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 대학 공연장의 활성화 방안 연구 : 동서대학교 소향씨어터를 중심으로

        송대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2012년 7월 해운대구 센텀시티에서 작곡가 이영훈의 노래를 쥬크박스(Juke Box) 형식의 뮤지컬로 제작한 작품 ‘광화문 연가’ 공연의 화려한 막을 올리며 동서대 소향씨어터의 문을 열었다. 소향씨어터는 그간 부산지역에서 무대시설 인프라의 한계와 운영상의 제약 등으로 인해 시도할 수 없었던 대형뮤지컬 작품의 장기 공연을 기획·제공하였으며, 이는 부산지역 공연예술시장이 확장 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동서대 소향씨어터가 설립된 배경은 기업의 메세나 활동과 그 맥락이 같다고 볼 수 있다. 예술대학을 보유한 동서대학교는 부산지역의 전문공연시설 부재에 대한 인식과 시민들의 공연 향수 환경 개선을 위해 기존의 시설과 차별되는 공연 공간 구축을 목표로 소향씨어터를 설립하였다, 부산지역에 제대로 된 무대설비를 갖춘 최초의 공연장인 부산시민회관이 세워진지 50년이 지난 2022년 현재 부산지역에는 국·공립 공연장 31개와 민간 공연장 포함 97개의 공연장이 운영 중이며, 2,000석 이상의 대형 공연장 두 곳이 현재 건축 중에 있다. 공연장의 설립과 운영에는 막대한 재원이 소요된다. 2024년 완공 예정인 북항 오페라 하우스의 건축비는 3,050억 원이며 연간 운영비는 151억 원으로 추산되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가 공연장 건립을 통해 지역 예술 생태계의 균형 있는 발전과 시민들의 문화 복지를 실현한다는 계획은 환영 받을 일이지만 국가 예산 집행의 비용효율적인 차원에서는 다각도의 연구와 검토를 통해 신중한 판단이 전제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무분별한 공연장 건립을 지양하고 국가 예산의 효율적인 집행을 위한 대안으로써 대학 공연장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부산지역에는 현재 22개의 대학교가 교통이나 편의시설 면에서 입지 조건이 잘 갖추어진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이들 학교는 대부분 학내·외 행사를 위한 강당이나 공연장을 보유하고 있다. 시설의 규모와 수준은 대학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공연장의 기본 인프라인 객석과 무대시설을 모두 갖추고 있어서 얼마간의 시설 개보수와 확충을 거치면 문화 공간 활용에 있어 훌륭한 대체 자원이 될 수 있다. 또한 음악인과 연극인을 양성하는 예술 학부를 두고 있는 대학에서는 공연 예술가 인큐베이터 역할 수행에 최적의 장소이다. 본 논문은 대학 공연장 활성화 방안 연구를 위해 먼저 관련 선행연구의 분석과 문헌조사를 통해 대학 공연장의 개념과 범주를 살펴보고, 부산지역의 대학 공연장과 민간 공연장의 통계자료 분석과 현지실사 및 실무자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부산지역 공연 예술 관련 전문가들의 대학 공연장에 대한 객관적이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학교, 언론, 공연 기획사, 예술인, 문화재단 등에 소속된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와 함께 2012년 개관한 동서대 소향씨어터를 주요 사례로 선정하여 시설현황과 운영현황을 분석하여 대학 공연장이 지역의 주요 문화 거점으로써 어떠한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대학 공연장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필요한 전제 조건과 실현 방안을 모색하였다. 동서대 소향씨어터는 공연장 인프라의 전문성을 통해 이용자들에게 높은 만족도를 실현하고, 대학의 브랜드 가치를 상승시켰으며, 부산지역 공연산업 성장을 견인하였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있는 반면 내부적으로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경영전략의 필요성과 함께 지역 문화공간으로써의 역할 부족 등이 문제점으로 파악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의 중심 사례인 동서대 소향씨어터의 운영 사례를 통해 도출된 성과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전문가들의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지역대학 공연장의 사회적 기능 확장과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대학은 공연장의 건립과 운영에 있어 전문적인 시설과 환경을 구축하고 이를 운영할 전문 인력의 확보를 통해 양질의 공연예술 콘텐츠를 개발하여 제공한다. 둘째, 대학 공연장의 사회적 기능 확산 방안으로써 대학 공연시설과 교육시설 인프라를 활용하여 학생들과 지역민들 대상 예술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지역 예술인들의 양성을 지원하는 인큐베이팅 시스템을 활성화 한다. 이와 함께 대학 공연장과 민간공연단체, 정부가 연계하여 지·산·학 협력 사업 추진으로 지역 예술 생태계의 선순환 환경을 조성한다. 셋째, 대학 공연장 경영의 효율성 강화를 위해 안정적인 재원 조성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관객 개발을 위한 전략적 마케팅 활동을 전개한다.

      • Human Avatar and Panorama Generation for Virtual Reality

        송대영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학위논문에서는 실감적인 소통의 장을 구현하기 위해, 파노라마 이미지의 생성과 이에 입력하여 주체적으로 소통할 디지털 인간 모델의 복원 기술을 제안한다. 단일 각도의 입력 만으로 모델을 복원하는 것은 분명 경제적이나, 단일 입력 상에서 관찰할 수 없는 폐색 영역 복원을 실시하기 난해하다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파라미터 기반 모델을 보조입력으로 사용하는 경우, 자세 정보 만으로는 깊이 모호함이나 의상, 머리카락 등 세밀한 정보를 복원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깊이 맵 투영과 이미지-이미지 변환 보조 신경망을 사용해 두 가지 어려운 문제를 극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추가적으로, 딥러닝 신경망을 통해 파노라마 이미지를 구성하기 위하여 완전한 360 정답 이미지없이 이미지 스티칭을 훈련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비용이 큰 라벨링 절차없이 빠른 속도로 강인한 이미지 스티칭을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thesis, I propose a reconstruction method to digitize a human model and a stitching method to generate panoramic images to implement a immersive field of telecommunication. 3D reconstruction with only a single input is economical, but there is a difficulty in estimating occluded areas that cannot be observed on a single input. In addition, when a parametric model is used as an auxiliary input, there is a limitation of depth ambiguity only with its pose information, and it is difficult to estimate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clothes and hair. Therefore, depth map projection and image-image transformation are developed to overcome two challenging problems. Then, a method for training image stitching without a complete 360 ground truth image is proposed to construct a panorama image through a deep learning neural network. Through the proposed method, content-aware and faster stitching becomes possible without a costly labeling procedure.

      • 안드로이드용 공공도서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에 관한 연구

        송대영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스마트 기기를 통한 정보의 이용이 급증함에 따라 새로운 정보격차가 나타나고 있는 상황에서 지식정보에 대한 접근권을 보장해야 하는 공공도서관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공평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접근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공공도서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의 취약점을 분석하고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공공도서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25개를 대상으로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3년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평가지표」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접근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분석 대상 25개의 안드로이드용 공공도서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접근성 평가결과를 항목별로 분석한 결과, 12개의 접근성 항목 중 ‘대체 텍스트’가 가장 낮은 준수율을 보였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관성’이 가장 높은 준수율을 보였다. 분석 대상 25개의 평균 접근성 평가점수는 54.9점으로 낮은 수준의 평가결과를 보였으며, 국가 수준 도서관들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접근성 평가점수도 평균 평가점수(54.9점)보다 낮은 결과를 기록하였다. 분석 대상 25개의 애플리케이션별 접근성 평가점수에 큰 영향을 미친 항목은 ‘대체 텍스트’와 ‘초점’ 항목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안드로이드용 공공도서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접근성 제고를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체 텍스트’와 ‘초점’을 필수적으로 구현해야 한다. 둘째, ‘소장자료검색’이나 ‘로그인’의 입력 서식에 대해서는 음성안내를 제공해야 하며, 지도나 좌석 현황과 관련된 콘텐츠 역시 접근성을 고려하여 제공하여야 한다. 셋째, ‘오디오북’, ‘화면확대 기능’, ‘음성입력 기능’ 등과 같은 도서관 콘텐츠의 특성에 맞는 접근성 기능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넷째, 국가 차원의 정책개발과 준수에 대한 법적 강제성을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며, 도서관용 접근성 지침을 마련하고 접근성 지침이 충족된 애플리케이션 모델을 제작하여 보급해야 한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표본 모델을 제작하였다. 접근성 지침을 모두 준수한 표본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공공도서관에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접근성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Amidst the rapidly growing access to information via smart devices and the subsequent advent of a new digital divid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hether public libraries whose key role is to ensure accessibility to knowledge and information are offering equal services to users via mobile applications. To this end, we assessed the accessibility of mobile applications, identified and analyzed weaknesses and suggested ideas for improvements. Using the ‘2013 Mobile Application Accessibility Evaluation Index’ developed jointly by the Ministry of Science, ICT& Future Planning and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we manually evaluated 25 Android-based mobile applications offered by public libraries. Twelve criteria were used to evaluate the accessibility of 25 Android-based mobile applications offered by public libraries and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mpliance rate of those 25 mobile applications was the lowest in terms of ‘alternative text’ whereas it was the highest in ‘user interface consistency.’ The average accessibility of 25 mobile applications was just over the median with 54.9points, but the figures for national libraries were lower. The most influential criteria in the assessment were ‘alternative text’ and ‘focus.’ The implications of the assessment result for enhanced accessibility of Android mobile application were as follows: First, mobile applications must satisfy ‘alternative text’ and ‘focus’ requirements. Second, they should offer audio description for ‘material search’ or ‘log-in’, and location-related contents such as map or seat status need to be closely link to accessibility. Third, access functions tailored to specific library contents, such as ‘audio book’, ‘zoom-in/out’ and ‘voice typing’ need to be developed and adopted. Fourth, national policy development and compliance should be made compulsory. Mobile application accessibility guidelines for public libraries need to be developed, and mobile applications following such guidelines need to be designed and distributed. Based on the mobile application accessibility study, we have developed a standard model for a mobile application of a public library. We believe that this standard model developed based on the mobile application accessibility guidelines will make mobile applications of public libraries more accessible and contribute to developing more enhanced new mobile applications.

      • 멀티코어 시스템에서 TLB Lockdown을 통한 TLB Miss 분석

        송대영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대부분의 범용 운영체제는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상 메모리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가상 메모리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페이지 테이블 워크(Page Table Walk)와 페이지 폴트(Page Fault)는 하위 메모리 계층 접근으로 인한 지연 시간이 발생하며 확률적 특성으로 예측하기 어렵다. 태스크의 WCET(Worst-Case Execution Time) 분석이 요구되는 실시간 시스템에서 가상 메모리를 사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지연 시간과 확률적 특성은 태스크의 WCET를 비관적으로 측정하게 한다. 따라서, 과거 제한된 시간 내에 요청된 작업의 수행을 보장해야 하는 실시간 시스템에서는 가상 메모리가 적용되지 않았다. 프로세서와 메모리의 성능이 발전되고 실시간 운영체제 기술이 더욱 정교해짐에 따라 실시간 시스템의 메모리 관리 방법으로 가상 메모리를 적용할 수 있다. 최근 안전 필수 실시간 시스템(Safety-Critical Real-Time System)은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가상 메모리를 적용하고 있다. 안전 필수 실시간 시스템에서 가상 메모리는 프로세스 간 메모리 영역을 분할하여 잘못된 주소 접근으로 인한 오류 방지, 오류 격리 등을 통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장한다. 강력한 메모리 보호 기능을 이외에도 메모리 단편화 감소로 인한 효율적인 메모리 사용, 메모리 관리의 단순화 등의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 실시간 시스템에서 가상 메모리가 제공하는 장점은 가상 메모리 사용으로 발생하는 비결정적 요소보다 가치가 큰 것으로 간주한다. TLB(translation look-aside buffer) 는 프로세서가 가상 주소를 물리 주소로 변환할 때 사용되는 캐시로 소형 임베디드 디바이스부터 고성능 서버의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최근 접근한 가상 주소 변환 정보를 저장하는 TLB는 물리 주소 변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페이지 테이블 접근 횟수를 감소시켜 프로세서의 성능 및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한다. 프로세서는 가상 주소를 물리 주소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가장 먼저 TLB에 접근한다. TLB에 요청한 가상 주소 변환 정보가 없는 경우 TLB miss가 발생하며, 프로세서는 메인 메모리에 위치한 페이지 테이블에 접근하여 페이지의 가상 주소 정보를 검색하는 페이지 테이블 워크 작업을 수행한다. 페이지 테이블 워크 작업은 메인 메모리 접근으로 인한 지연 시간이 발생하며, 확률적 특성으로 인하여 예측이 어렵기에 태스크의 WCET를 비관적으로 측정되게 한다. 따라서, 실행 중인 태스크에서 발생하는 TLB miss 감소시켜 태스크의 WCET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 父의 職業과 女高生의 社會倫理 意識關係 實態分析 硏究

        송대영 朝鮮大學校 敎育大學院 1986 국내석사

        RANK : 248639

        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epare reference materials upon which we can contribute to the education of ethic. In advance le'd like to look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job and high school girl's the social consciousness and into how significance of them. 2. Method (1) Using questionaire composed of 12 items based the carter of national education in Korea, objects ; 500 girl pupils in JunJu and Jung Ju city. (2) Treatment ; The answer to questionaire was composed five stage and if answer would be placed one stage, the score was calculated 5 points. The mean of the sum scare in each item was replaced the ratio per 10 points. The result from the data was identified the significant with x^(2) and F stafistical method. 3. Conclusion The conclusions from this study result are as follows (1) Referencing the carter of national education in Korea, high school girl's social ethic consciousness is mostly desirable but purticularly sincerity and service traits is lower than others. The ethic teacher should be caulious of this fact. (2) Referencing job, the student from their father's job,(the agricultural and official job) represents trait which the service and sincerity IS lower score in the agricultural and the sincerits is lower score in the official Job. (3) The common factor among jobs is sincerity shorted.

      • 결함 접지 구조를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 설계

        송대영 광운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에서는 DGS (Defected Ground Structure) cell을 이용하여 접지면을 식각한 마이크로스트립 형태와 Coplanar Waveguide(CPW) 형태의 저역통과 여파기를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Microstrip DGS 저역통과 필터의 크기는 DGS Cell 2개를 이용한 필터인 경우에는 15 mm x15 mm 이다. 반면 CPW DGS 저역 통과 괼터의 크기는 DGS Cell 3개를 이용한 필터인 경우에는 22.5 mm x 15 mm 이며, DGS Cell 4개를 이용한 저역 통과 필터인 겅우에는 30 mm x 15 mm 이며, 회로에 사용한 기판은 유전상수 εr=2.52, 유전체의 높이 h=0.54 mm, 도체의 두께 t=0.018mm 인 Teflon 기판을 사용하였다. 결과적으로 DGS Cell을 이용한 저역 통과 괼터들은 차단 주파수가 6.8 GHz, 2차 및 3차 고조파 성분 억압이 약 20 GHz까지 저지대역에서 약 20 dB 이상의 감쇄가 이루어지고, 통과 대역에서의 삽입 손실도 1dB 이하인 비교적 우수한 저역 통과 필터로 설계되었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저역 통과 필터는 무선 통신 부품에 다양한 형태로 응용이 가능하리라 기대된다.

      • 배스 추출 저분자 콜라겐 펩타이드의 조직 병리학 및 세포 독성 안정성에 관한 연구

        송대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배스(큰입배스, Micropterus Salmoide)는 국내 생태계 교란종으로 이용가치가 없어 구입 후 전량 폐기되고 있다. 버려지는 배스를 활용하는 것은 생태계 와 자원 재활용 측면에서 모두 중요하기 때문에 배스의 이용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법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배스에서 콜라겐을 추출하고 이 물 질의 세포독성 및 조직병리학적 안정성을 체외 및 생체 내에서 평가하는 것 을 목표로 한다. 배스 콜라겐을 추출하기 위해 먼저 배스를 작은 조각으로 자른 다음 80℃의 증류수에 1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다. 추출액을 200 mesh (≤ 127 μm)에 여과한 후에 상온에서 3000 rpm (1736 g) 조건으로 15분간 원심분리한다. 상층액을 획득 후 0.1%(v/v)의 알칼레이즈를 60℃에서 30분간 처리한 후 80℃에서 20분간 비활성화한다. 이후 60℃의 열풍 건조기에서 하 룻밤 건조하고 분말화한다. SDS-PAGE 을 실시하여 배스 추출물에 α-chain 은 100~150 kDa 사이에 존재했고, β-chain 은 250 kDa, γ-chain 은 280 kDa 부근에 위치한 것을 확인하였고 알칼레이즈를 처리했을 때 콜라겐이 10 kDa 이하로 저분자화되는 것을 밴드를 통해 확인하였다. Collagen assay kit 을 사용하여 배스 추출물 내 단백질 총량 대비 콜라겐은 약 60% 존재하 는 것을 확인하였다. DPPH-assay 을 진행한 결과 배스 콜라겐(Bass collagen, BC)와 알칼레이즈 처리 배스 콜라겐(Alcalase treated Bass collagen, ABC)에서 각각 66%, 78%로 항산화 효과가 나타났다. 배스 추출물 을 처리한 RAW264.7 세포에서 세포독성은 발견되지 않고, BC 와 ABC에서 각각 151.65%, 165.04%의 높은 cell viability 을 나타냈다. 배스 추출물을 4주 동안 2일 간격으로 급이한 ICR 에서 적출한 장기는 형태학적 이상을 보이지 않았다. 최종적으로 배스 추출물은 세포 독성 및 장기 독성을 나타내지 않 고 높은 콜라겐 함량과 항산화능을 포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기 되는 배스로부터 콜라겐을 추출해 배스를 산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 을 개발하였다. The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 is an ecosystem-disrupting species in South Korea and has no use value, so it is completely discarded after purchase. Using the discarded bass is important in terms of resource recycling,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ethod for increasing the use value of the bass. This study aims to extract valuable fish collagen from bass and assess the cytotoxic and histopathological stability of this substance both in vitro and in vivo. In order to extract bass collagen, the bass was first cut into small pieces and then immersed in distilled water at 80 ℃ for 1 hour, then the aqueous solution was filtered through 200 mesh (≤ 127 μm). The Solution was centrifuged at 3000 rpm (1736 g) for 15 minutes at room temperature. After taking the supernatant, 0.1% (v/v) of alcalase was treated at 60℃ for 30 minutes and then inactivated at 80℃ for 20 minutes. The solution was dried overnight SDS-PAGE analysis confirmed the presence of α-chains between 100-150 kDa, β-chains at 250 kDa, and γ-chains around 280 kDa in the bass extract. In addition, bass collagen became a low molecular weight of below 10 kDa after alcalase treatment. Using a Collagen Assay Kit, The purity of the bass collagen was approximately 60% of the total protein content in the bass extract. DPPH-assay showed that the antioxidant activity of bass collagen(BC) and alcalase-treated bass collagen(ABC) was 66% and 78%, respectively. RAW264.7 cells treated with bass extract showed no cytotoxic effects. Both BC and ABC demonstrated enhanced cell viability, with values of 151.65% and 165.04%, respectively. The organs extracted from the ICR fed with the bass extract for 4weeks did not show any major morphological abnormalities. As a result, the bass extract demonstrated high collagen content and antioxidant capabilities without indicating cellular or organ toxicity. Thus, this study developed a technique for extracting collagen from discarded bass for potential industrial ap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