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電子計算機 構造 實習의 授業過程 模型에 관한 硏究 = : 工業高等學校 電子科 Z-80 마이크로프로세서 實習 중심으로

        박흥식 檀國大學校 1993 국내석사

        RANK : 247631

        A model of teaching process of micro-computer organization for electronics department of technical high school has been studided. In this model students learn computer organization by constructing micro computer for themselves, while it has been taught without practice in the current education. The structure af the model is based on the new scheme proposed by KEDI. In the first phase, students learn about the principles of operation of Z-80 CPU and assemble single board computer using it. Through the assembly and deb ing process they can get working knowledge of computer hardware that cannot be taught without practice. In the second phase, they get training on programming techniques using the computer they constructed. More practical knowledge about the details of hardware and software is obtained by machine code programming and inspecting the result.

      • 韓國女性의 政治勢力化에 관한 硏究

        박흥식 全南大學校 1996 국내박사

        RANK : 247631

        여성들은 다른 소수집단과는 달리 그 수에 있어서 남성에 비해 결코 모자라지 않으면서도 힘에 있어서 뚜렷한 열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이른바「독특한 소수집단」이다. 다른 소수 집단과 마찬가지로 권력관계를 비롯한 사회, 경제 등 제 부문에서 낮은 지위에 머물러 있고 또 이를 당연시 여기는 경향이 있어 왔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여성 자신들의 자각이나 각성 등 의식의 전환은 물론 생활속에 용해되어 있는 불평등 및 소외의 굴레를 벗어나기 위한 보다 조직적·적극적·실천적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 여성문제의 해결은 소수 여성선각자나 몇몇 여성단체만의 노력으로는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다. 먼저 여성 스스로의 각성을 통해 참다운 자기를 찾는 의식화가 이루어져야 하고 분산된 여성의 힘을 효과적으로 조직화하여 여러 통로에 있어서의 정치참여의 폭을 넓혀야 여성들이 확실한 정치세력의 하나로 자리잡게 하는 운동, 즉 정치세력화운동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여성의 정치세력화를 위한 전략을 의식화 운동과 조직화 운동 그리고 정치참여 운동의 3가지 전략적 차원으로 나누어 경험적 방법으로 접근하였다. 의식화는 여성 자신들에 대한 자기혐오로부터 벗어나 주체적인 자아를 찾고 의사결정 및 행위의 주체로서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을 의미한다. 의식화가 여성의 정치세력화를 위한 우선적인 전제가 되는 것은 여성이 독자적인 판단을 내리고 자기 의지에 따라 적극적으로 활동할 수 있게 하는 심리적 토대가 되기 때문이다. 한국의 여성들은 산업화·도시화 그리고 교육수준의 향상으로 종래의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상당부분 극복한 것이 사실이나 행동의 차원에서는 전통적인 성차별의 고정관념의 틀을 깨지 못하고 있다. 이는 아직까지 온존하고 있는 남아선호사상이나 낮은 정치적 효능감, 그리고 성역할 인식에 대한 이중성이 이를 입증한다. 조직화는 여성의 잠재적 에너지를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합리화 운동이다. 오늘날 여성들에게도 다양한 정치참여의 기회가 열려져 있고 또한 제반 정치적 권리가 법률적으로 부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정치행동에는 소극적이다. 따라서 여성들을 적극적인 행동으로 유도하고 힘을 결집시키는 조직화가 필요하다. 조직화는 대체적으로 단체를 통해 이루어진다. 단체는 조직화되지 않은 일반 여성대중들을 견인해 내고, 여성들이 공통적으로 처해 있는 문제에 대하여 공동의 인식을 갖고, 조직적으로 대처하고, 이를 통해 정책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압력단체로서의 역할이 가능하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여성단체들은 몇몇 단체를 제외하고는 여성자신들의 주체적 자아의식에 뿌리를 두고 출현한 자발적인 결사의 성격 보다는 정부가 여성대중의 정치적 동원의 필요에 의하여 위로부터 급조된 관변단체의 성격이 농후했다. 가족법개정과 관련하여 여성단체들이 연대를 모색하고, 여성유권자들의 표의 결집을 통한 정치세력화를 시도했다는 점에서는 평가할만 하다. 그러나 여성대중과는 괴리된 채 몇몇 여성지도자나 여성단체만의 운동이 되고 말았다. 1980년에 들어서서 각성된 자아의식에 기반하여 여성의 지위향상이라는 확실한 목표를 내세우고 독자적 목소리를 가진 여성단체들이 출현하였고, 1990년대 지방시대의 개막과 더불어 정치세력화를 모색하기 위한 많은 단체가 결성되었다는 것은 앞으로 기대를 갖게 하는 고무적인 현상이다. 의식화와 조직화에 의해 효과적인 정치참여가 이루어지고, 참여의 효과가 가시화 될때 여성을 끌어모으는 힘이 생기고 여성의 세력화운동은 가속이 붙게 된다. 여성의 낮은 지위를 극복하고 여성발전과 민주사회를 이루기 위해서는, 여성들이 다양한 정치참여의 통로를 통해 의사결정 및 정책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치거나 직접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우리나라여성의 정치참여를 통한 세력화는 각종 통계가 말해주듯이 지극히 미진한 수준이다. 여성의 주체적 자아의식의 결여와 조직화 운동의 제약은 결과적으로 효과적인 정치참여를 제약하고 정치참여의식을 떨어뜨리는 악순환이 반복되게 한다. 이외에도 여성의 정치참여에 대한 제약요인으로 정치구조 및 제도적 요인이 지적된다. 남성중심의 정치구조는 여성정치지망생들의 운신의 폭을 제한하고 정당체계나 정당조직에서 나타나는 중앙집권적이고 권위주의적인 정치행태는 여성의 접근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소선거구제는 한 선거구에서 한명을 선출하기 때문에 여성후보자를 경쟁적 상황에 공천할 엄두를 감히 못내게 하는 요인이 된다. 여성의 공직참여와 관련해서는 여성의 진출을 가로막는 제도적인 요인 즉, 군복무기간 가산점제도나, 보직배치에 있어서 편중, 승진기회의 차단 등이 여성의 공직참여를 가로막는 고질적인 병폐로 지적된다. 한국여성들이 정치세력화를 기함으로써 여성관련문제를 해결하는데 일정한 영향력과 통제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의식화의 수준을 높이고, 여성의 정치력을 조직화하고 여성의 정치참여를 확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먼저 의사결정 및 행위의 주체로서 정체성을 확립해야 하는 숙제가 있다. 교육수준의 향상과 도시화에 따른 생활양식의 변화에 의해서 여성의 주체적 자아각성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의식과 행동간의 큰 괴리가 문제이다. 그것은 행동이 의식을 따라가는데 나타나는 시간적 지체현상이 작용한 때문이다. 시간이 지나고 세대가 바뀌면 이 문제는 점차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조직화에 있어서는 여성단체들이 일정규모의 결집된 힘을 가져야만 정책결정과정에 영향력을 미칠수 있는 압력단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단체의 내적인 제 특성을 강화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몇몇 단체의 활동만으로 여성의 이익을 대변하는 것으로 만족할것이 아니라, 많은 여성들을 참여하도록 유도해 내야할 것이다. 여성단체가 국가나 지방정부, 그리고 여타세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기 위해서는 재정적인 자립을 이루어야 한다. 여성의 다양한 이익을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단체간의 기능적인 분화와 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여성의 정치참여확대와 관련하여, 여성들이 자기 표를 지키는데만 머무를 것이 아니라, 그 힘을 모아서 여성정치지도자를 선출해주거나 남녀평등정책을 지향할 수 있도록 정치인들에게 압력을 행사해야 한다. 의사결정직에 여성이 30%이상 참여하고 일반여성들이 단합하여 영향력을 행사해 줄 때 세력화를 기할 수 있다. 따라서 여성들이 자생력을 갖고 실질적인 참여가 이루어지기까지는 한시적이고 단계적으로 할당제를 도입하고, 비례대표제나 중·대선거구로 선거제도의 조정이 바람직하다. 이렇듯 여성의 정치세력화는 단일 차원에서의 부분적인 노력만으로는 기할수 없다. 의식화, 조직화, 정치참여가 단계적이면서도 중첩적으로 이루어져야만 가능하다. 이러한 각 차원의 노력들이 착실히 진행될때 여성의 낮은 지위를 극복하고 제반 문제들을 여성 스스로 해결해 나갈 수 있게 될 것이다. This dissertation undertakes an empirical study on the questions of how Korean women have politically empowered themselves by classifying empowerment strategies into awakening, organizing, and political participation movement. It relies on quantitative method using some aggregate data available regarding demographic indicators of given feminine organizations. In addition, an interview method has been extensively used to identify some leadership as well a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those group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Korean women's efforts toward political empowerment appeared to fall short of our expectations as evidenced by empirical shortcomings in three movements above. My dissertation assumes the awakening movement as a preliminary step toward successful political empowerment, since the awakening movement seems to provide fundamental psychological bases for women to make independent decisions and behave actively in political matters. I find that in the dimension of action, the Korean women have failed to break away the old-fashioned conception of sexual discrimination, despite some noticeable overcomings of patriarchal ideology still prevalent in Korea due to substantial improvements in urbanization and educational facilities. Such rampant consciousnesses found among the Korean women as man-preference tendency, low political efficacy, and duality in the perception of gender roles appeared to reinforce my argument above. The organizing movement helps women tap their potentials maximally. It stimulates separate women to group together for collective action. This study finds that most of feminine groups have been quasi-governmentally founded in need of women's political mobilization. This top-down approach to the forming of women's groups resulted in the lack of independent group politics among the Korean women's groups. It seemed to be promising that some groups allied and regimentated female voters to influence the revision of family legislation. However, this typical case of organizing movement failed to meet with the rising expectation of female masses, and ended up the few elites' game. For the political participation movement, this dissertation also finds that our country's women's efforts at political empowerment via participation have not been successful and effective shown by various statistics. The forementioned shortcomings such as the lack of independent self-consciousness and some limitaions of organizational strategies would restrict effective political participation for females, thereby resulting in yielding the vicious cycle of low political empowerment. Besides, my study pinpointes some factors of political structure and institutions as other variables limiting political participations for Korean females. The men-centric political structure itself tended to basically set the limits of women's behavioral boundaries. Furthermore, both centralism and authoritarianism characteristic of most party systems in Korea have made politically ambitious females closer to the apex of party politics. Such institutional feature as the single-member constituency system hinders female office-seekers from being nominated in the competition with male contenders. Other institutional factors including the additional scoring system for males' military service and skewed appointment for male officials further prevented females from seeking public jobs. Women's political empowerment would be always incomplete if they engage themselves in partial movement focusing on a separate dimension. Three kinds of movement strategies should be used symultancously and serially to make Korean females politically empowered. As the 1990s goes by, it seems stimulating to conclude that some signs of improvements in each movements have been observed involving more awakened mentalities among females and some subjective endeavors for institutional reforms towards expansive organizing and participation.

      • 차량 선회 반경 및 도로 곡률을 반영한 4륜 조향 기반 저속 자율주행시스템의 경로 추종 제어에 관한 연구

        박흥식 국립공주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become a hot topic in recent years, autonomous vehicles have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It is not uncommon to see self-driving temporary operating permits and self-driving demonstration vehicles on the road. In order for autonomous vehicles to drive safely in urban driving environments, they must have enhanced driving characteristics even on narrow and curved roads and parking lots. Therefore, various automakers are currently developing vehicles optimized for urban environments with 4WS(4-Wheel-Steering) systems. In this paper, we propose a path follower for autonomous vehicles based on a 4WS system that can control the front and rear wheels simultaneously to minimize the turning radius of the vehicle and improve the path following performance of autonomous vehicles. The proposed path following controller is designed to increase the response time of the controller by reflecting the curvature of the road and the turning radius of the vehicle as a feed-forward term. The proposed 4WS path following controller has been verified by simulation using a kinematic bicycle model and real-car experiment using a 4WS-based autonomous driving platform.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path following controller, a reference path with straight and a small radius of curvature is use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ath tracker proposed in this paper with classical two-wheel and four-wheel steering path tracker, the path tracker proposed in this paper is superior in vehicle stability and path following performance. Therefore, the proposed controller is expected to be efficient when applied to autonomous vehicles such as autonomous shuttles, which are an alternative to private vehicles for citizens in urban driving environments.

      • 광명농악의 전승 양상에 대한 연구 : 1995년과 2015년 판굿을 중심으로

        박흥식 진주교육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광명농악의 치배 구성, 복장, 소품, 과장구성, 장단구성, 대형구성 등 전승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연구범위는 1995년과 2015년 두 해의 영상자료를 중심으로 하였으며, 선행연구는 전승․보존관련 자료 및 학위논문과 단행본을 살펴보았고,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2015년은 1995년에 비하여 농기 및 악기 구성은 크게 변화하지 않았으나, 잡색이 크게 간소화된 것을 확인하였다. 복장 및 소품에서 가장 큰 변화를 보인 것은 삼색띠와 조끼이다. 조끼는 파란색에서 검은색으로 바뀌었고, 삼색띠는 X자 묶기에서 대각선 묶기로 변화하였다. 둘째, 광명농악의 중심 발이 1995년에는 오른발 중심이었으나, 2015년에는 왼발 중심으로 변화하였다. 이는 가장 큰 변화로 상모의 모양과 고개짓, 인사굿의 도는 방향 등이 변화한 것이다. 셋째, 과장구성은 뒷 당산놀이, 개인놀이(장구놀이․버나놀이․북 놀이)가 추가되었고, 고사리꺾기, 멍석말이가 생략되었다. 넷째, 과장별 소요시간은 굿머리․앞 당산 놀이․절굿대놀이가 늘어났고, 3종 개인놀이 과장 소요시간이 늘어났다. 한편 4종 판굿 과장과 12발놀이는 소요시간이 줄어들었다. 다섯째, 과장별 속도는 장소, 동작의 첨삭, 상쇠의 연주에 따라 다소 빨라지고 느려지는 등의 변화를 보였다. 여섯째, 과장별 대형의 변화는 굿머리와 인사굿, 7채 오방진의 경우 변화가 줄어든 반면, 법구놀이와 쇠 놀이의 경우 대형의 변화가 확대되어 광명농악이 무대화, 연예화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일곱째, 피조리 춤은 2000년대 중반부터 한국무용 전공자의 유입으로 무용적 요소가 풍부해져서 농악 피조리 춤의 투박하고 소박한 맛이 사라졌다. 여덟째, 북을 메는 형식이 1995년 왼쪽어깨에 묶은 후, 북을 돌려 메는 형식이었으나, 2015년 왼쪽 어깨에 대각선으로 두르는 형식으로 변화하였다. 북은 메는 형식에 따라 그 놀음이 매우 달라 질 수 있어서 주목할 부분이다. 광명농악은 농악 판제 중심 놀이에서 벗어나, 개인놀이 중심의 연희로의 변화하고, 두레중심의 놀이가 퇴색하는 아쉬움을 남겼다. 광명농악의 발전 방안으로 전통예인들의 경제적 한계를 극복 시켜 주는 것이 중요하고, 예능보유자와 전수조교의 인원 확충이 시급하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광명농악이 전통성을 올곧게 전승․보존 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