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呈才舞圖笏記의 舞山香과 現行 舞山香의 舞譜圖解를 통한 比較

        김미래 中央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귀중한 문화유산인 궁중정재(宮中呈才)의 독무 가운데 무산향(舞山香)을 주제로 삼아, 그 원형과 현행 무산향의 차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우리 고유의 춤을 전통에 가깝게 보전하고, 보전의 방법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고문헌(古文獻)에 기록된 무산향과 현재 상연(上演)되고 있는 이 춤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첫째, 고문헌은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 『악학궤범(樂學軌範)』 『진작의궤(進爵儀軌)』 등을 참고했으며, 이 가운데 『정재무도홀기』에 실린 무산향을 비교 기준으로 삼았다. 『악학궤범』 『진작의궤』 등은 무산향의 창제 과정과 변천사를 파악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되었다. 둘째, 『정재무도홀기』에 실린 무산향의 원형과 비교 대상인 현행 무산향은 1961년 김천흥 회갑 기념 발표회에서 재현되어 현재 국립국악원에서 공연되고 있는 무산향으로 제한해 분석했다. 셋째, 비교 항목은 창사(唱詞), 음악 구성, 무구(舞具) 및 복식(服飾), 춤사위 등이다. 춤사위의 비교를 위해 춤동작을 화보(畵報)로 제작했고, 이 화보를 이용해 과거와 현재의 무산향을 비교했다. 연구 결과 고문헌에 기록된 원형 무산향과 현행 무산향은 약간의 차이만 있을 뿐, 크게 변화된 부분이 없었다. 전자와 후자의 차이를 살펴보면 창사는 전체를 창(唱)하나 현재는 ‘중중편득’(衆中偏得)만을 노래해, 절대권력을 위한 가사에서 대중을 향한 가사로 바뀌었음을 알 수 있었다. 무산향의 음악은 과거나 현재 모두 ‘향당교주’(鄕唐交奏)이나 음악 구성은 과거 춤의 전환을 위한 신호가 없었던 반면, 현재는 이를 위해 장단이 체계적으로 정립되었다. 무구와 복식은 고문헌의 기록이 사실적이고 세밀해 특별한 변화 없이 전해져 내려왔다. 춤사위는 크게 8동작이 바뀌었다. 화보를 통해 달라진 동작을 비교했고, 현행 무산향의 전체 무보는 부록에 실어 일반 대중들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원형과 변이의 차이가 거의 없다 하더라도 이미 약간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었다. 사회를 반영하는 무산향의 변천 과정을 볼 때 그 변화의 속도는 점차 증가할지 모른다. 『정재무도홀기』 이후 지금까지 무산향을 묘사한 도구는 문자뿐이었다. 전통을 보전하는 방법을 서구처럼 다각화시킬 필요에서 무산향의 전체 동작을 화보식 무보에 담았다. 무산향과 같은 궁중무용을 대중화시킬 시발점이 되었으면 한다.

      • Cloze test를 통한 담화제약 측정에 관한 연구

        김미래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199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re are many controvercies in the existing literature whether or not cloze items are sensitive to constraints across sentence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Cloze Test measures discourse constraints, two passages were selected and two types were constructed over each passage. In the sequential type, items were inserted in the normal prose by a standard word deletion procedure, every 6th word deletion method. In the scrambled type, the sentences of each passage were systematically mixed. The subjects were 100 middle school students, 100 high students and 92 collage students. Each student took a cloze test over one of the passages in the sequential order and the other in the scrambled order. The research reported here demonstrates that items of Cloze Test are sensitive to constraints beyond the two conditions (sequential or scrambled) increases with an increase in proficiency and item-by-item analysis of two experimental passages, cloze procedure measures various levels of constraints and among them the items of 'sentence/text level cohesion type' are more sensitive to all subject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that cloze procedures measure discourse constraints and this kind of context constraint is more accessible to more proficient language users and then Cloze Test can be used as a useful assessment of discourse constraints.

      •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을 중심으로

        김미래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가족 구조와 양육 환경의 변화는 빈곤 가정의 아동, 장애 아동, 방임 아동, 아동 유기 등 사회적 보호가 필요한 아동을 증가시켰다. 이에 따라 지역아동센터는 빈곤 아동과 그들의 부모인 빈곤가족이 지역사회 내에서 스스로 역량강화를 할 수 있도록 자활을 돕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지역아동센터에서 운영되는 프로그램은 주로 부족한 학교 공부를 보충하는 교육활동에 치중되어 있으며 아동의 심리적 안정과 치료를 위한 서비스는 매우 부족한 실태이다.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ADDIE 개발모형에 기반 개발하고 적용하며 형성평가를 통해 타당성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첫째,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을 분석하여 하위요인별 증진전략을 추출하였다. 둘째, 다양한 활동과 통합하여 초안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셋째, 전문가 집단의 타당성 검증이 실시되어 프로그램의 수정·보완이 이루어졌다. 넷째, 부산광역시 소재 A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 중 4학년부터 6학년, 17명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다섯 번째, 학습자의 활동지 및 회기별 평가지, 전체 프로그램 만족도 평가지, 연구자의 관찰 및 개별 면담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최종 완성된 프로그램은 15회기로 구성되어 있다. 학교 혹은 가정에서 지내며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생활중심의 체계적인 프로그램이며, 단순 놀이에 치중되지 않고 회기별로 중점적인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이 잘 발현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는데 효과적이다. 아동들의 올바른 성장을 위해서는 자아탄력성을 발달시켜 자신이 선택하지 않은 스트레스 상황이나 실패에도 건강하고 생산적인 방식으로 대처하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빈곤가정아동에게 가장 필요한 영역인 자아탄력성을 탐색하고 증진시켜 아동의 권리와 역량을 회복시켜 줄 수 있을 것이다.

      • 사회문화이론에 기반한 영어교과서 분석

        김미래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지적 접근에 입각한 제2언어 학습의 한계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사회문화적 접근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사회·문화적 맥락은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개인의 지식습득 과정에만 초점을 맞춘 인지주의의 입장을 Vygotsky의 사회문화이론(Sociocultural Theory)의 고찰로 그 단점들을 보충할 수 있게 되었다. 사회문화이론은 개인의 고등정신발달이 주변의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보았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매개체로서 작용하는 도구로는 ‘언어’를 꼽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발달과 학습을 이룰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런 사회문화적 관점들이 현재 우리나라 영어교육현장에 얼마나 반영되고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교수-학습 상황에서 중요한 매개체로 작용하는 교과서를 먼저 살펴보아야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외국어로서 영어를 배우는 EFL 상황에서는 교과서의 역할이 중요할 수밖에 없다. 교수의 토대가 되는 교과서에 사회문화적 요소들이 제대로 반영되어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우선 교과서 평가지표를 개발해야한다. 기존의 평가지표들을 살펴본 결과 사회문화이론에 입각한 평가지표는 찾아볼 수 없었기에 새로운 평가지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개발된 평가지표의 항목들은 모두 사회문화이론의 기본 개념들을 토대로 구성되도록 하였으며, 이 평가지표를 사용하여 고등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 6종을 분석하였다. 영어교과서 6종 모두 전반적으로 사회문화적 요소들의 반영 정도는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평가 부분에서 가장 반영 비율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런 연구자의 분석결과가 타당한지 알아보기 위해 다른 평가자의 분석결과와의 신뢰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일치 정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영어학습 상황에서는 사회문화적 요소들이 매우 부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국가적인 차원에서 사회문화이론에 대한 자세한 연구가 진행되어야할 것이며, 교육과정에서 본 이론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교사들의 연수와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여 본 이론이 교수-학습 상황에서 적절한 방향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한국 고등학생들의 외국어 학습전략 사용 실태와 학습전략 훈련의 효과

        김미래 부산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by the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nd find out the effect of learning strategies training using 11 kinds of learning strategie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his study involved 721 high school students from two different high schools who were divided based on their achievement, gender, grades, and the subjects they selected. Data were gathered through Oxford’s SILL(1990) and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nd analyzed using SPSS 10.0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the use of the learning strategies by the high school students is low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learning strategies categories are compensation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All of the strategies had strong relationships with one another and cognitive strategies had the highest relationship with total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The more proficient students used all the categories of learning strategies more frequently than the less proficient students and the female students used more learning strategies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except the social strategies. There was a difference only in affective strategies among the three grades and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groups based on the subjects they selected. The students’ proficiency was mos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use of learning strategies among the four factors discussed. The study also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strategy use among the three level-based groups based on their achievement level in the case of the mid-term exam and the national achievement test.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it in listening. The mid-term exam and the achievement test had the strongest relationships with metacognitive strategy, and listening had the strongest relationship with affective strategy. As a result of the foreign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training, the increase of the learning strategies use of the trained students was larger than that of their non-trained counterparts. The improvement in English test of the trained students was larger than that of their counterparts as well. Among the training strategies, the study showed the most effective strategies were note-taking(paying attention), followed by review and preview strategies. It was also found that the training was effective for enhancing th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roblem solving, interest and attitude in English, and satisfaction with the class. Most of all,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training turned out to be more effective for the low- and mid-level students. In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students’ use of the learning strategies, improve their English achievement, and lower the affective filter, teachers need to teach the students effective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in class clearly and systematically.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consider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enrich it in terms of methods and procedures.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환자중심간호 영향요인

        김미래 아주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환자중심간호이론(McCormack, McCance, 2006)에 기반하여,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환자중심간호, 임상적 의사결정 능력,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 역량 및 간호근무환경의 수준을 파악하고, 환자중심간호에 대한 유의한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경기도 소재 2개 대학병원의 7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 150명을 대상으로 2022년 4월 20일부터 5월 13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임상적 의사결정 능력은 Jenkins (1985)가 개발하고 백미경(2004)이 번안 및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 역량은 Slatore 등(2012)의 연구에 기반해 양유리(2013)가 개발하고 박영수(2016)가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간호근무환경은 Lake (2002)가 개발하고 조은희 등(2011)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환자중심간호는 Suhonen 등(2008)이 개발하고 이재은(2015)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환자중심간호는 85점 만점에 평균 60.52점, 임상적 의사결정 능력은 200점 만점에 평균 132.09점,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 역량은 114점 만점에 평균 81.90점, 간호근무환경은 116점 만점에 평균 76.79점이었다. 2)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환자중심간호는 임상적 의사결정 능력(r=.450, p<.001),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 역량(r=.721, p<.001) 및 간호근무환경(r=.267, p=.002)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3) 다중회귀분석 결과, 종속 변수인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환자중심간호에 대해 임상적 의사결정 능력,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 역량, 간호근무환경을 포함한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F=56.440, p<.001), 설명력은 56.0%(R2=.560)였다. 대상자의 환자중심간호에 대한 유의한 영향요인은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 역량(β=.632, p<.001), 임상적 의사결정 능력(β=.156, p=.016), 간호근무환경(β=.128, p=.031)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환자중심간호 향상을 위해 간호사 개인의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 역량과 임상적 의사결정 능력을 키우고 병원 조직적으로 간호근무환경을 개선하는 등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특성에 적합한 다양한 중재 전략 개발을 제언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환자중심 간호서비스의 제공을 통한 환자중심 건강 결과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study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on patient-centered care of nurses i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The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April 20 and May 13, 2022 from 150 nurses i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of two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s in Gyeonggi province, using a structured self-report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included “Clinical decision making ability”,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competence”,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Patient-centered care”.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aylsis of variance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using the SPSS/WIN 28.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s of the participants’ patient-centered care,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were 60.52±8.35 out of 85, 132.09±7.76 out of 200, 81.90±9.44 out of 114 and 76.79±10.15 out of 116, respectively. 2) The patient-centered care of th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r=.450, p<.001),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competence (r=.721, p<.001),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r=.267, p=.002). 3) As a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actors influencing patient-centered care of the participants were found to be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competency (β=.632, p<.001),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β=.156, p=.016),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β=.128, p=.031).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56.0% (R2=.560, F=56.440, p<.001). Based on our results,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various strategies for nurses to effective individual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and clinical decision-making skills, and to improve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This could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patient-centered health outcomes through the provision of patient-centered nursing care.

      • 그람양성 세균각막염의 원인 균주와 항생제 내성의 변화 추이 및 임상양상

        김미래 영남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그람양성 세균각막염에서 시기변화에 따른 그람양성균의 동정양상과 항생제 내성의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 대표적 균주의 임상양상을 비교해 본 후 그람양성 세균각막염의 예후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998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영남대학교병원 안과에 내원하여 치료를 시행한 감염각막염 환자 중 미생물 배양검사 상 그람양성균이 동정되어 한 달 이상 경과관찰 하였던 146안 152균주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원인 균주와 항생제 내성은 3년씩 5개 기간으로 나누어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으며, 환자 역학과 임상적 특성은 균주에 따라 4개의 군(S. epidermidis와 S. aureus, Streptococcus spp. Enterococcus spp.)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고, S. epidermidis는 methicillin-sensitive S. epidermidis (MSSE)와 methicillin-resistant S. epidermidis (MRSE)로 나누어 비교분석 하였다. 본 연구가 이루어진 영남지역의 감염각막염 환자에서 그람양성균의 동정률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그람양성균내의 각 균주별 분포는 큰 변화가 없었다. S. epidermidis(48.7%)가 가장 흔한 그람양성균으로서 MRSE가 62.6%로 절반이상을 차지하였고. 전체 그람양성균의 2,3세대 퀴놀론계 항생제의 내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gentamycin내성은 오히려 감소하였다(p=0.01). 또한 농촌인구를 포함하는 지역특성상 외상에 의한 고령의 각막염 환자가 많았으며, 계절은 봄이 많았다. 흔하진 않으나 Streptococcus spp.에 의한 각막염의 경우 각막천공 등의 심한 합병증을 좀 더 흔히 유발하였다. 그람양성 세균각막염의 예후 인자로는 초진 시의 교정시력(<0.1, OR=36.525, p<0.001)과 각막상피재생시간(≥10 days, OR=19.172, p=0.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남지역의 그람양성 세균각막염에 대한 미생물학적, 임상적 특징, 위험인자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향후 본 질환의 치료에 있어서 적절한 약제의 선택과 예후 예측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hifting trends of pathogenic organisms and antibiotics resistance and epidemiological, microbiological,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Gram-positive bacterial keratitis and also to elucidate risk factors for unimproved visual outcomes. The author performed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146 eyes, 152 isolates in 146 patients with Gram-positive bacterial keratitis between January 1998 and December 2012 at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The study was divided into 5 periods for analysis of the bacteriological profiles and in vitro antibiotics resistance. The epidemiological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in 4 groups: S. epidermidis, S. aureus, Streptococcus spp., and Enterococcus spp.. And the same characteristics were also compared between methicillin-sensitive S. epidermidis (MSSE) and methicillin-resistant S. epidermidis (MRSE). Gram-positive bacterial keratitis has decreased for recent 3 year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distribution of isolates of Gram-positive bacteria. S. epidermidis (48.7%) was the most common and the proportion of MRSE was 62.6%. The resistance to the 2ndand 3rdgeneration fluoroquinolone was high and the resistance to gentamycin was significantly decreased(p=0.01).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such as age more than sixty years, trauma with vegetable matter and season of spring were noted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 isolates. The clinical features of keratitis by Streptococcus spp. tended to be more severe than keratitis by other isolates. Risk factors for unimproved visual outcomes included the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at initial evaluation (<0.1 snellen visual acuity, OR=36.525, p<0.001) and the epithelial healing time (≥10 days, OR=19.172, p=0.001). The findings of our study have important public health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Gram-positive bacterial keratitis in the local area.

      •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과 학급집단응집성과의 관계

        김미래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과 학급집단응집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은 어떠한가? 2. 학급집단 응집성은 어떠한가? 3.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과 학급집단응집성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위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와 조사 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지도성의 개념과 변천과정,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 이론을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배경이론에 근거하여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의 하위요인을 카리스마, 개별적 배려, 지적자극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학급집단응집성 분석을 위해 학급의 개념과 특징, 학급집단응집성의 개념, 학급집단응집성의 하위요인, 효과를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이론에 근거하여 학급집단응집성의 하위요인을 상호작용, 일체감, 학생동기, 학급매력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를 통해서 두 변인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과 학급집단응집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부산 시내 초등학교 6학년 학생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는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 질문지와 학급집단 응집성 질문지로 기존에 개발된 설문지를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각 조사도구의 신뢰도는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 질문지의 경우 전체 문항의 Cronbach α 계수는 .85이었고, 학급집단응집성은 .89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for WINDOW) 프로그램 (Ver 10.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우선 각 요인별 측정항목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배경변인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test와 F검증을 하였으며 각 집단 간 차이가 있는 부분에서는 구체적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후검증으로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과 학급집단응집성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에 대한 전체적인 경향은 지적자극, 개별적 배려, 카리스마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는 성별로는 여자교사, 교직경력별로는 경력이 높은 교사, 학교 급지별로는 나 급지, 직위에 따라서는 부장교사, 결혼여부에 따라서는 기혼교사일 경우 학생들이 인식하는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급집단응집성에 대한 전체적인 경향은 상호작용, 학급매력, 일체감, 학생동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는 성별로는 여자교사, 교직경력별로는 경력이 높은 교사, 학교 급지별로는 나 급지, 직위에 따라서는 부장교사, 결혼여부에 따라서는 기혼교사일 경우 학급집단응집성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과 학급집단응집성은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며, 특히 지적자극이 학급집단응집성과 상관이 높았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의 전체 수준을 지금보다 높일 수 있는방안과 함께 남자교사가 여자교사에 비해 변혁적 지도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남자교사의 변혁적 지도성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겠다. 둘째, 학급집단응집성의 전체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과 함께 하위요인에 있어서 특히 일체감, 학생동기 요인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겠다. 셋째,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과 학급집단응집성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 수준으로 학급집단응집성을 예측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학급집단응집성을 높이기 위해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을 높이는 방안이 강구되어야겠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질문지 방법의 조사연구에 의한 것이므로 문화기술법(ethnography)과 같은 질적방법에 의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eachers and the class group cohesion. The detailed matters to be studied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2. What is the class group cohesion?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eachers and the class group cohesion? The literature study and the research study were done at the same time to solve the above matters.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the concept and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 leadership and the theory of the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ories were examined and the charisma, individual consideration along with the intellectual stimulation as the subordinate factor of the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ased on this background theory was grasped. The concep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 the concept of the class group cohesion, the subordinate factor of the class group cohesion and the effect of the class group cohesion as the theory of the class group cohesion was studied. Based on this theory, the interaction, a sense of unity, student motive and the class attraction as the subordinate factor of the class group cohesion was grasped. And the relation of the two changing factors through the preceding study was examined. To solve the study problem based on the literature study, the 6graders of 600 primary school students in Busan were questioned and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questionnaire of the form master and the class group cohesion questionnaire were used as the tool of the survey. The reliability of the used questionnaire indicated that the Cronbach'a coefficient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eachers was .85, while that of the class group cohesion was .89.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statistically by the SPSSWIN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for WINDOW) program (Ver.10.0). To address the study problem the mean and the standard deviation was used, while t-test and F survey was done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the background changing factor and the Scheffe verification was made as a posterior one. And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make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surveyed changing factor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o know the relative contribution between the changing factors. The results acquired by using this kind of research method are asfollows. First, The overall trend abou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eachers showed the recognition for intellectual stimulation, individual consideration and charisma in order, while the high recognition for the schoolmistress in gender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hanging factor difference, long career teachers according to the teaching profession career, B class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classification, head teacher according to the title and the married teachers according to the marital status. Second, the overall trend for the class group cohesion showed the recognition for the interaction, class attraction, a sense of unity and student motive in order, while the high recognition for the schoolmistress in gender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hanging factor difference, the long career teachers according to the teaching profession career, B class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classification, the head teachers according to the title and the married teachers according to the marital status. Third,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eachers and the class group cohesion was interrelated with much meaning and especially the intellectual stimulation had much to do with the class group cohesion. Based on the above conclusion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irst, Along with the solution to upgrade the overall level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eachers than now, the proper solution to upgrade the innovative leadership of the male teachers should be made since the male teachers showed the lower level of the innovative leadership than the female teachers. Second, Along with the solution to upgrade the overall level of the class group cohesion, the special solution to upgrade the sense of the unity and the student motive factor should be made in terms of the subordinate factor. Third, Since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eachers and the class group cohesion turned out to be interrelated with much meaning, the class group cohesion can be estimated to be reaching to the level of the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eachers and furthermore, the solution to upgrade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eachers should be made to level up the class group cohesion. Fourth, This study was made by the questionnaire research and therefore, the follow up research by the qualitative method like ethnography should be made.

      • 개인정보 유출사고의 원인분석을 통한 주요 보안위협 선정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김미래 서강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based services using personal information, there are conflicting opinions on the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While strong regulation is needed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protection and utilization can only be interpreted as conflicting concepts since deregulation and the application of voluntary regulation are required for utilization. In response, the government has prepared a foundation for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while using it for technological development. However, such voluntary regulations could lead to the complacent response of the security vulnerable operators. In particular, the minimum protective measures for hacking response by web or mobile applications, which are externally accessible contacts, may not apply. If the government requires the government to apply the voluntary regulation without minimum standards in the event of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the operators outside the ISMS certification system will be more likely to take care of security. Therefore, through this thesis, the organization selects the Top 5 security threats, which are classified as causes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incidents, and provides technical protective measures. 최근 개인정보를 활용한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서비스가 발전함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와 ‘활용’이라는 관점에서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개인정보 보호라는 입장에서는 강력한 법 규제가 필요로 하지만, 활용이라는 입장에서는 법 규제 완화와 사업자의 자율적 규제 적용이 요구되므로 보호와 활용은 상충적인 개념으로 해석될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하여 정부는 개인정보를 보호하면서도 기술 발전을 위하여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자율규제는 보안에 취약한 사업자의 안이한 대처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외부에서 내부로 접근 가능한 접점인 웹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해킹 대응을 위한 최소한의 보호조치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대기업에서부터 중소기업까지 개인정보 유출 등의 침해사고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최소한의 기준 없이 자율규제 방안을 적용하도록 한다면, ISMS 인증 제도권 외에 있는 사업자들은 보안을 안일하게 대처할 가능성이 높고, 더 많은 침해사고를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을 통해 개인정보 유출사고의 발생 원인 분석과 해당 원인으로 분류되는 주요 보안위협 Top 5를 선정하고, 이를 법적으로 제재할 수 있도록 기술적 보호조치에 관한 대응규제를 개선함으로써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사업자들 모두가 스스로 개인정보 보호의 수준을 향상시키고, 지속적으로 적정한 보안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방향성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