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improvement of transparent conductive film properties based on SWNT by the separation and metal doping route

        심대섭 포항공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투명전극은 터치 스크린 또는 태양전지와 같은 분야에 투명성을 가진 전극으로 많이 쓰인다. 투명전극으로 대표되는 ITO (Indium tin oxide)는 산화세라믹이며 현재 거의 모든 투명 전극 이용 분야에서 쓰이고 있다.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ITO를 대체하려는 연구가 현재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 이유는 인듐 가격의 급격한 상승과 flexible 기기 또는 화면의 중대성이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은 오래전부터 높은 전기전도성과 flexiblity를 가진 물질로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다.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전기적 특성은 형성과정의 chirality로 정해진다. 합성 시에 금속성과 반도체성을 지닌 단일벽 탄소나노튜브가 함께 생성되며, 일반적으로 합성방법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그 비율을 각각 1:2 정도가 된다. 따라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디바이스의 특성은 network 상에서 Schottky contact이 금속성과 반도체성 나노튜브 때문에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단일벽 탄소 나노튜브로 이루어진 투명전극에서 이러한 Schottky contact을 ohmic contact으로 바꾸어 전도도를 노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를 위해 2가지 key idea를 제안하게 되었다. 첫번째는 탄소나노튜브를 금속성 또는 반도체성 나노튜브로 분리하는 것이다. 분리 방법은 아민계 화합물을 사용하여 용매의 상분리 효과를 이용하여 일차 분산 용액에서 탄소나노튜브와 아민계 화합물의 선택적인 반응으로 인하여 탄소나노튜브의 표면 개질을 유도하여 2차 용매 쪽으로 움직이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분리되어 한쪽의 성분이 많은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하게 되면 SWNT network상에서 Ohmic contact을 유도할 수 있다. 분리 공정에서 사용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는 –COOH 그룹으로 개질된 것과 열처리만 통한 나노튜브가 사용되었다. 일반적으로 아민 그룹은 금속성 나노튜브와 선택적 결합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COOH 그룹이 존재하는 경우 반도체성 나노튜브와 선택적 반응을 유도하는 것도 보고 되었다. 그 이유는 탄소나노튜브의 산처리 과정에서 반도체성 나노튜브에 p-doping이 이루어지며 그에 따르는 상대 이온과 물이 나노튜브 주변에 존재하게 되어 아민 그룹이 암모늄 이온으로 변환되고, 암모늄 이온이 counter ion 쪽으로 접근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도핑 농도가 높은 반도체성 나노튜브 쪽으로 separating agent가 많이 결합되게 된다. 이에 따라 –COOH로 개질되어 물에 분산되었던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는 separating agent로 인해 알킬기가 외부로 돌출되어 소수성을 띄게 되어 물에 섞이지 않는 유기 용매 쪽으로 이동되게 된다. 실험에 사용된 P3 SWNT는 –COOH 그룹으로 개질되어 물에 잘 분산이 되며, separating agent로 선택된 알킬 아민은 물에 섞이지 않는 유기 용매에 섞어 두 용액을 한데 섞어 2시간 동안 교반시켜준다. 분리 공정이 끝난 후 보여지는 결과는 유기 용매 쪽으로 이동된 탄소나노튜브를 확인하였고, 분석결과 90 % 이상의 비율을 갖는 반도체성 나노튜브가 분리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열처리로 purification 공정을 거친 SA210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도 마찬가지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SA210 나노튜브는 산처리를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표면이 소수성을 띄어 일차 분산용액을 DCE로 정하고 분산처리를 하였다. DCE는 물보다 밀도가 높아 물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Separating agent는 물에 용해가 될 수 있는 TRIS를 사용하였고 DCE에 나노튜브가 분산되어진 용액에 TRIS 용액을 섞어 2시간 동안 교반시켜주었다. 교반 후 물 쪽으로 이동되어진 나노튜브를 관찰할 수 있었고 UV-Vis-nIR absorbance spectroscope을 이용하여 성분 분석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는 분리되어진 나노튜브는 반도체성이 96 % 이상으로 계산되었다. 이와 동시에 밑 부분에 남겨진 탄소나노튜브 분석 결과 원 샘플에 비교하여 약 11% 가 증가된 35 %의 금속성 나노튜브를 확인할 수 있었다. 투명전극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두번째 방법은 분리되지 않은 탄소나노튜브로 투명전극을 만들고 그 후에 금속 나노파티클을 환원시켜 Schottky contact을 Ohmic contact으로 만들어 주는 것이다. 적용하게될 금속은 반도체성 탄소나노튜브의 일함수 보다 높은 금속을 선택하였다. 금, 팔라듐, 이리듐, 니켈, 코발트가 환원 준위를 기준으로 선택되었고, 금속 도핑을 통한 결과는 투명전극의 전도도가 크게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이에 따르는 투명도는 크게 변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금속의 도핑 효과는 UV-Vis-nIR로 관찰할 수 있는데 금, 이리듐, 니켈의 순으로 강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금속들은 반도체성 나노튜브의 S11 구간에서 전자 준위를 낮추게 하여 도핑 효과를 나타낼 수 있었다. 또한 AFM, MFM, current-AFM을 이용하여 투명전극의 전기적인 특성을 확인하였고, HR-TEM을 이용하여 금속이 환원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미세 구조를 확인하였다. Transparent conductive films (TCF) were widely used for electronic devices such as flexible and/or touch screens, photovoltaics, and etc. InduimTinOxide (ITO) as a representative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based TCF has been currently used in a wide area due to having high transparency and conductivity. Despite of advantages, alternatives have been investigated due to the low-cost, and flexibility. Among them,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SWNT) has been concerned with strong alternative due to high conductivity, flexibility and physicochemical stability. Electronic structure of SWNTs belongs to the structure of unit cell. Metallic (m-) and semiconducting (s-) SWNT mixture was naturally synthesized together except for special condition like CoMoCat method. Consequently networks based on SWNT have Schottky barrier due to (m-) and (s-) contact increasing resistance of networks. In order to increase conductivity of TCF based on SWNT, Leading to Ohmic contact is a key on the SWNT network from Schottky contact between (m-) and (s-) SWNT. In this work, a key idea is reducing Schottky barrier on the networks of SWNT. To realize reducing Schottky barrier or leading to Ohmic contact on the network, 2 strategies have been considered. First was separation of SWNT via a phase separation of solvent route. When one component (metallic or semiconducting) was used to fabrication of SWNT network, Schottky barrier can be reduced. Metallic-metallic or semiconducting-semiconducting SWNT contact was not occurred Schottky contact. For the separation process, a key material is amines. Amines have been reported suitable agent for the metallic and semiconducting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due to a selective reaction with a component of SWNT. According to the condition existing water around the SWNTs and –COOH functional group on the SWNTs, different separation results were reported. Usually amine group are attracted to metallic SWNT due to lone pair electrons. However, in case of water molecules and counter ion for charge neutrality of SWNTs, amine group changes to ammonium ion which is reacted with counter ion around SWNTs. Semiconducting SWNTs were doped during acid treatment or thermal treatment to purification such as removal of impurities and catalyst. The semiconducting SWNT charge loss or doping state (p-doping) are more higher than metallic SWNT. Counter ions could be attached around semiconducting SWNTs due to charge valence. During the separation process, ammonium ions which are changed from amines were closed to counter ion due to negative charge. Consequently, separating agents were more attached to semiconducting SWNT than metallic SWNT, and semiconducting SWNTs could be moved to another solvent. In case of –COOH group functionalized SWNT (P3) separation, first dispersion solvent was DI water. Alkylamines were used as a separating agent, and modified surface to hydrophobic from hydrophilic. Amine-modified semiconducting SWNTs were moved to organic solvent which is not miscible with water. Separating result of semiconducting SWNT was shown over 90 %. And thermal purified SWNT (SA210) separation was processed in the DCE solvent. DCE solvent was used as SWNT dispersion solvent. And it is not miscible with water. TRIS was used as a separating agent. TRIS is consisted with 3 hydroxyl groups and 1 amine group which can be miscible with water. SWNTs were dispersed in the DCE solution firstly, and then TRIS in water solution was mixed by vigorous stirring for 2 hrs. The observation indicated that SWNTs were moved to water solution due to the TRIS. Separated SWNTs were harvested carefully and characterized by UV-Vis-nIR absorbance spectroscope. The result was evaluated and shown that semiconducting component ratio of separated SWNT in the water solution was over 96 %. In addition, the metallic component ratio of residual SWNT in DCE solution was over 35 %. Compared to raw sample, 11 % of metallic component was increased after separation. Second strategy is introducing metal interconnector having higher work function than SWNT’s. Naturally (s-) SWNT indicate p-type property in the air due to a oxidation during purification using thermal or acid. Considering the metal and semiconductor contact, introducing metals having higher workfunction than SWNT’s at the junction of SWNT networks is able to lead to Ohmic contact between metallic and semiconducting SWNT network. After the TCF fabrication by auto spray coating machine, metal solution was deposited on the TCF. Metal ions were directly reduced on the SWNT network. Au, Pd, Ir, Ni, and Co was employed for the p-doping of SWNT and interconnector between metallic and semiconducting SWNT networks. The results of metal doping were shown that the sheet resistance was dramatically decreased. However, transparency of TCF was not changed significantly. A doping effect of metals on the SWNT was observed by UV-Vis-nIR spectroscopy. Metals were strongly influenced on the S11 region of SWNT in order Au, Ir, and Ni. And AFM, MFM, and current-AFM characterization was also used. Reduced metal nanoparticles on the SWNT were observed by HR-TEM.

      • KTX 윤축베어링 그리스의 주행거리와 회전접촉 피로수명과의 상관관계 연구

        심대섭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요 약 제 목 : KTX 윤축베어링 그리스의 주행거리와 회전접촉 피로 수명과의 상관관계 연구 본 연구에서는 KTX 고속열차의 윤축베어링의 수명에 대하여 RCF(Rolling Contact Fatigue)시험기를 사용하여 주행거리별로 채취한 그리스(grease)로 시험편에 결함이 발생하는 시점(G센서값이 설정값을 벗어나는 시점)을 파악하는 실험을 수행하여 운행거리 별 그리스 특성 변화 경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베어링 수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철분함량을 측정한 결과 신품 그리스의 경우 철분함유량이 없었으며 베어링의 운행초기에 급격히 철분함유량이 증가 하며, 그 이후로는 비슷한 수준으로 서서히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RCF(Rolling Contact Fatigue)시험기를 이용한 가속수명실험(accelerated life test)에서는 시험편의 피로파괴가 거리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주행거리에 따라 정비주기를 산정함이 타당한 것으로 보이며, 120만km이상 주행 후 부터는 시험편 파괴시점의 기울기가 완만한 것으로 보아 정비주기(overhaul)가 도래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현재 KTX 고속열차의 윤축베어링의 부품분해정비 주기는 운행거리 기준 140만km로 산정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유지보수 주기는 SNCF의 유지보수 체계를 적용한 것으로 철도운행환경이 다른 KTX의 경우 적정교체주기에 대한 신뢰성 검증이 필요하다. 운행 중인 고속철도 윤축베어링에서 파괴시험을 직접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여 운행거리별로 채취한 그리스를 사용하여 RCF(Rolling Contact Fatigue)시험기에서 베어링 표면에 발생하는 결함발생 시점을 알 수 있어서 고속철도 윤축베어링의 유지보수 관리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 農漁村 特技.適性敎育 運營에 관한 初等敎員의 反應 分析 : ― 全羅南道 地域 初等學校를 中心으로 ―

        沈大燮 동신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잠재적인 적성, 소질, 능력 등 내재적인 발달 가능성을 조기에 발굴, 지도하여 개별화 내지는 특성화 교육을 통해 미래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학교기능의 신장과 학교교육을 신뢰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21세기 교육의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996년 이후 방과후 교육활동으로 시작된 특기·적성교육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여 개선 대책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2001년 교육부의 특기·적성 운영 지침을 토대로 특기·적성교육의 취지 및 목적의 실현 측면과 운영 측면과 강사운영 측면, 홍보 측면, 평가 측면의 5개 영역, 29개 내용의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각 학교에 1부씩 배부하여 회수한 설문지를 통해 학교의 규모와 학교 소재지역에 따라 특기·적성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기·적성교육의 취지 및 목적의 실현 정도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① 특기·적성교육이 취지·목적에 맞게 운영되어 사교육비 경감에 기여하고 있었으며, 지역사회의 시설과 환경의 활용 정도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이 27.9%로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활용하고 있었으나 지역사회 인적자원을 잘 활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집단간의 차이는 규모가 큰 학교와 농촌지역에 소재한 학교에서 지역사회의 인적자원을 더 잘 활용하고 있었다. ②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희망자에 한하여 특기·적성교육을 실시하는 학교가 많았으나 청소년 축제문화와 연계된 운영은 잘 이루어지 않았다. 둘째, 특기·적성교육의 운영 측면을 분석한 결과는 ① 전체적으로 대부분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수준별 운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진아를 위한 보충·심화학습이 잘 실시되지 않았으며, 규모가 작은 학교와 도서지역에서 보충·심화학습이 잘 실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학교에서 특기·적성교육을 위한 예산집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기·적성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기능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③ 학교의 특기·적성교육이 사설기관보다 교육적으로 더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부정적 응답 10.3%), 학생, 학부모의 요구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긍정적 반응 57.2%) 셋째, 특기·적성교육의 강사운영 측면을 분석한 결과는 ① 특기·적성 교육의 강좌별 강사 수요공급은 충분하지는 않지만 큰 어려움 없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강사의 구성은 51.3%가 교사중심(내부강사) 위주로 구성되어 있었다. 학교 규모별로는 규모가 작은 학교(58.2%)가 큰 규모의 학교(30.8%)보다 교사중심(내부강사) 위주의 강사로 구성되어 있고, 소재지별 간에는 도서지역의 학교(90.0%)가 농촌지역(41.9%)보다 교사중심(내부강사) 위주의 강사로 구성되어 있었다. ② 특기·적성교육 강사의 51.3%가 자격을 보유하고 있으며, 규모가 큰 학교(61.5%)가 작은 규모의 학교(47.8%)보다, 농촌지역의 학교(61.3%)가 도서지역의 학교(10.0%)보다 자격과 능력을 보유한 강사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사들의 강의 수당에 대해서는 만족하지 못하고 있었다. 넷째, 특기·적성교육의 홍보 측면을 분석한 결과는 ① 특기·적성교육이 학생의 특기신장 및 사교육비 부담 경감을 위한 것이라는 홍보가 전체적으로 잘 이루어지고 있었으며(54.5%), 충분하지는 않지만 특기·적성교육이 학교교육의 극대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인식(긍정적인 반응 38.3%, 부정적인 반응 8.4%)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특기·적성교육이 공교육에 대한 신뢰성을 회복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기·적성교육 활동 공개는 전체적으로 부정적인 응답(33.1%)과 긍정적인 응답(32.5%)이 비슷하였으나 규모가 큰 학교와 농촌지역 학교에서 규모가 작은 학교와 도서지역 학교보다 공개하는 학교가 많았다. 특기·적성 교육의 사례발표는(부정적 응답 39.7%, 긍정적 응답 26.4%로 나타나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③ 특기·적성교육 결과물을 대부분의 학교에서 전시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긍정적인 응답 44.2%, 부정적인 응답 19.5%, 보통인 응답 36.4%), 학교 규모별 집단간에는 비슷하나 농촌지역이 도서지역보다 결과물을 전시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④ 학부모의 의견 수렴을 통하여 특기·적성교육의 프로그램 개선에 노력하고 있었으며, 농촌지역의 학교(43.5%)가 도서지역의 학교(33.3%)보다 더 많은 의견수렴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특기·적성교육의 평가 측면을 분석한 결과는 ① 특기·적성교육 활성화를 위한 상급기관의 지도 및 우수사례 소개, 학생과 학부모의 평가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특기·적성교육에 대한 학교 자체별 평가는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대부분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강좌별, 강사별 평가의 차기 특기·적성교육 반영에 대한 질문에 부정적인 응답이 20.1%, 긍정적인 응답이 31.8%, ‘보통이다’가 47.2%로 대부분 긍정적으로 응답하여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강좌, 강사별 평가를 차기 특기·적성교육에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EPDM-실리콘 블렌드의 제조와 전기절연 특성에 관한 연구

        심대섭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실리콘 고무는 실록산의 메틸기가 표면으로 배향하는 특성으로 표면에너지가 낮아 우수한 발수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EPDM에 실리콘을 블렌딩하여 옥외용 고전압 절연재료에 효과적으로 응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EPDM과 실리콘을 블렌딩 하기 위해 EPDM에 maleic anhydride(MA)를 용액중합으로 그라프트시켜 maleated EPDM을 합성한 후, 양 말단에 아민기가 도입된 α,ω-aminopropylpolydimethylsiloxane(PDMS)를 반응시켜 maleated EPDM-polydimethylsiloxane copolyimide 상용화제를 제조하고, 이 상용화제를 이용하여 EPDM과 실리콘을 블렌딩하고 열분석 및 동적 기계적특성을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제조한 블렌드 화합물에 각종 배합제로 배합하여 가교한 후 각종 특성변화를 고찰하였다. Maleated EPDM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benzoyl peroxide (BPO)와 MA의 첨가량, 반응시간과 온도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반응 최적조건에서 2.4wt%의 MA가 그라프트된 maleated EPDM을 얻었다. 여기에 α,ω-aminopropyl PDMS로 변성시켜 maleated EPDM-g-PDMS 공중합체를 제조하고 이를 240℃에서 이미드화시켜 maleated EPDM-g-PDMS copolyimide 상용화제를 제조하였다. EPDM에 중량비로 상용화제 10 및 15%와 실리콘을 10, 30, 50, 70, 및 90%를 첨가하여 EPDM/실리콘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모폴로지 측정결과, 실리콘의 첨가량이 10 및 30% 경우 분산상의 입자 크기가 미세하고 형태가 일정한 구형의 실리콘 분산상이 형성되었고, 50%이상의 블렌드계는 분산상의 입자가 커졌으며 상전이가 관찰되었다. 또한 실리콘 첨가량이 10 및 30%인 블렌드계의 DSC 및 DMA측정 결과, T_g와 T_m이 변화하였으며, 손실상수인 tanδ의 피크가 두 고무상간의 중간영역에서 측정되어 블렌드의 상용성 거동이 확인되었다. EPDM과 실리콘의 비가 9/1 및 7/3인 미가교 시료에 보강성 충진제인 ATH를 각각 100, 150, 및 200phr을 첨가한 시료를 배합 처방하고 165℃에서 8분 동안 가교시켜 EPDM/실리콘 블렌드 절연고무를 제조하여, ATH 및 실리콘의 함량이 가교고무의 가황교성, 기계적 물성, 절연특성, 내트랙킹성 및 발수성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이들 고무의 가교특성은 165℃에서 적정 스코치시간과 가교시간을 갖는 가교곡선을 나타내었다. 이는 EPDM과 실리콘 고무간의 가교구조를 형성한 결과이며, 또한 ATH의 함량에 따라 기계적 물성이 증가하는 결과와 일치하였다. 내트랙킹 시험결과 EPDM/실리콘의 블렌드비가 9/1의 시료에서 ATH첨가량이 100 및 150phr일 때, 트랙킹 및 침식이 발생하였으며, 7/3인 시료는 트랙 및 침식의 진행이 없었다. 이 결과로부터, 실리콘의 함량이 증가한 시료가 표면 발수성을 증가시켜 내트랙킹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EPDM/silicone blend is prepared from EPDM, silicone rubber and compatibilizer, insulation material because silicone rubber was excellent water repellency due to methyl group of silioxane with low surface energy. EPDM-polydimethylsiloxane copolyimide compatibilizer in ther preparation EPDM/silicone blend was prepared by reacting maleated EPDM, which prepared from solution polymerization of EPDM with maleic anhydride, and α,ω-aminopropyl polydimethylsiloxane. EPDM and silicone was blended with compatibilizer. in the internal mixer to produce EPDM/silicone blend which silicone was uniformly dispersed in the EPDM continuous phase. Insulation material was prepared by conpounding the blend with various fillers and the electrical properties were measured. In the preparation of maleated EPDM, EPDM grafted 2.4wt% of MA was obtained at the optimum condition of reacting time and temperature, and added amounts of MA and BPO. Maleated EPDM-polydimethylsiloxane copolyimide compatibilizer was prepared by imidization of maleated EPDM with α,ω-aminopropyl polydimethylsiloxane at 240℃. Blending containing more 50% silicone showed increased silicone domain size and phase transition. From the DSC result of measurement and DMA, thermal transition temperature(T_g,T_m) of blends were slightly shifted and the tanδ peaks of blends were observed between EPDM and silicone bled was confirmed. The blend containing 10% and 30% silicone was compounded with various contents of ATH, 100, 150 and 200phr, and cured at 165℃ for 8 min. Curing and insulating characteristics, mechanical properties, tracking resistance and water repellency according to the amount of ATH and silicone were measured from the curing characteristics, curing curve of compound showed optimum scorch and curing time at 165℃. There results were agreed with the increase of mechanical properties as the amount of ATH increased. From the tracking test, the compounds containing 10% silicone occurred tracking and erosion at 100 and 150phr ATH, and no tracking at 200phr ATH. There were no tracking and erosion in the compound containg 30% silicone at 100, 150 and 200phr. Tracking resistance of compound was due to water repellency as the amount of silicone increased. From the results, advanced tracking resistance of compound was confirmed

      • 대학생 단기선교 교육의 이해와 고찰 : 한세대학교 신학부 선교실습을 중심으로

        심대섭 한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요약 대학생 단기선교 실습교육의 이해와 고찰 - 한세대학교 신학부 선교실습을 중심으로 - 지금까지 청년 대학생 단기선교는 그 가치에 대한 많은 논의가 진행되어져 왔다. 논의들은 대체적으로 청년 대학생들의 단기선교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동의하고 있다. 그러나 구체적인 전략적 방안에 대한 논의는 너무나도 미미하다. 막대한 인원과 예산을 투자하고 있으면서도 보다 효율적이고 능동적인 방안을 찾는 데에는 게으르다. 성공적인 단기선교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첫째, 확실한 목적의식이 있어야 하며 둘째, 선교에 대한 신학적, 신앙적 고찰을 통한 자기점검이 있어야 하고, 셋째, 선교지의 요구에 따른 철저한 준비와 잘 짜여진 교육 훈련이 실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단기선교에 임하는 청년 대학생들에게 있어서의 준비된 단기선교 훈련과 교육의 필요성을 일깨워 주고, 청년 대학생들이 단기선교를 준비함에 있어서 실천적 “단기선교 준비 교육안”을 적용할 수 있도록 제시함으로써 그들에게 올바른 세계관과 신앙관, 공동체 의식을 심어주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먼저, 단기선교의 정의를 이해하고 성경적, 역사적, 신학적 근거들을 살펴보았다. 그 후 대학생 단기선교교육의 개념과 정의, 역사들을 고찰해보고, 대학생 단기선교가 지닌 장점과 문제점을 통해 준비과정에 있어서 필요한 신앙훈련과 교육들에 대하여 열거하였다. 단기선교는 장기선교의 모태이자 세계 선교를 위한 원동력이다. 또한 그리스도인들의 세계관을 바꾸는 확실한 방편이 되어 진다. 따라서 대학생 단기선교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투자로 “21세기 선교한국”에 걸맞은 새로운 선교역사들을 준비하고 창조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