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수진의 작품과 작품론 : 구조를 통한 소설 속 환상의 의미

        김수진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95

        본 논문에서는 김수진의 창작단편소설 「맛있는 선택」외 9편과 소설론을 통해 소설의 창작이 구조적으로 이뤄지는 과정과 작품에서 중심이 되는 환상의 의미가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다루었다.

      • (The) Effect of Repeated Reading on Speaking and Writing of Adult EFL Learners

        김수진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Repeated reading is a procedure that involves reading a same reading material multiple times. Although there are many studies on repeated reading in relation to L1 acquisition, L2 research on repeated reading seems hard to find or has unclear findings. This study is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what effect repeated reading aloud has on speaking and writing of adult EFL students. For this purpose of the study, three theoretical backgrounds, i.e., reading aloud, repeated reading, and teaching adult EFL students, were studied. Ten adult participants were given a text each week and read it three times a week for two months, a total of 50 sessions. The reading materials in the second month were longer than the ones of the first month. The students took a pre-test and a post-test so that the researcher could compare the results. To retain objectivity, the tests were marked by three native speakers of English with analytical assessment rubrics for each speaking and writing.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both speaking and writing. These were highlighted especially in the aspects of speaking fluency, interaction and writing organization using difficult sentence structure.

      • 재능탐색 공간으로서의 음악학원 교수자 전문성 구성요인 탐색 및 타당화

        김수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Exploring and Validating the Factors of Music Academy Instructors’ Expertise as a Talent Exploration Space Kim Su-jin Department of Major in Convergent Gifte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ongsil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and validates the factors related to music academy instructors’ expertise as a talent exploration space. To this end, two research questions are established: first, what are the concepts and factors of music academy instructors’ expertise as a talent exploration space? Second, are the contents of music academy instructors’ expertise as a talent exploration space valid? To address these questions, first,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examine major theories regarding factors of music academy instructors’ expertise as a talent exploration space. Second, the contents were categorized by conducting a focus group interview (FGI) among ten music education experts. Third, based on the literature analysis and FGI, concepts and contents of factors and sub-factors related to the music academy instructors’ expertise as a talent exploration space were provisionally derived. Based on this, a preliminary Delphi survey was created and given to 20 experts in education and music education. Finally, a second Delphi survey is built and implemented by making adjustments based on the preliminary survey results and expert opinions. The results of the second Delphi survey were then analyzed for validity. Analysis showed six factors related to the expertise of music academy instructors as a talent exploration space: i) attitude as an instructor; ii) understanding of talent exploration education; iii) designing talent exploration education; iv) educational environment of talent exploration; v) implementation of talent exploration education; and vi) evaluation of talent exploration education. A total of 13 sub-factors and 68 contents on the instructor’s expertise are determined. The 13 sub-factors are as follows: communication attitude, growth attitude,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talent exploration education, understanding students, knowledge on implementing talent exploration activities and an understanding of reorganizing lessons, lesson planning and preparation, reorganizing talent exploration activity programs, physical environment, psychological environment, subject expertise, instructional expertise, ability to use evaluation results, and sharing and giving feedbacks on academic performance. The results show a need to support music academy instructors to develop their teaching expertise. In addition, the previous curriculum should be improved and supplemented to prepare music majors in their expertise as talent exploration education operators. Training instructors, developing and distributing teaching resources, and raising awareness among parents are necessary measures for music academy instructors to implement effective talent exploration education. Furthermore,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propel the educational community to strengthen educational capabilities; thereby, music academy instructors can share their expertise and collaborate via voluntary self-help meetings intended toward research and progress. 재능탐색 공간으로서의 음악학원 교수자 전문성 구성요인 탐색 및 타당화 김수진 융합영재교육전공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연구는 재능탐색 공간으로서의 음악학원 교수자 전문성의 구성요인 탐색 및 타당화를 위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첫 째, 재능탐색 공간으로서의 음악학원 교수자 전문성의 개념과 구성요인 은 무엇인가?, 둘째, 재능탐색 공간으로서의 음악학원 교수자 전문성의 내용은 타당한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이를 확인하였다. 연구방법은 첫째, 문헌분석을 통해 재능탐색 공간으로서의 음악학원 교수자 전문성에 관한 주요 이론을 탐색하였다. 둘째, 음악교육 전문가 10인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내용을 범주화하였다. 셋째, 문헌분석 과 FGI를 토대로 재능탐색 공간으로서의 음악학원 교수자 전문성에 관 한 구성요인 및 하위요인의 개념과 내용을 잠정적으로 도출하여 델파이 1차 조사지를 제작하여 음악교육 및 교육 관련직에 종사 중인 20인의 전 문가를 대상으로 1차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넷째, 1차 델파이 조사 결과를 확인하고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보완하여 2차 델파이 조 사를 시행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여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재능탐색 공간으로서의 음악학원 교수자 전문성은 ‘교수자로 서의 태도’, ‘재능탐색 교육에 대한 이해’, ‘재능탐색 교육 설계’, ‘재능탐 색 교육환경’, ‘재능탐색 교육 실행’, ‘재능탐색 교육 평가’ 등의 6개 요인 으로 구성되었다. 하위요인으로는 ‘소통 자세’, ‘성장 자세’, ‘재능탐색 교 육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 ‘학습자 이해’, ‘재능탐색 활동 실행을 위한 지 식 및 수업 재구성에 대한 이해’, ‘수업계획 및 준비’, ‘재능탐색 활동 프 로그램 재구성’, ‘물리적 환경’, ‘심리적 환경’, ‘교과 전문성’, ‘지도 전문 성’, ‘평가 결과 활용 능력’, ‘교육성과 공유 및 피드백’으로 총 13개의 세 부 요인과 68개의 교수자 전문성의 내용이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수자 전문성을 근거로 음악학원의 교수자들이 교육 전문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음 악 전공자들이 재능탐색 교육 운영자로서의 전문성을 준비할 수 있도록 직전 교육과정을 개선하고 보완해야 한다. 음악학원 교수자들이 효과적 인 재능탐색 교육을 실행할 수 있도록 교육 연수 시행, 교수 활동 참고 자료 개발 및 보급, 양육자들의 인식개선을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더불어 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공동체 활성화를 지원하여 음악학원 교수자들이 자발적 자조 모임을 통해 전문성을 공유하고 협업하여 함께 연구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 전통시장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상인들의 인식과 참여에 관한 연구 -서울중앙시장 상인을 중심으로-

        김수진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과거 도시재개발 사업은 물리적 환경 개선에 집중하여 지역 간의 불균형과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의 문제를 발생시켜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 도시문제의 해결방안으로 도시재생사업이 제안되었고, 공공주도의 문화적 도시재생사업이 보편화 되면서 쇠퇴한 전통시장에 문화예술사업이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서울중앙시장의 중앙통과 지하상가 상인을 중심으로 신당창작아케이드 문화예술프로그램을 어떻게 인식하고 참여하는가에 집중한다. 연구의 방법은 시장과 상인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 시장운영회와 창작공간관계자의 인터뷰를 진행했고, 문화예술프로그램에 대한 상인들의 인식과 참여를 중점적으로 살피기 위해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수행했다. 문화예술프로그램이 운영되는 ‘위치’와 점포 ‘운영형태’는 상인들이 문화예술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데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문화예술프로그램 운영장소는 주변 점포 상인들의 참여를 이끌었고, 2인 이상의 운영형태 일 때 참여 빈도가 높았다. 대부분의 상인들은 비자발적인 참여로써 문화예술프로그램을 접한다. 상인들의 사회적 관계는 비자발적 참여를 자발적 참여로 유도하며 문화예술프로그램의 참여를 확장시키고 있었다. 이 연구는 전통시장의 문화예술사업을 상인들의 시각에서 조명하고, 수요자 관점에서 분석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구의 대상 범위 설정으로 서울중앙시장의 도매구역 상인들을 분석에 반영하지 못한데 그 한계가 있다. 앞으로 문화예술사업을 수용하는 상인의 연령, 업종, 성별등의 특성을 반영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e urban Regeneration program in the past came to the fore as a social problem, as it resulted in gentrification problem and disproportion amongst regions by focusing on physical environmental developments. Urban Regeneration programs have been suggested as a solution to these urban problems, and as public-led cultural urban Regeneration programs have become general, the Culture&Arts programs for declined traditional markets are increasing in their number. This study focuses on how the merchants of Seoul Joongang markets in particular perceive and get involved in the Sindang Arts Arcade’s cultural art programs. Interviews with Market Management Committee and the arts space staff had been conducted to understand the market and the merchants’ culture, and also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were done to mainly focus on the merchant’s perception and involvement regarding the cultural art programs. The ‘position’ in which the cultural art programs are progressed and the ‘operation type’ of the stores are deeply related to how the merchants can get involved in the cultural art programs. The location of the cultural art program drew attention from the nearby merchants, and the participation rate increased when the program was managed by two or more people. Most of the merchants participate in the cultural art programs involuntarily. However, the social relationships built among them have been encouraging them to get involved, leading their involuntary participation voluntary. This study has its meaning in looking at the Culture&Arts programs in traditional markets from the merchants’ view, and analyzing them in the viewpoint of a demander. However, it is limited in that the analysis of the merchants in the market’s wholesale ares could not be reflected because of the study’s subject range setup. Thus follow-up studies are needed, which additionally apply Culture&Arts program-friendly merchants’ features such as their age, business type, and gender.

      • 서울시 광희동 외국인밀집지의 형성 과정 연구

        김수진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rea called Central Asian area located in Gwanghui-ding, Jung-gu, Seoul the current through any process leading to today. Since 1990, the bundle with the Russian traders, Central Asian people started to concentrated in Gwanghui-dong. As a result, now is development New-Kumho tower called Mongol tower and alley side street of Central Asian food. The 2000s, the acceleration of globalization and the increasing number of foreign situation, Gwanghui-dong belonging to the city center of Seoul densely in the foreign represents their identity are changing for them as commercial areas. Therefore, examined focuses on building use designation status of the area and the growth process of the change in the formation and growth of import foreign Gwanghui-gong area. Thus, except for the major trading industry for forming the distance foreign, it has been found that tend to be formed around the restaurants. In the future, when investigating for foreign-up area, considering for the food culture and national character is likely to be an important factor. At this point around the destination area in Gwanghui-dong, foreign operations malls are increasingly and some locals are togetherness, positive systems will be provided about foreign management policy and urban planning management systems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Cental Asian Area. 본 연구는 서울시 중구 광희동에 위치한 중앙아시아거리라고 불리는 지역이 현재 어떠한 과정을 거쳐 오늘에 이르게 되었는가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90년 이후 광희동에는 러시아 보따리 상인들을 시작으로 중앙아시아계 사람들이 밀집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현재는 뉴-금호타워 쪽의 몽골타워와 골목길 쪽의 중앙아시아 음식거리가 형성되어 발달되었다. 2000년대 이후 증가하는 외국인의 수와 세계화가 가속되는 시점에서 서울의 도심부에 속하는 광희동은 외국인들이 밀집하여 그들만의 정체성을 나타내며 그들을 위한 상업지역으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광희동 외국인 밀집지역의 형성과 성장이 가져오는 변화를 대상지 일대의 건축물 용도 현황과 그 성장과정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외국인 거리의 형성 시 주요 교역 업종을 제외하면 음식점 중심으로 형성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향후 외국인 밀집지역에 대한 검토 시 해당 국가의 국민성 등 음식 문화에 대한 검토가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광희동 대상지 일대의 외국인 운영 상가들이 늘어나고 일부 지역 주민들과 공생해 나가야하는 현 시점에서, 중앙아시아 거리의 발생 과정에 대한 이해를 통한 외국인 관리 정책 및 도시 계획적 관리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제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바닥판 진동 저감을 위한 임팩트 댐퍼의 성능에 관한 연구

        김수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바닥판의 두께를 증가시켜 구조물의 진동을 줄이는 고전적인 접근방법은 그 성능 및 비용적인 측면에서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진동저감시스템을 바닥판에 적용함으로써 바닥판의 효율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진동을 저감시키고자 한다. 바닥판의 거동 및 동적특성을 지배하는 질량, 감쇠, 강성 3가지 요소를 변경하는 진동 저감 시스템을 적용하여 그에 따라 바닥진동의 특성과 저감효과를 소형바닥판 실험체를 통하여 평가한다.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성능이 검토된 진동저감시스템을 실 스케일 바닥판 모형에 적용하여 각 시스템에 따른 진동저감효과를 평가하여 최적의 저감효과를 가지는 진동저감시스템을 선정한다.

      • 소년범 대상 검사 결정전조사서의 처분의견 영향요인

        김수진 동국대학교 경찰사법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소년범 대상 검사 결정전조사서의 처분의견 영향요인 김수진 동국대학교 경찰사법대학원 범죄심리학과 범죄심리전공 소년범죄의 잔학성과 높은 재범률로 인하여 소년범죄에 대한 효율적 해결방안을 찾는 것은 우리 사회의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었다. 이와 같은 사회적 분위기에 맞추어 소년범 처리 실태와 위험성평가와 관련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소년사건에 대한 검사 처분과정에서의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검사 결정전조사서를 대상으로 검사 처분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관찰관 처분의견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조사 항목을 범행요인, 범죄경력 요인, 범죄자 요인, 범행 후 정황 요인으로 범주화하여 독립변수로 설정한 후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북부지방검찰청에서 2013. 1. 1.부터 2020. 12. 31. 까지 보호관찰소 등에 조사 요구한 검사 결정전조사서를 총 136건을 수집하였으나 조사 불응 등 사유로 분석에 적합하지 않은 9건을 제외하여 총 122건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를 활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한 후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교차분석과 t검정을 실시하여 이를 통계적으로 규명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결정전조사가 의뢰된 소년범은 초범이거나 범죄경력 1회인 소년의 분포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소년의 나이 또한 만 15세와 16세가 주를 이루었다. 또한 시설수용 경험이 없는 소년이 대부분이었다. 이는 홍영오 외(2009)가 검사를 상대로한 설문조사에서 기소유예가 기대되는 사건을 의뢰한다는 결과를 뒷받침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둘째 연구가설 1 범행 관련 가설 중 가설 1-1 범행유형(죄명), 가설 1-2 범행역할은 처분의견에 미치는 영향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소년사건은 응보 관점보다 특별예방적 관점에서 접근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가설 1-3 피해자수와 가설 1-4 범죄명 경합은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피해확대와 행위책임 관점이 고려된 결과라 할 수 있다. 셋째 연구가설 2 범죄경력 관련 가설 중 2-1 범죄경력과 처분의견은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행위자책임과 재범위험성의 특별예방적 관점이 중시된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가설 2-2 시설수용 여부는 처분의견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가설 3 범죄자 관련의 가설 3-1 소년의 애착 정도와 가설 3-2 무단결석은 처분의견 결정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확인되지 않않다. 다섯째 연구가설 4 범행 후 정황 요인 중 가설 4-1 범행 태도 여부와 가설 4-2 합의여부는 처분의견과 유의미한 관련이 확인되지 않았다. 가설 4-3 구체적 미래계획은 처분의견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범죄유형에 따라 범죄 촉발요인이 다르다. 하지만 연구 결과, 범죄 원인에 해당되는 요인 중 보호관찰관 처분의견과 유의미하지 않은 관계들이 확인되었다. 효과적인 범죄예방을 위해서는 범죄유형 별로 개별적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범죄 원인 등 선행 연구들을 적극 반영고 고려한 처분의견 제시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조사가 아닌 범죄이론에 기초한 조사항목이 개발해야 하며 이를 사후 경험적 검증을 통해 수정해 나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검찰단계에서의 실증적 연구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검사 결정전조사 항목 중 처분의견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는 변수를 추출하였고 이를 통하여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범죄 촉발요인과 억제요인에 대한 변수가 처분의견과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 또한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소년범에 대한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는 단순한 비판에서 벗어나 소년범죄의 적정 처분과 예방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또한 이를 통해 소년범죄에 대한 개별적 접근과 사후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ABSTRACT Factors affecting opinions on disposition of a pre-determination investigation for juvenile offenders Kim, Su Jin Department of Criminal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Police and Criminal Justice Dongguk University It has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problem in our society to find an efficient solution to juvenile crime due to the cruelty and high recidivism rate. In line with this social atmosphere, researches related to the handling of juvenile offenders and risk assessment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However, researches on the screening process for juvenile cases have not been intensively investigated so far. Therefore, this thesis analyi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dependent variable after setting the prosecutor pre-determination investigation that affects the screening process as a dependent variable, categorizing the investigation item as a crime factor, criminal record factor, criminal factors, and post-crime circumstantial factor. 136 prosecutor pre-determination investigations required by probation offices are collected from the Seoul North District Prosecutors’ Office from January 1, 2013 to December 31, 2020. Among them, 9 cases not suitable for analysis due to non-compliance with the investigation are excluded.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is statistically investigated by using SPSS for frequency analysis, cross tabulation analysis and t-test. The following is the summarization of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after reviewing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the distribution of juveniles who were first-time offender or once in criminal record commissioned to conduct a pre-determination investigation was overwhelmingly high. The juveniles were also mainly aged 15 to 16. Also, most of the juvenile had no experience in facility. This is the result of Hong Young Oh et el. (2009)’s survey of prosecutors supporting the result of commissioning a case that is expected to be suspended from prosecution. Second, research hypothesis 1, the effect of hypothesis 1-1 (charge) and hypothesis 1-2 on the disposition opinion has bot been confirmed. This is interpreted as a juvenile case being approached from a special precautionary point of view rather than a retribution point of view. Hypothesis 1-3 the number of victims and hypothesis 1-4 contention for the name of charg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his is the result of considering the expansion of damage and the view of action liability. Third, research hypothesis 2 Among criminal record hypotheses, 2-1 criminal record and disposition opin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particular precautionary view of actor liability and recidivism risk. Hypothesis 2-2, The acceptance of facilities was not related to the disposition opinion. Fourth, research hypothesis 3 criminal related hypothesis, hypothesis 3-1 juvenile related to attachment hypothesis, hypothesis 3-2 the absence without permission was not have an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cision on disposition of truancy. Fifth, research hypothesis 4 among circumstantial factors after the crime, it has not been confirm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nnection with the disposition opinion between research hypothesis 4-1 the crime attitude and hypothesis 4-2 the agreement status. Hypothesis 4-3 specific futre plan were found to be related to disposition opinion. Crime triggers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crime. However, the study shows that non-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probationary disposition opinion among the causes of crime. Effective crime prevention requries individual approaches to each type of cr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flect prior studies such as the cause of crime and present opinion disposition considering them. In addition, investigation items based on criminal theory, not demographic surveys, should be developed, and revised through post-experiential verification. This thesis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n empirical stduy at the prosecution level. Variables that show significant relationship to disposition opinions were extracted from pre-determination investigation items. This also confirmed that variables for crime triggers and inhibitors presented in prior studies do not represent significant relationships to disposition opinions. Through this thesis, hopefully, it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be interested in proper disposal and prevention of juvenile crimes, rather the simple criticism that punishment for juvenile offenders should be strengthened. It is also hoped that this will enable individual access to juvenile crime and follow-up research.

      • 고령화 사회의 노후소득보장제도에 관한 연구 : 공적연금과 공공부조를 중심으로

        김수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A great subject of the 21st century is the aging of population. Even neologism called agequake which compares the aging phenomenon to natural disaster earthquake has been appeared. It means that social and economic impacts caused by changes of population structure in the aging society will be great as aging phenomenon is expressed as 'agequake'. The aging of population is a serious problem which may bring about nationally great disaster. As the aging phenomenon has been developed, the elderly problems have been also serious. In particular, the elderly in Korea lack the income security means and are at risk of poverty in their old age. Since income security has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n improving the elderly problems, it becomes the most important solution in solving them. Although Korea has arranged institutional systems for income security of the elderly, it is in very poor condition and level. Also the elderly themselves can't provide for their old age. Thus roles of public sector of income security system for the elderly have been emphasized.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income security for the elderly, examines public pension and pubic assistance which are national systems related to the elderly income security and aims to present desirable ways of the elderly income security with results of this study. Therefore, it adopts research methods used by Gilbert and Terrel(1998) as a framework of analyzing social welfare policies in order to analyze public pension and public assistance.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sent conditions of national pension,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and non-contributory old age pension system, the following common matters are found. First, it was analyzed that these systems have blind spots of income security due to inaccuracy of supporter standard and asset survey in selecting beneficiaries. Second, sufficiency of allowance cannot be secured due to problem in deciding amount of livelihood allowance and not considering minimum livelihood expenses by household types. Third, practical security has been restricted due to the poor financial resource of allowance. Improvement methods suggested are getting rid of extensive blind spots which is the most urgent task of current national pension system and extending beneficiaries of public income security through acceptance into national pension. Concrete methods for these include reorganization of management system of national pension system, enhancement of administrative management ability, extension of applicants to national pension and activation of pension credit system introduction. Clear calculation of the elderly without practical support ability and supporters and level of minimum livelihood expenses, payment items and rating methods should be also improved by examining supply and demand conditions of subjects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which is a part of public assistance systems. Direct and substantial income security system in non-contributory old age pension system should be guaranteed for the elderly who are under the economic difficulty and economic stability should be maintained in their old life. It is considered that these methods will be helpful to the elderly enjoying minimum life as man by giving them more real and substantial security in executing the elderly income security system. 21세기 큰 화두는 인구의 고령화 현상이다. 고령화 현상을 지진(earthquake)으로 인한 자연재해에 견주어, 에이지퀘이크(인구지진, agequake)라고 지칭하는 신조어도 등장했다. 이는 고령화 현상을 ‘인구지진(agequake)’이라고 표현할 정도로 고령화 사회에서 인구구조의 변화가 초래하는 사회 ․ 경제적 충격이 큼을 의미한다. 인구의 고령화 현상은 국가적으로 대재앙을 몰고 올 수 있는 심각한 문제이다. 고령화 현상이 진행되어 감에 따라 한국에서도 노인문제가 매우 심각하게 부각되고 있다. 특히나 한국의 노인들은 노후의 소득보장준비가 미비하여 노후에 빈곤 위험에 처하고 있는 실정이다. 소득보장은 노인문제의 개선에 직 ․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노인문제 해결의 가장 중심적인 해결책이 되고 있다. 현재 한국은 소득보장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는 있으나 그 수준은 매우 열악하다. 또한 노인 스스로 노후생활에 대한 준비를 갖추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을 위한 소득보장제도에 대한 공적부문의 역할이 중요시 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노인들의 소득보장에 초점을 두고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노후소득보장에 관한 제도들인 공적연금과 공공부조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도출된 문제점을 토대로 이에 대한 바람직한 방안들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노후소득보장제도인 공적연금과 공공부조를 분석하기 위해서 사회복지정책을 분석하는 틀로서 흔히 사용되는 Gilbert와 Terrel(1998)의 연구방법을 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민연금,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및 경로연금제도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 공통사항으로 첫째, 수급자 선정기준에 있어 부양의무자 기준 및 자산조사의 부정확성 등으로 소득보장의 사각지대가 존재하는 문제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급여의 형태에 있어 생계급여액 결정상의 문제 및 가구유형별 최저생계비 미반영 등으로 급여의 충분성이 확보되지 못하고 있었다. 셋째, 급여의 재원이 빈약하여 실질적으로 보장을 받는데 제약을 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시된 개선방안은 현재 국민연금제도의 가장 시급한 당면과제인 광범위한 사각지대를 해소하여 국민연금 가입을 통해 공적 소득보장의 보호를 받는 사람들을 최대한 확대하는 일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 방안은 연금제도의 관리운영체계를 재편하고 행정관리 능력을 제고하여 가입자를 확대시키는 방안과 연금 크레딧제도 도입의 활성화이다. 공공부조제도인 국민기초생활보장 대상자의 수급조건을 현실적으로 파악하여 실제 부양능력과 부양의무자가 없는 노인들을 명확하게 산정하는 방법과 이들에게 지급되는 최저생계비 수준과 지급항목 및 비율방법도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경로연금제도에 있어서도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노인들에게 직접적이고 실질적인 소득보장 혜택을 보장함으로써 노후생활에 경제적 안정을 유지토록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방안들은 노후소득보장제도를 수행함에 있어서 생활이 어려운 노인들에게 보다 더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보장이 이루어져서 인간으로서 최소한의 삶을 영위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 한국 여성국극의 공연예술 경쟁력 요인

        김수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47

        초 록 한국 여성 국극의 공연예술 경쟁력 요인 김수진 본 연구는 여성국극 공연예술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도출된 요인을 바탕으로 AHP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쌍대비교분석을 통해 각 요인 별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요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공연예술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도출된 요인들의 소속별 우선순위 및 중요도를 측정하기 위해 설문지 조사를 통해 AHP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여성국극의 공연예술 경쟁력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여성국극 공연예술 경쟁력 요인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는 어떠한가?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여성국극의 공연예술 경쟁력 요인으로 작품 요인, 자원역량 요인, 시장 요인, 정책 요인 등 4개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이 가운데, 여성국극의 공연예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가장 중요하게 평가해야 할 요인은 시장 요인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출된 4개 요인의 각각의 평가항목 간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작품 요인의 경우, 주제 평가항목이 1순위로 도출되었다. 자원역량 요인의 경우, 인적자원 평가항목이 1순위로 도출되었다. 시장 요인의 경우, 시장수요 평가항목이 1순위로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정책 요인의 경우, 다양성 지원 평가항목이 1순위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침체된 여성국극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필요한 요인을 도출하고 요인 별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평가하고, 나아가 각 요소별 평가항목에 대한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도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