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油價變動이 溫州蜜柑 加溫栽培 經營費 및 栽培面積 變化에 끼친 影響 分析

        김석만 濟州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하우스밀감 가온재배 농가가 지불해 온 면세유를 중심으로 유가의 변동을 파악하고, 이것이 하우스 가온 재배의 광열비, 더 나아가서는 가온재배 전체 경영·생산비에 끼친 영향을 분석하며, 유가의 변화가 하우스 가온재배 면적 변화에 끼친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가와 상관관계가 깊은 비용항목으로 광열동력비와의 상관계수(r)가 0.92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경영비와 각 비용항목간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도 광열동력비의 상관계수(r)가 0.794로 가장 높게 나타나 경영비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회귀 관계식을 이용한 추정 결과에서도 상관관계 결과와 같이 광열동력비가 온주밀감 가온재배 경영비에 가장 민감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 최근 유가상승에 따른 하우스밀감 재배농가의 재배의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107농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농가들은 하우스밀감 재배에 있어 가장 큰 애로사항이 하우스밀감 자체가격의 불안정보다 유류가격 불안정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3) 앞으로 하우스밀감 재배규모의 확대·축소 및 전환 여부에 대해서는 현행유지가 가장 높은 36.7%를 차지하였으나, 재배면적 축소 또는 다른 작물로 전환하겠다는 비율도 각각 33.0%와 26.6%를 차지하였다. 재배면적 축소 이유에 대해서는 유류가격 인상이 96.1%로 나타나 농가들이 유류가격 인상에 가장 큰 부담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다른 작물로 전환할 경우 한라봉 등 만감류 66.7%, 월동감귤 16.7%를 차지하였다. 4) 하우스밀감 재배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면세유 가격은 조사농가 75% 이상의 재배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면세유 가격은 중유는 701~800원, 경유는 901~1,000원으로 나타났다. 5) 가온시기별 유류 사용량 및 비용 분석 결과, 조사 농가의 평균 유류 사용량은 14,782ℓ, 유류 비용은 8,838천원이 소요되었으며, 가온시기가 빠를수록 유류 사용량과 비용이 많이 투입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가온시기가 빠른 농가일수록 유가가 상승에 따른 광열동력비 부담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농가설문 조사 결과, 하우스밀감 재배농가들은 유가 상승에 가장 애로를 느끼고 있었고, 이에 따라 재배면적 축소 및 한라봉 등 만감류와 월동밀감으로의 전환 의향을 가지고 있었다. 실제로 최근에 하우스밀감 재배면적은 많이 줄어든 반면에, 하우스밀감과 소득이 비슷한 한라봉 등 만감류와 월동밀감 재배면적이 많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 이를 뒷받침 하고 있었다. 7) 유가와 재배면적 변화의 관계를 검증을 위해 M. Nerlove의 부분조정모형을 도입하여 하우스밀감 가격, 유류가격 등을 포함한 재배면적 반응함수 모형을 설정하고, 이들 변수의 1992~2008년 간의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OLS방법에 의한 중회귀 직선을 추정하여 분석한 결과, 추정 모형에 대한 설명력도 매우 높았으며, 유가에 의한 하우스밀감 가온재배 면적의 계수가 -0.158로 분석되어 유가상승이 재배면적 감소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하우스밀감 자체 가격에 대해서는 계수가 0.042로 분석되어 가격이 오르면 온주밀감 가온재배 면적 증가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반응함수 추정 결과와 함께 1998년을 기점으로 하우스밀감 농가수취 실질가격이 큰 변화가 없는 상황에서 1998년 이후 온주밀감 가온재배 면적이 계속 감소되어 왔다는 것을 감안하면 최근의 온주밀감 가온재배 면적의 하우스밀감의 판매가격보다 재배비용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유가의 상승이 더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in the first, to examine the variation of the tax-free oil-price paid by the farmers of satsuma mandarin cultivation in the heated plastic-film-house, secondly,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oil-price variation on light-and-heating expenditure and total managing cost, and finally, to analyse the effect of the oil-price variation on changes in the size of the heating cultivation area in the plastic-film-house. The summary of major results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1) The result of estimations of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variables of oil-price and major items of production management expenditures shows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oil-price with the light-and-heating expenditure marked the highest, among others, with 0.926, and shows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light-and-heating expenditure with the total managing cost marked the highest with 0.794 among others. This estimation result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the oil-price variation has been the most important factor on the changes in total managing expenditure for satsuma mandarin cultivation in the heated plastic-film-house. This conclusion is also confirmed by the result of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at the variable of total managing expenditure is regressed by four expenditure variables such as of light-and-heating, hired labor, chemicals and other materials. 2) To investigate the cultivation intentions of farm-household of satsuma mandarin cultivated in plastic-film-houses in accordance with recent increases of oil-price, a survey of 107 farm households was conducted, and the survey results were tabulated by each questionnaire item into the frquency distribution tables by cultivation size groups of the plastic-film-house, by groups of cultivation career years, and by farm manager's age groups. To summarize the result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 The biggest obstacle to the cultivation of satsuma mandarin in the plastic-film-house cultivation is the fuel price instability rather than the market price instability of the product price itself. - About whether the expansion, reduction and conversion of scale of the satsuma mandarin cultivation in the plastic-film-house hereafter, to maintain the current state marked the highest with 36.7%, but the percentage of reducing or changing to other crops marked each 33.0% and 26.6%. And for the reason of reducing size of planted area, the increase of the fuel price marked 96.1%. So it is showed that the rise of fuel price is highest burden for the mandarin cultivators of heating plastic-film-house. And in the case of transformation to other crops, the late maturing citrus like Hallabong marked 66.7%, and the wintering satsuma mandarin marked 16.7%. - The levels of the tax-free oil price which more than 75% of the farmers responded at the survey questionnaires estimated as a difficulty level in maintaining cultivating the satsuma mandarin in the plastic-film-house are 701~800 won per liter for the heavy oil and 901~1,000 won per liter for the diesel oil. 3) The amount of oil usage and expanses by heating time are also questioned in the above survey. The average annual oil usage for heating satsuma mandarin cultivation in the plastic-film-house was 14,782 liters, and it costs 8,838,000 won for the oil usage, and it is analysed that shorter heating time is taken, more oil usage and cost committed. Consequently, the cultivators who takes shorter heating time, increase more burden for light-and-heating expenditure. 4)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ons between the cultivation area of the satsuma mandarin in heating plastic-film-house(At) and the lagged market price of the product(Pt-1) and oil-price(Ft), M. Nerlove's partial adjustment model is introduced, From the basic model, the following econometric cultivated-area-respond-model is induced. The coefficients were estimated by using OLS methods and by using the time-series data of 1991-2008. All estimated statistics except the intercept term showed significant level. A_(t) = -62.486 + 0.042** P_(t-1) + 0.992*** A_(t-1) - 0.158** F_(t) (-0.60) (2.46) (11.18) (-2.09) Ad_(j) R²=0.918, DW=2.309, t-statistics in the parentheses The result of the estimation shows that the increase of oil price has effect on reduce of planted area size, and that the changes of the real marketed price of mandarin product has a positive relationship, as expected. From this result and with other examinations, we can conclude that the recent decrease of the area size of the satsuma mandarin cultivation in heating plastic-film-house can be explain mostly by the recent increase in the oil-price rather than changes in product price received by the cultivator.

      • 장면 그림의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자폐성아동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석만 慶雲大學校 産業情報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를 통한 장면 그림의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언어훈련이 언어 이해력, 구어적 표현력, 문장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구미시에 소재하고 있는 특수학교 6학년에 재학중인 아동 중에서 DM-Ⅳ의 자폐아 진단 기준과 자폐행동 체크리스를 통해 자폐성 아동으로 평정되 아동을 선정하여 장면 그림의 캐릭터 애니메이션의 프로그램을 '어찌하다', '무엇을 어찌하다', '누가 무엇을 어찌하다', '누가 어디서 무엇을 어찌하다'의 4개 영역으로 나누어 총 20문항을 10차시로 지도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언어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찌하다'에서 15%정도 향상되었으나 연구 대상 아동들은 장면 그림의 캐릭터 애니메이션으로 언어 이해력의 사전 · 사후 검사결과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음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가정과 학교에서 사용하는 일상생활의 어휘를 많이 획득한 결과로 볼 수 있다. 특히 '어찌하다'영역에서의 향상은 행위를 통한 이해의 폭을 넓혀 줌으로써 장면 그림의 캐릭터 애니메이션과 행위간의 대응이 가능했기 때문에 언어 이해력의 향상을 가지고 왔다. 장면 그림을 상황 설정에 맞게 애니메이션화 한 것이 시각적인 단서를 찾는데 분명하였기 때문에 아동의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도움을 주었다. 둘째, 구어적 표현력에 미지는 효과는 '어찌하다 영역에서 30%정도 향상되었는데 사전검사에는 행위의 주체를 인식하지 못해 어찌하고 있는지 동사를 표현하지 못하였으나, 장면그림의 캐릭터 애니메이션의 다양한 장면의 그림과 반복적인 학습의 효과로 생각되어진다. 그리고 그 외의 영역에서는 50%정도 이상의 향상된 효과를 나타내었는데 이 또한 반복학습으로 장면에 대한 문장구성방법의 습득으로 볼 수 있다. 아동이 구어적 표현에 있어서 초기에는 어순이 바뀌고 상황에 대한 적절한 표현이 부족하였는데 멀티미디어 학습프로그램에서 사용한 그림과 음성들의 시청각적 자극과 매번 제공되는 피드백 프로그램은 아동의 구어적 표현을 신장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다. 셋째, 문장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아동 모두다 각 항목마다 50%이상의 향상 효과를 나타내었는데 이 또한 실험 초기 아동의 문장 구성에 관련된 쓰기 능력은 단지 '어찌하다' 영역의 일부 동사에 대한 쓰기 능력에 국한된 수준이었다. 그리고 교사의 구어적 표현을 받아쓰기하는 단계에 머물렀으나 문장을 구성하는 지도 단계를 통해서 '무엇을 어찌하다' '누가 무엇을 어찌하다' '누가 어디서 무엇을 어찌하다'의 문장 구성의 문법적 구조를 이해하게 되었고, 구어적 표현과 함께 쓰도록 한 후에는 아동의 문장 쓰기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이는 멀티미디어 학습프로그램이 글자를 기억 할 수 있는 단서들을 화면에 지속적으로 제공해주고 그림과 단어 음성등의 시청각적 자극과 함께 피드백을 통한 강화를 줌으로써 주의 집중력이 향상되고 키보드의 자음과 모음을 통하여 쓰기를 위한 단서를 매번 제공함으로써 쓰기를 위한 기억력재생의 어려움을 감소시켰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한국-노스웨스트 구문 선별검사(K-NSST)를 통해 변화된 언어 이해력과 표현력을 보면 A아동은 이해력 32.5%, 표현력은 42.5%, B아동은 이해력 20.0%와 표현력 27,5%가 향상된 검사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본 연구의 결과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멀티미디어를 통한 아동의 언어 이해력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이는 아동이 일상생활 환경에서 사용하는 어휘를 이해하고 있었던 결과로 생각된다. 둘째, 장면 그림의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통해서 여러 가지 자유 반응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구어적 표현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결론이다. 다양한 애니메이션을 활용함으로써 아동 스스로 자발적으로 참여하였으며 흥미를 가지게 되었다. 멀티미디어를 통한 사고력의 향상이 표현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 전이되어 아동의 구어적 표현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장면 그림의 캐릭터 애니메이션 학습프로그램에서 사용한 그림과 음성 등의 시청각적 자극과 매번 제공되는 피드백 프로그램은 자폐성 아동이 주로 활동을 많이 하는 일상생활 장면 그림을 활용하여 문장 쓰기를 지도단계에 따라 지도함으로써 주격 조사의 사용이 다소 미숙하였지만 문장구성 문법에 맞는 문장 쓰기 능력이 향상되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상 아동의 선정에 있어서 이해력과 단 단어의 자발적인 표현이 가능한 자폐성 아동 두 명으로 제한하여 장면 그림의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문장지도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따라서 모든 자폐성 아동을 대상으로 일반화시키는 것은 제한점이 있으므로 대상아동의 범위를 확대시켜 언어능력 향상을 위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후속 연구가 요구되고, 자폐성 아동의 언어능력 향상을 위해 수용언어, 표현언어 등의 면밀한 진단 · 평가로 아동의 언어능력과 발달정도에 알맞은 학습자료와 더욱더 다양하고 많은 양의 장면 그림의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언어지도 프로그램이 요구되고 지도방법에 대한 깊은 연구가 모색되어진다면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자폐성 아동에 대한 언어 이해력과 언어 표현력 전문 평가도구의 개발도 요구된다. 이러한 훈련의 결과로 학습된 언어를 지시가 없어도 일상 생활에서 자발적으로 사용하게 하기 위해서는 여러 장소 즉 가정, 학교, 일상 생활 주변 등에서 동일반응을 가르치도록 하여야할 것이며, 가정과 학교의 연계된 교육, 부모나 주위 사람들의 중재자로서의 역할이 충실히 이루어진다면 더 효과적일 것이라 사료된다. Language training that this study takes advantage of character animation of scene picture through multimedia effect on that write language comprehensive faculty, Gueojeok power of expression, sentence ability recognize but allow the purpose. Is calm but chose child by autism child through DM- Ⅳ's autistic child diagnostic standard and autism action check riss. Succeeded such as that divide and guides all 20munhang by 10chasi and differs by 4 areas of 'Do Eojji' about program of character animation of scene picture, 'What does Eojji', 'Someone does something Eojji', 'Someone does something Eojji where'. First, effect on language comprehensive faculty was improved about 15% in 'Do Eojji'. Can see as result that acquire a lot of vocabularies of everyday life using in family and school. Specially, elevation in area 'Do Eojji' came with elevation of language comprehensive faculty because character animation and confrontation between action of scene picture were available widening width of comprehension through action. Scene picture that widen width of child's current year because it finds optical clue but was clear that do Aenimeisyeonhwa according to circumstance establishment help . Second, in Gueojeok power of expression wax paper effect ' about 30% in while do Eojji area improve . Is thought by picture of various scene of character animation of scene picture and effect of recursive studying. And different area displayed improved effect of above about 50%. This can see as picking up of sentence composition method for place as repeat studying. Word order of child changes in beginning in Gueojeok expression and suitable representation about circumstance was lacking. City Hall horn stimulation and every time supplied feedback program of picture and voices that use by multimedia learning program helped to do to refurbish child's Gueojeok expression. Third, effect on ability to write sentence child more than 50% in all each item of elevation effect appear . Ability to write child's sentence was improved greatly after do to be bitter with Gueojeok expression. Because this offered clues that multimedia learning program can remember letter continuously on screen . And, concentration of a week was improved by giving pacification through feedback with City Hall horn stimulation of picture and word voice etc. Therefore, conclusion that is gotten by sequence of study seeing in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there were little child's changes of language comprehensive faculty through multimedia. This is thought by sequence that child understood vocabulary using in everyday life environment. Second, it improves Gueojeok power of expression that do so that can do various freedom reaction through character animation of scene picture but there was effect. Participated and is been interested voluntarily by child by taking advantage of various animation. Is changed by specific method that improvement of thinking faculty through multimedia expresses and child's Gueojeok power of expression was improved. Third, City Hall horn stimulation and every time supplied feedback program of picture and voice etc. that use by character animation learning program of scene picture improved that write emblem that is correct to statement construction grammar ability. And I wish to do following offer that is generalized to all autism children is limiting point(LP). So, specific and systematic succession study for faculty of speech elevation is required expanding target child's extent. Need linguistic atlas program that take advantage of more and more various and many character animation of scene picture for autism child's faculty of speech elevation. And, may encourage effect if deep study about map method is groped.

      • 高等學校에서 Maple을 利用한 函數의 指導에 관한 硏究 : 共通數學 敎科 中心으로

        김석만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컴퓨터 응용 software인 Maple의 기능을 이용하여 「고등학교 공통 수학」의 교과과정 중 효율적인 함수의 지도를 위해 교수 학습 자료를 최적화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함수의 그래프의 개념을 쉽게 획득할 수 있도록 Maple을 이용하여 그래프의 생성 과정을 구체적으로 개발하였고 둘째, 교과서에서 제시된 기존의 학습 내용을 근거로 하여 Maple의 그래픽 기능을 통하여 시각화함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하도록 하였으며 셋째, Maple을 사용하여 문제들을 해결하고 그 결과를 쉽게 얻는 방법을 제시하여 수학에 대한 흥미도를 높이고 창의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려는 의도로 시행된 연구로써, 이 내용을 좀 더 발전시킨다면 교사 스스로 학생들에게 보여줄 자료를 만드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 연구는 개념의 습득면을 중시하였으므로 학습 지도시 필요한 내용은 추가하여 지도되어져야 하며, 또한 함수 그래프 개념의 습득에 대한 효과 여부는 추후 연구자들에 의하여 검증되어야 한다. The current Korean highschool education in mathematics needs changes. It is too stereotypical for the students to have interests in it and to think creatively. It is this study that tries to improve current situa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It is the process of making right answer that is more important than the correct answer itself in the high school mathematics. But in the current situation, the process would be meaningless if the answer is wrong. Especially, reviewing the lessons by repeating is needed to the students who understand the lessons after learning. There are three aims in this essay. First, it would be discussed that the effects in mathematics education by using computer program. Second, by mentioning the Maple which is a kinds of computer program, excel in evaluating and graph, visualization of mathematics will be discussed for effective function teaching in 'Highschool Common Mathematics'. Last, it makes the most of the teaching materials by using the Maple program. For achieving these goals, first, it tries to make the process of graphic generation concretely for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functional graph by using the Maple program. Second, in the base of the text book, it is visualized and let the students increase the interests of it by the Maple program. Third, using the Maple program to solve the problems and show the process to get right answer, it could be increased that the poor students' interests and creativities of mathematics. If these studies are more developed, it is assumed that the teachers can make the teaching materials by themselves. It puts emphasis on understanding the concepts of functional graph rather than the teaching materials which are presented in this essay. And the effects of understanding the functional concepts should be examined by the next investigators.

      • 병원사업장에서의 교대근무제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여성 의료종사자를 중심으로

        김석만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대한간호협회의 조사에 따르면 일하는 간호사 10명 중 8명이 20∼30대 가임기 여성이며, 이들의 60%는 낮은 임금과 육아지원 체계 미흡 등으로 인하여 어쩔 수 없이 직장을 휴직하고 있는 상태라고 한다. 문제는 이러한 숫자가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해 9만 명에 달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유휴간호사 인력은 증가하면서도 각 병원의 간호사 인력부족 문제는 나날이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의 이면에는 일과 가정 모두를 병행해야 하는 여성 의료 종사자들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정부와 의료기관에 책임문제가 있다고 하겠다. 현재 대부분의 의료기관에서는 교대근무제를 시행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여성 인력을 충분히 활용하고 병원 측에서도 경영의 효율성을 이루고자 하는 목적에 비추어 본다면 교대근무제의 시행은 바람직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일과 육아 모두를 병행하는 것은 일 단위로 변화가 심한 교대근무제 하에서는 거의 불가능한 것이라 하겠다. 왜냐하면, 짧은 교대근무 주기로 인하여 교대근무자의 일주기리듬이 자주 깨지게 되며 수면 장애와 가족과의 시간, 자기계발 시간, 그리고 사회 활동 등의 일정한 시간대 확보가 부족해지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여러 의료 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현재 근무하고 있는 병원의 교대근무제의 순환 주기 및 희망하는 주기, 야간근무 지속일과 희망하는 근무형태와 선호하는 근무시간대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선호하는 근무유형의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자기계발(건강, 학업지속 등), 가족생활(양육, 부양 등), 사회활동(교제, 취미활동 등) 등에 대한 개인별 중요도를 추정하고 근무유형과의 연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의 마지막에서는 직무 만족도, 개일 생활 만족도, 경력몰입정도, 이직의도 등을 알아봄으로써 현재 직장에서의 교대근무제에 대한 간호사들의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여성 의료종사자들은 비교대근무를 원하였으며 교대근무를 하게 되는 경우에는 Night 근무보다는 Day 근무 또는 Evening 근무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희망하는 근무형태가 다른 이유로는 가족과의 시간을 더 많이 보내기 위해서, 그리고 자기계발에 시간을 더 투자하고 싶어서였다. 또한 교대근무를 하게 되는 경우에는 1~2주 주기보다 더 길게 고정된 4주 주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주기가 길게 고정된 교대근무제도 하에서 근무를 하게 된다면 생활리듬이 자주 바뀔 필요가 없으므로 교대근무자의 건강이나 수면생활, 근무 집중도도 더 증가할 것이라 생각된다. 사실 Night 근무를 이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야근 수당 등의 이로움이 있지만 이제까지 교대근무자들이 Night 근무를 회피한 이유는 자주 바뀌는 교대근무 주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만일 고정적인 교대근무제가 정착된다면 현재 Night 근무에 대한 선호도도 증가할 것이며 육아 문제로 인하여 직장을 쉬고 있는 유휴간호사들도 Night 근무 시간대에 근무를 희망하여 일과 육아 모두를 병행하고자 할 것이다.

      • 신문의 건강정보 기사의 이용동기와 만족에 관한 연구

        김석만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신문의 건강정보 기사의 이용동기와 만족에 관한 연구 건강정보는 개인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각종 상식을 제공하고 건강검진과 같은 구체적인 건강관련 행위를 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이와는 반대로 너무 많은 정보 또는 선정적으로 포장된 건강정보 때문에 자신의 건강을 의심하고 공포감에 사로잡힐 수도 있는 부정적인 측면도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관련 기사가 개인에게 어떠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선행연구 및 이론을 토대로 가설을 수립하고, 가설을 입증하기 위해 병원을 방문하여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를 이용하여 “건강상태에 대한 인식 정도”와 “건강관련 뉴스의 이용 정도”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고 빈도분석, 상관분석, 신뢰도분석 및 평균차이검정 등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정보 기사를 읽게 된 동기는 건강상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건강한 집단의 경우 재미와 흥미 때문에 건강관련 기사를 읽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자 집단의 경우 유익한 정보 획득을 위해 기사를 읽고 있다. 따라서 개인의 건강상태에 따라 건강정보 기사의 종류를 구분하여 제공함으로써 고객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건강정보 기사에 대한 개인의 느낌 및 행동 변화는 개인의 건강상태에 따라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별 건강정보 기사를 읽고 얻은 느낌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 환자 집단은 건강정보 기사를 읽고 건강집단보다 더 혼란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강이 좋지 않거나 환자에게는 건강정보 기사의 노출을 줄여 건강에 대한 우려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셋째, 건강정보 기사에 대한 만족도는 개인의 건강상태 및 뉴스이용 집단에 따라 대부분 크게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건강기사의 이해도는 환자집단보다 건강 및 보통 집단이 높게 나타났으며, 건강기사에 대한 신뢰성은 보도에 대한 이용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 보다 낮게 나타났다. 넷째, 건강정보 기사에 따른 건강 행동의 의지 및 관여도는 개인의 건강상태 및 뉴스이용 집단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건강 행동의 의지 및 관여도는 건강상태 및 보도에 대한 노출 정도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건강정보 기사를 읽고 난 후 병원방문의지 및 병원과 의사 또는 질병에 대한 인식이 건강상태 및 뉴스활용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건강관련 정보 노출이 과다하거나 부족할 경우 건강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보량이 많을 경우(뉴스활용이 높은 집단) “건강에 대한 고민 축소”, “건강행동 수행 의지 강화”, “질병치료에 대한 확신” 등의 긍정적인 측면과 “건강정보에 대한 과장”, “질병치료에 대한 절망감”등의 부정적인 측면이 나타났다. 또한 “병원에 대한 인식 변화”에서는 적정 정보량에 노출된 집단(보통이용 집단)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과도한 건강정보의 노출은 의도하지 않는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기 때문에 노출의 수위를 조절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건강정보에 대한 개인의 인지 및 태도가 개인 특성에 따라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입증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개인 특성에 따른 건강정보 기사의 효과를 이해하는데 기여가 되었다면 차후의 연구과제에서는 다양한 개인 특성에 따른 미디어의 성격, 내용 및 노출 정도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벼멸구 저항성 유전자 지도 작성과 분자표지를 이용한 저항성 계통선발

        김석만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japonica-type rice cultivar with brown planthopper (BPH) resistance using DNA markers. A doubled haploid (DH) population consisting of 245 pure-lines was established by anther culture of F1 hybrids between 'Samgang', a Tongil type BPH resistance cultivar, and 'Nagdong', a japonica cultivar. To determine the map position of genes responsible for BPH resistance in rice, a genetic map was constructed based on 120 DH lines selected randomly from 245 DH lines. A total of 170 molecular markers were classified into 12 linkage groups, covering 2,890 Kosami centimorgan (cM) with an average of 17.0 cM. Linkage analysis between BPH resistance and DNA marker performed by using MapManage 2.0b revealed that two SSR markers, RM 28461 and RM 28520, were linked to Bph1, which was located with a physical distance of from 22.8 to 23.3 Mbp on chromosome 12. Five QTLs (qBPR3, qBPR6, qBPR7, qBPR8, and qBPR12) associated with BPH resistance were identified and mapped on chromosomes 3, 6, 7, 8, and 12, respectively, using the genetic map constructed in this study. QTLs were dete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BPH resistance and the agronomic traits related to lodging and grain characters. Thirteen QTLs were detected using composite interval (CI) mapping for five traits comprised of plant length (PL), 3rd internode length (3rdIL), moments (Mo), lodging index (LI), and breaking weight (BW). Thirteen QTLs related to endosperm's chalkiness consisting of the percentages of chalkiness, white belly, and white core were identified by CI mapping. Ten QTLs related to culm length, panicle length, number of panicle per hill, 1000 grain weight and days to heading were mapped on eight chromosome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BPH resistance and agronomic traits including lodging and grain chalkiness, a total of 36 QTLs related to the 16 agronomic traits were detected on 12 rice chromosomes using a mapping population consisting of 120 DH lines from 'Samgang / Nagdong'. In an analysis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5 QTLs controlling BPH resistance and the 36 QTLs, 4 QTLs (qBPR3, qBPR7, qBPR8, and qBPR12) showed a linkage with lodging and grain characters. A QTL (qBPR3) located on chromosome 3 (RM282-3023) was closely linked to culm length (qCL3). Two QTLs, qBPR7 and qBPR8, on chromosome 7 (RM531-7042), and 8 (RM1148-RM544) showed an association with grain white-belly and 3rd internode length, respectively. The major QTL (qBPR12) for BPH resistance on the long arm of chromosome 12 overlapped the region detected in grain white-core (qWCP12) and lodging index (qLI12). A STS marker (BpE18-3) and a RFLP marker (RG413) linked to Bph1 were employed to classify the source of resistance to BPH in rice. These two markers showed distinctly polymorphic patterns among the donors, 'Mudgo', 'TKM6', and 'ASD7'. The markers BpE18-3 and RG413 separated rice cultivars with a resistance source derived from 'TKM6'. This study presents a case study designed to compare the selection efficiency between phenotypic selection (PS) and marker-assisted selection (MAS) in breeding of resistance lines to brown planthopper (BPH). The efficiency between PS and MAS were compared with four population such as the F2, RILs(F6), DH, and backcrosse (BC6F5) population, derived from a cross 'Samgang / Nagdong'. The resistance lines selected using MAS were screened as resistance lines over 95% in PS. For application of MAS to improve selection efficiency in the breeding programs, we have used two markers, RM28493 and BpE18-3, related to BPH resistance and produced eight backcrossed population including BC3F3 derived from a cross 'SNDH39 / Junam*4’. The presence of BPH resistance in each generation was determin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or bioassay. The costs required for BPH screening in the MAS system account for approximately 36.6% of the total cost of PS. The period needed to select the resistance plants was 30 days in PS and 7 days in MAS.

      • 수동형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용 AWM 구동 방식

        김석만 충북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proposes a new amplitude and width modulation (AWM) scheme for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data driver IC. The data driver controls brightness of OLED by adjusting amplitude and width of the current sources. There are two conventional modulation schemes; pulse amplitude modulation (PAM) and pulse width modulation (PWM). The PWM suffers from lower light emitting efficiency at lower luminance levels. The PAM gives us large chip area, due to DACs for each column. The proposed AWM accurately control the current level using MSB data and increase luminance using LSB data that improves inefficiencies of the PAM and PWM. We fabricated a 96x96 driver chip with AWM using the 0.18um standard CMOS process. The proposed scheme reduces power consumption 50% compared with PWM 본 논문은 OLED 패널 소스 구동회로에서 구동 전류의 크기와 폭을 조절하는 새로운 amplitude width modulation (AWM) 방식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소스 구동회로에서 pulse amplitude modulation (PAM) 방식은 DAC 회로 추가로 인해 크기가 커진다는 단점이 있고, pulse width modulation (PWM) 방식은 낮은 그레이 신호 레벨에서 발광 효율이 나쁜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에는 색상 데이터 비트의 MSB를 이용하여 구동 전류의 레벨을 제어하고, 데이터 비트의 LSB를 이용하여 구동 전류의 폭을 조정하는 구동방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구동 방식은 0.18-μm 표준 CMOS 공정을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제안된 AWM 구동 회로가 PAM 방식에 비해 회로 크기를 줄였고 신호 레벨이 낮은 영역에서 PAM과 거의 동일한 발광 효율을 얻었다. 제작된 칩의 테스트를 통해 제안된 AWM 구동 방식이 수동형 OLED 구동 IC에 적용 가능함을 보였다.

      • 고해상도 터치스크린을 위한 스캔 알고리즘 및 인터페이스 회로

        김석만 충북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Recently, touch screen technologies have been widely used due to smart mobile devices. The touch screen has evolved into various forms reflecting applied technology and applications. In particular, capacitive touch screen technology is under rapid development, accommodating multitouch and various gesture input options. The number of electrodes in recent capacitive touch screens is increasing. To support a fine tip stylus replacing a conventional finger-sized stylus, substantial studies have been devoted to increase electrode density and improve the SNR of a capacitive touch screen. In addition, a high electrode density touch screen may be employed to receiver fingerprints from a touch screen instead of a fingerprint input device in systems requiring fingerprint recognition. Extensive studies cover techniques for supporting touch interfaces on large screens such as TVs and electronic white boards. As the number of electrodes increases, the amount of collected data increases along with the number of increased electrodes. It increases the data acquisition time and transmission time, which leads to deteriorate the response time characteristics. Also, it increases the energy consumption since the number of electrode scan count incre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uce touch response time and energy consumption in a high resolution touch screen increase of the number of electrodes. To do this, the first step is to shorten the touch data collection time of a high resolution touch screen. The second step is to implement a high-speed interface to transmit massive image data. The following methods were applied to reduce the data collection time for the high resolution touch screen. First, touch events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no touch,” “touched on a driven line” and “touched on an undriven line.” The “no touch” type event represents idle condition without any touches on the screen. The “touched on a driven line” type event designates a touch event on the currently driven electrode line. The “touched on an undriven line” type event is for a touch event on an electrode line without current driving operations. The differences in changes of circuit components for each touch event type are analyzed through modeling of a touch panel and its sensing circuits. It shows that all type of touch events are detectable. Second, the pre-search mode is developed by a feature of “touched on an undriven line.” It is possible to detect a touch event in the standby mode without full scanning. In general, the touch panel is always under scanning to detect a touch even if a touch event does not occur while the screen is on. The proposed pre-search mode monitors touch events of the entire touch panel by driving only a single line during the standby state without a touch event. This allows significant reduction of energy consumption in the standby mode of a touch panel. Third, a reduced scanning algorithm was proposed to reduce the number of scan counts during normal operation. The proposed reduced scanning algorithm scans the untouched area by skipping several electrode lines, and thereby reduces the detection time. Electrode lines around a touched position are scanned precisely. It uses the fact that the touch object covers several electrodes. This is especially useful in high density touch screens. A high-speed serial interface was applied to reduce data transmission time. The proposed scanning algorithm reduces the number of scan counts, but the amount of touched image data remains the same as that of conventional scanning algorithms. The amount of touched image data increases along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electrodes. High-speed serial interfaces for cameras are being used in mobile computing environment. The 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MIPI) camera serial interface 2 (CSI-2) has been modified and applied for touch screen applications. Especially, its error handling path is improved to reduce the latency when it suffers errors during data transmissions. In order to evaluate the proposed scanning algorithm, the number of scan count of electrode lines was obtained through numerical models and simulation. Using the proposed scanning algorithm, the number of scan count is reduced by more than 40% for a single touch.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ave energy consumption by 50% in an environment with a touch duration ratio of 0.5 when the pre-search mode is applied to the conventional progressive scanning algorithm. All proposed algorithms can save up to 70% of energy consumption with a touch duration ratio of 0.5. This thesis improves the response time by the proposed scanning algorithm. It is shortening the data collection time as reducing the number of scan count in the high resolution touch screen. Furthermore, the efficiency of energy consumption was improved by reducing the number of charge/discharge cycles. It also improved the response time of large touch screens by shorter data transmission time using a modified high-speed serial interface. 최근 스마트 모바일 기기들로 인해 터치스크린의 대중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터치스크린은 적용되는 기술과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였다. 특히 멀티터치와 다양한 제스쳐 입력이 가능한 정전용량형 터치스크린 기술이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다. 최근의 정전용량형 터치스크린 기술은 터치 패널의 전극수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손가락 굵기의 스타일러스 대신 미세팁을 갖는 스타일러스를 지원하기 위해 정전용량형 터치스크린의 전극밀도를 높이고 SNR을 향상시키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별도의 지문입력 장치 대신 터치스크린에서 직접 지문입력을 받기 위해 터치스크린의 전극밀도를 높이기도 한다. 또한 TV나 전자칠판과 같이 대형 스크린에서 터치인터페이스를 지원하기 위한 기술들도 연구되고 있다. 이렇게 전극의 수가 증가한 터치스크린은 전극 수의 증가에 따라 수집해야 하는 데이터의 양도 늘어나게 되었다. 이로 인해 데이터 수집 시간 및 전송시간이 증가되고 이는 응답속도의 저하로 이어진다. 또한 구동해야 하는 전극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소비 에너지 또한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전극의 수가 많은 고해상도 터치스크린에서 터치 응답 시간과 소비 에너지를 줄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는 고해상도 터치스크린의 터치 데이터 수집시간을 단축시켜야 한다. 둘째는 대량의 터치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고속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데이터 수집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사용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터치 이벤트 발생 유형을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첫 번째 유형은 터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이고, 두 번째 유형은 구동중인 라인 위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것이다. 세 번째 유형은 구동중이지 않은 라인 위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것이다. 각 터치 이벤트 유형에 따른 터치 패널과 센싱 회로를 등가회로 모델링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세 가지 유형의 터치 이벤트를 각각 구분할 수 있음을 밝혔다. 둘째는 세 번째 터치 이벤트 유형의 특성을 사용하여 pre-search 모드 동작을 제안하였다. 터치 패널 모델링에 의해 얻은 비구동라인의 터치 이벤트 감지 방법을 사용하여, 대기 모드 시 터치 이벤트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됐다. 일반적인 터치스크린은 화면이 켜져 있는 동안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터치패널이 항상 구동되어 터치 유무를 감지하고 있다. 제안한 pre-search 모드는 터치 이벤트가 없는 대기 시간 동안 일정 주기로 하나의 라인만 구동하여 터치패널 전체의 터치 이벤트를 감시한다. 이는 대기시간의 에너지 소비를 절약할 수 있다. 셋째는 일반 구동 시 스캔 라인 수를 줄이는 reduced scanning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reduced scanning 알고리즘은 터치가 발생하지 않은 영역은 몇 개의 라인을 건너뛰는 방식으로 빠르게 스캔을 한다. 터치가 감지되면 그 주변을 정밀 스캔하도록 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터치 물체에 여러 개의 전극이 반응하는 특성을 이용한다. 이는 고밀도 터치스크린에서 특히 유용하다. 데이터 전송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를 적용하였다. 제안한 스캔 알고리즘은 데이터 수집을 위한 스캔 횟수를 줄였지만, 수집된 데이터의 크기는 기존의 스캔 방식과 다를바가 없다. 따라서 전극 수의 증가에 따라 증가되는 대량의 터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고속 전송 방식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환경의 카메라에 사용되는 카메라용 고속 직렬 인터페이스인 MIPI CSI-2를 터치스크린에 적용할 수 있도록 일부 수정하였다. 특히 에러 처리 경로를 개선하여 에러 발생 시 레이턴시를 낮출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한 스캔 알고리즘을 평가하기 위해 수식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스캔 라인 수를 얻었다. 제안한 스캔 알고리즘을 사용할 경우 싱글 터치일 때 40%이상 스캔 라인 수를 줄일 수 있었다. 또한 기존의 풀스캔 방식에 pre-search 모드 만 적용할 경우 터치빈도가 0.5인 환경에서 50% 가량 소비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었다. 모든 알고리즘 적용시 터치빈도가 0.5인 황경에서 70% 가량 소비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본 논문을 통해 제안한 스캔 알고리즘은 고해상도 터치스크린에서 터치패널의 구동횟수를 줄여 데이터 수집 시간을 단축하여 응답시간을 향상 시켰다. 구동횟수 감소로 인한 충방전 횟수 감소로 에너지 소비 효율을 높였다. 또한 대형 터치스크린을 위해 수정된 고속 직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대형 터치스크린의 응답시간을 향상 시켰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