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식 O2O 플랫폼의 지속사용의도 영향요인 연구 : IS Success Model과 PAM(Post Acceptance Model)을 활용하여

        박재윤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47

        COVID-19를 거치면서 배달에 대한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특히 모바일 인터넷에 기반을 둔 외식 O2O(Online to Offline) 플랫폼의 사용이 더욱더 빈번해지게 되었다. 그로 인하여 외식 O2O 플랫폼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였고, 다양한 플랫폼들이 경쟁하게 됨으로써, 소비자들이 플랫폼을 수용한 이후 지속해 사용하게 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파악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외식 O2O 플랫폼 사용소비자들의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정보서비스 성공모델(Is Success Model)과 후기수용모델(Post Acceptance Model)의 이론을 기반으로 외식 O2O 플랫폼 품질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후기수용모델의 변수를 활용하여 지속용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외식 O2O 플랫폼의 시스템품질, 정보품질, 서비스품질이 기대충족, 지각된 유용성, 만족을 거쳐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을 제시하고 검증하였고, 플랫폼 평균 사용 금액에 따른 조절효과를 파악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하여 6개월 이내에 외식 O2O 플랫폼을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379부의 유효 표본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SPSS 26.0과 AMO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진행을 통해 가설 검증 과정에서 측정항목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정하였다. 분석 결과, 외식 O2O 플랫폼의 정보품질, 시스템품질, 서비스품질은 기대충족에, 시스템품질은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대충족이 지각된 유용성과 만족에, 지각된 유용성이 만족과 지속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보서비스 성공모델과 후기수용모델을 활용하여 정보품질, 시스템품질, 서비스품질과 기대 충족, 지각된 유용성, 만족, 지속사용의도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으며, 또한, 이용 금액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정함으로써 외식 O2O 플랫폼 지속사용의도에 관한 이론적 설명모형을 구축하였다고 할 수 있다. 실무적 관점에서는 선행연구가 진행하였던 음식 배달 중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음식 배달, 식재료 배달 등을 대상으로 소비자의 범위를 확대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마케팅활동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Following the outbreak of COVID-19, people showed a soaring demand for delivery and frequently used more foodservice O2O (online to offline) platforms based on mobile applications. As a result, the market for foodservice O2O platforms has made quickly grown with various platforms competing against one another. Because of this, there is now a need to figure out the factors that promote consumers' continuous use of such platforms after their acceptance of them. This study sets out to test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ntinuous use intention of foodservice O2O platform users. The study identified the components of foodservice O2O platform quality based on the theories of the IS Success Model and the Post-Acceptance Model and investigated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of continuous use intention and the variables of the Post-Acceptance Model. The study raised and tested hypotheses about the effects of the system, information, and service quality of foodservice O2O platforms on continuous use intention via expectation confirmation, perceived usefulness, and satisfaction before examining moderating effects according to average amounts of money spent on a platform. To collect data,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people who had experienced using a foodservice O2O platform within six months, and a total of 379 valid samples were used in the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the SPSS 26.0 and AMOS 24.0 statistical programs to ensu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easurement items in the testing process of hypotheses, which were tested with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information, system, and service quality of foodservice O2O platforms had positive (+) effects on expectation confirmation and that system quality had positive (+) effects on perceived usefulness. Expectation confirmation had positive (+) effects on perceived usefulness and satisfaction, and perceived usefulness had positive (+) effects on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The present study empirically demonstrated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information, system, and service quality of foodservice O2O platforms and expectation confirmation, perceived usefulness,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with the IS Success Model and the Post-Acceptance Model as well as established a theoretical explanatory model for the intention to continuously use a foodservice O2O platform by testing moderating effect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s and the amount of money spent.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the study expanded the scope of consumers to the delivery of food ingredients as well as foo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that focused on food delivery.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needed for marketing activities.

      • Energy-Efficient Image Processing using Binary Neural Networks with Hadamard Transforms

        박재윤 포항공대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Binary neural networks have recently begun to be used as a highly energy- and computation-efficient im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computer vision tasks. This thesis proposes a novel extension of existing binary neural network technology based on the use of Hadamard transforms in the input layer of a binary neural network. Previous state-of-the-art binary neural networks require floating-point arithmetic in several parts of the neural network model computation in order to maintain a suffi- cient level of accuracy. The Hadamard transforms are similar to a Discrete Cosine Transforms (used in the popular JPEG image compression method) except that it does not include expensive multiplication operations. In this thesis, it is shown that the Hadamard transforms can be used to replace the most expensive floating-point arith- metic portion of a binary neural network. In order to test the efficacy of this pro- posed method, three types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application of the proposed method to several state-of-the-art neural network models, verification of its effective- ness in a large image dataset (ImageNet), and experiment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Hadamard transforms by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binary neural networks with and without the Hadamard transforms. The results show that the Hadamard trans- forms can be used to implement a highly energy-efficient binary neural network with only a miniscule loss of accuracy.

      •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기질-양육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재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s’ temperament, mothers’ parenting behavior, temperament-parenting goodness of fit on childs’ emotion regul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0 mothers of 5-year-old children attending kindergarten in Seoul. Data were gathered via four questionnaires regarding childs’ temperament, mothers’ parenting behavior, temperament-parenting goodness of fit, childs’ emotion regulation reported by mother. Pearson correlational analys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arried out for data analyses.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childs’ emotion control ability was predicted by ‘adaptive’ temperament, whereas maladjustment emotion regulation was predicted by ‘coercive’ parenting. Second, not every temperament-parenting goodness of fit had good effect for child’s emotion regulation. Specifically, ‘Activity goodness of fit’ had negative effect for child’s emotion regulation. Also goodness of fit variables had positive effect for emotion regu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e importance of temperament and parenting in predicting child’s emotion regulation. Especially, temperament i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for child’s emotion control ability, also parenting i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for maladjustment emotion regulation. While, only maladaptation emotion regulation was predicted by goodness of fit.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기질-양육 조화적합성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인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한편,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 기질-양육 조화적합성 각 변인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8개 유치원에 재학 중인 만 5세 유아(남아: 140명, 여아: 140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유아의 기질은 유아용 개정판 기질차원 검사(DOTS-R; Revised Dimensions of Temperament Survey; Windle & Lerner, 1986)를 재구성한 서주현(2009)의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박지숙, 박성연(2008)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기질-양육 조화적합성은 DOTS-R에 근거하여 서주현(2009)이 개발한 조화적합성 척도를 사용하였고 정서조절능력은 Shields와 Cicchetti(1995)의 Emotion Regualtion Checklist(ERC)를 사용하였다.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및 척도의 신뢰도를 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Cronbach' α를 산출하였으며,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종속변인인 정서조절능력은 그 하위요인인 정서통제능력과 부적응적 정서조절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 기질-양육 조화적합성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인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정서통제능력과 부적응적 정서조절을 예측하는 요인이 각각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의 기질 중 적응성(+), 지구력(+), 활동성(-)이 정서통제능력을 예측한 반면, 부적응적 정서조절을 예측하는 요인은 적응성(-)과 활동성(+)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에서는 애정·합리적 양육(+)과 과보호적 양육(-)이 유아의 정서통제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압적 양육(+)은 유아의 부적응적 정서조절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질-양육 조화적합성 중에서 적응성 조화적합(+)은 유아의 정서통제능력을, 적응성 조화적합(-)과 활동 성 조화적합(+)은 부적응적 정서조절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 기질-양육 조화적합성 각 변인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정서통제능력을 가장 잘 예측해주는 변인은 기질변인인 적응성이었던 반면, 부적응적 정서조절을 가장 잘 예측한 변인은 양육변인인 강압적 양육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종의 양육으로 볼 수 있는 기질-양육 조화적합성 역시 정서통제능력은 예측하지 못했으나 부적응적 정서조절은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정서통제능력은 유아의 기질적 요인이, 부적응적 정서조절에는 어머니의 양육 및 기질-양육 조화적합성이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기질변인과 어머니의 양육변인이 정서조절능력간의 단순한 관계를 규명한 연구들과는 달리, 정서조절능력을 정서통제능력과 부적응적 정서조절로 나누어 그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르다는 것을 밝혔으며, 부적응적 정서조절 행동을 보이는 유아에게는 기질 자체보다는 어머니의 양육이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부산항 수리 조선 산업 활성화를 위한 e-platform 연구

        박재윤 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물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부산항은 동북아 허브 항만의 유리한 입지 조건과 우수한 기술 및 노동력을 보유한 국내 최대 항만이며 국내 대부분의 수출입 컨테이너 물량을 처리하고 있을뿐 아니라 2018년 기준 전 세계 5위의 컨테이너 처리실적을 가진 우리나라 최대 항만이다. 그러나 최근 IT의 접목으로 인한 새로운 항만 페러다임의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여 항만의 부가가치 규모가 해외 주요 항만의 40% 수준에 불과한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만톤급 이상의 대형 선박을 수리하던 조선소들이 선박수리산업시장을 포기하고 신조산업으로 전환하여 전국 약 50%의 선박수리업체가 부산항에 집중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부산항의 선박수리시장의 규모가 감소하고있다. 하지만 선박수리산업은 부산지역에 있어 무한한 잠재력으로 지역 경제를 이끌어 나갈 산업 중 하나이며 최근 중고선 운영 확대와 선복량 증가 및 환경 규제에 따른 개조 시장의 급격한 확대로 인해 선박수리산업의 성장 가능성이 매우 높게 전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산항 수리 조선 산업의 여건을 분석하여 발전 가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수리 조선 산업의 개요 및 특성, 국제 경쟁력 결정 요인 등과 관련한 국내.외 문헌자료를 수집 및 검토하고 세계 수리 조선 산업과 부산항의 수리 조선 산업의 현황을 분석하고 부산항의 수리 조선 산업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부산항의 수리 조선 산업의 문제점으로는 우리나라의 대형선박 수리시장의 수요감소와 대형선박수리를 위한 설비의 노후화 및 부재, 그리고 다른나라 항만 대비 경쟁력 약화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의 개선 방안으로는 선박수리조선시장 점검과 수리조선산업 중 특수선 수리 및 개조와 같은 특정 분야의 수요를 타겟으로 발전하는 것과 다른 경쟁항만과 다른 차별화된 장점을 확보하는 것도 주요한 개선 방안 중에 하나이다. 마지막으로 대형선박의 수리를 위한 도크 및 설비를 갖추고 노후화된 설비를 정비 및 교체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개선 방안들은 부산항의 선박수리조선산업의 발전 위한 해결책이 될수있을 것이다. 또한 부산항의 활성화 방안으로 수리 조선 산업과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연계하여 크라우드 기반의 종합 정보 관리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제공함으로써 영세성·업무 비효율성 극복하고 지속적인 수리업무관리로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을 제시한다.

      • 고강도집속초음파를 이용한 자궁의 양성종양의 치료 효과 분석

        박재윤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HIFU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의 임상적인 보급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여 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나 미흡하거나 기초단계에 머물러있는 실정이다. 이에 HIFU로 자궁양성종양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결과를 바탕으로 자궁의 양성종양의 HIFU 치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0년 2월 4일부터 2014년 12월 29일까지 인천기독병원에서 초음파상 자궁근종과 자궁선근종으로 진단되어 HIFU 치료를 받고 3개월, 6개월 Follow up까지 마친 환자 총 3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경질 초음파를 이용하여 양성종양의 장경, 횡경, 전후 지름을 측정하여 타원체 부피측정법을 통해 자궁의 양성종양의 부피를 측정하였고 이를 토대로 환자의 나이대별, 병명별, 출산력별, 치료시간이 HIFU 치료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유의성을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HIFU 치료를 받은 환자의 자궁의 양성종양은 모든 연령대에서 양성종양의 Volume의 감소를 보였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병명별로는 자궁근종과 자궁선근종의 치료 전, 치료 후 3개월, 6개월의 평균 Volume과 감소율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출산력에 따른 Volume의 감소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 값을 얻을 수 있었으나, 감소율은 유의하지 않았다. 치료시간별 Volume 감소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 값을 얻을 수 있었으나, 감소율은 유의하지 않았다. HIFU 치료의 경우 자궁을 보존할 수 있으며 비침습적이며 자궁근종 및 선근종의 크기 감소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러한 장점들을 볼 때 자궁근종의 HIFU 치료는 다른 치료들을 대체할 수 있는 치료법이라 할 수 있다.

      • Ni-rich 층상계 산화물의 잔존리튬 제거와 이에 따른 전기화학적 특성 연구

        박재윤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구온난화를 해결하기 위한 대표적인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인 전기자동차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구동하기 때문에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차전지 중에서 대표적인 리튬 이온 배터리는 1회 충전으로 장거리 주행이 어려운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중·대형 전지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중·대형 전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양극활물질의 에너지 밀도가 중요한데, 층상구조를 가지는 LiNixCoyMnzO2(NCM, x+y+z=1)은 기존에 널리 쓰이는 LiCoO2(LCO)보다 경제성이 좋다. 특히, Ni의 함량이 x≥0.6로 높은 Ni-rich NCM은 방전용량이 Ni의 함량에 따라 증가하는 장점이 있으나 Li+과 Ni2+의 유사한 이온반경으로 인한 양이온 혼합 현상으로 인해 용량이 감소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합성시 리튬 원료를 양론비보다 과량으로 첨가한다. 그 결과로, 합성 후 미반응한 리튬 원료가 활물질 표면에 산화물 형태로 남는다. 리튬 산화물은 대기 중에서 불안정하여 Li2CO3, LiOH 형태로 변하는데, 이것을 잔존리튬이라고 한다. 잔존리튬은 슬러리 제조시 강염기성으로 인한 젤화 현상과 전지 성능 평가시 내부 분해 가스 생성으로 스웰링 현상으로 인한 성능 저하가 있다. 따라서 제거 공정을 통한 활물질 표면의 잔존리튬 제거는 필수 불가결하다. 본 연구에서는 Ni-rich NCM의 잔존리튬 함량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용매, 교반시간, 고형분, 교반속도에 따라 각 공정 변수별 제거 효과를 확인하고 구조적 특성 및 전기화학 평가를 수행한 후 최적의 공정 효과를 적용하고 후열처리를 통한 구조적, 전기화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로, Ni-rich NCM의 잔존리튬 제거공정 용매로써 물을 사용하는 것이 제거 효과가 가장 뛰어났지만 Pristine 대비 수명 특성이 열화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최적의 잔존리튬 제거 효과를 가지면서 열화 현상을 완화시키는 방향으로 진행하였다. 교반 시간 변수에 대해서는 1분 정도의 짧은 시간으로도 충분한 잔존리튬 제거를 할 수 있으며 공정비용 면에서도 효율적이다. 처리 후 발생하는 수명 열화 현상이 물의 함량에 있을 것으로 가정하고 고형분을 높이는 방법으로 기존 20% 고형분에서 50% 고형분 처리 결과, 수명 열화 현상이 완화됨을 확인하였다. 교반 속도에 따라 잔존리튬을 더욱 제거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300, 400, 500rpm 처리 결과, 교반속도 비례에 따라 잔존리튬 제거 효과가 소폭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수명 특성 확인 결과, 400rpm의 적절한 교반속도로 진행하여야 전극 수명 열화 현상이 덜 진행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물을 이용한 제거 공정 후 120℃ 오븐 건조로는 수명 특성이 나쁘기 때문에, 별도의 후열처리가 필요하다. 후열처리시 내부 리튬이 표면으로 나와 잔존리튬 함량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500, 400, 200 ℃의 후열처리를 진행하여 그에 따른 전기화학 특성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Pristine의 경우에는 후열처리 온도에 따라 전기화학적 특성이 큰 차이 없지만, 잔존리튬 제거 공정을 거친 샘플의 경우에는 후열처리 온도가 높을수록 수명 특성이 우세함을 확인하였다. Electric vehicles, an application for possible solutions of global warming, have advantage of not using fossil fuel. However, the current battery technology, lithium ion batteries(LIBs), only guarantee limited mileage due to their energy density. Improving energy density of cathode material is a key element in order to increase the energy density of LIB. Ni-rich NCM (LiNixCoyMnz O2, x+y+z=1, x≥0.6), having a layered structure, has higher energy density than conventional layered cathode materials such as LiCoO2 (LCO). Another merit of Ni-rich NCM is the cost comparative advantage over other Co rich compositions based on metal price. Successful synthesize of Ni-rich NCM determines the properties of materials including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Applying excessive lithium source and keeping lower temperature are essential to prevent cation mixing during the synthesis. The raw back of excessive lithium is forming residual lithium compounds (RLCs) of LiOH and Li2CO3 on the surface of the synthesized material. These RLCs cause slurry gelation during electrode manufacturing and cell swelling during electrochemical cycling. Therefore, RCSs should be removed from NCM cathode materials. In this study, the removal effect of RLCs was evaluated under the process with various parameters such as type of solvents, stirring time, solid content, stirring speed, and post heating. For solvents, the water is most effective to remove RLCs while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were deteriorated after processing. Relatively short stirring time, 1 minute, is effective enough although the electrochemical degradation is still problem. The solid content is increased from 20 % to 50 % within the level of possible processing conditions to minimize water amount. Cycle retention was slightly improved with increased solid content condition. The stirring speed of 400 rpm is confirmed as the best condition for removing RLCs under the considering the cycle degradation phenomenon. Since the all processed samples showed poor cycle performance, a post heat treatment has been applied to recover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It is confirmed that the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recovered to the level of pristine material when the post heating temperature was 500℃.

      • 전문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박재윤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대인관계문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상담장면에서 대인관계문제를 호소하는 전문대학생들의 부모양육태도와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파악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을 밝히고, 대인관계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서울시, 대전시, 경기도에 위치한 3개의 전문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437명을 대상으로 부모양육태도, 대인관계문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과 AMOS 21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매개모형을 분석하기 위하여 경로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대인관계문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관계는 대부분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거부적 양육태도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대인관계문제의 모든 하위요인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애정적 양육태도는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대인관계문제의 모든 하위요인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과보호 양육태도는 적응적 및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대인관계문제의 모든 하위요인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대인관계문제의 하위요인 중 고립형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대인관계문제의 모든 하위요인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거부적 양육태도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만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보호 양육태도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는 적응적 및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전문대학생이 지각한 부정적인 부모양육태도(거부적/과보호)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발달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대인관계문제를 경험할 가능성은 높지만,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사용하면 대인관계문제를 경험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생이 지각한 거부적 양육태도가 대인관계문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전문대학생이 지각한 과보호 양육태도가 그들이 어떤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사용하는가에 따라 대인관계문제에 다르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상담장면에서 대인관계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문대학생을 이해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