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악 연주 프로그램이 ADHD 청소년의 주의집중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거문고 연주 수업을 중심으로

        박정경 우석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국악 연주수업이 ADHD 청소년의 주의집중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거문고 연주 수업을 중심으로- 박정경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음악교육전공 지도교수: 백성기 본 연구의 목적은 거문고 연주수업이 ADHD 청소년의 주의집중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선행연구가 국악악기를 음악 교육적 관점에서 학습의 도구로 사용된 동시에 음악 치료학적인 관점을 가지고 연구되었던 악기들은 주로 사물놀이 악기를 중심으로만 이루어져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악기 중 현악기로 예로부터 백악지장으로 선비의 악기로 마음의 수양을 쌓았고, 내적인 여유로움을 지녔던 ‘거문고’를 통해 음악 활동의 치료적 접근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불어 그동안 ADHD를 겪고 있는 유아 및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넘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 내남동에 위치한 Y학교의 학생 2명을 선정하였다. 연구기간은 2010년 4월 27일에서 7월 3일까지로, 총 10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에서 진행된 거문고 연주 수업 방법은 ADHA 청소년 수준에 맞는 3색 정간보를 인용한 교수법이었다. 연구의 결과는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로 나누어서 주의집중력과 학습태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양적 연구 결과, 거문고 연주 수업은 ADHD 청소년의 주의집중력 및 학습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거문고 연주 수업 전후의 주의집중력 및 학습태도 점수 변화를 관찰한 결과, ADHD 청소년의 주의집중력 및 학습태도에 거문고 연주 수업은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질적 연구 결과, 자신감, 배려, 적극성과 같은 긍정적인 심리적 변화를 유도한 것으로 평가된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의의 및 차별성을 찾을 수 있다. 첫째, 우리 전통악기인 ‘거문고’를 매개로 한 음악치료적 접근을 하였다. 둘째, 유아 및 아동에 대한 ADHD 연구를 넘어 청소년기에도 여전히 ADHD를 겪고 있는 ‘청소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후에도 거문고를 이용하여 ADHD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치료를 한다면 보다 더 의미 있는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국악기를 활용한 음악 활동의 치료적 접근이 다양하게 시도되어 연구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Program on Concentration and Learning Attitude of ADHD Adolescent - Focusing on Geomungo Performance class - Park, Jeoung Kyung Major of Music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suk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Baek, Seong-G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Geomungo performance class on concentration and learning attitude of ADHD adolescent. Existing studies concentrated on Korean traditional percussion quartet in terms of music education and music treatment until now. But this study focused on treatment perspective of Geomungo which is instrument of classical scholar and have internal relaxing. And the other differe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object of study is not infant or child but adolescent. The objects of study was two student who suffered from ADHD, lived in Gwangju.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April 27, 2010 to July 3, 2010 and ten class. Three colored Junganbo was used as teaching material because of level of ADHD adolescent. According to quantitative study, Geomungo performance class positively changed the concentration and learning attitude of ADHD adolescent. In other words, when comparing before and after scores, scores of the concentration and learning attitude changed into positive direction. And according to qualitative study, Geomungo performance class changed ADHD adolescent into positive psychological improvement same as confidence, consideration, and initiative. This study have following significances and characteristics. First, this study have music treatment perspective using 'Geomungo'. Second, the object of study is not infant or child but adolescent who suffered ADHD in teenage. In the future, based on result of this study, music treatment perspective using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 should try in various ways.

      • 교사의 논평이 학생들의 고쳐쓰기 활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고등학생의 '설득하는 글' 쓰기를 중심으로

        박정경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순영 교수지도 석사학위 논문 > 교사의 논평이 학생들의 고쳐쓰기 활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고등학생의 '설득하는 글' 쓰기를 중심으로- 제출자 성명 박 정 경(2008422008) 본 연구는 작문 교육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교사의 논평이 학생들의 완성글에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탐색하여 고쳐쓰기 지도 방법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제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주제인 고쳐쓰기의 개념과 고쳐쓰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여기에서는 고쳐쓰기와 유사한 개념으로 쓰이는 재고쓰기와 다시쓰기, 교정하기에 대해 살펴보며 고쳐쓰기의 성격을 정리하고 쓰기를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와 그에 따른 고쳐쓰기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제Ⅲ장에서는 고쳐쓰기와 교사의 논평에 대해 소개하였다. 여기에서는 학생들이 실시하는 고쳐쓰기 활동의 필요성과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논평의 필요성에 대하여 언급하면서 교사의 논평이 학생의 고쳐쓰기 활동에 실제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부연하였다. 제Ⅳ장에서는 연구 방법을 서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며, 설득하는 글쓰기를 과제로 제시하였다. 그리하여 학생들이 교사의 논평을 완성글에 어떻게 반영하는 지를 살펴는 사례연구 과정을 기술하였다. 제Ⅴ장에서는 교사의 논평 중에서 학생들이 고쳐쓰기 활동에 반영한 논평이 무엇이고 구체적으로 어떻게 반영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더불어 고쳐쓰기 활동 중에서 교사의 논평에 대한 학생들의 선택적 반영 기준이 무엇인지에 대해 설문과 면담을 통해 분석하였다. 제Ⅵ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논평이 학생의 고쳐쓰기 활동에 반영된 양상이 향후 작문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초등학생의 기본생활습관과 윤리적 소비와의 관계

        박정경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의 기본생활습관과 윤리적 소비의 관계를 고찰하여 초등 고학년의 기본생활습관을 살펴보고 기본생활습관 교육과 윤리적 소비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초등학생의 기본생활습관과 윤리적 소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기본생활습관의 하위차원은 개인의 주변을 정리하고 위생을 생각하여 신체를 청결하게 하려는 ‘정리정돈 및 청결’,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책임을 다하려고 하는 ‘사회적 책임’, 웃어른에 대한 예의 바른 말투와 행동을 나타내는 ‘예의범절’의 세 가지 차원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기본생활습관의 하위요인과 윤리적 소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기본생활습관의 하위차원인 ‘정리정돈 및 청결’, ‘사회적 책임’, ‘예의범절’의 세 가지 모두 윤리적 소비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기본생활습관의 하위차원과 윤리적 소비를 살펴본 결과, 기본생활습관의 하위차원인 ‘정리정돈 및 청결’은 높은 편이었고,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평균이 높았으며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사회적 책임’ 요인은 남녀 모두 높은 수준이었으나 여학생의 평균이 남학생의 평균보다 높았고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예의범절’ 요인은 남녀 모두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성별에 따른 윤리적 소비에 대한 인식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넷째, 학년에 따른 기본생활습관의 하위차원과 윤리적 소비를 고찰한 결과, ‘정리정돈 및 청결’, ‘사회적 책임’, ‘예의범절’ 요인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윤리적 소비의 결과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학교의 특성(혁신학교와 일반학교)에 따라 기본생활습관의 하위차원과 윤리적 소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정리정돈 및 청결’ 요인이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사회적 책임’요인과 ‘예의범절’요인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일반학교와 혁신학교 간 윤리적 소비는 혁신학교 학생들의 윤리적 소비가 좀 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다섯째, 초등학생의 52.8%가 윤리적 소비라는 말을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윤리적 소비에 대해 여학생, 5학년, 일반학교의 학생들이 남학생, 6학년, 혁신학교 학생보다 더 많이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초등학생들은 윤리적 소비의 의미를 ‘환경친화적인 소비’, ‘합리적인 소비’, ‘절약하는 소비(소비 절제)’, ‘어려운 사람을 돕는 소비’ 의 순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답하였다. 그러나 일부의 학생들은 윤리적 소비에 대해 ‘싼 가격’, ‘착하게 소비하는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초등학생들의 기본생활습관은 ‘정리정돈과 청결’, ‘사회적 책임’, ‘예의범절’의 하위차원으로 구분되며, 모두 윤리적 소비와 정적인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초등학생의 윤리적 소비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기본생활습관도 함께 지도돼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남학생에게 좀 더 효과적이고 지속적인 기본생활습관의 정리정돈 및 청결과 사회적 책임 요인에 대한 교육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초등학생들의 절반 정도의 수만 윤리적 소비에 대하여 인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그 개념을 ‘친환경’, ‘합리적 소비’, ‘소비 절제’, ‘기부’ ‘싼 가격’ 등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에서의 윤리적 소비 교육을 위하여 윤리적 소비의 개념이 좀 더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개념화되어 교육과정에 반영될 필요성이 있으며, 윤리적 소비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바탕으로 교육내용이 개발되고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 시각적 경험을 기초로 하는 종이 릴리프

        박정경 추계예술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의 삶이 복잡해짐에 따라 일상생활에서‘놀이’와 같이 생활을 유연하게 해 줄 수 있는 요소들이 필요해 졌다. 시각 영역의 미술 또한 삶의 윤활유적 역할이 증대되었다. 그러나 현대 회화의 대다수가 관객으로 하여금 일정 수준 이상의 회화에 대한 이해를 요구하였고, 그로인해 특정 대상 이외의 사람들은 이러한 회화를 받아들이기 힘든 지경에 이르렀다. 예술은 인간의 삶을 윤택하게 해주는 가장 큰 영역 이다. 그렇기에 일정 대상만을 위한 예술보다는 다수의 많은 이들이 쉽게 즐길 수 있는 예술이 더 바람직하다고 본다. 이와 같은 의미에서, 이번 논문은 회화의 어떠한 요소가 어렵지 않게 삶에 받아들여 질 수 있으며, 또한 대상을 뛰어넘어 어떻게 감상자와 소통 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출발 하였다. 먼저 논문의 머리말에서는 작품의 중심이 되는 동기에 대해 밝히고 어떠한 방식으로 작업을 진행 하였는지에 대해 언급하고, 제 2장 에서는 작품의 형성배경인‘놀이’의 개념을 인간의 행위를 이론적으로 집대성한 요한 호이징가의 이론을 중심으로 일반적 개념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그리고 예술 심리학을 밑바탕으로 한 순수 시각 놀이에 대하여 정의 하였다. 제 3장에서는 시각적 효과를 다룬 옵 아트를 중심으로 그 전개과정을 알아보고, 빅토르 바사렐리, 브리짓드 라일리, 야코프 아감의 작품을 통하여 옵 아트의 특징과 옵 아트에서 어떠한 시각적 효과를 보여주는 작품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자 한다. 제 4장에서는 작품 분석을 통하여 작품의 특색을 이루는 중요 매체인 종이에 대하여 과거 역사를 기록, 보존, 전파하는 수단에서 어떻게 종이 자체가 예술의 영역 안으로 들어오게 되었는지를 알아보고, 종이가 자신의 작품에서 어떤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그 필연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리고 작품에서 드러나는 조형적 특성을 옵아트의 특징과 비교하여 입체적 구조에서 드러나는 공간, 가역적 형태와 구성적 요소, 그리고 연속적 배열에 따른 형식성을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다. 작품의 바탕은‘놀이’에서 시작 되었다. 여기에서 놀이의 의미는 아이들이 하는 놀이가 아닌 우리의 삶에 휴식을 제공하는 역할로서의 놀이를 말함이다. 내 작품을 통하여 감상자에게 일상에서 잠시 벗어나는 여유를 제공하기를 바라며, 이러한 시각적 경험을 통하여 추상적 작업이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As human life gets more complicated, it is necessary to have some means to give flexibility to life such as "play" in the daily life. In the visual area, art has increased the lubricating role in life. However, most modern painting have required audience to understand painting with the higher level. Thus, people are hard to understand modern painting except one who has professional knowledge. Art is the biggest area to improve the quality of human life. At this point, it is believed that art for a majority of people is more desirable than for a minority of them. This study was started to examine what kinds of factors in painting reflect to the human life and how it communicates with any public beyond special subjects. In this paper, the first chapter introduces the motives of art works and the way it is performed. The second chapter describes the common concept based on the theory of Johan Huizinga who compiled the concept of "play", a background of the work in terms of human behavior. Also, pure visual play was defined based on art psychology. In the third chapter, op art(optical art) is mainly introduced, which it is related to the visual effect. The detailed features of op art are analyzed through the works of famous artists, such as Victor Vasarely, Bridget Riley, and Yaacov Agam. Also, it was examined if specific visual effects were seen in their works. The Fourth chapter examines paper the important medium in the art works: what kinds of roles paper play in the art works; how paper affects the feature of works; the history of paper in the art area as a means to record, preserve and spread history to posterity. In addition, compared to the formative features of op arts, those of the arts are analyzed in terms of space from three-dimensional structure, reversible structure and constituent factors, and formalism in successive arrangement. Finally, the motive of the work was derived from "play", not a children's play but a rest from human life. The author's work is expected to play a role to offer a break from our daily lives. It is also considered that visual experience enables friendly approach to the abstract expression through visual experiences.

      • 서사무가 바리공주의 음악 특징 연구

        박정경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한반도 내륙과 해안 지방에 폭넓게 전승되고 있는 서사무가 <바리공주>의 존재양상과 그 특징을 살펴본 연구결과이다. 서울과 남해안, 전라북도와 전라남도, 동해안 지역 <바리공주> 무가의 의례적 의미를 검토하고, 음악 요소와 구성을 분석하였으며 연행의 특성에 대하여 다각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아래와 같은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서사무가 <바리공주>는 망자천도굿에서 망자를 천도하는 제차에서 연행되는 무가이다. 서울 새남굿에서는 무당이 혼자 장구와 방울을 연주하며 <바리공주>를 구송한다. 남해안과 전라도 지역에서는 오른손으로 장구의 궁편을 두드리면서 무가를 구송하고, 왼손으로는 실을 풀어 감는 행위를 수반한다. 동해안에서는 무녀가 부채와 손대를 들고 서서 노래를 하고, 장구 반주만 수반한다. 둘째, 각 지역별 <바리공주>는 음악적 존재양상이 다양하다. 대개 지역 기층음악의 음조직을 따르지만 예외적인 음이 출현하기도 하고, 보편적인 선율진행과는 다른 선율 유형이 쓰인다. 보통 빠르기로 편안하게 구송되고 가사붙임과 리듬형은 단조롭다. 선율은 주로 하행형이 많이 쓰이지만 순차진행과 도약진행, 지속형과 복합형 등이 고루 나타난다. 셋째, <바리공주>의 사설 내용과 음악이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 특히 서울굿 <바리공주>는 서사 단락에 맞춰 반복절이 삽입되어 음악과 문학적 형식이 가장 유사하다. 남해안과 전라남북도 지역은 음악적 형식감이 약하고, 사설의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연행된다. 전라도 지역은 극적 상황과 슬픔의 음악적 표현이 비교적 강하다. 동해안 <바리공주> 무가는 말과 노래를 적절히 섞어 내용을 효율적으로 전달한다. 넷째, 각 지역별 <바리공주>는 연행 목적과 지향점이 서로 다르다. 서울 <바리공주>는 바리공주의 신화를 통해 망자를 천도하는데 목적으로 두고, 엄격한 절차와 체계성을 지향한다. 남해안 <바리공주>는 망자를 떠나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이를 위해 감정을 절제하고 담담하게 구송한다. 전라도 <바리공주>는 망자의 천도와 유족들의 위로를 동시에 추구한다. 가창자마다 형식이나 내용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로운 음악적 표현을 지향한다. 동해안 <바리공주>는 굿판의 모든 사람들이 슬픔을 풀어내고 치유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무녀와 악사, 관객이 상호 교감을 이루는 놀이적 연행을 지향한다. 다섯째, 긴 서사무가를 구송함에 있어서 가창자의 즉흥성이 돋보인다. 사건의 인과관계와 서사구조가 온전히 재현되는 것이 아니라 가창자의 기억에 의존해서 가감이 이루어지고, 앞뒤 순서가 바뀌기도 한다. 다만 동해안의 경우는 판소리처럼 말과 노래, 염불 등이 적절히 결합해서 장시간 긴 이야기를 일관되게 끌어가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대신 아니리와 같은 말하는 부분에서 즉흥성을 발휘한다. 여섯째, 서사무가 <바리공주>의 특징은 ʻ경계성ʼ, 또는 ʻ복합성ʼ이라는 용어로 집약된다. <바리공주>는 노래와 말의 중간적인 특성을 지닌다. 음악적으로는 단순하고, 문학으로 치부하기엔 음악적 요소가 강하다. 지역 토속음악으로서의 보편성과 무속음악으로서의 특수성이 공존한다. 이러한 양면성은 ʻ굿ʼ이라고 하는 의례가 신과 인간의 영역을 넘나드는 경계에 놓여있다는 것과 상통한다. 서사무가 <바리공주>는 한국에 전승되는 굿의 신앙적, 문학적, 음악적 요소가 집약체이다. 일곱째, <바리공주>는 ʻ풀이ʼ의 문화를 추구한다. 지역마다 <바리공주>를 연행하는 목적과 지향점은 다르지만, 죽음을 풀어낸다는 점은 같다. 신의 내력을 담은 서사무가를 통해 신은 사람의 소망을 들어주고, 무당은 <바리공주>의 이야기를 구송하면서, 망자와 유족의 슬픔과 한을 풀어준다. ʻ풀이ʼ는 긴장보다는 이완을 추구하며, 이는 자유롭고 즉흥적인 <바리공주>의 음악적 성격과 연결된다. <바리공주>는 굿의 목적을 드러내는 ʻ메타포ʼ로서, 이생에 남은 사람들에게 희망을 줌으로써 망자천도굿의 본질적 가치를 실현한다. This dissertation examines “Barigongju,” an epic narrative song sung in shaman rituals in various regions in Korea, including Seoul, Southern and Eastern coastal area, and Jeollado provinces. By looking at its characteristics and the performance styles, this research not only analyzed its music, but also explored its ritualistic process and principles. The research reached ideas of the diversity and universality existing in “Barigongju” songs in different areas. First, “Barigongju” is sung in mangjacheondogut which refers to the ritual held to console the spirit of deceased and to send him to heaven. In Seoul saenamgut ritual, the shaman sings “Barigongju” alone as he plays the hourglass drum and bells by himself. In Southern coastal area as well as in Jeollado provinces, shamans sing the song as they hit the right drum head of the hourglass drum with the right hand, while, on the other hand, they unwind and wind the thread with the left hand. In Eastern coastal area, female shamans sing the song standing and holding a handy fan and a rod. Only one hourglass drum is used to accompany the song. Second, the musical structure and forms of “Barigongju” show regional differences. Generally, the melody is based on a specific mode and scale, specifically following a local musical language. However, the melody can develop with exceptional tones and contain unusual motives away from its regional features. The text is narrated peacefully in simple rhythmic patterns in moderate tempo. The melody is mostly in conjunct motion, but some phrases move with leaping tones. Also, combined patterns also appear. Third, the lyrics and the music are closely interwind in the song. Especially “Barigongju” sung in Seoul area shows how much the musical structure and the literary format match well as a repetitive melodic phrase is inserted at each narration. On the other hand, the song in Southern coastal area and Jeollado province has weak musical formality, so the song just goes with the flows of narration. The song in Jeollado province expresses dramatic situation and sorrowfulness musically. In Eastern coastal region, the song and recitation are mixed in harmony as they efficiently convey the message implied in the lyrics. The song, depending on where it has been sung, plays multiple roles and serves different purpose. In the rituals in Seoul “Barigongju” is sung to guide the spirit to heaven, and, thus, the music is strictly attached to ritualistic formality and system. In the Southern coastal area, the song intends to release the spirit and to send it toward the world beyond, and therefore the song is sung in serene mood with refined emotion. In Jeollado provinces, the song is sung not only to send off the spirit but also to relive the family of the deceased. So the shamans sing the music freely expressing their own style, irrespective of the forms and the contents. In Eastern coastal area, shamans intends to dispel the sorrows inside the people who gathered in the place and aims to heal them with the song. So the ritual contains playful performances where the shamans, musicians, and the audience members can communicate and mutually understand each other. Fifth, the improvisation of the singers is one of the highlight in singing the lengthy narrative song. Cause and effect or a description on a certain event are not exactly represented through the song. Instead, the singer recalls her or his memory and reorganizes a story.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song in Eastern coastal area, a long story telling coherently continues as the singer sings, tells, and prays, similar to pansori, another epic narrative singing genre in Korea. However, “Barigongju” has more improvisation in its recitation part. Sixth, the features in “Barigongju” can be summarized in one word, an anthropological term “liminality” or “complexity.” “Barigongju” is a speech while at the same time singing. It is musically very simple and plain, but too musical to be defined as literature. It is very universal or general as it is just one piece among many local songs. On the contrary it is very special and distinctive as a local song sung in shaman ritual. The ambilaterality existing in “Barigongju” may have something to do with its double sideness that transcends the human world and the divine world. In short, religious, literary, and musical elements of shaman ritual transmitting in Korea are integrated in this epic narrative song. Seventh, “Barigongju” is a culture of puri, the seek of release or resolution. Even though “Barigongju” is used as means of reaching many different goals, the “death” is always the theme or the center. With the song complimenting the divine power, the spirits let peopleʼs wish come true. The shaman resolves deep sorrows which living people as well as the dead has kept by unfolding stories. This process of “resolution” or of the release of the life and sorrow, pursues relaxation rather than tension. This relaxation seems to be intermingled in liberal musical style and improvisation of “Barigongju.” “Barigongju” is a metaphor which reveals the purpose of rituals, sending off the dead. It also substantializes its intrinsic value as it gives hope to the people who have to live on left behind the dead.

      • 진해만의 마비성 패독 발생과 Real-time PCR 기법을 이용한 Alexandrium속의 검출

        박정경 부경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Outbreaks of toxic dinoflagellate Alexandrium have gradually increased in Korean coastal waters and caused severe damage to shellfish culture industry. The survey on mussel toxicity in association with toxic dinoflagellate Alexandirum was conducted when cultured mussels Mytilus edulis were found to accumulate paralytic shellfish toxins from March to May 2007 in Jinhae Bay, Korea. The cell density of Alexandrium spp. increased until mid of April, following decreased and disappeared in end of May. The maximum cell densities of Alexandrium spp. reached 25,800 cells L-1 on 30 May. The mussel toxicity also increased with increase of the cell density of Alexandrium spp. (except 30 March), and decreased gradually in proportion to cell density. The highest PSP toxicity was 4,456.01 μg STXeq. 100 g-1 on 18 April. The predominant toxins detected in mussels were C1+2, GTX1+4, GTX2+3, and trace toxins were dcSTX, neoSTX, STX, GTX5. At the beginning of the survey, the proportion of C1+2 and GTX1+4 in mussels were much higher and lower, respectively. However, the former gradually decrease, while the latter gradually increased thereafter. In order to rapid detection of the genus Alexandrium in environmental water samples, the real-time PCR assay was adopted. 5.8S-b5' and 5.8S-b3' primers specifically amplified only the genus Alexandrium, while amplification products were undetectable in reaction containing the DNA of other dinoflagellates. The 6-month field survey conducted in Jinhae Bay (April-September), and the DNA of the genus Alexandrium was detected in April, May and August. It was similar period of occurrence toxic Alexandrium sp. in Korean coastal water. Therefore, the real-time PCR assay is available to rapid detection of the genus Alexandirum during coastal water monitoring. 매년 마비성 패독 발생으로 조개류의 수확이 금지되는 진해만을 대상으로 담치의 마비성 패독 발생과 Alexandium 분리주의 지역개체군 식별, Real-time PCR 기법을 이용한 현장시료해수 내 Alexandirum속의 신속한 검출 방법을 시도해 보았다. Alexandrium속의 출현량은 3월 30일에 정점1과 2에서 각각 25,800 cells L^(-1)와 19,800 cells L^(-1)로 최대였고, 이후 감소한 다음 점차 증가하여 4월 18일에 각각 7,500 cells L^(-1)와 8,050 cells L^(-1)까지 증가한 후 다시 감소하였다. 한편, 담치의 독성은 3월 20일 첫 조사에서 규제치 이하로 검출되었고(4.27 μg STXeq. 100 g^(-1)), 4월 18일 정점1과 2에서 각각 4,456 μg STXeq. 100 g^(-1), 2,868 μg STXeq. 100 g^(-1)으로 최대 독함량을 나타냈고, 두 정점 모두 5월 19일 조사부터 규제치 이하의 독성이 검출되었다. 진해만의 양식산 진주담치의 마비성 패독 독소는 두 정점에서 C1, C2, GTX1, GTX2, GTX3, GTX4, neoSTX, dcSTX, STX가 검출되었다. 또한, 본 조사에서는 마비성패류 독소는 이성질체간 독조성비가 변화하였다. 패류 독화가 진행되는 4월 10일까지 11β-epimer가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나 제독이 진행되는 4월 18일부터 11α-epimer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였다. 진해만 3지역과 고성, 삼천포 Alexandrium속 분리주의 마비성 패독 독함량은 3.95 (JSPC0701-5)~144.20 (SJC0611-2) fmol cell^(-1) 이였고, 모든 분리주에서 C1, GTX1, GTX3, GTX4, neoSTX가 검출되었다. JSPC0701-5를 제외한 진해만의 분리주는 주요성분에서 유사한 독조성을 보였고, 이는 진해만 지역의 지역개체군으로 판단된다. Alexandrium속을 검출하기 위해 진해만 현장해수의 PCR 방해인자를 확인한 결과 이 지역의 250 mL 현장해수에는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Alexandrium속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primer을 이용하여 2007년 4~9월까지 진해만의 10개 정점에서 현장해수시료를 대상으로 Real-time PCR을 수행한 결과 Alexandrium속은 4월, 5월, 8월에 검출되었다.

      • 스모킹 기법을 적용한 여성 성악 연주복 디자인 연구

        박정경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클래식 성악 공연 무대에서 연주자의 음악적 역량으로 나오는 청각적 효과와 무대 위 연주자로 집중되는 시각적 효과를 함께 표현하여, 관객의 감성을 만족시키는 공감각적 효과가 복합적으로 어우러지는 종합예술이다. 특히 합창이나 중창과 달리 독창의 경우 관객의 시선은 연주자에 보다 집중되어 연주자의 전체적, 세부적으로 신체 모습이 관객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된다. 성악 연주는 다른 악기 연주자와 달리 무대 중앙에서 정면으로 선 모습이 그대로 관객에게 보이므로 관객의 집중도가 높아 성악가의 음악적 역량과 함께 그 신체를 감싸는 연주복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남성 성악가의 연주복은 연미복 계열로 어느 정도 그 범위가 제한된 반면, 여성 성악가의 연주복은 성악가의 음악적 역량에 대한 기대와 신체 이미지, 그리고 연주자의 자긍심을 높일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타 연주복보다 차별적 디자인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에 여성 성악복의 장식 요소로 다소 사용되었던 레이스, 비즈, 리본 등과 차별적으로 평면적 원단에 조형적 재질감과 특성을 표현할 수 있고 수공예적 예술성을 지닌 스모킹 기법을 활용하여 성악 드레스 디자인을 개발 및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악 드레스의 우아한 이미지, 드레스의 실루엣과 형태, 그리고 스모킹의 섬세한 디자인 개발에 필요한 인스퍼레이션 모티브로 러시아 크론슈타트 성 니콜라스 해군 대성당을 선정하였다. 성 니콜라스 해군 대성당은 서로 다른 종교적, 시대적, 문화적 특징이 복합적으로 담겨 있고, 돔과 아치 형태의 창문. 그리고 외벽에는 반복적 패턴의 부조적 조각이 포함되어 있어 본 연구에 적합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연구 방법은 우선 여성 성악 연주복의 개념과 연주자의 디자인 선호도, 스모킹의 개념과 특성, 그리고 인스퍼레이션 모티브인 크론슈타트 성 니콜라스 해군 대성당에 대해 선행연구와 문헌연구 등의 자료를 파악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여성 성악 연주복 디자인 개발을 위한 디자인 방향, 컬러, 소재를 포함한 디자인 콘셉트를 도출, 스모킹 디자인 개발, 연주복 디자인 개발 및 제작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스모킹 디자인은 사방 유연성과 다양한 재질감과 입체감 표현이 가능한 북아메리칸 스모킹 기법을 기본으로 개발하였고, 연주복은 선행연구의 선호도 결과에 따라 롱 드레스로 선정하였다. 디자인 콘셉트 방향은 전체적으로 현대적 이미지와 유려한 곡선적 특징의 표현을 중점으로 하여 플레어, 개더, 터크 등의 볼륨적 디테일로 형태적 특징을, 컬러는 선명하고 풍부한 색감의 카마인 레드, 터키쉬 블루, 로얄 퍼플의 색상을, 그리고 소재는 우아한 광택감과 고급스러운 이미지로 완성하기 위해 실크 트윌과 새틴을 선정하였다. 스모킹 디자인은 1단계 작업이 가능하고 유연성과 격자의 간격 및 배열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북아메리칸 스모킹 기법을 활용하여 해군 대성당의 반복적, 조형적 외벽 조각을 모티브로 9개 스모킹 디자인을 도출하였다. 이들은 드레스의 상의를 위한 얇은 두께와 하의 드레스의 볼륨있는 입체적 효과를 위해 격자 간격과 스티치의 배치 및 배열에 변화를 주어 제작하였다. 마지막으로 성악 연주복 디자인은 실루엣과 차별적인 장식적 요소를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이를 위해 프린세스 라인, 머메이드 라인, 볼 가운 라인 등의 변화있는 실루엣과, 조형적, 수공예적, 장식적 표현이 가능한 스모킹 디자인을 적용하여 6벌의 드레스 디자인을 하여, 실물로 제작하였다. 드레스 컬렉션은 컬러의 톤과 소재는 통일성을 주었으나 각 디자인은 실루엣과 디테일 효과, 스모킹을 모두 다르게 적용하여 차별적 디자인 효과를 제시하였다. 문화예술 분야의 중요성과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다양해지는 클래식 성악 공연의 문화적 활동이 확장되고 있는 시점에서 여성 성악 연주복의 차별적 디자인에 대한 요구는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인 여성 성악 연주복 디자인은 연주자의 독창적 개성, 차별적 심미성에 대한 표현의 필요성, 연주자에 대한 관객의 시각적, 감성적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연주복 디자인 확장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a comprehensive art that combines the synesthetic effect that satisfies the audience's emotions by expressing the auditory effect that comes from the musician's musical ability on the classical vocal performance stage and the visual effect that is focused on the performer on the stag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olo performer, unlike a choir, the audience's gaze is more focused on the performer, and the performer's overall and detailed physical appearance is delivered directly to the audience. Unlike other instrument players, a vocal performance is the one that shows the audience standing in front of the center of the stage as they are, so the concentration of the audience is high, so the role of the performance clothes covering the body along with the musician's musical ability is very important. Especially male vocalists' performance clothes are limited in scope to the tailcoat series, while female vocalists' performance clothes can play a role in raising expectations for the musician's musical ability, body image, and performers' self-esteem, which is why differential design is required.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design development of female vocal performance dress applying the smocking technique which is possible to express the formative texture and characteristics on flat fabrics differently from lace, beads, and ribbons, which have been mainly used as decorative elements for women's vocal performance in the past, and handicraft artistry. For this purpose, the Naval Cathedral of St. Nicholas in Kronstadt, Russia has been chosen as the inspirational motivation that is needed to develop the elegant image, the silhouette and form of the concert dress, and the delicate design of smocking. The Naval Cathedral of St. Nicholas was considered suitable for this research because it contains a complex of different religious, histor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construction includes the dome, arch-shaped window and the exterior wall with relief sculptures of repetitive pattern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study reviewed the prior literature on the concept of female vocal performance costumes, the design preference of performer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smoking, and the St. Nicholas Naval Cathedral in Kronstadt which is an inspiration motif. Based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design concepts such as design direction, color, and material were derived for the design development of female vocal performance dress, and a smocking design and design and production development process of concert dress was carried out. The smocking design was developed based on North American smocking techniques, which is flexible in all directions, and can express a variety of textures and dimensions. The concert dress were selected as long dresses according to the preferenc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e direction of the design concept focuses on the expression of a modern image and elegant curved features as a whole, with morphological features such as flares, gathering and tucks in volume details, and rich color palette including carmine red, turquoise blue and royal purple. In addition, silk twill and satin fabrics were chosen to create an elegant luster and luxurious image. As a result, nine smocking designs were derived with the motif of repetitive and formative exterior wall sculptures of the Naval Cathedral by using the North American smocking technique that is available to work in one step, and applies flexibility and various spacing and arrangement of grids, They were developed by changing the grid spacing, and the placement and arrangement of stitches for thin thickness for the upper body of the dress and the voluminous three-dimensional effect of the dress below. The design of concert dress emphasised silhouettes and unique decorative elements. Finally, six dress designs were created by applying the vasious silhouettes of the princess line, the mermaid line, and the ball gown line, the smoking design that can express the formative, handicraft and decorative expression. The dress collection gave unity in colour tones and materials. However, different silhouettes, detail effects, and smocking were applied to each of the dress designs to give a differentiated effect. In summary, there is a tendency for a lot of importance and interest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to increase. In addition, with the cultural activities of various classical vocal performances expanding, the demand for differentiated dress designs for female vocal performances has been increasing.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not only satisfy the needs to express original individuality of the performer and differentiated aesthetics, but also the visual and emotional satisfaction of the audience, and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expanding the design of classic concert d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