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ole of Video Head-impulse Test in Lateralization of Vestibulopathy: Comparative Study with Caloric Test

        박보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Introduction: Among diagnostic tests evaluating dizzy patients, caloric test and the head-impulse test (HIT) are important tools in evaluation of unilateral vestibular hypofunction. Since new video head-impulse test (vHIT) is introduced, various studies tried to evaluate the diagnostic value of this system. To evaluate the lateralization value of vHIT in unilateral vestibulopathy, we compared its variables with those of a caloric test. Methods: In total, 19 healthy volunteers and 92 dizzy patients who underwent both a caloric test and a vHIT were enrolled.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their fluctuating pattern of vertigo. The vestibulo-ocular reflex (VOR) gain and gain asymmetry (GA) of a vHIT, and unilateral weakness (UW) and the sum of the slow-phase velocities (SPVs) of warm and cold irrigation of the same side were compared. A cutoff value of VOR gain of a vHIT was also calculated using a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Results: A VOR gain in an affected ear and GA of a vHI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UW in a caloric response.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vHIT parameters and a caloric test in the patients with fluctuating vestibulopathy. Moreover, the cutoff value of a vHIT was determined to be 0.875, derived under the assumption that UW of a caloric test equal to or less than 25% is normal. Conclusions: A VOR gain or GA of a vHIT may be a useful parameter in evaluating unilateral vestibulopathy. The vHIT can act as a complementary tool for lateralization of unilateral vestibular hypofunction.

      • 한국 현대미술에 나타난 대중문화의 경향 : 1997년부터 2003년을 중심으로

        박보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중문화는 사회의 상황을 반영한다. 본 논문은 1987년 이후에 한국의 대중문화와 현대미술의 상호관계를 집중적으로 살펴보면서, 한국 현대미술이 대중문화를 수용하는 태도를 고찰했다. 특히 문화예술에 관한 정책적인 관심이 높아진 1997년부터 2003년을 중심으로 현대미술에 반영된 대중문화의 위상과 그것에 대한 작가들의 방식에 주목했다. 1987년 이전에 한국의 대중문화는 생산수단을 가진 권력에 의해 통제되고 검열됐다. 그러나 1988년에 서울올림픽과 같은 국제적 이벤트들을 유치하면서 세계화가 빠르게 진행됐다. 세계화에 따라 한국의 사회도 산업사회를 넘어 후기산업사회의 징조가 보이기 시작했다. 후기산업사회는 전통적인 경제적, 정치적, 이데올로기적 조직으로 인해 유지될 수 없다. 생산 체제 또한 상품의 대량생산에서 소비자의 기호를 충실하게 반영하는 서비스산업으로 이전됐다. 자연스럽게 대중문화 또한 이데올로기를 유포하는 기구에서 다양한 삶의 방식을 반영하는 소통의 장으로 변해갔다. 후기산업사회에서는 문화예술 또한 현대산업의 경쟁력으로 등장했다. 1997년부터 2003년은 문화예술이 공보의 영역이 아닌 대중의 복지와 향유를 위한 영역으로 인식되면서 정책적인 지원이 커졌다. 1997년 IMF외환위기 여파에도 불구하고 예술에 대한 지원은 확장됐다. 이 시기에 사립미술관, 대안공간, 아티스트 레지던시 등 미술의 제도적인 기반이 확장됐다. 1997년부터 2003년 사이에 활발하게 활동했던 작가들은 과거의 작가들과는 차이를 보인다. 이들은 1990년대 이후에 민주화된 사회 분위기에 영향을 받으며 기존 미술의 형식에 국한되지 않고 영화, 애니메이션, 사진, 건축, 출판, 컴퓨터, 음향 등 다양한 대중문화 장르와 매체를 사용했다. 이들은 또 모더니즘의 거대담론에 따르기 보다는 개인의 소소한 일상성을 강조했고, 현실과 유리되기보다는 사회를 직설적으로 반영했다. 이처럼 개인의 개성이 강조되고 관념적인 주제보단 실질적인 주제를 중시하며, 사회적 변화를 작업에 반영하는 경향은 1990년대 초반의 포스트모더니즘 담론과 함께 더욱 확장됐다. 본 논문은 1997년 이후에 한국의 현대미술도 대중문화의 경향에 영향을 받아 사회를 구성하는 다양한 삶의 모습과 다양한 담론을 포착했다고 보았다. 사회적 변혁기인 1997년부터 2003년 확립되기 시작한 문화정책과 전시공간은 작가들에게 사회를 반영하는 작품을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주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후기산업사회에 들어선 한국의 대중문화에서 나타난 사회적 흐름을 포착한 현대미술에 대한 연구이다.

      • Two- and three-dimensional bonded-particle discrete element modeling of mechanical behavior of transversely isotropic rock

        박보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paper presents the two- and three-dimensional bonded-particle discrete element modeling of mechanical behavior of transversely isotropic. Systematic verifications of the elastic and strength anisotropy were performed by comparing the numerical results with the analytical solutions, which indicated that there was good agreement with appropriate consideration of overlapping ratio of smooth-joint contacts. Two validation cases are presented in this study. In the first case, the bonded-particle DEM model successfully captured the monotonic and concave variations of elastic and strength anisotropy and Brazilian tensile strength anisotropy observed in the laboratory tests of Asan gneiss, Boryeong shale, and Yeoncheon schist. Improved match in Brazilian tensile strength was attributed to higher average coordination number in three-dimensional numerical model than that in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 whereby leading to higher interlocking. The second validation case was conducted against CIU (isotropically consolidated undrained triaxial) and Brazilian tensile strength tests of a Tertiary shale from the Norwegian Continental Shelf (NCS). The bonded-particle DEM modeling of the triaxial tests with different initial effective confining pressures showed that the peak strength at failure provided by the numerical model reasonably simulated the strength variation as well as the various elastic moduli with respect to the inclination angles. Brazilian tensile strength of the numerical model was in range of the laboratory data. Furthermore, the numerical model produced similar post failure patterns as exhibited on the disk-shaped NCS shale, e.g., axial splitting and crushing failure. Three application cases are considered. Two-dimensional bonded-particle DEM model for TI rock was applied to both foundation and borehole stability analyses. As to the elastic response, stress redistribution occurred by the line load exerted on the top surface or the borehole excavation observed from the DEM model was compared with that calculated from analytical solution so that it confirms that the DEM model can effectively present such cases. In addition, continuum based finite element method (FEM) modeling for foundation and borehole problems was performed. Consequently, the overall values obtained from the FEM models were practically the same as those of analytical solution. The large-scale borehole model successfully captured borehole breakout patterns typically observed in both isotropic and TI rock. A series of hollow-cylinder tests, a representative experimental approach for investigating borehole stability problems, were performed on these transversely isotropic models that have five different inclined bedding planes, which were then compared to the laboratory observations. The result obtained from three-dimensional bonded-particle DEM model was able to capture the instability of the inner hole, i.e., a considerable reduction of effective confining pressure when the hole axis is sub-parallel to bedding planes. Furthermore, the DEM model manifested the overall failure patterns in the vicinity of the hole such as shear failure or spalling, which highly depend on the inclination angle of bedding plane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bonded-particle DEM model with embedded smooth-joint contacts is a viable model for emulating the mechanical behavior of transversely isotropic rock with the potential of enhanced predictive capability of anisotropic numerical model.

      • 都市의 歪曲된 風景 作品 硏究 : 本人作品을 中心으로

        박보나 동국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예술은 예술가의 시선으로 하여금 작품을 탄생시킨다. 따라서 작품은 작가가 살고 있는 시대적 상황이나 배경, 현실의 일상적인 삶이 많이 반영되기 마련이다. 근래에 들어 한국화에서 도시풍경을 주제로 한 작품들이 자주 보여 진다. 이러한 의미에서 현대인의 삶을 주제로 하는 작품들이 많아지는 것이 어쩌면 자연스러운 것이라고 생각한다. 현대인들의 삶의 공간이 자연을 접하는 곳에서 도시로 이동했기 때문이다. 작가들은 도시에서의 삶에 대한 관심을 화면에 담아내며, 다양한 시선으로 도시생활을 관찰한다. 이때 도시의 삶에 대한 시선은 다양하다. 무차별적으로 개발 되는 도시의 풍경을 현대사회에 대한 비판적 시선으로 바라보는가 하면, 도시의 차가운 무채색 건축물들을 관찰자처럼 바라보기도 하고, 낡고 사라져가는 도시건축물에 대한 이미지를 사진으로 남기기도 한다. 또한 도시의 어수선한 풍경을 감성적으로 접근하며, 화면에 작가의 감정을 이입하기도 한다. 이처럼 도시라는 테마는 매력적이고, 삶의 일부분이기에 다양한 관점의 예술창작의 모티브가 된다. 본인도 또한 도시에서 태어나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도시’라는 주제를 작업의 모티브로 삼았다. 보고 느낄 수 있던 친근한 도시의 풍경을 본인만의 시선으로 화면에 담아내려 하다 보니, 도시의 풍경을 담은 건물의 표면에 집중하게 되었다. 건물의 표면에는 건물 주변의 풍경이나 다른 건물들이 비춰져 또 다른 형상을 만들어 낸다. 거대한 건물숲과 고층 빌딩들이 즐비한 도심 속의 건물들이 건물 표면에 가득 담아진다. 실제로 내가 바라보는 현상을 그대로 묘사하고 그려내기 보다는 왜곡된 형상으로 건물의 특징을 나타낼 수 있는 창문과 건물외벽의 모양을 구성하는 면이 모여 하나의 또 다른 건물로 탄생시켰다. 평면의 건물 표면에서 보여 지는 시선에 따른 왜곡이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고 화면 속에서 리듬감을 만들어 내려고 노력했다. 마치 선의 움직임을 따라 채색한 면들이 추상적인 이미지로 보여 진다. 이와 같이 본 논문에서는 내 삶의 공간인 도시에 살면서 느껴온 도시풍경을 작가 본인의 시선으로 나타내며, 현대 도시 사회에서 느꼈던 도시의 황량함과 고독함, 복합적인 상황의 의미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또한 작품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딱딱하고 정형화된 건물의 이미지를 화선지에 수묵으로 옮겨 담으며, 회화적으로 나타낼 때 그에 따른 기법이나 재료의 특성에 관해서도 분석하여 앞으로의 작업에서 기반으로 삼고자 한다. Art is created from the eyes of the artist. An artwork can reflect a historical situation, environment and a reality of life where the artist is living in. Recently, we have often seen artworks that are based on urban landscape. It is natural to observe more artworks related to modern life popping up because the way of living of modern people has shifted from natural to urban lifestyle. Artists put their interests in urban life onto the canvas and observe it from various perspectives. Over here, the views of urban life differ on many scales. While some artists perceive the unthinking and relentless urban development from a critical viewpoint, others look at monochromatic buildings from an observer’s eyes or photograph of old and collapsing buildings in the city. Sometimes, they also approach the chaotic landscape of the city from a sentimental point of view and project their emotions across. The City is an attractive theme as it is part of our life. It has always been a source of inspiration for the artists. I was also born and raised in a city, and therefore made ‘City’ the central theme of my work. I showcased the city that I watched and felt with a bit of my touch. I focused on the surface of buildings that reflect the city with the surroundings and other buildings put together, take another form. It is filled with skyscrapers and enormous mountains of buildings. Instead of depicting the phenomenon in the most realistic manner, I watched windows and walls that make up the various dimensions get distorted and turned into another building landscape. I wanted to harmonize the distortion from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building surface, and create rhythm within the canvas. The colored sides follow the lines, creating an abstract image. In this study, the urban landscape, in which the author has been living in, is expressed from an artist’s eyes, depicting the coldness, loneliness, and complicated environment of a modern city. The process of the creation of the artworks involves solid and typical images of buildings painted with ink whe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and painting techniques were documented and studied as for future reference.

      • 江戶 中·後期 화단의 南蘋派 연구

        박보나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uniqueness of Nagasaki, the only foreign trade port in the Edo period, was the basis for the emergence of a new painting group that embraced the influence of Chinese and Western paintings, collectively called the Nagasaki school. In particular, Nanpin school(南蘋派) was formed after some Japanese painters in Nagasaki accepted the fine-brush bird-and-flower painting style of Shen Quan(沈銓, 1682-?), also known as Shen Nanpin, who visited Nagasaki from the Qing in 1732. The delicately depicted bird-and-flower paintings of this school were popular for about a century in Jap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trend of Chinese bird-and-flower painting, represented by Shen Quan, was being accepted in modern Japanese cultural context by comprehensively looking at the occurrence and development of Nanpin school in the middle and late Edo perio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of Nanpin school by region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and considers the influence of Nanpin school on the painting school in the Edo period, dealing with the acceptance of Shen Quan's painting in the Nanpin school's printed painting manuals which were relatively neglected in the previous studies. Shen Quan's paintings show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courtyard bird-and-flower painting(院體花鳥畵) that was inherited from Fusong to the Yuan in terms of auspicious themes and detailed painting techniques. His visit to the Japan was also made as an alternative to the demands of the eighth shōgun Tokugawa Yoshimune(徳川吉宗, 1684-1751), who wanted to obtain Chinese ancient art before the Ming Dynasty. A Chinese interpreter Yūhi(熊斐, 1711-1772), the only Japanese who could learn painting from Shen Quan, was the first-generation painter of Nanpin school, but his painting style was influenced by various contemporary paintings such as paintings of Shen Quan, ink painting of another Chinese artist Li Yungyun(李用雲, ?-?), and animal paintings of Kara-emekiki painters(唐繪目利). As Yūhi's painting style was formed based on the influence of various foreign paintings and it also represents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Nagasaki school, it has great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Nanpin school. Nanpin school's bird-and-flower paintings spread throughout Japan by literary people who learned paintings from Yūhi in Nagasaki. The development of Nampin schools in Japan differs depending on the inclination of the local painting schools and the painter's identity. This shows how Shen Quan's painting style was reinterpreted in Japan in conjunction with the situation of local painting schools at that time. Looking at the development of Nanpin school, focusing on the major cities of the Edo period such as Osaka, Kyoto, and Edo(Tokyo), Kakutei(鶴亭, 1722-1786), a monk of Ōbaku-shū(黄檗宗), was the first figure to preach the Nanpin school in Osaka. In fact, however, the intense colors and strange expressions of Kakutei's bird-and-flower paintings were more influenced by Buddhist paintings and ink paintings by the painting monks of Ōbaku-shū than by Shen Quan's paintings. Kimura Kenkadō(木村蒹葭堂, 1736-1802), who interacted with Kakutei, spread the Nanpin school's bird-and-flower painting to the literary society of three major cities. Mori Ransai(森蘭齋, 1740-1801), a literary artist who worked in Osaka and Kyoto, also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Shen Quan, taking the form of a scroll, or actively using boneless technique(沒骨法). In particular, he not only inherited auspicious symbols, a typical feature of Shen Quan's bird-and-flower painting, but also combined them with ancient stories and taoist and buddhist figures, which were presumably influenced by his teacher, Ikarashi Shunmei(五十嵐浚明, 1700-1781). It was Sō Shiseki(宋紫石, 1715-1786), a painter of the next generation, who established the position of the Nanpin school in Edo. He was known to have learned Western painting techniques from his interactions with Sugita Genpaku(杉田玄白, 1833-1817) and Hiraga Gennai(平賀源内, 1728-1780). Although Sō Shiseki's paintings show some of the realism of Western paintings, he faithfully used Asian painting techniques, including the active use of sketch and descriptions of Shen Quan's landscape. Since Sō Shiseki, who studied under Yūhi in Nagasaki, learned the latest trends of his time, he could serve as a Royal painter of Daimyo families and work actively under their auspices. The fact that his pupils were also all associated with the Daimyo class shows the upper class's interest in the Nanpin school's bird-and-flower painting style. The painters of Nanpin school actively published printed painting manuals. The representative works are as follows: Takebe Ayatari(建部綾足, 1719-1774)'s Kanyōsai gafu(寒葉齋畵譜), Kenshi gaen(建氏畵苑), Kanga shinan(漢畵指南), Sō Shiseki's Sō Shiseki gafu(宋紫石畵譜), Kokonga sō go hasshu(古今畵藪後八種), Kokonga sō go hasshu shitaifu(畵藪後八種四體譜), and Mori Ransai(森蘭齋, 1740-1801)'s Ransai gafu(蘭齋畵譜), Ransai gafu kōhen(蘭齋畵譜後編). These manuals reflect the lineage of Chinese paintings, or the latest exotic tastes, rather than Shen Quan itself. Also, it was a strong demonstration of the influence of Chinese printed painting manuals, such as Jie zi yuan hua zhaun(芥子園畵傳), introduced to Japan in the same period. Rather, the manuals, which faithfully reflected Shen Quan's features of delicately painted bird-and-flower painting, were Raikin zui(來禽圖彙), and Meisū gafu(名數畵譜) published by Ukiyo-e painters Kitao Masayoshi(北尾政美, 1764-1824) and Ohara Tōno(大原東野, 1771-1840). The painters of Akita Ranga(秋田蘭畵), Maruyama school(圓山派), and Ukiyo-e(浮世繪系) also left behind some examples of embracing the influence of Nanpin school. The splendid and delicate bird-and-flower paintings were criticized by some literary people of the time who accepted Dong Qichang’s theory of the south and north school(南北宗論), but in the end, the paintings were able to be widely distributed in Japan because of their auspiciousness, their realistic expression, and most of all, the latest tradition of karamono(唐物). Starting with Shen Quan and Yūhi, this study only deals with the early acceptance patterns of the second generation of Nanpin school’s painters, who were actually Yūhi's immediate pupils, but in fact, the whole Edo school widely accepted the influence of Nanpin school. The fact that Nanpin school’s painters embraced various trends in foreign paintings introduced to Japan at that time, along with Shen Quan's painting style, reflects the speciality of Nagasaki school itself. Also it suggests the inclusiveness of the genealogical perception in the Japanese painting school in this period. The development of Nampin school in the middle and late Edo period is highly significant as an example of the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painting influx and the Japanese transformation in modern Japanese painting schools. 江戶時代 유일한 해외무역항이라는 長崎의 특수성은 이른바 ‘長崎派’로 총칭되는 중국 및 서양화의 영향을 수용한 일군의 신생화파가 발생하는 바탕이 되었다. 특히 1732년 長崎를 방문한 淸朝의 화가 沈銓(1682-?), 즉 沈南蘋의 공필화조화풍을 수용하여 형성된 南蘋派의 사생적 화조화 양식은 약 1세기 간에 걸쳐 일본 화단 내에 중국화 열풍이라고 해도 좋을 만한 인기를 구가하였다. 본고는 江戶 중・후기 일본 화단에 있어 南蘋派의 발생과 전개를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沈銓으로 대변되는 중국 화조화의 한 경향이 근세 일본의 시대적・문화적 맥락 속에서 어떻게 일본화되어 수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학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지역별 주요 수용층이라는 맥락 하에서 일본 화단 내 南蘋派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고, 기존의 논의에서 비교적 소홀히 다루어졌던 南蘋派의 畵譜에 보이는 沈銓 회화의 수용을 아울러 살펴보면서 이를 바탕으로 南蘋派가 동시대 일본 화단에 미친 영향을 통합적으로 고찰하고자 했다. 沈銓의 화풍은 길상적 주제와 치밀한 기법이라는 측면에서 北宋代에서 元代로 계승되는 院體花鳥畵의 전형적인 특성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그의 방일 역시 明代 이전 중국의 古畵를 입수하고자 했던 8代 將軍 徳川吉宗(1684-1751)의 요구의 대안으로서 이루어졌다고 보는 것이 오늘날 학계의 중론이다. 沈銓에게 그림을 배울 수 있었던 유일한 일본인인 唐通事 熊斐(1712-1773)는 이른바 南蘋派 1세대에 위치하는 화가이나 실제 熊斐의 화풍은 沈銓 뿐만 아니라 또 다른 來舶畵人인 李用雲의 수묵화, 唐繪目利系 화가의 동물화 등 실로 동시대 회화의 다양한 영향을 흡수한 것이었다. 이처럼 다양한 이국의 회화의 영향을 바탕으로 형성된 長崎派의 특수한 성질을 대변하는 熊斐의 화풍은 이후 南蘋派의 전개에 있어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長崎에서 유학하며 熊斐를 사사한 문인들에 의해 南蘋派의 화조화는 일본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일본 내에서의 南蘋派 전개는 지역 화단의 성향과 수용층에 따라 상이한 양상을 보인다. 이는 일본 화단에 유입된 沈銓의 화풍이 각 지역 화단의 상황과 맞물려 어떻게 일본적으로 재해석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江戶時代의 주요 도시인 三都, 즉 大阪・京都・江戶를 중심으로 전개 양상을 살펴보자면, 우선 大阪에서 南蘋派를 가장 먼저 전파한 인물은 黄檗宗의 승려 鶴亭(1722-1786)이다. 그러나 실제로 鶴亭의 화조화에 보이는 강렬한 색채와 기이한 경물의 표현은 沈銓의 화풍보다는 黃檗宗의 화승에 의해 그려진 불화와 수묵화의 영향이 현저하다. 南蘋派의 화조화는 鶴亭와 교유한 木村蒹葭堂(1736-1802)를 중심으로 上方지역의 文人社會에 퍼져나갔다. 大阪와 京都에서 활동한 熊斐의 문인으로는 森蘭齋(1740-1801)의 존재 역시 주목되는데, 그 역시 실제로는 沈銓에게는 보이지 않는 畵卷 형식을 취하거나, 沒骨法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등 이질적인 화풍을 보여준다. 특히 沈銓 화조화의 전형적인 특징인 길상성을 계승하고 있으면서도 이를 故事 및 道釋人物과 결합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것은 그의 스승이었던 五十嵐浚明(1700-1781)의 영향에서 비롯된 것이라 짐작된다. 江戶에서 南蘋派의 위치를 확고히 한 것은 이들 다음 세대에 활동한 宋紫石(1715-1786)였다. 그는 蘭學子 杉田玄白(1833-1817), 平賀源内(1728-1780)와 교유하며 서양화법을 익힌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오늘날 전하는 宋紫石의 화풍에서는 서양화의 사실주의가 일부 감지되지만 그는 粉本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였으며 沈銓의 경물 묘사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등 어디까지나 동양화의 화법에 충실한 태도를 보였다. 宋紫石는 長崎 유학을 통해 熊斐를 직접 사사한, 당대로서는 최신의 경향을 습득한 인물이었으므로 이러한 입지에 힘입어 大名家의 御用을 맡았고, 그들의 후원 하에 왕성한 활동을 펼쳤다. 그의 제자들 역시 모두 무가와 관련한 인물들이라는 사실은 南蘋風의 화조화에 대한 상류 사회의 관심을 보여준다. 南蘋派의 화가들은 畵譜의 제작에 역시 적극적이었다. 建部綾足(1719-1774)의 『寒葉齋畵譜』, 『建氏畵苑』 『漢畵指南』, 宋紫石의 『宋紫石畵譜』, 『古今畵藪後八種』, 『畵藪後八種四體譜』, 그리고 森蘭齋의 『蘭齋畵譜』와 『蘭齋畵譜後編』이 대표적이다. 이들 화보는 沈銓 그 자체보다는 그들 자신이 생각하는 중국회화의 계보, 혹은 최신의 異國趣味를 반영하고 있으면서 한편으로는 동시기에 일본에 유입된 『芥子園畵傳』과 같은 중국 화보의 영향을 강하게 보여주는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오히려 공려한 채색 화조화라는 沈銓의 전모를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는 것은 浮世繪 화가인 北尾政美(1764-1824)와 大原東野(1771-1840)에 의해 발간된 『來禽圖彙』나 『名數畵譜』와 같은 화보였다. 동시대의 秋田蘭畵, 圓山派, 浮世繪系의 화가들 역시 南蘋派의 영향을 수용한 작례를 남기고 있다. 화려하고 섬세한 南蘋派의 화조화는 董其昌의 上南貶北論을 수용한 당대 일부 문사들에게는 비속한 것으로서 비난받았지만 결과적으로는 그 제재가 가진 길상성과 표현이 가진 사실성, 무엇보다 최신 전래의 ‘唐物’라는 점 때문에 일본 각지에 널리 보급될 수 있었다. 본고는 沈銓과 熊斐를 시작으로 하여 그의 直弟子에 해당하는 2세대 南蘋派 화가들의 초기 수용 양상을 다루었을 뿐이지만, 사실상 江戶 화단 전반이 南蘋派의 영향을 多大하게 수용하고 있었다. 일본의 南蘋派 화가들이 沈銓의 화풍과 더불어 동시대에 유입된 외래 회화의 다양한 경향을 함께 수용하고 있는 점은 長崎派 자체의 특수성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며, 당시 화단에 있어 유파와 계보 인식의 포괄성을 시사하는 것이기도 하다. 江戶 중후기 화단의 南蘋派 전개는 근세 일본 화단에 있어 중국회화 인식의 과도기적 특성과 일본적 변용을 보여주는 일례로서 의의가 있다.

      • 지역 어린이박물관의 전시와 교육프로그램 연구

        박보나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Korea, children's museums began to be established in the 2000s, starting with the opening of Samsung Children's Museum in 1995. The number of children's museums has steadily been on the rise with the establishment of public and private children's museums, centering on the national museums built in regions across the country. The children's museum is a place of learning where play and learning take place at the same time through hands-on exhibitions made up of active experiences, with touching and manipulation tailored to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However, despite its steady growth, studies on the systematic analysis of the children’s museum lack in number. As such, this study aims to examine and summarize the trends of children's museums, and present them as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museums based on examples of exhibitions and educational programs of local children's museums. The scope of the study was restricted to the national and public museums in seven regions, namely, the Gyeonggi Children's Museum, a stand-alone museum, and the children's museums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Cheongju National Museum, Daegu National Museum, Gimhae National Museum, Ulsan Museum, and Daejeon Municipal Museum, each of which is operated as an annex of the museum. Daejeon Municipal Museum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and the procedure of its settlement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children's exhibition room in December 2015 was examined in terms of its educational function through its exhibitions and educational programs to look for ways to develop the museum into a local children’s museum that measures up to the regionality, historicity, and identity.   First,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children's museum was examined, and the types of children's exhibition themes were categorized and organized into “local culture” and “diversity”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background and operational purpose of the children's museum. Furthermore, the study also summarized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related educational programs that expand the meaning of the exhibition. In order to draw out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museums in Korea us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exhibitions and educational programs of eight national and public children's museums were examined and analyzed and their current operational statuses were identified.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operate exhibitions composed of various themes and areas, rather than regionality, under the theme of “Cultural Heritage of Korea and the World,” and educational programs with expanded contents under the theme of diversity. Gyeonggi Children's Museum operates exhibitions and educational programs with contents for children's development to draw children's interests and foster holistic development through various experiential exhibitions. It shows th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and Gyeonggi Children's Museum in Seoul and Gyeonggi area operate programs that are rich in cultural aspects focusing on diversity. Cheongju National Museum, Daegu Museum, Gimhae Museum, and Ulsan Museum operate permanent exhibitions based on regionality. Children's museums have one exhibition room and operate permanent exhibitions, thereby strengthening the function of the local museum with contents under the same theme as that of the permanent exhibition in the main museum building. In addition, with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linking permanent exhibitions and children's exhibitions, the children’s museum functions as a cultural facility closely related to the local community. On the other hand, Daejeon Municipal Museum expands the exhibition for children under the theme of “diversity” that children can experience and introduces new themes every year. Moreover, the permanent exhibition showing the history of the region from prehistory to modern days under the theme of “The History of Daejeon” complements regionality, which contributes to the reputation of Daejeon Municipal Museum that its exhibition harmonizes regionality and diversity. However, the exhibitions of Daejeon Municipal Museum is limited in that there is no regional program unique to the museum that differentiates it from other museums, as its educational programs for infants, children, and families center on educational programs linked to children's exhibitions. Accordingly, the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directions for developing it as a comprehensive children's cultural space containing regionality and diversity of Daejeon. First, children are to be encouraged to properly recognize the regional culture and local identity by developing and operating a program linking the permanent exhibition of Daejeon Municipal Museum, which was newly organized under the theme of “The History of Daejeon” in July 2021, and the relics in its collection. Second, children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course of history in textbooks and overcome difficulties in studying history by developing and operating a curriculum-related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local history and culture. Third, the study proposes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online real-time education” of Daejeon Municipal Museum as a way to promote “untact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in the present era of untact communications that started in February 2020. It is expected that the children's exhibition room of Daejeon Municipal Museum will play a vital role in establishing its identity as a cultural space for children in Daejeon through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region-specific programs that communicate with local residents.   1995년 삼성어린이박물관을 시작으로 국내에는 2000년대에 들어서 어린이박물관이 설립되기 시작했다. 국립박물관을 중심으로 각 지역에 확산하였고, 뒤이어 공립·사립 어린이박물관도 설립되어 어린이박물관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어린이박물관은 어린이의 발달적 특성에 맞게 직접 만지고 조작하는 능동적 체험의 Hands-on 전시가 이루어지며, 놀이와 학습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배움의 장소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어린이박물관의 꾸준한 성장에 비하여 이를 체계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연구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 어린이박물관의 전시와 교육프로그램 사례를 바탕으로 어린이박물관의 동향을 살펴보고 정리하여 어린이박물관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단독형 어린이박물관인 경기도어린이박물관과 박물관 분관으로 운영하는 국립중앙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국립청주박물관, 국립대구박물관, 국립김해박물관, 울산박물관, 대전시립박물관의 어린이박물관으로 총 7개 지역의 국·공립박물관으로 한정하였다. 그리고 대전시립박물관을 본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015년 12월 대전시립박물관 어린이전시실의 설립 이후부터 2019년 전시와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어린이전시실의 교육적 기능을 진단하고, 지역성·역사성·정체성에 부합하는 지역의 어린이박물관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 어린이박물관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어린이박물관의 건립배경과 운영목적에 따른 ‘지역문화’와 ‘다양성’으로 어린이전시 주제 유형을 분류하고, 전시의 의미를 확장시키는 전시연계 교육에 대한 특징을 정리하였다.   이론을 바탕으로 국내 어린이박물관의 특징을 도출하고자 8개 국·공립 어린이박물관의 전시와 교육프로그램을 조사·분석하여 운영현황을 살펴보았다. 수도권에 위치한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민속박물관은 ‘한국과 세계의 문화유산’을 주제로 지역성보다는 주제와 영역을 종합적으로 구성한 ‘문화 다양성’ 전시를 운영하고 있으며, 교육프로그램 또한 다양성을 주제로 확장된 콘텐츠를 운영한다. 경기도어린이박물관은 어린이 발달에 적합하고 다양한 체험전시로 어린이의 흥미와 전인적인 발달을 도울 수 있는 콘텐츠를 중심으로 전시와 교육을 운영한다. 이로써 수도권 지역의 국립중앙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경기도어린이박물관은 다양성을 중심으로 풍부한 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국립청주박물관, 국립대구박물관, 국립김해박물관과 울산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은 전시실이 1개이며 상설형태로 운영한다. 어린이전시는 박물관 본관의 상설전시 주제와 동일한 콘텐츠로 지역박물관의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상설전시와 어린이전시를 연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고 있어 지역사회와 밀착한 형태의 문화시설로 작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에 공립 대전시립박물관의 어린이전시는 어린이들이 체험할 수 있는 '다양성'을 주제로 보다 자유롭게 전시를 확장하고 매년 새로운 테마로 진행한다. 또한, 대전시립박물관은 지역적 특성도 중요하게 생각하여 상설전시를 통해 선사부터 근현대까지 지역의 역사를 보여준다. 이로써 대전시립박물관의 전시는 지역성과 다양성이 어우러진다는 특징을 갖는다. 다만 대전시립박물관의 유아·어린이·가족 대상 교육은 어린이전시 연계 교육 중심으로 진행하고 있어 타 박물관과 차별성을 주는 대전시립박물관만의 지역 프로그램이 없다는 아쉬움을 가진다. 이에 대전의 지역성과 다양성을 담은 종합 어린이 문화공간으로 강화하기 위한 방향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 번째로, 2021년 7월 ‘대전의 통사(通史)’를 주제로 새로 개편한 대전시립박물관의 상설전시와 소장유물을 연계한 프로그램 개발·운영으로 지역문화를 올바르게 인식시키고 향토적 정체성을 고취시킬 수 있어야 한다. 두 번째는, 우리 지역 역사와 문화를 토대로 한 교과 연계 교육프로그램 개발·운영하여 사회교육기관으로 공공성을 강화한다. 세 번째는, 2020년 2월 이후 비대면 시대를 맞이한 현재, '비대면 참여와 소통'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대전시립박물관의 ‘온라인 실시간 교육’ 개발·운영을 제안한다. 이와 같이 지역민과 소통하는 지역 특화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한다면 대전시립박물관 어린이전시실은 지역 어린이를 위한 문화공간의 정체성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 제임스 크뤼스 작품에 나타난 악마의 모티프와 환상의 기능 : 『팀 탈러 혹은 팔아버린 웃음』과 『넬레 혹은 천재소녀』를 중심으로

        박보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Seit dem 21. Jahrhundert begann in verschiedenen Kulturkreise eine Begeisterung für die phantastische Literatur. Viele phantastische Werke werden auch medial adaptiert, und so erwecken die Filme dieser Gattung wieder die Interesse für das Literaturwerk. Es ist schwer zu bestreiten, dass die Phantastik eine der umstrittensten aber auch interessantesten Gattungen unserer Zeit geworden ist. Die Phantasie, die im Mittelalter als heidnisch oder trivial und bis zum Anfang des 20. Jahrhunderts für Kinder nicht als empfehlenswert galt, spielt heute in der Literatur eine wichtige Rolle für den Erfolg. In dieser vorliegenden Arbeit werden durch James Krüss‘ (1926-1997) Jugendbücher, Timm Thaler oder Das verkaufte Lachen und Nele oder Das Wunderkind, mit dem Motiv des Teufelspaktes und der Funktion der Phantasie beschäftigt. Mitte der fünfziger Jahre schienen auch deutsche und österreichische Werke der kinderliterarischen Phantasie. Die bedeutende Autoren dieser Gattung waren Ottfried Preuβler(1923-2013) und James Krüss. Diese beide Autoren legten den Grundstein für die phantastische Literatur in deutschsprachigen Raum. Aber Krüss’ Geschichten sind stärker mit dem realistischen Leben der Zeit verbunden als die von anderen Autoren. Die Phantasie kann aufgrund der unrealistischen Eigenschaft die wirkliche Welt nicht widerspiegeln. Dennoch kann die Phantastik im Literaturwerk auch eine erweiterte Welt darstellen. Die Welt, in der wir heute leben, ist eine kapitalistische Welt und in dieser Gesellschaft wird der materielle Wert ein Maßstab für ein sinnvolles Leben. In dieser kargen Welt geraten wir in Vergessenheit welche Werte menschliches und sinnvolles Leben ausmachen. Krüss zieht das Motiv des Teufels, in seinem berühmtesten Werk, Timm Thaler und Nele, heran. Der böse Teufel wird in Timm Thaler als ein Geschäftsmann, der auch ein Baron ist, namens Louis Lefuet - von hinten gelesen ergibt das Wort Teufel - dargestellt und in Nele als Präsident einer erfolgreichen Plattenfirma. Der Teufel verführt durch einen Vertrag den jungen Protagonisten und als Preis dafür verlieren sie ihre menschlichen Grundqualitäten, das Gefühl der Trauer und Freude. Die zentralen Themen dieser Arbeit sind das Motiv des Teufelspaktes und die Bedeutung der Phantastik des Gefühlsraub. Krüss wendet in Timm Thaler und Nele einen spannungsfördenden Kunstgriff an, indem er diesen geheimnisvollen Gegenspieler - Baron Lefuet und den schwarzen hageren Herrn - auftreten lässt. Aber das phantastische Motiv in Krüss‘ Erzählungen spielt nicht nur eine unterhaltende Rolle, sondern hat eine gezielte Funktion. Für ihn ist das herrschende wachsende Kapital die böse Macht und seine Kunstwelt hat eine kritische Funktion der Realität. Durch die Hilfe der Phantasie widersetzt er sich gegen die Schattenseite des Wirtschaftswunders und den Kapitalismus der Gesellschaft. Die von Krüss erfundene phantastische Welt zeigt Menschen mit Gefühllosigkeit wenn man den materiellen Versuchungen nicht widerstehen kann. Durch das Böse zeigt Krüss eine verteufelte Welt, wo Geld und Macht mehr geschätzt werden als menschliches Leben. In beiden Geschichten steht der Verlust der menschlichen Gefühle als Metapher für den Verlust humanen Lebens. Krüss’ Geschichten legen uns vor was die Welt menschlich macht oder zerstört und bringt uns zum Erwachen sodass wir eine bessere Welt mobilisieren können. 21세기에 들어와 환상적인 이야기는 여러 문화권에서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 많은 환상문학 작품들은 다양한 매체에서 수용되고 있으며 이로써 환상장르의 영화는 다시금 원작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장르에 관한 논란의 여지가 남아 있기는 하나 환상문학 작품은 현 시대의 독자들에게 가장 흥미로운 문학 장르임이 틀림없다. 중세시대 때 이교도적이고 통속적으로 여겨지기 시작하여 20세기까지 어린 독자들에게 적합하지 않게 여겨졌던 환상은 오늘 날 작품의 성공여부에 큰 역할을 하게 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독일 아동·청소년 환상문학 작가인 제임스 크뤼스 James Krüss(1926-1997)의 청소년소설 󰡔팀 탈러 혹은 팔아버린 웃음 Timm Thaler oder Das verkaufte Lachen󰡕과 이의 후속작인 󰡔넬레 혹은 천재소녀 Nele oder Das Wunderkind󰡕에 나타난 악마와의 거래 모티프 그리고 환상의 기능을 고찰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1950년대 중반부터 독일과 오스트리아 작가의 환상문학 작품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는데 크뤼스는 오트프리트 프로이슬러 Otfried Preußler(1923-2013)와 함께 독일어권 국가 아동·청소년 환상문학의 초석을 세운 작가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크뤼스의 작품들은 같은 시대 활동하던 아동·청소년문학 작가들보다 시대의 현실적인 삶과 더 직결되어 있다. 환상은 비현실적인 속성 때문에 현실의 세계를 반영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때로는 작품에 나타난 환상성은 세상에 대한 우리의 편협한 시각을 넓혀주기도 한다. 현대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사회는 물질적인 가치가 곧 의미 있는 삶을 규정짓는 척도가 되어버린 자본주의 사회이다. 이러한 척박한 세상 속에서 인간적이고 의미 있는 삶을 점차 망각해버리는 우리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크뤼스는 자신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인 팀 탈러와 넬레에 서양 문화권의 환상문학에 자주 나타나는 악마와의 거래 모티프를 재해석하여 등장시킨다. 팀 탈러에서 악마는 사업가이자 남작으로 그의 이름은 독일어 악마라는 뜻의 단어 Teufel의 애너그램이기도 한 레푸에트 Louis Lefuet 남작으로 묘사되며 넬레에서는 성공한 음반사의 회장으로 형상화 된다. 어린 주인공 팀과 넬레는 물질적인 거래의 대가로 인간의 근본적인 자질인 눈물과 웃음을 악마에게 빼앗겨버린다. 본 연구에서는 악마와의 거래 모티프와 감정을 빼앗긴다는 환상성이 작품에서 가지는 의의와 기능을 중점으로 조명하였다. 크뤼스는 팀 탈러에서 비밀스러운 남작 그리고 넬레에서는 검은 신사라는 상대역을 등장시킴으로 인해 흥미를 유발하는 예술적 도구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크뤼스의 작품에서 환상적인 모티프는 유희적인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의도된 기능을 지니고 있다. 그에게 있어 성장해가고 있는 지배적인 자본은 악마적인 권력이었다. 크뤼스의 예술세계는 현실에 대한 비판적인 기능을 하는 것이며 그는 환상의 도움으로 경제기적시대의 이면과 사회의 배금주의에 맞서고 있는 것이다. 크뤼스가 창조해낸 환상적인 세계는 인간이 물질적인 유혹을 극복하지 못 하였을 때 감정이 결핍된 인간세상을 보여주고 있다. 크뤼스는 악을 통해 자본과 권력이 인간의 감정보다 더 중요시 되는 악마저인 세계를 묘사하고 있는 것이다. 두 이야기에서 주인공들이 감정을 잃는 것은 인간적인 삶의 결핍에 대한 비유이기도 하다. 크뤼스는 환상적인 이야기를 통해 세상을 인간답게 하는 것, 혹은 이를 파괴하는 것이 무엇인지 보여주어 각성하게 하고 우리가 구축해야 할 인간다운 세상을 제시해 주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메이지 시기의 그림엽서를 통해 본 천황 이미지와 국민 의식

        박보나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analyzes picture postcards from the Meiji period and examines the process of the government dominating the public consciousness around the Emperor's ideology. With the arrival of the Meiji era in Japan, Japan sought to transform itself into a new country. Japan seeks reform with the aim of wealth and industry, and aims to run a new country in a stable manner. To this end, the West will be modeled and the information brought by the dispatched envoys will be used for reform. The most problematic part of the process was the decentralized populace. Therefore, the leadership of the government wanted to unite the people, make them a new citizen centered on the emperor, and a citizen of the Japanese state. What was done in the visualization policy was the issuance of picture postcards.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postcards were issu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government agency, the Chesin Province. Postcards issued in the atmosphere of victory in the Qing-Japanese War and the Russo-Japanese War spread to the public and were fashionable. At that time, on the day when a commemorative postcard related to the Russo-Japanese War was issued, there was a fight to purchase it. Postcards with various aspects will then be issued. In the postcard, there were various aspects of Japanese society that achieved modernization, the dedication of the people to the nation in the war between Russia and Japan. Along with these images, portraits of the emperor and symbolic sentences of the emperor's family were reflected. The appearance of these postcards made it possible for the emperor to be at the center of Japan, and for Japan to become a rich country. And he was able to secure a stable position as a monarch of legitimate authority. Through this process, the people were united around the emperor as a nation. The image of the emperor carved into the folk's consciousness is formed by imaging the government. This is specifically considered a military monarch, a reform monarch, and an emperor as a traditional monarch. The emperor, the center of a strong army, was the one who led Japan to win wars with other countries. In addition, as a reform monarch, the Emperor was expected to achieve Western modernization, lead it as a center of more advanced Japan than ever before, and create more advanced Japan in the future. Finally, he formed the image of the Emperor as a traditional monarch in order to further justify these reforms and solidify its legitimacy. 본 고는 메이지 시대의 그림엽서를 분석하여 정부가 천황제 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 민중의 의식을 장악하는 과정을 살핀다. 메이지 시대가 일본에 도래하고, 일본은 새로운 국가로의 변혁을 도모했다. 일본은 부국강병과 식산흥업을 목표로 개혁을 추구하고, 새로운 국가의 안정적인 운영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구를 모델로 삼고, 파견된 사절단이 가져온 정보를 개혁에 이용한다. 이 과정에서 가장 문제가 되었던 점은 지방분권적인 민중들이었다. 따라서 정부의 수뇌부는 민중을 통합하고, 천황을 중심으로 한 신민이자 일본 국가의 국민으로 만들고자 했다. 시각화 정책의 하나로 엽서가 발행되었다. 러ㆍ일 전쟁 시기에 그림엽서는 정부 기관인 체신성의 주도로 발행되었다. 청ㆍ일 전쟁과 러ㆍ일 전쟁에서의 승전 분위기에서 발행된 엽서들은 민중들에게 확산되고 유행을 겪었다. 당시 러ㆍ일 전쟁과 관련된 기념 그림엽서가 발행되는 날은 이를 구매하기 위한 다툼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후 다양한 양상을 담은 엽서가 발행된다. 그림엽서 내에는 러ㆍ일 전쟁의 전시 상황에서 국가를 위해 헌신하는 국민의 모습, 근대화를 이룬 일본 사회의 다양한 국면도 보였다. 이때 이들 이미지와 함께 천황의 초상, 천황가의 상징 문장이 반영되었다. 이러한 엽서의 모습은 일본의 중심에 천황이 있으며, 현재의 부국강병한 일본을 가능하게 했다는 의식을 가능하게 했다. 그리고 그가 정통적인 권위를 지닌 군주로서 이미지를 갖추게 되어 안정적으로 지위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민중은 국민으로서 천황을 중심으로 통합되었다. 민중의 의식 속에 새겨진 천황의 이미지는 정부에 이미지화 작업을 통해 형성된다. 이는 구체적으로 군사 군주, 개혁 군주, 전통 군주로서 천황이라 볼 수 있다. 강한 군대의 중심인 천황은 다른 국가들과의 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하도록 이끈 존재였다. 또한, 개혁 군주로서 천황은 서구식 근대화를 이룩하고 이전보다 발달된 일본의 중심으로서 이를 이끌었고 앞으로도 더욱 발전된 일본을 만들 것으로 기대되는 존재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개혁을 좀 더 정당화하고, 그 정통성을 확고히 하기 위해 전통 군주로서 천황의 이미지를 형성했다.

      • 간호사의 골다공증 지식, 건강행위 자기 효능감이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박보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 본 연구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골다공증 지식정도 및 건강행위 자기효능감을 파악하고,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을 통해 골다공증 골절 환자의 이차골절을 예방하고 임상현장에서 간호사들이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 서울시, 충청도, 강원도, 경상도에 소재한 종합병원 응급실, 정형외과, 신경외과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5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고 직접 작성하도록 한 후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로 분석하였고, 골다공증 지식, 건강행위 자기효능감,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은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골다공증 지식, 건강행위 자기효능감,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의 차이는 t-test, ANOVA, Scheffe's test를 이용하였다. 골다공증 지식, 건강행위 자기효능감 및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간의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골다공증 지식은 20점 만점에 평균 15.74(±1.48)점, 건강행위 자기효능감 총점은 120점 만점에 평균 89.78(±11.75)점이며,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 총점은 72점 만점에 평균 49.35(±9.32)점이었다.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은 일반적 특성 중 골다공증 예방교육 경험의 유무(t=-2.990, p=.00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골다공증 지식은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r=0.124, p=.131). 건강행위 자기효능감은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538, p<.001).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골다공증 예방교육 유무(B=2.940 p=.034), 건강행위 자기효능감(B=0.404, p<.001)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1.5%였다(F=10.941, p<.001).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간호사의 골다공증 예방교육 경험과 건강행위 자기효능감이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간호사의 골다공증 예방간호행위 향상을 위해서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골다공증 예방간호 교육과 건강행위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가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nurses' osteoporosis knowledge and health behavior self-efficacy on preventive nursing for osteoporosis. METHOD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0 nurses working in emergency departments, orthopedic and neurosurgery in general hospitals in Seoul, Chungcheong-do, Gangwon-do and Gyeongsang-do.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 WIN 21.0 program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Scheffe's test. The correlation between osteoporosis knowledge, health behavior self-efficacy, and preventive nursing for osteoporosis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factors affecting osteoporosis prevention nursing performance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steoporosis knowledge averaged 15.74 (±1.48) points out of 20 points, and the total score of self-efficacy of health behaviors averaged 89.78 (± 11.75) points out of 120 points, and 49.35 (± 9.32) out of 72 points on average. The point. preventive nursing for osteoporosi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osteoporosis prevention education (t = -2.990, p = .003). Osteoporosis knowledge was not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preventive nursing for osteoporosis (r = 0.124, p = .131). The self-efficacy of health behavior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osteoporosis prevention nursing performance (r = .538, p <.001).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preventive nursing for osteoporosis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education for preventing osteoporosis (B = 2.940 p = .034) and self-efficacy of health behavior (B = 0.404, p <.001).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model in this study was 31.5% (F = 10.941, p <.001). CONCLUSIO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s of osteoporosis prevention education and self-efficacy of health behaviors influenced preventive nursing for osteoporosi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nurses' osteoporosis prevention nursing behavior, it is necessary to provide osteoporosis prevention education and program to improve the self-efficacy of health behaviors for nur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