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박윤정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 초록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박윤정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을 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 유아의 놀이성 점수에 차이가 있는가? 나.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은 유아의 놀이성의 하위 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나-1.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신체적 자발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나-2.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자발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나-3.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인지적 자발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나-4.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즐거움의 표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나-5.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유머 감각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 대상은 인천시 부평구에 소재한 Y병설유치원과 B병설유치원의 만4세반 유아 각 각 19명씩이었으며, 연구 도구는 Lieberman(1977)의 놀이성 척도에 기초하여 개발된 Barnett(1991)의 유아 놀이성 척도(Children’s Playfulness Scale: CPS)를 유애열(1994)이 번안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설정된 연구 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18.0으로 사전, 사후검사에서 t검증과 공변량(ANCOVA)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을 실시한 후 유아의 놀이성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여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놀이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을 실시한 후에 놀이성의 하위 요인 변화를 분석한 결과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놀이성의 하위 요인 중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여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놀이성과 그 하위요인 중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놀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유아들의 놀이성 향상을 위해 교사는 주제 및 학습목표와 연관된 스토리를 구성하여 신체표현활동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야 하겠다. 더 나아가 신체표현활동 뿐 만 아니라 다른 활동에도 스토리텔링을 접목해봄으로써 유아의 놀이성을 높이는데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유아의 놀이성 향상을 위해서는 일시적인 활동으로서 제시되는 것이 아닌 구체적인 단계를 가지고 꾸준하게 활동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향과 빛의 이미지를 표현한 금속조형 연구

        박윤정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Due to the busy life, modern people are trying to find an outlet to reach the peace of mind. Having various influence on peoples sensibility and emotion, aroma and light gives psychological peace, cheers one up and makes one feel the relief of the soul. Having studied the image of aroma and light through Korean culture, I molded objects melting with utility and beauty and tried to apply that into life. At the same time, I think looking back the culture of our ancestors and meditating the wisdom is the most important in making our culture known to the world. I explained our ancestors life from the modern point of view and sublimed the image of aroma and light to the metal formative arts so as to offer the psychological peace. The following are the contents of the paper. First, through the theoretical study of incense container, I researched the origin and history of incense, the different effect of different incense and incense burners, incense cases. All these made me meditate on the wisdom of our ancestors. Second, with the study of lamp as the centre figure, I studied the origin, change, variety and use of lamp in Korea, as well as the difference of lamp using in different situation. Third, making the containers of incense and light feel manual, I tried to give peace feeling to people. Making the organic state alive, I applied the freedom of the metal line to our traditional craftsmanship which uses straw usually. I studied the incense used in the incense case and made incense myself which is used in my project. Through these research, I made 59 works that show the image of aroma and light: 16 accessories, 4 incense dishes, 20 candleholders, 5 lamps and 14 other objects. These works were exhibited as a part of Master Degree Requirement. In the future I will continue to do research on the formative arts and learn the wisdom of our ancestors. I will contribute to making molding useful in peoples life. 현대인들은 여유 없는 바쁜 생활을 하기 때문에 마음의 안정을 찾을 수 있는 휴식을 찾고자 한다. 향(香)과 빛은 사람들의 감성과 정서에 다양한 영향을 주는 요소로 심리적인 안정을 주며, 기분을 즐겁게 해주고 마음의 휴식을 느끼게 해준다. 본 연구자는 향과 빛이 갖는 이미지를 우리의 문화를 통해 고찰하였으며, 실용성과 미를 겸한 조형물을 제작하여 생활과 함께 공유하고자 하였다. 또한, 선조들의 옛 문화를 다시 한번 살펴보고 지혜로움을 되새겨보는 것이 세계 속에 우리의 문화를 알리는 데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하며, 옛 선조들의 생활문화를 현대에 맞게 재해석하고 향과 빛의 이미지를 금속조형예술로 승화시켜 정신적인 편안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향을 담는 용기로 쓰인 향기(香器)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향의 유래와 역사를 살펴보고 종류에 따른 효능에 대하여 정리해 보았으며, 향기의 종류인 향로와 향집을 연구하여 우리나라 선조들의 지혜로운 삶을 되새겨보았다. 둘째, 등기(燈器)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등기의 기원과 변천, 종류와 용도, 생활환경에 따른 등기의 차이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셋째, 작품제작에 있어 향과 빛을 담는 금속용기는 수공예적인 느낌으로 사람들에게 편안함을 제공하고자 하였고, 유기적인 형태를 살려 금속선의 자유로움을 우리의 짚 문화인 바구니 세공 기법에서 응용하여 제작해 보았다. 또한 향집에 사용된 향을 연구하여 직접 향을 만들어 보고 작품에 응용해 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해, 향과 빛의 이미지를 표현한 금속조형을 장신구 16점, 향꽂이 4점, 촛대 20점, 전등 5점, 오브제(object) 14점 등 총 59점의 작품을 제작하여 석사학위청구전을 가진 바 있다. 앞으로 우리의 문화를 통한 조형예술의 연구가 끊임없이 계속되어 선조들의 지혜로운 삶을 이해하고, 사람들의 생활과 함께하는 금속조형을 추구하는 데 그 의의를 두었다.

      • 배역 창조 과정의 충동과 행동 : 2010/2012 《안티고네》를 중심으로

        박윤정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배역 창조 과정에서 충동과 행동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대표적인 4가지의 연기이론의 고찰을 통해 배역 창조 과정에서의 감정과 행동이 어떻게 활용되었는가를 알아보았다. 스타니스랍스키는 ‘신체 행동법’을 통해 행동으로 시작하는 배역 창조 과정을 추구하였다. 예술에서의 주인공을 감정이라고 생각한 그는 행동을 감정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했다. 행동을 수단으로 활용한 것은 그로토프스키의 연기론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가난한 연극’을 주장했던 그는, 구체적인 방법으로 ‘부정법’을 제안한다. 훈련을 통해 단련된 배우의 신체는 즉각적인 충동을 만들어내고 이러한 충동은 행동을 통해 무대 위에서 보여진다. 결국 그가 추구한 것은 배우의 감정/충동이었다. 이와는 반대로 감정을 차단하기 위해 행동을 활용한 예는 브레히트의 연극론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브레히트는 연극의 교육적, 계몽적 기능을 위해 ‘생소화효과’를 주장했고 배우의 ‘게스투스’를 통해 감정이화를 추구했다. ‘사회적 태도’를 담고 있어야 하는 ‘게스투스’는 행동 그 자체만 무대 위에서 드러난다. 행동을 언어로 활용하는 극단적인 예는 동양연극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동양연극에서는 배우의 기호화된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각기 다른 의미와 감정이 부여된다. 따라서 배우는 배역 창조 과정에서 인물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애쓰지 않는다. 배우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정확한 신체 행동일 뿐이다. 위의 대표적인 연기 이론들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표현 방식은 달라졌지만 배역 창조 과정에 있어 감정과 행동은 어떤 식으로든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이다. 이 같은 결론을 토대로 공연 안티고네의 실제적인 사례를 통해 감정과 행동의 상관관계와 적용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했다. 공연 안티고네의 배역 창조 과정은 일반적인 과정을 그대로 따랐지만 각 단계마다 약간의 변형이 존재했다. 따라서 사례 연구에서는 리딩, 블로킹 및 런스루, 리허설 및 공연 단계로 구분하여 연구하였다. 공연 안티고네에서 가장 중요했던 것은 ‘희랍극의 에너지’의 구현이었으며 이를 위해 ‘충동/감정과 행동’은 배우의 가장 큰 도구로 작용했다. 공연 안티고네의 배역 창조 과정에서 행동은 일종의 ‘문’으로 작용했다. 충동/감정을 끌어내기 위한 ‘문’으로 작용했으며 이렇게 생성된 충동/감정은 또 다른 행동을 만들어내어 무대 위에서 관객에게 보여지는 ‘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배우들의 인터뷰를 통해 공연 안티고네에서의 배우들은 무대 위에서 배우도 배역도 아닌 ‘그 무엇’으로 존재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무엇’의 존재가 된 배우는 배우와 배역이라는 간극이 줄어든 상태로 즉각적인 감정과 행동의 발현이 가능해진다. 결국 배역 창조 과정에서 배우의 충동/감정과 행동은 유기적이고 상호보완적이며 이를 배역 창조 과정에 잘 활용할 경우 더 입체적이고 풍부한 인물 창조가 가능해진다는 결론에 이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아직도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배역 창조 과정의 전부라고 믿고 있는 배우들에게 미력하게나마 ‘생각의 전환’의 계기가 되길 바라는 바이다.

      • 임상 간호사의 임신 전 건강행위 관련요인

        박윤정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clinical nurses’ preconception health behavior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60 nurses who had 12 months or more of clinical experience, had sexual partners, were planning pregnancy within the following one year, and had not experienced pregnancy and childbirt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sites related to nurses from August 11, 2021 to October 31, 2021.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ndependent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tepwise). Results: Social support (β=.27, р<.001), perceived health status (β=.26, р<.001), marital status (β=.25, р<.001), satisfaction with departmental (β=.15, р=.028), and previous health problems related to pregnancy outcome (β=.15, р=.023) were confirmed as factors associated with clinical nurses’ preconception health behaviors. These factors explained 37.0% of variance in clinical nurses’ preconception health behaviors (F=18.07, р<.001).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clinical nurses’ preconception health behaviors, social support and perceived health status should be reinforced. It is also necessary to implement a preconception health behavior 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clinical nurses’ marital status, satisfaction with departmental, and previous health problems related to pregnancy outcome.

      • 인권교육의 글로벌 동향에 따른 2009개정 초등 사회과 내용 분석

        박윤정 서울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 content analysis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s and textbooks according to global trends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global trends of human rights education, this study researched the human rights education under the UN leadership, the human rights education of Non Governmental Organization, and human rights education status in foreign countries. With the implications earned from these researches, the analysis framework was set by reconstructing the factors of human rights education's content which was suggested by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Also compared the results with 2015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suggested improvement points. The subject of the analysis were the 2009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The 2009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of 3rd to 6th graders were analyzed. And the textbook of 2nd semester of 5th grade and 1st semester of 6th grade were excluded, because they are all composed with Historical area. The analysis result for the 2009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the curriculum included the education for human rights the most. Education about human rights took next place and the education through human rights was the least. This means the curriculum includes functional aspects of the human rights education the most and does not include much about participation. Second, the proportion of each area was uneven and concentrated in the area of values and attitudes of the respect of human rights. The area of values and attitudes of the respect of human rights accounted for 33.3%, analysis and solving problems of human rights accounted for 25%, a fundamental concept of human rights accounted for 20.9%, participation and action in human rights accounted for 12.5%, laws and system of human rights accounted for 8.3%. In the textbooks analysis, detail of the categories, areas and content elements were analyzed. Among the 278 classes, 44 classes included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2009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which is 15.8% of the total. The result of the 2009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 for human rights was the highest, accounted for 55.5%, followed by education about human rights accounted for 30.2% and education through human rights accounted for 14.3%. Through this result, we can understand that human rights are mainly dealt with the functional aspect of human rights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department, and that the area of analysis and settlement of human rights issues and values and attitudes of respect for human rights are dealt with the most. Second, the propor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instruments and laws such as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and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were low. The human rights education system chart created by the Office of the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OHCHR) includes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and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which means that it’s an appropriate cont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the cases were focused on the cases of human rights violation of all people, rather than on the cases related to children's daily life. The human rights violation of all the people took 49.9% which was the highest proportion, followed by the human rights violation of children/teenagers, which took 28.6%, and lastly, human rights violation of minority took 21.5%. There is a need for the children/teenagers human rights violation cases to be included in the textbooks more than now. Also, usually the international cases were less dealt more compared to the domestic cases, which increase of international cases are needed to foster the global citizen living in a global community. Fourth, the contents and methods in order to lead the actual participation of the learners were hardly suggested. Most of the problem situations and the methods of participation could not arouse the sympathy of the young learners. Therefore, various methods should be suggested such as easy ways to participate, so that the young learners can sympathize and participate in their real life. Fifth, the contents of responsibility and obligation were limited than the content dealt in foreign countries. In foreign countries, they teach that as my rights are important, the other people's rights are also important so that there are responsibilities and obligations to respect and protect those. But in the textbooks of Korea, the contents of responsibility and obligation were just about the introduction of the people's obligations and connecting the rights and obligations in a line. Sixth, the distribution of human rights education contents analyzed by grade level, 6th grade accounted for 50% which was the highest, followed by 31.7% for 4th grade, 10.4% for 5th grade and 7.9% for 3rd grade. As the 5th grade is an upper grade, it needs to include more contents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case of the 3rd grade, there are many components that they do not include. This does not suit to the global trends of the human rights education which the contents of human rights are taught in lower grades. Based on thes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oposes are as follows. First, the systematic study about human rights education is needed. Second, the study for the cases of human rights violations and participations in the daily life of the learner are needed. Third, the human rights training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for the teachers. 본 연구는 인권교육의 글로벌 동향에 따른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인권교육 내용에 관한 분석 연구이다. 인권교육의 글로벌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UN 주도 하의 인권교육, 국제비정부기구들의 인권교육, 그리고 외국의 인권교육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얻은 시사점을 가지고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제시한 인권교육 내용요소를 재구성하여 분석틀을 마련하고, 2009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또한 2015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과 비교·분석하여 앞으로 개선되었으면 하는 점을 제안하였다. 분석 대상은 2009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이다. 3~6학년 교육과정과 교과서로 선정하였고, 5학년 2학기와 6학년 1학기는 모두 역사영역으로 이루어져 있어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교육과정은 범주와 영역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권을 위한 교육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다. 인권에 대한 교육이 그 뒤를 따르고 있으며, 인권을 통한 교육이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즉, 인권에 대한 기능적인 측면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으며, 참여에 대한 부분은 비중이 낮다. 둘째, 영역별 비중이 고르지 못하고 인권 존중의 가치·태도 영역에 집중되어 있다. 인권교육의 영역별 비중을 살펴보면, 인권 존중의 가치·태도 영역이 33.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인권 문제의 분석·해결이 25%, 인권의 기본 개념이 20.9%, 인권 친화적 참여·실천이 12.5%, 인권에 관한 법과 제도가 8.3%를 차지하고 있다. 교육과정에서는 범주와 영역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면, 교과서에서는 범주와 영역 그리고 내용요소까지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삼은 2009개정 초등 사회과 3~6학년 교과서의 전체 278차시 가운데 인권교육을 다루고 있는 부분은 44차시로 전체의 15.8%로 분석되었다. 교과서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권을 위한 교육이 55.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그 다음으로 인권에 대한 교육이 30.2%를 차지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인권을 통한 교육이 14.3%를 차지하고 있다. 초등 사회과에서는 인권의 기능적인 측면을 주로 다루고 있으며, 인권을 위한 교육에 포함된 인권 문제의 분석·해결과 인권 존중의 가치·태도 영역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다. 둘째, 세계인권선언, 아동권리협약과 같은 국제 인권문서와 법의 비중이 낮다. UN의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에서 작성한 인권교육 체계도에는 세계인권선언과 아동권리협약이 초등학생들의 수준에 적합한 지도 내용으로 제시되어 있고, 현재 영국이나 미국의 인권교재에서 교육 내용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으로 보아 충분히 우리나라 교과서에 반영될 수 있는 내용요소라고 생각된다. 셋째, 아동의 일상생활과 연관된 사례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기 보다는 모든 사람의 인권 침해 사례를 주로 다루고 있다. 모든 사람의 인권 침해 사례가 49.9%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그 다음으로 아동/청소년의 인권 침해 사례가 28.6%를 차지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소수자의 인권 침해 사례가 21.5%를 차지하고 있다. 아동/청소년의 인권 침해 사례를 교과서에서 더욱 많이 다룰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국내 사례에 비해 해외 사례가 많이 다루어지지 않는데, 글로벌 지구촌 사회에서 살아가는 글로벌 시민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해외 사례를 더욱 늘려야 한다. 넷째, 학습자들의 실질적인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내용과 방법이 거의 제시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문제 상황과 참여 방법으로 제시된 내용들이 어린 학습자들의 공감을 이끌어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참여의 상황을 제시하고 쉽게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다섯째, 책임과 의무의 내용은 해외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보다 제한적이다. 해외의 경우 나의 권리가 소중하듯이 타인의 권리도 소중함을 알고 이를 존중하고 보호할 책임과 의무가 있음을 지도하는데, 우리나라 교과서에서는 국민의 의무에 대한 소개와, 권리와 의무를 찾아 연결하는 정도의 활동으로 책임과 의무의 내용을 제한적으로 다루고 있다. 여섯째, 인권교육 내용의 학년별 분포도를 봤을 때, 6학년이 50%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그 뒤를 이어 4학년이 31.7%, 5학년이 10.4%를 차지하고 있으며, 3학년이 7.9%로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5학년은 고학년인데도 불구하고 비중이 낮은 점은 개선이 필요하다. 3학년의 경우 다루지 않는 내용요소가 많아서 저학년부터 인권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인권교육의 글로벌 동향에 맞지 않는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자가 제언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권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학습자들의 일상생활 속에서의 인권 침해 사례와 참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 연수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한다.

      • 수도권과 경상 분지 동부 지역의 지진파 감쇠특성 비교 분석

        박윤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인구 과밀 지역인 수도권 일대와 활성단층의 연관성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경상 분지 동부지역의 감쇠상수를 구하여 두 지역의 지각에 대한 특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감쇠상수 Q-1은 지진파의 진폭이 감소하는 정도를 나타내며, 지각 내의 수직적 혹은 수평적 이질성을 의미하며 지구내부 구성물질의 역학적 성질을 나타내는 중요한 물리적 척도이다. 자료는 한국 지질 자원 연구원과 기상청이 제공하는 2000년 8월부터 2006년 5월까지의 총 103개 지진기록을 바탕으로 확장 Coda 규격화법을 이용하여 P파 Q-1값 (이하 QP-1)과 S파 Q-1값(이하 QS-1)을 분석하였다. 측정된 수도권 일대와 경상 분지 동부지역의 QP-1값은 (4.0±9.2)×10-3과 (5.4±8.8)×10-3으로부터 (4.1±4.2)×10-4와 (3.7±3.4)×10-4로 나타낸다. QS-1값은 (5.5±5.6)×10-3과 (5.7±4.2)×10-3에서 (3.4±1.3)×10-4와 (3.5±1.6)×10-4로 중심주파수가 1.5Hz에서 24Hz로 늘어남에 따라 감쇠상수와 오차의 값이 줄어드는 강한 주파수 의존적인 특성을 보여준다. 주파수의 지수형태로 나타내면 수도권 일대의 QP-1은 0.005f-0.89이며 Qs-1은 0.004f-0.88로 구해지며 경상 분지 동부 지역의 QP-1은 0.007f-1.02이며 Qs-1은 0.006f-0.99로써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소 높은 값을 나타낸다. 또한 매질의 불균질 정도를 나타내는 주파수의 지수 값을 비교해 보면 수도권 일대와 경상 분지 동부 지역은 P파의 경우 각각 -0.89, -1.02의 값이며 S파의 경우는 -0.88, -0.99로 경상 분지 동부 지역의 값이 작음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Q-1 값은 지진학적으로 안정한 지역에서는 낮고 불안정한 지역에서는 높은 값을 나타내며, 주파수의 지수 값은 지역적 특성을 나타내는 상수로 지구조적 특징과 관련지을 수 있다. 이를 종합해 보면 Q-1 값이 큰 경상 분지 동부지역이 수도권 일대에 비해 다소 지진학적으로 불안정한 지역이라 할 수 있으며 주파수의 지수 값은 경상 분지가 수도권에 비해 작은 값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경상 분지 동부지역의 관측소 주변 지역을 살펴보면 NNE 방향의 양산단층과 동래 단층, 이와 사교하는 NNW 방향의 울산 단층이 분포하고 있다. 이러한 단층으로 인한 지층의 불균질한 균열과 파쇄가 결과 값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오차의 범위를 고려하거나 세계의 여러 다른 지역의 값과 비교해 보면 수도권 일대와 경상 분지 동부지역 모두 순상지와 같은 안정된 지역의 범주에 해당하는 값을 나타낸다.

      • 유비쿼터스 홈 멀티미디어 환경을 위한 SOA 기반의 동적 서비스 통합 프레임워크 연구

        박윤정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비쿼터스 환경에 대한 관심 및 실현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유비쿼터스 환경상에서 임베디드 디바이스 간의 서비스 연계 및 통합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프로토콜의 표준화 및 홈 네트워크 제어 기술(미들웨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각각의 표준 및 미들웨어 간에 호환이 되지 않는다는 새로운 호환성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임베디드 디바이스의 서비스 변환을 수행하는 동적 서비스 통합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유비쿼터스 홈 멀티미디어 환경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해결하는 방안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컨텐츠를 서비스의 변환을 통한 통합이라는 방법으로 물리적인 구분 없이 연동하여 사용 가능한 환경을 구축해 보고자 한다. SOA 기반의 동적 서비스 통합 프레임워크를 유비쿼터스 홈 멀티미디어 환경에 적용함으로 인하여 비 통합 된 표준에 대한 통합이 가능하고, 새로운 표준 및 프로토콜 통합에 대한 유연성이 보장된다. 또한 외부에서의 홈 멀티미디어 컨텐츠 이용이 가능하고 반대로 홈 멀티미디어 통합 시스템에서의 외부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이용 역시 가능하게 된다. 동적 서비스 통합 프레임워크를 유비쿼터스 홈 멀티미디어 환경에 적용함으로 홈 네트워크 상의 미디어 저장 디바이스와 미디어 재생 디바이스를 분리하여 동적으로 미디어 컨텐츠와 재생 디바이스를 선택하게 할 수 있게 하였고, 홈 네트워크 외부의 미디어 서비스를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해줄 뿐만 아니라, 이를 홈 네트워크의 외부에서 제어가 가능하게 되었다. Recently, interests and feasibility about ubiquitous environment is growing rapidly. Therefore there are some issues about connection and integration between services of embedded devices. There are lots of researches to solve this issues, but they have another new issues about interoperability between protocols and middles. In this paper, I apply SOA based dynamic service integration framework that integrate and manage embedded devices services in ubiquitous environmrnt that conform diverse protocols to ubiquitous home multimedia environment to solve this problem for integrated multimedia system. Dynamic service integration framework integrates multimedia devices by converting of services of multimedia devices. It allows to construct system that integrate diverse multimedia devices and their contents regardless of where media devices and contents are physically located. By applying dynamic service integration framework into ubiquitous home multimedia system, there are some advantages. This applied system supports integration for standards(protocols) that are not integrated, has flexibility to integeate new standards(protocols) and it allows extention of ubiquitous environment to the outside of ubiquitous home multimedia system. Using this applied system, we can select media contents and player dynamically on ubiquitous home multimedia environment and integrate multimedia contents from outside of ubiquitous home multimedia environment Also, we can control system from outside of ubiquitous home multimedia environment.

      •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정서지능, 문제행동 및 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박윤정 능인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정서지능, 문제행동 및 적응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Y시의 B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만 4-5세의 유아 집단으로서, 이들의 보호자 및 교사에게 본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였으며, 유아 본인 및 보호자의 동의를 얻은 대상에 한하였다. 최종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유아 16명은 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8명으로 배정되었으며, 프로그램 시작 전 실험 및 통제집단에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사전 동질성을 검증하였다. 측정도구로는 교사용 유아의정서지능 척도(Emotional Intelligence; EI), 교사용 문제행동평가(Caregiver-Teacher Report Form; C-TRF),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 척도(Iowa Social Competency Scale Preschool Form; ISCS)를 사용하였다. 실험 집단은 2019년 6월부터 2020년 1월까지, 주 1회, 회기 당 40-45분씩 총 18회기의 집단미술치료를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은 무처치 하였다. 프로그램 종결 후에는 실험·통제집단 동일하게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Ver. 22.0 (SPSS Inc., Chicago, Ⅱ, USA)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산출하였고, 두 집단 간 사전 동질성 검증은 Mann-Whitney U 검증을사용하였다. 변인 간의 연관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비교는 Wilcoxon 부호-순위 검증(Wilcoxon signed rank test)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이통제집단에 비해 정서지능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z=-2.521 p<.01). 둘째,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문제행동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z=-2.521,p<.01). 셋째,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적응력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z=-1.620, p<.01). 이를 통해 집단미술치료는 유아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정서지능 및 적응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그 유용성이 입증되었다. 더불어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시행함으로써, 유아를 대상으로 한 심리사회적 개입의 가능성 및 효과를 모색해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