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교직과정이 설치된 미용관련 대학교 교육과정 비교·분석 : 교사의 자질 관점으로
본 연구는 미용관련고등학교의 현황과 교원확보율을 조사하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보고서의 기준에 따라 교사의 자질을 인격적인 교사, 전문적인 교사, 선도적인 교사로 분류하고. 교직과정이 설치되어 있는 미용관련대학교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교사가 가져야 하는 자질을 양성하는데 적합한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는지 비교 ·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를 도출하였다. 첫째, 미용과목 교사상 중 인격적인 교사 양성 교과목이 내용에 맞게 개설되어 있는 학과는 24개학교 26개학과 중 5개 학과(19.23%)로 나타났으며, 가장 많은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는 학과는 건양대학교 의료뷰티학과로 나타났다. 직업윤리 영역관련교과목은 총 4개 학과(15.4%)에서 개설되어 있지 않았으며, 학생이해 영역관련교과목은 총 11개 학과(42.3%)가 개설되어 있지 않았다. 그리고, 공동체 협력 영역관련교과목은 총 18개 학과(69.2%)에서 개설되어 있지 않았다. 인격적인 교사 양성 교과목의 평균 개설수는 4과목으로 평균 이상의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는 학교는 총 13(50%)개 학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가적인 교사 양성 교과목은 피부교과목이 25.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헤어교과목이 24%, 화장품과 메이크업 교과목이 22.7%, 교과교육론 교과목이 9.5%, 네일미용 교과목이 5.8%, 미용학개론 교과목이 4.9%, 공중보건학 교과목이 4.3%, 해부학 교과목이 3.2%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구한의대학교 화장품약리학과, 중부대학교 화장품과학과, 청운대학교 화장품과학과는 기본이수과목 중 일부 교과목만 개설되어 있었고, 중등임용시험에 필요한 과목임에도 불구하고 개설되어 있지 않았다. 셋째, 선도적인 교사 양성 교과목을 비교 · 분석한 결과 국제화 영역에서는 호원대학교 뷰티미용학과를 제외한 25개(96.2%) 학과에서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었으며, 정보화 영역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지 않은 학과는 총 13개(50%) 학과로 나타났다. 산학연계 영역에서는 12개(46.2%)학과에서 개설되어 있지 않았다. 교직이수가 설치된 4년제 미용관련대학교의 교육과정들은 대체로 미용교사상에 맞게 잘 편성되어 있으나 특정 대학교에서는 임용시험에 대비한 몇몇 교과목만 개설되어 있어 미용교사의 자질을 함양하는데 부족한 교과과정을 운영하고 있어 개선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교과목 편제표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교육내용의 실제 분석을 병행하지 못했으며 앞으로는 학교별 교과목들의 구체적 내용에 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ducation curriculum at 4-year beauty schools with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o find if it is properly operated to train qualified teachers. This is done through researching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securing percentage of teachers at beauty related high schools, and also categorizing the teachers’ qualifications into three of respectful, professional, and initiative according to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e following is the results. First, Univercity opened properly for the whole personal teachers training are 5 out of 24(26 Department). Department of Medical Beauty at Konyang University has the most related. Vocational ethics class are not established in 4 departments (15.4%) and Student understanding class are not established in 11 departments (42.3%). Also, Collaborative learning courses are not set in 18 departments (69.2%). The number of Departments majors for the respectful teachers training course are average 4 courses, and about 13 departments (50%) have the courses more than average. Second, major course for the professional teachers training has the most skin courses of 25.6%, and also 22.7% of cosmetic and makeup courses, 9.5% of education courses, 5.8% of nail beauty courses, 4.9% of Introduction to Cosmetology courses, 4.3% of Public Health courses, and 3.2% of anatomy courses. Especially, department of cosmetics pharmacology at Daegu Hanui University, department of cosmetic science at Jungbu Univeristy and at Chungun University had only few of required courses and did not have others despite the necessity of the courses to pass the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for middle school beauty teachers. Third, subject matters for the pacessetting teachers training, 25 departments (96.2%) except the department of Beauty at Howon Univeristy have internationalization courses, and 13 departments (50%) did not have informatization courses. For school-work links courses, 12 departments (46.2%) did not have. Most of univercity with the teaching profession are forming proper class for the beauty teachers qualification, but some specific universities has only few class for the teacher certificate examination. They need to improve this by opening more required class. Also, this study mainly focused on analyzing the subject table of organization so that could not cover the analysis of actual education class or contents. Hopefully, further study on the more details of the class and contents of each school should be composed in the future.
시청각자료를 이용한 정보제공이 백내장 수술환자의 주관적 불안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시청각 자료를 이용한 정보제공이 백내장 수술 환자의 주관적 불안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주관적 불안과 통증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 및 방법: 백내장 수술 환자의 불안과 통증을 줄이기 위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건양대학교병원 안과 간호사로 근무하고 있는 연구자가 정보제공 영상을 제작하였다. 연구자는 건양대학교 병원 안과 백내장 수술에 대한 관련 선행 연구, 문헌 검토 및 표준 지침을 기반으로 비디오를 만들었다. 건양대학교병원 안과 외래에 내원하여 국소마취하에 백내장 수술을 받을 예정인 40세 이상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피험자는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하고 동의서에 서명하고 설문지에 응답했다. 실험군은 시청각 자료를 제공받았고 대조군은 제공하지 않았다. 실험군에게는 스마트폰으로 시청각 자료를 제공하여 백내장 수술에 관해 친숙하게 하였다. 결과: 수술 중 상태불안 수준은 실험군이 평균 1.63±1.30점, 대조군이 4.10±2.25점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통증 정도의 차이는 2.75±2.06점이었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평균 3.83±2.40점 낮았다(p<0.05). 실험군(Pearson correlation=0.452, p=0.014)은 불안과 통증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실험군 =0.205, 설명력 20.5%, β=0.452(p<0.05)로 수술 중 불안이 나타나 수술 중 통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수술 후 통증의 정도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시청각 정보를 받은 실험군은 그렇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수술 중 상태 불안과 통증 수준이 낮았다. 또한 실험군의 수술전 불안이 수술 중 통증과 상관관계가 있고 영향을 미치는 통계적 값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개발한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정보 제공은 백내장 수술 중 상태 불안과 통증을 줄이는 효과적인 중재라고 할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formation provision using audiovisual data on subjective anxiety and pain an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anxiety and pain in cataract surgery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reduce anxiety and pain in cataract surgery patients, he investigator working as a nurse in Ophthalmology Departmentat Konyang University Hospital produced a video of information provision. The researcher made the video based on related prior research, literature review, and standard guidelines for cataract surgery in Ophthalmology Department at Konyang University Hospital. composed. For subjects over 40 years of age who visited the ophthalmology outpatient department of Konyang University Hospital and were expected to undergo cataract surgery under local anesthesia. All subjects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 signed the consent form and answered the questionnaires. The subjects in experimental group were provided audiovisual material, and those in control group were not. To thos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audiovisual material was provided by their smartphone so that they could be familiar with it Results: The level of state anxiety during surgery was significantly lower with an average of 1.63±1.30 poi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4.10±2.25 points in the control group (p<0.05).The difference in pain level was 2.75±2.06 poi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lower than the average 3.83±2.40 points in the control group(p<0.05). The experimental group (Pearson correlation=0.452, p=0.014) showe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anxiety and pain(p<0.05). In the experimental group =0.205, 20.5% explanatory power, β=0.452(p<0.05), indicating anxiety during surgery, whic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ain during surgery. It was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pain increased after surgery.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audiovisual information had lower levels of state anxiety and pain during surgery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receive audiovisual information.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statistical value that the preoperative anxie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rrelated with and had an effect on the pain during surgery. Based on these results, it could be said that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using an audiovisual material developed by the researcher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reduce state anxiety and pain during cataract surgery.
대학의 취업지원 프로그램 내실화 방안에 관한 연구 :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조유호 건양대학교 경영사회복지대학원 2014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the better employment support programs by analyzing employment support programs of korean and foreign universities and the features of each program. Each university has committed employment support program to improve the employment rate. Universities changed and departmentalized form of programs to adapt hiring method that companies required. Thus, I look around the issues of employment support programs that K University implemented to keep pace with these changes and propose improvements. Recently youth unemployment is not readily be recovered after financial crisis and the severe cold wave of employment. Government,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ry to solve through employment policies and a variety of business and universities charged and operated the government’s employment- related business, or tried to struggle for student’s career and job searching activities by preparing own fund. But comparing with majors of university, university’s employment support program do not operate systematically and show inefficient operating modes by short term operation of the program. Awaring of these issue, this study aim to set up improvement plan by looking at employment support programs of local and foreign universities. To achieve this goal, research issue was set as follows. First, How do university students for employment support programs recognize? Second, How do university students for the operating status of program and problem recognize? Finally, What is the improvement that university student’s are aware of the support program for employmen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questionnaire complete by reference to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his study and were questionnaire after the pilot test was performed.
사이버대학교 졸업생의 학습만족도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K 사이버대학 뷰티학과를 중심으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learning satisfaction of cyber university's beauty major graduates on job performance, and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hat mediate this, to improve job competency through learning satisfaction of beauty majors and work accordingly. It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activation of performance. To conduct the research, a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b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A total of 137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by selecting a beauty major graduate of K Cyber University located in Daejeon and Chungcheong area and conduct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and the Crombach a coefficient was checked to verify the internal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question, and the basis for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mean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and the level of major variables, Statistics were conducted, and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post-test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the respondents'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job performance, a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in learning satisfaction,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mong the graduates of the Department of Beauty at K Cyber Universit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mediating effect not only in self-efficacy, but also in performance achievement and personal factors, which are sub-variables of self-efficacy. Students with high self-efficacy are expected to actively act to achieve their goals, make more effort than those with low self-efficacy, and continue to work even if they have difficulties. Third,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not only job satisfaction but also job characteristics, a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ha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had a parallel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among all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K Cyber University's beauty department graduates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job performance, and variables such as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ct as important parameters. It is suggested that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beauty majoring graduates improves job performance, and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ct as an important facilitating factor in enhancing job performance in the field. Therefore, it is not only necessary to improve job satisfaction by continuously providing training courses based on practical competency to target subjects, but also to develop and operate various programs that can maximize job-related self-efficacy tailored to adult learners as well as technology-oriented education. Through measures to increase students' learning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lthough it was intended to help the cyber university’s graduates in hair and beauty industry find positive ways for their job performance, there was a limit to generalizing the research results to the results of beauty-related graduates of all cyber universities in Korea. In future research, the need for continuous and long-term empirical analysis and in-depth research is required for cyber university graduates to improve their job performance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of experts with various cyber universities as research subjects.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교의 뷰티 전공 졸업생들의 학습만족도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이를 매개하는 자기효능감, 직무만족도의 효과를 검증하여 뷰티 전공 졸업생들의 학습만족을 통한 직무능력 향상과 이에 따른 직무성과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구모형을 개발하였다. 대전․충청권에 위치하고 있는 K 사이버대학교의 뷰티 전공 졸업생을 선정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여 총 137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측정문항의 내적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Crombach a 계수를 확인하였으며, 응답자특성과 주요 변인들의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 평균에 대한 기초 통계를 실시하였으며, 응답자의 특성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정과 분산분석 및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학습 만족도, 자기효능감, 직무성과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계수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고 학습 만족도와 직무성과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 사이버대학교 뷰티 전공 졸업생들의 학습만족도,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직무성과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학습만족도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 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인 수행성취와 개인적 요인에서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은 목표성취를 위해 적극적으로 행동하며 자기효능감이 낮은 사람에 비해 더 많은 노력을 하고, 어려움이 있더라도 과업을 지속적으로 할 것으로 예측된다. 셋째, 학습만족도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직무만족 뿐만 아니라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인 직무특성도 매개 효과가 있었다. 넷째, 학습만족도와 직무성과와의 관계는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의 병렬 매개 효과가 있었고 모든 변인들 간 유의미한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K 사이버대학교 뷰티 전공 졸업생들의 학습만족도는 직무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등의 변인들이 중요한 매개 변수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뷰티 전공 졸업생들의 학습만족도가 직무성과를 높이고, 자기효능감이나 직무만족이 현장에서의 직무성과를 높이는데 중요한 촉진 요인으로 작용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따라서 대상자들에게 실무역량 기반의 교육과정을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직무 만족을 향상 시킬 뿐만 아니라, 성인학습자 맞춤형으로 직무관련 자기효능감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및 운영이 요구된다. 또한 학생들의 학습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통하여 직무만족과 직무성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함께 모색해야만 한다. 본 연구는 뷰티 전공 졸업생들의 직무성과를 위한 긍정적인 방안 모색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으나 연구 결과 모든 사이버대학의 뷰티 관련 졸업생의 결과로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을 지역별, 학교별, 전공별로 다양하게 접근하며, 전문가의 심층 인터뷰 및 관찰 등의 다양한 조사 방법을 병행하는 장기적이고 실증적인 심화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단일공 복강경 담낭절제술은 빠르게 발전하는 외과적 술기중에 하나로 전세계적으로 이용되는 최소 침습적인 수술이다. 그러나 단일공 복강경 담낭절제술에 대한 표준방법이 아직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양 표준 술식을 이용한 단일공 복강경 담낭절제술의 타당성과 실행가능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방법 : 2010년 4월부터 2012년 8월까지 건양대학교 병원 외과에서 단일공 복강경 담낭절제술을 시행받은 30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후향적 자료 분석을 통하여 행해졌다. 초기에 70세 이상의 고령, 심장 또는 폐질환을 가진 경우, 급성 담낭염의 합병증을 가진 환자는 수술 적응증에서 제외하였으나, 50예를 시행한 후에는 수술 제외기준을 적용시키지 않았다. 건양 표준 술식을 이용해 단일공 복강경 담낭절제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 연구기간동안 307명의 환자가 단일공 복강경 담낭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전체 남녀의 성비는 남자 131명, 여자 176명으로 남녀비는 1:1.34이었다. 평균나이는 51.6±13.7세이었으며 평균 체질량지수는 24.8±3.6이었다. 복부수술의 기왕력이 있는 경우는 93예이었으며, 환자의 원인질환은 만성담낭염 247예, 급성담낭염 30예, 담낭용종 24예, 담낭농양 6예로 만성담낭염이 가장 많이 차지하였다. 평균 수술 시간은 53.1±25.4분이며 평균입원기간은 2.9±3.4일이었다. 담낭동맥 출혈로 인해 전통적 복강경 담낭절제술로 4차례 전환되었으나 개복수술 전환은 없었다. 합병증 발생은 총 5예로 창상감염 2예, 담관손상 1예, 십이지장 천공 1예, 제대탈장 1예로 나타났다. 결론 : 건양 표준 술식을 이용한 단일공 복강경 담낭절제술은 안전하고 유용하다. 그러므로 거의 모든 양성담낭질환에서 적용시킬수 있다고 생각된다. 중심단어 : 단일공 복강경 담낭절제술, 건양표준술식
한 대학병원에 입원한 저나트륨혈증 환자의 원인별 빈도와 원인 질환 및 교정 수액에 따른 혈중 나트륨 농도의 변화
배경 및 목적 : 저나트륨혈증은 흔한 전해질 장애로 치료 중 급속한 혈중 나트륨 농도 상승은 신경학적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Adrogue-Madias 공식은 저나트륨혈증 치료에 교정 수액 투여 시 혈중 나트륨 농도를 예측할 수 있어 임상에서 흔히 이용되고 있다. 저자들은 원인 질환과 교정 수액의 종류 별로 공식에 의해 유도된 예측한 혈중 나트륨 농도가 실제 측정한 혈중 나트륨 농도와 일치하는 지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4년 8월부터 2007년 8월까지 건양대학교 병원에 저나트륨혈증으로 원인 별 분류가 가능한 환자 9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차성 나트륨 손실 군 (A)과 일차성 수분 획득 군 (B)으로 분류하였고 또한 교정 수액으로는 3% 이상 혹은 3% 미만의 식염수를 사용한 군을 추가 분류하였다. 원인 질환과 교정 수액에 따라 Androgue-Maidas 공식을 이용하여 첫 6시간 후 예측값과 실측값을 비교하였다. 결과 : 환자의 평균 연령은 69.7세이고 남녀비는 1:2.2이며 입원 시 평균 혈중 나트륨 농도는 116.7 mEq/L 였다. A군은 42명 (43%), B군은 55명 (57%)이었으며 각 군에서 3% 이상 혹은 3% 미만의 식염수를 사용한 군은 A군에서 4명, 38명이었으며 B군에서 9명, 46명이었다. A, B각 군에서 3% 이상의 식염수로 치료한 경우, 실측치와 예측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 (A군 p=0.720, B군 p=427), 3% 미만의 식염수로 치료한 군에서는 예측치가 실측치보다 낮았다 (A군 p=0.007, B군 p=0.001). 결론 : 저나트륨혈증 교정 시 Adrogue-Madias 공식을 사용할 경우, 3% 미만의 식염수 투여할 때 예상보다 조기에 혈중 나트륨 농도가 상승될 수 있으므로 과교정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대학생의 원가족 심리적 특성과 성별이 결혼태도 및 자녀태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부, 모와의 애착관계가 개인이 가진 미래의 결혼태도와 자녀태도에 대해 비교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중부권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295부를 분석하였다. 결혼태도와 자녀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윤미라(2006)가 보완한 결혼관과 자녀관을 사용하였다.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의 척도는 Grych와 그의 동료들(1992)이 개발한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 척도(CPIC: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 Grych et al., 1992)를 손혜미(2007)가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부, 모와의 애착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척도는 대학생의 부/모에 대한 애착을 측정하기 위해 옥정(1998)이 번안하여 수정 및 보안한 Armsden과 Greenberg(1987)의 부모 및 또래 애착척도 개정본(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Revised : IPPA-R)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1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 분석의 목적에 따라 T-test, 상관관계 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 여 대학생에 따라 결혼필요성, 자녀필요성에 대한 차이를 살펴본 결과 남, 여에 따라 결혼필요성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녀필요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이 나타났다. 둘째, 남학생의 결혼태도에 부와의 애착관계, 모와의 애착관계가 정적 상관을 보였고,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은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자녀태도에는 부와의 애착관계가 정적인 상관을 보였고,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모와의 애착관계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혼태도와 자녀태도, 원가족 심리적 특성에 대한 중다회귀분석을 한 결과 부와의 애착관계가 결혼태도를,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이 자녀태도를 설명한다. 셋째, 여학생의 결혼태도에 부와의 애착관계가 정적인 상관,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은 부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모와의 애착관계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자녀태도에는 부와의 애착관계와 모와의 애착관계가 정적인 상관을 보였고,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은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결혼태도와 자녀태도, 원가족 심리적 특성에 대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 한 결과 결혼태도와 자녀태도 모두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이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와 추후 연구에 대한 제안점 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s and attachment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with the children's attitude toward marriage and child-rearing in the future, then find the influencial variables. The survery was carried out over university in the mid-north district of Korea. 295 subjects were chosen as the final data in this study. 윤미라(2006)'s supplementary edition was used to test the attitude of marriage and child-rearing. The scale of CPIC(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 Grych et al., 1992) IPPA-R(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Revised, Armsden and Greenberg, 1987) were also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necessity of marriage and no meaningful difference with the necessity of child-rearing. Second, male students' attitude of marriag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father and mother's attachment relationship. Child-rearing attitud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father's attachment relationship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rparental conflicts. The multiple stepwise analysis results of attitude of marriage and child-reari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amily-of-origin showed that the attachment relationship with father influence the marriage attitude and the perceptional interparental conflicts affect the children. Third, female students' attitude of marriag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ttachment relationship of father, and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perceptional interparental conflicts. The child-rearing attitud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attachment relationship with father and also with mother. the multiple-stepwis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ttitude of marriage and child-rearing affect the perceptional interparental conflicts. In the end, this study showed the suggestion and discussion with the afterward research.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내면화된 수치심과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대전과 충남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하여 총 464부가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Cook(1987)이 개발하고 이인숙, 최해림(2005)이 번안, 타당화한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 Aitken(1982)이 개발하고 박재우(1998)가 번안한 학업지연행동 척도(API), Garnefski(2001)가 개발하고 김소희(2004)가 번안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척도(CERQ)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ver. 24)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과 학업지연행동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내면화된 수치심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내면화된 수치심과 부적응적 전략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학업지연행동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과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하위변인별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긍정적 재평가, 계획 다시 생각하기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자기비난, 타인비난, 파국화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본 연구에 대한 제언과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thesis examined the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from college student's on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This study used 464 questionnaires in total for the final analysis, targeting college student’s in Daejeon·Chungnam. The study used the Internalized Shame Scale(ISS) developed by Cook(1987) adopted and validation by Choi Hae-Rim and Lee In-Sook(2005), Aitken Procrastination Inventory(API) developed by Aitken(1982) and adopted by Park Jae-Woo(1998),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Questionnaire(CERQ) developed by Garnefski(2001) and adopted by Kim So-hee(2004).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ver. 24).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there was fou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Internalized shame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manifest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On the other hand, internalized shame and non-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manifest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ly, as a result of examining a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non-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was found to be a partial medium on the relation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Third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on effect of each of the lower factor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there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um for positive refocusing and refocus on planning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elf blame, blaming others and catasrophizing of non-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proved a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Lastly, the study outlines a proposition about significance, limitation and follow-up study.
의과대학생의 공감, 번아웃과 우울 및 자살생각과의 관계
이 연구는 우리나라 일개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공감능력과 번아웃 등의 수준을 파악하여, 공감능력과 번아웃이 우울 및 자살생각 등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일개 의과대학 재학생 29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 총 58문항을 자기기입식, 무기명으로 작성 제출받았으며, 조사 설문지는 일반적 특성 5문항, 감정이입 28문항, 번아웃 도구 22문항,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생각 등 3문항 등으로 구성 설문조사를 실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분석결과, 공감능력 및 번아웃 그리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즉, 학년, 연령군, 가계수입, 출신지역 등은 우울 및 자살생각 등의 유의한 관련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감능력의 하부개념인 인지척도, 환상척도 및 감정이입 척도에서 학년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번아웃의 하위개념인 감성적 소진척도, 비인격화 척도, 개인적 성취척도 등이 학년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변량분석으로 우울과 자살시도에 대한 번아웃 및 감정이입 하부개념, 일반적 특성변수 등을 함께 투입한 로지스틱회귀분석에서 변수간의 관계만 확인하였으며, 유의한 요인으로는 스트레스만이 도출되었다. 이 연구 결과 일개 의과대학생에서의 공감능력과 번아웃은 학년이 증가됨에 따라 증가하며, 그 수준 또한 심각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empathy, burnout, stress,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in medical college students. Also,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each other variables and related factors were examined. Two hundred ninety six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mpleting questionnair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Maslach Burnout Inventory,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Burnout is highly prevalent among medical college students. In univariate analysis, there w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ree subdomain of empathy(p<0.05) and burnout(p<0.01) according to grade of medical college. High risk group of emotional exhaustion were more prevalent in male students(p<0.05). Prevalence of high risk group of emotional exhaustion and personal accomplishment increased by the grade(p<0.01) significantly. Prevalence of stressed students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with the grade of medical college(p<0.01). In multivariate logistic analysis, only a stress was significant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the subdomain of empathy and burnout were not related with a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empathy and burnout were not related with a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medical college students. However, further more bigger survey should be replicated to understand medical students, especially to identify the interrelationship with empathy and burnout additionally.
자기표현과 자기통제력이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표현과 자기통제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진로 및 인생의 전반적인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생활에 있어 대학생들이 좀 더 적응적으로 이 시기를 마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중부권에 소재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분석대상은 남학생 151명, 여학생 300명으로 총 451명이었다.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대학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대학생의 자기표현을 측정하기 위해서 자기표현척도를 사용하였고, 자기통제력을 측정하기 위해 자기통제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1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분석의 목적에 따라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표현은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권리, 욕구, 의견, 느낌 등을 자신이 나타내고자 하는 바를 솔직하게 나타내는 자기표현 능력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자기표현이 높을수록 대인관계나 과외활동과 같은 사회적 적응이 높은 것을 확인했다. 둘째, 자기통제력은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크고 장기적인 목표달성을 위해 순간의 충동적인 욕구나 행동을 자제하며 즐거움과 만족을 지연시키는 능력인 자기통제력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대학생들이 일반적으로 겪는 심리적 스트레스 및 신체화 장애 정도와 관련된 개인-정서적 적응과 대학 내에서 학업과 관련된 학업적 적응이 높은 것을 확인했다. 이는 자기표현과 자기통제력이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대학생의 자기표현과 자기통제력의 성장을 통해 대학생활적응에 도움을 주는 데 있어 함의를 제시하였고, 추후 밝혀야 할 내용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self-expression and self-control on adaptation to the campus lives and also to afford university students with the help to end their university life adaptively, the period that deeply influenced the pre-part of career and life. The general subjects of this survey were the university students in central part region of Korea, and the terminal tested subjects were 451 individuals composed of 151 boys and 300 girls. The scale of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SACQ), which was made by Bake and Siryk in 1984 and was translated by Jin-Won Hyun in 1992, was used to measure the scale of college students' adaptation of college life; the Rathus Assertive Scale(RAS), which was made by Rathus in 1973 and was reconstructed in Korea by Suk-Gyun Jin in 1994, was used to measure the subjects' self-assertiveness; and the scale of the survey for self-control, which was made by Grasmick, Tittle, Bursik and Arnerklev in 1993 according to the basic theory of Gottfredson and Hirschi in 1990 and was validly used for the research by Chang-Soon Ha in 2004, was used for the survey of self-control. The data were analysed by frequency analysis, Cronbach α calculati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regressions by use of SPSS 15.0 according with the aim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self-assertiveness showed the effect on the college students' adaption of college life. It is equal to say that when self-assertiveness like ability of frankly self-expression of power, requirement, opinion, feeling etc. was higher the personal social adaptation like personal relationship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was higher. Second, self-control showed the effect on the college students' adaptation of college life. It means that when the control of the impulsive requirement or behavior for the long-term needs for satisfaction and happiness is higher the adaptation of the college life is higher expecially on the personal emotion adaption of commonly psychological stress and body disorder and the study adaptation of study life at school. This study showed the factors of the effects on the college students' adaptation of their college life and the discussion in the followed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