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빈곤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발달모형 : 보호요인의 부가, 매개, 조절효과 모형을 중심으로

        김순규 全北大學校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focused on the school resilience developmental models of poverty-stricken Korean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examined the additive, mediation, and moderating effect of protective factors on school resilience, and confirmation of the best developmental model to explain school resilience of Korean adolescents in poverty. In order to examine the school resilience developmental models of poverty-stricken Korean adolescents, this study used 2003 and the 2004 data of the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In addition, to test the proposed models, the Mplus―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was used. This study included three research questions to understand the school resilience developmental model of Korean adolescents in poverty. First, how does poverty affect the school resilience, risk and protective factors of the poor adolescents? Second, how do protective factors affect school resilience? Third, what is the best developmental model to explain school resilience of poverty-stricken Korean adolescents among the additive, mediation, moderating effect models of protective factor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effects of poverty increased, school resilience and protective factors decreased. On the contrary, in accordance with the poverty increased, the risk factors did. Poverty also had indirect effects on risk and protective factors; in particular, the direct effects of poverty were stronger than the indirect effects. As a result, poverty was more powerful than some other risk factors. In addition, from the indirect effects of poverty, the school resilience varies according to the risk and protective factors. Second, the additive effect model of protective factors showed the reasonable fitness in the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 factor loading of variables from structural model proved a significant correspondence of the hypothesis. As a result, the direct effects of protective factors about school resilience were examined. The mediation effect model of protective factors showed the close fitness in the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 factor loading of variables also confirmed a significant correspondence of the hypothesis. Thus, protective factors act as buffers against the negative effects of risks on school resilience by mediation. Regarding the moderating effect model, protective factors had a greater positive effect on lower risk adolescents than higher risk adolescents. Third, in comparison with the additive, mediation, moderating effect models by X2, AIC, BIC, the moderating effect model was the most suitable for the school resilience developmental model of Korean adolescents in poverty. As a result, prevention programs to increase protective factors are needed to improve school resilience of poor adolescents.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school resilience of poor adolescents was affected by poverty, risk and protective factors, with the moderating effect model as the most suitable for the school resilience developmental model of Korean adolescents in poverty. These findings have provided variou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for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social work. key words: poverty-stricken adolescents, poor adolescents, school resilience, risk factor, protective factor, developmental model, the additive effect model, the mediation effect model, the moderating effect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plus

      • 韓國戰爭 前後 民間人 虐殺 : 盈德郡 知品面을 중심으로

        김순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1945년 8월, 일제의 속박에서 해방된 한반도는 새로운 나라 건설의 열정으로 가득 차 있었다. 그러나 한반도에 대한 미국과 소련의 분할 점령으로 이데올로기 대립이 격화되어갔으며 이 과정에서 수많은 민간인 학살이 발생하였다.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에서도 해방 후부터 한국전쟁 전후시기에 민간인 학살이 발생하였다. 영덕은 한국전쟁 전후시기에 좌우대립이 치열하게 전개되었던 곳이었다. 이 대립의 과정에서 좌익진영은 입산활동을 하게 되었고, 여기에 북한에서 파견된 인민유격대가 결합하면서 빨치산 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빨치산 활동은 군경의 토벌작전을 불러왔고, 영덕군 일대는 한국전쟁 전에 전쟁상태나 다름없는 상황이 되었다. 2009년 피해자조사를 통해서 영덕군에서 학살당한 피해자는 1,093명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중에서 지품면의 피해자는 160명이었다. 영덕군 지품면의 민간인 학살은 1949년에서 1950년 초 사이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학살 대부분은 군경의 토벌작전 과정에서 발생하였다. 학살 피해자들은 무차별 연행과 폭행을 통해 빨치산이나 빨치산 협력자, 좌익활동 가담자 등으로 간주하였으며 재판을 거치지 않고 바로 즉결 처형 되었다. 영덕군 지품면의 민간인 학살피해의 배경은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 번째는 해방 후 새로운 국가건설의 좌우대립 결과이다. 사회주의 국가건설 세력과 자본주의 국가건설 세력 간의 물리적 충돌과정에서 대량의 민간인 학살이 일어났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구체적이지 못한 군경의 토벌작전 개념이었다. 작전지역 내의 모든 주민을 잠재적 적으로 간주하는 작전 방식이 무차별적인 학살을 불러왔다. 세 번째는 좌익진영의 무리한 헤게모니 장악시도가 주민을 군경과 우익진영의 전과를 위한 희생양으로 되게 하였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김달삼’과 ‘김종원’ 이라는 특정 인물의 영향이다. ‘김달삼’은 북한에서 파견된 저명한 인민유격대 지도자로 영덕에서 활동하였다. 그의 활동은 영덕을 빨치산 소굴로 인식되게 하였다. ‘김종원’은 당시 남한에서 좌익에 대한 잔인한 토벌로 가는 곳 마다 주민의 원성이 높았던 인물이다. 이렇게 상반된 두 인물이 영덕에서 활동하게 되면서 학살피해가 늘어나게 되었다. 학살이 자행되고 난 뒤에 피해자의 가족들은 오랜 세월 동안 고통 속에서 살아왔다. 민간인 학살의 주체가 군인과 경찰이었다는 것은 학살의 책임이 명백히 국가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록 늦었지만, 학살에 대해서 국가가 적극적으로 책임을 져야 할 것이다. In August 1945, the Korean Peninsula was filled with passion towards building a new nation after being liberated from the Japanese colonial rule. Yet, the split occup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by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intensified the ideological polarization, resulting in a countless number of civilian massacres in the process. Civilian massacres occurred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since the liberation at Jipum-myeon, Yeongdeok-gun, Gyeongsangbuk-do. Yeongdeok was a site of fierce development between the leftists and rightists during the periods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During this conflicting process, the leftist side commenced its activities in the mountains, with which the North Korean guerilla forces joined forces to fuel the North Korean partisan activities. The North Korean partisan activities brought about suppressive operations of the military and police forces, and the vicinity of Yeongdeok-gun was as good as a war zone even prior to the Korean War. The victims of the Yeongdeok-gun massacre accounted for during the victim survey in 2009 was tallied at 1,093, among which 160 were from Jipum-myeon. The civilian massacres of Jipum-myeon, Yeongdeok-gun were concentrated in between 1949 and early-1950. Most of the massacre occurred during the suppressive operations of the military and police forces. The victims were considered as N.K. partisans, N.K. partisan collaborators, and participants of leftist activities through indiscriminate restraining and violence, after which they were executed immediately without trial. The backgrounds of civilian massacres in Jipum-myeon, Yeongdeok-gun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The first background is the result of conflict between leftists and rightists in constructing a new nation after the liberation. The civilian massacre occurred amidst the physical clash between the socialist powers and capitalist powers. The second background was the unspecific suppressive operations concept of the military and police forces. The operational method of considering all residents within the area of operations as potential enemy brought about indiscriminate massacres. The third background was that the impractical attempt of the leftist side at hegemonic domination drove out the residents as scapegoats for the military gains of the military and police forces and the rightist side. The last background resulted from the influence of specific figures of 'Kim, Dal-sam' and 'Kim, Jong-won'. 'Kim, Dal-sam' was active in Yeongdeok as an infamous leader of the North Korean guerilla forces dispatched from North Korea. His activities resulted in Yeongdeok being acknowledged as the hideout of North Korean partisans. 'Kim, Jong-won' was notorious for brutal suppression of leftists in South Korea at the time, and incurred the resentment of residents wherever he went. The damages of the massacre could only increase with the activities of these two contrasting figures in Yeongdeok. The families of victims suffe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fter the massacres were committed. The fact that the main agents of the civilian massacres were the military and the police forces implies that the responsibility clearly lies within the government. Albeit late, the country must actively make amends for the massacres.

      • 블렌디드 러닝이 수학학습부진아의 분수학습에 미치는 효과

        김순규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블렌디드 러닝이 수학학습부진아의 분수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려는 실험연구로써,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블렌디드 러닝이 수학학습부진아의 분수 개념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블렌디드 러닝이 수학학습부진아의 분수 가감산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이를 위하여,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 W초등학교 5학년에 재학 중인 수학학습부진아 중에서 부모의 동의를 얻은 아동 10명을 실험집단으로 편성하였고, 실험기간은 2013년 9월 2일부터 10월 25일까지 매 회기 40분씩 주 2-3회 총 17회기를 실시하였다. 블렌디드 러닝의 사이버학습 프로그램은 대구이스터디에서 4학년 1학기부터 5학년 1학기까지 수학의 분수관련 단원을 재구성하였으며, 평가도구는 수학교과서와 수학익힘책의 문제를 연구자가 재구성하여 분수의 개념과 분수의 가감산으로 각각 10문항씩 구성하여 사전․사후 동형문제를 제작 하였다. 자료처리는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평균 점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PSS/PC+21.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95% 신뢰구간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블렌디드 러닝은 수학학습부진아의 분수 개념 형성에 효과적이다. 블렌디드 러닝을 통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형태의 학습 자료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학습에 대한 동기가 지속적으로 유발됨으로써, 학습에 대한 집중력이 강화되어, 분수의 개념 형성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블렌디드 러닝이 수학학습부진아의 분수 가감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수학학습부진아는 분수 학습에 대해서 처음에는 힘들어 했지만, 블렌디드 러닝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분수 가감산을 반복적으로 익히고 면대면을 부가한 활동을 함으로써, 계산 과정에서 실수가 줄고 학습에 대한 부담감을 해소하게 되어, 분수 가감산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 상황별 회화를 위한 어학용 콘텐츠의 설계 및 구현

        김순규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보통신의 발달로 웹 콘텐츠 자료를 활용한 새로운 교수, 학습 방법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문 외국어 능력이 없는 학습자가 여러 가지 상황에 따른 필수 표현을 배우기 위한 어학용 콘텐츠를 설계 및 구현한다. 세부적으로 웹 콘텐츠 방식을 기반으로 여러 나라 언어에 대한 필수 표현을 상황별 회화를 통하여 배울 수 있도록 구현한다. 또한,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도록 애니메이션 동영상과 동시에 사용자가 요구할 수 있는 기능을 두루 갖추고 있으므로 학습 효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New teaching and studying methods using web contents gradually are diffusion with advance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linguistic contents for studying the essential expression in various situations. In details, the linguistic contents are implemented based on web environments and have animations for learning essential expression in living situations using several languages. Also, usefull functions are included in contents to reinforce what you have learned.

      • 동화의 아동 성장 내용 범주와 그 교육적 효용성에 관한 연구

        김순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value that the content of child's growth influence elementary readers in the first-person narrational fairy tale figured child's living and growing. In chapter Ⅱ, I considered the meaning and the feature of child growth in fairy tale. The contents about child's life and growth in fairy tale probabilistically reflect child's actual life and figured the path of self-identity after the growth-subject overcome trials and afflictions. The self-identity is related with not pessimism about life and negative self-conception but future-oriented positive self-conception. There are identity formation by narration of his/her own experiences, establishment of positive self-conception and value, cognition about difference and maintenance of balance in the features of child growth in fairy tale. Narration of his/her own experiences means a record about the events not the past but the present. The record about the events of the present play an essential role for forming the identity. Establishment of positive self-conception and value means that characteristics of child growth in fairy tale is not the past-oriented but the future-oriented. Child protagonist in fairy tale grows not review the past but preview the future. Cognition about difference and maintenance of balance is happen when Child protagonist grow after he recognize the difference and tuning the balance. Child protagonist in fairy tale grows after trials experiences. There are experience of alienation, loss, confusion in trials experiences. Experience of alienation means that child protagonist in fairy tale suppressed by others. Child' desire is not generated from isolated situation. Child's desire is generated from human related with others. But child protagonist is alienated from the suppression. Loss experience means that child protagonist loss someone. The growth subject in fairy tale is child. Child experiences the loss from deprivation. Confusional experience means that child protagonist in fairy tale encounter the unfamiliarity or differentiation from others. Fear or caution is immanent about someone new in unfamiliarity. Fear or caution in unfamiliarity is from perpendicular difference awareness. Awareness of perpendicular of difference means not acknowledgement or becoming but elimination or contempt about difference. In chapter Ⅲ, I considered the content about child's growth in fairy tale. There are identity confirmation from overcoming the alienation, everydayness recovery from overcoming the loss, harmony accomplishment from overcoming confusion. The Content of child growth is according to a embodied story by plot with an ideal motive of trial. There are self-worth finding from resolving a sense of inferiority, self-awareness from experiencing the bullying, self-healing from poverty experiencing in identity confirmation from overcoming the alienation. There are affirmation of life from facing death, acknowledgement of actuality from family disorganization, sexual identity perception from separation experiencing in everydayness recovery from overcoming the loss. There are acknowledgement of being from facing others, affirmation of difference from facing defamiliarization, recognition role from role cross in harmony accomplishment from overcoming confusion. In chapter Ⅳ, I considered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content about child's growth in fairy tale. Fairy tale in child growth content offer self-healing experience, guide for perception about problem-situation and coping, lead to extension of understanding about self and others.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erience self-healing through reading fairy tale which is about child's life and growth and getting identification, catharsis, insight from fairy t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pe problem-situation effectively from perceiving critically event and situation of protagonist and seeking direction of the future-oriented lif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tend of understanding about self and others by acceptance, sympathy, experience becoming.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below. Firstly, this study produce a basis for generation growth discourse by arguing child growth newly from review of children's literature. Secondly, this study show first-person narrational fairy tale catalogue of child's life and growth in detail. Thirdly, this study set up a spring board for self-identity formation from provid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fairy tale according to their cognitive and emotional development stages. 본 연구는 아동의 삶과 성장의 내용이 담긴 동화가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미치는 교육적 효용성을 탐색하였다. 동화의 주인공들은 수많은 시련의 상황에 놓이지만 이를 잘 극복하면서 긍정적 자아를 만들어간다. 현실 세계의 아동에게도 다양한 종류의 시련이 놓여 있으며, 앞으로 그런 상황에 처할 가능성이 다소 내재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동화의 주인공들이 시련을 슬기롭게 극복하고 성장하는 모습이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문제 상황에 대처하고, 미래 지향적인 삶의 방향을 모색할 수 있게 한다고 보았다. Ⅱ장에서는 동화에 담긴 아동 성장의 의미와 특징을 고찰하였다. 아동의 삶과 성장의 내용이 담긴 동화는 아동의 현실적 삶을 개연성 있게 반영한다. 그리고 성장 주체인 아동이 자신에게 닥친 시련과 고난을 극복하고 자아정체성을 확인하는 과정이 담겨 있다. 여기서의 자아정체성은 부정적 자아개념을 형성하거나 삶을 비관하는 것이 아니라 긍정적 자아개념을 형성하고 미래지향적 삶의 비전을 형성하는 것과 관련된다. 동화에 담긴 아동 성장의 특징에는 ‘자기 경험의 서술에 의한 정체성 형성’, ‘긍정적 자아개념과 가치의 정립’, ‘차이에 대한 인식과 균형의 유지’가 있다. 자기 경험의 서술은 아동이 시련을 겪고 극복하는 과정이 지나간 과거에 대한 회고의 기록이 아닌 생생한 현재의 사건 기록으로 서술되는 것을 말한다. 동화의 주인공은 자기 경험을 서술하는 과정에서 성장하게 된다. 긍정적 자아개념과 가치의 정립은 아동의 성장이 현재에서 과거로 나아가는 과거 지향이 아닌 현재에서 미래로 나아가는 미래 지향적인 성격을 지닌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화에서 아동의 성장은 현재를 토대로 과거를 반추하면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현재를 중심으로 미래를 지향하면서 일어난다. 차이 인식과 균형의 유지는 아동의 성장이 타인과의 차이를 인식하고 조율을 통하여 균형을 유지하려는 마음을 갖게 되면서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화에서 시련의 경험은 아동이 성장하는 계기로 작용한다. 시련의 경험에는 소외의 경험, 상실의 경험, 낯섦의 경험이 있다. 소외의 경험이란 동화의 주인공인 아동이 주변에 관계를 맺고 있는 타인에 의해 억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동의 욕망은 현실과 무관한 진공관에서 생겨나는 것이 아니며, 주변 사람들의 영향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형성된다. 그리고 욕망이 억압으로 작용할 때 동화의 주인공은 소외를 경험하게 된다. 상실의 경험이란 동화의 아동 주인공이 당연히 결합되어 있어야 할 관계가 어떤 이유로 인해 해체될 때 일어난다. 아동은 상실을 경험하면서 심리적 압박감과 박탈감을 느끼게 된다. 낯섦의 경험이란 동화의 주인공이 자신의 주변 사람들로부터 이질성이나 차이를 발견할 때 발생한다. 낯섦에는 새로운 것에 대한 두려움과 경계심이 내재되어 있다. 낯섦에 내재된 두려움과 경계는 수직적 차이 인식에 의거한다. 수직적 차이 인식은 다름에 대한 인정이나 생성이 아닌 배제와 경멸을 의미한다. Ⅲ장에서는 동화에 담긴 아동 성장의 내용을 고찰하였다. 아동 성장의 내용은 크게 ‘소외감 극복과 정체성 확인’, ‘상실감 극복과 일상의 회복’, ‘이질감 극복과 조화의 성취’로 분류된다. 동화에 담긴 아동 성장의 내용은 시련의 관념 모티프인 소외, 상실, 낯섦이 플롯을 만나 이야기로 구체화되는 방식에 따른 것이다. 소외감 극복과 정체성 발견에는 열등감 해소와 자아의 가치 발견, 따돌림의 경험과 자아의 각성, 빈곤 체험과 자아의 치유가 있다. 아동 성장의 내용은 상실감 극복과 일상의 회복이라는 대범주 아래 죽음의 대면과 삶의 긍정, 가족 해체와 현실의 인정, 결별의 경험과 성적 정체성 인식의 하위 범주를 지닌다. 이질감 극복과 조화의 성취에는 타자 대면과 존재의 인정, 이질성 발견과 차이의 긍정, 역할 혼선과 역할의 재인이 있다. Ⅳ장에서는 아동의 성장이 담긴 동화가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미치는 교육적 효용성을 탐색하였다. 이들 동화는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자기 치유의 경험을 제공하고, 문제 상황에 대한 인식과 대처를 위해 안내하며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도록 돕는다. 초등학교 학생들은 아동의 삶과 성장의 내용이 담긴 동화를 읽고 동일시, 감정 정화, 통찰을 동원하여 자아 치유를 경험한다. 또한 초등학교 학생들은 이들 동화를 읽고 주인공이 겪는 사건과 상황을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미래 지향적 삶의 방향을 모색함으로써 문제 상황을 효율적으로 대처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초등학교 학생들은 동화를 읽고 수용, 공감, 경험 생성으로 자아와 타자의 이해를 확장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를 중심으로 아동의 성장에 관하여 새롭게 논의를 시작함으로써 아동문학의 관점에서 다양한 성장 담론의 생성을 위한 단초를 제공하였다. 둘째, 아동의 삶과 성장이 담긴 1인칭 주인공 서술의 동화 목록을 상세히 제시하였다. 셋째, 학생이 자신의 인지 및 정서 수준에 맞는 동화를 읽게 함으로써 초등 문학교육에서 아동의 성장 내용이 담긴 동화를 교육 내용으로 수용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