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책과 조직의 전략적 상호작용과 성과 변화 : 정부출연연구기관의 PBS, 거버넌스 및 조직관리를 중심으로

        박관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may conform to changes and constraints of external environments and tend to more strategically behave under their positions and circumstances. This study analyzes introduction and modifications of the project-based system(PBS hereafter) and changes of the governance structure for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GFRIs hereafter) in Korea since late 1990s, which are able to be seen as strategic choices by government under external situation of expanding new public management principles at that time and domestic circumstances of hardship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in Korea. Then the introduction of the PBS and a new governance structure of public sector R&D had played a role of influencing on organizational management practices, human resources and performance management, in the GFRIs. These constraints of above levels as well as strategic choices by governmental and organizational actors have impacts on performances in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operational management of GFRIs. This study analyzes and interprets all these multiple interactions and consequences through a continuous analytic framework. The research results are suggested as follows. The PBS was introduced in 1996 to implant principles of competition and autonomy in GFRIs and to improve their organizational performances. The PBS resulted in changes of government funding scheme and personnel expenditure support to the GFRIs, in particular at the beginning period, which reached to a combination of stable government fund and research project fund based on open competition. The combined and more competition-oriented R&D funding caused a counter-reaction of GFRIs, and the GFRIs and scientific communities argued for increase of stable R&D fund for organizational maintenance and accomplishments of fundamental and unique missions of R&D which are suitable for GFRIs. They also asserted that they were in trouble because of involvements in too many R&D projects for getting funds to operate organization and to pay salaries of staffs. The PBS also had impacts on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R&D performances of the GFRIs. Exits of R&D personnels in the GFRIs were persistent, and the trend had been increasing. Many R&D staffs have moved to universities and private companies. Change in the R&D performances were clear that increasing R&D performances of the GFRIs under the Research Council for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were shown in the area that strong financial incentives were allowed between 2005 and 2010. During these periods the performance of academic journal publications had decreased, but revenue of technological transfer and licensing had increased. Also we found that the publication of journal articles per researcher had decreased, which were consistent with decline of stable government fund. Persisting these problems had policy-makers modify the rigid application of the PBS,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strategic choice by government under the circumstances. Therefore Korean government adopted a measure of incremental raise of government fund for helping the GFRIs perform more missionary R&D activities. These interactions and choices had been taken place because decreasing or stagnant performances and escalating contradiction to the PBS were persistent.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KIST) in 1960s was a monument for starting the public research and development governance in Korea. There has been increasing number of public research institutes. Governance structure of public R&D changed by the establishment of the research councils as an intermediate organization in 1999. In other words the type of mono-ministerial governance shifted to mono-ministerial umbrella governance which include multiple GFRIs under a research council. Five research councils under the Office of Prime Minister were formulated which are classified by sectors of technology and R&D objectives. The introduction of research council system was to improve not only managerial autonomy and collaboration but also accountability of the public research institutes. It had an ultimate goal of enhancing R&D performances and of contributing to increase of science and technology capacity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hree research councils under the Prime Minister Office, which were in area of science and technology, moved to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was advanced to the level of vice-ministry from ministry level in 2005. And the three research councils were reformed to two councils such as the Research Council of Fundamental Science and Technology(KRCFST) and the Research Council of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KRCIST) with inauguration of new administration in 2008. The 2008 reform was a small change of governance structure adding features of multi-ministerial umbrella type, which the KRCFST was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KRCIST under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Operational and R&D performances were being shown with change of the governance structure of public research institutes. The R&D performances were measured by per researcher in academic journal article publication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patent registration to relevant offices in Korea and abroad, and revenue from technology transfer and licensing. The performance of academic journal article publication greatly increased during the second period(2005-2007) and then decreased during the third(2008-2012). The revenue performance had continuously increased through all period. The introduction of the PBS made changes in the revenue distribution of the GFRIs. It made the GFRIs difficult in acquiring stable fund for wages of staffs, and thus the GFRIs had more employed part-time or contract researchers. The increasing share of non-regular researchers mainly resulted from the change of funding system. The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increase of non-regular researchers had negative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management performance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R&D performances in the GFRIs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particular the positive impact of increasing ratio of non-regular researchers to improvement of R&D performances was effective in domestic area such as journal article publication and patent registration in Korea rather than in international offices and journals.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human resources management and performance were different by performance indicators. The quality of human resources management was measured by the employment of excellent researchers and capability improvement of existing researchers in the annual performance review of GFRIs. The better quality of human resources management, the higher R&D performances in domestic patent registration and revenue from technology transfer and licensing. The GFRIs have adopted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s such as balanced-score cards or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 to increase organizational performances. The enactment of the Act of Performance Evaluation and Management for National R&D Projects has systemized performance review of GFRIs. The performance evaluation has been done at multi-level, which are done by self-assessment and upper-level review by or research councils or ministries. The results of performance evaluation have been associated with incentive scheme to motivate researchers and to lead performance improvement of Korean GFRIs. The quality of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and performance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R&D performances in partial. The quality of performance management is statistically associated with R&D performance of domestic patent registration as well as revenue from technology transfer and licensing in positive way. The result of ANOVA in particular shows that there are clear performance differences between low management quality groups and high ones. In sum, the study demonstrates that the Korean government, research councils, and GFRIs strategically respond to environment and upper level policies and regulations and then tries to improve their performances based on close association with management quality and incentive mechanisms. The introduction and change of the PBS had led to modify management strategies and organizational R&D performances in the GFRIs. The most obvious performance improvement was found in the domain of performance with associated with which high economic incentive schemes are applied such as technology transfer revenue and patent registration. A further study may need to be followed with a better consistent panel data-set and an analysis on dynamic relationships among policy actors and their consequences.

      • On the tensor product of representations : 表現의 Tensor積에 對하여

        박관규 全南大學校 敎育大學院 1984 국내박사

        RANK : 247631

        本 論文에서는 表現(representation)을 利用하여 semigroup, leftmonoid와 G-set을 定義하고, 表現空門 V₁과 V₂의 Tensor 積으로 부터 induced K(G)-module과 ρ:G→GL(M)이 G의 representation이고, ρ^G:G→GL(M^G)가 induced representation일 때 ρ의 character X와 ρ^G의 induced chracter X^G의 性質을 論하고, E⊂H⊂G가 group이고 M이 character X를 갖는 K(E)-module일 때 (X^H)^G = X^G, (M^H)^G■M^G가 됨을 밝혔다.

      • 대형 해양구조물에 적용된 K-joint 및 Topside의 피로성능평가

        박관규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ubular 구조는 wave, current, wind 등의 불규칙 외부 하중에 의한 압축, 인장, 비틀림 등의 영향을 적게 받기 때문에 해양구조물의 가장 기본적인 구조이다. 해양구조물의 주요 joint 부위는 불규칙 반복 하중을 받으면서 응력집중이 발생하기 때문에 설계시 welded tubular joint 에 대한 피로 강도 평가는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포스코산 API 2W강재를 사용하여 실구조물 크기의 tubular K-joint 와 topside를 balanced in-plane brace 하중하에서 피로 강도를 평가하였다. K-joint와 topside의 피로수명은 각각 hot spot stress와 nominal stress를 바탕으로 평가하였다. 피로 균열의 예측 및 결과는 유한 요소법에 의한 수치해석 결과값과 비교하였다. 또한 실험의 결과는 DnV RP C-203, IIW, AWS D1.1, API RP 2A-WSD의 S-N curve와 비교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K-joint 변수에 관한 numerical parametric study를 실시하였다. 변수 α, β, γ, τ, θ의 변화에 따른 응력 집중부의 응력 변화에 대한 연구도 실시하였다. Large-scaled fatigue tests of tubular K-joint and topside joint under balanced in-plane brace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atigue strength of API 2W Gr.50 & Gr.60 steel plate produced by POSCO. Fatigue life for tubular K-joint and topside joint test specimens was obtained based on the concept of hot spot stress and nominal stress, respectively. Comparison of the present test results with those obtained by numerical approach based on the structural analysis has showed good agreement. The present results were also compared with the design curves in DnV RP-C203, IIW, AWS D1.1 and API RP 2A-WSD. Compared with the design curves, the experimental test results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design curves. And this thesis includes a numerical study for K-joint parameters (using the finite element program) and compared with results of the experimental test. The stress effects of various parameters including α, β, γ, τ and θ were investigated. The stress distributions as per each parameter were also analysed. From the study, the maximum stress of the joint became different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the parameters.

      • 尤庵 宋時烈의 碑誌文 硏究

        박관규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論文은 557편에 달하는 尤庵 宋時烈(1607-1689)의 碑誌에 초점을 맞추어 尤庵 碑誌의 主人公인 墓主의 性向과 主題의 主要 領域 및 時代的 位相을 종합적으로 고찰함으로써 尤庵 碑誌의 具體的 面貌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17世紀 朝鮮의 知性界에서 碑誌의 制作이 전대에 비하여 활성화되게 된 文化的 實狀과 原因, 特徵의 實態를 감지할 수 있었다. 尤庵은 17世紀 朝鮮 性理學의 수준을 대변하는 巨儒이자 山林으로서 그 학문적 位相과 정치적 지위가 뚜렷하다. 그는 文章에만 치력한 文士가 아니었다. 그러나, 평생 동안 講學과 作文 活動을 왕성하게 전개하여 그의 문집 󰡔宋子大全󰡕에는 그 누구보다도 한문학의 제 문체가 풍부하고 충실하게 수록되어 있다. 그 중에서 551 편에 달하는 碑誌는 그 양적 부분이 매우 압도적이다. 특히 우암의 碑誌文은 淸陰 金尙憲(1570∼1652)과 谿谷 張維(1587∼1638)의 계보를 이어받아 당대에 일가를 이루었는데, 그의 필력은 웅혼하였고 韓愈와 歐陽脩의 영향 하에 주자의 문체를 參用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尤庵 硏究는 朝鮮 後期를 이해하는 關鍵, 혹은 關門이라는 전제 하에 현재까지 철학과 사학 분야에서 연구가 꾸준하게 진행되어 왔으며 2007년 ‘우암 탄신 400주년’을 전후하여 학술 발표와 토론회가 개최되는 가운데 우암에 대한 여러 방면의 학술적 관심이 고조된 바 있다. 그러나 우암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17세기 이후 조선의 지식인 사회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전제로 하여 우암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이거나 혹은 부정적인 것으로 양 극단에 치우쳐 그 실상에 대한 객관적 평가가 부족한 실정이다. 우암에 대한 褒貶은 주로 그의 정치적 처신과 행적에 대한 후인들의 이해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으며 객관적이며 심도 있는 접근 방식과 연구 결과는 현재 미진하다. 본 논문은 기존의 우암 연구에 있어서 제한적인 시각의 범위를 확장하기 위한 일환으로 작성되었다. 일단 우암의 저작 가운데 주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550여 편에 달하는 尤庵의 碑誌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우암 비지가 획득한 존재의 실태와 문학적 수준, 시대적 위상을 도출해 내어 아직까지 활성화되지 못한 碑誌 硏究에 대한 한 대안을 모색, 17세기 비지 찬작의 정채로운 한 현장의 단면을 우선 밝혀내었다. 尤庵의 碑誌文에 대한 구체적이며 본격적인 접근은 17세기 비지 찬작의 실태와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시금석이다. 우암은 栗谷의 생애 및 학문과 관련된 碑誌 2편, 孝宗(1619∼1659)의 생애를 정제된 구조 안에서 펼쳐 낸 「寧陵誌文」 등 陵誌 3편을 포함하여 약 557 편의 비지를 찬작하였다. 우선 조선시대를 통 털어 가장 다수의 작품을 찬작해 낸 점에서 그 사적 위상과 의미를 간과할 수 없다. 尤庵 碑誌가 양적으로 풍부하게 된 배경에는 이미 20대에 沙溪 金長生(1548∼1631)의 문하에 입문한 이후 西人系 名家 및 名人들과 인적·학적·정치적 교류의 범위가 확대되고 심화된 점과 무관치 않다. 청탁과 수락의 과정에서 우암은 비지에 대한 자신의 기본 관점과 서술 과정에 있어서 撰作의 動機와 敍述의 方向, 墓主-被撰者에 대한 자신의 시각과 평가의 방향, 교정의 세부 내용 등 비지에 관한 제반 미학적, 수사적 담론을 치밀하고 다양하게 전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557여 편의 방대한 양을 자랑하는 尤庵의 碑誌 전체에 우선 초점을 맞추어 찬작의 주요한 배경을 간파하기 위하여 우암 및 그 주변 인물들이 전개한 방대한 담론의 양상을 검토할 뿐만이 아니라 우암 비지와 직접 관련된 기사를 우암의 詩, 疏箚, 書, 祭文, 序文, 記文, 跋文 등에서 우선 두루 섭렵함으로써 당시 우암과 교류의 양상이 뚜렷한 17세기 지성들의 증언까지 함께 고찰하였다. Ⅱ장에서는 우선 17세기에 비지의 찬작이 유행하게 되는 분위기 속에서 비지의 功效에 대한 당대 인식과 우암 비지에 있어서 주요한 인물의 양상을 검토하였다. 이 검토를 통하여 우암이 비지를 다작하게 된 이유와 당시 우암의 지위가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설명해 보았다. 우암이 다작을 하게 된 일차적인 배경에는 王室의 요청 및 17세기 西人系 家門의 성장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특히 우암 및 그 주변 인물들의 비지에 대한 소통의 양상을 우암의 서간문 전체와 주변 인물들의 언급 등 방계 자료를 면밀히 조사하고 검토하여 비지의 功效와 찬작의 일반적인 관행, 우암의 기본적인 찬작 성향을 중심에 두고 찬작을 둘러싼 제반 논의들을 통하여 17세기 서인계 문인 사회에서 비지에 대한 제반 주요 논의의 양상이 구체적으로 밝혀졌다. Ⅲ장에서는 우암 비지에 形象化된 主題의 主要領域을 時代相의 反映, 君臣 知遇와 尊周大義의 追求, 正學 守護와 時流 批判, 政治的 危機와 晩節의 闡揚 네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밀도 있게 고찰하여 보았다. 이들 주제의 주된 영역은 尤庵의 碑誌에 있어서 가장 비중 있는 墓主의 삶을 대변하고 있는데, 우선 17세기 시대적 한계와 특수성 속에서 당대 명인들의 인상적인 삶을 양상과 지향, 시대에 대한 고민을 파악 가능케 한다. 우암은 시대의 폭압 속에서 명멸해 간 명인들의 삶을 애도하고 동조하였으며 시대적 한계를 극복하는 개인의 삶을 보여주는 가운데 시대와 인간 가치에 대하여 當爲의 準則을 제시하고 있다. 이 장에서는 이들 조선 명인들의 삶을 통하여 우암이 지켜내고 현양하고자 한 삶의 가치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17세기 사대부 사회에서의 삶의 지향이 갖는 보편적 분위기와 전후의 시대와는 매우 변별적인 특성 등을 파악하는 가운데 우암 비지의 주요 작품이 획득하고 있는 미적 수준의 면모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우암이 채택된 어휘의 심각성, 시대상의 면모를 통하여 비지의 찬자로서 우암의 시각과 문제의식 등이 구조적, 형식적으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 지 그 미적 수준의 정도를 간파되는 것이다. Ⅳ장에서는 17세기 비지의 찬작 현장에서 우암 비지의 위상을 정리하였다. 우암은 당시 정치와 문화의 중심으로 부상한 서인계 명가 뿐만 아니라 왕실과 학계로부터 비지의 찬작이 쇄도할 정도로 그 위상이 높았을 뿐만 아니라, 그 자신이 비지의 문체 자체에 대한 인식과 그 사적 전개 양상에 대한 지식이 풍부하였다. 그리고 당시 557편에 달하는 비지를 요청 받아 생산해 내는 과정에서 조선시대의 여타 문장가들보다 비지의 서술 방향과 표현 방식에 대한 의미 있는 담론을 전개하였다. 따라서 17세기 비지의 찬작 현장과 작품 활동 양 측면에서 우암 비지의 위상은 간과할 수 없는 위치를 점하고 있다. 본 장에서는 우암 비지에 대한 당대의 평가와 비지에 대한 우암의 기본 시각이 갖는 의미, 우암 비지에 관류하는 주제의 영역이 보여주고 있는 시대적 의미를 염두에 두고 17세기 비지의 정채로운 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우암 비지의 성격을 도출하였다. 우암은 그의 일생 동안 문장가로 자부했던 인물은 결코 아니다. 그의 인생 목표는 문장가로서의 삶이 아니라 전도된 시대의 가치를 교정하고 正學의 계보를 정립, 수호하는 학인으로서의 삶이었다. 우암 비지는 17세기의 주요한 역사적 사건을 대변하는 주요한 시대적 소산으로서, 時代의 價値를 고수하면서 生死를 불고하다 명멸해 간 17세기의 지성과 명인들에 대한 尤庵의 哀悼이자 獻辭라고 하겠다.

      • 軍 전력지원체계의 획득체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박관규 건양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 군의 국방전력발전업무는 1970년대 ‘율곡사업’으로 시작되었다. 과거 대북 전력의 부족함을 극복하기 위해 질적, 양적으로 급속한 팽창을 목적으로 무기체계 중심으로 국방전력발전업무가 수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급속한 성장의 이면에는 무기체계 위주의 외형적 성장에 지나치게 치중하여 군수품의 92%를 차지하는 전력지원체계의 중요성은 간과되어 왔다. 이러한 까닭으로 전력지원체계는 사용자인 군의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이런 불만과 무관심은 역으로 전력지원체계의 발전에 장애물로 돌아오고 있다. 조직 및 예산의 축소, 업무절차의 제자리걸음, 사업의 감소 등이 다람쥐 쳇바퀴 돌 듯 악순환 되고 있다. 따라서 전력지원체계 획득관리 제도와 여건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시대적 소명으로 절실히 요구되었다. 주요 선진국들은 무기체계와 전력지원체계의 구분 없이 국방부 및 각 군 본부 통제 하에 군수품을 획득하고 있다. 우리나라만 유일하게 전력지원체계와 무기체계를 구분하여 획득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외국 선진국들의 사례들을 분석하여 전력지원체계의 획득관리체계에 대한 개선 및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그 내용은 소요기획, 선행연구, 연구개발, 시험평가, 규격 및 목록화의 다섯 가지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첫째, 전력지원체계는 소요기획 분야를 강화해야 한다. 전력지원체계는 소요기획문서가 없다. 전력지원체계 소요기획 문서체계는 정립되지 않아 ’11년 11월에 개정된 “일반군수품(운영유지 분야)획득관리 업무지시”에 의거 “중ㆍ장기종합발전계획서(F+3∼F+17년)”를 ’12년 12월에 처음 작성하여 시범적용 하였으나 현재는 부재한 상태이다. 따라서 전력지원체계 소요기획문서의 조기 정착을 통하여 국방중기계획과의 연계성을 확보하여야겠다. 또한 소요제안과 소요요청을 다양한 창구로부터 받아 소요군에 필요한 군수품 획득에 기여해야하며 소요결정 시에는 명확한 운용개념을 정립하고 상호 운용성 토의를 통한 호환성 확보, 미래 기술의 발전추세를 고려한 요구조건, 계량화된 군사요구도 작성을 통하여 획득 간 혼선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둘째, 선행연구 분야의 발전이 필요하다. 선행연구는 연구개발 가능성 판단, 군사요구도 구체화, 획득방안별 비용분석, 종합군수지원 개발 방안, 최적의 획득방안 제시, 시험평가 방안 구체화, 지식재산권 검토 등을 연구과제로 선정하여 수행하고 있다. 이 중 핵심과제는 군사요구도 구체화, 비용분석, 종합군수지원 연구이다. 군사요구도는 소요결정시 구체화하고 선행연구시 이를 검증 및 보완하여 연구개발 단계에서 미흡점을 보완하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하겠다. 또한, 운용유지 분야의 중요성이 증대되면서 선행연구시 총수명주기를 고려한 운용유지 분야의 비용분석을 추가하고 선행연구에 우수 전문연구기관이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하겠다. 셋째, 전력지원체계 연구개발 활성화가 필요하다. 연구개발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 예산의 확대가 필요하다. 무기체계의 경우 국방연구개발비가 연간 약 2조 원이 넘는 예산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제도적으로 방위산업 진흥과 무기체계의 국산화를 향상시키기 위함도 있지만 중기계획에 반영된 방위력개선비에서 안정적으로 예산을 할당받기 때문이다. 전력지원체계 예산은 전력운영비로 배정되기 때문에 정책의 우선순위 변화에 의하여 계획성 있는 사업예산의 편성이 제한 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현실적인 제한사항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민간 예산 및 기술을 활용하기 위한 민·군·관 기술협력의 확대가 필요하다. 넷째, 시험평가 방안의 개선이다. 전력지원체계의 시험평가의 문제는 절차상 관행적으로 무기체계의 절차를 준용하여 3계절 시험평가를 주로 적용하여 사업기간이 과다하게 소요된다는 것과 시험평가단의 전력지원체계에 대한 시험평가 요원들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계절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 체계의 경우는 과감히 시험평가 기간을 단축하고 개발시험평가와 운용시험평가를 통합하는 방안이 필요하며 전력지원체계 전담 운용시험평가 조직의 편성도 필요하다. 다섯째, 규격 및 목록화 개선이다. 정부투자 연구개발의 경우 수의계약 이점이 없는 개발업체가 규격서를 미흡하게 작성하여 제출 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연구개발 제품의 규격 완성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규격화 및 목록화의 높은 완성도를 위하여 연구개발 초기에 업체가 잘 작성 하도록 관심을 가져야 하며, 이를 통해 완성도 높은 규격서 작성을 유도할 수 있다. 이상의 다섯 가지 요인에서 제시한 개선방안을 통해 지금까지 무기체계 위주의 국방전력발전업무에서 무기체계와 전력지원체계의 균형된 발전을 도모하여 군 전투력 극대화와 보다 발전적인 군사력 건설 및 자주국방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e military forces support system(MFSS) of our military has been developed with the focus on weapons systems, and the importance of the MFSS, which accounts for 92% of military supplies. For this reason, it is required to study the ways to improve the acquisition management system because the MFSS does not satisfy requirements of military. This study suggests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acquisition management system of MFSS as five factors such as Planning, Precedent Study, R&D, Developmental test, Specification and cataloging. First, since the MFSS does not have the Requirement Planning Document, it should establish the Requirement Planning Document System and secure the connection with the mid-term planning of the defense. It is necessary to contribute proposals and requirements requestes requestes from various counters to acquire munitions that are necessary for the military. when deciding the requirements, clear operational concepts are established, compatibility is ensured through interoperability discussion, requirements considering future technology development trend, and conflicting acquisitions are minimized through quantified military needs. Second, for the advancement of the preceding research, the military need should be specified at the time of decision, and in preceding researches, it should be verified and supplemented to contribute to reduce the RISK in R&D stage. Operational maintenance adds additional cost analysis to the total life cycle. and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professional organizations can participate in the preceding research. third, It is difficult to organize a planned business budget. Because the MFSS budget is allocated to the Force Operating Expenses.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able budget allocation system and to expand technical cooperation with the public, military, and government. fourth, To improve MFSS Test and Evaluation problem, the system without seasonal influence should shorten the period, need to integrate Development Test & Evaluation and Operational Test & Evaluation, and the organization of the MFSS dedicated operation test evaluation organization. Fifth, In case of government-funded R&D, standardization of R&D products is the most important. Therefore, from the very beginning of R&D, companies should be interested in writing standards and catalogs well. From the above-mentioned five factor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maximization of military combat power, the development of military capability, and self defense by promoting a more balanced development in Force Development Work Letter of Instruction focused on weapons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