택함으로써 소월의 시는 한층 더 민중에게 가까이 다가서게 된다. 소월의 시는 문학이 특정 계층의 전유물이 아니라 모든 대중에게 향유되어 그들에게 위안이 되어야 한다는 문학의 기본 사명을 다하고 있다. 시어의 평이성은 보편적인 율격을 만남으로 해서 그 빛을 더한다. 소월 시의 율격은 자유 율과 정형률로 대별되지만 소월 시의 특성을 살려낸 것은 정형률 쪽이다. 7·5조 3음보, 이것이 소월 시 율격의 근간을 이루는 기본 틀이다. 소월은 정형률을 시의 근간으로 하였으나 결코 정형률의 조정성에 얽매인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다양성과 가변성을 추구했다는 점에서 소월의 율격의식은 자유율쪽에 가까운 것이었다. 그런데 7·5조 3음보, 특히 3음보의 율격은 우리의 고전시가, 중에서도 민요의 기본 율격이 되는 리듬이다. 고유한 가락, 전통적 율격을 현대적으로 재생해 낸 것이다. 소월은 우리 민족의 형식 체험의 원형인 민요가락에 근대시를 접목시킴으로써 시가전통의 발전적 계승을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 쉽게 파급되는 대중주의를 확립할 수 있었던 것이다. 또한 소월은 향토적 소재를 집중적으로 차용함으로써 지방주의의 확립이라는 한국 근대시의 새로운 지평을 연 시인이기도 하였다. 지명(地名)의 시화(詩畵)뿐 아니라 지방에 소제한 전설이나 설화를 소재로 하고 지역 방언을 아름다운 시어로 빚어냄으로써 한국 근대시의 지방주의 확립을 분명히 하고 있다. 가장 고유한 것이 현대적인 것이고, 가장 특수한 것이 보편적인 것이라는 역설의 진리를 소월은 지방주의를 통해 보여주고 있다. 영변의 진달래와 천안의 수양버들이 영변과 천안에만 피고 지는 것이 아니라 우리 산하를 물들이며 우리 모두에게 정서적 파문을 주는 공감의 매개물임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소월의 지방주의는 보편주의 가치관의 산물로 볼 수 있고 궁극적으로 대중의 정서, 민족의 정서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적 전략이었음이 확인된다. 한편 소월 시에 나타나는 또 하나의 세계관으로써 여성주의를 들 수 있다. 소월 시의 기본정서인 이별의 정한이나 기다림, 그리움의 감정은 남성 쪽의 그것보다는 여성 편향적인 속성을 갖는다. 모든 것을 체념하며 받아들이는 수동적 운명이나 자기 부정적이고 희생적인 태도는 한국 여성의 특유의 인생관이고 감정구조인 것이다. 소월 시에 나타난 사랑의 감정이 소극성과 내향성을 띠며, 실연에서 오는 슬픔이 통곡이 아니라 잔잔한 흐느낌으로 표출되고 있는 것도 소월 시가 이러한 페니미즘적 세계관에 그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그의 시에 특정적으로 나타나는 님 지향성도 여성편향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이다. 이상 소월 시의 특질은 민중주의와 민족주의, 지방주의, 여성주의 등이다. 그러면서도 소월 시의 본령을 이루는 것은 서정주의 일 것이다. 대사에 시인의 감정을 이입하거나 또는 대상을 시인의 주관 속으로 끌어 들여 대상을 자아화, 주관화, 감성화, 시키는 것이 소월 시의 특색이다. 시가 감정의 산물이고 정서의 매체임은 시의 본질에 속하는 것이고 소월은 이 시의 본질에 충실코자 하였던 것이다. 이리하여 소월은 서정주의를 바탕으로 하여 민중주의와 민족주의를 지향함으로써 우리 근대시의 골격을 튼튼히 다져 갈 수 있었던 것이다. So-Wol, whose real name id Kim Jung-Sik, is one of the major modern poets in Korea. Since Gaehwa period, when Korea was forcefully opened and enlightened by the foreign powers, there have been many poets who has come and gone, but there is no one like Kim So-Wol who was popular and loved by many people. So-Wol's poems have much magnetic power to the public. Then, what makes his poems so popular and enjoyed by the people of all ages, both men and women? That is probably because his poems are all about the feelings of our people and our national sentiments, and also because his poems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our people. As you can see in one of his poems of [Azaleas], the frequently appearing subject matters in his poems are nature such as flowers, birds, streams, the moon, and beautiful mountains. And also the principal sentiments in his poems are love, paring, loneliness, sorrow and so on. What is important is that these subject matters and sentiments in his poems are common and casual things that even humble people can access easily and get feeling. In short, So-Wol's poems are based on subject matters and sentiment of our people. Especially, 'Han'(which is hard to translate in English because it is sorts of unique Korean emotions of a grief, resentment, a lamentation but not bitterness) that So-Wol mostly try to express, is the sentiment showing our people's characteristic. Basically, Han is said to be th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 of our nation and is sure to be unique and assimilated sentiment of our people. Now that Han is the chief sentiment in his poems that is deeply rooted in hard lives of people and is soaked inside our people, we can clearly see the characteristics of his poems contain popular-interest an national sentiments. In other words, his poetry is based on the theory of popularity and nationalism. These So-Wol's characteristics can be seen in his choice of poetic diction and versification. His poetic diction consists of daily used words that we can easily hear everyday. This breaks the fixed tradition that poets should use metaphysical or abstract words in poems. In this point, So-Wol succeeded in using the daily words naturally. Since he wrote his poems with easy and common words, his poem was able to approach to the public more closely. So-Wol's poetry is playing the important role of literature that art is not the possession of a certain class but should be shared and enjoyed by all of the people, eventually to be consolation to their souls. The easiness of poetic diction is more shined by formal verse. His poems are either free verse or formal, but his verse was more successful in formal '7·5-jo'(whose poems consists of seven words in the first line then five in the second, comes from chinese poetry), '3 foot' is the chief frame of his poems. He breaks the tradition and creates new, unconventional and modified rhyme. His poems still adhered to the basic rule but wasn't restricted to it. However his rhyme is rather close to free verse since he preferred variety and variableness of poetry. '7·5-jo' and '3 foot', especially '3 foot' is the essential rhythm in our traditional poetry, namely, folk song, So-Wol reproduced our own peculiar tone and traditional rules of versification in modern style. Not only did he advancingly succeed in tradition of our poetry by mixing both folk song tone, which is the archetype of our people's poetry, with modern poems, but also he led the generalization of literature to the public. Furthermore, So-Wol wrote about regional subject matters into poems abundantly, so that he could open the new era of Korean modern poetry of regionalism. So-Wol established regionalism of Korean modern poetry in the means of changing names of local places into poetic words, using legends and folk tales of provinces for subject matters of his poems, and writing poems in the regional dialects. So-Wol suggested paradoxial truth through regionalism that traditional things are the most modern and the unique one is the most common. Azaleas bloomed in Young-Byun and weeping willows in Chun-An are not bloomed and faded only in Young-Byun or Chun-An, but colorfully paint our whole rivers and mountains all over the country. They are the sympathetic medium which move emotions of all the people. Therefore, So-Wol's regionalism is the products of universalism and that was his strategic way to access to our people's sentiments. Finally, feminism was another view of life in So-Wol's poetry. Chief sentiment sung in his poems are usually love and regret after parting, waiting and yearning and they belong to women's tendency rather than men's. Passively resigning oneself to her fate or self-denial and sacrificing attitude are Korean women's unique view of world. The love in So-Wol's poems are tend to be more passive and introspective. Quietly sobbing rather than loud weeping from a broken heart shows So-Wol's feministic style of verse. The lover-centeredness in his poems is also closely related to feminism. So far, So-Wol's characteristic was popularity, nationalism, regionalism and feminism. The essential feature of So-Wol, however, is romanticism. His distinctive feature is to empathize with the objective or to bring the objective into poet's subjectivity in order to give self-consciousness, subjectivity and sensibility. Poetry is the products of sentiments and is also channel to sentiments, which is the principle of poetry. So-Wol tried to serve this principle faithfully. So-Wol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modern poetry through popularity nationalism as well as romanticism.

      • 장말도당굿 장단연구

        유경화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말도당굿의 기본장단을 살핀 뒤에 장단 간의 시종(始終) 및 연결방법, 그리고 장단의 변화양상에 집중하여 그 운용원리를 드러내는 것이었다. 이에 [한국의 굿 No.2 경기도당굿] CD음원을 대상으로 하여 장단을 채보하고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 번째, 장말도당굿에 쓰인 장단은 모두 23종이며, 이 중 겹마치기, 도살푸리모리, 발뻐드래, 청배, 도살푸리, 부정, 올림채, 올림채모리, 가래조 등 9개 장단은 경기도당굿에서만 사용된다. 그리고 대풍류, 취타, 산조 등 타 장르에서도 사용되는 장단은 총 14개로, 굿장단이 타 장르의 장단들과 상호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해왔음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장단의 시종 및 연결방법 중 장단을 시작하는 세 가지 유형은 다음과 같다. ① 무가 뒤에 장단이 나오는 경우로, 첫 장단의 각에서 나오거나 두 번째 장단부터 시작한다. ② 장단 뒤에 무가가 나오는 경우로, 반 장단, 한 장단, 두 장단을 듣고 나온다. ③ 장단과 무가가 동시에 나오는 경우로, 장구가 신호를 주고 시작하거나 신호 없이 동시에 시작하기도 한다. 그리고 장단을 맺는 세 가지 유형은 ① 털어 맺는 방법, ② 박을 늘려 맺는 방법, ③ 잡아 맺는 방법이 있다. 장단을 연결하는 세 가지 유형은 ① 연결 시 맺는 장단의 리듬구조를 변화해서 장단을 맺고 넘기거나, ② 끌채로 넘길 때는 이어지는 장단의 속도, 리듬구조 등을 맺는 장단에서 미리 제시해주어 보다 자연스럽게 넘겼고, ③ 속도를 몰아 넘길 때는 장단기법, 리듬구조 등의 변화 없이 점진적으로 속도를 몰아 넘긴다. 세 번째, 장말도당굿의 장단변화양상은 세 가지로 나타난다. ① 리듬구조를 변형하는 방법으로, 4/♩.장단과 6/♩장단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2·2·2·3·3변형과 3·3·2·2·2변형, 그리고 4/♩.장단에서만 나타나는 2·2·2·2·2·2변형, 4/♩장단에서만 나타나는 3·3·2변형, 6/♩장단에서만 나타나는 3·3·3·3변형과 2·2·3·2·3변형 등이 있다. ② 리듬패턴을 변형하는 방법은 한 장단을 a+b로 나누어 앞부분만 변화시키는 환두변형과 뒷부분만 변화시키는 환미변형이 있다. 그리고 한 장단 안에서, 또는 두 장단 간에 짝을 이루어 강약이나 열채·궁채의 댓구를 이루는 음양변형 등이 있다. 또한 다른 장단의 리듬패턴을 혼합하여 변화하는 호환변형이 있다. ③ 장구기법을 변형하는 방법은 궁채를 중심으로 변화를 주는 궁채변형과 열채를 중심으로 변화를 주는 열채변형, 합채를 중심으로 변화를 주는 합채변형 등이 있다. 한국전통음악에서 다양하게 음악을 끌어가는 방법으로 중요하게 기능하는 것이 바로 장단이다. 장말도당굿 장단의 예술성을 드러내는 이러한 운용원리들은 굿음악 이외에도 창작음악이나 무대음악에서 확대 적용되어 전통음악 장르의 확장 및 다양한 음악어법의 변화발전에 응용될 수 있다.

      • 소나무 그림의 표현방법 연구 : 본인작품을 중심으로

        유경화 목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과 자연은 하나이다. 과거의 삶을 살았거나, 현대의 삶에 적응해 살아가는 동안 인간은 자연으로 정신적 안위하길 바란다. 예전처럼 자연 안에 적응해 살아가는 환경이 아니라 도심 속에 자연을 인위적으로 심어놓고 안위를 만들어 놓고 지내는 현대 생활에서 자연스럽지 않아도 끊임 없이 자연을 추구한다는 것은 누구나 알 수 있다. 이런 자연 안에 어김없이 존재하는 것은 나무이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은 사랑을 받고 있으며 누구나 그 상징성 하나쯤은 알고 있는 나무는 바로 이 나무일 것이다. 강인한 생명력 혹은 십장생 중 하나이므로 장수, 또는 사계절 푸른 변함없는 모습을 하고 있는 이 나무는 바로 소나무이다. 수목 중 노래로도 만들어 질만큼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나무이며, 더 구체적인 소나무의 상징성은 음양수, 상록성, 대들보, 장수  군자  지조의 상징, 금기 줄의 솔가지, 도래솔, 청송사, 우주와 오방색의 하나로서 상징, 그 외에도 초목의 군자, 노군자, 군자의 절개, 송죽 같은 절개, 송백의 절개라는 말 모두 솔의 상징이다. 그리고 소나무는 한민족의 다양한 정신적 문화요소인 사상, 종교, 문학, 미술 등 다양한 요소로 자리를 잡아왔기 때문에 우리와 뗄 수 없는 인연을 맺고 있다. 동양회화에서 자연을 표현하기에 앞서 자연의 형상(形象)과 본질(本質)을 파악하여 자연의 참모습을 작품화하는 경향이 주류를 이루었는데 이는 산수화가 그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산수화를 보면 참 많이 소나무 그림이 등장하는데 이처럼 예나 지금이나 소나무는 사람들의 눈길과 마음을 사로잡는다. 우선 산수화에 나타난 소나무 그림을 시대별 유형을 분류하여 조선시대 초기, 중기, 후기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본인이 작품과 비교 분석 하여 어떤 표현방법이 주를 이루었으며 어떤 의미로 그려져 왔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소나무라는 소재가 예나 지금이나 꾸준히 많은 작품 속에 등장되는 특성을 분석하여 작가의 감성과 제작의도에 따라 본인 작품에서 어떤 다양한 재료실험으로 새롭게 변화할 수 있는지 연구해 보았다. 특히나 형태의 단순화, 점과 선 그리고 다양한 색을 활용함으로서 본인의 독특한 화면경영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현대 회화에서의 소나무 표현방법은 달라지고 있지만 소나무가 갖는 특성에 대한 인식은 변함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