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산루카르 데 바라메다: 피아노를 위한 회화적 소나타》 Op. 24 분석을 통해 발견한 투리나의 음악 어법

        백주연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39

        19세기 중반에 시작된 민족주의 운동은 펠리페 페드렐과 페데리코 올메다에 의해 스페인에서도 각광받기 시작하였다. 그들은 스페인 민속 어휘들을 수집하고 적극적으로 음악에 적용하며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초석을 만들었고 이러한 영향으로 스페인의 대표 민족주의 작곡가인 이삭 알베니스, 엔리께 그라나도스, 마누엘 데 파야 그리고 호아킨 투리나가 배출되며 스페인 건반 음악의 르네상스를 가져왔다. 이러한 부흥을 이끈 작곡가 중 한 명인 투리나가 1921년에 작곡한 ⟪산루카르 데 바라메다⟫Op. 24는 ‘피아노를 위한 회화적 소나타’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 작품으로 투리나의 특징적 음악 어법인 신고전주의, 인상주의, 그리고 민족주의적 작곡기법을 모두 발견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작품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루카르 데 바라메다⟫Op. 24를 분석함으로 작곡가로서의 투리나를 조명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투리나에게 영향을 미친 20세기 음악 사조는 무엇인지’ 그리고 ‘투리나 피아노 작품 전반에 나타나는 특징적 작곡 기법은 무엇인지’ 마지막으로 ‘투리나의 창의적 음악 어법이 어떻게 ⟪산루카르 데 바라메다⟫Op. 24에 녹아들어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투리나의 특징적 작곡기법은 신고전주의적 특징과 인상주의적 특징, 민족주의적 특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요소들은 ⟪산루카르 데 바라메다⟫Op. 24에서 모두 등장하며 투리나만의 독특한 음악 어법을 만들어냈는데 그가 적용한 두드러지는 작곡기법은 1) 순환형식의 적용, 2) 푸가 기법과 형식의 적용, 3) 회화적 타이틀의 적용, 4) 인상주의적 색채감이 풍부한 화성 어휘의 사용, 5) 교회선법과 민속 음계의 사용, 6) 스페인 민속춤에서 파생한 박자와 리듬의 적용, 7) 스페인 민속 악기의 음향과 주법의 모방 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가 스페인 음악에 친숙하지 않은 이들에게 지적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자료로 사용되어, 국내에 잘 알려지지 않은 투리나의 피아노 작품들이 연주자들의 새로운 레퍼토리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Nationalism, which began in the mid-19th century, was spotlighted in Spain by Felipe Pedrell and Federico Olmeda. They collected Spanish folk vocabulary and proactively applied it to music, laying the cornerstone of Spanish nationalist music. This resulted in the appearance of Spain’s leading nationalist composers, Issac Albeniz, Enrique Granados, Manuel de Falla, and Joaquin Turina, bringing about a renaissance in Spanish keyboard music. ⟪Sanlúcarde de Barrameda⟫ Op. 24, subtitled “Sonata pitoresca para piano” and composed in 1921 by Joaquin Turina, who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Spanish composers of the 20th century, is a meaningful work with all of his distinct musical syntax: neo-classicalism, impressionism, and nationalistic compositional techniques. Therefore, by analyzing ⟪Sanlúcarde de Barrameda⟫Op. 24, this study aimed to shed light on Turina as a composer, the musical trends of the 20th century that influenced him, the characteristic compositional techniques that appeared in his piano works in general, and how his creative musical language was absorbed into ⟪Sanlúcarde de Barrameda⟫Op. 24. The results suggested that Turina’s characteristic compositional techniques were: neoclassical, impressionistic, and nationalistic. These elements are all found in ⟪Sanlúcarde de Barrameda⟫Op. 24, and developed into his own unique composition style. The noticeable compositional techniques he applied were: 1) the application of a cyclic form, 2) the application of techniques and forms of fugue, 3) the application of pictorial titles, 4) the use of a harmonious vocabulary rich in impressionist colors, 5) the use of melodies based on church modes and Spanish traditional scales, 6) the application of meters and rhythms derived from Spanish folk dance, and 7) an imitation of the sound and playing techniques of Spanish folk instrument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material to stimulate intellectual curiosity to those who are not familiar with Spanish music, and that Turina’s piano works, which are not well known in Korea, can be used as a new repertoires for musicians.

      • 뇌졸중 환자의 증상별 퇴원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백주연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individualized symptom-based discharge education for stroke patients on knowledge about preventing recurrent stroke,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self-efficacy. Data collection and experimental management were conducted on stroke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neurologic department of K University Hospita from August. 1. 2011 to March. 20. 2012.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2 patients (intervention group 20, control group 22). The educational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research results regarding educational needs of stroke patients and care-givers and also on recommendations from the American Stroke Association and Korean Stroke Society. It consists of six domains (hemiparalysis, speech disorder, swallowing difficult, dysesthesia, cognitive disorder and visual disturbance) and was confirmed by 6 experts (2 professors in nursing college, 1 neurologist, 1 head nurse and 2 nurses in neurology ward with experience more than 5 years). To avoid contamination between groups, we recruited a control group (n=22) which received usual discharge education. the intervention group (n=20) received individualized symptom-based discharge education 7~10 days after admission, and repeated education and counseling on the discharge day. At baseline and two weeks following the discharge, the knowledge about preventing recurrent stroke,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self-efficacy were measu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core of knowledge about preventing recurrent stroke was higher in the intervention group than the control group(t=3.74, p=.001). 2. The scor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higher in the intervention group than the control group(t=4.38, p<.001). 3. The score of self-efficacy was higher in the intervention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t=3.32, p=.002). These results show that a symptom based discharge education program i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ol which enhances knowledge about preventing recurrent stroke,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self-efficacy of stroke patients. Since stroke patients report different symptoms based on the damaged region in their brain, individualized symptom-based education may be more effective rather than usual discharge education on knowledge about preventing recurrent stroke,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self-efficacy.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입원한 환자들의 이차예방을 위한 증상별 퇴원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뇌졸중 이차예방 지식, 뇌졸중 건강증진행위, 뇌졸중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행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이다. 자료수집 및 실험처치는 2011년 8월 1일부터 2012년 3월 20일까지 D광역시 소재 K 대학병원 신경과 병동에 입원한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총 42명(실험군 20명, 대조군 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증상별 프로그램 개발은 뇌졸중 환자와 돌봄제공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요구도관련 선행연구와 American Stroke Association, 대한뇌졸중학회의 교육자료를 바탕으로 하였다. 교육내용은 6개의 영역(마비, 언어장애, 삼킴장애, 감각장애, 인지장애, 시야장애)로 나누어 구성하였으며 6명의 전문가(간호학 교수 2인, 신경과 의사 1인, 신경과 병동 수간호사 1인, 신경과 병동 5년 이상 간호사 2인)에게 타당도를 검정하였다. 실험군(n=20)은 입원 7~10일 후 증상별 퇴원교육 프로그램을 교육하였고, 퇴원 당일 질의응답 및 상담실시, 유인물을 제공하였다. 사전조사를 실시하고, 퇴원 2주 후 외래방문시 뇌졸중 이차예방 지식, 뇌졸중 건강증진행위, 뇌졸중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 1가설: ‘증상별 퇴원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일반적인 퇴원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뇌졸중 이차예방 지식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3.74, p=.001). 제 2가설: ‘증상별 퇴원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일반적인 퇴원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뇌졸중 건강증진 행위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4.38, p<.001). 제 3가설: ‘증상별 퇴원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일반적인 퇴원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뇌졸중 자기효능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3.32, p=.002). 이상의 결과에서 증상별 퇴원교육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뇌졸중 이차예방 지식, 뇌졸중 건강증진행위, 뇌졸중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효과적인 간호중재임이 확인되었다. 뇌졸중은 손상된 병변 부위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이 다르므로 증상별 퇴원교육이 일반적인 퇴원교육 보다 뇌졸중 이차예방지식, 뇌졸중 건강증진행위, 뇌졸중 자기효능감에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 사물인터넷(IoT)기반 반려동물 제품의 서비스디자인 제안 연구 : 반려동물 건강 및 활동모니터 제품을 중심으로

        백주연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오랜 기간 인류문명과 함께하고 있는 반려동물은 과거에는 즐거움을 주는 동물에서 현재에는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는 동반자로써 그 역할이 변화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는 반려동물 시장의 활성화를 불러일으켰고 현재는 반려동물 제품에 IoT 기술이 적용되면서 케어 서비스, 건강관리 서비스, 위치 추적 원격 관리가 가능한 커뮤니케이션 기능의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위와 같은 IoT 기반 반려동물 제품은 반려인 위주의 제품개발로 제품 사용에 있어 실용성이 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장기적으로 IoT 기반 반려동물 제품 시장 성장에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반려인 중심의 IoT 기반 반려동물 제품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통해 개선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IoT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IoT의 특징을 파악하고 IoT 기반 반려동물 제품의 요소를 도출하여 현재 IoT 기반 반려동물 제품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파악한 내용을 바탕으로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 중 하나인 사용자 여정 지도(Customer Journey Map)를 활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분석이 강화된 ‘사물인터넷(IoT) 사용자 분석 방법론’을 개발하여 서비스 블루프린트(Service Blueprint)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IoT는 사용자, 환경, 기술의 특징이 있으며 사용자, 환경의 경우 제품의 편의성 혹은 만족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특징이며, 기술의 경우 제품을 실현가능하게 해주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IoT 기반 반려동물 제품을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편의성 혹은 만족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확장사용자와 환경을 중심으로 디자인 고려요인으로 포함하여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둘째, IoT 기반 반려동물 제품의 경우 제품 사용 환경이 확장되고 있어 기존의 제품처럼 사용 환경과 사용자를 예측하고 디자인하기 어려워지고 있으므로 시나리오와 다양한 사용 환경 분석 도구를 통해 사용 환경과 사용자를 예측하여 디자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사물인터넷(IoT)기반 반려동물 제품 분석을 통해 기존에 사용자로 고려하지 않았던 반려동물을 사용자의 입장으로 규정하고 제품 개발 시 확장사용자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는 점과 향후 사물인터넷(IoT) 제품개발에 있어 다양한 디자인접근을 가능케 했다는 점에 연구에 의의가 있다.

      • 기업위기와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으로서 TV 기업광고에 대한 연구 : 내용분석과 실증연구 중심

        백주연 홍익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research, recognizing frequent publication of domestic corporate crisis news on the press and the media, expresses a deep concern and discusses the necessity of corporate crisis and crisis communication. Especially, the moral hazards of domestic corporate CEOs and the consequential owner risks, such as Gap-jil issues, has been raised onto the spotlight. Therefore, this research attempts to conduct a content analysis on corporate television advertisements produced as a means of corporate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and identify their audience effects. Supported with such background information, this research set up the following three objectives first, this research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on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domestic corporate crises in years 2007-2018 via the first research. Second, laying the results of the first research as a foundation, the second research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corporate television advertisements produced as a means of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Third, laying the first and the second research as a foundation, the third research explored the audience effect of the advertisement expression types of corporate television advertisements for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via experimental research.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research objectives, 323 cases of domestic corporate crisis were selected to set up 8 research problems 56 on-aired advertisements that were produced as a means of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were also selected among 564 terrestrial corporate television advertisements, in order to establish 5 research problems. Furthermor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udience effect of authenticity and public relationship, a 2x3 cluster factorial design, categorized by corporate crisis type (internal/external) and advertisement expression type (direct-matching expression type / indirect-matching expression type/irrelevant-matching expressiontype) was conducted. Utilizing such experimental design, 2 research problems were arranged, and a survey on 365 adult male and female population in South Korea was conducted. In conclusion, 2 content analysis research and a related experimental research were conducted from a total of 15 research topics the following describes the conclusion of these analyses. [Research 1 : Corporate Crisis Content Analysis] First, a corporate’s number of crisis cases generally increased as time passed by. Second, this research observed different types of crisis-experiencing corporates and analyzed them by business types and sizes. Manufacturing businesses, for business types, and large conglomerates, for business size, were most likely to experience the most crisis cases. Third, internal causes were selected as the main cause of corporate crisis. Crisis type by crisis clusters were most prevalent in the order of preventable cluster, accidental cluster, others, and victim cluster. Fourth, the day of crisis for corporate crisis response speed, apologies for crisis response strategy, corporate website for crisis response media was identified to be most suitable measure for corporates to take. Finally, apologies had the highest suitability measured for response types, and “none” was selected for the reputation management regarding corporate crisis. [Research 2 : Content Analysis of Corporate Television Advertisements produced as a means of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First, corporate television advertisements were fervently produced from 2007 to 2009 in general, with its peak production in year 2007. Second, an overwhelming majority of the advertising appeal strategies was the emotional appeal, and image advertising was most widely used among varying advertisement genres. Third, non-professional models were most likely to be used as a type of TV advertisement model, and full color advertising was the most prevalent advertisement color preference. Finally, regarding the linguistic elements of advertisements, statements were most frequently used over other elements irrelevant-matching expression types was the vast majority in the case of the linguistic elements of video images. [Research 3 : Corporate Crisis Types and Experiment Result by Advertisement Expression Types] As a result, the main effects and the interactions of crisis types and advertisement expression types were both conclud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Under the following basis, this research has conducted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analyses of response speed, response strategy, response media, response types, and reputation management of corporate crisis and their trend in the past decade of Korean society. Specifically, it did not only conduct a mere context analysis on corporate crisis but also an organized and overarching analysis of corporate crisis by understanding its interaction and association with corporate television advertisements produced as a means of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Furthermore, this research verified the audience effect of corporate television effect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described above, thus expanding and stressing the importance of the currently underemphasized research domain of the TV Commercials as a means of corporate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This research, consequently, could provide a potential domain of discussion and investigation on the following first, this research confirmed that Korean corporates have crisis types distinctive from the western world, such as owner risk and Gap-jil, which indicate that distinctiv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should also be taken into account in future crisis management researches. Ultimately, it provides distinctive and novel viewpoint which expands further research in corporate crises and their management. Second, this research conducted a comprehensive content analysis of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crisis types, crisis response methods, reputation management, and other factors of the Korean corporates in the past decade. Thus, by analyzing the behavior of corporate crisis management, it henceforth provides a strategic guideline for corporates to take into account when managing crises. Finally, this research suggests a practical blueprint for corporates to produce and broadcast corporate television advertisements as a means of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본 연구는 각종 언론과 미디어를 통해 빈번하게 접하고 있는 국내 기업들의 위기관련 보도들을 접하면서 기업위기의 중요성에 대한 문제인식을 가지고 출발하였다. 특히 기업 CEO들의 지나친 도덕적 해이가 빚은 오너 리스크(owner risk)로 인한 갑질 등의 기업위기 현상들을 목도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위기 유형에 대한 경향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기업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으로서 제작된 TV 기업광고들에 대해 내용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분석을 바탕으로 기업이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으로 제작한 TV 기업광고에 대한 수용자 효과를 함께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배경 하에 설정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1을 통해 2007년 ∼ 2018년 까지 국내 기업의 위기 특징과 경향에 대해 용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둘째, 연구 1의 결과를 바탕으로 위기가 발생한 기업에서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으로 제작한 TV 기업광고의 특징과 경향에 대해 내용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셋째, 연구 1과 연구 2의 결과를 토대로 기업의 위기유형과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으로 제작한 TV 기업광고의 광고표현유형에 따른 수용자 효과에 관해 실험연구를 통해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국내 기업 위기 건수 323개를 추출하여 8개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으며, 지상파 TV 기업광고 564편중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으로 제작하여 On-Air된 56편의 광고를 추출하여 5개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또한 진정성(authenticity)과 공중관계성(public relations)에 대한 수용자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기업 위기유형(내부적(internal) / 외부적(external))과 광고표현유형(직접 / 간접 /무관(irrelevant))에 따른 2×3 집단 간 요인설계(factorial design)를 통해 2개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전국의 성인 남·여 36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론적으로 총 15개의 연구문제를 도출하여 2개의 내용분석 연구와 이에 따른 1개의 실험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1: 기업위기 내용분석] 결과 첫째, 기업의 위기발생 건수는 전반적으로 시간이 흐를수록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기발생 기업의 유형을 살펴본 결과 업종에 있어서는 제조업이, 기업 규모에 있어서는 대기업이 압도적으로 기업 위기를 많이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의 위기발생 원인에 있어서는 내부적인 원인이, 위기유형 집단(crisistype by crisis clusters)에 있어서는 예방집단(Preventable cluster), 사고집단(Accidental cluster), 기타, 희생자 집단(Victim cluster)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업의 위기 대응시점은 사건 당일에 바로 대응한 경우가, 위기 대응전략에 있어서는 사과전략이, 위기 대응매체에 있어서는 자사 웹 사이트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응유형에 있어서는 사과의 적합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업 위기에 따른 평판관리는 없음(none)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구 2: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으로서 제작된 TV 기업광고에 관한 내용분석] 결과 첫째, TV 기업광고의 수는 2007년이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2007년부터 2009년 사이에 많이 제작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광고소구전략은 감성적 소구가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광고 장르에 있어서는 이미지광고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셋째, 모델유형에 있어서는 일반인 모델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광고의 색은 컬러의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광고의 언어적 속성에 있어서는 평서문이, 영상 이미지에 따른 언어적 속성에 있어서는 무관한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게 나타났다. [연구 3: 기업 위기유형과 광고표현유형에 따른 실험연구] 결과, 위기유형과 광고표현유형에 따른 주 효과와 상호작용효과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맥락에 의해 수행된 본 연구는 지난 10여 년 간 한국사회에서 발생한 전반적인 기업의 위기유형을 비롯하여 대응시점, 대응전략, 대응매체, 대응유형, 평판관리 등 기업위기와 관련하여 그 경향과 추이에 관하여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연구를 진행했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특히 기업위기 내용분석 뿐 만 아니라 기업이 위기극복을 위한 커뮤니케이션전략으로 제작한 TV 기업광고를 함께 연계하여 분석을 진행함으로써기업위기와 관련하여 유기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했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또한 이와 같은 내용분석 결과를 통해 TV 기업광고에 관한 수용자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기업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 측면에 있어 영상광고와 관련한 연구 영역의 확장에 기여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첫째, 기업위기에 관한 내용분석을 통해 서양과는 다른 오너 리스크, 갑질과 같은 한국형 기업 위기유형이 존재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향후 위기유형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 사회·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연구가필요하다는 사실을 의미하는 것으로 기업 위기에 관한 연구를 확장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학문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내용분석을 통해 지난 10여 년 간 국내 기업의 위기변화, 위기유형, 위기 대응 방법, 위기 시 평판관리 등 전반적인 국내 기업의 위기에 관한 경향과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국내 기업들의 위기에 있어 참고자료를 제공하는 한편 전략적인 지침을 마련하였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실험연구를 통해 위기극복을 위해 기업이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으로서 TV 기업광고를 제작하고 송출하는데 전략적인 지침을 제공했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조선 초기 王室婚禮의 정비와 그 성격

        백주연 동국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Since the early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Joseon has made efforts to establish a national ritual based on the Neo-Confucianism order based on Confucianism. The effort was shown by the reorganization of the five rites, and at last the national rite was made into a compilation of the 『National Five Rites』. Five rites are a Confucian ritual composed and implemented with the king at the peak. Among them, the royal wedding ceremony was directly related to the royal authority, including the king. In addition, the wedding of the king and the crown prince was considered important at the national level as the beginning of the work to produce descendants to inherit the royal family and preserve the Jongmyo and Sajik. In the Taejo Period, the reorganization of the four ceremonial occasions of coming of age was emphasized in the determination to make Joseon a Confucian state. First, the ritual was arranged in the Taejong Period. In the Sejong Period, based on this, the research was actively conducted in consideration of the overall readjustment of the five rites. Five rites, which was organized at this time, was included in the 「Five Rites」 of 『Annals of King Sejong』. Among them, the 「auspicious ceremony」 was used as a means to secure the legitimacy of the king's rule and to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In particular, the royal wedding ceremony was established in a way that allowed the king to realize virtue, strengthen the legitimacy of the royal authority, and enhance the authority of the royal family. Discussions on the establishment of such royal wedding ceremony have been active since the Sejong Period. The discussions in the 8th and 9th years of King Sejong's reign(1426-1427) were made for practical purposes ahead of the wedding of the Crown Prince. And starting from the 16th year of King Sejong's reign(1434), formal procedures for royal wedding ceremony was prepared to change the customs of Seoryubugahon into Confucian wedding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royal wedding ceremony was completed to a certain extent in the Sejong Period, and was organized through the Sejo and Seongjong Period into the 『National Five Rites』, which became legally effectiv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royal wedding was usually composed of yukrye(六禮), as the examples of Tang(唐), Song(宋), and Ming(明) were referred to enhance the royal authority of the royal family. On the other hand, 『Garye』 was accepted in many areas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Joseon Dynasty. This is a characteristic of Joseon's deepening understanding of Neo-Confucianism through Taejong and Sejong Period. The enactment of the royal wedding ceremon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hich was completed through this process, has five meanings.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the royal wedding ceremony based on the order of Li(禮), the king was able to establish himself as an ideal monarch in Confucian politics, strengthen his position by raising his wife's status, and stably succeed the crown to the crown prince and his descendants. In addition, the king was able to strengthen the authority of the king's immediate relatives, and establish a hierarchy within the royal family because the royal wedding ceremony was based on an order of clan rules centered on the king. In this way, the reorganization of the royal wedding ceremon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hich was seen through the 「auspicious ceremony」 of the 『National Five Rites』, was not only accompanied by the primary purpose of establishing the authority of the king and the royal family, but also had the secondary purpose of creating the image of Joseon as a Confucian nation based on the deepening understanding of Neo-Confucianism.

      • 한국역사를 활용한 한국문화 교육방안 연구 : 한국사의 대표 인물 4인을 중심으로

        백주연 중부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was intended to suggest an education plan for foreign Korean language learners learning Korean history and culture at the same time by using ‘Korean great m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n education plan to satisfy Korean language learners by history class of Korean great men from the objective perspective.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learning by Korean history and culture education is to improve understandings of modern Korean society and to gentrify Korean language communication by learning according sophistication and knowledge. Therefore systematic learning of leveled difficulty is necessary for efficiency improvement of comprehensive Korean culture understanding and Korean language learning. The comprehensive aims of Korean history and culture education from this study are understandings of Korean culture, correct understanding of Korean history, intercultural identity establishment, and communication skill improvement. For customized education in accordance to aims of Korean language and history learning, levels are divided into beginner, intermediate, advanced, and master. This study composed education contents of leveled history and culture applying Korean great men topic to learning aims and contents. The beginner level covers Dangun, legendary founding father of Gojoseon, which used to be Korean first nation. The intermediate level is about Sopa Bang Jung-hwan, a children’s writer of Korean modern age. The advanced level is involved in the 19th Goguryeo King Gwanggaeto the great, known for Korean first chronological era. The master level covers Yun Dong-joo, Korean national poet. Lesson plans were designed applying leveled Korean language culture education by using Korean history. In addition, the lesson plan examples were suggested focusing on the beginner level of Dangun, legendary founding father of Gojoseon among 4 levels. There has been growing necessity of culture education using Korean history according to contemporary trend of globalization, but researches on this topic are not advanced enough yet. Therefore more in-depth studies should be needed on Korean culture and history education plan for foreign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eaching materials development. 본 연구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한국 위인’을 활용하여 한국의 역사 문화와 한국어를 동시에 학습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객관적 관점으로 한국 위인들의 역사적수업을 통해 한국어 학습자들이 충족하는 교육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표이다. 한국 역사문화 교육을 통한 한국어 학습의 목적은 현대 한국 사회의 이해를 높이고 그에 맞는 교양과 지식을 습득함으로써 한국어 의사소통을 고급화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국 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한국어 학습의 능률 향상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난이도별 학습이 이뤄져야 한다. 본고의 총괄적인 한국 역사문화 교육의 목표는 한국 문화의 이해, 올바른 한국사 정립, 문화 간 정체성 확립, 의사소통 능력 향상이다. 한국어와 한국 역사를 어떤 목적으로 학습할 것인지에 따라 좀 더 세밀하게 교육하고자 난이도를 초급, 중급, 고급, 최고급 네 단계로 나누었다. 본고에서 설정한 학습 목표와 내용에 난이도별 위인을 적용하여 한국어교육에서 단계별 역사문화 교육내용을 구성하였다. 초급에 한국 최초의 국가 고조선을 세운 단군왕검, 중급에 한국 근대의 아동문학가인 소파 방정환, 고급에 한국 최초의 연호를 사용한 고구려의 제 19대왕인 광개토태왕, 최고급에 민족시인 윤동주이다. 한국어 문화 교수-학습 모형에 한국역사를 활용한 단계별 한국어 문화교육을 대입하여 교수-학습 지도안을 설계하였다. 또한 본고에서 설정한 네 단계 중 대표적으로 초급 ‘단군왕검’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성하였다. 한국사를 활용한 문화교육은 세계화라는 시대적 흐름에 맞춰 그 필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이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 역사문화 교육 방안과 그 흐름에 맞는 교재 개발이 심도 있게 연구되어야 한다.

      • 폴 해기스(Paul Haggis)의 범죄영화에서 나타나는 음악적 특징 연구 : 영화 <The next three days>, <In the valley of Elah>, <Crash>를 중심으로

        백주연 경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영화 연출자이자 각본가인 폴 해기스의 작품들 중 범죄와 관련된 영화 <The next three days>, <In the valley of Elah>, <Crash>의 영화 음악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범죄영화의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음악 분석에 앞서 범죄영화를 정의하고 영화 연출자가 영화음악의 제작에 어떻게 관여하는지 알아보았다. 이어 해당 작품의 플롯의 구조와 유형을 살펴보고 서사구조를 네 개의 단계로 나누어 상응하는 음악을 분석함으로써, 영화의 전개에 따른 음악 서사의 공통점을 발견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음악 분석은 각 단계의 해당 장면에서 등장하는 음악을 구성과 선율, 화성, 리듬, 악기구성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졌고,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먼저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일련의 표현 양식으로는 세 작품 모두 드론과 오스티나토, 단2도 음정이나 미분음의 클러스터, 복합화성과 복합리듬의 사용, 전자악기의 이용, 단순한 화성의 사용 등과 같은 기법을 일관되게 사용하여 범죄영화 특유의 긴장감을 조성하였다. 플롯의 서사 단계에 따라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발견되었다. 첫째, 설정부에서는 단조 조성 위에 비화성음이 등장하여 영화 전체의 어두운 분위기를 암시한다. 반복되는 오스티나토를 통해 리듬이 구현되고 있다. 둘째, 작동부에서는 플롯의 유형에 따라 상이한 표현방법이 발견되지만 공통적으로 모드 스케일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셋째, 고조부에서는 추격장면이 등장한다. 리듬의 기초를 이루는 다양한 오스티나토 음형은 교차 배치되거나 폴리 리듬의 형태를 띄며 화성적, 리듬적인 불일치를 이룬다. 넷째, 결말부는 최소한의 악기와 음소재로 해결을 표현하지만, 음정의 마찰을 통해 긴장감을 잃지 않는다. 폴 해기스 감독의 범죄영화 음악은 플롯의 각 단계의 목적에 부합하는 특유의 표현기법을 공통적으로 재현함으로써 영화의 서사를 보조하고 확대하는 영화음악 본래의 기능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다. 범죄영화는 현대의 영화 중에서도 가장 대중적인 인기를 누리는 장르이지만, 범죄영화음악에 대한 분석 및 연구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가 실제로 범죄영화음악의 제작에 활용되고, 학문적으로는 다양한 장르의 영화음악 연구의 시발점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soundtracks in the works of Paul Haggis, a movie director and a screenplay writer, focusing mainly on his crime movies <The next three days>, <In the valley of Elah> and <Crash>, and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undtracks of crime movies in general. Prior to the musical analysis,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definition of crime movies and the impact of the film director on composing the soundtracks. In order to identify common musical features synchronized with the film’s narrative and scenes, this study focuses on the sequence of four separate phases of the plot throughout the movies. Centering on the soundtracks that appear in particular scenes of each phase, a musical analysis was conducted in terms of structure, melody, harmony, rhythm, and instruments. From this analysis, the conclusion was obtained as follows. First, the soundtracks heightened the tension through applying drone, ostinato, minor 2nd interval, cluster of microtones, Polychords and Polyrhythms,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and simple chord progression, which were common characteristics identified in all three crime films. To be specific, the soundtracks employed consistent express techniques in each phase of the plot. In the establishment phase, the appearance of non-diatonic notes upon minor key implied a dark and menacing mood of the stories, while rhythms were implemented through repetitive ostinato. In the animation phase, the tendency of using mode scales was clearly presented over the scenes, though inconsistent express techniques were detected depending on plot patterns. In the intensification phase, which includes chasing scenes, various ostinato patterns were juxtaposed or poly-rhythmized and formed harmonic and rhythmic discordance. Finally, the resolution phase implied resolution of the conflict by using the least number of instruments and tone-material, whereas frictional intervals contributed to maintain the tension until the end of the movies. The soundtracks of the crime movies directed by Paul Haggis employed unique and consistent express techniques by each phase of the plot, acting as key attributes to work with the images to create the desired effect and to magnify the film’s narrative. This study suggests diverse music techniques used in the crime movies, thus expects to contribute to prolific production of soundtracks for particular genre, and intends to facilitate a leap-forward development of film music research in a wide range of movie genre.

      • 영화『패왕별희』를 통해 본 공연예술의 역사성과 현재성

        백주연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article aims to study some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 art through the movie, "Bawangbieji". I mainly discuss the following subjects. First, I explain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the movie, "Bawangbeiji". This movie uses the Beijing Drama, Bawangbieji, the story of which is originated from two heroes in late period of Qin Dynasty. It reminds us to the chaos of Chinese society in 20th century. Second, I try to reconsider a new methodology to apply the historical materials to performance art. The use of historical materials is not a simple borrowing from the history, but we try to change then in the contemporary context. Especially, given that the dance performance is on the stage, we have to change the historical materials suitable for the needs of the public. Lastly, I discuss the currency of performance art. Here, I do not mean that the currency is a simple modernity. Rather, it means a kind of tool which can explain the our contemporary society. In this discussion, I think that Korean dance performance art must try to deepen the existing performance materials through many historical materials. 이 논문은 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우선 영화『패왕별희』가 지니고 있는 장르적 특징이다.『패왕별희』는 영화라는 예술 장르임에도 불구하고 경극이라는 예술 장르가 다시 들어가 있는 형태이다. 따라서 제1장에서는『패왕별희』가 차용한 역사 소재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하였다. 진나라 말기 항우와 유방의 전쟁 이야기, 그리고 항우와 우희 사이의 사랑 이야기가 주요한 테마로 등장하고 있는 영화가 바로『패왕별희』이다.『패왕별희』는 그러한 역사적 소재를 통해 당시 중국의 사회상을 우회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둘째, 그러한 역사 소재를 공연예술에서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방법론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역사 소재를 단순히 이용하는 차원을 넘어 그것의 현대적 변용을 어떻게 이루어내야 하는지를 설명하였다. 특히 무용은 관객과 함께 공연이 행해지고 있다는 점에서 역사 사실을 실질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변용해야 한다는 것을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공연예술의 현대성이란 무엇인가를 언급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현대성이란 말 그대로 근대적인 양상이 아니라, 동시대를 담아내야 한다는 당위성을 의미한다. 전통 음악에 비해 우리 무용계가 여전히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유 가운데 하나는 바로 그러한 시의성을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이런 논의를 통해 무용 공연 예술의 지평이 훨씬 넓어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한 것이 이 논문의 커다란 의의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