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과 한국의 중등 음악 교사 양성 제도 및 교육과정 비교 연구 : 중국의 '수도사범대학교'와 한국의 '한국교원대학교'를 중심으로

        쑤셴 한국교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음악 교사 양성은 음악 교육 발전의 중요한 과제이다.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의 전반적인 음악 교육 제도를 살펴보고, 양국의 대표적인 사범대학 음악 교육과 교육과정 체계 및 양국의 중등 음악 교사 임용 제도 비교 분석을 통하여 한중 양국의 중등 음악 교사 양성 제도 개선에 참고하고 음악 교육 발전을 모색하는 것이 목표이다. 중국 기초 교육 개혁은 수 년 동안 일정한 성과를 거두었지만, 음악 교육이 21세기 사회 경제 및 교육 발전을 따라가려면 지속적인 역량 강화와 개선이 필요하다. 제도적으로 충분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음악 교육 문제를 연구하기 위해 선진화된 음악 교육 양성 제도를 직접 경험하고 비교하면서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는 일은 의미가 있다. 한국 국립 대학교인 한국교원대학교는 한국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교사 양성 기관으로 간주되고 있다. 한국교원대학교에서 중국 교환 학생으로 3년간 공부한 것은 외국인으로서 한국의 음악 교사 양성 제도를 새롭게 관찰하는 좋은 경험이었고, 중국과 한국 양국의 음악 교사 양성 제도를 직접 경험함으로써 보다 넓은 시야에서 비판적인 시각을 갖게 되었다. 중국인으로서 바라본 한국의 음악 교사 양성 제도는 중국 음악교육 발전에 참고한 만한 가치도 있고, 비판 받을 부분도 있다고 본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내용으로는 한중 양국의 음악 교육 제도, 중등 교사 양성 제도 및 방안, 중등 교사 자격 및 임용 제도를 분석하여 비교한다. 또한 중국인으로서 한국의 경험을 참고하여 중국 사범대학 중등학교 음악 교육 전공 과정의 개혁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를 통해 도출한 비교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은 교사 수습 제도가 다르다. 중국은 수습 교사 제도를 필수로 하고 큰 비중을 두고 있는 데 반해 한국은 교생 실습 기간으로 이를 대체하고 수습 제도는 없다. 즉 한국의 예비 음악 교사들이 진정으로 교사라는 직업이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지를 실험할 수 있는 기간이 부족하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점은 한국 전반의 음악 교사 양성 제도에 있어 지적할 수 있는 문제이다. 둘째, 한국과 중국의 임용 제도가 다르다. 한국은 국가적인 임용고시를 통해 교사를 선발하는데 이 시험은 고도의 전문적 지식을 요구한다. 이러한 현상은 교사가 지녀야 할 인성 및 소통, 공통체적 능력을 강화시키기보다 자칫 지식만을 요구하는 경향이 있어 교육적 자질을 길러주는 데 한계가 있다. 하지만 전문적인 지식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는 강점이 있으므로 중국에서도 참고할 부분이다. 셋째, 한국과 중국의 사범대학 음악 교육과 교육과정 비교에서 가장 큰 시사점은 전통 음악 관련 교육과정이다. 한국교원대학교 음악 교육과 교육과정에서 국악은 서양 음악과 대등한 비중을 차지한다. 중국 교원 양성 기관에서 민족 음악 교육은 비중이 크지 않고 체계적인 교육 환경 조성이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한국과 마찬가지로 서양 음악이 중심을 차지하는 중국의 음악 교육과정에서 민족 음악 교육과정이 체계적으로 자리 잡기 위해 한국의 경험은 참고할 가치가 있다. 이와 같이 연구를 마무리하면서, 비록 졸고이지만 중한 양국 교사의 교류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된다면 논문을 쓴 목적을 이루었다고 생각한다. 이 논문이 중한 양국 교사의 교류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기를 바라며, 연구를 위해 한결같이 지지해 준 한국교원대학교와 외국인임에도 따뜻하게 많은 것을 가르쳐 주신 음악교육과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를 드린다.

      • 우리나라 교원단체의 조직정체성에 관한 연구

        박완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9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or the Organizational identity of Korean teachers' Associations foundation base, bargain collectively activity, teacher's identity. Established research contents are as below to fulfill this research purpose: 1. Compare and analyze on group identity shown on foundation base of teachers' Associations. 2. Compare and analyze on group identity shown on bargain collectively activity 3. Compare and analyze on group identity shown on teachers recognition To address the research contents,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survey were implemented. Relevant academic journals and earlier studies were reviewed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study, and research survey was conducted with a questionary paper that were prepared by this researcher through the advice of this researcher's main professor after taking a pilot surve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00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in Gyonggi provinc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449 teachers that were analyzable were analyzed by SPSS/PC+ program(Ver. 15.0). And frequency analysis, χ² test were utilized. First. Organizational identity shown in foundation base Our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s compared with Organizational identity widely shown in foundation purpose of teachers organization, business contents,character.activity,code and foundation base in law etc. KFTA(Korean Federation of Teachers Association) presents an professional idea very clearly in the role and establishment in teaching profession of specialization as a special interest group which is improving teacher's socioeconomic status elevation in their foundation purpose. KTU(The Korea Teachers and Educational Workers’ Union) shows 'supporting a basic right positively as an education laborer' in their foundation purpose and presented an idea of labor union very well. Looking around their business contents, KFTA presents 'an establishment of teachers' speciality and democratic development of education' as a professional group and KTU shows 'business contents which secures teachers' democratic rights and full security of labor rights through changing of education-related law' and 'cooperation with labor rights group and international joint activity business of labor movement'. KFTA presents on fulfillment of teachers' establishment of specialization as a professional group in developing teachers' socioeconomic status elevation as a special group and 'making an effort of teachers' specialization extension' which presents an idea as a professional group. Besides, there are no phrase which shows an honor clearly as a group of labor union in KTU's code but 'establishment of professionalization' was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t means teachers are a professional job instead of a labor job. Looking around a foundation basis of teachers organization in law, KFTA has a law theory on professional teachers organization in 'special law for enhancing teachers' position elevation' and 'negotiation and agreement to elevation of teachers' position' and we found KTU has a law ground on labor union teachers organization in 'law of teachers' labor union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and ' labor union and labor-related adjustment law' Second. Organizational identity shown in bargain collectively activity Compared and analyzed matters divided by teachers' socioeconomic status elevation and teachers' specialization extension based on bargain collectively , KFTA has 462 cases(77.2%) agreements related to teachers' socioeconomic elevation and teachers' specificity elevation matters occupied 137cases(22.8%) between 1992-1997. But only 12 cases(9.0%) were related to teachers' professional elevation among KFTA agreements from 2000 to 2002. we saw KFTA roles were focused on the roles of special interest group rather than a professional group compared with 137 cases(22.8%) which was agreed and related to teacher's professional elevation from 1992 to 1997 before KTU's occupying a legal position of teachers organization. Accordingly, KFTA and KTU's discriminations were shown going unclear step by step. In case of KTU, there were total 134 cases(97.1%) which was related to teacher's socioeconomic status elevation and there were only 4 cases (2.9%) related to teacher's specialization extension from 2000 to 2002. But KTU had relatively higher 38cases(27.5%) more than KFTA's 24cases(18%) related to labor condition and welfare. KFTA has lower activity on professional elevation, due to environment factor in lower cognitive and more less members and strong competition with KTU after KTU's legalization was made and KTU was analyzed in lower activity related to professional elevation which is teachers' basic factor only focused on role and function as labor union group, and KTU, much focused on role and function as labor union organization has been analyzed an insufficiency relatively to professional elevation-related activities were in short. Third. Organizational identity shown in teachers' recognition There were only 87.2% in teaching profession in researching of teachers asked in a survey result and expected teachers' organization will play a role in teacher's rights improvement and socioeconomic status elevation. Most teachers said teachers organization activities are coincidence with group idea and foundation purpose and are much satisfied with bargain collectively activity. KTU has a better organizational identity and well recognized about teachers organization image as a labor union group compared to KFTA As an aim pointing by teachers organization, professional attention and labor principle mixed form has been said by both teachers organization and said 'teachers socioeconomic status elevation' and 'teachers professional establishment' must be a priority. As an worth aiming by teachers organization, 'professional extension', 'right protection', 'socioeconomic status elevation', 'win-win and cooperation planning related with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s' has higher agreement percentage of 80% but has 60% lower agreement percentage of 'political influence extension as a interest/pressure organization'. It means teachers want teachers organization must be true to their role as a interest organization, whereas they are a little negative in enlarging a political influence. 'Teachers treatment and welfare promotion' and 'labor conditions improvement and socioeconomic status elevation' should be in first place in a survey on business content priority order and efforts for 'socioeconomic status elevation' efforts should be in first place in priority order of bargain collectively activity. To establish an honor and organizational identity as a teachers organization by both teachers organizations in the future, both organizations must do their best in activities by developing teachers' socioeconomic status elevation and teachers' professional extension.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원단체의 설립근거, 단체교섭활동, 교원의 인식에 나타난 조직정체성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교원단체의 설립근거에 나타난 조직정체성을 비교·분석한다. 2. 교원단체의 단체교섭활동에 나타난 조직정체성을 비교·분석한다. 3. 교원의 인식에 나타난 교원단체의 조직정체성을 비교·분석한다. 이상의 연구 내용을 규명하기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 고찰은 본 연구의 주제와 관련된 학술지와 단행본, 선행연구 문헌, 교원단체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는 이 연구의 이론적 배경과 설립근거 및 단체교섭활동에 나타난 조직정체성을 분석하는 데 사용되었다. 조사연구는 연구자가 지도 교수의 자문과 예비조사를 통하여 작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 방법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연구 내용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교원단체의 설립목적, 사업내용, 성격·활동, 강령 및 법적설립근거 등에 전반적으로 나타나 있는 조직정체성을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교총은 전교조는 설립목적과 사업내용에 전문직주의 이념과 노동조합주의 이념을 잘 나타내고 있다. 한국교총은 이익단체의 성격으로 교원의 사회적·경제적 지위 향상과 전문직주의 단체의 성격으로 교직의 전문성 확립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으며, 강령에도 전문직주의 단체로서의 이념을 일관되게 제시하고 있다. 교원단체의 법적설립근거를 살펴보면, 한국교총은 ‘교원지위향상을위한특별법’과 ‘교원지위향상을위한교섭·협의에관한규정’에 전문직주의 교원단체에 대한 법률적 근거를 갖고 있으며, 전교조는 ‘교원의노동조합설립및운영등에관한법률’과 ‘노동조합및노동관련조정법’에 노동조합주의 교원단체에 대한 법률적 근거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섭·협의와 단체교섭에 관련된 준거를 크게 교원의 사회적·경제적 지위 향상에 관련된 사항과 교원의 전문성 신장에 관련된 사항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해 본 결과, 전교조가 교원노조의 합법적 지위를 차지하기 이전인 1992년부터 1997년까지 한국교총의 교원의 전문성 신장과 관련하여 합의된 사항이 137건(22.8%)이었으나, 2000년부터 2002년까지 한국교총의 합의된 사항 중 교원의 전문성 신장과 관련된 사항은 12건(9.0%)에 불과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교총의 역할이 전문직 단체로서의 역할보다는 이익단체의 역할에 치중했음을 반영해 주는 결과이다. 이에 따라 노동조합주의 단체인 전교조와의 차별성이 점차 불분명해져 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교조의 교원의 전문성 신장과 관련된 사항은 4건(2.9%)에 불과하였으나, 교원의 근로조건 및 복지후생과 관련된 사항은 한국교총의 24건(18.0%)에 비하여 38건(27.5%)으로 그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국교총의 경우 전교조의 합법화 이후, 회원수가 감소하며 인지도가 낮아지는 등의 환경 요인과 교원노조와의 치열한 경쟁 상황으로 인하여 전문성 신장과 관련된 활동이 상대적으로 점점 약해지고 있으며, 전교조의 경우 노동조합주의 단체로서의 역할과 기능에 치중하다 보니, 교직의 기본 성격인 전문성 신장과 관련된 활동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교원의 교직관에 대한 설문분석 결과 조사에 응한 교원 중 87.2%는 교직이 전문직이라고 응답하였으며, 교원단체가 교원의 권익과 사회적·경제적 지위 향상을 위한 역할을 해줄 것을 기대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교원은 교원단체의 활동이 단체이념과 설립목적에 부합한다고 생각하며, 단체교섭활동에 대한 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교원단체의 이미지에 대해서는 한국교총에 비해 전교조가 노동조합주의 단체로서의 조직정체성을 더 분명하게 지니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원단체가 지향해야 할 이념으로 양 교원단체 모두 전문직주의와 노동조합주의가 혼합된 형태라고 응답하였으며, 지향해야 할 목적으로 ‘교원의 사회적·경제적 지위 향상’과 ‘교직의 전문성 확립’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교원단체가 지향해야 할 가치로 ‘전문성 신장’, ‘권익 보호’, ‘사회적·경제적 지위 향상’, ‘교육관련 단체들과의 상생과 협력 도모’에 대하여 80%대의 높은 동의율을 보였으나, ‘이익·압력단체로서의 정치적 영향력 확대’에 대해서는 60%대의 조금 낮은 동의율을 나타냈다. 사업내용의 우선순위에 대하여 ‘교원의 처우 및 복지 증진’과 ‘근로조건의 개선 및 사회·경제적 지위 향상’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단체교섭활동의 우선순위에 대해서도 대부분 ‘사회적·경제적 지위 향상’을 위한 노력에 최우선을 두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향후 양 교원단체가 교원단체로서의 위상과 조직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교원의 사회적·경제적 지위 향상과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활동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한·중 한자어의 비교 연구 : 연세대학교 한국어 교재(3-6권) 부록에서 나온 어휘를 중심으로

        유열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현재 한국의 한자어와 중국어의 관계가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그 목적으로 한다. 현재 한국어에서 한자어가 차지하는 비율과 일상 언어생활에서의 사용빈도는 아주 높다고 한다. 그래서 중국인 학습자는 비한자 문화권의 한국어 학습자보다 한국어를 학습할 때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한국에서 사용하는 한자어와 중국어 어휘는 의미, 형태 그리고 용법에서 일치하지 않는 어휘가 많이 존재하고 있다. 이렇게 한국어 어휘로 굳어진 한자어는 현재 중국어 어휘와 여러 면에서 차이를 보이고 이러한 차이는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를 학습하는 데 방해 요소가 된다. 그래서 본 논문은 한·중 한자어의 비교를 통하여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를 좀 더 효율적으로 학습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연세대학교가 편저하고 중국 각 대학교 한국어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교재 3, 4, 5, 6권 부록에 나온 어휘 중 2음절과 [-하다]를 비롯한 한자어를 연구 대상으로 비교 연구를 하였다. 그리고 한자어를 동형어와 이형어로 나눠 비교하였다. 동형어는 또 동형동의어와 동형이의어로 나누지만 형태는 같고 의미가 다른 동형이의어에 중점을 두고 비교하였다. 이형어는 이형동의어와 이형이의어로 나누지만 이형이의어는 비교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의미가 같고 형태에 차이가 있는 이형동의어를 비교하였다. 이렇게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 어휘를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양국에서 실제 사용하는 예시를 제시함으로써 양국 한자어 간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알아보았다. 동형동의어는 형태도 같고 의미도 일치하는 한자어를 말한다. 동형동의어는 한국에 유입된 후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의미 변화를 일으키지 않았고 중국에서도 원래의 의미가 지금까지 그대로 보존되었다. 비교 분석을 통해서 연세대학교가 편저한 한국어교재 3, 4, 5, 6권 부록에서 동형동의어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아주 큰 장점인 것을 알 수 있다. 동형이의어는 동형 완전이의어와 동형 부분이의어로 나눠 살펴보았다. 동형 완전이의어는 동형어에 해당되는 어휘들의 의미가 전혀 일치하지 않는 어휘를 말한다. 동형 부분이의어는 해당 어휘가 양국에서 공통 의미 외에 역사 문화 경제 등 이유로 새로 생긴 의미를 가지게 된 어휘들이다. 동형 완전이의어와 동형 부분이의어는 3, 4, 5, 6권 교제 부록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지 않지만 실제 해당되는 어휘 수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선행연구를 통해 알 수 있다. 그래서 동형이의어를 잘 비교하고 차이점을 기억해서 잘 파악해야 한다. 이형어는 이형동의어와 이형이의어로 나눌 수 있는데 이형이의어는 말대로 형태도 다르고 의미도 다른 어휘들을 말하고 비교할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이형동의어만을 비교 연구를 하였다. 이형 동의어는 또 완전이형 동의어와 부분이형 동의어 그리고 역순 동의어로 나눠 비교를 하였다. 완전이형 동의어는 양국에서 같은 의미를 가지고 형태는 완전히 다른 어휘를 말한다. 즉, AB/CD형의 어휘이다. 부분이형 동의어는 양국에서 같은 의미를 가지며 형태적으로는 완전히 다른 것이 아니고 하나의 동형 형태소를 갖고 그 형태소의 위치가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어휘를 말한다. 즉 AB/AC﹑ AB/CB﹑ AB/BC﹑ AB/CA형의 어휘이다. 역순 동의어는 양국에서 사용하는 어휘 중 같은 의미를 가지며 같은 형태소도 갖지만 어순이 반대되는 어휘를 말한다. 즉 AB/BA형의 어휘이다. 이형 동의어는 전체 연구 대상 중에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형 동의어는 중국인 학습자에게 제일 쉽게 오용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어 어휘의 형태를 그대로 변역해서 중국식 한국어를 만들고 사용하기 쉽기 때문에 특별히 주의해야 한다. 이상의 비교를 통해 연세대학교 한국어교재 3-6권 부록에서 나온 어휘를 정리해 보았다. 본 논문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이 교재를 사용할 때 다소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점에서 출발하고 한·중 한자어가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예시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런 공통점과 차이점을 인식하고 평소에 어휘를 배울 때 더 잘 파악하고 사용할 수 있기를 바란다.

      • 초등교원양성대학교 교수수준 교육과정의 현장적합성에 대한 교수의 인식

        김새롬 한국교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초등교원양성대학교 교수를 대상으로 초등교원양성대학교 교수수준 교육과정의 현장적합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도출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양성대학 교수는 초등교사양성대학교 교수수준 교육과정의 현장적합성에 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 둘째, 초등교사양성대학 교수는 교수수준 교육과정을 어떻게 운영하고 있는가? 셋째, 초등교원양성대학 교수는 초등교원양성대학교 교수수준 교육과정의 현장적합성 제고를 위하여 어떠한 방안을 가지고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은 2016년 6월부터 2016년 9월까지 약 3개월 동안 초등교사양성대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일반교육학, 교육내용학, 교과교육학 교수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초등교사양성대학교는 전국을 4개의 권역으로 나누어 각 권역에서 1개교씩 총 4개교를 선정하였고, 4개교 교수들에게 이메일로 심층면담 의뢰를 한 결과, 총 14명의 교수가 면담에 응했다. 심층면담은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중심으로 진행되었고 면담 시에 연구 대상자들의 허락을 구하여 대화를 녹음했다. 면담이 끝난 후에는 녹음된 대화를 전사하고 이를 분석했다.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면담에 응한 교수들은 초등교사양성대학교 교수수준 교육과정의 현장적합성의 의미를 ‘교양교육을 통해 교육자로서의 기본적인 자질을 갖추게 하는 것’, ‘교과 전문성을 갖추게 하는 것’, ‘원리와 이론을 배우게 하는 것’, ‘현재 뿐 아니라 미래의 현장에 대처하도록 하는 것’, ‘현장의 사례를 알게 하는 것’, ‘교수의 시범을 통해 현장적합함이 체험되는 것’이라 생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교수들은 현장적합 제고에 관한 외부적 요구에 대하여 ‘원론적으로 찬성’하고 있었고, 외부적인 요구를 ‘기술자’ 양성의 요구, 정치적인 요구, 초등교육과정 변화 반영의 요구라 파악하고 있었다. 둘째, 면담에 응한 교수들은 교과를 보는 안목을 형성하고 수업 능력 함양하며 일반교육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강좌를 운영하고 있었다. 일반교육학, 교과내용학, 교양을 담당하고 있는 교수들은 교수방법으로 ‘강의’를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기타 교수방법을 함께 사용하고 있었고, 교과교육학을 가르치는 교수들은 강의를 기반으로 모의수업, 지도안 작성, 토론 등의 교수방법을 사용했다. 그리고 기능 숙달을 목표로 하는 예체능 강좌를 담당하는 교수들은 시범, 시연의 교수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교수들은 평가방법으로 지필평가와 수행평가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다수의 교수가 여러 평가방법 중에서 논술형 지필평가 방법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고 이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다. 셋째, 면담에 참여한 초등교사양성대학교 교수들은 교육과정 현장적합성 제고를 위한 시책적 노력의 효용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전임교수의 현장이해 프로그램의 경우에 효용성이 있으나 구조적인 정비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교수 채용 시 교직 유경험자를 우대하는 시책에 대해 찬반의견이 엇갈리고 있었으나 다양한 경험을 가진 교수가 채용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가진 교수가 더 많았다. 피담자들은 초등교사양성대학교 교수수준 교육과정의 현장적합성 제고를 위하여 외부인들이 가지고 있는 ‘현장적합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초등교사양성대학교와 현장의 소통 강화’, ‘교수 간 모임 지원’, ‘현장적합한 교과교육 연구의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따른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들은 교육과정이 현장적합하다는 것을 교양교육을 통하여 교육자로서의 기본자질을 기르는 것이라 생각하고 있었고 현재 뿐만 아니라 미래의 현장에 대처할 수 있도록 현장의 사례를 통하여 원리와 이론을 배우게 하는 것이라 생각하고 있었다. 따라서 교수들이 초등교원양성대학 교수수준 교육과정의 현장적합성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식에 따라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면담에 응한 교수들은 초등교원양성대학 교수수준 교육과정에 현장에서 바로 쓸 수 있을 정도의 실제적이고 처방적인 지식과 기능을 요구하는 것에 대하여 이와 같은 것을 대학이라는 현장에서 유리된 곳에서 추구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며 부적합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따라서 만약 초등교원양성대학 외부의 사람들이 요구하는 수준의 현장적합성을 충족하고자 한다면 실습기간을 늘리거나 실습대학원을 운영하는 등의 체제적인 변화를 도모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면담에 응한 교수들은 초등교원양성대학 교육과정의 현장적합성을 제고하기 위한 시책에 대하여 찬반 의견을 제시하며 시행 방법상의 보완점을 거론했다. 향후 이와 같은 시책을 새롭게 고안하거나 개정하고자 할 때 대학교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교수들의 의견을 청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면담에 응한 교수들은 초등교원양성대학 교육과정의 현장적합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학과 현장의 소통 강화, 교수 간 소모임 지원, 현장적합한 교과교육학 연구 강화를 제시했다. 이와 관련하여 초등교원양성대학 교수를 중심으로 하여 현장적합한 대학 교육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 교원의 표현의 자유에 대한 제한과 그 한계 : 미국과 한국의 법제 비교 연구

        홍정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95

        이 연구는 초․중등학교 교원의 표현의 자유에 대한 제한과 그 한계에 관한 논문이다. 한국에서 교원의 표현의 자유는 헌법상 시민의 권리로 보장되기보다 교원의 지위에 있다는 이유로 제한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정치적 표현은 「국가공무원법」에 의해 포괄적으로 제한되고 있다. 이는 헌법 제21조의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으로 위헌의 소지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원의 표현의 자유를 둘러싼 세 가지 쟁점에 대해 표현의 자유를 광범위하게 보장하고 있는 미국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한국에서 교원의 표현의 자유에 대한 제한과 그 한계 수준 설정에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신분에 따른 제한과 그 한계 수준이다. 미국과 한국은 원칙적으로 공무원과 교원의 표현의 자유에 대한 제한 및 한계 수준이 동일하다. 미국에서 이들은 시민으로서 표현의 자유를 누리되 정부에 고용된 피고용인의 지위에서 고용인의 이익을 침해하는 경우에 한해 그 자유를 제한받는다. 이는 공무원에게 직무상의 의무와 시민으로서의 표현의 권리 행사를 구분하여 적용하는 것이다. 한국에서는 공무원의 의무를 직무의 내‧외를 불문하고 공무원이라는 신분을 보유하는 한 당연히 부담해야 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그에 따라 교원의 시민으로서의 권리인 표현의 자유는 직무관련성 여부와 상관없이 항상, 포괄적으로 제한되고 있다. 둘째, 개인으로서의 표현과 집단으로서의 표현의 자유에 대한 제한과 그 한계 수준이다. 미국과 한국 모두에서 개인적 표현의 자유는 헌법상 권리로 보호받으며 이를 명백히 제한하는 법 규정은 없다. 집단적 표현인 집회 및 결사의 자유는 미국에서 수정헌법 제1조에 의거해 개인의 권리로 보호받는다. 이는 표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집단적 표현이라는 방법이 효과적임을 중요하게 인정하는 것이다. 반면, 한국에서는 집단적 표현이 끼치는 사회적 영향력이 크다는 점을 들어 개인으로서의 표현에 비해 상당히 큰 폭으로 제한하고 있다. 특히 「교육기본법」제66조 제1항에 대한 해석에서 ‘단체의 결성 단계에는 이르지 아니한 상태’까지 집단적 행위로 판단함으로써 교원의 집단적 표현은 원천적으로 금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셋째, 직무관련성에 따른 표현의 제한과 그 한계에 대한 비교이다. 먼저 교내‧외에서의 표현의 자유를 살펴본다. 미국에서 표현의 자유는 시민으로서의 권리이기 때문에 교내‧외에서의 교원의 표현은 동등하게 헌법적으로 보호받는다. 반면, 한국에서는 신분상 의무가 강조되어 교내‧외에서의 교원의 표현에 대해 포괄적인 제한을 받고 있다. 다음으로는 내용과 관련한 교원의 표현에 대한 제한과 그 한계이다. 미국에서 교원은 정치적, 사회적, 공동체와 관련된 공적 사안에 대한 표현을 한 경우 헌법적으로 중요하게 보호받고 있다. 그러나 교원이 개인적인 고용관계에 대한 불만을 표현하거나, 교육내용을 선택하는 등의 직무에 따른 표현은 헌법적 보호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대조적으로, 한국에서는 교육활동과 관련한 교원의 표현은 보호받는 범위가 넓다. 그러나 교원의 정치적 표현은 제한의 여지가 크다. 미국과의 비교 결과 이끌어낸, 한국에서 교원의 표현의 자유에 대한 한계 설정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무원의 복무의무를 직무상 의무로 해석하여, 직무내‧외에 따라 교원의 표현에 대한 제한 수준을 달리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교원의 표현의 자유는 보다 허용적으로 보장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집단적 표현이 개인의 표현의 권리 실현에 효과적이므로, 보다 덜 제한적인 방향으로의 입법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직무관련성이 적은 교외에서의 표현 및 직무수행과 무관한 내용에 대한 교원의 표현은 시민으로서의 권리로 적극적으로 보장할 필요가 있다. 교원은 시민이자 교원이므로 시민으로서의 권리와 학생 교육이라는 직무 수행은 조화롭게 병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교원의 복무의무를 직무상 의무로 해석하고 직무관련성 여부에 따라 표현의 자유에 대한 제한과 그 한계 수준을 달리해야 할 것이다. 가장 먼저 직무와 무관한 퇴근 후에, 교외에서, 교원이 개인 자격으로 행한 표현에 대해서는 시민으로서의 표현의 자유를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 한국 교원정책연구의 지적구조 탐색 : 저자서지결합 분석을 중심으로

        유희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695

        이 연구는 한국 교원정책연구와 관련된 주요 저자들 사이의 인용관계로 인해 나타나는 ‘지적구조’를 분석하는 학문적 작업이다. ‘지적구조’의 의미는 계량서지학 분야에서 사용하는 지적구조로서 교원정책연구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주요 연구자(군)를 찾아내고, 이들의 인용관계를 분석해 연구주제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한 연구자들 사이의 관계성을 밝히며, 이를 바탕으로 교원정책연구의 하위주제영역을 파악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인용분석 방법 가운데 저자서지결합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대상 논문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등재(후보) 학술지에 2002년~2014년 7월까지 게재된 교원정책 관련 연구논문으로 KCI DB에서 검색하여 수집하였다. 수집한 논문의 저자를 조사하고, 저자별 논문게재빈도를 계산하여 게재빈도가 높은 상위 53명의 저자를 분석대상 저자로 선정하였다. 분석대상 저자들의 논문에 인용된 참고문헌 저자를 조사하여 저자들 사이의 코사인 유사도 행렬과 피어슨 상관계수 행렬을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53명의 분석대상 저자들 중 교원정책연구의 주요 연구자 48명을 선정하였다. 군집 분석과 다차원척도 분석을 통해 주요 연구자들을 연구주제의 유사성에 따라 7개 군집으로 나누고, 이를 2차원 지도에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교원정책연구의 하위주제영역으로 ‘평가’, ‘양성/연수’, ‘양성’, ‘연수’, ‘선발․임용’, ‘권리․의무’, ‘포상․징계’를 확인하였다. 패스파인더 네트워크 분석으로 연구주제의 유사성에 의한 주요 연구자들의 네트워크를 시각화하고, 병렬 최근접이웃 클러스터링 기법을 적용하여 11개 군집으로 나누었다. 이로부터 확인된 교원정책연구의 하위주제영역은 ‘평가’, ‘보수’, ‘양성’, ‘수급․배치’, ‘연수’, ‘선발․임용’, ‘교직단체’, ‘권리․의무’, ‘포상․징계’의 9개 영역이다. 그리고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을 통해 전역 중심성이 높아서 다른 연구자들과 폭넓게 연계되어 있는 연구자와 지역 중심성이 높아서 자신이 속한 군집에서 영향력 있는 연구자, 교원정책연구의 핵심 주제영역이면서 교원정책연구 전반에 걸쳐 폭넓게 연계된 하위주제영역을 조사하였다. 한편, 교원정책연구의 주요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교원정책연구의 신진연구자를 밝혀내었고, 주요 연구자들의 연구 활동 기간과 소속기관 유형이 저자들의 군집 형성과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저자서지결합 분석에서 제외하였던 학술대회 주제, 정부출연 연구기관(한국교육개발원) 및 교육부의 연구보고서, 정책보고서의 주제를 분석한 결과 저자서지결합 분석보다 연구주제 영역이 더 적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로부터 교원정책연구의 연구자 집단의 확충과 ‘교원정책’연구의 활성화, 주요 연구자의 특성과 네트워크 형성, 주요 연구자들의 중심성과 연구주제 영역의 광범위성, 특정 주제영역에 집중된 교원정책연구, 연구방법의 유용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그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정책연구가 활성화되고 발전하기 위해서 교원정책 전문 연구자를 육성하는 한편 연구자의 저변 확대와 다양화를 위해 연구자 집단을 모으고 지속적으로 교원정책연구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학문적․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국가는 교원정책의 정책과정에 연계하여 교원정책연구를 제도적․기능적으로 활성화하고 진흥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한국 교원정책연구는 ‘평가’ 영역과 ‘양성’ 영역에 특히 집중되는 경향을 보인 반면에 교직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는 정책의 연구에는 정책 당국이나 연구자들이 다 같이 무관심하였다. 교원정책연구가 미래의 교원정책 수립과 결정에 기여할 수 있으려면 지금까지 연구되지 않았던 영역에 대해서도 연구문제를 찾아내고, 또한 최근 들어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 교원정책 영역에 포함되지 못한 학교장의 역량, 리더십, 전문성, 교직문화 등의 주제들에 대해서도 연구 활동이 수행되어져야 한다. 셋째, 현재는 교원정책연구의 주요 연구자들 사이의 개인적․학문적 친밀관계나 사제관계를 포함한 출신학교 배경 및 연구자들의 경력․경험의 공유에 의해 연구자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는데 교원정책연구가 활성화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학문적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함께 연구를 해나가는 결속력 있는 학문 공동체가 형성될 필요가 있다. 이상과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국가(정부)는 교원정책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한국 교원정책연구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지원, 진흥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적 배려를 모색할 필요가 있음과 학계와 연구자들에게 교원정책연구 분야의 학문적 정체성이 확립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공유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또한, 후속연구를 위해서는 교원정책연구와 국가의 교원정책 추진을 시기적․맥락적 차원에서 관련성을 분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고, 연구대상 기간을 다양화하고 분석기법을 다양하게 결합한 연구를 교원정책연구뿐 아니라 다른 연구 분야에도 적용해 볼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융합교육 전공자들의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조사

        신혜인 한국교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95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융합교육 전공의 정체성과 연구 방향에 대한 대학원생들의 인식을 확인하고 융합교육전공 대학원 과정의 활성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질적 연구를 설계하였다. 즉, 연구자의 자기 이해로부터 나온 사고의 구조를 토대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융합교육 전공자들을 면담하기 위한 사전 조사를 하였으며, 심층인터뷰까지 내부자적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자를 한국교원대학교 일반대학원과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융합교육 전공자들로 선정하고 면담을 위한 사전조사지 문항을 개발하였다. 면담을 위한 사전조사 문항은 단답형이 아닌 개방형 문항으로 작성하여 면담의 토대가 되는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담을 위한 사전 조사 문항 개발과 검토는 융합교육 전공 교수 1인, 타 학과 학습연구년제 교사 1인에게 세 차례의 타당도 검증을 받아 수정‧보완하였다. 문항은 2회의 예비 검사를 통해 2018년 8월15일 최종적으로 완성되었다. 수집한 사전 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면담을 위한 심화 질문을 위해 일반대학원 전공자와 교육대학원 전공자 각 2~4인 씩 심층인터뷰 대상자를 선정하여 2018년 10월 8일부터 심층인터뷰를 실행하였다. 결과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심층인터뷰 참여대상자에게 전자메일 또는 SNS로 전송하여 연구자의 해석에 왜곡된 부분이 없는지 등에 대한 검토를 받아 연구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원에 입학할 때 전공 선택을 하는 이유가 일반대학원 전공의 경우와 교육대학원 전공의 경우에 차이가 있었다. 일반대학원 전공자들은 급변하는 시대에 자신의 직업에 관련된 교육적 혁신을 위해 교육 기관인 대학원에서 도움을 얻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어 4차 산업혁명시대라는 주요관심사가 전공자들의 공통점이었고, 전문성, 지식, 역량 확장 및 콘텐츠 개발, 훈련, 연구, 능력 신장 등을 목적으로 입학하였다. 한편 교육대학원 전공자들은 모두 직업이 교사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은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자신의 수업에 도움을 받기 위해 대학원의 전공을 선택하였다. 특히 교사로서의 전문성 신장, 교과 내 교과 간 융합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시각의 다양화 및 창의 융합 인재에 대한 이해를 얻고자 하였다. 둘째 대학원 커리큘럼을 통해 일반대학원 전공자들은 현재 교육의 방향과 흐름, 각 분야에서 새롭게 시도하고 도전하는 교육 사례들을 접할 수 있고 이미 교육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학문 간 융합교육 뿐 아니라 학문 내의 융합과 융합교육을 위한 교사와 학생들이 갖춰야할 기본 자질의 중요성 등을 인식하게 되었다. 한편 교육대학원 전공자들은 융합교육이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의미 있는 교육이며, 교사들의 연구 역량으로 충분히 실천 가능한 것이고 자신의 전문성, 타 교과에 대한 이해 및 기초지식 함양의 필요성 등을 인식하게 되었다. 셋째 일반대학원 전공자들은 신설 전공이므로 대학원에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의 제시, 연구 네트워크와 전임교수, 연계과정의 개설 등을 요구하였고 교육대학원 전공자들은 프로그램 개발, 사례 중심의 다양한 체험 수업, 타 교과와의 연계지도, 방법론 등을 요구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융합교육 전공 대학원 과정의 활성화 방법을 제언하였다.

      • 음악교육전공 석·박사 학위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 한국교원대학교를 중심으로(1990~2012. 2)

        김윤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95

        한국교원대학교 석․박사학위 논문을 연도별, 학교급별, 음악교육학 영역별, 음악과 교육과정 영역별, 연구방법별, 연구 목적에 따른 단계별로 분석하여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교육에 힘쓰는 현장 교사들과 음악교육 전공자들에게 한국교원대학교 석·박사 학위 논문의 연구동향에 대한 분석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연구 주제 선정과 연구에 대한 균형적인 안목을 가지도록 도와주고 궁극적으로 음악교육 연구에 있어 후속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한국교원대학교 논문 626편의 연구동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분석은 교육대학원 논문이 제출되기 시작한 2001년을 기준으로 이전과 이후로 분석하였다. 1990년~2000년까지 일반대학원 논문은 209편, 2001년~2012. 2 일반대학원 논문은 220편, 교육대학원 논문은 197편이며, 이 중에서 박사학위 논문은 9편(초등 4편, 중등 5편)이다. 둘째, 음악교육학 영역별로 분석결과 수업설계 41%, 교수법 11%, 기타 11%, 교육과정 10%, 심리학 7%, 사회학 6%, 심미 3% 순임을 알 수 있다. 역사, 철학, 평가, 공학, 교사론 영역의 연구는 전체영역에서 3% 미만으로 앞으로 연구가 더 필요한 영역임을 시사한다. 셋째, 음악과 교육과정 영역별로 분석 결과 전체 영역 18%, 감상 17%, 가창 15%, 기타 14%, 기악 11%, 창작 9%, 이해 9%, 생활화 5%, 통합(연계) 2%이다. 2001년 이전에는 가창 22%로 가장 많이 연구되다가, 2001년 이후에는 11%로 줄었으며, 감상 영역은 12%에서 19%로 연구가 늘어남을 확인 할 수 있었는데 이는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넷째, 연구방법별로 살펴 본 결과 문헌 연구 58%, 서술적 연구 15%, 질적 연구 10%, 철학적 연구 9%, 실험적 연구 5%, 역사적 연구 3%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음악 연구자들이 문헌을 중심으로 연구하는 방법과 설문조사, 자료 조사의 방법을 선호하고 실험 연구나 질적 연구방법의 교육 현장 적용 연구방법을 선호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교육 연구의 균형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문헌연구 방법 외에 다양한 연구방법의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다섯째, 음악교육 연구의 목적에 따라 이론 단계, 계획 단계, 체계화 단계, 현장 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론 단계는 음악교육의 이론적 토대 역할을 하며 음악교육 철학적 연구와 음악학 악곡 분석 연구로서 15%이다. 계획 단계는 교육 계획의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단계로서 지도방안 구안, 교과서 분석, 설문조사, 개선방안, 평가 도구 개발, 운영방안 연구이며 23%를 차지한다. 체계화 단계는 각 학년과 연계되어 체계적 · 단계적, 모형화 되는 연구이다. 수업설계, 수업모형 구안, 교과서 설계, 평가체제 개발 연구로서 43%이다. 현장 단계는 음악교육 현장 가능성에 대한 적용 및 검증 연구로 가장 발전된 연구 단계이며, 양적(量的) 연구인 실험적 연구에 의한 결과분석, 질적(質的)연구 방법인 수업설계 지도, 서술적 연구인 실태분석 연구로서 19%이다. 여섯째, 이론 단계, 계획 단계, 체계화 단계, 현장 단계로 연구는 계속 발전해 나간다. 논문을 쓸 때 개척 정신이 필요할 수는 있지만 선행 연구자들의 연구 주제의 흐름을 먼저 살펴보는 일이 필요하다. 연구자는 연구를 계획 할 때 자신이 선택한 주제의 현재 연구 단계를 정확히 살피는 일이 중요하다. 이를 수정 · 보완하고 한걸음 더 나아간다면 그 다음 단계의 발전된 새로운 연구가 될 가능성이 있다. 후속 연구를 통하여 교육 연구는 계속 발전해 나간다. 일곱째, 효과적인 음악수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음악교육학적 연구에 근거를 둔 좋은 음악 수업의 계획이 다양한 방법으로 계속 시도되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좋은 수업설계는 음악 교육현장에 지도 및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 받는 과정을 통하여 하나의 이론(理論)으로 발전할 수 있다. 앞으로 음악교육 연구는 문헌연구 방법에서 실험적 연구와 질적 연구 방법으로 실제 교육현장에서 적용 · 검증되는 연구가 증가하길 기대한다. 이를 위해서는 음악교육 연구자와 현장 음악 교사와의 협동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본다. 여덟째, 음악교육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음악교육의 효과를 측정하고 수치화 할 수 있는 적극적인 평가 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며, 현대는 고도의 발달된 통신 모바일 시대이므로 효과적인 매체를 이용하는 공학의 영역도 더 연구되어야 할 영역이라 판단된다. 아홉째, 인간의 청감각의 발달을 생각하여 볼 때 초등학교 1~2학년 시기는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그러므로 즐거운 생활의 ‘음악 영역’에 관심을 가지고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구하는 일 또한 초등음악교육 전공자의 몫이라 생각한다.

      • 한국어교육을 위한 교원 양성 정책에 관한 연구

        이상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95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 수요의 양적·질적 변화에 적합한 한국어교원 양성 정책의 방안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는 첫째, 학위과정으로 한국어교원이 배출되고 있는데도 비학위 양성과정을 유지할 필요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둘째, 한국어교원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적절성을 파악하여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았다. 셋째, 현장의 수요와 여건에 따라 현장 적합성이 높은 한국어교원 양성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관계 법령 등에 대한 검토와 함께 사례 조사를 하였다. [사례 1]은 학위과정으로 한국어교원 자격 2급을 취득하고자 하는 정규 4년제 대학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사례 2]는 비학위 단기 양성과정으로 한국어교원 자격 3급을 취득하고자 하는 대학 부설 한국어문화원의 수강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위과정으로 한국어교원이 배출되고 있다 하더라도 비학위 양성과정은 현실적인 필요가 있다. 현장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전공 및 경력을 가진 한국어교원 공급을 위해서는 비학위 단기 양성과정이 여전히 필요하다. 둘째, 한국어교원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시수가 부족한 것을 증대할 필요가 있는데 증대 방안으로는 교직 과목과 국어학 등의 어학 과목에 대해서 선이수한 학점을 인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셋째, 과정별, 자격 급별 한국어교원의 특성보다 현장의 수요와 문화적 성향에 부합되는 한국어교원의 특성에 주목하는 양성 정책이 필요하다. 지금은 다변화된 현장의 수요와 문화를 고려하여 현장 적합성이 높은 한국어교원을 공급하는 것이 가장 우선된 과제인 것이다.

      • 예비환경교사를 위한 장소기반 환경오리엔티어링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김명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장소기반적인 특성을 반영한 환경오리엔티어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환경오리엔티어링 프로그램 적용을 바탕으로 예비환경교사에게 주는 교육적 가치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장소기반적인 환경오리엔티어링 프로그램을 구현하기, 환경오리엔티어링 프로그램 적용하고, 분석하기이다. 환경오리엔티어링 프로그램의 대상은 한국교원대학교 환경교육과 3학년 학생들이며, 프로그램은 한국교원대학교 교정을 연구장소로 하여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오리엔티어링의 스포츠적 요소와 한국교원대학교의 장소기반적 특성이 반영되는 환경오리엔티어링 프로그램의 구성요소 네가지를 제시하고, 이 구성요소가 잘 드러나도록 환경오리엔티어링 프로그램의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는 첫째, 프로그램의 대상인 예비환경교사들에게 친숙한 공간인 한국교원대학교를 배경으로 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둘째, 시각, 촉각, 청각 등 오감을 두루 느낄 수 있도록 프로그램으로 구성하며, 셋째, 모둠으로 인원을 구성하여 토의․토론을 통하여 체험활동의 경험을 나누는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넷째, 오리엔티어링이라는 스포츠적 요소가 잘 드러나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양성적인 측면에서 일상성과 통합성을 고려한 장소기반 환경체험프로그램이라는 것에 의미를 가지고, 다양한 체험활동을 경험해볼 수 있는 오리엔티어링이라는 스포츠적 요소를 도입했다는 것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둘째, 환경오리엔티어링 프로그램 적용 후에 실시한 설문과 인터뷰의 분석결과를 환경교사자격기준에 비추어서 교육적 가치를 탐색하고자 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환경오리엔티어링 프로그램이 환경교사자격기준의 학습문화조성영역에서 큰 의미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환경오리엔티어링 프로그램의 적용 및 활용과 관련하여 학교라는 장소는 환경교육의 장소와 소재로서 환경교육적 가치와 활용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환경오리엔티어링은 예비환경교사 뿐만 아니라 초․중등학교 학생,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적용할 때에도 교육적 가치가 높고 전문성 신장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