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주얼리 매장의 VMD구성요소가 브랜드태도 형성과정에 미치는 영향

        나혜진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논문개요 VMD는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브랜드태도에도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오늘날은 기술발전에 따라 상품 간의 기술적 차이가 축소되어 차별화가 힘들어지고 상품의 수명주기 또한 짧아져 브랜드 이미지 구축을 위한 VMD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그러나 VMD는 그 역할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인 연구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연구에서는 주얼리 매장에서 VMD에 노출된 소비자가 브랜드태도를 형성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기존의 태도형성에 관한 이론 중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위계적 브랜드태도 형성 모형을 바탕으로 소비자가 주얼리 매장에서 VMD에 노출되어 태도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설정하여 개념적 모형을 도출하였다. 특히 인과관계 모형에서 VMD태도의 브랜드태도에의 직접적 영향과 브랜드인지를 매개로 한 브랜드태도에의 간접적 영향을 확인하고 사전지식 수준에 따른 상대적 영향력을 고찰해 보았다. 수집된 설문지분석을 위해 SPSS 17.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VMD인지는 VMD태도에, VMD태도는 브랜드인지의 매개를 통하여 브랜드태도에, 브랜드태도는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에서 브랜드인지는 감성인지와 이성인지로 구분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VMD태도는 브랜드인지의 이성인지를 매개로 하여 브랜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사전지식 수준의 조절변수에 대한 실제적 증거의 결과로서 높은 사전지식을 가진 그룹은 브랜드인지의 감성인지에서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브랜드인지의 이성인지에서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 사이에 차이를 갖지 않았고 사전지식 수준이 낮은 그룹은 브랜드인지의 이성인지에서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브랜드인지의 감성인지에서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보다 높게 나타남으로서 사전지식 수준의 조절 역할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주얼리 매장에서 VMD가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화하여 마케터 또는 비주얼 머천다이저에게 더 많은 고객을 효율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어떤 차원의 VMD구성요소를 더 많이 배분하여야 하는지, 사전지식 수준에 따라 소비자집단을 세분화하여 어떤 구매촉진전략을 집중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한국어 조사(助詞) 오류분석에 기반한 교수 방안 연구

        나혜진 군산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perceptions, uses, and error patterns of postpositions in Korean among Korean learners at the intermediate level, examin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education, and devise a teaching plan for postpositions to reduce their errors. In Korean, postpositions are part of the essential grammar elements, being used even in simple and short sentences. They are taught and learned starting in the elementary level(Level 1) of Korean study. Korean learners, however, have a difficult time using postpositions and record a high error rate of them, which was demonstrated in the present study. There are a couple of causes behind them: first, postpositions of Korean themselves are difficult. They have various and special meanings in addition to grammatical functions. Since their usage environments are similar, it is challenging to distinguish and use accurately the functions and meanings of each postposition; Secondly, the Korean curriculum offers no further education about the postpositions covered at the elementary level and remains at the level of adding new postpositions, which raises a need for effective and repetitive postposition education. The investigator analyzed compositions by 22 Korean learners at Levels 2, 3 or 4 at the international exchange center of a university, examined the frequency and patterns of using and making a error with ‘이/가’, ‘을/를’, ‘은/는’, ‘에’, and ‘에서’ and categorized them into ‘substitution’, ‘omission’ and ‘addition’ for analysi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which were confirmed to be homogeneous based on the t-test results. While the experiment group received postposition education in a morpheme-centric teaching method, the control group did postposition education in a common method. After education, the investigator analyzed the total number of phrases, frequency of postpositions, and error rates of each postposition in their compositions for comparison purposes. The findings show that both the groups had educational effects in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 the grammaticality test and that of errors in compositions. The experiment group made a little bit better improvement, but the chang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is, however, noteworthy that the experiment group increased in the number of phrases used in compositions after education. After getting some understanding and confidence with regard to the use of postpositions through education, they seem to develop desire for writing and write a composition of many phrases.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changes to the number of phrases used by the experiment group(the experiment group: an increase from 824 to 1,176; the control group: a decrease from 779 to 686). When there is repetitive and cyclical education and learning for postpositions, they can ensure their accuracy and appropriateness and be connected to communication abilities. 본 연구는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한국어 조사(助詞)에 대한 인식과 사용 그리고 오류의 양상을 분석하여 연구 대상을 실험그룹과 통제그룹으로 구분하여 교육 전·후의 차이를 알아보고 오류 발생을 줄이기 위한 조사(助詞) 교수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 조사(助詞)는 간단하고 짧은 문장에도 사용되는 필수적인 문법 요소로 한국어 학습 초급(1급)부터 교수·학습하는 항목이다. 그러나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한국어 학습자들은 한국어 학습 기간 또는 한국어 능력 급수와 상관없이 조사(助詞)의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높은 오류를 보이고 있다. 이는 본 연구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원인을 살펴보면 첫째로 한국어 조사(助詞) 자체의 어려움을 들 수 있다. 한국어 조사(助詞)는 문법적 기능과 함께 다양하고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사용 환경이 비슷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이 각 조사(助詞)의 기능과 의미를 정확히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어렵다. 둘째로 한국어 교육과정과 관련이 있는데, 초급에 제시된 조사에 대해 더 이상의 교육이 없이 새로운 조사를 추가하는 데 그치고 있다는 것이다. 효과적이고 반복적인 조사(助詞) 교육이 필요한 이유이다. 유창성에 중점을 둔 의사소통 중심의 교육은 학습자가 조사(助詞)를 사용하지 않거나 오류를 범해도 이에 대한 묵인과 허용으로 화석화에 이르게 한다. 이는 한국어 조사(助詞)를 사용해야 하는 표현 영역에서 오류 현상으로 나타나고 한국어 학습을 지체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화석화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문법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이유이다. 연구는 대학교 국제 교류원에서 학습하고 있는 2급, 3급 4급의 한국어 학습자 22명의 작문을 분석해서 ‘이/가’, ‘을/를’, ‘은/는’, ‘에’, ‘에서’의 사용과 오류의 빈도 양상을 살펴보고 ‘대치’, ‘누락’, ‘첨가’로 분류하여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험그룹과 통제그룹으로 나눈 후, 실험그룹을 대상으로 형태 초점 교수법을 활용한 조사(助詞)교육을 실시하고 통제그룹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조사(助詞)교육을 실시한 후 작문에 사용된 총 어절 수와 조사(助詞)의 사용빈도, 조사(助詞)별 오류율을 분석하여 교육 전·후를 비교하여 교육의 효과를 검증한다. 두 그룹의 조사(助詞)에 대한 인식 수준의 동질성은 t검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문법성 테스트의 정답률과 작문의 오류율에서 실험그룹과 통제그룹 모두 교육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사한 차이로 실험그룹의 결과가 더 나은 개선을 보였지만 통계상으로 의미 있는 변화는 아니었다. 그러나 한 가지 주목할 만한 것은 실험그룹이 교육 후에 보인 작문 사용 어절 수의 증가이다. 조사(助詞)사용에 대해 혼란을 겪던 학습자가 교육 후에 생긴 어느 정도의 이해와 자신감으로 많은 어절 수의 작문을 생산한 것으로 보인다. 실험그룹의 사용 어절 수의 변화(실험그룹:824개에서 1176개로 증가, 통제그룹:779개에서 686개로 감소)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결과가 있었다. 조사(助詞)는 학습자들에게 이미 학습의 경험이 있지만 충분한 이해가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에 어려움을 느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교수 방안으로 조사(助詞)에 대한 인식을 재구조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명시적 설명을 통하여 자유롭고 적확한 사용의 선결 조건인 이해를 돕고 조사(助詞)의 의미와 기능을 재구조화하도록 한다. 조사(助詞)에 대한 의식을 집중, 고양함으로써 학습의 효과를 지속시키고 교육의 목표인 조사(助詞)를 자유롭게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도록 한다. 학습자가 수업에서 과제를 해결하면서 자연스럽게 문법을 익히고 그것이 의사소통 능력으로 연결되는 학습이 되도록 한다. 이러한 전제를 기초로 하여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助詞) 오류를 줄일 수 있는 교수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한국어 조사(助詞) 오류분석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본 연구의 대상자 선정 및 연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연구는 대학교 국제 교류원에서 학습하고 있는 2급, 3급 4급의 한국어 학습자 22명을 대상으로 문법성 테스트를 실시하고 조사(助詞) 유형별로 정답률을 산출하였다. 22명의 작문을 분석해서 한국어 조사(助詞)의 사용 빈도와 오류의 유형, 발생 빈도를 알아보고 통제그룹과 실험그룹으로 나눈 후 실험그룹은 3차시의 조사(助詞) 집중 수업을 실시한 후 사후 테스트를 통하여 두 그룹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한국어 조사(助詞)의 의미와 기능을 우리말 문법론과 국립국어원의 조사(助詞) 체계, 실험 대상 학습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서울대 교재의 조사(助詞) 분류 체계를 소개하였다. 주격조사와 목적격조사, 부사격조사 중 ‘에’와 ‘에서’, 보조사 ‘은/는’의 여러 의미의 쓰임을 정리하고 중간언어이론과 오류 분석 이론 등을 기술하였다. 3장에서는 연구의 대상과 방법을 밝혔는데 2급·3급·4급의 한국어 학습자가 교육 전에 쓴 작문 자료에서 ‘이/가’의 사용과 오류의 빈도 양상을, ‘을/를’의 사용과 오류의 빈도 양상을, 보조사 ‘은/는’의 사용과 오류의 빈도 양상을,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의 사용과 오류의 빈도 양상을 살펴보고 결과를 ‘대치’, ‘누락’, ‘첨가’로 분류하여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교육 후 작문에 사용된 총 어절 수와 조사(助詞)의 사용빈도와 오류율을 분석하여 교육 전·후를 비교하였다. 작문 자료의 결과를 보완하고 조사(助詞)의 인식 정도를 더 탐색하고자 문법성 테스트를 실시하여 정답률을 산출, 수업 전의 문법 테스트와 비교하였다. 4장에서는 외국어 교수법에서 문법 교육에 관한 입장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개괄하고, 수업 모형에 대한 이론을 소개하고 수업의 예시를 실었다. 5장에서는 조사(助詞) 교육 후의 문법성 테스트와 작문의 결과를 분석하여 조사(助詞)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그룹과 통제그룹간의 오류율과 문법성 테스트의 정답률을 각각 독립표본과 대응표본으로 하여 통계를 실시하고 결과를 확인하였다. 6장은 결론으로 본고의 내용을 요약하고, 본 연구의 목적에 비추어 결과를 평가한다. 실험 학습자 대상의 규모가 작고 자유 작문이기에 학습자 자신이 어렵게 느끼거나 자신 없는 조사(助詞)는 회피할 가능성도 있는 것과 이와 반대로 유형화하여 자주 사용하는 문장만 사용했을 가능성도 있다. 실험 기간이 짧은 기간이라는 한계가 있었음을 밝히고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 결론을 마친다.

      • 고위험 집단 청소년에서 희망과 스트레스 대처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나혜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위험요인, 희망, 스트레스 대처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특히 고위험 집단 청소년에 초점을 맞추어 희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스트레스 대처를 매개로 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중학생 397명과 고등학생 421명을 대상으로 위험요인, 희망, 스트레스 대처, 학교적응을 측정하는 질문지를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위험이 희망, 학교적응과 유의미하게 부적 상관을 보였고, 스트레스 대처방식들과는 유의미하게 정적 상관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희망은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교적응의 하위요인들과 모두 정적으로 관련이 있었다. 둘째, 위험이 학교적응에 어느 정도 설명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희망의 구성요소인 주도사고와 문제 중심적 대처와 사회지지 추구 대처가 학교적응에 대해 각각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고위험 집단 청소년에서 학교적응은 희망에 의해서 영향을 받고, 이런 관계를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문제 중심적 대처와 사회지지 추구 대처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여, 결과들의 시사점과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 하였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risk factors, hope(pathway thinking and agency thinking), stress coping on school adaptation, especially focused at-risk adolescents. The sample of this study included 397 middle school students and 421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with questionnaires on the risk factors, hope, stress coping and school adaptaion. The results in this study are followings. Firstly, it goes to show that risk factors is negatively related to hope and school adaptation, and positively related to stress coping. Hope is positively related to stress coping and school adatation. Secondly, the risk factors, agency thinking, problem-focused coping and social support-focused coping influenced the school adaptation. Therefore individuals that is high-risks have the lower level of school adaptation, and high-hopeful, using problem-focused coping and social support-focused coping have the higher level or school adaptaion. Finally, at-risk adolescents, hope influenced directly the school adaptation, also via the stress coping.

      • 韓國의 硏究開發人力의 展望에 관한 硏究

        나혜진 淑明女子大學校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개발인력의 부족은 인력의 질적 수준의 저하를 의미하며, 첨단산업 분야의 필요인력이 배출되지 못하는 양적 수준의 취약성을 뜻한다. 기술개발의 핵심요소의 하나인 연구개발인력의 양성은 오랜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장기적인 계획의 필요성이 특히 높은 분야이다. 4년제 대학이상의 연구 개발인력에 대한 수요는 앞으로의 산업구조의 변화와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석사·박사학위취득자가 증가하여 고학력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서는 과학기술발전장기계획이 경제개발 5개년 계획과 긴밀한 연계 체제를 유지하여 작성되므로 1996년과 2001년을 목표년도로 정하고 5개년 간격으로 연구개발인력의 추이를 기술하였다. 수요인력의 산출은 국제비교 자료에 의한 목표설정방식을 적용하였다. 연구개발인력의 전망의 근거로써 (1) 인구 만명당 연구개발인력 규모에 의한 전망 (2) 경제활동인구 만명당 연구개발인력 규모에 의한 전망 (3) 연구개발인력의 전문기술직 점유 비율에 의한 전망 (4) 연구원 1인당 연간 사용 연구개발비에 의한 전망의 결과 도출된 추정치를 자료로 하여 연구개발인력의 전공계열별 수요와 전공분야별 수요를 전망하였으며, 학위 취득자의 학위별 전공계열별 수요를 전망함으로써 연구개발인력의 학위별 전공계열별 수요 전망치가 도출되었다. 향후 과학기술혁신에 기초한 산업사회의 고도화에서 전문성의 확보를 기하는 정책 수립이 요망된다. 복합기술분야의 전문성, 첨단기술을 시장과 연결하는 국제적 감각, 환경규제 등의 동향을 판단하고 국제경쟁력의 기반을 마련하며, 지식서비스 발전 등 과학기술정보가 관건인 시대에 요구되는 인력에 대한 수요가 필요불가결하다. 또한 미래사회에서의 인력의 수요는 매우 다양하고 가변적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교육에도 시장의 원리가 도입되어 대학의 자율에 따른 인력공급의 신축성을 높여야 한다. 여자대학의 자연계 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활성화 시키는 방법은 응용과학의 적절한 분야를 기초과학과 공존시키는 절충적 성격이다. 국내외 과학기술인력의 자료를 D/B화 하여 인재유치와 기술자문에 효율적으로 활용해야한다. 현대과학기술의 전형적인 특징인 거대화, 고가화, 대형화, 고시스템화, 협동연구의 성격상 과학행정 및 과학기술에 관한 전문인력의 양성은 그 중요성이 나날이 증대되는 상황이다.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provide the prospect of R&D manpower demanded in the future. Target year setting is 1996 & 2001. Using International comparison method to set the target, I compare Korea in 1996, 2001 to Japan in 1980, 1985 each. Since 1962, Korea drafted economy-society development 5 year plan with science & technology policy I describe manpower of each last year in the 5 year plan. Chapter 1 prospect the R&D researchers by approaching (1) per 10 thousand population (2) per economically active 10 thousand population (3) percentage of special personnel (4) R&D expenditures per capita, year. Chapter 2 prospect the researchers by field of science. Chapter 3 prospect the researchers by major field of study. Chapter 4 prospect the graduates by degrees granted. Chapter 5 prospect the researchers by field of science and degrees. R&D Manpower shortage implies the lower level of qualitative manpower and quantitative manpower to super technology part. Forward, master, doctor demand increase. Manpower cultivation takes so much time and cost that long period plan for projection particularly is needed. First of all, absolutely electronic and mechanical field researchers has been rare. Specialist understanding complex technology and marketing projector is demanded. Secondly knowledge-service industry, CEDO(consulting, engineering and desing organization) which catalystic rolls in innovation of technology must develope. There are current status of science and technology manpower distribution, data base system and legislation for the use of science and technology manpower. To circumstance doctrine through GR(green round), circumstance engineer and communication specialist in abroad would be proper. Thirdly professionalism should cover all around respects including establishing appropriate science policy in the mist of high level industry society on the basis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 VMD 전략의 미래 디자인요소 확장에 관한 연구 : 4차 산업혁명의 기술혁신 영향을 중심으로

        나혜진 경기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4차 산업혁명에 의한 변화는 개인의 생활, 사회 환경, 산업 현장에서 혁신을 주도하고 있으며, 유무선 네트워크는 과거 단순 정보 유통망의 역할에서 모든 사람·사물의 데이터가 교환·소통되는 사회시스템의 신경망 역할을 수행함으로서 이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스마트한 융합 서비스와 다양한 가치가 창출되고 있다. 이는 인공지능 기술의 융합에 따라 공간, 사람, 사물 등이 언제 어디서나 연결되어 정보를 공유하는 초정밀, 가상화 사회가 도래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에 비주얼 머천다이징 분야도 대응하여 보다 지능화된 역할을 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수행해야하기에 이를 준비하기 위해 환경변화 특히 4차 산업 시대를 이끌어가는 기술의 변화에 대해 인식하고, 기술 활용과 개발을 통해 향후 VMD 전략에 필요한 미래 디자인요소에 대하여 고찰하여야 할 시점이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는 배경 아래 새로운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VMD 전략의 미래디자인요소의 중요 요인을 도출하고 우선순위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VMD에 대한 개념, VMD의 시대별 변천과정과 연구동향 그리고 4차 산업혁명 기술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선행연구 분석과 문헌 검토를 통하여 요인을 선정한 후 VMD 분야의 전문가들과 심층면접(Delphi in-depth interview)을 통해 VMD 전략의 미래 디자인요소의 요인을 식별하였으며, 4개의 상위요인과 13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AHP 분석 모형을 개발하였다. AHP 설문은 VMD관련 “전문가 집단”과 관련 전공 학생들 즉, “준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수집된 데이터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의 결과로서 요인들의 가중치가 추론되었고, 전문가와 준전문가 사이의 전문성에 따라 구분된 집단별로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에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는데 “전문가 집단”은 판타지의 가상현실(VR)과 공간의 증강현실(AR)에서, “준전문가 집단”은 정보의 빅데이터와 최적화의 소셜네트워크에서 가장 높은 상대적 중요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집단별 가중치(Weight)를 분석한 결과, 인공지능을 제외하고는 높은 가중치 그룹에 속한 요인들은 집단 간에 큰 차이를 나타낸 반면에 낮은 가중치를 가진 요인들은 그렇지 않았다. 이는 각 집단별 특성에 따라 미래 VMD전략에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전략적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는 것이 그 전문성에 따라 크게 다르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으며, 실제적인 4차 산업혁명 기술에 필수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인공지능’, ‘게임화’, ‘사물인터넷’, ‘3D프린터’등의 요인들은 비슷한 가중치와 우선순위로 나타났다. 이는 해당 요인들이 평준화 또는 보편화로 인해 전문성과 크게 관계가 없는 요인으로 분석된다. 결국, 본 연구는 VMD 전략의 디자인요소 도출과 그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가 각 집단별로 차이가 존재한다는 점을 AHP 분석을 통해서 밝힘으로써 미래 디자인요소에 대한 다양한 이해관계 및 입장을 합리적으로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도출한 요인들의 가중치를 상황에 준용하여 활용함으로써 VMD 전략을 디자인하는데 보다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Recent changes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ve led to innovation in personal life, social environment, and industrial sites, and wired and wireless networks have been the neural network of social systems where data from all people and objects is exchanged and communicated based on simple information distribution network. And a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converges, a highly precise and virtualized society where space, people, and things connect and share information anytime, anywhere. In order to prepare for the more intelligent role of responding to these environmental changes in a wider range of fields, we recognized the changes in technology, especially in the 4th industrial era, and the future VMD strategies needed in the future.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derive important factors and analyze priorities of future design elements of VMD strategy that meet new era needs under the backdrop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examined the concept of VMD, the periodical transformation of VMD and the trend of research, and the prior study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After selecting factors through prior study analysis and literature review, experts in VMD and in-depth interview identified the factors of future design elements of VMD strategies and developed AHP models consisting of four top and 13 subcomponents. The AHP survey conducted a survey of a group of experts related to VMD and related majors, or quasi-professional groups, and analyzed the imported data empirically.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weights of factors were inferred a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elative importance of factors according to the expertise between experts and quasi-professionals. In addition, analysis of group weights showed that factors belonging to high-weight groups, except artificial intelligence, showed large differences between groups, while factors with low weights did not. This suggests that each group's characteristics give strategic value to the factors that have a relatively high impact on future VMD strategies, and that the key players are weighted according to their expertise,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game'. This is analyzed to be a factor that has little to do with expertise due to generalization or standardization. Ultimately, this study will help to reasonably determine the different interests and positions of future design elements by providing AHP analysis that the design elements of the VMD strategy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ose factors exist.

      • 아파트 거주민의 조망경관에 대한 만족도 분석

        나혜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viewable landscape satisfaction and the will of payment for the viewable landscape satisfaction,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viewable landscape satisfaction and the will of payment according to the residential characters. This study is conducted in the following manner. Firstly, landscape resources were identified in terms of mountain, river, park, and apartment which can be seen in the apartment complex And apartment complexes which have the view of these landscapes resources were selected. Secondly, a survey through on-site visits to selected apartment residents had been conducted for collecting actual data and examples. Also, an anaylsis had been made in the viewable landscape satisfaction, landscape recognizable elements, the will of selection and payment for the apartment because of the viewable landscape, and residential characters. To analyze this, diverse statistical analyses such as descriptive analysis, multi-regression, and analysis of variance we re employe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e cotribution for creation of a living space which is focused on various consumer's demands. The main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iewable landscape satisfaction, the resident felt the satisfaction of mountain, park, river, and apartment. 2. landscape recognizable elements which attribute the viewable landscape satisfaction were harmony, openess, and familiarity. 3.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ewable landscape satisfaction and the residential characters, age, dwelling type, apartment size(pyong), and story were positively affected to the viewable landscape. 4.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will of selecting and paying for the apartmnet because of the viewable landscape, all residents, who had the view of mountain, river, park, and apartment, intended to select and pay for the viewable landscape. 5.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ill of selection and payment for the apartmnet because of the viewable landscape and the residential characters, age, monthly income, dwelling type, and apartment size(pyong) were positively affected to the viewable landscape. Recently, a problem in this city, which a view for good landscapes has been spoiled, is continually appeared as new obstacles for landscapes are appeared.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viewable landscape satisfaction and landscape recognizable elements, the landscape plan is needed to consider with harmony, openess, and familiarity, and to maintain a management for landscape of mountains, parks and rivers. Moreover, as a result of comparison with the will of selection and payment according to the residential characters, most residents are willing to select and pay in accordance with landscape. Also residents proved the more strong will of selection and payment in proportion to age, monthly income, dwelling type, and apartment size(pyong). On the basis of this result, if housing-supply companies try to distinguish space according to character of residents on plann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house, it can satisfy the desire of consumers.

      •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기반의 방문구강관리 중재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효과

        나혜진 단국대학교 대학원(천)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고령 사회를 앞두고 노인들의 건강과 삶의 질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정부는 초고령 사회에 대비하기 위한 핵심 과제로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커뮤니티케어)정책을 국정과제로 하여 추진하고 있다.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은 초고령 사회에 어르신들이 살던 곳에서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주거·의료·요양·돌봄 서비스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정책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천안시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대상자에게 구강기능 증진 및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8주간의 방문구강관리 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한 후 구강건강관련 자기 효능감, 구강건조, 구취농도, 우울의 변화를 비교 측정함으로써 방문구강관리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유사 실험 중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천안시 65세 이상 노인 인구를 모집단으로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방문구강건강관리 수혜자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로 중재군 30명, 천안시 주간보호센터 대조군 30명을 선정하였다. 중재군에게 사전조사를 수행하고 8주간의 재가 방문구강관리 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한 뒤 사후조사를 하였다. 대조군은 중재없이 중재군과 동일한 검사를 측정하였다. 재가 방문구강관리 중재 프로그램은 2023년 1월 1일부터 10월 15일까지 주 1회 총 8주간 수행하였다. 연구자가 대상자의 자택에 직접 방문하여 구강 마사지, 전문가 구강위생관리, 구강 근기능 훈련, 구강보건 교육 등을 하였다. 중재를 통한 종속변수는 구강건강 관련 자기 효능감(GSEOH), 구강 건조감, 구취 농도, 우울감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량을 구하였다. 중재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과 구강건강 관련 특성에 대한 동질성검정을 하였다. 방문구강관리 중재 효과분석은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수행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8주간의 방문구강관리 중재 후 구강관련 자기 효능감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중재 군에서 중재전 GSEOH는 중재전(50.89±10.60)에 비해 중재 후(58.52±9.29) 증가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3).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794). 2. 8주간의 방문구강관리 중재 후 객관적 지표로 비자극성타액분비율은 중재군은 중재 전 (26.41±5.75)에 비해 중재 후(28.63±1.79)로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했다(p=0.026). 대조군에서는 사전(26.23±3.08), 사후(30.87±16.35) 통계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78). 반면에 주관적 구강건조감은 중재 전(28.70±19.10)에 비해 중재 후 (22.33±19.05)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101). 대조군에서도 사전(10.79±12.81), 사후(10.83±14.34) 차이가 없었다(p=0.767). 3. 8주간의 방문구강관리 중재 후 구취 농도의 변화는 중재군에서는 중재 전(10.55±10.30)에 비해 중재 후(9.60±7.76) 다소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p=0.867). 대조군은 사전(16.58±12.40)에 비해 사후(27.81±18.04) 구취농도가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p=0.331). 4. 중재군의 우울감은 중재 전(28.20±15.02)에 비해 중재 후(18.11±14.61)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9). 반면에 대조군의 우울감 지수는 사전(13.29±9.78), 사 후(16.10±12.40) 통계적 변화가 없었다(p=0.489). 종합하면 8주간의 재가 방문구강관리 중재 후 중재군의 주관적 구강건강관련 자기효능감은 높아지고, 구강건조와 구취가 감소하고, 노인 우울감을 낮추는 데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이에 재가 방문구강관리 중재프로그램은 노인의 구강건강 유지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건강 상태 유지와 우울 예방에 효과가 있어 건강한 노후를 보내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기대한다. 따라서 노인의 구강건강 및 구강건강증진을 위해서는 방문구강관리 중재와 같은 예방적 프로그램을 지역사회에 적극 활용하는 국가정책의 지속적인 노력이 이루어져야한다.

      • Application of equine bone mineral-collagen scaffold with recombinant human PDGF-BB for periodontal tissue regeneration in supra-alveolar model of beagle dogs

        나혜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Growth factors have been investigated as powerful mediators for periodontal regeneration. In particular the efficacy of recombinant human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rhPDGF) in periodontal regeneration has been demonstrated. However, optimized carriers for rhPDGF have not been identifi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pplication of equine bone mineral-collagen matrix as a scaffold for rhPDGF-BB with in vitro as well as in vivo study in supra-alveolar periodontal defect model of beagles for periodontal tissue regeneration. In vitro study, release test of rhPDGF-BB loaded equine bone mineral-collagen, and the cell morphology and mineralization activity of human dental pulp stem cells (hDPSCs) cultured on rhPDGF-BB loaded equine bone mineral-collagen was evaluated. The first and third premolars on both left and right mandible were extracted, 5㎜ supra-alveolar defects from CEJ were prepared and cementum was removed in 4 male beagle dogs. In experimental group, rhPDGF-BB (0.3 ㎎/㎖) solution was applied around the denuded root surfaces and equine bone mineral-collagen block incubated with 0.3 ㎎/㎖ rhPDGF-BB was adapted around root surfaces to the level of CEJ. Control groups included equine bone mineral-collagen block incubated with normal saline (N=4) or non-grafted defects (N=4).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fter 8-week healing period. Clinical and radiographic findings, histomorphometric procedure with three-dimensional microcomputed tomography and histologic processing were performed. In statistical analysis, one-way ANOVA for in vitro study and Mann-Whitney U test as well as Kruskal-Wallis test for in vivo study was performed. Release kinetics of rhPDGF-BB loaded equine bone mineral-collagen revealed to be stabilized until 2 weeks and rhPDGF-BB loaded equine bone mineral-collagen enhanced the proliferation and mineralization activity of hDPSCs. The height of augmented equine bone mineral-collagen block was radiographically decreased less than half irrelevant to the addition of rhPDGF-BB after 8 weeks. In histologic and histomorphometric analysis, long junctional epithelium and connective tissue were filled the defect area in negative control group. Well-oriented periodontal ligament fiber and prominent new bone formation were more observed in rhPDGF-BB loaded equine bone mineral-collagen group than in equine bone mineral-collagen only. The volume and surface area of new bone with 3D micro-CT images were superior in rhPDGF-BB loaded equine bone mineral-collagen group on the furcation area statistically (p<0.05).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equine bone mineral-collagen matrix might be a useful delivery system for rhPDGF-BB in the defect site and scaffold for periodontal tissue regenration. Further study should be needed to examine the optimal ratios of carrier and rhPDGF-BB for periodontal tissue regeneration.

      • A Genre-based Newspaper Writing Curriculum for Korean High School Students : 고등학생을 위한 장르기반 영자 신문 기사 쓰기 커리큘럼 개발

        나혜진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s of this project are: (1) to investigate genre pedagogy and review related research; (2) to examine the needs of students and teachers in terms of newspaper writing classes; (3) to analyze high school newspapers to uncover typical genres and topics; and (4) to develop a genre-based newspaper writing program for Korean high school students. This project is motivated by the realization that writing for newspapers gives EFL learners a genuine purpose to write to an authentic audience. A needs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semi-structure interviews with 112 students and 56 teachers. The results helped establish the needs of the target population. As a result, a genre-based newspaper writing program was developed employing a text-based syllabus framework. This newspaper writing program teaches nine newspaper genres, and each genre is taught through four phases of an instructional framework: The Teaching-Learning Cycle. As students are taught the newspaper genres, they gradually become more proficient language users and successful newspaper reporters. This project provides useful guidance for those who would like to employ newspaper writing as a means of writing instruction for EFL learners. 본 연구의 목적은 “장르 중심 접근법을 기반으로 한 영자 신문 기사 쓰기 커리큘럼”을 제시하여 영자신문반 학생들이 영자신문 작성에 자신감을 갖게 하고 더 나아가 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있다. 영어 신문 기사 쓰기는 영어를 외국어로 학습하는 EFL(English as Foreign Language) 환경에서 갖기 힘든 진정한 쓰기 목적을 학생들에게 부여하여 동기화 시키지만 영자신문 작성을 위한 쓰기 지도 연구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학교 현장에 적용될 장르 중심 접근법을 기반으로 한 영자 신문 쓰기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먼저 장르 이론과 장르기반 쓰기 지도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으며 112명의 고등학생과 56명의 영어교사를 대상으로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영자 신문 기사 쓰기 수업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효과적인 쓰기 지도 방법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의견을 프로그램 개발에 반영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쓰기 프로그램은 아홉 가지 신문기사 장르를 포함하고 있으며 학생들은 각각의 장르를 네 단계의 학습단계를 거쳐 습득한다. 본 프로그램은 교수요목과 교수 범위와 계열, 견본 교재와 지도계획서, 그리고 프로그램 평가 계획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신문기사 장르를 습득하면서 학생 신문기자로서, 그리고 언어학습자로서 영어 쓰기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게 될 것이다. 또한, 본 프로그램은 영어 쓰기 지도 방법의 일환으로 영자신문을 활용하는 방법, 그리고 장르 기반 쓰기를 EFL환경에서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유용한 안내가 될 것이다.

      • 상악 유중절치 치근 흡수면에 관한 병리조직학적 관찰

        나혜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치는 치근이 생리적으로 흡수되어서 탈락하는 조직으로 치근 흡수 기전은 명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계승 영구치의 맹출력에 의한 압력이 주요한 인자로 생각되지만 치배가 결손된 경우에서도 치근이 흡수될 수 있다. 전신적 또는 국소적 요소에 의하여 유치 치근이 병적으로 흡수될 수 있으며 치아 우식증이나 외상 등으로 치수나 치주인대까지 영향을 받으면 염증성 치근 흡수가 발생할 수 있다. 유치의 염증성 치근 흡수는 생리적인 치근 흡수와 비교할 때 시기 및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흡수면의 미세구조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이 연구는 생리적 치근 흡수면과 외상으로 인한 치근 흡수면, 치근단 염증으로 인한 염증성 치근 흡수면의 형태 및 인접한 세포를 주사전자현미경과 광학현미경으로 다음과 같은 점을 관찰하였다. 1. 생리적 치근 흡수면의 흡수소와는 원형과 타원형이고 비교적 균일하며 작고 깊이가 얕았다. 2. 외상으로 인한 치근 흡수면과 염증성 치근 흡수면의 흡수소와는 다각형이고 불규칙하였으며 크고 깊이가 깊었다. 3. 생리적 치근 흡수면과 외상으로 인한 치근 흡수면, 염증성 치근 흡수면에서 다핵거대세포와 단핵세포를 관찰했으며 염증성 치근 흡수면에서는 간염세포 및 염증세포가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4. 생리적 치근 흡수면과 외상으로 인한 치근 흡수면에서는 흡수 표면에 백악질양 조직이 침착되었으나, 염증성 치근 흡수면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