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음악치료학 과정에 관한 실태조사연구

        한송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79

        음악을 포함한 예술교육은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6개의 예술중학교와 27개의 예술고등학교가 있다. 이곳에서 약2만여명의 학생들이 전문음악교육을 받고 있는데 대개 이들은 진로를 따라 국내 음악대학에 진학하게 되거나 일부는 외국 음악학교로 유학을 떠나기도 한다. 이렇게 전문음악인의 길을 선택한 학생들은 많은 시간과 경제적인 투자를 하면서 전문연주가의 구별된 길을 가는 것이다. 그 목표가 전문연주가이든 교육자의 길이든 이들은 음악적 행위를 통해 자신의 목표를 이루어 갈 것이다. 하지만 현실은 이렇게 음악인의 길을 가는 많은 사람들을 수용할 사회적 기반이 미미하다고 볼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어린 나이부터 음악전공이라는 진로선택을 결정하고 노력해 왔지만 현실적으로 이를 수용하는 사회적 역량에 한계가 있음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더 나아가 우리나라 음악대학이 당면하고 있는 커다란 문제점들 중 하나는 음대나 대학원 졸업생, 그리고 유학생 등 고학력의 인적 자원들이 사회에 나가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수가 그리 많지 않다는 것이다. 현재 대학의 서양 음악과 학생이 졸업 후 사회에서 활동할 수 있는 범위는 교사, 교수, 합창단, 오케스트라, 연주가, 개인지도, 학원운영 등이다. 본 논문에서는 음악관련 학과생들의 또 다른 취업 돌파구의 하나로 음악치료에 대해 다루고자 하며 좀 더자세한 이해를 위해 음악치료에 대한 현황을음악치료를 교육과 연관지어 내용을 구성하였다. 본론의 각 기관별 음악치료의 현황에서는 각 대학(음악치료가 개설된 10곳)에서 이뤄지고 있는 음악치료전공에 대해서 소개한 후 교과과정, 교수진, 졸업생 취업현황, 학위논문등을 조사하여 작성하였으며 두번째로는우리나라에서 공식인증을 받은 학회 4곳의 주요활동, 설립목적, 학회원들의 취업현황과 논문발표현황을 조사하였다. 세 번째로는 대학부설평생교육원(서울 주요대학 22곳과 지방 국공립대학 17곳 중 음악치료 강좌가 있는 12곳)에서 이뤄지고 있는 음악치료 강좌를 중심으로 작성하였는데 여기에는 교육기간, 대상, 모집정원, 수업시간, 수강료, 교육내용등을 담았다. 네번째는 학술진흥재단에서 음악치료를 교육과 연관시키는데 얼마만큼의 지원이 이뤄지는지, 지원 규모및 기간, 지원내용, 방향, 지원예산 등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관에서 사업내용으로 음악치료는 어디에 속하는지 또한 2008년 현재 광주광역시 종합사회복지관의 현황을 다루었다. 졸업 후 전공과 관련된 분야에 취업하는 예가 적고 그 직종에 있어서도 한정이 돼있는 음악전공 학생들에게 논자의 음악치료학 과정에 관한 실태조사연구가 학생들의 자아실현과 진로 선택에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여 폭넓은 직업과 보다 나은 진로를 선택할 수 있었으면 한다. Art Education including music requires a long period of time. Currently, there are 6 art middle schools and 27 art high schools in Korea. More than 20,000 students are taking professional music education in these schools, and most of them are supposed to enter a college of music in Korea, or some of them would go abroad for study. Students who chose to be a professional musician are investing a lot of time and money in their dedicated course. They should fulfill their goals through musical behaviors, whether the goal is a professional musician or an educator. In reality, however, the social foundation to accommodate those who chose to be a musician has yet to be firm. Many students decided to major in music since their childhood, and do their best; but in fact, it is well known that the capacity of the society in this regard is limited. Further, one of the outstanding problems of colleges of music in Korea is, highly educated human resources such as graduates of college of music or graduate school, and students who studied abroad have few channels to enter the society. The areas where graduates of western music department of college can act in the society are limited to teacher, professor, choir, orchestra, performing musician, private tutor, institution manager, etc. This study examines music therapy as one of the breakthrough for music-related students to get an occupation, and for further understanding, it links the actual condition of music therapy to education. In the section of the actual condition of music therapy for each agency, major subjects of music therapy in each university (10 with music therapy courses) are introduced; and the curriculum, faculty, getting employment after graduation, and thesis are present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econd, major activities, the purpose of foundation, getting employment of institution members, and publication of thesis of the 4 academies officially certified in Korea are investigated. Third, music therapy courses at life-time education centers operated by college (12 with music therapy classes among 22 major colleges in Seoul and 17 national and public colleges) were focused on, especially the education term, subjects, the fixed number of students in one class, class hours, fees, and contents are included. Fourth, as Korea Research Foundation links music therapy to education, how much support has been provided was investigated by dividing the category into as follows: supporting scale, term, area, direction, and budget. Lastly, to what business area music therapy belongs at social welfare centers was explored through the current condition of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center of Gwangju City as of 2008. To music majors whose occupations and courses related to music after graduation are limited, this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music therapy course will present more information for self-realization and to chose a course to advance so that they can have more chances of occupation and the career to pursue after graduation.

      • 광주·전남 2년제 대학과 4년제 대학 생활체육관련학과의 교육과정 연구

        조치훈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79

        This research is purposed to analyze the element of curriculum leisure sports related departments at College and University in Gwangju & Jeonnam into the resemblance and the difference.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concrete topic of research is that the analysis of the aim of the education, whether or not the legal course setup of sports leader, the analysis of completion of major subject and the analysis of the resemblance and the difference of education course of each sports department. The subject University of this research are 4, 2-year sports departments, and 5, University sports departments, located in Gwangju & Jeonnam. The object departments of research are that as college D, S, C in Gwangju and S·C in Jeonnam, as K, C, H University in Gwangju and D, C·D University in Jeonnam.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follows: First, analyzing the aim of education of sports department of College and University, at the "College" they have arranged the subjects which are grounding education for the choosing vocation and focusing on getting a job in actuality. At the "University", they have aimed growing the qualities as a Executive, Administration manager, Leader who have knew scientific knowledge well. Second, in the condition of sports leader, the graduate who were finished College or University sports department can get the 3rd grade license of sports leader when they complete the legal 8 subjects, theory of sports, exercise physiology, sports psychology, sports sociology, theory of recreation, training methodology, emergency and safety management. Among the "College" D, S colleges have arranged 8 legal subject, but the lacks are founded that "training methodology" in C college and "emergency and safety management, health management, sports sociology" in S·D college. Also, among the "University", all 8 subjects are arranged in K, C, C·D, H college, but D college doesn't have arranged health management, emergency and safety management. Although some colleges have the lack of 1 or 2 subjects, they are judged to operate the education course without any obstacle to get the license of sports leader through operating the similar subject and alternative subject, because each aim of college is to grow the sports leader. Third, the distribution of major subject is that in the College, the average are 22 credits which is major theory, 48 credits which is exercise and in the University, the average are 49 credits which is major theory, 52 credits which is exercise. In the College, as the short-term training program of leaders in the field, they focus on the exercise subjects which is required in the field, and University strengthen the education of program related sports in the major theorey and arranged the exercise subject which is similar to the College are configured. Fourt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ade is that the theory of "1 grade" of the College is many grounding education parts for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the exercise is consisted subject which is to master the basic functionality. the theory of "2 grade" is consisted the subject which is for the specialization according to the goal of education, and the exercise is required the level which can apply in the field through the deepening education. Besides, in the University, the theory of "1 grade" is arranged the subjects which is the introductory-level, this is made to know the principles of sports, and the exercise is the subjects which can improve the basic physical Stamina and the basic function. At the "2-grade", the theory is arranged the subjects which is to understand the sports, and is about various value of sports, and the exercise is arranged the courses which is the seasonal special sports and is to participate in a number of sports. At the "3 grade", the theory is arranged the subjects which are identified the value and the meaning of sports in the society, and the exercise is arranged subject of Leisure sports. At the "4 grade", the theory is arranged the subjects which are used directly in the field of sports, the exercise is consisted the subjects which can be guided in parallel with Training Methodology. Fifth, analyzing the resemblance and difference in the curriculum of sports departments of the College and University, at the "College", the theory is level of legal subjects of sports leader, and the literacy classes are usually consisted the grounding education for the choice of vocation. Taking the average with depending on the distribution of the major exercise, the exercise is consisted curriculum which is similar than University level. In the College, the education is focus on making the students sports leader after graduation. Furthermore, the "University" is consisted the curriculum to make students not only to be sports leader but also can achieve the footing field of business and sports administrative management through adding the subjects which is for growing the scientific and systematic leader, and the theory of program organization, sports business, administrative management on the legal sports subjects. 본 연구는 광주·전남 2년제와 4년제 대학 생활체육관련학과의 교육과정의 다양한 요소들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교육목표의 분석, 생활체육지도자 법정이수 교과목 설치 여부, 전공 이수교과목 분석 그리고 각 생활체육관련학과 교육과정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학교는 광주·전남 소재 2년제 4개의 생활체육관련학과와 4년제 5개 생활체육관련학과를 대상으로 하였다. 2년제는 광주광역시 소재 D, S, C 그리고 전라남도 소재의 S·C 생활체육관련학과이며, 4년제는 광주광역시 소재 K, C, H 대학교 생활체육관련학과이며, 전라남도 소재의 D, C·D 대학교 생활체육관련학과이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년제와 4년제 생활체육관련학과의 교육목표를 분석하여 보면 “2년제 대학”에서는 직업선택을 위한 소양교육과 현실성 있는 취업중심의 교과의 편제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4년제 대학”에서는 과학적 지식을 숙지한 지도자나 경영자, 행정관리자 등의 자질을 육성하는 것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둘째, 생활체육지도자 자격요건에는 2년제와 4년제 생활체육관련학과의 졸업생은 법정이수 과목인 생활체육론, 운동생리학, 스포츠 심리학, 스포츠 사회학, 레크리에이션론, 트레이닝 방법론, 구급 및 안전관리 그리고 건강관리의 8개 교과를 이수하면 자격부여로 생활체육지도자 3급 자격증을 획득할 수 있다. “2년제 대학” 중 D, S 대학은 8개 교과가 교육과정에 편제되어 있는 반면, C대학은 트레이닝 방법론, S·D대학은 구급 및 안전관리, 건강관리, 스포츠 사회학의 교과의 부족을 볼 수 있다. 또한 “4년제 대학” 중 K, C, C·D, H대학은 8개 교과가 교육과정에 편제되어 있었으나 D대학은 건강관리, 구급 및 안전관리의 교과가 편제되어 있지 않았다. 비록 몇 대학에서 1혹은 2개 교과가 부족한 상황인데 각 대학의 교육목표가 생활체육지도자 육성이므로 대체과목 및 유사과목을 운영하여 생활체육지도자 자격증 취득에 어떠한 문제없이 교육과정 운영을 하리라 판단된다. 셋째, 2년제와 4년제 전공이수 과목의 배분은 2년제 대학에서는 평균 전공이론은 22학점, 실기는 48학점이며, 4년제 대학에서는 평균 전공이론은 49학점, 실기는 52학점이었다. 2년제 대학에서는 현장 지도자의 단기 육성과정으로 현장에서 요구되는 실기 종목을 집중적으로 학습하였으며, 4년제 대학은 전공이론에 있어 생활체육에 관련된 프로그램 측면의 교육을 강화하고 있으며, 실기에서는 2년제 대학과 비슷하게 구성되어 있다. 넷째, 각 학년별 이수교과목의 특성은 2년제 대학 “1학년”의 이론은 직업교육을 위한 소양교육의 내용이 많았으며, 실기는 기본기능을 숙달하는 교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2학년”의 이론은 교육목표에 따른 특성화를 위한 교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실기는 심화교육을 통해 현장에서 활용 가능할 정도의 실기수준을 요구하고 있었다. 또한, 4년제 대학 “1학년”의 이론은 주로 체육의 원리를 파악하게 하는 개론 수준의 과목으로 편성되었으며, 실기는 기초체력과 기초기능을 향상할 수 있는 과목으로 편성되었다. “2학년”의 이론은 운동을 이해하고 운동의 다양한 가치에 대한 과목으로 편성되었으며, 실기는 계절적 특수성 스포츠종목과 생활체육에 다수 참여하는 종목들로 편성되었다. “3학년”의 이론은 사회에서 스포츠의 가치와 의의를 파악하려는 생활체육관련 과목으로 편성되었으며, 실기는 레저스포츠 종목으로 편성되었다. “4학년”의 이론은 생활체육의 현장에서 직접 활용될 수 있는 과목으로 편성되었고, 실기는 교육방법론과 병행하여 지도할 수 있도록 편성되었다. 다섯째, 2년제와 4년제 생활체육관련학과의 교육과정에서 차이점과 유사점을 분석하여 보면 “2년제 대학”에서는 생활체육지도자의 법정이수 과목 정도의 이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교양에서는 직업선택을 위한 소양교육 위주의 교과 편제를 보이고 있다. 실기에서는 전공실기의 배분정도에 따라 평균을 내어보면 4년제 대학과 비슷한 수준의 교과 편제로 구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2년제 대학에서는 졸업 후 생활체육 분야에서 지도자로서 근무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4년제 대학”에서는 생활체육 법정이수 과목에 추가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지도자 육성을 위한 교과와 프로그램 구성론, 스포츠 경영, 행정관리 등을 추가하여 생활체육지도자 뿐만 아니라 경영인, 체육행정관리 등의 분야에 진출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편제를 이루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전문성 향상을 위한 대학원 수준의 교사양성 체제에 관한 연구

        김채문 全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9679

        In terms of the teacher training, the phrase that “the quality of education can't go beyond the quality of teacher” has been repeated among educators. Although there are many factors which affect the quality of the school education, first of all, one of the most crucial one is the quality of the teacher. However well the school may be equipped with the greatest facilities, finest texts and utmost teaching aids, the procedures and the achievements of the education depend mainly on the teachers who can make good use of them. With the cultural openings among the nations, the advent of the world economy, and the coming of highly organized structure of industry, the diversity of thoughts is the main feature of 21st century, which is now entering into the knowledge-based society. As the result of the change of the paradigm, the education has still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essential tasks for the national advancement. Many developed nations have already made every effort to achieve the educational reform successfully. From this point of view,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should clearly be mattered when discussing the school education. To establish teacher's professionalism is a basic step to accomplish the successful educational reform. This is why many advanced nations have emphasize the improvement of the teachers' qualification as one of the current demanding tasks of the educational reform. To prepare the knowledge-based society of 21st century, our government has put various educational reform movements in motion, with the financial and mental supports for the establishing a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mproving facilities, and upgrading the ways of teaching. In the core of it stand the teachers themselves who can put into practice as well as coordinate them. To develope excellent teachers and provide them with relevant qualifications is, therefore, considered thoroughly in the procedure of the educational reform. The change into the knowledge-based society as well as that of the school circumstances has enforced the rapid change of the expected role of the teachers and their professionalism. It also requires us to consider the current system of training teachers. This system needs to be amend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teachers' profound professionalism. It has also been indicated that the present four-year training system is insufficient to strengthen the teacher's competence to meet the various changes of the coming knowledge-based society. In this present teacher training system, it is almost hard to accept excellent qualified students, to lay out and practice relevant curriculums including student-teacher training, and to employ excellent teachers after graduation. In order to resolve these problems, following questions should be asked first; how to improve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how to stay the teachers' authority in the coming higher academic background society, and how to induce competent people from various fields into schools. Introducing teacher training system at a graduate school level is, therefore, necessary to meet those questions. Nevertheless, our teacher training system has many problems in its own system as well as its own contents. So far, our policy of training and employing teachers has mainly focused on the quantity of the teachers, and the necessity of the quality of them has largely been ignored. Specifically surveyed, neither the coherent policy for training teacher nor the responsible effort to meet the change has been fully provided. Also,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have been blamed for the irrelevant curriculums and their inefficient managements. This current policy of training teachers has had lots of following faults; the proliferation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the lack of qualification control managements; the poor financial support status of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the imperfect training teacher systems to satisfy the needs of the national common basic subjects of the 7th curriculum; the unbalance of the supply-demand relation of the teachers; the inefficient managements of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the failures of the inducing highly qualified teachers into schools; the present stereotyped curriculums; the inappropriate test policies to appoint teachers. In addition, if the teacher training system at a graduate school level which pursues the improvement of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students' learning ability doesn't provide the distinctive curriculums and the special strategies, this system will not only extend the educational term that will need tremendous social cost, but also show any improvement of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as well as any achievement of education. The discussion on the reform of the current teacher training system is being held at the Committee for the Reform of the Teacher Training System , which was organized in 2004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mong the discussion, the following issues are included; how to improve teacher's professionalism during teacher training; how to manage the qualification control; how to balance the supply-demand relation of the teachers; how to relate the curriculums to the schools and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Considering the efficiency of the teacher training policy and the possibility of it, the teacher training system at a graduate school level is now under discussion. After accepting various opinions from every level of people, the new frame of teacher training system should be decided and declared soon or later. In order to draw competent people into schools as well as to improve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the inducing of the new system for the teacher training seems to be compulsory. It is, however, hazardous to insist to choose a certain single specific system, when discussing the teacher training system at a graduate school level. The impatient conclusion without any educational reasons may bring about another greater problem.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play a key role in the accomplishment of the national task to train teachers with the professionalism and the grace to perform their duties. Their qualities and the professionalisms as teachers are not molded and completed only at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They are rather developed and refined during the period of long teaching careers. They should be focused as a kind of effort to remind the students of the demanding educational requirements from the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necessity of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in advance, in proposing the new trend of teacher training system for our educational development when facing the crisis of the teacher training issue, and to offer a new possible model of teacher training system at a graduate school level, after surveying the current teacher training system and its present status, and analyzing the examples of that of the foreign countries. 교사교육과 관련하여 늘 되풀이되는 말은「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어 설 수 없다」는 것이다. 학교 교육의 질을 좌우하는 것에는 수많은 요인들이 있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교사의 자질이다. 학교에 아무리 훌륭한 시설과 설비를 갖추고, 양질의 교재와 기자재를 제공한다고 해도 결국은 이를 활용하는 교사의 능력이나 태도에 따라 교육의 과정과 결과는 달라지기 때문이다. 국가간 문화의 개방과 세계 경제의 출현, 산업구조의 고도화, 사고의 다양화 등이 특징인 21세기 지식기반 사회로의 진입하는 데에 따른 패러다임의 전환은 교육을 국가 발전의 핵심 과제로 인식하게 하였으며, 선진국들은 교육개혁이라는 국가적 명제를 달성하기 위해 총체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따른 학교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전문성은 중요한 화두가 될 것이 분명하다. 교원의 전문성 확립은 교육개혁의 성공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조건이다. 현재 교육 선진국들이 교육개혁의 중요한 과제의 하나로 교원의 자질 향상을 강조하고 있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우리 나라도 21세기 지식기반 사회를 대비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개혁을 추진하고 있으며, 교육정보화와 시설 개선사업 및 교수방법 개선을 위해 많은 투자와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그러나 이 모든 것들을 실천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핵심은 바로 교사이다. 따라서 교육개혁에서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할 사항은 우수한 교사를 양성하여 자격을 부여하고 확보하는 것이다. 지식기반 사회와 학교 환경의 급속한 변화는 교사의 교육적 역할과 전문성에 대한 기대를 급속히 변화시키고 있으며 이는 곧 현재의 교사양성 체제에 대한 근본적 반성을 요구하고 있다. 현행 교사양성 체제는 교사의 전문성 함양과 심화에 취약한 것이 현실이며 학부 수준의 교사양성 체제는 지식기반 사회에서 교사의 역량 강화에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다. 현행 교사양성 체제는 우수한 자질을 갖춘 학생의 선발, 전문성을 갖추기 위한 교사양성 기관의 교육과정 운영과 교육실습 및 우수교사 임용이 일관성 있게 유지되지 못하고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 고학력 사회의 도래에 따른 교사의 권위 유지, 다양한 학문 분야의 유능한 인재를 교직에 유입하기 위하여 대학원 수준의 교사양성 제도의 도입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교사교육은 체제와 내용면에서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지금까지 우리 나라의 교사 양성 및 임용정책은 교사의 양적 수급에만 급급한 나머지 교사의 전문적인 자질과 능력 신장에는 소홀한 측면이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사 양성 과정에 있어서 정책의 일관성과 책무성을 지닌 변화의 노력을 보여주지 못하였으며, 교사양성 기관도 교육과정의 부적합성, 운영의 비효율성 등에 대한 여러 문제들을 지적 받아 왔다. 일반적으로 그간 교사양성 정책에 있어서 교사양성 기관의 난립과 질 관리체제 미흡, 교사양성 기관의 영세성, 제7차 교육과정의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시행을 위한 교사양성 체제의 미비, 교사 수급의 불균형 및 교육기관의 비효율적 운영, 양질의 교사 후보자 유치 실패, 진부한 교육과정, 부적절한 임용고시 제도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아울러 교직의 전문성 신장과 학습의 질적 향상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대학원 수준의 교사양성 체제 또한 내실성 확보를 위한 교육과정의 차별화와 특화 전략이 선결되지 않을 경우, 사회적 비용을 엄청나게 치루는 단순한 교육 기간의 물리적 연장에 그칠 뿐, 교사의 전문성 향상이라는 소기의 목적 달성이나 교육적 의미 산출을 기대하기 어렵게 된다. 2004년에 구성된 교육인적자원부의 「교원자격양성제도개편추진위원회」에서는 이러한 방향에서 최근 현행 교사양성 체제의 개편을 위한 논의를 하고 있다. 논의의 준거를 교사양성의 전문성 심화와 질 관리 문제, 교사양성 수급의 조절과 균형 문제, 교사양성 기관간 현장 및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문제, 교사양성 정책의 효율성과 실현 가능성의 문제 등으로 삼고, 대학원 수준의 교사양성 체제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그 결과는 각계각층의 의견 수렴을 거쳐 2004년 교사양성 제도 개편의 틀이 확정 발표될 예정이다. 교사의 전문성 신장과 유능한 인재를 교직에 유인하기 위한 새로운 교사양성 체제의 도입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대학원 수준의 교사양성을 논함에 있어 섣불리 특정의 단일 체제만을 선택하도록 주장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며, 이를 비교육적 논리로 조급히 시행하려 한다면 현재의 문제점들보다 더 큰 문제들을 야기할 수도 있다. 교사양성 기관은 전문성과 사명감을 갖춘 교사의 양성이라는 국가적 과제를 수행해 나가는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교사로서의 자질과 전문성은 교직생애 동안 완성되어 가는 것이지 양성교육 기관에서 완성되어 배출되는 것은 아니다. 교사양성 체제의 개편은 꼭 이루어져야 할 과제이지만, 이는 예비 교사들에게 교사로서의 지녀야 할 교육적․사회적 요구에 대한 책무성을 각인시켜 주려는 노력과 함께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교사교육의 위기에 직면하여 우리 나라 교육 발전을 위한 교사양성 체제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함에 있어서, 교사의 전문성과 자질 확보의 필요성을 진단하고 현행 교사양성 체제에 대한 현황과 그 문제점을 지적한 다음, 지식기반 사회에 부응하는 전문성을 요구하는 유능한 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대학원 수준의 교사양성 체제를 외국의 사례와 함께· 분석하고 그 모형을 제공하고자 한다.

      • 역사과 교육실습 현황과 개선방안

        봉순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79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한 교실 환경의 변화. 수준별 교육 및 선택과목 제도. 수행평가의 강화 등으로 현재 교육계의 상황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더 높은 수준의 교직의 전문성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직 전문성의 출발선이라고 할 수 있는 교육실습은 주먹 구구식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의 현실적이고 비전문적이며 타성에 젖은 교육실습 제도에 대한 검토와 새로운 대안 제시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현재 전남 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역사과 교육실습 과정을 중심으로 교육실습의 구체적 현황과 그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기초해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는 역사과 교육실습 운영 방안을 마련해 보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는 크게 교육실습생 당사자. 그 실습대상자인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학생들의 의견. 실습생을 담당했던 지도교사의 견해로 나누어서 정리해 볼 수 있다. 먼저 교육실습생들은 교재 연구. 효율적인 교수·학습 도 방법 및 학습 동기 부여 방법 개발의 어려움을 가장 많이 언급했다. 그리고 현재 시행되는 교육실습 기간은 6주보다 더 길어져야 하고. 과다한 실습생 배정으로 인해 지도교사로부터 실제적인 도움을 못 받는 점을 가장 개선되어야 할 부분으로 꼽았다. 다음으로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학생들은 교육실습 기간은 대체로 6주과 적당하다고 보았으며. 학업에 대한 도움 정도나 수업 결손을 느끼는 정도는 그리 크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교육실습 지도교사의 의견을 요약해 보면, 교육실습 기간은 현행 6주보다 더 길어져야하고, 지도교사 1인당 실습생 배정 인원은 1~2명의 수준이 되어야 하며, 지도교사로서 가장 필요한 자질은 교수·학습에 대한 지도 능력을 통해 수업의 모델자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교육실습과 관련된 이 세 집단의 견해에 근거해 볼 때, 앞으로의 역사과 교육 실습 운영은 다음과 같은 방향에서 시행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교육실습생의 배 정을 적정화해야 한다. 현재 역사과 교육실습 운영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것은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에 교육 실습생이 특정 시기에 한꺼번에 너무 많이 배정된다는 것이다. 이를 시정하기 위해서는 교육실습생을 위한 또 다른 협력학교 선정이 필요하다. 더불어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역사과 교사 충원도 이루어져야 한다. 교육실습생 숫자의 적정화만이 역사과 교육실습 운영의 효율성과 내실화를 기할 수 있기 때문 이다. 둘패, 이론과 현실이 조화된 교육실습을 위해서는 전남대학교 사범대학과 그 부설학교 관의 협력 지원 체제를 갖추어야 한다. 즉,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지도교사를 사범대학 교과교육 관련 지도 강사로 활용하며 교육실습에 대한 사전지도를 실지하고, 사범대학에는 교육실습 전담 부서와 그 지도교수를 두어 교육현장과 학문적 접근이 접목되도록 해야 한다, 셋째, 현행 교육실습 제도에 대한 대안의 하나로 수습교사제를 실시하는 것이다. 수습교사제 실시는 정규임용 이전의 임용 예정자에게 6개월 내지 1년 정도 수습교사로서의 과정을 거친 후, 적성과 능력 등을 종합·판단하며 정규교사로 임용하게 함으로써 교사의 자질 향상은 물론 교육의 질적 향상을 기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에 기초하며 볼 때 바람직한 역사과 교육실습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육실습생의 수를 적정화하는 물적·제도적 방안의 마련이 가장 시급하다. 이와 함께 교육실습생의 실제적 교육 현장인 부설학교와 이론적 훈련 기관인 사범대학간의 연계가 필요하다. 끝으로 더 나은 교육실습생을 위한 교육이 이루어 지기 위해서는 교육실습에 대한 더 맡은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Substantial changes in schools have taken place. They result from ability-based teaching, elective subject system, emphasis on performance test and multimedia instruction technology. To cope with these changes. I think teachers must have professionalism in instruction. But current student teaching has been done in mannerism. Therefore a new viewpoint and a valid alternative for student teaching need be stud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pre-service history teaching situations with focus on student-teachers, the curriculum, the school where student teaching is performed, supervising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ing period. Based on thorough analysis of various aspects of the pre-service teaching system, this study aims to suggest some alternatives that may fit the needs of the drastically changing educational situation. In order to carry out this research, the author studied materials related to student teaching i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igh School, surveyed history student teachers, and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igh School students.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attained from three parts. From the student teachers, first, difficulties in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student teaching and the choice of a practising school were mentioned by most student teachers. Second, student teaching is rather superficial and routine because it takes place for a brief period of six weeks and that teachers have to supervise many student teachers per teacher. Student teachers pointed that the supervising teachers ale burdened with additional responsibilities such as the job of being a homeroom teacher and with the instructional load under a poor educational environment. Thus relevant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and College of Education should endeavor to provide more Supervising teachers. Next, High School students responded that the period was suitable and the degree of deficiency of studying or study help during the period was not critical. Finally, to sum up the opinions of supervising teachers, the period should be extended more than current six weeks, and relevant number of student teachers per teacher should be one or two. They emphasized the most important quality was instructional ability, through which they should set the model for the pre-service teachers and encourage them. From the opinions of the three groups concerned in the pre-service teaching,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to ensure that student teaching contribute to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re-service teachers. First, student teachers should be assigned to schools more effectively. The most serious problem in pre-service teaching is to assign too many student teachers to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igh School in specific period. To solve this problem, cooperation with other schools is needed. In addition, supplement of the personnel is also needed. Second, College of Education should provide a sustained support for supervising teachers and have close consultations with them to maximize the effect of pre-service teacher training. For example, supervising teachers can take roles as instructors, who make student teachers prepare pre-service teaching in the university. And College of Education should try to connect the theory and the practice in high school. Third, as an alternative, intern teacher system can be effective. Intern teacher system is that candidates for appointment do the teaching job for six months or one year before appointment. They can be examined through the period. Based on the preceding results, systematic project is most urgent to control the relevant number of student teachers. And the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cooperation of Chonnam National High School and College of Education is needed. Finally more studies about pre-service teaching will develop the efficiency of pre-service teaching.

      •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운영사례 연구 : 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신주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광주·전남지역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실시중인 ‘예술강사 지원사업’,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유아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 참여한 학교의 운영사례를 알아보고 실태를 파악하여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문헌조사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개념과 필요성을 알아보고, 학교문화예술교육의 내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실시중인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을 살펴보았다. 또한 국내 관련 연구자료를 통해 독일, 미국, 영국, 프랑스의 학교문화예술교육 실태를 살펴보았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실시중인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중 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예술강사 지원사업’,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유아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지원사업에 참여한 5명의 예술강사와 1명의 학교교사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를 통해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예술강사 지원사업’에 참여한 전남 완도 A초등학교는 학년 별 시수조정이 되어야 하며, 악기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예술강사들의 복지 차원에까지 좀 더 일관성 있는 운영이 필요하다. 광주 B중학교는 학교 측에서 악기관리를 철저히 해야 하며, 예술강사의 복지적인 부분의 지원이 필요하다. 미국의 블루프린트 프로젝트와 비교하면, 예술강사의 연수를 확대시키고 문화예술교육 정책에만 머무는 것이 아닌 문화예술교육의 본질에 적합하도록 노력해야 하며, 예술강사들은 수업의 질을 높이고 직접적으로 수업에 도움이 되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에 참여한 광주 C초등학교는 예술강사의 모집방법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적으로 확대시켜야 하며, 예술꽃 씨앗학교 예술강사들을 위한 연수가 필요하다. 또한 예술강사가 모니터링과 컨설팅에 참여하고, 초등학교에 이어 중학교로 연계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이 필요하다. 영국의 세인트 메릴리번 학교와 비교하면, 우리나라의 일반 공립학교에서도 모든 학생이 각자의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는 예술교육의 기회가 다양하게 주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유아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 참여한 전남 D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은 지원사업의 기간을 5개월에서 1년으로 확대시키는 방안과 예술강사 연수 프로그램에 유치원 교육과정과 유아의 발달심리에 관한 연수과정이 필요하다. 전남 E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은 연령별로 정원이 너무 많기 때문에 수업을 위한 적절한 배정이 필요하며, 예술강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선, 상·하반기 2번의 연수 필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측의 추후 관리가 필요하다. 프랑스의 유아학교와 비교하면 우리나라의 유아문화예술교육은 조금 늦은 편이지만, 유아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이 확대되어 유치원 뿐 만 아니라 여러 사회복지센터에서도 누구나 쉽게 참여 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더불어 각각의 지원사업의 운영사례를 통해 학교문화예술교육 본래의 취지와 목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광주의 ‘아시아 문화중심도시’ 구축에 이바지할 수 있는 광주·전남지역의 학교문화예술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으면 한다.

      • 평생교육 전공 대학원생들의 입학동기와 학습과정의 변화

        김민지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79

        이 연구는 성인학습자인 평생교육 전공 대학원생의 대학원 입학동기와 그 학습과정에서의 변화 과정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G시의 C대학교 교육대학원 평생교육 전공 대학원의 재학생 및 졸업생 9명이다. 이들의 평생교육 참여 동기와 학습 과정에서 그들의 경험과 변화 과정 및 그 맥락을 그들의 목소리를 통해 알아보기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 중 포커스 그룹 면담법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것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평생학습 과정에 참여 동기는, 배움의 욕구와 새로운 분야에 대한 호기심, 직무능력향상 및 자격증 취득을 통한 직업연계, 자기계발과 같은 것들이었다. 평생학습에 참여한 뒤에는 다양한 학습경험들이 상호 복합적으로 작용되면서 또 다른 학습 동기들을 유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로, 대학원 입학 동기는 우리나라는 학력사회라는 구조 속에서 학력상승의 개인적 욕구에서 기인된 것으로, 스스로의 관심사, ‘배워서 남을 주자’는 이타적인 삶의 나눔의 동기들도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그들은 대학이라는 구체적인 장면에 진입하면서 학습 초기에는 익숙한 것으로부터의 탈피 곧 고등교육기관인 대학원이라는 구체적 장면에 진입하면서 다양한 학습장벽과 마주하게 된다. 이 때 성인학습자들은 일과 학업을 병행하거나 경제적 이유로 그들의 학습을 지속하는 데 저해하는 장애 요인이 나타나지만, 그들의 배움에 대한 의지로 이 요인들을 지혜롭게 탈피하였다. 학습 중기에는 자기주도 학습의 경험을 통해 배움에 대한 욕구와 학문의 즐거움을 알게 되었으며, 타자 관계 중심적 학습을 통해 학습을 촉진하게 되었다. 학습 후기에는 현상에 대한 비판적 관점의 변화로 이러한 전환적 학습의 경험들은 성인들의 삶과 상호 연관되어 개인에게 중요한 의미를 준 평생학습 체험임을 경험하게 되었다. 참여자들이 학위과정에서 다양한 학습경험들을 통해 배운다는 것은 학교, 직장, 가정이라는 삶의 각 영역 안에서 얻어지는 의미 만들기와 의미 나누기의 과정이었다. 평생학습의 의미는 다양한 학습경험들이 삶 속에서 의미화 될 때 삶의 현상 속에서 파악되는 경험의 질적 확대이다. 평생학습은 결코 외부 환경에서 주어지는 대로 인식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학습활동 속에서 이루어지는 경험들이 끊임없는 질문과 성찰을 통해 자신의 맥락 속에서 재해석 되면서 깨닫게 되는 일련의 과정이다. 성인들이 자발적으로 선택한 학위과정을 통해 성인들은 삶의 총체적 변화를 경험하였다. 평생교육에 대해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대학원생들의 입학 동기의 내용을 기존의 평생학습의 참여 동기와 더불어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평생학습에 대해 통합적 관점을 길러 준다. 초기 동기에 의해 시작된 학위 과정은 다양한 학습경험들이 삶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각자의 내면에서 의미화 되면서 평생교육의 본질적 측면으로 다가가게 된다.

      • 중등학교에서의 효과적인 지방사 교수-학습 방안 연구 : 교육대학원 학위논문 분석을 중심으로

        김양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79

        지방사 학습이란 학생 주변의 구체적인 ‘지방공동체의 역사’를 통해 직접적이고 실제적으로 역사의 과정을 경험하는 학습방법으로, ‘지방사를 통해 지방사를 한다’는 내용과 방법으로서의 의미를 모두 가지고 있다. 지방사 학습이 대두하게 된 배경은 역사학계에서 새로운 방법론으로서 ‘지방사 연구’의 등장과 지방자치제의 시행에 따른 지방자치단체와 지역 주민들의 ‘지방’에 대한 관심의 증가 등을 들 수 있다. 더불어 교육 현장에서도 교육과정의 지역화와 ‘학습자 중심의 학습’을 요구하는 교육적 분위기가 ‘지방사 학습’을 강조하고 있다. 지방사 학습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하면서 관련 학술지들을 통해 연구 성과가 발표되었고, 교육대학원에서는 학위논문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그리고 전국역사교사모임에서도 현장 교사들의 실천사례발표를 통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특히 지방사 학습 관련 교육대학원의 석사학위논문은 지방사 학습 연구의 한 축을 이룰 수 있을 만큼 양적으로 많은 연구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지방사 교수-학습 방안’에 관한 연구에 주로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이에 본고는 교육대학원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중등 지방사 교수-학습의 연구 현황과 그 경향을 살피고 궁극적으로 효과적인 중등 지방사 교수-학습 유형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첫째, 시대적 요구에 따라 강조되고 있는 지방사 학습의 의미와 필요성,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 둘째, 교육대학원의 석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중등 지방사 교수-학습 연구 현황과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셋째, 지방사의 특성을 반영한 지방사 교수-학습 유형을 제안해 보았다. 먼저 교육대학원 학위논문 중심의 중등 지방사 교수-학습 사례를 분석해 본 결과, 지역 ․ 지역사의 특성을 반영한 지방사 학습 내용 및 소재 개발과 주제 접근 방법을 활용한 지방사 교수-학습 단원 개발, 그리고 재량활동 ․ 특별활동을 통한 지방사 교수-학습 방안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지방사와 지방사 학습에 대한 기초 지식이나 인식이 부족한 가운데 지방사 교수-학습 자료와 구별되지 않는 지방사 자료 중심의 서술, 지방사 학습 내용의 선정 기준의 모호함, 그리고 선행연구의 틀을 그대로 답습하는 문제점들이 드러났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는 방안으로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지방사 교수-학습 유형들을 제안해 보았다. (1) 지방사 학습 단원 구성을 통한 지방사 학습, (2) 분산적 접근 중심의 지방사 학습, (3) 주제 접근 중심의 지방사 학습, (4)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현장학습 , (5) 통합 사회과를 활용한 지역 근현대사 학습, (6) 좁은 지역 범위의 지방사 학습, (7) 학습자 중심의 지방사 소집단협력학습 등이 그것이다.

      • 대학교양음악에 대한 대학생들의 의식구조 조사 연구 : 광주·전남지역의 4년제 대학생을 중심으로

        최소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79

        사람은 태아에서부터 생애를 마감할 때까지 교육을 필요로 한다. 어쩌면 우리의 삶이 교육을 필요로 하는 행위의 연속이며 교육은 그 자체로서 가치 있는 활동일 것이다. 그러므로 교육은 그 활동 자체가 목적이 되는 것이지 그 이 상의 다른 실제적 목적을 가지거나 결코 다른 무엇의 수단이 될 수는 없다. 그러므로 지혜롭고 건강하고 멋을 아는 참된 인간 양성을 대학교양교육의 본질이자 목표라고 하겠다. 대학의 교과과정 중에서 교양교육은 시대적 변천과 함께 교육의 방법들이나 효과 면에서도 변화를 거듭해 왔고 그와 더불어 교양교육의 필요성은 시간이 흐를수록 더욱 절실해짐을 알 수 있다. 특별히 사회진출을 앞둔 대학생들에게 있어서 창조적 지식과 함께 풍부한 교양과 바른 인간성은 그들이 갖추어야 할 중요한 덕목이며, 기본적인 인간형성의 기틀이다. 그러므로 교양과목에서 얻은 지식을 취미활동 내지는 여가선용으로 활용하는 능력과 사회인으로서의 면모를 갖춘 '교육받은 사람'을 육성하는 데 있어 교양음악 또한 중요한 과목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대학의 교양음악 교육과정은 교과목 개설취지와는 달리 학점 이수를 위한 과목으로 전락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대에 들어서면서 급성장한 경제와 문화수준의 향상으로 이전에는 누릴 수 없었던 음악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한 요즈음에 아동과 청소년에 대한 음악교육과 사회교육의 일환으로 행해지는 성인기의 음악교육에 대한 프로그램은 풍부하고 다양해졌지만, 학생들을 위한 음악교육은 너무도 미비하다. 그리하여 본 논문은 현재 광주·전남지역 소재 대학의 교양음악 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교양음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강의운영 및 교육내용, 교수여건의 크게 3 가지로 분류하여 제기하였다. 이에 대해 교양음악의 현황을 전국 대학 별로 조사하였고 교양음악에 대한 대학생들의 의식을 설문조사·분석하여 대안과 비전을 모색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제시한 대안점은 첫째, 교양교육은 학생들의 교양과목에 대한 경시현상을 깨뜨리고 효용적이고 적극적인 수업을 위해 개론수업에서 벗어나 다양한 수업 모델링을 제시하여 효용적 기능을 원하는 욕구를 만족시켜 주어야 할 것, 둘째, 강의운영 부분에 있어서는 교양과정을 관장하는 기구를 설립하여 다양한 과목의 증설과 전학년에 고루 분포하여 교양과목을 이수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그리하여 문화와 예술과목의 비중을 높여 국적있는 교육, 주체성 있는 고급인력을 육성하기에 역점을 두어야 할 것, 셋째, 교수여건의 문제점에 있어서는 교양교육의 중요성을 자각하고 교육의 질적 개선을 위한 교수들의 끊임없는 교수법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교양교육이 실생활에 활용되어 질 수 있도록 인도자 역할을 감당할 교수들의 교양음악 지도내용에 대한 재정립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대안을 제시하기까지는 설문지를 통해 습득한 학생들의 생각과 의견들이 많은 도움이 되었고 그래서 결론적으로 이 대안은 비단 본인의 생각만이 아니라 대다수의 학생들의 생각을 대변한다고 말하고 싶다. 본인이 이 논문을 준비하면서 더욱 실감하게 된 것은 여러 분야의 음악교육의 자료들이 풍부한데 비해 대학생은 사회로의 진출을 위한 준비단계로써 문화적, 전인적인 교양인으로서의 필요한 음악교육의 지침들이 너무 소홀하다는 것이다. 이처럼 교양교육 목표와 그 맥을 같이 하고 있는 음악교육은 교양음악으로서의 그 구실과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그 명맥만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오늘날 교양음악의 현실이라고 하겠다. We learn from the very date of birth-even before the birth-until death. Perhaps life is a series of activities that has to be learned and learning is in itself a valuable activity. Therefore education is not so much a means to any practical purpose as a purpose itself. The purpose of liberal art education is to help students attain wisdom and real joy of life with healthy mind and body. For college students, in particular, who are about to be thrown into the real world, knowledge, together with good humaneness and creativity, is an essential framework for decent beings. They can ideally be an intelligent person by taking music class as a liberal art subject, which will eventually serve as their hobby or entertainment. However, the reality is that liberal art in universities have lost its original meaning only to be regarded as a requirement for getting a degree. What university students are getting is nothing but poor music classes in terms of contents and system. This should be taken issue with given the fact that there are a variety of music education programs for adults in line with music education promotion for teens and children and that more and more people are getting interested in music education and studies are abundant on this subject, a trend caused by economic and cultural development of society. Musical activities in universities, if any, are being conducted in forms of groups (Dong-a-ri) or another forms of extra-curriculum activities. University authorities and educational circles alike failed to take prompt measure to solve this problem, just sitting on their hands and leaving it all to students and professors. It was surprising to realize through this research that the! guidelines on music education in university are by no means sufficient, let alone helping students to be humanly and culturally well-prepared for being a real member of society. Obviously music education as a liberal art is not fulfilling its intended function, barely managing to maintain its existence. Through this study, I have pointed out three problems of music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in Gwangju and South Jeonla area. They can be categorized as follow: - Students' awareness of music education as a liberal art subject, - Contents and operation of classes - Teaching conditions. In addition, I presented possible alternatives and solutions as follows; First, professors and students should think more highly of liberal arts and more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es. To that end it is necessary to forge various new models of a music class containing not only theories but practical skills as well. Second, an organization should be set up in charge of liberal art classes to diversify liberal art subjects and distribute them evenly through all the grades. Third, professors in their part should make continuous efforts to improve teaching quality. In conclusion, I would like to extend my sincere thanks to students and their frank opinions involved in this survey. It can be safely said that the problems and solutions proposed in this study are representation of most students' view.

      • 영양교사 1급 자격연수과정 프로그램 분석과 영양교사의 연수 요구도 조사

        김금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전국 시&#8228;도별로 실시되고 있는 영양교사 1급 자격연수과정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그 실태를 파악하고, 자격연수과정을 이수한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연수 만족도와 직무수행을 위한 연수 요구도를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향후 추진되는 영양교사 자격연수 프로그램 및 영양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직무연수 프로그램 편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서울과 경기, 충북, 광주, 전남 5개 지역의 영양교사 1급 자격연수 운영계획의 프로그램을 분석하였고, 연수 만족도와 연수 요구도는 2010년 12월 광주광역시교육청과 전라남도교육청 주관으로 실시된 영양교사 1급 자격연수과정을 이수한 영양교사 21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SPSS for Window(ver 18.0K)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와 χ2-test 등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교원 등의 연수에 관한 규정」에 비하여 영양교사 1급 자격연수과정의 연수기간, 영역별 시수 배정 비율은 대부분의 지역이 규정에 적합하게 편성하고 있었으나, 일부 지역의 경우 연수기간을 미달(1~5일)되게 운영하였고, 영역별 시수 배정 비율을 교직일반영역에서 초과(4.3%), 전문(전공)영역에서 미달(3.6%)되게 운영하였다. 기본소양영역, 교직일반영역 및 전문(전공)영역 프로그램 편성 시 강좌 수 및 이수시간 등은 지역별로 1.8~2.4배의 차이를 보였다. 영양교사 1급 자격연수과정의 기준이 되는 초등 1급 정교사 표준교육과정의 교과 등의 내용과 비교한 결과, 운영 교과, 과목, 시간 등이 지역별로 다르게 운영되었으며, 일부 교과가 반영되지 않았거나, 관련성이 약한 과목으로 편성되었다.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영양교사 평가요소에 대하여 영양교사 1급 자격연수과정의 전공영역 교과목을 분석한 결과, 영양교육 교과목 편성 비율(45.5~82.8%)이 가장 높았으며, 교과목과 시간 등은 지역별로 다르게 운영되었다. 영양교사 1급 자격연수과정의 전공영역 교과목을 교수&#8228;학습관련 교과로 분석한 결과, 전공영역의 총 시수에서 교과&#8228;학습관련 교과목이 차지하는 시간의 비율은 17.9~58.6%이었다. 분석 지역 모두 수업의 기술과 관련된 교과목 편성 비율(44.3~83.9%)이 높았으며, 학습자 이해 및 분석, 자료 제작 및 활용, 평가의 방법 및 활용 요소에 대한 교과목이 반영되지 않은 지역도 있었다. 둘째, 광주&#8228;전남지역 영양교사가 인식하는 영양교육 필요성은 거의 모두가 필요하다(99.5%)라고 하였으며, 영양교육 실시 현황은 광주지역은 35.3%(18명)이고, 전남지역은 17.3%(27명)로 광주지역의 실시율이 높았다(p<.01). 영양교육 실시를 위하여 필요한 연수에 대하여 광주지역 영양교사는 수업의 기술(32.0%), 수업의 계획과 설계(23.9%), 교수&#8228;학습 자료의 제작 및 활용(21.6%), 학습자의 분석 및 이해와 아동상담 기술(11.1%), 평가의 방법 및 활용(0.3%) 순으로, 전남지역 영양교사는 수업의 계획과 설계(33.0%), 수업의 기술(26.9%), 교수&#8228;학습 자료의 제작 및 활용(17.7%), 아동상담 기술(14.3%), 학습자의 분석 및 이해(7.4%), 평가의 방법 및 활용(0.6%) 순으로 지역 간에 차이가 있었다(p<.05). 셋째,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자격연수 표준교육과정 필요성(5점 Likert 척도)에 대하여 광주지역 영양교사는 4.14±.895, 전남지역 영양교사는 4.39±.884로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영양교사의 직무 중요도, 직무 난이도 및 연수 요구도를 조사한 결과, 직무 중요도의 경우 광주지역은 식단작성, 위생 및 안전관련 지도와 식재료 선정 및 검수, 영양교육 순으로 높았고, 전남지역은 영양교육, 식단작성, 위생 및 안전관련 지도, 식재료 선정 및 검수 순으로 높아 지역 간에 차이가 있었다. 직무 난이도의 경우 광주와 전남지역 모두 영양교육, 식단작성, 위생 및 안전관련 지도, 식재료 선정 및 검수 순으로 높았다. 연수 요구도의 경우 광주지역은 영양교육, 식단작성, 위생 및 안전관련 지도, 식재료 선정 및 검수 순으로 높았고, 전남지역은 영양교육, 위생 및 안전관련 지도, 식단작성, 식재료 선정 및 검수 순으로 높았다. 직무 중요도와 연수 요구도가 모두 높은 항목은 영양교육(전남)이고, 중요도와 연수 요구도가 모두 낮은 항목은 위생 및 안전관련 지도(광주, 전남), 식재료 선정 및 검수(광주, 전남)이었다. 직무 중요도에 비하여 연수 요구도가 낮은 항목은 식단작성(광주, 전남)이었다. 광주지역은 영양교육 항목에서 중요도에 비해 연수 요구도가 높았다. 직무 난이도와 연수 요구도 분석에서 광주&#8228;전남지역 모두 영양교육 항목에서 높은 난이도와 연수 요구도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동일한 자격을 부여하는 자격연수가 종사하는 직무의 동일성 또는 유사성에 바탕을 두고 전문성 신장을 위한 측면에서 시행된다는 점과 각 자격단계별로 그 연수의 내용이 상이해야 한다는 자격연수 표준교육과정 개발 배경을 고려할 때, 현재 전국 시&#8228;도별로 다르게 운영되고 있는 영양교사 1급 자격연수과정에 대한 세부적인 교과목, 세부 교과목별 이수시간 및 강의 운영방법 등을 규정하는 자격연수 표준교육과정 제정으로 자격연수의 질 표준화가 요구됨을 시사한다. 또한, 영양교사의 직무 중요도가 학교급식관리 영역에서 영양교육 영역으로 전환되어 가는 시점에서 연수 교육과정 제정&#8228;개발 시 높은 직무 난이도와 연수 요구도를 보이는 영양교육 영역에 대해 보다 비중있게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영양교사의 업무가 특정 한 분야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업무로 구성되어 있으며, 1급 자격연수과정이 다양한 분야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간이므로 영양교사 자격연수 표준교육과정은 좀 더 구체적인 영양교사의 직무 또는 요구 분석 등을 통하여 교과&#8228;과목&#8228;시수 등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이를 기반으로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한 자격 및 직무연수과정이 영양교사의 직무능력 신장과 전문성을 제고할 것이며, 더 나아가 학교 현장의 영양교육 활성화로 학생의 건강관리와 바른 식습관 형성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 光州.全南地域 近代 初等學校의 發達과 性格

        이영란 全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2 국내석사

        RANK : 249679

        이 연구는 韓國敎育史에 대한 올바른 認識이 현재의 교육구조를 이해하는 기본조건이 된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여, 현재와 같은 형태의 대중교육제도가 성립된 歷史的 過程을 地方敎育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光州·全南地域의 각 국민학교의 연혁지와 각종 통계 및 기관지 등을 통하여 近代學校의 성립과정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결과로 제시될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光州·全南地域에서 근대적인 형태의 초등교육이 시작된 것은 구한말에 설립된 小學校로부터 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제의 식민지 지배정책은 조선인의 열등감을 부추기고 효과적인 통치를 위한 방편으로 우리 민족의 의지로 설립하였던 官立小學校의 실체를 부정하는 등의 韓國敎育史를 왜곡하였고, 현재에도 왜곡된 교육의 發達史가 사실로 받아들여 지고있다. 둘째, 光州·全南地域의 최초의 근대적 형태의 사립학교는 친일사학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셋째, 光州·全南地域에서 民族私學의 발전은 1905년 乙巳條約을 전후로 구체화되기 시작했다. 넷째, 光州·全南地域의 민족사학의 발전은 1930년대를 전후해서 일제의 극심한 탄압을 받을 수 밖에 없었다. 그리하여 타지역 보다 더 높은 사학의 폐교 혹은 공립화가 진행되었다. 또한 선교를 목적으로 설립된 기독교계 사학은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으며, 특히 光州崇一 등 5개교는 1937년에 전국에서는 처음으로 폐교되는 비운을 맞기도 했다. 다섯째, 이처럼 구한말의 소학교→일제통치하의 보통학교→해방이후의 국민학교로 이어지는 근대학교의 발달과정에 대한 분석이 사실과 다르게 왜곡되어 제시되고 있는 한가지의 이유로서 우리는 韓國敎育史 硏究에 있어서 방법론적 한계와 열의의 부족을 지적할 수 있다. 요컨대, 光州·全南地域의 근대학교의 성립은 개화사상에서 출발하였으나, 이러한 근본의도가 일제의 식민통치에 의해서 왜곡되면서 근대학교가 발달되어왔다고 볼 수 있다. 일제의 식민지 교육정책은 적절히 통제할 수 있는 최저수준의 하급교육과 지배국의 문화에 동화시키기 위한 일본식의 교육을 골격으로 하여 이루어져왔다. 光州·全南地域의 교육도 이러한 원칙에서 예외일 수는 없었다. 光州·全南地域의 敎育史가 이러한 식민지적 유산을 올바로 해석하여 정리하지 못한채 그들의 왜곡된 역사기술을 韓國敎育發達史에서 사실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은 문제인 것이다. 따라서 후속연구를 통해서 실증적인 자료와 고증을 거쳐 지방교육사를 올바르게 정리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the character of modern elementary school in Kwangju and Chonnam. History of Korean education has been studied in disregard of the history of local education. Owing to non-scientific research methodology and researcher's indifference toward local education. the study of educational history in Korea has been delayed. On the basis of these perceptions. this thesis analyzed socio-cultural conditions of education in terms of Japanese colonial educational policy, and then examined the history of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s in Kwangju Chonnam area. Results derived from related data, documents, literatures can be summarized as fol lows; First, Public Kwangju Sohakgyo at 1895 was the first modern elementary school in Kwangju and Chonnam area. Second, the first private school in Kwangiu and Chomam area had pro-Japanese characteristics. Third, the nationalist private schools in Kwangju and Chonnam area were established immediately after the protectorate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concluded in 1905. Fourth, private schools in Kwangju and Chonnam area were oppressed more strongly than those in other areas. Fifth, the historical facts of Korean education were partly distorted by Japanese imperialism. In conclusion, it can be suggested that historical facts of Korean education need to be reexamined on the basis of unproved method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