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세계 전래동요를 활용한 다문화 동작활동이 유아의 자아효능감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신윤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세계 전래동요를 활용한 다문화 동작활동이 유아들의 자아효능감과 창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세계 전래동요를 활용한 다문화 동작활동은 유아의 자아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 ⅰ - 연구문제 2. 세계 전래동요를 활용한 다문화 동작활동은 유아의 창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25명을 실험집단, 만 5세 유아 25명을 비교집단으로 하여 총 50명의 유아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예비검사, 사전검사를 비롯하여 총 16회의 실험처치 과정 그리고 사후검사를 진행하였다. 연구에 선정된 두 집단(실험집단, 비교집단)은 일과운영이 비슷한 유치원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동일한 유아 자아효능감 검사도구와 유아 종합창의성 검사도구가 사용되었다. 유아 자아효능감 검사도구는 전인옥(1996, 1999)의 유아 자아효능감 검사를 수정·보완한 김동은(2013)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 자아효능감 검사는 인지적 영역 신체적 영역 및 사회·정서적 영역 3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문항은 유아의 자아효능감의 강도에 따른 5단계로 응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창의성 검사도구는 전경원의 ‘유아용 종합 창의성 검사(K- CCTYC)를 사용하였다. 이 검사는 만 4-6세 유아를 대상으로 영역별 창의성(언어, 도형, 신체영역)과 척도별 창의성(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을 측정하기 위해 빨간색 연상하기, 도형 완성하기, 동물 상상하기와 색다른 나무치기의 4가지 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 평균, 표준편차, 공변량분석(ANCOVA)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 전래둉요를 활용한 다문화 동작활동이 유아의 자아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다문화 동작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일상적인 교육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의 유아를 대상으로 자아효능감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자아효능감 검사에서 실험집단 유아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며 세계전래동요를 활용한 다문화 동작활동이 유아들의 자아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나타냈다. - ⅱ - 실험집단은 자아효능감의 하위영역(인지적, 신체적, 사회․정서적 영역) 변화에서도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점수의 향상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다. 둘째, 세계 전래동요를 활용한 다문화 동작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일상적인 교육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의 유아를 대상으로 창의성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창의성 검사에서 실험집단 유아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며 다문화 동작활동이 유아들의 창의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나타냈다. 창의성의 영역별(언어, 도형, 신체 창의성)과 척도별(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변화에서도 세계 전래동요를 활용한 다문화 동작활동 실시 이후의 실험집단은 비교집단과 비교하여 사후검사에서 사전검사에 비해 점수의 향상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다. 이에 본 연구는 세계 전래동요를 활용한 다문화 동작활동에서 유아들이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자신의 활동을 주도하는 경험을 통해 ‘어떤 상황에서 적절한 행동을 할 수 있다는 기대와 신념 그리고 자신의 활동에 대한 성취감’인 자아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결과와 ‘직면한 상황에서의 새롭고 남다른 해결방법을 생각해내는 성질’인 창의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는 세계 전래동요를 활용한 다문화 동작활동이 가지는 심미적 의미와 개인적 의미를 찾아가고 경쟁이 아닌 협동을 강조하는 교육적 경험이 더욱 다양해 질 수 있다. 앞으로 유아교육 현장에서 세계 전래동요를 활용한 다문화 동작활동을 다양하게 계발하고 교육활동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유아의 자아효능감과 창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안한다. - ⅲ - 주요어 : 다문화 동작활동, 자아효능감, 창의성

      • 농산물의 전략 유통구조에 관한 연구

        신윤숙 배재대학교 국제통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통시장의 완전개방과 저가 농산물의 수입 등으로 농산물 유통환경은 급변하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변화에 따라 소비자들의 농산물 구매성향이 다양하고 까다로워지고 있다. 이에 따라 농산물 유통에 따른 문제점과 이에 대한 대책 등은 자주 제기되는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그 근본적인 해결책은 찾지 못하고 있다. 현재의 농산물 유통체계는 5~6단계나 되는 길고 복잡한 유통경로상의 문제점과 시장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농산물 도매시장 등 전근대적 농산물 유통체계로 인하여 급변하는 농산물 유통환경변화에 대한 능동적 대응은 엄두도 내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농산물의 표준규격화 미비와 복잡한 유통경로 등으로 인한 과도한 물적 유통비용 및 유통 중간상의 이익으로 농산물의 산지 가격과 소비자 가격의 격차는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왔고 이로 인한 농산물 유통비용은 결국 생산자와 소비자가 부담하고 있다. 현재 우리 농업의 현실은 생산·유통·분배·소비 모두가 여러 가지 이유로 위기를 맞고 있으며, 특히 생산과 소비를 연결하는 농산물 유통 그 동안의 정책 미비 및 인식의 부족으로 국민 경제의 측면이나 농업 부문에서도 많은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어 우리나라 농산물 유통구조에 대한 개혁이 절실히 필요하다. 농산물 유통개선의 궁극적인 목적은 농산물 유통부문을 개선하여 생산자에게는 적정가격을 보장하여 생산의 극대화를 기할 수 있게 하고, 소비자는 값싸고 신선한 농산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농산물 유통구조의 효과적인 개선방안을 위하여 농가 경영규모의 영세성 및 산지 유통시설의 미흡에 따른 산지 유통의 문제, 도매시장 시설의 노후와 및 부족한 물류시설 등으로 인한 도매시장 유통의 문제, 대형할인점의 소매시장 점유율 증가 및 농산물 유통의 높은 유통마진에 따른 소매시장 유통의 문제, 정부의 효과적인 가격정책과 유통구조 개선 정책 미흡 등에 따른 정부 유통 정책이 문제에 대해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산지 유통 기능을 확대하고, 계획적이고 전략적으로 농산물을 판매할 수 있는 규모화·전문화 된 생산자 조직을 강화하고, 산지유통시설 확충 및 운영 활성화하는 산지 유통의 혁신이 필요하다. 도매유통단계에서는 시설과 거래방식을 효율화하는 도매시장의 운영 혁신이 필요하고, 소매시장의 대형유통업체 중심의 왜곡된 가격 결정구조를 개선하는 소매시장의 유통혁신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역할이 능동적으로 전화되어야 한다. 또 다양한 유통경로가 존재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법적·재정적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하며 생산자와 소비자간 교섭력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한다. 주제어 : 공급사슬, 농산물 유통구조, 농산물 유통체계,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Due to complete opening of distribution market and import of low-price agricultural products, distribution environment of agricultural products is changing fast, and agricultural products purchasing disposition of consumer is getting diversified and particular followed by these changes of environment. For this reason, although problem caused by distribu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its maneuver is the issue that is frequently brought up, its fundamental solution has not been found yet. Current agricultural product distribution system can hardly think of active maneuver to fast changing distribution environment of agricultural product because of its old-fashioned distribution system such as 5~6 steps of long and complicated problem in distribution channel and agricultural products wholesale market that does not display the function of market. Also, gap between producer price and consumer price has been expanding with excessive physical distribution price from inadequacy of standard normalization and complex distribution channel, and profit of middle merchant, and the distribution price caused by this is paid by producer and consumer at the end. Currently, the reality of our agriculture is all production ·distribution·consumption are encountering crisis by many reasons, and especially due agricultural products distribution which connects production and consumption, lack of policy and lack of understanding, it is on the rise in perspective of national economy or agricultural area, thus reform on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distribution structure is acutely needed. Ultimate goal of improvement of agricultural product distribution is to maximize production by guaranteeing reasonable price to producer, and consumer can get supply of cheap and fresh agricultural products. Therefore, this study looked at the problem of local distribution caused by small size of peasant economy and lack of local distribution facility, the problem of wholesale market distribution caused by decrepit wholesale market facility and lack of distribution facilities, the problem of retail market distribution caused by increase of big-box retailer`s share in retail market and high retail margin of agricultural products distribution, and the problem of government distribution policy caused by lack of government`s efficient price policy and distribution structure improvement policy for efficient improvement plan of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distribution structure, and proposed improvement plan. Innovation of local distribution that expands function of local distribution, reinforces right sized·specialized producer organization which methodically and strategically sell agricultural products, and expands and revitalizes local distribution facilities is required. Operational innovation of wholesale market which improves facilities and transaction method for wholesale and distribution stage, and distribution innovation of retail market which improves big-box retailer-oriented distorted price determination structure for retail market. Lastly, role of government needs to be active. Various legal·financial support plan also need to be devised for various distribution routes can be exist, and has to try to have balance of bargaining power between producer and consumer. Key Words : Supply Chain, Agricultural distribution system, Agricultural products distribution structure, Improvement of agricultural product distribution

      • 유아의 기질, 기질에 대한 부모만족도, 유아의 인지조절력과 유아의 또래상호작용과의 관계

        신윤숙 대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기질과 기질에 대한 부모만족도, 유아의 인지조절력이 유아의 또래상호작용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유아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유아의 기질, 기질에 대한 부모만족도, 유아의 인지조절력과 또래상호작용은 차이가 있는가? 둘째, 유아의 기질, 기질에 대한 부모만족도, 유아의 인지조절력이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기간은 2012년 3월 28일 ~ 4월 13일까지이며, 유치원 1곳과 어린이집 2곳의 유아 271명과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는 유아의 기질을 측정하기 위해 Buss와 Plomin(1984)이 개발한 아동용 EAS를 수정·번안하여 박혜원(2012)이 사용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기질에 대한 부모만족도를 측정하는 도구는 유아의 기질에 관한 질문지의 각 문항에 대해 부모가 얼마나 만족하는가를 측정한 도구(서주현, 2009; 오현숙,2006; 허미경, 2009)를 기질차원의 검사 문항과 동일하게 구성한 박혜원(2012)의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유아의 인지조절력 측정 도구는 양옥승(2006)이 개발한 교사용 설문지 중 인지조절력에 대한 문항을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또래상호작용 측정 도구는 Fantuzzo와 동료들(1998)의 PIPPS(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를 참고하여 최혜영(2004)이 PIPPS의 문항 중에서 또래간 상호작용에 해당하는 내용을 선정하여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은 통계프로그램 SPSS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유아의 기질, 기질에 대한 부모만족도, 유아의 인지조절력, 또래상호작용이 유아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유아의 성별과 연령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각 변인들의 평점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onepway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유아의 기질, 기질에 대한 부모만족도, 유아의 인지조절력이 또래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라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긍정적 또래상호작용은 여아가 남아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또래상호작용은 남아가 여아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연령에 따라 유아의 인지조절력과 또래상호작용의 긍정적 또래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유아의 인지조절력은 계획하기, 점검 및 평가하기 모두 만 3세 유아보다 만 4, 5세의 유아가 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유아의 긍정적 또래상호작용은 만 3, 4세 유아보다 만 5세 유아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기질, 기질에 대한 부모만족도, 유아의 인지조절력이 또래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유아의 긍정적 또래상호작용은 유아의 기질 중 정서성과 수줍음이 낮고 사회성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유아의 사회성과 수줍음에 대한 부모만족도가 높고, 유아의 인지조절력이 높을수록 긍정적 또래상호작용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인지조절력 중 계획하기와 유아의 기질 중 사회성은 유아의 긍정적 또래상호작용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아의 부정적 또래상호작용은 유아의 기질 중 활동성이 높고 수줍음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두 요인 모두 유아의 부정적 또래상호작용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영어학습에서 자가 평가가 읽기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신윤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assessment for learners' English reading ability using reading strategies. Also this research will get us some kind of relevance between reading strategies and English reading ability through the use of self-assessment. Self-assessment is to provide the opportunity for learners to recognize the reading goals and contents constantly and to establish the directions of the reading. Through this activity, this study is to find how self-assessment affects interest in reading. For this study three hypotheses have been set up. First, the use of self-assessment after reading class is expected to make improvements on students' reading ability. Second, the use of self-assessment after reading class is expected to help the learners use more reading strategies. Third, self-assessment will be helpful to raise learners' interest in English and improve their attitude and participation in class, as well as their satisfaction of the class. For this study,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60 second-graders in a middle school in Je-cheon, Chung-buk Province. The procedure of the experiment goes through the self-assessment format I developed.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a post-accomplishment reading test, diagnosis survey and post-survey were conducted. Self-assessment material was made for the second graders in middle school and was conducted for about 20 minutes after each reading class. The total experimental period was 16 weeks, and the material was about lesson 7 through 11 of the textbook. And when there were more reading texts in a certain lesson, the self-assessment material was set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texts. Self-assessment was conducted on the sixth period of nine period lessons and tried to help the learners reflect on their reading and recognize the content and goal of the reading. Moreover, the specific questionnaire of self-assessment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to monitor their attitude toward the class and reading strategies. Teacher's comments on the self-assessment material help them sustain the effect of the assessment and find their weaknesses and areas where they need impro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assessment was very effective to make the learners get higher scores on the reading test than before. Three groups of learners divided by a diagnostic reading test got higher scores. However, the middle-level group and the low-level group were much more enhanced in scores than the high-level group. Second, the usage of reading strategies was enhanced through self-assessment, especially in the middle-level group and the low-level group. The usage of reading strategies in their groups increased a lot compared to the high-level group. Third, through a diagnosis survey and a post-survey, self-assessment made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learners' affective domain such as learners' interest about English and attitude,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in the class. Based on the results, we can gain some expectations. First, when self-assessment is conducted continuously, it will expel the learners' anxiety about reading, and then the learners' reading ability will be surely enhanced. Especially, it will be more effective in the low-level learners who don't know reading strategies and middle level learners who try to overcome their ability with reading strategies than high-level learners who already know and use the reading strategies. Second, self-assessment let us know the learners' strategies, and through this learners' reading ability can be predicted. It also gives some directions to teachers on how they can teach certain guidelines to learners. In conclusion, learners should constantly diagnose problems and monitor their progress through self-assessment. Self-assessment provide learners with more awareness of their minds in the reading and learning process. And the change of learners' mind is needed like that test or assessment is for both teachers' and learners'. And people's active use of self-assessment in reading will be required.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읽기에서 자가 평가의 실시를 통해 자가 평가와 영어 읽기능력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자가 평가를 통한 읽기전략과 읽기능력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해 학습자들의 읽기능력에 따른 효율적인 읽기전략을 알아보고 효율적인 읽기지도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와 더불어 자가 평가를 통한 읽기의 목표 및 내용을 수시 점검하고 방향을 설정함으로써 학습자들이 얼마나 읽기에 흥미를 갖고 행하게 되는지에 관해서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기대되는 효과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학습자들이 영어 읽기수업 후 자가 평가를 하고 그것이 읽기능력의 향상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주며, 사전 읽기능력 평가점수를 기준으로 나눈 세 개의 집단 모두에게도 효과적인가? [연구문제 2] 학습자들이 영어 읽기수업 후 자가 평가를 한 것이 학습자들의 읽기전략의 사용에도 도움을 주며, 또한 사전 읽기능력 평가점수를 기준으로 나눈 세 집단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가? [연구문제 3] 학습자들이 영어 읽기수업 후 자가 평가를 한 것이 학습자들의 영어에 대한 흥미도, 영어수업의 참여도, 영어수업에 대한 만족도 등 수업태도를 변화시키는데 도움을 주는가? 위의 연구를 위해 충북 제천지역 소재 N 중학교 2학년 학생 60명을 선정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과정은 자가 평가 모형을 개발해서 학생들에게 실험수업을 실시했고 실험의 결과를 평가하기 위한 사전·사후 읽기능력평가와 사전·사후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험반의 자가 평가 자료는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수준에 맞도록 만들었으며 16주에 걸쳐 교과서 7단원부터 11단원까지의 읽기자료를 기초로 만들었으며, 매 읽기활동 후 자가 평가지를 투입하여 20분정도 자신들을 돌아보도록 하였다. 그리고 각 단원별 읽기부분이 여러 개의 이야기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 각 이야기별로 평가지를 마련하여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것은 각 단원별 9차시 중 6차시에 실시하였으며 자가 평가를 통해서 자신의 읽기활동을 돌아보고 읽기의 전반적인 내용 및 주제에 대한 목표를 인식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구체적인 자가 평가 문항을 통해 자신의 수업에 임하는 태도 및 읽기전략을 살펴보는 좋은 기회도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자신의 자가 평가지의 아래쪽에 교사의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지속적인 효과 및 이러한 활동을 통해 자신의 단점 및 보완할 점을 알아내고 학습에 대한 방향 설정을 하도록 하는 길잡이 역할을 하도록 학습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 검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읽기능력 향상에 대한 사전 읽기능력 평가, 사후 읽기능력 평가의 분석 결과 자가 평가를 활용한 수업활동이 학습자들의 읽기능력의 향상에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왔으며, 진단평가점수를 기준으로 세 개의 집단으로 나누었을 때 자가 평가가 세 개의 집단 모두에게 효과적이었으나, 상위권보다는 특히 읽기능력이 중위권이나 하위권에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왔다. 둘째, 자가 평가는 학습자들의 읽기전략 사용에 효과가 있었으며, 진단평가점수를 기준으로 나눈 세 집단 중에서 중위집단과 하위집단에 효과적이었다. 셋째, 설문지 분석 결과 자가 평가는 학습자들의 정의적인 영역에 영향을 미쳐, 또한 영어의 흥미도, 영어수업의 참여도, 영어수업에 대한 만족도에도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왔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추론할 수 있다. 첫째, 자가 평가를 지속적이고 끈기 있게 실시한다면 중학교 2학년 학습자들에게 다소 어렵게 느껴지던 읽기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고 읽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기존부터 읽기전략을 사용해오고 또 영어지식이 풍부한 상위권 학습자들보다 전략에 대한 생소함을 느끼던 하위권이나 영어지식이 부족함을 읽기전략으로 극복하려는 중위권 학습자들에게 읽기전략에 대한 간접적인 학습을 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며 영어 학습에 큰 도움을 줄 것이다. 둘째, 자가 평가를 통해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읽기전략을 알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학습자들의 읽기능력의 향상도도 예상할 수 있고, 그에 알맞은 학습법도 지도할 수 있어 학습자들의 영어학습법에 대한 길잡이로도 매우 효과적이라 하겠다. 결론적으로, 자가 평가는 학습자들이 읽기 그 자체와 읽는 과정을 스스로 살펴보는 인식력이 생기게 도와주며, 학습자들은 이러한 자가 평가를 통해 자신의 문제를 진단하고 학습과정을 살펴보아야 한다. 이와 같은 결실을 이끌기 위해서는 평가를 그저 교사들의 전유물이 아닌 학습자가 함께 행할 수 있는 것이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며, 또한 읽기에서의 자가 평가의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할 것이다.

      • 우리 나라 아동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 학령전 아동을 중심으로

        신윤숙 檀國大學校 政策經營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 나라는 복지 국가로의 미래를 꿈꾸고 있다. 복지국가로 가는 길모퉁이에 보육정책이 큰 과제로 놓여 있다. 한 나라의 보육정책은 대단히 중요한 국가적 정책이다.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가족구조의 핵가족화와 여성의 사회참여의 증가가 아동의 사회화에 대한 가정의 기능을 약화시켰으며, 그 보완으로 등장한 것이 보육제도이다. 산업사회의 다양한 특징, 즉 취업모의 증가, 이혼가정 및 결손가정의 증가, 가족수의 감소와 의식의 변화, 신세대 부모의 가치관 변화는 보육 수요를 폭발적으로 증대시켰다. 그리하여 보육시설의 양적인 팽창은 이루어졌으나 질적인 측면은 대단히 미비한 실정이다. 선진국을 비롯한 각 나라들은 아동보육정책의 중요성을 이미 간파하고, 많은 국가 예산을 투자하여 효율적이고 바람직한 아동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한국의 보육사업은 스웨덴과 같은 공동육아적 보육제도를 도입하기에는 아직 그 여건이 조성되지 않았고, 이스라엘의 기부츠 보육제도는 우리 문화와 너무 거리가 멀어 도입할 여지가 없다고 본다. 3살까지는 어린이를 어머니가 길러야 한다고 생각하는 영국보육제도와 이와 유사한 미국이나 일본의 보육제도가 정서적으로 우리와 서로 통하는 점이 많다고 생각되며, 우리 실정에 맞는 적절한 제도 개선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그 동안 우리 나라의 보육정책은 많은 변화를 거쳐 지금에 내려왔는데, 아직도 정비해야 할 부분들이 많이 산적해 있다. 보육사업은 한 나라의 재정상태, 지역의 사회 여건, 취업 구조, 보육에 대한 욕구의 정도에 따라 시설의 형태나 운영 방법 등이 다양하게 전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 나라 보육정책도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중시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한다. 즉, 다양한 지방자치단체의 특색 있는 사업이 요구된다 할 것이고, 지방자치시대에 걸맞는 관심과 투자가 요구된다 할 것이다. 한편, 우리 나라 보육사업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문제점 몇 가지를 지적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장애아를 위한 특수보육시설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며, 둘째로 영아보육(3세 이하) 문제가 대단히 심각한 실정이다. 또한 보육시설 연합회의 활성화 마련, 물품 공동 구매제도 도입, 보육교사 처우 개선과 보수교육에 대한 개선 등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오늘날 아동보육에 있어 보호기능과 교육기능은 분리될 수 없다. 다만 아동의 발달정도에 따라 보호기능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거나 교육기능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을 뿐이다. 그러한데도 우리 나라의 보육행정은 동일지역 동일연령의 아동 즉, 같은 보육대상을 놓고 그가 처한 사회적·경제적 환경에 따라 보건복지부(보육시설)와 교육부(유치원)가 서로 다른 방식으로 보육과 교육을 수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국가적 낭비와 갈등과 마찰을 근본적으로 해소하기 위해서는 현 체제의 개편이 필요하다. 즉,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통합하여 유아학교를 만들고, 놀이방의 기능을 전문화하여 보육가정을 강화하는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그리하면 보호활동이 우선되어야 하는 3세 이하의 아동은 가정적인 환경에서 자랄 수 있으며, 3세 이상의 아동은 가정적인 환경에서 자라면서 유아교육의 기회를 일반아동과 똑같이 누릴 수 있게 될 것이다. Korea aims to be a welfare state. Child care policy, which is a very important national policy for every country, is one of the biggest challenges faced by this country on its way to a welfare state. The function of a family in socialization of children has grown weaker as nuclear family system becomes widespread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nd more and more women is working outside their home. And child care policy is considered as a means to make up for the weakness of the tendency. The demand for child care skyrocketed because of various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ized society - an increase of working mothers and single parent families, a decrease of family members, and a change in social consciousness, especially in a sense of values of new generation parents. In this background, child care facilities have been greatly expanded in number, while the quality of them is questionable. In many countries, especially in advanced ones, the importance of child care policy was well acknowledged. So, a large amount of state budget has been spent in various efforts to create efficient and appropriate environment for children. In Korean child care policy, the condition is not yet ripe for Sweden's collaborative child care system, while Israel's Kibbutz child care system is not proper to be adopted to this country because the mutual culture is too different. However, the English child care system, which has a presumption that children must be brought up by their mothers, and that of U.S. and Japan are thought to have much in common emotionally with Korean environment. So, based on these systems, modifications appropriate to our condition are required. The Korean child care policy has gone through many changes, but has much to be modified yet. Child care project, in terms of the type of facilities and the method of operation,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the country's financial circumstances, social conditions of the region, employment structure, and the demand for child care. Therefore, the business special for various municipalities has to be put into practice and interest and investment suitable for the age of local autonomy is required. The several practical problem in Korean child care business can be pointed out as follows: First, the special child care facilities for handicapped children are not sufficiently prepared. Second, infant care (before three years old) problem is in serious condition. Finally, among the other things to be considered, the association of child care facilities should be activated; group buying of commodities must be introduced; and the treatment of child care personnels and the system of continuing education for them should be greatly improved. In today's child care, its function of protection and education cannot be divided. However,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 of each child, either protective or educational function should be emphasized properly. But, our child care administration is executed in such a way that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or child care facilities)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for kindergartens) are performing a child care function and an educational function respectively for the same target of child care - that is, children in the same age and the same region - according to their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To avoid this national extravagance, conflict, and the friction fundamentally, reorganization of the current system is necessary; kindergartens and nursery schools have to be integrated to be a children's school; the function of day care homes should be specialized in a way to encourage private homes to take charge of child care. In this way, the children before the age of three, for whom the protective function should be emphasized, could be brought up in a homely environment, while the children after three can enjoy an opportunity of child education also in a homely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