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OD 분석을 통한 국내 컨테이너 물류체계에 대한 고찰

        박정현 순천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광양항 기점 컨테이너 수출입 물동량을 중심으로 국내 물류네트워크를 비교 분석하였다. 수입 컨테이너가 광양항 컨테이너 부두에서 양하된 후 전국 권역별 화주에게 운송되는 과정을 추적하여 네트워크별 물동량 규모 및 운임을 비교 분석하였다. 비교 분석을 위해 광양항을 기점으로 컨테이너 운송을 대행하는 A사를 표본으로 하여 1년 동안의 운송 실적 자료를 이용하였다. 광양항과 화주간의 수출입 물동량과 운임을 시군단위로 구분하여 권역별 물동량과 운임체계를 비교하는데 연구의 중점을 두고 있다. A 운송사를 이용하는 화주는 광양항 배후권역인 전남북 화주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어서 충청 등 중부 지역 화주가 뒤를 있고 있다. 즉 권역별 물동량은 광양항과의 거리에 역비례하여 증감하고 있는데, 여수, 순천 등 전남 지역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거리가 멀어질수록 물동량 규모가 낮아지는 걸로 확인되었다. 이는 항만과 화주간의 내륙물류비 절감을 위한 당연한 결과이기도 하지만, 항만에 대한 과잉 공급으로 항만간 화주 유치 경쟁에 따른 결과이기도 하다. 광양항 컨테이너 부두는 중앙 정부의 이항양하 항만 개발 정책에 따라 정책적으로 정부 주도로 개발된 항만이다. 그러나 독립채산제를 근간으로 하고 있는 항만공사제가 도입되고, 항만 간 화주 유치를 위한 시장 논리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화주는 국내 운송비 비교와 함께 항망에서의 융통성을 고려하여 항만을 선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논리는 화주뿐만 아니라 선사의 입장에서도 선적/양하 항 또는 기항 항만을 선택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A사와 같이 항만을 기점으로 운송업을 하고 있는 회사는 회사 차원의 적극적 마케팅 역량을 발휘하여 화주 유치에 나서야 하고, 화주 및 선사 유치를 위한 항만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자치단체, 항만공사 등 관계 기관은 광양만권과 배후 권역 활성화에 필요한 정책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영상 처리 기반 작물 잎사귀 질병 감지 알고리즘

        박정현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달로 인한 사물인터넷 시대에서 IT와 다양한 분야의 융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농업, 축산업 분야에서 여러 가지 센서들과 임베디드 시스템을 활용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이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기존의 작물 생장환경을 나타내는 수치 데이터 뿐만 아니라 영상이나 이미지와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통한 모니터링도 가능해졌으며, 농가에서 직접 촬영한 이미지로 작물의 생장정보, 생산량 예측, 병충해 진단 등을 수행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특히 작물의 병충해를 초기에 감지하여 치료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 병충해 진단 논문들은 실제 농가에 적용하기 어려운 부분이 존재한다. 본 논문은 이를 개선하고자 하였으며, 화상카메라를 통해 받아온 작물의 잎사귀 이미지를 분석하여 병충해를 초기에 감지 가능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실제 시설원예 및 노지 환경 농가의 캡쳐한 이미지 내에서 감염 의심 영역을 개선된 K 평균 클러스터링 기법을 통해 분류하였다. 그 후 엣지 검출, 엣지 추적 기법을 활용하여 해당 영역의 잎사귀 내부 존재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올바른 병충해 진단을 위해 작은 영역 제거, 인근 영역 합성을 수행하였다. C++과 Java 언어 기반으로 알고리즘을 직접 구현 하였으며, 인근 농가에서 촬영한 이미지로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기존 논문의 방법 보다 제안 알고리즘의 감영 영역 분류 능력이 뛰어났고, 잎사귀 내부 존재 여부 확인과 영역 레이블링 과정을 통해 감염 영역과 비 감염 영역을 걸러내는 기능을 검증하였다.

      • 장편영화 시나리오 <이혼플래너> 창작보고서

        박정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divorce planner> is about a famous divorce planner who realizes the importance of family after his own divorce. Korea has one of the highest divorce rates among OECD countries and has Asian countries. At the current pace, Korea will become the country with the highest divorce rate in the world. Korea used to stigmatize divorcee due to its strict Confucian values. However, with the Confucian values diminishing, there has been a positive shift in the public perception of divorce. According to a 2017 divorce report, the No.1 reason for divorce was difference in personality. The other main reason was communication breakdown. According to the report, over 60% of the couples had conversations for less than an hour per day, and almost 30% of the couples communicated for less than 30 minutes or not at all. I believe that one of the reasons for communication breakdown amongst divorcees is that many forget the importance of family, often because people take the presence of their family for granted as they believe that family members will always be there for them. I wanted to send out the message that 'you should not forget the importance of people who love you' I got the idea from a divorce planner Lee Byung-chul. in 2015 he made a guest appearance on a talk show. during The talk show he provided unique advices to people considering divorces: advice on how to divorce 'better' without getting emotionally hurt. since then I have taken interest in a divorce planner which is rising as a new occupation in the Korean job market. by studying the occupation, I found out that Divorce consultancy firms provide wide variety of services ranging from law/mentality/ life plan and even recommend how best to obtain evidence of spousal infidelity. They also help their clients find places to live and work, and can even serve as matchmakers for those who want to find new love. Until now, there has been no films that dealt with divorce planner. so I want to write a film script about a divorce planner. I thought I would be able to produce various episodes with a variety of characters who visit a divorce planner. After I fixed the scenario material, I've set a concept and logline for the scenario that 'a famous divorce planner who brings customers expertise, encounters divorce from his own wife'. and this idea triggers the main plot 'a divorce planner who is a money hugger eventually finds out the importance of his family after his divorce suit ‘ When I created <The Divorce planner>, The hardest part was creating Ji-hoon, the protagonist of this scenario, by showing his humaneness, but also making the readers understand why his wife wanted to divorce him. through numerous revisions, I finally came up with the settings that 'for family, ji-hoon turn away from family' and 'ji-hoon's enlightenment' while ji-hoon has been tailing his separated wife. <The divorce planner> is a story about a couple that get back together after going through a divorce process. the screenplay gives out the message that 'one shouldn't forget the importance of people that love you' to people who forgot love. 장편 시나리오 <이혼플래너>는 스타 이혼플래너가, 부인에게 이혼 소송을 당한 뒤 역설적으로 가족의 소중함을 깨닫는 내용이다. 현재 대한민국의 이혼률은 OECD 국가 중9위, 아시아에서 1위로 상위권에 랭킹 됐다. 이와 같은 배경에는 과거와는 달리 혼인관계의 종결이 행복을 위한 방안으로 대두되는 등의 인식 변화와 더불어 이혼이 더 이상 흠이 되지 않는 사회적 분위기가 크게 작용했기 때문이다. 2017년 사법연감에 따르면 이혼 사유 중 부부의 성격 차이가 1위(45.2%)라고 밝혔다. 더욱이 부부간의 대화 시간이 하루 한 시간 미만인 부부가 60% 이상, 대화가 전혀 없거나 하루 30분 미만인 부부도 30%에 달해 부부 사이의 소통 단절이 부부 갈등을 유발하는 주원인으로 나타났다. 이혼 부부가 대화 단절을 하게 된 계기가 가족이 언제나 내 옆에 있을 것이라는 오만과 더불어 사랑하는 존재에 익숙해져 버린 나머지, 그 소중함을 망각했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에 <이혼플래너>를 통해, '사랑하는 사람의 소중함을 잊지 말자'는 메시지를 전하고 싶었다. 기획 아이디어는 '국내1호 이혼플래너'이자, 실존인물인 이병철을 통해 얻게 되었다. 2015년에 방영된 <폭풍전야 위기의 부부들>이라는 프로에 패널로 출연해, 이혼문제로 갈등하는 사람들에게 척척박사처럼 조언을 해주는 그의 모습에서 흥미를 느꼈다. 또한 이혼플래너라는 신종직업을 조사하면서, 이혼플래너가 법률, 심리, 라이프 플랜 등 전반적인 이혼컨설팅뿐만 아니라 애프터서비스로 재혼까지 주선한다는 것을 알게 됐다. 여타 영화나 드라마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직업이라 신선하게 느껴졌고, 이혼플래너를 찾아오는 다양한 의뢰인들을 통해 다채로운 에피소드로 극을 풍성하게 만들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혼플래너라는 소재를 확정한 뒤, '훌륭한 조언으로 이혼의 위기에 처한 고객들을 도와주지만 정작 자신의 부인에게 이혼소송을 당하는 한 남자'라는 아이러니한 콘셉트를 잡게 됐다. 이를 시발점으로 '돈 밖에 모르던 이혼플래너가 이혼을 당하면서 가족의 소중함을 깨닫게 된다'는 줄거리에 살을 덧붙이면서, 시나리오 <이혼플래너>를 구체화 시킬 수 있었다. 시나리오를 창작하면서 가장 힘들었던 부분은 주인공인 지훈을 인간적으로 묘사하면서도, 그가 이혼당하는 이유가 납득 되도록 세팅하는 것이었다. 이에 여러 수정을 거친 끝에 '가족을 위해, 가족을 외면한 남자'라는 설정을 잡게 됐다. 그리고 지훈이 별거중인 아내를 미행하면서 자신의 잘못을 인지하고 자아 성찰하는, '깨달음의 여정'을 성공적으로 그리기 위해 대대적인 내러티브의 변화와 함께 총 네 번의 시나리오 수정이 있었다. 이혼 위기에 처한 부부가 사랑을 되찾는 과정을 코믹하고도 진실되게 표현한 <이혼플래너>는 사랑하는 사람의 익숙함에 무뎌져, 소중함을 잊고 있었던 사람들에게 '사랑하는 사람의 소중함을 잊지 말자'라는 깨달음을 주는 이야기가 될 것이다.

      • 발전국가 시기 한국 현대 건축의 생산과 재현

        박정현 서울시립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Modern architecture in Korea was produced in the mid-1960s. Without a doubt, there were examples of modern architecture during and after the Japanese occupation. However, it was 1960 when the legal and systematic grounds for the function and industry became clearer and the country secured the system that allowed various modern architectural structures-from housing to monuments-to be mass produced. In this process, the state exerted a primary influence on modern architecture in Korea. The products of the five-year economic development plan were not limited to large-scale construction projects, such as highways, ports, industrial complexes, and apartment complexes. The state played a key role in determining the social domain and function of architecture, specifying what architecture should represent and what it could and could not do. Nevertheless, the state has not been featured as the agent in the history of architecture. The modern history of Western architecture, which portrays romantic artists as model architects and treats 20th century modernism and avant-garde style as heritages, rarely covers the role of the state. They have separated the state from civil society, and the history of modern architecture has focused on the latter, which is not ideal for understanding 20th century Korean architecture. Korea in the 1960s was a developmental state, and the state dominated civil society. There are many paths for examining the role that the state of Korea played in generating the concept of architecture and construction during 1960’s-1980’s. In the mid-1950s, when human resources for architecture were insufficient and the level of social awareness regarding architecture was low, architects could secure their identity as artists by participating in the National Art Exhib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 apparatus approved by the state to guarantee that architecture was a cultural domain different from buildings or construction. In reverse, the works of architecture that were displayed functioned as a stage that promoted development ideology. Considering the publishing market and the capacity of architecture during the period, Space─first published in 1967─was an exceptional magazine. Behind the publication of this magazine, which contributed significantly by spreading knowledge of Korean architecture, was an organization called the Korea Engineering Consultants Corp. (KECC). Space and Kim Swoo-geun, a well-known architect from the 1960s, had a close connection with the KECC, which spearheaded economic development. The distinction between development and culture and the distinction between construction and architecture were still valid at the time, but the latter would have been impossible without the former. In a series of competitions that began in 1967, architects took on the tasks of producing monuments of the nation-state. These responsibilities represented a departure from the ideology of the early developmental state plans. The central government's complex building was to be a modern construction symbolizing the value of a country that had recently gained independence; therefore, architects would not be relying on the traditional architectural pattern. However, “modern architecture” could not surpass historical cultural heritages or cultural remains, and it did not reach the level of infrastructures or factory structures in representing the identity and achievements of the time. Through a series of competitions, modern architectures in Korea began to be subdivided into two domains: a domain of representation and symbolism and a domain of construction and production. The former became the task of atelier architects as it expanded to the representation of Korea in cultural facilities; the latter became the task of medium-to-large designs for offices in the construction of office buildings and other large-scale projects. Construction of office buildings based on the urban center redevelopment plan illustrates how macroscopic economic development plans of a developmental state are connected to the production of individual buildings. The urban center redevelopment project was a critical device that demonstrated the ideology of the developmental state's plan since the 1960s. Although it was pursued by the state, it did not provide the physical foundation to fully implement the project. The economic development plan of the country was very selective, and a typical characteristic of the developmental state was support for or suppression of a certain industry. Even in the early 1980s, when economic growth from the development of the heavy industry promoted the construction of high-rise office buildings, architects had to design office buildings without steel frames and metal materials that were essential for such construction. However, office building construction completed within a short period turned into a decisive opportunity for design offices to become large in scale. representational value of architecture since the 1960s has been based on how well it represents the identity of Korea. The representation of Koreanness has supported the national policy on fostering national identity along with economic development (the other national policy). However, as the economic development system led by the state slowly became reorganized and centered on the market and private sector, the national policy to limit and distribute the culture and its traditions also began to unravel. Independence Hall of Korea, a representative cultural project of the 1980s, reflected the change in tone to a controversial discourse regarding the identity of Korea.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was an architectural structure with an autonomy in the context of site, not to mention it also represented the identity of Korea in terms of shape and arrangement and symbolized political and bureaucratic logic. This museum did not need the state as “The Other” granting significance to architecture; rather, it conveyed a certain meaning in the context of architectural history. A nation’s plan during the period of a developmental state contains the condition of possibility as well as the condition of impossibility for architecture. In Korea's case, the state plan was to set the domain and boundaries of architecture. In other words, Korean architects had to work according to constraints. In the process, they established the system of knowledge pertaining to Korea as well as the unique system for designing high-rise buildings. Key words: Developmental state, modern architecture, production, representation, exhibition, magazine, identity of Korea, high-rise building, large-scale design office, atelier design office, planning 지난 세기 한국에서 현대 건축은 1960년대 중반 생산되었다. 물론 식민지 시기와 해방 후에도 현대 건축물은 생산되었다. 그러나 직능과 업역에대한 법적·제도적 근거가 더 분명해지고, 주거에서 기념비에 이르는 여러 현대 건축물이 대량 생산될 수 있는 생산 체제가 확보된 때는 1960년이다. 이 과정에서 국가가 한국 현대 건축에 미친 영향은 지배적이었다. 경제개발5개년계획으로 대표되는 개발 체제의 산물은 고속도로, 항만, 공업 단지, 아파트 등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에 국한되지 않는다. 건축의 사회적 영역과 역할, 건축이 무엇을 표상해야 하는지, 건축이 무엇을 할 수 있고 무엇을 할 수 없는지를 결정하는 데에도 국가는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행위자로서의 국가는 그 동안 건축사 서술에서 가시화되지 못했다. 낭만적 예술가를 건축가의 모델로, 20세기 모더니즘과 아방가르드를 유산으로 여기는 서구 근대의 건축사에서 국가의 역할은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다. 국가와 시민사회를 구분하고 후자를 중심으로 현대 건축의 역사를 서술해왔다. 그러나 이는 20세기 한국의 건축을 이해하는 데 적합하지 않다. 1960년대 이후 한국은 국가가 시민사회를 압도한 발전국가였다. 발전국가 시기 한국에서 건축물뿐 아니라 건축이란 개념이 생산되는 데에 국가가 어떤 역할을 했는지는 여러 경로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건축의 인적 자원이 부족하고 건축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이 매우 낮았던 1950년대 중반, 건축가들은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 미술과 나란히 참여함으로써 작가라는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대한민국미술전람회는 건축이 건물이나 건설과 구별되는 문화적 영역임을 국가가 보증하는 장치였다. 역으로 전시에 출품된 건축 작업은 개발 이데올로기를 홍보하는 무대이기도 했다. 1967년 창간된 『공간』은 당시의 출판 시장과건축계의 역량을 고려하면 예외적인 잡지였다. 한국 건축의 지식을 확장하는 데 크게 기여한 이 잡지가 창간될 수 있는 배경에는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KECC)가 있었다. 1960년대 김수근과 『공간』은 경제개발계획의 첨병이었던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와 깊이 연루되어 있었다. 개발과 문화,건설과 건축의 구분은 그때에도 유효했지만, 후자는 전자 없이 불가능한 것이었다. 1967년부터 이어진 일련의 현상설계에서 건축가들은 국민국가의 기념비를 생산해야 하는 과제를 맡았다. 발전국가 초기 계획 이데올로기를 표상하는 것과는 다른 문제였다. 정부종합청사 현상설계는 전통 건축의 형태를 차용하지 않고 현대 건축으로 신생 독립국의 가치를 표상해야 했다. 그러나 ‘현대 건축’은 역사를 환기하는 데에는 문화재나 유적을 이기지 못했고, 당대의 성취와 정체성을 표상하는 데에는 인프라스트럭처나 공장 구조물에 미치지 못했다. 일련의 현상설계를 통해 한국 현대 건축은 재현과 상징의 영역과 건설과 생산의 영역으로 분화되기 시작했다. 전자는 문화 시설을 중심으로 한 한국성의 재현으로 확장되어 나가며 아틀리에 건축가의 몫이 되었고, 오피스 건설과 대형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후자는 중대형 설계사무소의 몫이 되었다. 도심재개발 계획에 따른 오피스 생산은 발전국가의 거시적인 경제개발계획과 도시계획이 개별 건축물의 생산에 어떻게 이어지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다. 도심재개발 사업은 1960년대 이래 발전국가의 계획 이데올로기를 드러내는 중요한 장치였다. 국가가 추구한 사업임에도 불구하고이 프로젝트를 온전히 실행할 수 있는 물적 토대를 국가는 마련하지 않았다. 국가의 경제개발계획은 대단히 선택적이었고 이는 특정산업을 부양 또는 억제하는 발전국가의 전형적인 특징이었다. 중화학공업 개발로 인한 경제성장이 고층 오피스 건설을 촉진한 80년대 초에도 건축가들은 오피스 건설에 필수적인 철골 및 금속 재료의 생산 체제 없이 오피스를 설계해야 했다. 하지만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오피스 건설은 설계사무소가 대형화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1960년대 이래 건축의 재현적 가치는 한국성을 얼마나 잘 표상하는지에 따라 판단되었다. 한국성의 표현은 경제개발과 함께 양대 국가 정책이었던 민족주체성의 함양이라는 국가 정책을 뒷받침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국가 중심 경제 개발 체제가 서서히 시장과 민간 영역 중심으로 재편되는 것과 문화를 전통과 민족 중심으로만 설정하고 보급하는 국가의 정책도 느슨해지기 시작했다. 1980년대의 대표적인 문화 프로젝트였던,독립기념관은 대단히 퇴행적이었지만 한국성을 둘러싼 담론이 축적되어 가고 이해의 양상은 변화하는 싹을 내포하고 있었다. 국립현대미술관은 형태와 배치 등에서 한국성의 재현, 정치적‧관료적 논리는 물론 대지의 맥락에서도 자유로운 건축물이었다. 건축에 의미를 부여하는 대타자로 국가를 설정하지 않은 국립현대미술관은 건축사의 맥락에서 그 의미를 읽어낼 수 있었다. 발전국가 시기 국가의 계획은 건축의 가능성의 조건이자 불가능성의 조건이었다. 국가의 계획에 따라 건축의 영역과 한계가 설정되곤 했다. 한국의 건축가들은 이 제약적인 조건을 창작의 바탕으로 삼을 수밖에 없었다. 이 과정에서 한국적인 것을 둘러싼 지식뿐 아니라, 고층 빌딩을 설계하는 고유의 체계를 확립해나갔다.

      • Comparative Study on the Microbial Analysis Using Traditional Medium and Dry Culture Medium

        박정현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에서는 일반세균과 대장균군, 대장균의 분석에 대하여 Sanita-Kun과 Petrifilm 건조배지가 전통적인 배지를 대체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 두 건조배지의 효율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우유와 아이스크림, 햄, 대구살에서 일반세균과 대장균군, 대장균의 균수 검출도에 대한 세 배지간의 상관계수는 0.989-1.000으로 나타났고 p<0.05의 범위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Petrifilm 건조배지는 액화현상으로 인한 콜로니의 이동 및 깨짐 현상과 추가적으로 가스발생 여부를 확인해야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일반세균과 대장균군, 대장균의 균수를 측정함에 있어 Sanita-Kun 건조배지보다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Sanita-Kun 건조배지는 우유, 아이스크림, 햄, 대구살에서 일반세균과 대장균군, 대장균의 분석을 위해 전통적인 배지와 Petrifilm 건조배지보다 편리한 대체법으로써 사용되어 질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이 결과는 식품산업에서 위생검사를 위한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줄 것이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efficiency and accuracy of both Petrifilm and Sanita-Kun dry culture media for enumerating the mesophilic aerobic bacteria, coliforms and E. coli in order to evaluate acceptable alternative methods to traditional medium. In the present study,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raditional medium, Sanita-Kun dry culture medium, and Petfifilm dry culture medium were found to be 0.989-1.000,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5 for enumerating the mesophilic aerobic bacteria, coliforms, and E. coli in milk, ice cream, ham, and codfish fillet. Sanita-Kun dry culture medium was easier to perform and count efficiently as compared to the Petrifilm dry culture medium in enumeration of mesophilic aerobic bacteria, coliforms, and E. coli because colonies on PAC were often broken and mobile during counting and Petrifilm dry culture medium required additional steps to observe gas production for count of coliforms and E. coli.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Sanita-Kun dry culture medium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method over the traditional medium and Petrifilm dry culture medium for enumerating the mesophilic aerobic bacteria, coliforms and E. coli in milk, ice cream, ham, and codfish fillet products. These results would give useful information on selecting an appropriate method for the routine sanitary inspection in the food industry.

      • 호텔기업 구성원이 인지하는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의도간의 영향관계 검증 : - 조직지원인식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박정현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최근 기업의 조직 운영 및 관리에 사회적 문제로 등장하고 있는 직무 스트레스에 주목하여 호텔기업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직무 스트레스가 구성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선행 연구자들이 정의한 직무 스트레스의 하위요인들을 검토하였으며, 호텔기업 구성원을 대상으로 하는 진행하는 연구의 목적에 맞게 호텔기업에 적용 가능한 요인들을 선별하여 구성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및 타당성 검증을 통해 직무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을 직무부하, 직무압박, 직무 불공정성, 육체적 불편함의 4가지 요인으로 구분하였으며, 직무 스트레스로부터 이직하고자 하는 의도가 생성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매개요인으로 직무 불만족과 조직시민행동을 연구모형에 추가하였다. 또한, 직무 불만족과 조직시민행동간, 직무 불만족과 이직의도간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요인을 추가하여 그 인과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변수의 조작적 정의를 통해 기존 연구자들에 의해 그 유의성이 검증된 요인 중,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항목을 수정 및 보완하여 최종 25개의 측정 문항을 도출하여 설문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목적의 달성과 신뢰를 기하기 위해 현재 호텔기업의 구성원으로서 근무하고 있는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를 그 대상으로 하였다. 구글 설문 프로그램을 통해 설문지를 제작하였으며, SNS를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총 311부의 유효한 표본을 얻었으며, 가설 검증을 위해 SPSS 22.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호텔기업 구성원의 직무 스트레스가 직무 불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검증 결과, 직무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직무부하는 직무 불만족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없다는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직무압박, 직무 불공정성, 육체적 불편함은 직무 불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호텔기업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직무 불만족은 조직 시민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호텔기업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직무 불만족은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호텔기업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은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호텔기업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조직지원의 인식은 직무 불만족과 조직시민행동, 직무 불만족과 이직의도사이에서 조절 기능을 하지 않는다는 유의미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더불어, 직무 스트레스가 이직의도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직무 불만족과 조직시민행동이 매개 역할을 한다는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이 연구결과는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지지해 주고 있다. 가설 검증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호텔기업의 조직 관리와 운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대안적 주거 실천으로서의 청년 비친족가구에 관한 연구 : 주거 및 관계 욕구를 중심으로

        박정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년의 경제 불안정성이 심화되고, 다양한 가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청년 비친족가구 사례에 주목하고자 한다. 청년들이 기존 주거 방식에서 벗어나 자발적으로 비친족가구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과정을 심층면접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청년 비친족가구가 가지는 사회적 의미와 주거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1인가구 – 원룸 주택 방식, 공동 거주 가구 – 사택, 기숙사 방식, 원가족 – 투룸 이상 주택 방식 등 청년들이 일반적으로 택할 수 있는 주거 방식은 그러나 생각보다 열악한 청년들의 주거 실상을 드러내며, 이러한 한계를 인식한 청년들은 보다 쾌적한 주택과 친밀하고도 느슨하며 평등한 관계의 가구원, 주거비 부담 완화, 사생활 및 주체성이 보장되는 주거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대안 주거 전략으로 기존의 친밀성과 신뢰가 구축된 다른 청년과 비친족가구를 형성하게 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비친족가구로서 이어나가는 일상적 실천은, 이러한 대안적 주거 방식의 형성 요인 외에도 안전과 관계, 존중, 자아실현 등과 관련된 욕구들을 추가로 충족시키는 한편, 일부 사례에서 가구원 간 이질성으로 인해 갈등이 누적되고, 해당 주거 공간이 임차 형태이자 타인과 함께 거주하는 공간인 만큼 오롯이 자신의 공간으로서 안정감을 확보하는 데에서는 한계를 드러냈다. 한편, 향후 개인 신상의 변동에 영향을 크게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학생 신분 여부와 결혼에 대한 태도 등 청년들이 놓인 조건은 비친족가구 유지 기간에 또한 영향을 주는 주요 요소로 드러났다. 이상 비친족가구 형성 및 유지 과정을 통해 주거 불안정성과 전통적인 가족관이 약화되는 청년들의 인식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청년 비친족가구가 출현하고 있으며, 청년들이 가구를 형성하고 상위 주택으로 이동하고자 할 때 경제적 약자나 비친족가구와 같은 비정상가족에게 주거 정책의 혜택이 제한되면서 공간적 배제의 문제가 드러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상대적으로 기존 주거 방식과 비교하여 비친족가구가 가지는 관계적 차원에서의 이점은 ‘원하는 사람과 함께 살 권리’가 보장될 때 달성 가능한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친족가구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다양한 방식에 반영된 청년들의 각기 다른 조건과 가족관은, 청년들 내부의 차이에 따라 동일한 주거 정책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감안하며 세밀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case of youth non-relative households appearing as an alternative housing practice in a situation where youth's housing problems are in full swing due to the deepening of economic instability among youth, and interest in various family types and loose relationships is increasing. By examining the spatial experiences that youth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voluntarily forming and maintaining non-relative households by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housing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social meaning of youth non-relative households and implications for housing policies. The housing methods that youth can generally choose, such as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one-room housing method, shared housing with dormitory method, and family with two-room or more rooms housing method, have revealed the housing situation of youth that is poorer than expected. These existing housing methods were generally difficult to satisfy the housing and relationship needs of youth. Recognizing these limitations, youth tried to secure more comfortable housing, close but loose and equal household members, relaxing the burden of housing costs, and a living space that guarantees privacy and subjectivity. For this, youth formed non-relative households with other young people who had established intimacy and trust as an alternative housing method. In addition to the factors that led to this alternative housing practice, the daily practice as a non-relative household additionally satisfied the need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related to safety, relationships, respect, and self-actualization. Meanwhile, in some cases, conflicts has accumulated due to heterogeneity among household members, and the fact that the corresponding residential space was a rental type and a space to live with others revealed limitations in securing stability as one's own space. On the other hand, the conditions placed on the research participants, such as student status and attitude toward marriage, which are judg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hanges in personal identity in the future, were found to be major factors that also affect the duration of non-relative households. Based on the spatial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forming and maintaining non-relative households as an alternative housing practice, it was found that youth non-relative households are emerging at the intersection of housing instability and the perception of young people who are weakening the traditional view of the family.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young people forming households and moving to higher-level housing, the limitations of housing policies were revealed. ️️In other words, the systems that have been reproduced by normative spatio-temporality do not take into account abnormal families such as non-relative households in the housing policy, and low-income or non-regular youths give up the benefits of housing policies due to the opportunity cost of long-term procedures. As a result, the problem of spatial exclusion was aroused. Furthermore, in order to prepare a more improved housing policy,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relational benefits of non-relative households can be achieved when the 'right to live with the desired person' is guaranteed. It should be noted that in order to take the relational advantage of the alternative housing of non-relative households voluntarily pursued by these young people, it can be achieved when the 'right to live with anyone they want' is guaranteed. It is required to flexibly reflect this right in housing policies. Nevertheless, in the process of forming and maintaining non-relative households, the different conditions and family views of young people are reflected in the spatial experience. This suggests that a detailed approach should be taken in consideration of the heterogeneity of young people when formulating a housing policy that considers non-relative households.

      • 워라밸(work and life balance) 정착 방안에 관한 연구

        박정현 한양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요지> 워라밸(Work and Life Balance) 정착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민국의 고성장은 IMF를 기점으로 서서히 저성장으로 가고 있으며,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경제 침체가 계속 되고 있다. 또한 경제 강대국들의 보호무역과 마찰로 인하여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은 커져가고 있다. 대한민국 경제는 많은 성장을 했지만 아직도 노동자들은 그들의 권리를 찾지 못하고 있으며, 젊은 세대들은 자기의 희생을 강조하는 노동시장 보다는 자신의 권리를 찾고 삶의 여유를 가질 수 있는 노동환경을 원하고 있다. 그리고 전 세계적으로 불확실한 경제 상황이지만 근로시간 단축은 트렌드로 자리 잡히고 있는 것이다. 근로시간 단축은 단순히 52시간으로 근무를 제한하는 것보다 큰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근로시간에 대한 관리자와 직원들의 의식 변화가 필요하고, 근로시간 관리 기법을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행이 필요하다. 노동환경 변화의 핵심은 관행화된 조직 문화를 재점검해서 새로운 노동환경 시스템을 도입하는 계기라 생각해 볼 수 있다. 일하는 방법이 바뀌어야 하고, 조직문화에 대한 체질 개선을 통하여 변화에 얼마나 빨리 적응하는지가 핵심이다. 조직문화의 변화를 위하여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법적 기준을 준수하면서 회사 실정에 맞도록 제도를 개선 및 도입 운영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주 52시간 시행과 워라밸의 특성을 살펴보고, 워라밸 정착의 문제점을 도출한 후, 워라밸 정착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우리나라가 워라밸 정착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규제와 법·제도적 지원을 해야 한다. 워라밸 자체 규제를 강화하는 것은 어렵겠지만, 주 52시간 단축과 맞물려져 있는 부분은 규제를 통해 실시해야 하고, 법·제도적 지원을 통한 정착을 할 수 있게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새로운 워라밸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본인 기업 특성에 맞는 워라밸 개발이야 말로 직원 만족과 생산성 향상과 이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생산성 향상을 위해 워라밸 정착뿐만 아니라 노동문화 개선을 해야 할 것이다. 셋째, 줄어든 임금 부분을 해결해야 한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 격차는 점점 커지고 있어, 상대적 박탈감이 커지면서 사회적 양극화가 벌어지고 있다. 이 부분은 기업 자체의 노력도 중요하겠지만 정부의 지원 사업과 근무 형태 조절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 그리고 주 52시간 시행과 워라밸 정착으로 늘어난 여가시간을 올바른 시간 활용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이번 연구를 통해 워라밸 정착에 관한 방안 제시를 했으나, 대기업과 중소기업 등, 각 기업특성에 맞는 방안 제시 못 하였다. 그리고 정착에 필요한 지원 사업부분도 정부지원을 위주로 제시를 하였으나 노동환경 변화와 기업자체 의식 변화에 대한 방안 제시에 대해 좀 더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주제어 : 워크 앤 라이프 밸런스, 워라밸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