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Distributed arthmetic을 이용한 DCT 가속기 설계

        백승열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산여현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 DCT)은 JPEG이나 MPEG 및 H.26x 등의 다양한 신호처리응용에서 사용되는 변환이다. DCT를 계산하는 알고리즘들 중에서 Loeffler DCT 알고리즘은 이론상 최소 개수의 곱셈연산을 사용한다는 의미에서 계산상 가장 효율적인 알고리즘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적은 개수의 곱셈 연산도, 무리수인 삼각함수 값과의 곱셈을 필요로 하는 DCT 하드웨어의 구현비용 및 전력소비에 큰 부담이 된다. 하드웨어에서의 곱셈 연산의 부담을 덜기 위한 다양한 설계 방법이 연구되어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곱셈 연산을 ROM과 덧셈기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분산 산술(Distributed Arithmetic; DA)방법에 관심을 두고, Loeffler DCT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효율적인 하드웨어 가속기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1차원 DCT 가속기는 Xilinx Vertex-7 FPGA(xc7z020clg484-1)를 타겟으로 합성될 때 최대 131MHz의 동작 주파수를 가지며 3840x2160(4K UHD)의 크기를 갖는 영상을 초당 약 126 프레임의 속도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행렬분해방식을 사용하여 2차원 DCT 가속기를 AXI interface IP(Intellectual Property)로 설계하였으며, 검증환경을 Xilinx Zynq 7020상에 단일 칩 시스템으로 구현하여 검증하고 성능을 분석하였다. 표준시험영상을 기준으로 PSNR(Peak Signal to Noise Ratio)이 45db 이상이 되도록 하드웨어의 계산 정밀도를 조정하였으며, Xilinx사의 전력분석도구를 사용하여 1D DCT 가속기의 전력소모가 약 24mW임을 관찰하였다.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is used in various signal processing applications including JPEG, MPEG and H.26x. Among many algorithms for calculating DCT, the Loeffler DCT algorithm is known as the most efficient one, in the sense that it requires theoretically minimum number of multiplication operations. However, those minimum number of multiplication operations can be a significant burden to the implementation hardware, in terms of the implementation cost and power consumption, because they are multiplications with irrational trigonometric values. Various design methods have been proposed for reducing the burden of the multiplication operations in hardware. This thesis focuses on the Discrete Arithmetic (DA) method which implements the multiplication using ROM and adders and designs an efficient hardware accelerator for the Loeffler DCT algorithm. The designed one-dimensional DCT accelerator operates at up to 131MHz, which suggests that it can process up to 126 frames per second (fps) for the image having a size of 3840x2160 (4K UHD), when it is implemented on a Xilinx Vertex-7 FPGA (xc7z020clg484-1). A two-dimensional (2D) DCT accelerator is also designed as an AXI interface Intellectual Property (IP), using the common row-column decomposition method. The operation of the designed 2D accelerator has been verified in a system-on-a-chip verification environment constructed using a Xilinx Zynq 7020. The computation precision of the hardware has been adjusted so that the Peak-Signal-to-Noise Ratio becomes at least 45dB in the experiments with benchmark images. The power comsumption of the 1D DCT accelerator is observed to be approximately 24mW in the experiments using a Xilinx’s power analysis tool.

      • 給食業體에 대한 HACCP System 適用에 관한 硏究

        백승열 경남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WTO 체제 속에서 식품 안전성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어 식품규격의 국제화하에서 국제적인 위생기준 및 식품안전성 확보를 위해 HACCP 도입을 권고하고 있고, 수출 식품의 국제 경쟁력 확보 및 수입 식품과의 국내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도 필요하다. 또한, 식품업체 간의 무한경쟁이 이뤄지고 있고, 제조물에 대한 제조자의 책임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며, 식품이 안전성 확보 및 객관적, 과학적 식품정보를 제공토록 요구되고 있다. 안전한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 증가(식품의 품질과 가격보다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구매 성향(학교급식, 군납, 관납, 대형매장)이 변화되었고, 적극적인 문제제기 및 구체적 행동으로 나타나고 있다. 국민소득의 향상과 더불어 식품의 품질,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국내는 물론, 국제교역에서도 중요한 요소로 부각됨에 따른 상호 신뢰 할 수 있는 식품의 안전 확보를 위한 전 세계적인 노력은 위해요소중점관리(HACCP: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제도를 식품에 적용하게 되었고, 이는 세계적인 표준으로 식품 안전성 확보의 척도로서 자리 매김 해가는 과정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보건복지부 식품의약안전청과 농림부 수의과학검역원에서 식품산업체 및 축산업체의 HACCP 적용을 위해 강제 규정 또는 인센티브를 부여하여 활성화를 지속적으로 유도 발전 하고 있다. HACCP 적용을 위해 강제 규정 또는 인센티브를 부여하여 활성화를 지속적으로 유도 발전하고 있다. 본 논문은 전체 5개 장으로 구성하였다. 제1장에서는 서론으로서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목적, 연구방법 및 범위 등을 제시한다. 제2장에서는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서 세계 주요국의 HACCP제도 운영현황과 HACCP 개념 및 적용 방법, HACCP System의 시행과정에 대하여 고찰한다. 제3장에서는 급식업체에 대한 HACCP 시스템 적용 사례를 국내외 사례를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급식업체에 대한 HACCP 적용의 성공과 애로요인을 살펴보고, 효과적인 급식업체 HACCP의 적용을 위한 방안을 모색토록 한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결론으로서 연구결과의 요약, 연구의 기여, 연구의 한계 및 향후의 연구방향을 제시한다. 국내 급식업계의 HACCP 도입 현황은 대기업 급식업체를 중심으로 98년부터 적용하기 시작하여 급식점에 시범적으로 확대시키고 있는 상황이며, 보다 효과적인 HACCP 시스템의 발전을 위해서는 현재 적용되고 있는 업체내의 정확한 HACCP 시스템 수행을 점검하여 보완해 나갈 필요성이 절실하며, 이를 위한 향후 과제로는 급식경영의 체계적인 경영합리화 선결, 급식관계자의 HACCP 프로그램 실행 의지 고취, 급식소 시설환경의 개선, 급식업체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HACCP Plans 개발, HACCP 전문교육, 훈련 Program 개발, HACCP 시스템 검증을 위한 신속 검사장비의 확보 및 전문검사 기관의 확보 등이다.

      • 진화론에 대한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과 청소년 교리교육의 적용

        백승열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reason, the Church has also been faced with the advent of a new age in religious doctrine. That is, Catechism teaching is no longer offered in the traditional way. As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view of the world has developed,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life, which used to be understood in light of the church and the religious belief, is now interpreted in terms of scientific technology. It would not be unreasonable for religious believers to ask for a well-matched explanation for the questions they have about their beliefs as they are living in the age of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Thus, it is necessary for the Church to elucidate its doctrines to young people who have been born and raised in this scientifically-advanced era and need to think and act on the basis of their own reasonable thinking. In modern biology, the theory of evolution has been recognized as the most reasoned and persuasive in explaining the creation and alteration of living things. For contemporary religious believers, particularly adolescents who learn the theory of evolution through formal education in school, the Catechism may not be fully and correctly understood and accepted. That is because, on the surface, creationism, which is based on the belief that God created all things in the nature including human beings may appear contradictory to the theory of evolution which argues that all creatures on earth come into being by the law of nature. Thus, it is impossible to disregard the theory of evolution which has been developed in tandem with the development of biology on the basis of Creationism alone. Likewise, it is impossible to neglect a confession of faith in God that originates from essential human nature in the name of 'unscientific'. It is highly required to harmonize between science and religion. Thus, this study is designed to help religious people correctly understand creation faith with the well-balanced understanding of the theory of evolution and provide the formal teaching of Catholic Church about the aforementioned issue for application to youth catechism. In the first chapter, 'Understanding of the Theory of Evolution', we will take a look at the theory of evolution focusing on Darwin who is known as the creator of the so-called Darwinism. In the second chapter, Conflict and Harmony of Creation and Theory of Evolution', we will look at how the theory of evolution has been in conflict as well as in harmony with creationism since the publication of Darwin's The Origin of Species. We will also see how the Church has evaluated and understood the theory of evolution in it's efforts to harmonize itself with science. Based on this research, it is intended that those who follow the Catholic Church can be guided into taking a reasonable approach with regard to both the creation faith and the theory of evolution. In the third chapter, 'Youth Catechism on the Theory of Evolution by the Catholic Church', we will observe how the position on the theory of evolution, taken by the Church, has been practiced and reflected in the Catechism that is practiced in our country's Sunday schools. In conclusion, this study is intended to confirm the importance of educating creation faith and the necessity for a new way of teaching Catechism. It is also designed to look into what is needed in Sunday school education by analyzing their current methods of instruction and materials used and provide an appropriate proposal.

      • 월드컵 TV 중계방송의 시청률 분석과 시청자들의 해설 선호유형 요인탐색 : 2014 브라질 월드컵을 중심으로

        백승열 한국체육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현대인들은 스포츠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고 있고 여러 가지 한계들로 인하여 직접 참여 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 직접 참여가 어려운 대중들은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스포츠에 참여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스포츠와 미디어는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며 더욱 전문적이고 복잡, 다양해졌다. 이에 따라 대중들은 스포츠에 대한 정보의 욕구가 높아졌고 각 방송사는 대중의 욕구 충족을 위해 전문적이고 유명한 해설자 영입경쟁이 치열해졌다. 이러한 가운데 월드컵은 스포츠 이벤트 중 규모 적으로 가장 큰 세계적 이벤트이고 그만큼 대중들의 관심 또한 가장 높다. 각 방송사는 월드컵 중계방송 시청률 증가를 위해 수준 높은 해설자들을 필요로 하는데, 이번 2014 브라질 월드컵은 그 어느 때보다 방송 3사 경쟁이 가장 치열한 대회였다. 본 연구는 월드컵 TV 중계방송의 시청률 분석과 시청자들의 해설 선호유형을 알아보고 실증적 분석을 통해 월드컵 중계방송의 질적 향상과 해설가가 시청자들에게 더욱 재밌고 유익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2015년 7월 서울에 거주하는 20~59세 남녀 시청자 130명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첫째, 월드컵 중계해설가는 시청자의 월드컵 선호 채널선택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월드컵과 같은 메인이벤트는 해설자의 비중이 더욱 크게 나타났고, 시청률 면에서도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시청자들은 작전 및 전술 등 경기내용 중심의 해설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청자들은 월드컵 해설자들의 편파 해설에는 비교적 관대한 견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리나라 월드컵 중계해설자들은 시청자들이 알아듣기 쉽게 보통 수준으로 해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리나라 월드컵 중계해설자들은 불필요한 말이 많은 것과 언어구사력 부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넷째, 시청자들은 월드컵 해설자의 알맞은 경력으로 국가대표 선수 출신 또는 선수 및 지도자 출신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청자가 선호하는 해설자는 전문지식과 공정한 해설을 하는 사람 이였으며, 선호하는 방송 채널은 경기마다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선호하는 해설자는 이영표, 차범근, 안정환 순으로 나타났고, 해설자를 선호하는 이유는 전문지식, 정확한 결과 예측, 언어구사력 순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해설자에 따른 선호하는 해설자 이유는 차범근을 선택한 응답자는 선호하는 이유로 전문지식을 가장 많이 선택했고, 안정환을 선택한 응답자는 언어구사력을 가장 많이 선택했으며, 이영표를 선택한 응답자는 정확한 결과 예측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즉 시청자들이 선호 하는 유형의 해설자는 국가대표 선수 출신 또는 선수 및 지도자 출신의 해설가 이며 전문지식을 갖추고 공정한 해설을 하며 작전 및 전술 등 경기내용을 중심으로 해설을 하고 정확한 정보 전달력을 갖춘 해설가였다. While a large number of today's population proactively or passively participate in sports, there are still many people, who cannot direct participate sports due to various limitations. The audience, who find difficulties of active participation, are involved in sports by various media, therefore, a tight relationship developed between sports and the media and the relationship has became more complicated and diversified. Accordingly, the audience's demand for sports information has increased and in order to fulfill the demand, broadcasting companies more fiercely compete for more professional and well represented commentators. In the midst of this, relatively large scale sport events such as the World Cup attracts greater attention of the audience. All broadcasting companies need competent commentators for a high broadcasting share during the World Cup and for the such reason, the 2014 FIFA World Cup Brazil led the most competitive recruitment of commentators among three major broadcasting companies. This study is conducted to contribute in improving quality World Cup broadcasting and commentary in addition to providing quality entertainment and valuable information to the audience by offering informative statical analysis results on broadcasting share and audience preference on sport commentary. This study analyzes the surveys of female and male participants from age 20 to 59 living in Seoul conducted in July 2015.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World Cup commentators are an important factor that this variable has a great impact on the audience channel preference. In the case of main sport events such as the World Cup, the influence of commentators is relatively greater and also has a great effect on the broadcasting share. Second, the audience expect commentaries mainly relating strategies and techniques of the teams. The audience are relatively understanding for the World Cup commentators' biased commentaries. Further, South Korean World Cup commentators provide relatively clear expositions for general public. Third,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South Korean World Cup commentators have an excessive amount of unnecessary comments and incompetent communication skills. Fourth, the audience prefers the World Cup commentators acquiring national team, player, or coach background. In addition, the commentators that the audience prefers have professional knowledge and provide fair commentaries. The audience's channel preference varied by ever match. Fifth, the most preferred commentators are in the order of Lee Young-pyo, Cha Bum-kun, and Ahn Jung-hwan, and the reasons of selecting those commentators are in the order of professional knowledge, accurate result prospect, and communication skill. The reasons of selecting the following commentators are professional knowledge for Cha Bum-kun, communication skill for Ahn Jung-hwan, and accurate result prospect for Lee Young-pyo. Therefore, the type of commentators that the audience prefers are the commentators with national team background or player and coach backgrounds with professional knowledge and fair commentaries focusing on strategies and techniques of the teams in addition to acquiring an accurate communication skill.

      • 전기수력학적 분사 인쇄법에 의한 직접패턴제작과 잉크의 전도도의 효과에 대한 연구

        백승열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체로부터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속도로 원하는 만큼의 액적을 토출하여 분사시키는 기술은 직접 패터닝 분야에서 주요한 연구 주제이다. 특히 비 접촉식 방식으로 선택적 패터닝을 할 수 있는 잉크젯 인쇄법은 기존의 마스크를 반복 사용해야 하는 광학 리소그래피에 비하여 공정이 단순하고, 공해물질을 적게 배출하여 환경 친화적이며, 비용이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다. 전기수력학적 분사 인쇄법은 전기장을 사용하여 노즐에서 잉크를 토출시키는 기술이다. 전기수력학적 방식에 의한 직접 인쇄 기술은 기존의 잉크 분사 인쇄 기술에 비해 다양한 성질을 가지는 잉크의 사용이 가능하고, 노즐의 내부 직경보다 작은 액적을 토출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최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드롭 온 디멘드 직접 인쇄법을 구현하기 위한 조건은 크게 잉크의 물성과 인쇄장비에 의한 구동인자로 나눌 수 있다. 드롭 온 디멘드 패터닝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펄스를 가지는 콘젯 방식이 가장 적합한데, 이 현상을 보일 때 잉크는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미세한 액적의 형태로 노즐로부터 토출되며, 구동인자에 의해 토출되는 주기와 액적의 부피를 조절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틸렌 글라이콜과 폴리 에틸렌 글라이콜의 농도 별 수용액을 제작하여 용액의 점도를 변화시키고, 각각의 수용액에 염화나트륨을 사용하여 전도도의 변화를 주어 다양한 물성을 지니는 용액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용액이 나타내는 토출 현상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잉크가 펄스를 가지는 콘젯 방식으로 토출되는 구간을 정리하였다. 또한 카본블랙 잉크 및 은나노 잉크를 사용하여 노즐에 부가되는 전압, 노즐과 기판과의 거리, 기판이 움직이는 속도, 전압의 파장이 가지는 주기, 전압의 파장이 가지는 주기 중 실제 전압이 부가되는 시간과 같은 구동인자들이 패턴에 미치는 영향과, 드롭 온 디멘드 직접 인쇄법의 구현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연구하였다. Electrohydrodynamic (EHD) jet printing is a technique using electric fields to eject inks through nozzle apertures. EHD jet printing is very attractive due to its non-contacting nature and compatibility with diverse materials and substrates. In this research, we have demonstrated the drop-on-demand feature of the EHD jet printing system with various widths and dot arrays with desired diameters and spacing by controlling the operating conditions. We have fabricated micron-sized dot arrays and line patterns with carbon black ink on Si wafer substrates using EHD jet printing. The effect of operating conditions such as applied voltage, working distance and stage speed on the size and shape of the jetted patterns and jetting cycles is investigated by using optical microscope, high speed camera and atomic force microscopy (AFM). We have also fabricated aqueous solutions having various conductivity and viscosity for investigating relationship between jetting mode and properties of in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