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노마드 미술에 관한 연구 : 서도호, 김수자, 양혜규, 신미경을 중심으로

        장혜성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76

        본 논문은 노마디즘에 관한 개념을 기반으로 노마드 미술의 특징을 살펴보고 서도호, 김수자, 양혜규 그리고 신미경의 작품을 분석하여 작업에 노마디즘 특성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주목하고, 디지털 시대 한국 미술의 특성으로서 노마디즘의 의의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먼저 노마디즘을 현대 철학의 새로운 개념으로 처음 등장시킨 들뢰즈와 가타리는 리좀, 전쟁기계, 탈영토화 등의 용어를 가지고 노마디즘의 핵심 개념을 전개한다. 본 연구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개념에 따라 서도호와 김수자의 작품을 분석해 보았다. 서도호의 <집> 작품들은 한 곳에 정착하지 않고 계속 이동하며 의미를 생산하는 노마디즘의 유동적인 특성을 보여준다. 또한 개인의 정체성과 집단 상호 소통 문제를 다룬 서도호의 작품들은 문제의 긍정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새로운 사유방법을 창안하는 창조성을 지니고 있어 들뢰즈와 가타리가 노마디즘의 특성으로 설명한 긍정적인 의미의 전쟁기계 개념으로 설명될 수 있다. 김수자는 <보따리> 퍼포먼스에서 미국으로 이주한 개인의 경험을 정착과 이동을 반복하며 살아가는 유목민의 삶을 상징하는 보따리를 통해 작품에 표현한다. 이후 <바늘 여인>, <빨래하는 여인> 등의 작업에는 앉아있으면서 움직이고, 움직이며 앉아있는 유목민의 사유의 이동을 보여주며 들뢰즈와 가타리가 논한 어디에서 출발하든 상관없이 어디로든 움직일 수 있는 유목민의 탈영토화 공간의 특성이 반영되어 있다. 두번째로 자크 아탈리와 미셸 마페졸리는 하이퍼 노마드, 방랑 등의 개념을 중심으로 디지털 시대의 노마디즘을 새롭게 해석한다. 연구자는 아탈리와 마페졸리의 개념을 기반으로 양혜규와 신미경의 작품을 해석해 보았다. 양혜규의 작업에 나타나는 자유로운 이동을 즐기고 새로운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작가의 모습은 아탈리가 말하는 디지털 노마드 특히 창의적인 직업인들을 가리키는 하이퍼 노마드 개념으로 설명된다. 양혜규는 블라인드를 활용한 작업에서 오브제의 투명성과 반투명성을 통해 관람객이 절대적인 시선이 아닌 다양한 시공간적 경험을 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작업은 아탈리가 강조한 정착하지 않고 시공간 제약 없이 인류 문화를 유목민의 시각으로 새롭게 바라보는 시도로 볼 수 있다. 신미경의 <트랜스레이션 시리즈>들은 비누라는 일상적 재료를 활용하여 어느 한 곳에 속하지 않고 탈맥락화, 탈문맥화의 특성을 지니고 중간지대에서 유동하고 변화하는 조건과 상태를 타나낸다. 이는 마페졸리가 말하는 모던 사회가 무너지며 고정되거나 획일적인 사회나 국가로부터 벗어나려는 저항의 몸짓인 유목민의 방랑개념으로 표방되는 디지털 시대의 노마디즘을 표현하는 특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문화의 세계화 흐름은 미술계의 노마디즘 현상을 가속화 시키고 더 다양한 노마드 예술가의 작업이 만들어질 것임에 틀림없다. 그래서 한국 노마드 미술에 대한 연구는 노마디즘 현상과 노마드 예술가에 대한 연구 및 담론의 확대를 제시하는 연구라고 생각한다. This thesis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nomad art based on the concept of nomadism, analyzes the works of Suh Do-ho, Kim Soo-ja, Yang Hae-gue and Shin Mee-kyoung in order to see how the characteristics of nomadism are reflected to the works and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nomadism as a characteristic of Korean art in the digital era. Deleuze and Guattari, who first introduced nomadism as a new concept of modern philosophy, develop the core concept of nomadism with terms such as rhizome, war machine, and deterritorializ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works of Suh Do-ho and Kim soo-ja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Deleuze and Guattari. "House" series by Suh Do-ho show the fluid character of nomadism, which keeps moving not settling down in one place and produces meaning. In addition, Suh Do-ho's works on individual identity and group interactions present positive alternatives to the problem and show the concept of war machine visually as a positive meaning,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nomadism that Deleuze and Guattari explained, as they have creativity to create a positive alternative thinking method. Kim Soo-ja expresses her personal experience that she had to move to America through a bag which symbolizes the life of a nomad who lives a life by repeating settlement and movement in the performance of "Bottari" Afterwards, in "A Needle Woman" and "A Laundry Woman" she shows movement of thinking which is moving while sitting down or sitting while moving. I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deterritorialized space of nomads addressed by Deleuze and Guattari, a smooth space that can be moved wherever no matter where they started. In addition, Jacques Attali and Michel Maffesoli interpret the nomadism of the digital age with a focus on the concepts of hyper-nomad and wandering. The researchers interpreted the works of Yang Hae-gue and Shin Mee-kyoung based on the concepts of Attali and Maffesoli. The look of the artist who enjoys the free movement and looks at the world from a new perspective reflected in Yang Hae-gue's works is a good example of Attali's digital nomad, in particular, a hyper-nomad which means a creative worker. In the works of Yang Hae-gue which utilize blinds, transparency and semi-transparency of objects enable viewers to experience various spatial and temporal experiences instead of absolute gaze. They reveal the digital nomad characteristic emphasized by Attali, which views the human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a nomad without the settlement and without time and space constraints. Shin Mee-kyoung's <Translation Series> utilizes an everyday material such as soap to describe the condition flowing and changing in the middle zon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decontextualization. This shows the characteristic expressing the nomadism of the digital age that Maffesoli addressed, which is represented by the nomadic wandering concept of the resistance gestures which try to escape from a fixed or monolithic society or state when modern society fell down. The flow of cultural globalization will accelerate the phenomenon of nomadism in the art world and it is certain that more works by more diverse nomad artists will be produced.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research on nomad art in Korea can suggest the expansion of discourse on the nomadism phenomenon and the nomad artists.

      • 스포츠 댄스의 여가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신미경 경기대학교 경영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오늘날 우리에게 가장 중요시 되고 있는 건강- 그것을 위한 스포츠 활동과, 메말라 가는 정서 - 그것의 함양을 위한 정서적 육체적 예술활동의 이상적인 조화를 이루는 스포츠 댄스(Sport Dance)를 남녀노소 누구나가 함께 평생 즐길 수 있는 전천후 여가 활동으로 정착시킴으로서 건전한 사회분위기 속에서 함께 춤을 추는 사람들끼리 격의 없는 대화와 친교를 통해 사회적으로 넓은 친목과 상호 발전을 도모하는 생활풍속도를 이루어 보고자 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스포츠 댄스의 실태를 파악해 보고 둘째, 스포츠 댄스의 교육상황의 실제를 파악하고 셋째, 스포츠 댄스에 대한 사회인식, 사회제도, 참가자의 의식변화 수준을 파악해 본다. 넷째, 스포츠 댄스 지도자의 자질과 보완점을 분석함으로서 스포츠 댄스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의 문화센타 수강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지 200매 중 139매가 회수되었고 조사시점은 1998년 3월과 4월 사이에 이루어 졌다. 본 연구의 통계처리를 위해 SPSS/PC^(+)(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를 사용하였다. 또한 스포츠 댄스의 정의, 스포츠 댄스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 분석을 이용하였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스포츠 댄스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χ^(2)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조사대상자가 문화센타에서 수강하고 있는 교육생에 한정하였기에 본 논문의 결과를 전체 직장인 및 성인의 결과로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스포츠 댄스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정의)를 알아본 결과로는 ‘세계 여러나라 사람들이 남녀 노소 즐길 수 있는 전천후 여가활동이다.’, ‘스포츠이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많은 점으로 보아 조사대상자들이 스포츠 댄스에 대해 올바로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2. 스포츠 댄스를 배우는 동기로는 ‘스트레스 해소와 건강한 여가활동’ ‘운동으로’가 가장 많았고, 부부가 함께 배우는 이유에 대해서는 ‘부부가 함께 하는 여가활동’으로 참여한다고 하는 사람이 많았다. 3. 스포츠 댄스를 여가활동으로 얼마나 필요한가에 대해 알아 본 결과 90%이상이 스포츠 댄스가 여가활동으로 필요하다고 응답해 스포츠 댄스가 여가활동에 긍정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남성들이 여성들에 비해 스포츠 댄스가 더 필요하다고 응답했고 생활 수준이 높을 수록 스포츠 댄스가 여가활동으로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4. 스포츠 댄스 수강후 얻은 점에 대해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 해소로 생활에 활력을 느낌’과 동시에 ‘건강한 신체’로 응답한 경우가 많아서 스포츠 댄스가 여가활동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해소에도 큰 도움이 되는 것을 알 수 있고 건강관리에도 도움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5. 스포츠 댄스에 대한 부정적 시각의 원인으로는 응답자의 43.2%가 ‘매스컴을 통한 부정적 표현이 원인’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아 매스컴의 영향이 매우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젊은 연령대 일수록 ‘강사의 자질’이 원인이라고 응답했다. 그 다음으로 응답자의 30.2%는 ‘춤을 추는 장소와 환경’이 부정적 시각의 원인으로 보여졌고 15.1%는 ‘춤을 추는 사람들의 인격이 문제’라고 응답했다. 6. 스포츠 댄스를 처음 입문하려고 할 때 가장 당면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주위의 좋지 않은 시선’이라고 응답한 경우로 보아 이 때문에 망설이게 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7. 앞으로 스포츠 댄스의 방향에 대해서 대부분의 응답자가 대중화 되어야 한다고 응답했고 교육제도에 도입하는 것에도 찬성하고 있으며 시기로는 청년기부터가 좋다고 응답했다. 8. 스포츠 댄스를 활성화 하는데 개선해야 할 문제점으로는 ‘장소와 시설의 부족’을 지적한 경우가 절반이 넘어 장소나 환경의 문제가 시급함을 알 수 있다. 9. 바람직한 강사상에 대해서는 기능적인 면보다 ‘리더쉽을 잘 발휘하는 사람’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스포츠 댄스를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잠정 승인한 시범종목에 이어 정식종목에 채택될 것에 대비하여 범 국가적 차원에서 정책적 배려가 있어야 하겠다. 2. 현재 대학에서 실시되고 있는 교양과목을 정규교과목으로 도입하여 점차 초, 중, 고등학교 교육으로 확산시켜 남녀간의 신사도(紳士道), 숙녀도(淑女道)의 예의범절이나 기본자세부터 교육하여 제대로 된 형태의 춤의 문화를 형성 해나가야 하겠다. 3. 전문인을 양성시키고 통제할 수 있는 기관이나 단체가 필요하며 정부차원에서도 지도자의 자질에 대한 사후관리와 제도적인 대책이 시급하다. 또한 스포츠 댄스는 세계 여러나라 사람들이 교재를 통해서 똑같이 배우는 것이므로 시청각 교재나 기타 다른 교재들이 부족하기 때문에 많은 교재들이 번역되어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이 어려움 없이 제대로 배울 수 있게 되어야 할 것이다. 4. 현재 우리나라에서 스포츠 댄스를 출 수 있는 장소는 호텔(Hotel)의 볼룸(Ballroom)이다. 그러나 대중화 하기에는 비싼 가격 때문에 많은 일반인들이 참석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그 외에는 유흥장소인 캬바레란 곳이 있는데, 이곳은 유흥장이기 때문에 건전하게 남녀노소 스포츠 댄스를 즐길 수 있는 장소로는 부적합하다. 따라서 현재의 시설부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시설투자와 함께 학교나 기업의 시설을 개방하는 정책도 전개되어야 한다. 그러나 많은 재원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일본과 같이 행정구 단위로 '체육관'이나 '연수원'을 개방하여 생활체육의 일환으로 밝고 건전한 공간에서 참여할 수 있어야만 건전한 사회분위기 속에서 넓은 친목과 상호발전을 도모하는 생활 풍속도가 이루어질 수 있다. 5. 시대적 상황에 맞지 않게 '풍속영업법'의 규제를 받고 있는 관련법안을 '체육진흥법'으로 전환하여 국민체력 증진과 여가활용 차원에서 현행 제법안과 규칙 등을 폐지 또는 완화시켜야 한다. 본 연구자가 오랫동안 강의하면서 느낀 바로는 춤 자체를 싫어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러나 여러가지의 잘못된 인식과 가르치는 사람들의 비교육적 태도로 인하여 춤을 배우고자 하는 사람의 품위와 인격이 격하되는 사회 분위기 때문에 많은 장점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대중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스포츠 댄스는 이성간에 스킨쉽(Skinship)을 통하여 행하여지는 활동이므로 춤을 처음 입문하는 사람에게 가르치는 사람의 역할이 너무나 중요하다. 기능적인 면을 가르치기 이전에 춤의 문화를 받아들일 수 있는 정신적, 인격적 요소의 제반교육이 더 중요시 되어야만 생활체육의 일환으로서 밝은 사회분위기를 만드는 여가활동으로 정착할 수 있다. 또한 부부가 함께 하는 여가활동으로 권장하고 싶은 이유는 가정이 건강해야만 사회전체도 건강하고, 몸과 마음이 건강한 자만이 인류의 발전과 평화를 위해 힘쓸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Sport dance" is an ideal combination of physical activity which pursues healthy body, perhaps the most important value in life, and artistic performance which brings about spiritual and emotional nourishment. This study aims at establishing the sport dance as a leisure activity for all seasons, which can be enjoyed by all levels of people, whether male or female, old and young. And this study ultimately aims at contributing to the cultivation of social circumstances which can facilitate acquaintance, friendship and mutual progress among the participants of the sport dance. More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comprise the following. First, research the present state and circumstances of sports dance. Second, find out the situations on training side of the dance. Third, discover the general public's perception, social system and individual participant's view on the dance. Fourth, analyze qualities and weakness of the dance trainers, and through the analysis give recommendation on future direction of sport dance. For the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rainees registered at cultural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Of the total 200 questionnaires 139 were answered. This study was carried out during the period of March-April 1998. SPSS/PC(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was used for the statistics in this study, and frequency analysis was also used to draw conclusion on definition and future direction of sport dance. X2 verification was implemented to find out whether there exists difference of perception on the dance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questioned. This study however has its limitations in that research was made with cultural center trainees only, so the writer is not sure whether the study results can be generalized to all levels of people. Major finding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erized as below. 1. Regarding question on definition of sports dance, the most frequent answers are "it is a sport" and "it is a leisure activity for all weathers which can be enjoyed by all levels of people". This shows that most of the people questioned have correct understanding on the sports dance. 2. Regarding motives to learn sports dance, the answers of "to discharge mental stress and lead healthy life" and "for physical exercise" commanded the biggest portion. On the question why couple learn together, "because the dance is of the nature enjoyable for couple together" was the most frequent answer. 3. Regarding inquiry on necessity of sports dance as leisure activity, more than 90% gave positive replies. This indicates that the dance can be utilized effectively in leisure activity. More men than women stood on positive side, and higher classes expressed more necessity of the dance as leisure activity. 4. Regarding effects obtainable from the dance, many replied that "it helps overcome mental stress and invigorate daily life" or "it maintain healthy physical conditions". This proves that sport dance is useful not only in leisure activity but in keeping participants fit mentally and physically. 5. As for negative view on sports dance existing in the society, 43.2% of the answerers attributed it to "ill description about the dance in mass media", and 30.2% to "improper venue and circumstances where the dance is played". 15.1% attributed it to "personal qualities of dancers themselves". 6. As for the factor discouraging beginners in learning dance, the most frequent answer is "unfriendly view from outsiders". This shows that negative view on sport dance constitutes a barrier to its popularization. 7. As for future direction of the dance, many answered that "the dance should be spread into the general public", also they agreed to adopt it in educational curriculum. They are in the opinion that the best time to start the dance is when young. 8. As for the problems to be solved in disseminating the dance, more than half of answerers ranked lack of proper venues and facilities on the top. The venue problem is concluded to be the most imminent issue. 9. As for the ideal trainers, "person with good leadership" is preferred to "functional person": Based on the study and research mentioned hereinbefore, the writer would like to conclude/recommend the following. 1. Policy considerations on a national level should be extended to sports dance, in preparation for its being adopted as a regular game in the Olympics(the dance remains a demonstrative game as approved tentatively by I. O. C.) 2. Sports dance should be adopted as regular subject in college curriculum(it is just a cultural subject till now), and such measure should be expanded to high, middle and elementary schools. Training of sport dance should start from learning basic attitudes and etiquette, in a way to form desirable dance culture. 3. An institution needs to be established which can train and control specialist in the dance. Legal and institutional measures on government level, as well as post management of trainers/leaders, are urgently required. Also, in view that sport dance can be learned with same textbooks all over the world, such textbooks and reference books need to be translated into Korean and published as many as possible. This will enable beginners to learn the dance easily and correctly. 4. At present people can enjoy sports dance in ballrooms of hotels only. the ordinary people find difficulty in approaching the place due to high costs involved. Besides the place, there exists "cabaret" which is a kind of entertainment place but not adequate for all levels of people to enjoy dancing in a sound way. To solve this venue problem, policies to open the facilities of schools and companies to the public should be enforced along with construction of new dance halls. For more economical way and as a means to save big financial expenditure, the Japanese model of opening gymnasiums and training centers owned by municipalities should be studied and put into practice. If the Japanese methods are realized in Korea, sport dance will be enjoyed by the public in bright and open space, allowing it to settle down as a practical sport through which social acquaintance and friendship can be developed in sound atmosphere. 5. Sport dance is at present ruled by moral business regulations, which contradicts to the prevailing circumstances. To enhance people's physical health conditions and encourage their leisure activity, the current regulations should be abolished and physical exercise promotional regulations should be in place. Through the long experience of lecturing the dance, the writer found that people are by nature fond of dancing. Social prejudice and some trainers' improper behaviors, however, can make beginners feel degrading. This is obstacle to spreading the dance widely into the general public, despite so many qualities and virtues is has. Sport dance entails physical movement with skinship of heterosexual partners, so the role of trainer is crucial to the beginner. Before techniques are taught, lecture on moral and spiritual side should be given more emphasis, so that beginners may be accustomed to right dance culture. In this way sport dance can be firmly rooted as a sound leisure activity, contributing to the cultivation of bright environment for the society. Also, I would like to recommend the sport dance to be enjoyed by husband and wife together, as healthy society can be made when each family is sound and healthy. People who have healthy body and spirit only will contribute to the progress of mankind and peace of the world.

      • 부산항 신항 GDC 도입에 관한 연구

        신미경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부산항은 컨테이너 처리 세계 6위, 환적 2위 글로벌 항만이나, 해상 특송 통관장의 부재로 해상특송화물의 부산항으로 반입 후 전량 육송으로 인천항 해상특송 통관장으로 이송하고 있다 전 세계 전자상거래 시장은 25.6조 달러, 국내 전자상거래 시장은 135조원으로 매년 급성장하고 있으며, 글로벌 전자상거래 물류도 기존 항공위주에서 중대형, 고중량 등으로 다양화되고, 권역 중심으로 저렴한 운임 경쟁력이 있는 해상물류로 이동하고 있어 해양수도 부산에게 매력적인 시장이다. 특히, 코로나19(COVID-19)로 인한 세계적인 전염병의 장기화로 국내외 시장의 비대면 트렌드의 확산과 홈코노미(Home+Economy) 산업의 가속화로 전자플랫폼과 국제물류를 통해 이루어지는 경제 행위 시장도 대폭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등 급속한 소비 트렌드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즉, 글로벌 전자상거래를 위한 화물처리 공항이 없어 소외되었던 부산은 코로나19로 인한 항공물류 생태계의 붕괴로 인해 해상물류의 전환 트렌드와 더불어 새로운 기회가 열리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에 따른 항공물류 붕괴로 우리나라의 해상특송 물동량 급증을 조사ㆍ분석하여 부산항 신항에 글로벌 전자상거래 물류센터(남부권 GDC) 도입을 위한 정책적, 실무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개인화(Personalization)가 초등영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신미경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ersonalized lesson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on their attitudes towards English learning. For this purpose, the results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quantitative analysis was measured using a speaking test, communication skills test and the students' questionnaires which measured their interest, confidence, anxiety and motivation in English learning. The qualitative analysis was measured by the student feedback and the teacher's observation journal. Two 5th grade classes (49 students in total)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nd were divided into a control group and an experimental group. Students from the control group engaged in learning English according to the textbook based o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hereas student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personalized English lessons twice a week.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for a total of twelve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at, with respect to the learner's communicative competence, the quantitative data and the qualitative data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arner's speaking and writing skills. Furthermore, the personalized lessons were effective in raising the learner's interest, confidence and the expectation for the subject of this study. With this basis, this study suggests that teachers plan and make lessons that reflect the learners' personal realities in their daily lives. This will then improve their communicative skills and change their attitudes towards learning English into positive ones, so it is beneficial for teachers to make their lessons personalized and relevant for their students. 본 연구는 개인화를 적용한 영어 수업이 초등영어 학습자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한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개인화 적용 영어 수업이 초등영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개인화 적용 영어 수업이 초등영어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소재 부산(가명)초등학교 5학년 4개반을 대상으로 하여 운영하였으며, 영어 의사소통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사를 실시하여 동질집단으로 검증된 2학급 49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처치는 2012년 9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총 12주 동안 주2회 40분씩 정규 수업시간에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에는 개인화를 적용한 영어 수업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2008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따라 본 연구자가 근무하는 학교에서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는 검정교과서에 의한 영어 수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영어 의사소통 능력 평가지와 정의적 영역 설문지 결과를 통계․분석하였으며, 본 연구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질적 연구의 방안으로 학습자 수업 소감문과 수업을 진행한 교사 관찰일지를 분석․정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실험 처치를 실행하고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화 적용 영어 수업은 초등영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중 표현 영역인 말하기와 쓰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다. 개인화를 수업에 적용한 실험집단의 말하기와 쓰기 능력 점수가 실험처치를 수행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향상되었으며, 학습자 수업 소감문 및 교사 관찰일지에서도 실험집단 학생들의 말하기와 쓰기 능력 향상에 관한 내용을 관찰할 수 있었다. 둘째, 개인화 적용 영어 수업은 초등영어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후 검사에서 학습 흥미도, 자신감 그리고 기대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으며, 학습자 수업 소감문 및 교사 관찰 일지에서도 개인화 적용 수업이 학생들의 학습 흥미와 자신감을 향상시켰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개인화 적용 영어 수업이 자신들의 영어 실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긍정적인 기대감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 프로그램은 실험집단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자는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개인화를 적용한 영어 수업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라며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하고자 한다. 첫째, 초등영어 학습자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영어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긍정적인 태도 변화를 위하여 초등영어 교육 과정에 개인화를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 초등영어 수업에 개인화를 적용한다면 학생들에게 실제적이고 유의미한 의사소통의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습 동기 및 자신감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개인화가 초등 영어 교육 현장에 적용될 수 있도록 더 많으 후속 연구가 이어지기를 제안한다. 교육 현장에서는 목표 언어인 영어 의사소통 능력이 부족한 초등학생들에게 개인화를 적용하는 것이 시기상조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본 연구자가 진행한 연구 결과에서 보듯이 영어 구사력이 부족한 초등학생들도 스스로 새로운 내용을 학습하는 것을 매우 즐거워했으며 자기의 생활을 표현하는 활동 자체에 큰 관심을 보였다. 따라서 개인화를 적용하는 것에 대한 논의를 떠나 이제는 어떻게 개인화를 적용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도시환경정비사업구역 내 공개공지 활성화에 관한 분석 : 지구단위계획구역 내 공개공지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신미경 서울시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society gets complex, citizens' needs on urban environment vary. Citizens' needs, which pursue the quality of life beyond the basic needs, are now aiming at the life in pleasant and safe city.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scale of urban development is expanding and land prices in downtowns are soaring, it comes to a government as a huge burden to provide resting places by spending public capital.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district unit plan on "Public Open Spac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users of those in two different districts. One is in Gangnam-gu under "District Unit Plan" which provides a guideline for "Public Open Spaces," and the other one is in Jongno-gu under the plan of "Seoul Down town Redevelopment Project Area" which does not suggest any guidelines. We chose 'awareness,' 'proximity,' and 'convenience' as the evaluation factors and put 'location,' 'level difference with adjacent roads,' 'existence of traffic blocks in entry paths,' 'width of entrance,' 'length of bench,' 'the area of the landscape,' 'total floor area,' and 'usage of lower floor' on the list of evaluation elements. Then, we researched the status and the number of users in the two spaces inside our target districts and compared/analyzed the data based on the designated factors and elements to arrive at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the result, which is incompatible with the preceding studies and is unaffected by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external users measured by the volume of pedestrians, showed that the number of users of the "Public Open Space" in Jongno-gu was less than that in Gangnam-gu while the latter has the smaller total floor area than the former. Secondly, even though the measured numbers of some evaluation elements, such as 'total floor area,' 'the area of the garden,' and 'length of installed benches,' in the "Public Open Space" of Jongno-gu are higher than that of Gangnam-gu, the latter recorded 1.35 times more users than that of the former in average and, furthermore, the average user per unit area (100㎡) of the former has to be multiplied by 2.9 in order to make it even to that of the latter. Also, after looking into the sides and the rear of the "Public Open Spaces" in Jongno-gu, we found out that it is hard to put the spaces into practical use even though they are authorized as "Public Open Spaces" by the law. More detailed guidelines on "Public Open Spaces," which are in line with the district's general development plan, are needed to convert the literally abandoned lands into the true resting places for citizens. This study targeted "District Unit Plans" in identifying the source of effects on the usage of "Public Open Spaces" in a bid to differentiate from preceding studies. However, even though we supposed that the role of the number of external users as an explanatory factor is minimal due to the small deviation in the volume of pedestrians, there were some limitations that we could not reflect the differences of the two "Public Open Spaces" in terms of the patterns of pedestrians and conditions of complementary areas of main streets. Considerable time has passed since the adoption of the system in "The Building Act" and continuous research activities on "Public Open Spaces" have been made. However, still, the spaces are not functioning well to achieve their initial mission. Thus, sustainable studies, with various perspectives and directions, must be conducted on the vitalization of "Public Open Spaces" so as to utilize the areas as both private properties and public spaces and to promote them to become the representing resting-places in downtowns. ․ Key words: Open Spaces, Vitalization, Seoul Down town redevelopment Project, District Unit Plans, Awareness, Proximity, Convenience 현대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도시환경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도 다양해지고 있다. 이제는 삶의 기본을 넘어 삶의 질을 추구하는 시민들의 요구는 쾌적하고 안전한 도시에서의 삶에 대한 욕구로 이어지고 있다. 도시 개발의 규모가 확대되어 가고, 토지가격 또한 천정부지로 치솟는 도심에서 쾌적한 환경의 휴식공간을 공공자본으로 조성하여 제공한다는 것은 국가적으로 커다란 부담일수 밖에 없다. 그나마 개인이 설치․조성하여 제공하는 공개공지가 도시 내의 휴식처의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 공개공지도 지역적 여건에 대한 고려보다는 각각의 개별 필지 내의 여건이나 건축주의 계획에 따라 설치되어 그 활용도 제대로 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개공지에 대해 가이드 라인을 제시한 강남 지구단위계획 구역 내 공개공지와 그렇지 않은 종로 도시환경정비구역 내 공개공지의 조성현황을 분석해 보고, 이에 따른 공개공지 이용자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계획이 공개공지에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인지성, 접근성, 편리성을 공개공지 평가인자로 하고, 대지 내 위치, 인접도로와 레벨관계, 진입경로 중 단차여부, 공개공지 출입구 폭, 벤치 길이, 조경면적, 연면적, 저층부 용도 등을 공개공지 평가요소로 하여 두 대상지의 내의 공개공지의 현황 및 공개공지 이용자 수를 조사하고,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기존의 연구에서 밝힌 바와 상이하게, 보행량에 차이로 인한 외부이용자의 차이가 크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연면적이 큰 종로 도시환경정비구역 내 공개공지 이용자가 연면적이 작은 강남 지구단위계획구역 내 공개공지 이용자보다 적게 나타났다. 둘째, 공개공지 조성면적, 조경면적, 벤치의 설치 길이가 종로 도시환경정비구역의 경우가 강남 지구단위계획구역의 경우보다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강남 지구단위계획구역 내 공개공지의 평균이용자가 오히려 1.35배 많게 나타났으며, 공개공지 단위면적 100㎡당 평균이용자를 살펴보면 2.9배나 많게 나타났다. 또한, 종로 도시환경정비구역 사례 중 특히 측면형과 후면형 공개공지를 살펴볼 때, 공개공지가 건축법에 있어 공개공지로 인정은 받을 수 있지만 실제로 이용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많은 위치나 형태로 조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도시 내 버리진 자투리 땅이 아닌 진정한 도심 내 휴식처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도시 내 전체적이고 전반적인 공간계획에 따라 공개공지에 대한 정밀한 가이드라인 제시되어야 하겠다. 본 연구는 기존 논문에서 공개공지의 이용실태나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의 분석에서 벗어나 계획이 공개공지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러나, 지역 여건이 상이한 두 지역을 비교하는데 있어서 외부이용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보행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공개공지 이용에 있어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가정하였으나, 실제 두 지역의 보행행태나 대로(大路) 배후 지역 여건을 고려하지 못하였다는데 한계가 있다. 공개공지가 건축법에 도입된 지 상당한 시간이 지났으며, 공개공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결과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그 위상에 맞는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음을 볼 때, 공개공지가 사유지이면서도 공적(公的)인 공간으로 활용되어 도심의 쉼터로 자리매김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시각과 방향으로 공개공지 활용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되어야 한다. 주요어: 공개공지, 활성화, 도시환경정비사업, 지구단위계획, 인지성 요인, 접근성 요인, 편리성 요인

      • 1907년 평양 대부흥운동과 그 운동이 한국 교회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신미경 서울한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 개신교회는 1884년 9월에 이 땅에 복음이 처음 전파되었다. 그리고 한국교회는 1907년 평양에서부터 대부흥운동이 일어나 세계교회사에서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급격한 교회성장을 가져왔었다. 이렇게 급성장한 원인은 성경에 입각한 하나님의 은혜에서 먼저 찾을 수 있겠다. 그 다음은 일제 강점기로 인하여 나라를 빼앗기고 모든백성들이 소망을 잃고 있었던 시대적인 배경에서 교회만이 유일한 미래라고 믿었던 데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대부흥운동의 출발은 1907년 1월 2일 평양 장대현 교회의 남자 사경회에서부터 그 운동은 시작되었다. 그리고 이 운동은 원산지역을 중심으로 회개운동, 성경말씀 운동, 새벽기도운동, 백만인 구령운동, 그리고네비우스 선교정책과 복음화 운동이 매개가 되어 폭발적인 한국 복음화 운동의 직접적인 동력이 되었다. 1907년 이래로 한국 개신교회는 일제 탄압과 핍박에도 불구하고 폭발적인 교회성장을 가져왔다. 그리고 교회의 성장은 동시에 사회의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오게 했다. 그러나 놀랍게도 1990년 초부터 한국교회는 쇠락(衰落)의 길을 걷고있다. 그 이유는 다양하지만, 고도의 산업과 경제성장이 가져다준 물질의 풍요 즉, 맘몬주의에서 대부분이 그 원인을 찾고 있다. 그로 인하여교회는 구령(救靈)에 대한 열정이 사라졌으며 대부분의 예배는 형식에 치우치게 되었다. 다시 말해 예수께서 말씀하신 “하나님을 사랑하고, 네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사랑을 하라”는 절대 계명을 순종하지 않고 교회의 본질을 흐리거나 망각한 데에서 그 이유를 찾고 있다. 따라서 빛과 길을 잃은 한국교회는 이제 1907년 평양에서 대부흥운동이 일어났던 역사적인 사실에서 교훈을 얻어야 한다. 한국교회는 그 교훈을 밑거름으로 하여 대각성운동이 다시 일어나 “세상의 빛과 소금의 역할”을 잘 감당하는 교회로 거듭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기도하다. The evangelism of the Protestant Church in Korea began in September 1884. Then the Church in Korea has xperienced a rapid growth, which was unprecedented in the world Church history, after the Pyongyang Great Revival in 1907. The reason for the rapid growth can be found first in the grace of God through the Bible. Secondly, it can be found in the historical situation in which all the Korean people lost their nation and hope under the oppression of the Japanese Empire and believed that the Church would be the only future for them. The Great Revival started from the Bible Conference for men in Pyongyang Changdaehyun Church on 2 January 1907. The Great Revival became the main thrust for the explosive evangelization of Korea, expanding along with the Nevius Mission Plan and the evangelization movement from the area of Wonsan and developing into the Repent Movement, the Bible Reading Movement, the Dawn Prayer Meeting, and the Salvation for the Million Movement. In spite of the Japanese oppression and persecution, the Protestant Church in Korea has gone through an explosive growth since 1907, and the Church growth brought about a revolutionary social change. Surprisingly, however, the Church in Korea has declined since the early 1990s. Whereas there could be various reasons, the decline has been most often attributed to the mammonism caused by material affluence as a result of the high level of industrial and economic growth. It caused the Church to lose its passion for souls, and most of its worship service became superficial. That is to say, the decline has resulted from the fact that the Church has not obeyed the absolute commandment of Jesus, i.e. “Love God, and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and thus the Church has lost or forgot its original na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Church in Korea, which lost the Light and the Way, to learn a lesson from the historical fact of the Pyongyang Great Revival in 1907. It is the purpose of this thesis to help the Church in Korea stand up again to be transformed and to accomplish its mission as ‘the Light and the Salt of the world’ on the basis of the lesson.

      • 화재피해를 입은 고 강도 철근 콘크리트 휨 부재의 구조성능에 관한 연구

        신미경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10년여간(1990년∼2000년) 화재건수는 매년 10%이상 증가하고 있으며, 화재발생은 인명 및 재산피해는 물론 막대한 국가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전체 화재건수의 절반 이상은 건축물에서 발생하며 건축물 화재 중에서도 대부분의 화재는 주거시설 및 공장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각종 건축구조물의 고층화, 다양화, 대형화되어가는 추세에 따라 고강도 콘크리트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고온 하에서 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는 거의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 철근콘크리트 보의 가열 실험과 가열실험 후 잔존 내력을 평가하기 위해 가력 실험을 실시하였고,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철근 콘크리트 보의 화재 중 휨 거동과 화재 후 잔존 강도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열전달 이론에 의한 식을 유한 차분법으로 정식화하고 Basic Language로 수치 해석하여 콘크리트 내부온도를 열전달 해석하였다. 실험적 고찰을 위해 기준 실험체 2개와 가열 실험체 12개 총 14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였다. 화재노출시간과 피복깊이를 주요변수로 하여 ISO 834기준의 표준가열곡선에 의해 가열로에서 가열 실험하였고, 그 후 대기 중에서 냉각하여 고온에 노출된 실험체에 대해 잔존강도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일반 강도에 대한 비교는 전년도에 같은 조건에서 실시한 데이터를 참고하였다. 화재 피해를 입은 고강도 철근 콘크리트 휨 부재의 구조 거동을 실험적, 해석적으로 고찰해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강도 콘크리트 보의 경우 낮은 물-시멘트비로 인해 일반 강도 콘크리트 보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던 폭렬 현상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단면이 손실되고 이로 인해 내부 온도 증가도 커져 일반 강도 콘크리트 보에 비해 화재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체의 파괴 시간을 비교하면 일반 강도 콘크리트의 보의 경우 피복 4㎝ 실험체의 경우는 151분, 피복 5㎝의 경우는 225분이었으나 고강도 콘크리트 보의 경우는 피복 4㎝ 실험체의 경우 144분, 피복 5㎝ 실험체의 경우 161분이었다. 이는 고강도 콘크리트가 폭렬 현상으로 인해 단면이 손실됨으로서 고온 시 파괴 시간이 짧아진 것이다. 실험체의 처짐 증가율이 급격히 커지는 시간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일반 강도 피복 4㎝ 실험체의 경우 75분, 피복 5㎝ 실험체의 경우 100분 정도였으나 고강도의 경우 피복 4㎝ 실험체의 경우 55분, 피복 5㎝의 경우는 65분으로 고강도 콘크리트 보가 화재에 취약한 것을 알 수 있으며, 누적온도-처짐 관계에서도 두 강도를 비교하면 150㎜의 처짐이 발생 시 일반 강도 보의 경우 누적온도는 약 22000℃, 고강도의 경우 약 15000℃이다. 내구성 측면에서도 역시 고강도 콘크리트가 화재 노출시 더 위험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고강도 콘크리트 보의 경우 고온 하에서 피복 4㎝인 실험체와 피복 5cm인 실험체의 거동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일반 강도 콘크리트와 달리 1㎝정도의 피복두께는 화재 시 큰 영향을 주는 변수로 작용하지 않는다. 가열하지 않은 실험체와 가열한 실험체의 초기 탄성 구간 기울기를 비교해 보면 최대 기울기의 감소율이 일반 강도 콘크리트 보의 경우 37%, 고강도 콘크리트의 경우 70%정도로 화재 시의 폭렬 현상으로 인해 화재 시 고강도 콘크리트 보의 피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용성 측면에서도 사용 한계 처짐에 다다르는 하중값이 가열 전보다 가열 후에 일반 강도의 경우 최대 33%, 고강도의 경우 49% 감소된 모습을 보였다. 이는 고강도 콘크리트 보가 화재에 의해 내구성 저하가 큰 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 고온 하에서 실험체 내부 온도를 유한 차분법을 통한 수치 해석을 하여 해석한 결과 오차가 최종 시간 온도에서 보 하부 열전대인 con-1의 경우 약 8∼10%정도로 오차 5%안에 들 정도로 정확하진 않으나 실험 결과와 해석 결과가 어느 정도 유사한 경향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보다 정확한 온도 해석프로그램을 사용한 열전달해석을 위해서는 콘크리트에 내포된 수분 및 함수율과 재료물성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정확한 데이터가 필요하며 이와 관련된 사항은 추후 연구사항으로 남는다. The number of fires in the last decade(1990-2000) has been increasing by more than 10%, costing not only human lives and property but also inflicting a significant degree of loss on the nation as a whole. It turns out that more than half of the fire breakouts have taken place within the architectural structures. In most of the cases, the fire occurred in residential facilities or factories. In particular, in accordance with the tendency of building architectural structures more higher, more larger and more diverse in form, the importance of the concrete with high strength get influential. but the researches on structural behaviors of high strength concrete under high temperature are rarely studied. This study executed fire test of high strength RC beams and loading test for evaluating residual strength of beams after heating. Based on test, it considered structural behavior of RC beams under high temperature and residual strength of beams after heating. The heat transfer equation is formed into F.D.M. based on the theory of heat transfer. And then, the temperature change of concrete, as increasing of furnace temperature, is analyzed by numerical method using Basic language. For this purpose, fourteen beam specimens are fabricated and experimented. Twelve specimens are exposed to the fire for 60 and 90 minutes and to the failure. The main variables of the test is concrete cover and exposure time to fire. In fire test, the furnace temperature is controled by ISO 834 standard heating curve. After being cooled in room temperature, the specimens are loaded to the failure. And, The experiment data of normal strength concrete refer to the previous test executed under same condition. The conclusions in regard to such research can be seen as follows. In case of high strength concrete, the low water-cement ratio induce the spalling. (The spalling didn't occur in case of normal one.) So, the section of concrete sustain loss and then the increasing of inner temperature is larger. Therefore, the high strength concrete is weaker than normal one. Comparing with the time of reaching failure, in case of normal strength, the specimens with 4cm cover lasted 151 minutes until failure, 5cm ones has 225 minutes. whereas 4cm ones have 144 minutes and 5cm ones have 161 minutes in case of high strength. The reason of this result is induced by spalling and section loss in accordance with spalling, too. The deflection rate increased greatly after the first 75 minutes for 4cm-cover specimens and 100 minutes for the 5cm ones, in case of normal strength. But, in case of high one, 4cm-cover specimens have 55 minutes and 5cm ones have 65 minutes. This result know it for us that the high strength concrete is weak, too. When the deflection reach 150㎜, accumulative temperature is 22000℃ for normal strength, whereas it is 15000℃ for high one. Therefore, in durability, high strength concrete is more disadvantageous the normal one, too. Besides, in case of high strength concrete, the cover thickness is not important variable because the structural behavior of specimen is not enough of a difference by cover thickness, contrary to normal one. In the initial elastic domain, the maximum stiffness decreasing rate is 37% for normal strength concrete, 70% for high one between heated specimens and non-heated specimen. And, comparing with the load value when deflection reach limit for use, the normal strength concrete has the maximum 33% decreasing rate and the high one has 49%. These results prove that high strength concrete is larger damage than normal one as exposing heat. According to the heat transfer analysis by using F.D.M., an error is 8∼10% for the lower part of beam. It doesn't has accuracy because it get out of bounds of 5% error. But the result of analysis is similar tendency to the result of experiment To attain higher accuracy of the heat transfer analysis using the numerical method, the amount and the functional relation of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concrete and the correlation with the property matter of the material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further research.

      • 모형실험을 통한 암반사면의 파괴거동분석 및 파괴시기예측

        신미경 부경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불연속면의 거칠기, 충전물, 수압조건 등의 공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사면의 파괴거동을 고찰하고 파괴시기를 예측하기 위하여 모형실험이 수행되었다. 모형사면은 실제 암반사면과 유사하게 시멘트 모르타르와 스테인리스 스틸프레임을 이용하여 비중 2.7이 되도록 제작하였다. 절리면의 거칠기는 폭, 높이 등을 고려하여 거칢각이 0, 7, 11°의 불연속면을 갖는 블록을 제작하였다. 충전물은 거칠기의 돌출부 높이를 고려하여 돌출부 높이의 1.5배까지 증가시켰다. 정속도 수압증가 조건에서는 인장균열에 완전히 가해질 수 있는 수압을 100%로 하여 건조 상태에서 1%/min로 증가시키면서 사면의 거동양상을 파악하였다. 공학적 특성의 조합을 달리하여 총 27회 실험을 실시한 결과, 절리면의 거칠기가 증가할수록 파괴 시 수압하중은 증가하고 충전물의 두께비가 증가할수록 파괴 시 수압하중은 감소한다. 전체적인 거동양상은 선형 거동양상을 보이다가 파괴 임박시 3차 크립 형태의 지수형 거동양상이 나타난다. 충전물이 두꺼워 질수록 3차 크립 형태의 지수형 거동양상이 뚜렷이 나타나는 양상을 보인다. 정수압 조건에서는 파괴 수압의 97%를 유지하고 시간에 따른 사면의 거동양상을 관찰하였다. 대부분의 경우 2차 크립 형태의 거동을 유지하다 짧은 3차 크립 형태의 거동을 보이며 급격한 파괴를 보였다. 특히 충전물의 두께비가 증가할수록 3차 크립 형태의 거동 구간이 뚜렷이 나타나며 파괴 시까지 변위가 크게 발생하였다. 정속도 수압증가 및 정수압 조건 공히 사면에 충전물이 두껍게 충전되어 3차 크립 형태의 지수형 거동을 보이는 경우에 inverse velocity method를 사용한 파괴시기 예측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Laboratory tes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failure mechanism of the rock slope due to engineering characteristics such as joint asperity angle, infilling thickness and water pressure conditions, and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predicting slope failure using the model rock slope. The model rock slope were designed to simulate real rock slope having 2.7 of specific gravity using cement mortar and stainless steel frame. The joint asperity angle was 0, 7 and 11° having different roughness specifications. The infilling thickness was maintained between upper and lower roughness plane from zero to 1.5 times of the amplitude of the surface projections. For constant increasing head condition, water pressure was constantly increased at rate of 1%/min until failure by assuming water pressure expressed as percent filling of tension crack from dry(0%) to full(100%). Total of 27 test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how that the water pressure at failure was foun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joint roughness, an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infilling thickness. Displacement of the slope were exhibited linear type from the beginning, and exponential type was appeared to approaching failure. In case of increasing infilling thickness, the slope cleary showed exponential behavior of tertiary creep type. For constant head condition, water pressure was kept at 97% of failure pressure. Slope behavior showed secondary creep type from the beginning, and tertiary creep type of deformation exhibited at final stage. The exponential type of deformability was predominant for sliding planes having thick infillings. These arise from the fact that, once the infilling thickness exceeds asperities, strength and deformability of sliding plane is controlled by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the infilling materials. It seems possible to estimate failure time using the inverse velocity method for sliding plane having exponential type of deformability. However, it is necessary to estimate failure time by trial and error basis to predict failure of the slope accurat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