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 5학년 사회과 교육에서 역사학습 만화의 유용성 연구 : 2007년 개정 사회과 교과서와 『만화 한국사 바로보기』의 비교 분석

        김정식 인제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초등5학년 사회과 교육에서 역사학습 만화의 유용성 연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김정식 이 연구의 목적은 역사학습 만화가 초등학생들에게 역사 학습에 대한 흥미를 일이키고, 교수-학습 자료로서 유용성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먼저 학습만화의 실태와 특성에 대해서 살펴보았고 역사 학습만화가 학습 상황에서 활용될 수 있는지, 교수-학습 자료로 적합한지 교과서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해 보았다. 초등학생의 발달 단계상 역사학습은 어렵게 느껴질 수밖에 없다. 직접 만지고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역사학습의 특성상 다양한 시각적 자료가 필수적이지만, 현재 관련 자료는 충분하다고 할 수 없다. 그러한 점을 보완하기에 역사 학습 만화는 좋은 보충 자료가 될 수 있다. 먼저 학생들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학습만화에 대한 인식과 흥미도를 조사한 결과, 많은 학생들이 학습만화를 즐겨 보고 있었다. 학습 만화를 통하여 학습에 도움을 받은 적이 있다는 학생이 많았고, 학습 만화로 공부에 도움을 받고 싶은 과목은 역사로 나타났다. 이러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현재 화제가 되고 있는 역사학습 만화 『만화 한국사 바로보기』와 2007년 개정 사회과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여, 역사학습 만화가 교수-학습 자료로서 적합한가에 대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만화 한국사 바로보기』와 2007년 개정 사회과 교과서의 내용상의 체계는 서로 거의 흡사하였다. 정치사와 문화사가 구분되어 있는 교과서와는 달리,『만화 한국사 바로보기』는 정치사와 문화사, 생활사가 적절히 섞여 있어서 당시 사람들의 생활을 정치사와 함께 이해하기에 유리했다. 둘째, 교과서의 서술은 책의 분량이 한정 되어 있어 자세하고 쉬운 설명을 하기 어려운데, 『만화 한국사 바로보기』의 경우 방대한 분량으로 상세한 설명과 인물묘사를 통하여 학습자가 역사적 사실을 인식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셋째, 유물, 유적 관련 사진의 경우, 『만화 한국사 바로보기』는 교과서보다 많이 수록하여, 학습자의 궁금증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교과서와 비교해본 결과, 역사 학습만화가 학습자들에게 역사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교과서에서 부족한 설명을 보충할 수 있으며, 역사 학습에 대한 동기유발 자료로서 좋은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역사 학습만화는 학생들의 흥미와 사고를 자극하고, 학습에 자율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교수-학습 자료로 충분히 기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시중의 역사 학습만화가 교수-학습 자료로서 적합한 지 선별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적극 동참하여 지도해야 한다. 또한 역사 학습만화를 펴내는 출판사나 만화가도 뚜렷한 역사의식을 갖고, 전문가의 감수를 거쳐 학습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역사 학습만화를 펴내야 할 것이다. Abstract A research on the usability of history education comic books in sociology education for fif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je University History Education Major Jung-shik Kim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whether the history education comic books induce interest of learning about histor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y have usability as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the research, I looked into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comic books first, and then compared and analyzed textbooks if history education comic books can be used for learning and proper for teaching-learning. History education must be difficul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erms of their development stage. Since the students can't touch or see the history by themselves, diverse visual materials are essential but there are not enough relevant materials at present. In order to supplement this, comic books on history can be good supplementary materials. As the result of survey on students about recognition and interest rate for educational comic books, many students are enjoying reading educational comic books. Many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have been helped by educational comic books for learning and they said history subject is that they want to get help through educational comic books. Based on these survey results, I compared and analyzed 'The correct perspective on Korean History: Comic book' which is a popular history education comic book at present and 2007 revised sociology textbook and then evaluated if history education comic books are proper as teaching-education material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First, 'The correct perspective on Korean history: A comic book' and 2007 revised sociology textbook have similar contents system. Unlike the textbook that divided politics and the history of culture, 'The correct perspective on Korean history: A comic book' mixed the history of politics, culture, and everyday life so that it allows easy understanding on the history of politics as well as everyday life of normal people. Secondly, the textbook has limited space of narrative that it can't have detailed and easy explanation but the 'The correct perspective on Korean history: A comic book' has detailed explanations and descriptions on characters in large space which is helpful for learners to recognize about historic facts. Thirdly, 'The correct perspective on Korean history: A comic book' has more pictures on remains and historic sites that are helpful for learners to resolve curiosity. As the results on comparison with the textbook, history education comic books induce interest on history for learners, may supplement insufficient explanation for textbook, and can take a good role as motivational material for history education. History education comic books can function well as teaching-learning materials that stimulate interest and thinking of students and induce them to participate in the learning autonomously and actively. In order to select proper history education comic books in market for teaching-learning material, teachers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instruction. Moreover, publishers and comic book authors should have clear sense of history and publish history education comic books that are helpful for learners through editing by experts.

      • 칠광도(七狂圖)에 나타난 경관분석에 관한 연구

        김정식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Among the historic sites of the Joseon dynasty, there are few historical materials that depict the buildings around the sites and geographical features. Most topographical maps handed down like Donggweol-do(東闕圖) or Gyounggigamyoung-do(京畿監營圖) are just depict the palace or government office. Chilkwong-do(七狂圖) studied on this thesis is different with those maps in that it describes the traditional villages and agricultural districts very graph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vestiges of our ancestors' life style and the intrinsic features of the traditional culture and understand the factors of the landscape that Korean landscape had in the era based on the study. The peculiarity of the landscape painting and cultural assets depicted on this historical record were studied. And the subject was classified into several landscape factors to be compared with the present features of them. The result of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ing. 1. Chilkwong-do(七狂圖) is the painting that the seven men called Chilkwong(七狂) painted the features their living in easy after their submitted memorial about the disposed queen Yinmok(仁穆) was ignored in 1613. 2. We inferred the age of Chilkwong-do(七狂圖) is middle-18th century from the analyzing many factors such as a trend of construction, a style of painting, phenomena of the era, and so on. 3. We analyzed the peculiarity of the landscape painting : the social background of the painting, the style, composition, and the staffage. 4. We studied the scale and the location of the cultural assets that described on Chilkwong-do(七狂圖), comparing with present features through the documentary records and examining the present condition. 5. We compared present topography with this historical topography that showed the structure of the village and the natural environment before the characteristic form of the land was changed through several landscape factors.

      • 불교적 관점에서 본 장애의 교육적 함의

        김정식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educational meaning of disability as the practical subject by understanding it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m. The main ideas of Buddhism include the topics such as fourfold noble truth(四聖諦), karma(業), dependent origination(緣起), middle way(中道) and emptiness(空) and are addressed to solve the sufferings through the right understanding of all beings. Most of precedented studies regarding Buddhism and disability, however, have treated disability as the result of ‘karmic result(因果應報)’, ‘karma’, ‘samsāra(sanskrit, 輪廻)’ in the substantial perspective with self-identity. The study observes the theoretical models in the field of disability studies,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disability, and the stereotypes and images of disability to refine the existing buddhistic perspectives on disability in view of the main buddhistic ideas such as fourfold noble truth, karma, twelve dependent arisings, middle way and emptiness. The study considers the subjects of fourfold noble truth and karma in relation to disability, treats the causation of disability based on the twelve dependent arisings and observes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the disability and non-disabilities and non-difference of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non-sameness of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based on Nagarjuna's eight fold middle ways and two fold middle ways. It examines the particularity and generality of disability in education and focuses on how to interpret the implications of disability in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m.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disability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m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education should cultivate wisdom to get over the useless argument(prapañca, 戱論) and help people understand the deep meanings of life by guiding people to insight the realities of the world and human existence. Second, it is necessary to exercise merciful behaviors to co-exist and cooperate with the disabled in the personal and social relationship as the human society and world is the reality created by the collective karma of all beings. Third, disabled students should be educa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udents in general", not from the particular perspective as the disabled. The particularity of a disabled student should not regarded as a model of defects but respected as the ‘difference’ with variety and personality. As disabled students have more similarities (generality) with non-disabled students than the differences(particularity) from non-disabled students, they should be educated based on the commonality. The study of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disability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m presents some suggestions to current education. First, the human consciousness about the disabled, which is centered on the non-disabled, must be changed and the foundations for the humanistic life and human right education must be secured to eradicate the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toward the disabled and to improve the human rights of the disabled. Second, the obstacles that keep the disabled from participating in all social activities must be abolished to help the disabled exercise the same rights and duties with other members of the society in terms of the realization of mercy and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must perform the essential roles to provide the disabled with equal opportunities. Third, the practical and feasible efforts should be applied to develop the potential of the disabled for them to lead self-reliable life, while admitting the diversity as they are by focusing on the commonalities considering the particularity and generality of disability in education. Lastly, the subject of disability should be considered in all aspects of education, at the same time,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education must be reconsidered and the educational structure designed mostly for the non-disabled must be renewed.

      • 詩的直觀에 있어서 上昇構造 : 김현승詩를 중심으로

        김정식 동덕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적직관이란 논리적이고 개념적인 인식을 지향하지 않는 정신의 기능이다. 이것은 선의식적인 생명 속에서 즉 정신의 비개념적인 생명속에서 탄생된다. 그러므로 시적인식이란 이성의 추론적인 행사를 통하지 않는 비는리적인「공본성적인 인식」이라할 수 있다. 이런 인식은 정감을 수단으로 산출되는 것이나, 인식의 주체는 바로 지성자체이다. 이러한 시적 직관은 현상의 다양성을 통하여 사물의 본질을 지각한다. 그러나 그것은 사물의 본질에 대한 자각에 머무르지 않고, 현상인식의 반향을 통해서 자기자신의 본질도 드러낸다. 따라서 시적 직관은 현상속에서 주체와 대상을 동시적으로 포착함으로써 본질과 현상의 대립을 극복하고 감각 세계에서 예지의 세계로 나아간다. 즉「절대자」에게로 나아간다. 이것이 다름아닌 시적직관에서 나타나는 초월으로의 지향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적직관은 인식적이면서 동시에 창조적이라는 두가지 계기를 가진다. 먼저 인식적인 시적지관은 추상적인 본질개념을 지향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실존을 지향한다. 하지만 이것에 멈추지 않고 무한으로 까지 진행한다. 시적지관의 두 번쩨 양상 즉 창조적 직관은 시인의 수동적인 주의에 의존한다. 이러한 주의는 내적인 소리를 지각하고 존재에 귀를 기울린다. 그 결과 세계의 실재에 참여하고 동시에 그 이상으로 나아간다. 즉 절대적인 존재로 향한다. 이러한 초월적인 시적직관 즉 현상에서 본질로, 본질에서 절대적인 것으로의 상승의 과정을 형상화한 대표적인 시인은 바로 김현승이다. 시인의 영혼 속에서 처음에 불투명하던 싹의 상태인 시적 직관은 상상력의 이미지와 시적인 언어에 의해서 구체화된다. 따라서 김현승은 현상으로부터 출발하면서 사물의 이미지들 즉 열매, 보석, 눈물로 연결되는 이미지 구조를 통해서 종교적 상상력을 심화하고 있다. 이런 이미지들에 의해서 인간존재의 유한성과 소멸성을 극복하고 영원한 세계를 지향하는 초월적 정신을 형상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초월의식은 상상력 뿐만 아니라 시언어를 통해서도 구체화된다. 김현승의 시언어는 변증법적인 구조로 되어 있다. 상층되는 반대개념을 대조시켜 변중법적인 통일을 구현함으로써 형이상의세계로 나아간다. 내용적으로는 관념어를 채용하여 시에 있어서 형이상학적 이미지를 더욱 정확하게 형상화하고 있다. 또한 김현승은 시에서 가을, 까마귀, 고독등의 비중있는 언어들을 선택하여 이들을 유사한 어휘들과 함께 사용하면서 의미의 폭을 넓혀간다. 이들 언어들은 반복적이고 지속적이지만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것이 아니라 변모과정에 있으며 그 시기마다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와같이 그는 지적인 목적을 위해서 언어의 의미를 확장함으로써 지상의 요소와 천상에의 지향을 성찰하고 인식하는 단계에 이른다. 달리 말해서 변증법적인 자기부정을 통하여 존재론적인 자기상승을 체험한다. 이와 같은 김현승의 시분석을 통하여 볼 수 있는 것처럼 시는 존재의 본질을 드러내는 근본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다. 시는 합리적인 개념의 매개 없이 사물의 존재 속에 직접 들어가는 하나의 방편으로 참다운 존재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존재으로의 접근은 아무런 투쟁이나 절망없이 이루어 지는 것은 아니다. 그것을 김현승은 절대고독이라고 했다. 그러므로 시는 형이상학적 일군이고 “절망한 존재론”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oetic intuition is the faculty of the intellect which is not to be attach to the discursive knowledge, and which is to arise in the preconscious, not conceptual life of the intellect. Therefore the poetic knowledge is the connaturalistic knowledge that is not doing by the abstraction of the reason. This knowledge is produce by means of the emotion, but the subject of knowing is the intelligence itself. This poetic knowledge perceives not only the essence of the thing by way of the multiplicity of the phenomenon, but also the essence of human being through the resonance of the phenomenon. It overcomes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phenomenon and the essence by the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and object in same time, and than is to intend to the intelligible world, from the sensible world. This is the orientation for the transcendence that reveals in the poetic intuition. There is two kind of the poetic intuition, that is to say the epistemological intuition and the creative intuition. The first is not to intend to the idea of the abstractive essence but the

      • 첨가제 SiO2에 따른 나노컴퍼지트의 전기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정식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유입식 및 건식 변압기가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극복하기위해 전기적,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에폭시수지로 절연된 몰드 변압기가 개발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에폭시수지로 절연된 몰드 변압기도 도시의 인구밀도가 높아지고 전력 수요의 과도 증가로 인한 변압기의 열화에 따른 사고가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첨가량에 따른 기계적 강도 실험에서 우수한 특성을 확인한 SiO2 0.4 [wt%]의 나노컴퍼지트를 사용하여 전기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우선, 첨가제와 온도에 따른 체적고유저항을 측정하기 위해 High resistance meter를 이용하여 전압 10, 100, 1000 [V]를 인가 하여 측정하였고, 유전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HP사의 LCR meter를 이용하였다. 또한, 온도변화를 위해서 ANDO사의 TO-9B 오븐에서 120 [℃]까지 변화하여 원시료와 비교 실험하였다. 그 결과 원시료와 SiO2를 첨가한 시료는 저온 저전계 영역에서는 비슷한 체적고유저항 값을 가지고 완만한 기울기로 감소하였으나, 80 [℃]이상 고온영역에서 SiO2를 첨가한 시료의 체적고유저항이 원시료의 체적고유저항보다 높은 값을 가지고 급격한 기울기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유전특성 실험에서는 두 시료 모두 전압 전압이 증가하면 Cole-Cole 원선도에서 반지름의 값이 감소하였고, 온도가 상승하면 반지름의 감소폭이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계면저항 는 저온영역에서 조금씩 감소하다가 에폭시의 유리전이온도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하였고. SiO2를 첨가한 시료가 원시료보다 높은 계면저항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류밀도의 온도의존성 조사결과 전압과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전류밀도도 상승하였고, SiO2를 첨가한 시료는 원시료와 큰 값의 차이로 고온영역에서 안정됨을 확인하였다. Recently, to overcome the problem of oil and dry type transformers, mold transformer insulated with the epoxy resin having excellent electrical, mechanical properties come into the market. However, the issue come to the deterioration of mold transformers insulated by the epoxy resin because urban population density gets higher and power needs increase. Therefore, in this paper, I investigated electrical properties when used SiO2 0.4 [wt%] nano-composite of the excellent properties in mechanical experiment depending on contents. In order to measure the volume resistivity depending on filler and temperature, I applied 10 [V], 100 [V] and 100 [V] through High resistance meter(HP corporation). I used LCR meter(HP corporation) to find the dielectric properties. Moreover, with temperature, I experimented up to 120 [℃] through TO-9B oven(ANDO corporation) As the result, both Virgin specimen and specimen adding SiO2 has similar volume resistivity at low electric field, and it gradually decreases. But the volume resistivity of specimen adding SiO2 was higher than that of virgin specimen at high temperature above 80 [℃], and it rapidly decreases. When the voltages of two specimens increased in experiment of the dielectric properties, we confirmed that the radius of Cole-Cole circle diagram decreases. And, when temperature rises, I confirmed that shortening the radius decreases. Although interfacial resistance gradually decreases at low temperature, abov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epoxy, interfacial resistance of the specimen adding SiO2 is higher than virgin. Also, in a study of temperature dependancy of the current density, I confirmed that the current density increases if voltage increases. And, because of the excellent insulating properties at low temperature under 80 [℃], I confirmed that the current density remained constant. Affected by temperature at high temperature above 80 [℃], the current density rapidly increased. As the result, I confirmed that the current density was stable with the difference between the specimen adding SiO2 and virgin at high temperature.

      • 技術敎科 授業에서 探究中心 學習指導 方法이 學習者의 學業成就에 미치는 影響

        김정식 忠南大學校 199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inquiry-oriented teaching method in middle school indurstrial technology studies and to find out its effects to the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the study firstly developed the inquiry-oriented teaching method to be adaptable in industrial technology education. In the study, independent, veriable was the inquiry-oriented teaching method developed by the author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knowledge, apprehension, application in the cognitive domain and academic attitudes, interest in affective domain. To find out effects of the inquiry - orinteded teaching method, the following null hypotheses were established. 1) There would be no differences in learning achievment of indurstrial technology studies between a inquiry - oriented teaching method and a lecture-oriented teaching method. 2) There would be no differences in academic attitudes and interest of indurstrial technology studies between a inquiry-oriented teaching method and a lecture-oriented teaching method. Two second school year grade classes were sampled from Peong-li middle school in Tae-Gu city. One class was taught by the inquiry-oriented teaching method, the other class was taught by the lecture-oriented teaching method. Both classes were taught by the author himself as a teachor. The learning achievment tests were administrated to each class as pretest and posttest, academic attitudes and interest, test was given after the experi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In the learning achievmen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knowledge of industrial technology between the inquiry-oriented teaching method and the lecture-oriented teaching method.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apprehension and application of industrial technology between the inquiry-oriented teaching method and the lecture-oriented teaching methods. 2) In the academic attitudes and interest, then were differences accoding to teaching methods. 3) The effect of the inquiry-oriented teaching method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lecture-oriented teaching method. Conclusively, the inquiry-oriented teaching method was more effective than the lecture-oriented teaching method to enhance industrial technology learning achievment, and to improve academic attitudes and interest in middle school.

      • 誘導加熱 시스템에 適用되는 액티브 補助共振 스너버 方式 ZVS-PWM 高周波 인버터에 關한 硏究

        김정식 釜慶大學校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전기 밥솥, 전자 온수기 등에 이용되는 고주파 인버터 기술 배경에 대해 설명하고, 제안한 고주파 소프트 스위칭 인버터 시스템의 동작 특성을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실험 결과에 의해 밝혔다. 가전 민생 · 업무 민생의 전력 전자 분야에서 사용되는 전자 유도 유체 가열용 ZVS 촉진용 양방향 액티브 스위치형 공진 인덕터 스너버 회로를 부가한 위상 시프트 PWM 제어의 특성과 응용에 관한 서술하였다. 즉, 정주파수 위상 시프트 PWM 제어에 의한 풀-브리지 고주파 부하 공진 인버터와 이 고주파 인버터의 AC측에 새로운 ZVS 촉진용 양방향 액티브 스위치형 공진 인덕터 스너버 회로를 부가한 위상 시프트 PWM 제어 액티브 공진 스너버 링크 고주파 인버터의 특성 분석 및 검토를 시뮬레이션 분석 및 프로토 타입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기존의 위상 시프트 PWM 제어 풀-브리지 고주파 부하 공진 인버터는 위상차 각도에 따라 출력 전력 제어가 연속적으로 실시 할 수 있지만, 위상차가 큰 저전력 설정시는 영전압 소프트 스위칭 동작을 할 수 없어 하드 스위칭 동작의 원인이 되어 그 용도가 제한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고주파 부하 공진 인버터는 위상차가 작은 대전력 설정시에는 기존 방식의 위상 시프트 PWM 고주파 인버터로 운전하고 위상차가 큰 저전력 설정시는 제안한 액티브 보조 공진 스너버 회로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소프트 스위칭 고주파 인버터를 채택하고 있다. 저전력 설정시 큰 위상차 각도에서도 ZVS에 필요한 공진 전류를 확보하기 때문에 넓은 출력 전력 제어 범위내에서 ZVS가 가능한 특징을 갖는 본 고주파 인버터의 프로토 타입 실험에 의한 결과와 시뮬레이션과의 상호 비교, 검토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특수한 구조의 전자 유도 유체 발열체를 이용한 유체 가열 장치에의 응용 예에 대해 서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