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LPGA 1세대 골퍼'의 삶과 정체성 : 박세리, 김미현, 박지은을 중심으로

        이지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758

        The South Korean female professional golfers made brilliant achievement so the US LPGA Tour, the world's biggest arena. The golden age began when the ‘first-generation LPGA golfers’ made their debut on the tour around the year of 2000, including Mihyun Kim, Grace Park, first being started with Seri Pak, who won the US Women’s Open with her signature barefoot shot from the water hazard in 1998. Korean women’s golf has become a popular sport in the country for the past two decades, with the emergence of the so-called as ‘Seri kids’, a junior golfer who started golf influenced by Pak’s success, and their success has received many spotlights. Meanwhile, the success of Korean women’s golf has exposed not a few problems, like double-edged swords. Other problems such as culture, conflicts with their own fathers, excessive rivalry spirit and slumps were also come to the surface.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aims at identifying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Seri Pak, Mihyun Kim and Grace Park among the ‘first-generation LPGA golfers’ by interpreting their lives and identities in-depth.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has the life and identity of the ‘first-generation LPGA golfer’ been taken shape and changed? Seri Pak’s life journey was a process of forming an ‘achievement-oriented identity.’ She was obsessed with golf more than anyone else with her strong tenacity, she felt a desire to achieve, and a keen sense of competition laid the foundation for her success. Mihyun Kim’s life is summarized as a process of forming a ‘relation-oriented identity.’ She started playing golf under her father's influence, and her relationship with my father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her golf. Grace Park’s life can be summed up as her ‘self-directed identity.’ She has enjoyed competition since her childhood, and through her self-driven way of golf, she constantly appeared to seek to find her goals and pleasures out of golf. Second, what i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life and identity-building process of the ‘first-generation LPGA golfer’? First, the ‘first generation of LPGA golfers’ experienced an ‘unlimited competitive life’ to build competitiveness when they first grabbed the golf club. Such an atmosphere where rivalry is over-emphasized can turn players into ‘a ball-hitting machine.’ However, as for as the sport is concerned, even the best player cannot win all the time. Therefore, it should be recognized achieving successful outcomes should not be the only emphasis but the various immanent values gained in the process. Second, the ‘first-generation LPGA golfers’ was greatly influenced by ‘golf daddy’ from their start of golf career. ‘Golf Daddy’ was usually a ‘friendly daddy’, but he became a very strict ‘cruel father’, when dealing with their athletic daughters. He is a ‘father who tries hard for his daughter’, and a father who plays a ‘superman daddy’ as a manager, driver and coach, being fully committed to taking care of his daughter. While this culture of golf has had a huge impact on bringing the ‘first-generation LPGA golfers’ to the top of the world, but the ‘shadowing’ of parents’ excessive expectations, enthusiasm for education and strict education has become a source of conflict with their father. Since golf is an important sport of fighting for him/herself in the end, and fathers should be wait and faithful to the role of a ‘strong helper.’ Third, ‘first-generation LPGA golfers’ experienced a slump, both large and small, due to many reasons such as financial problems, psychological problems, social-politic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crisis management abilities, injuries, lack motivation, and suffered symptoms of yips, negative thoughts, complex thought, loss of confidence, etc. Because most every athlete goes through a slump, what players in the slump, what players in the slump need is to accept that they are in a slump. It is very difficult to admit that one is in a slump, but understanding that they are in a slump is the first step to overcome the hard times, looking back at oneself to find their weakness, and the time and effort to overcome must follow. The key to overcoming slump is accepting and reflecting, and life after overcoming this phase can change as well. Keywords : ‘first-generation LPGA golfers’, LPGA tour, life, identity, life history research, Seri Pak, Mihyun Kim, Grace Park, ‘achievement-oriented identity’, ‘relation-oriented identity’, ‘self-directed identity’, ‘Seri kids’, ‘golf daddy’, educational significance 한국 여자골프는 1998년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메이저 대회인 US여자오픈에서 맨발의 해저드 샷으로 우승을 차지한 박세리를 시작으로 김미현, 박지은 등 ‘LPGA 1세대 골퍼’가 2000년을 전후해 투어에 데뷔하면서 황금기를 맞았다. 박세리의 성공에 영향을 받아 골프를 시작한 주니어 골퍼들, 이른바 ‘세리 키즈’가 출현하면서 지난 20년 동안 국내에서 인기 스포츠로 자리매김하였으며, 이들의 성공 요인은 많은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다. 반면 한국 여자골프의 성공에는 양날의 검처럼 골프에 올인해야 하는 문화, 지나친 경쟁의식, 아버지와의 갈등, 슬럼프 등의 문제점들이 표출됐다. 이에 본 연구는 ‘LPGA 1세대 골퍼’ 중 박세리, 김미현, 박지은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생애사 연구 방법을 통해 이들의 삶과 정체성을 심층적으로 해석하면서 그 교육적 의미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 박세리의 삶의 여정은 ‘성취 지향적 정체성’ 형성의 과정으로 드러났다. 누구보다 성공에 대한 강한 집념으로 골프에 올인하였으며, 도전을 통해 자신감을 얻었고, 치열한 경쟁의식은 성공의 밑받침이 됐다. 김미현의 삶은 ‘관계 지향적 정체성’ 형성의 과정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영향 아래 골프를 시작하였으며, 아버지, 스폰서와의 관계 등은 김미현의 골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소였다. 박지은의 삶은 ‘자기 주도적 정체성’ 형성의 과정임을 도출하였다. 어린 시절부터 경쟁을 즐겼으며, 누구에게도 지기 싫어하는 근성으로 두각을 보였고 자기 주도적 골프를 통해 끊임없이 골프에 대한 목표와 즐거움을 찾으려 했다. ‘LPGA 1세대 골퍼’의 삶과 정체성 형성에 따른 교육적 의미는 ‘경쟁을 통한 내적 가치 추구’, ‘기다려주는 아버지’, ‘피할 수 없는 슬럼프’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LPGA 1세대 골퍼’는 골프 클럽을 잡은 순간부터 경쟁력을 기르기 위한 ‘무한 경쟁의 삶’을 살았고 ‘승리지상주의’, ‘다른 선수와의 비교’에 빠지기도 했다. 그러나 최정상에 있는 선수라도 늘 우승할 수 없는 게 골프이기 때문에 결과로써의 성취만을 강조할 게 아니라 그 과정에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내재적 가치를 추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LPGA 1세대 골퍼’는 골프를 시작했을 때부터 ‘골프 대디’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골프 대디’는 평상시엔 ‘다정한 친구 같은 아빠’였고, 딸을 위해 모든 것을 올인하면서 매니저, 운전기사, 코치 역할을 해내는 ‘노력하고 헌신하는 아빠’였다. 운동선수인 딸을 대할 때는 매우 엄격한 ‘무서운 아빠’의 모습도 보였다. 이런 ‘골프 대디’ 문화는 ‘LPGA 1세대 골퍼’를 세계 정상으로 올려놓는 데 큰 영향을 미쳤으나, 지나친 기대와 뜨거운 교육열, 엄격한 교육 방식과 같은 ‘그림자 뒷바라지’는 갈등을 낳는 요소가 되었다. 그러나 골프는 결국 선수 스스로가 해야 하는 운동이기에 아버지는 ‘믿고 기다려주는’ 든든한 조력자가 되어야 한다. 셋째, ‘LPGA 1세대 골퍼’는 금전적 문제, 사회⋅환경적 문제와 위기관리 능력 상실, 부상, 동기 부재 등으로 인해 크고 작은 슬럼프에 빠졌으며, 입스, 부정적 사고, 복잡한 생각, 자신감 상실 등을 겪었다. 선수들이 스스로 슬럼프를 인정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러나 슬럼프는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일이기 때문에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대처하느냐가 매우 중요하다. 슬럼프 극복은 슬럼프에 대한 이해로부터 시작되며, 스스로를 돌아보는 성찰 같은 노력을 기울이는 데에 슬럼프 극복의 열쇠가 있다. 주제어 : ‘LPGA 1세대 골퍼’, 박세리, 김미현, 박지은, 삶, 생애사 연구, 정체성, ‘성취 지향적 정체성’, ‘관계 지향적 정체성’, ‘자기 주도적 정체성’, ‘골프 대디’, ‘세리 키즈’, 교육적 의미

      • On compact CR submanifolds with parallel mean curvature vector of a complex space form

        김미현 慶北大學校 1996 국내석사

        RANK : 247647

        Sgaoe operator와 f-구조가 commutative이면 h(2) = h^*P_*** + c/4(n-1)이 성립함을 최근에 U-H. Ki, R. Takagi and T. Takahashi께서 논문으로 발표하신 바 있고 본 논문에서는 complex space form의 parallel mean curvature vector를 갖는 compact CR Submanifold 상에서 h(2) = h^*P_*** + c/4(n-1) ≥ h(2) 이면 A^*f=fA^*라는 것을 보였다.

      • 울릉매실 분말 첨가 쿠키의 품질 특성

        김미현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요 약 울릉매실 분말 첨가 쿠키의 품질 특성 식생활의 서구화 영향으로 제과․제빵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건강에 유익한 기능성을 함유한 부재료를 첨가한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매실에는 유기산과 무기물질이 많이 함유되어있어 피로를 풀어주며 식욕 증진, 항균활성 및 해독 효능이 있다고 보고되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쿠키에 울릉도산 매실 분말을 첨가하여 쿠키를 제조하고 이들 쿠키의 품질특성을 측정함으로써 기능성 쿠키의 재료로서 매실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울릉매실 분말을 0%, 1%, 2%, 3%로 첨가하여 쿠키를 제조하고 동결건조한 울릉매실 분말의 pH, 수분함량 및 색도, 쿠키의 반죽과 구운 쿠키의 밀도, pH 및 수분함량, 쿠키의 퍼짐성, 색도, 경도를 측정하였으며, 기호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울릉매실 분말의 pH는 2.01, 수분함량은 6.26으로 나타났으며, 색도는 L값 76.14, a값 -1.66이었으며, b값은 28.65로 나타났다. 쿠키 반죽의 밀도는 3% 첨가군의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p<0.05) 0% 첨가군과 1%, 2% 첨가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쿠키 반죽의 pH는 울릉매실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나(p<0.05), 수분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쿠키의 밀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쿠키의 pH는 울릉매실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0.05). 쿠키의 수분함량은 2% 첨가군과 3% 첨가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울릉매실 분말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쿠키의 퍼짐성 지수는 1% 첨가군과 2% 첨가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울릉매실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퍼짐성 지수는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쿠키의 L값은 대조군과 1% 첨가군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울릉매실 분말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쿠키의 경도는 울릉매실 분말 첨가군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0% 첨가군의 경도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기호도 검사 결과 전반적인 기호도, 맛, 향미, 조직감의 항목에서는 0% 첨가군과 1% 첨가군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울릉매실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p<0.05).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울릉매실 분말을 1%까지 첨가 할 경우 기호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쿠키의 기능성은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Ulleung-Maesil(Prunus mume fruit) Powder Kim, Mi Hyun Major in Educational Nutr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angmyung University Effects of adding four different amounts(0 %, 1 %, 2 %, 3 %) of Ulleung-Maesil(Prunus mume fruit)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ere studied. pH, water content & bulk density of dough and pH, water content & bulk density, firmness, color, spread factor, consumer acceptability of maesil cookies were measured. While the pH of dough & cookie, spread factor, chroma value, hardness of cookie decreased significantly, the bulk density of dough, water content of cookie and Δ E value of cookie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maesil powder content(p<.05). The consumer acceptability scores for 0% and 1% maesil cookie groups ranked higher than 2% and 3% groups in overall acceptability, taste, flavor and texture significantly(p<.05). Our study suggested that Ulleung-maesil can be a good material for increasing the acceptability and functionality of cookies. Key words: Ulleung-maesil, cookies, color, spread factor, firmness, consumer acceptability

      • 최근 우리나라에서 유행한 급성 A형 간염 바이러스의 유전자형 분석과 임상적 양상

        김미현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 / Purpose: In Korea, most hepatitis A virus has been IA genotype, but reports to publish the other genotypes have recently been increas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the virus genotypic analysis of acute hepatitis A virus and to evaluate the clinical manifestations. Materials and methods: From April 2010 to April 2011, clinical specimens from both 20 patients with acute hepatitis A who were hospitalized in K hospital loca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36 patients positive for anti-HAV IgM who were requested by S medical laboratories located in Seoul were subjects. Genotype in VP1/2A region was analyzed an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biochemical tests were performed. Once RNA was extracted from sera of 56 specimens positive for anti-HAV IgM, sequences were analyzed through RT-PCR in VP1/2A juntion region. The sequenc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existing published genotypes. Results: As a result of genotypic analysis, among 50 patients in which virus was separated, 4 patients (8%) belonged to genotype IA and the remaining 46 patients (92%) belonged to genotype IIIA. The average age of patients was 29 years old and the average hospitalization period was 8.1±2.8 days. Laboratory findings showed the tendency of high distribution of AST, ALT, total bilirubin levels and INR levels. However, since the number of IA genotype i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IIIA genotype, the comparison in clinical relevance between two genotypes was limited. However, through this study, the genotypic analysis of patients with hepatitis A confirmed that the genotype was being changed from IA to IIIA in Korea. The genotypic analysis and clinical evaluation on patients with hepatitis A in the entire country will be required through a multicenter study and additional study on source and propagation path will be needed.

      • 유전자변형 비타민 A 강화쌀의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

        김미현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에서 개발된 유전자변형 비타민 A 강화 벼 (GM 벼)와 그 모종 벼인 낙동벼(non-GM 벼)로부터 얻은 쌀(현미, 백미)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일반성분, 베타-카로틴, 지방산, 아미노산, 무기질 함량을 분석하여 유전자변형 쌀에서 주요 영양성분 조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쌀을 가열조리에 의해 가공처리 했을 때 비타민 A 강화 쌀에 생합성 된 카로티노이드와 주요 영양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비타민 A 강화 GM쌀은 일반적인 쌀의 크기와 형태에 비추어 단립종으로 분류되었으며 carotenoids의 생합성에 의해 모종쌀에 비해 황색도가 높게 나타났다. 비타민 A 강화쌀의 20℃에서 수침 중 수분흡수율을 측정한 결과 비타민 A 강화쌀이 낙동쌀에 비해 수침 중 수분흡수율이 미미하게 높았으나 비슷한 경향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었다. 비타민 A 강화쌀의 취반후 텍스쳐는 부착성을 제외하고 모종쌀과 전체적으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타민 A 강화 GM쌀은 non-GM 모종 쌀과 일반성분 함량이 유사하였고 GM 쌀 100 g당 약 0.2 mg의 베타-카로틴을 함유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GM 쌀의 지방산 조성은 oleic acid, linoleic acid, palmitic acid가 지방산 전체의 94% 이상으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non-GM 쌀과 전체적인 지방산 조성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GM 쌀의 아미노산은 Asp>Arg>Leu>Ala>Ser>Val 순으로 그 함량이 높았고 무기질 함량은 P>K>Mg>Na>Ca>Zn>Fe의 순이었으며, non-GM 쌀에 비해 대부분의 아미노산과 무기질 함량이 약간 높은 수치로 측정되었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전체적인 영양조성에서 비타민 A 강화 유전자변형 쌀은 의도한 바의 베타-카로틴이 쌀의 종실에 생합성 됨과 함께 쌀의 일반성분, 지방산, 아미노산 및 무기질 함량에는 별 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타민 A 강화 벼로부터 얻은 쌀을 열탕, 증자 또는 증자/볶음처리 방법에 의해 가열조리 했을 때 쌀의 주요 영양성분 조성 및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비타민 A 강화쌀의 일반성분은 밥 형태로의 열탕처리에 의해 별 차이가 없었으나 증자/볶음 처리에 의해서는 다소 감소하는 결과를 주었다. 비타민 A 강화쌀은 가열조리에 따른 지방산 조성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탕처리에 의해 가열조리한 비타민 A 강화쌀은 아미노산 조성 및 함량에 차이가 없었으나 증자/볶음 처리는 대부분의 아미노산 함량을 약간 감소시켰다. 열탕처리에 의해 가열조리한 비타민 A 강화 쌀은 전체적으로 무기질 함량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증자/볶음처리에 의해 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비타민 A 강화쌀의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원곡의 1.28 ㎍/g에서 열탕조리 후 0.76 ㎍/g으로 감소하였으며 증자 및 볶음처리는 0.40 ㎍/g으로 원곡의 약 30% 수준으로 현저한 감소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비타민 A 강화쌀의 조리가공 시 가열방법 및 열처리 정도는 카로티노이드를 포함한 영양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제시되었다. 비타민 A 강화쌀 백미와 현미를 60℃에 4주간 가속저장하면서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저장 중 비타민 A 강화쌀의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백미에서 그 감소 정도가 보다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타민 A 강화쌀은 항산화 활성이 낙동쌀보다 높았으며 특히 백미보다 현미 추출물에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타민 A 강화쌀의 in vitro 전분가수분해율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비타민 A 강화쌀과 낙동쌀 간의 전분가수분해율에는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철제근대문화유산의 부식방지를 위한 표면코팅재의 내구성 시험연구 : 경의선 장단역 증기기관차의 예를 중심으로

        김미현 경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Many of steel cultural assets from the iron age and onward to the modern age are in damaged conditions. Outdoor steel cultural assets, in particular, are severely corroded compared to their indoor counterparts. The difference in environmental exposure is what makes selecting methods and materials for restoration of outdoor steel cultural assets so difficult. Even if a material is tested and selected, it's difficult to know with certainty how that material would fare against outdoor elements. Furthermore, the most commonly used protection coating materials for steel cultural assets applications do not necessarily mean they are suited for all conditions. This paper describes testing of surface protection coating materials for Steam Locomotive at Jangdan Station on Gyeongeui Line , which is Korea's registered cultural asset no.78. An explosion during the Korean War damaged the steam locomotive, literally halting it in its tracks in an area that would later become part of the demilitarized zone between the two Koreas. The locomotive had been left deserted for more than fifty years when Research Institute of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RIST), under a cultural asset protection program run jointly by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and POSCO, initiated a project to restore it. Various analyses and investigations found the steam locomotive to be in stable conditions, but plans to utilize the locomotive in an open outdoor exhibition after the restoration meant that selection of a highly weathering coating material was crucial to protect the locomotive from the elements. Various materials were then tested to find the most suitable protective coating material for the locomotive. Various coating materials were applied to samples and then analyzed for their weathering properties. Important criteria in the protective coating material selection process were minimal harm to the locomotive's exterior, sufficient water-resistance, and strong weathering. Exterior panels from the locomotive itself and debris salvaged from the area were used as test samples, which were cut to 4㎝ by 4㎝ pieces and then cleaned to prep for application of coating materials. Three different types of coating materials (wax, acrylic resin, and gum resin) were selected for the testing. MCC (a wax compound consisting of carnauba wax, bees wax, damar resin, turpentine oil, and lavender oil) and microcrystalline wax (normal and high temperature compounds) were tested for the wax group, Paraloid B-72 and Paraloid NAD-10 for the acrylic resin group, and Electra-Coat (an industrial insulator and protectant) for the rubber resin group. A xenon-arc accelerated weathering tester was used to reproduce realistic outdoor conditions for the coating materials, along with test conditions that satisfy outdoor metal/coating weathering testing specifications. The samples were exposed to light whose wavelength is closets to that of sunlight in day-to-night cycles to mimic light- and moisture-induced weathering. In addition, variable temperature conditions were utilized to further promote weathering. Test results clearly showed that exposing untreated metal to outdoor conditions would quickly result in corrosion, validating the need for protective coating of the locomotive's exterior. All coating materials tested degraded under outdoor environment conditions; however, the wax group performed better than acrylic resin and rubber resin groups in terms of gloss, color, and stability. Specifically, microcrystalline wax proved to be approximately twice as weathering as MCC. Ergo, the testing concluded microcrystalline wax as the most suitable protective coating material for the locomotive.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surface exposed to the xenon arc light and the surface that wasn't degraded differently indicates sunlight (infrared) and moisture as the two main causes of was coating breakdown. This then implies that protecting the coating from exposure to direct sunlight and rain in its field application would prolong the life of the wax coating and consequently protect the locomotive better and lower ancillary maintenance costs. The testing described in this paper looked into changes in protective coating materials as they are exposed to simulated and accelerated weather conditions and offers data that can be utilized in selecting protective coating materials for conservation of outdoor steel cultural assets.

      • 대학생들의 혼전 동거에 대한 태도에 따른 심리적 특성

        김미현 성신여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 1에서는 혼전 동거 실태를 조사하고 대학생 혼전 동거 유무에 따른 심리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연구 2에서는 대학생들의 동거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고, 동거에 대한 태도에 따른 심리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대학생 593명으로 동거에 대한 태도 척도, 낭만적 성인 애착 척도, 성태도 척도, 자녀가 지각한 부모 만족 척도, 사랑 유형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을 통해 얻은 자료는 t 검증, χ²검증, 상관 분석하였다. 연구 1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거 경험이 있는 집단과 동거 경험이 없는 집단 간의 사랑유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χ²검증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의 사랑유형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동거 경험이 있는 집단과 동거 경험이 없는 집단 간의 성인 애착 유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χ²검증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의 성인애착 유형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동거 경험이 있는 집단과 동거 경험이 없는 집단 간의 성태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 결과 동거 경험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에 비해 성에 대한 허용적인 태도를 갖고 있었다. 연구 2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거에 대한 태도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한 결과 남자가 여자에 비해 동거에 대해 허용적인 태도를 갖고 있었다. 둘째, 동거에 대한 태도에 따른 성태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 표본 t 검정 결과 동거에 허용적인 집단이 동거에 비 허용적인 집단에 비해 성에 대한 허용적인 태도를 갖고 있었다. 셋째, 동거에 대한 태도와 자녀가 지각한 부모 결혼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유의하지는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임상적 함의와 한계 및 후속연구에서의 제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eople as attitude of cohabitation in college student. And mor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habitation couples in college students and then tried to find out thei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594 college students, and they administered the Attitudes toward Cohabitation Scale,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 Scale, Love Attitude Scale.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t-test, correlation and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the group with who have been cohabited and the group with who never cohabited in terms of their love attitude style. Second,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the group with who have been cohabited and the group with who never cohabited in terms of their adult attachment style. Third,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the group with who have been cohabited and the group with who never cohabited in terms of their attitude about sex. Forth,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the group with who have been cohabited and the group with who never cohabited in terms of their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Finally, the clinical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suggestion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discussed.

      • Proteomic analysis of a transwell co-culture system between human neuroblastoma SH-SY5Y and human astrocytoma U87 cell lines

        김미현 경희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to establish proteomic platform for studying secreted proteins mediated intercellular communication, human neuroblastoma SH-SY5Y and astrocytoma U87 cell lines were co-cultured by transwell co-culture system. Constructed 2-DE reference map in this study, protein expression pattern were analyzed under normoxic single culture and transwell co-culture and hypoxic single culture and transwell co-culture. In normoxic transwell co-culture, major finding indicated that chaperon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t 24 hours and metabolic related proteins and tubulin were temporary decreased and increased again. Interestingly, the amount of secreted proteins was highly increased under transwell co-culture condition including transitional endoplasmic reticulum ATPase, neuron-specific enolase and etc. In hypoxic single culture condition, chaperones were highly increased and metabolic related proteins and tubulin were altered. These proteins of different time expression appeared under hypoxic transwell co-culture condition. These protein expression profiles were mediated by secreted proteins. Therefore, this present study was provided by a valuable model for studying the cell to cell communication in vitro model using transwell co-culture system. 본 연구에서는 secreted protein 의해 조절되는 세포간의 신호전달 연구를 위한 단백질 유전체학 기반을 확립하기 위하여 human neuroblastoma SH-SY5Y 와 astrocytoma U87 세포주를 transwell co-culture system 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이차원적 단백질 지도를 이용하여, 각 세포주의 normoxia 와 hypoxia 상태에서 single culture 와transwell co-culture 의 단백질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Normoxia transwell co-culture 상태에서 chaperone 의 감소가 24 시간 때에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대사와 관련된 단백질과 tubulin의 변화가 시간에 따라 감소했다가 증가됨이 관찰되었다. 흥미롭게도 secreted protein 은 transwell co-culture 상태에서 크게 발현되었으며 transitional endoplasmic reticulum ATPase와 neuron-specific enolase 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산소 single culture 상태에서는 chaperone 의 증가가 보였으며 대사와 관련된 단백질과 tubulin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 단백질들의 발현은 저산소 transwell co-culture 상태에서 시간에 따라 관찰되었으며 저산소 single culture 와 다른 양상으로 변화됨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secreted protein 에 의해 야기되는 단백질의 변화를 단백질 유전체학적 기법으로 밝혀냄으로써 실험적으로 유용한 기반을 확립하였다.

      • 무용 전공자들의 유형별 하지부위 근기능에 관한 연구

        김미현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의 모든 활동은 근 수축의 시작과 함께 시작된다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활동의 시초인 근수축이 이루오지기 위해서는 이에 필요한 에너지가 공급되어야 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근 수축이 일어남으로서 동시에 발생되는 장력은 그 크기가 여러 요인에 의하여 달리 나타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발생되는 장력은 근력의 횡단면적에 의해 그 크기가 달리 나타나지만 단위면적당 발휘되는 근력의 크기는 차이가 없으며 이는 성별 및 연령에 의한 차이는 없고, 트레이닝을 행한 경기자와 일반인에게도 차이가 없다(Maughan et al, 1983). 근육의 힘을 측정하는 방법에는 동척성, 등장성, 등속성 운동방법에 의한 정적이나 동적의 근력을 측정할 수 있다. 1967년 Hislop와 Perrine에 의하여 등속성 운동이 소개되어 등속성 운동에 의한 근육평가는 기존 다른 측정방법보다 높은 유효성과 신뢰성이 매우 높아 근자에 들어와서는 이를 이용한 동적근력을 평가하고 있다(Alezander and Molnar, 1973; Golsin and Charteris, 1979). 최근에는 각 근력의 상대적인 근력비율의 측정이 운동 수행시 근육손상 정도를 파악하고 예방하는 측면에서 중요시되고 있다. 등속성 운동은 근력향상이나 근력의 균형적 발달에도 효과가 큰 운동형태로 간주되고 있다. 슬관절은 인체에서 가장 큰 관절의 하나로써 체중의 부하를 담당하며 안정성과 손상방지 및 정상적인 기능 수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윤태식 등, 1991)있어 슬관절을 중심으로 한 굴근(flexor)과 신근(extensor)의 근력차와 근력비율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용 전곤자들의 연기력 향상을 위한 슬관절을 중심으로 하지근력이 요구되는 무용 전공자들의 연습 및 훈련에서는 등장성(isotonic), 등척성(isometric)외에도 등속성 운동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며, 특히, 등속성 운동은 등척성이나 등장성 운동보다 근력강화에 있어서높은 효율성과 근 골격계 손상시에 재활치료 과정에서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를 제시하므로 운동 생리학, 스포츠의학, 운동역학, 재활의학 분야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Burnic and Brodic, 1986). 이와 같이 등속성 운동 요인과 관련된 많은 연구결과들은 여러 스포츠 상황에서 긴밀한 관련성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몇몇 형태의 무용을 행하는 무용 전공자들에 있어서 우수한 연기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여러 체력적 요인이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수행할 때 보다 우수한 연기력을 발휠할 수 있다. 이러한 요인 중 하지의 근력인 각근력은 연기력 발휘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고 사료되며, 특히 발레, 현대 무용, 한국무용수들에 있어서 각근력은 우수한 연기력에 미치는 영향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기 운동 유형이 틀린 무용 전공자들에 대한 최대근수축시 근력의 발현에 따라 이루어지는 근력 및 근지구력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였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무용 전공자에 있어서 근력의 불균형적 발달, 동적 근력의 향상을 위한 운동프로그램 설정에 하나의 장애요인으로 도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발레, 현대무용, 한국무용 전공자들의 유형별 연기력과 관련성이 높은 하지의 근력향상을 위한 트레이닝 프로그램 작성시 각근력·근지구력 등을 측정 평하는 작업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본 연구는 대학 여자무용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발레, 현대무용, 한국무용 집단으로 분류하여 연기력 향상 요인 중 슬관절을 중심으로 기여도가 높은 하지의 근력, 근파워 근지구력 요인을 등속성 운동에 의하여 측정한 뒤 무용 전공자들의 각 근력 발달에 대한 근 특성을 정확히 평가하여 하지의 근력 증강을 위한 트레이닝 설정에 따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범위 내에서 수행된다 1. 연구의 대상들을 대학의 여자 무용 전공자들로 한정한다. 2. 실험시 슬관절의 상해 및 근력 정도가 기준치 이하로 떨어졌을 때는 실험에서 제외시켰다. 3. 등속성 근력측정은 60。/sec와 120。/sec 부하속도에서 실시하였다. 4. 근력은 신근력과 굴근력인 Quadriceps와 Hamstrings Muscle의 Peak Torque만 이용하였다. 5. 근지구력 측정시에는 25회의 최대 굴신근 반복운동으로 총근력치, 근파워, 총일량을 산출하였다. 6. 두 집단 측정시 심리적 요인을 동일하게 통제하지 못하였다. 7. 심폐기능이 비정상적이라고 간주된 자는 실험에서 제외시켰다. 8. 제반 실험은 평균 26-25℃의 환경 하에서 진행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