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濟州道 ‘新舊間’ 移徙風俗의 住居文化 形成

        김동진 강원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특정지역의 이사풍속이 계속적ㆍ주기적ㆍ순환적으로 행해져 왔다는 점에 착안하여 신구간 이사풍속이 제주사람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으며, 그러한 인식이 주거문화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행태적 입장에서 검증하고자 한 것이다. 즉, 제주도의 ‘신구간 이사풍속’이 기존의 공간이동패턴과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는 점과 오늘날에도 여전히 제주사람들의 이사풍속으로 남아 있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현재, 신구간 이사풍속이 과거에 비하여 약화되었지만, 아직도 제주사회에서는 신구간 시기에 주택가격이나 임대료의 변동 폭이 크며, 신구간을 기준으로 주택임대차회계정리를 하는 사례가 많아 ‘1년 죽는세’ 관행이 지속되고 있으며, 주택의 준공시기도 신구간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제주에는 이러한 사회현상이 오래전부터 전래되고 있어 이것이 주거문화 형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한 것이다.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전통적 신구간은 이사철로 규범화되어 있다. 이런 관념화된 규범성은 주거문화의 융합과 토착화 과정을 통해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주거문화의 토착화 과정은 전통의 신구간 관념이 변용되어 이사 관행으로 정착되어 관념적으로 수용되었다는 뜻으로 해석해야 한다. 신구간의 외형은 그대로 있지만 내면은 다르게 점차 변화되고 있다고 본다. 둘째, 신구간 내(內)에 이사행태 등 규범성은 점차 약화되고 있다. 본래의 신구간은??이사, 이장, 집수리 등을 하는 금기의 해제기간??이었다. 현대의 신구간은 ‘이사기간’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규범의 변화는 개개인의 행동이 사회적으로 표출되고 공명하여 주거문화 형성에 기여한 것으로 본다. 제주도 사람들이 습속화 시킨 신구간 이사철은 조상전래의 것으로, 주거문화 요소의 하나인 전승성을 띄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문화적 융합성은 해당지역에서 실질적 효과가 발휘될 때 생명력이 강하다. 신구간 주거문화는 규범성과 전승성을 띄며 완만성을 띄고 있다. 과거에는 ‘민속신앙=세관교승=신구간’의 과정으로 외래문화의 제주토착화라는 문화적 융합성이 있다. 현재는 ‘신구간=이사시기=주거안정의 융합(내면적 사용과 외면적 소유)’의 과정으로 신구간 이사풍속이 내적 문화의 융합성이 있다. 그러므로 외형상은 전통적 신구간이 현대적 신구간 - ‘전통’이 ‘세속’ - 을 지배하는 형태로 제주도사회에 습속화 되어 주거문화의 형성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제주사람들은 신구간을 정신적 가치로 인식하고 조상 전래의 문화유산이라 여기고 있다. 신구간에 이사를 하면 동티가 안 나고, 부끄러운 풍속이 아닌 제주사람들만이 가진 독특한 풍속으로 이해하고, 유지하려는 사고를 갖고 있다. 다섯째, 신구간은 정신가치가 있는 주거문화로 보존 가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주사람들은 신구간의 보존과 발전 가능성을 믿고 있다. 특히 제주도민들은 ‘신구간을 축제화’하는 것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신구간 주거문화의 형성적 틀’은 규범성ㆍ풍토성ㆍ융합성ㆍ전승성ㆍ시대성ㆍ완만성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6가지 요인이 상호간에 유기적으로 관련을 맺고 제주사람들에게 습속화된 이사풍속으로 주거의 이동, 주거의 생활방식 등을 설명할 수 있는 주요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인간은 지역의 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이사(移徙)행위를 일정시기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제주도 신구간 이사풍속은 제주지역 내에 독특한 주거문화를 형성하였으며, 이것은 부동산활동의 사회ㆍ문화적 한 현상이라 볼 수 있는 것이다. Drawing attention to the continuous, periodic and cyclical moving custom of a certain area, this study verifies how the Singugan(新舊間) custom is regarded among the Jeju people, and how the cognizance effect forms the residential culture from the view of behavioral science. The Singugan moving custom on Jeju Island displays completely different patterns from the other moving behaviors, and remains a part of the unique customs of Jeju Island. ‘Singugan’ means a specified and implicitly agreed to moving period of eight days between the fifth day after Daehan (大寒, the last of the 24 seasonal divisions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ar that falls on/about the 21st of January), and two days before Ipchun (立春, the first of the 24 seasonal divisions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ar that falls on/about the 4th of February). It is a tradition of the residential moving patterns observed on Jeju Island. Presently, the Singugan moving custom has somewhat faded; however, house and rent prices continue to rise during this period. Often, the Singugan period is used as a reference point for rent accounts, and a ‘one year advance payment’(죽는 세) is widely adopted, in addition to the reflection of the due date for completion of housing construction. It is also observed that moving in a Non-Singugan period is increasing this study aims to prove that the Singugan moving custom has a relationship with the formation of residential culture. The following examples summarize this study: Firstly, the traditional Singugan is regulated as a moving period. It can be said that this kind of stereotyped feature was developed during the process of amalgamation and aboriginality of residential culture. The aboriginality process is a transformed version of the traditional Singugan period, adapting the moving custom theoretically. Hence, it can be said that the ‘outer structure’ of the Singugan is still the same, but the ‘inner structure’ has been transformed. Secondly, the regulation feature of Singugan’s internal structure has gradually weakened. The original Singugan was known as ‘a period of turning over from the passive life to the active life’. However, the present Singugan is regarded as ‘a period of passive life among the active lives’. The behavior of individual which the passiveness in the activeness make regulation socially adopted and contributed to form the residential culture. The Singugan moving custom remains as an inheritance. Thirdly, cultural amalgamation can have a strong influence when practiced. The Singugan residential culture has features of regulation and inheritance, and was transformed in slow moving. In the past, there was a cultural amalgamation as the process of "the ethnic belief = Segwangyoseung(歲官交承, a period of changing shift of gods) = the Singugugan". Presently, there is a cultural amalgamation of Singugan as the progress of "the Singugan = moving period = merger of residential settlement (inner use and outer possession)." Therefore, at the outside the traditional Singugan dominates the present Singugan. In other words, the Singugan became part of the society of Jeju and contributed to forming the residential culture by way of the traditions that dominate the present. Fourthly, the Jeju people regard the Singugan as a spiritual value and a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They believe that moving during Singugan is an honorable process that protects them from bad luck. It is widely regarded by the people of Jeju Island that this unique custom should be upheld and continued. Fifthly, it is certain that the Singugan is a spiritually valuable residential culture worthy of preserving. The people of Jeju Island believe in the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the Singugan and its festival. Sixthly, the Singugan residential culture’s formation frame includes the factors of regulation, aboriginality, amalgamation, inheritance, period, and slow moving. These six factors are mixed and interrelated in this custom, which greatly affects the residential moving and residential lifestyle. Finally, ‘A human express the intention of moving behavior by the basis of certain period to act to fit the area’s atmosphere’ is the influence of the Singugan moving custom on the formation of the unique residential culture in the Jeju area, and a socitionnd cultural pattern of human activities regarding real estate.

      • 해수담수화 공정에서 역삼투막 오염에 대한 물리/화학적 세정 효율 연구

        김동진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에 가뭄으로 인한 물 부족 관련하여 이슈가 되고 있으며, 해수담수화는 지구상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해수로부터 염분 등을 제거하여 담수를 얻는 기술이다. 최근 급속한 RO막 여과공정의 도입 속에서 막 여과 공정에서 막 오염(Fouling)의 발생은 필수불가결한 현상이기 때문에 대상 원수나 막 오염원에 따른 적절한 세정방법의 선택이 중요하다. 역삼투막 운영에서 있어서 유기물 오염에 대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연구를 하고 있다. 현재 가성소다(NaOH)를 사용하여 유기물 오염 제거를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속적인 막오염 증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물리/화학적 세정 기법으로서 기존에 사용하던 가성소다와 Micro-bubble를 이용하여 유기물 오염 제거 실험을 수행되었다. 멤브레인 강제 오염을 위해 Humic acid sodium, Bovine serum albumin, Sodium alginate 약품을 사용하여 유기물 오염을 시켰다. 유기물 오염에 따른 유량, Flux, 염제거율을 관찰하였고, 가성소다와 Micro-bubble를 이용한 유기물 오염 제거 실험은 가성소다로만 사용했을 때보다 향상 된 것을 관찰했다.

      • 현실적인 지표 가열을 포함한 빌딩 규모 기상 모델링 체계 개발

        김동진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도심 지역의 미규모 기상 환경은 대기 오염, 열 쾌적성 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도시민의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실제 도심 지역의 기상 환경의 예측할 수 있는 미규모 모델링 체계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제 도심 지역의 보행자 높이 바람과 열 환경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제 도심 기상 환경을 모의하기 위해 현실적인 비균질 지표면 온도를 모의하는 도시 지표 에너지 수지 모형을 전산 유체 역학 모형 (CFD)과 결합하였다. 도시 지표 에너지 수지 모형은 도시 협곡의 직달/산란 일사 분배 과정, 모닌-오브코프 상사 이론 (Monin-Obukhov similarity theory) 기반의 현열 교환 과정, 도심 지표면의 열 전도 과정을 모수화하여 실제 도심 지역의 지표면 온도를 계산한다. CFD 모형은 부시네스크 근사된 RANS (Reynolds Averaged Navier-Stokes) 방정식을 기반으로 비정역학 (nonhydrostatic), 비압축 (incompressible) 유체를 가정하며, 난류 종결 모형은 표준 k-ε 모형을 사용한다. 모형의 예단 변수는 아라카와 C 격자계 (Arakawa-C grid system)에서 유한 체적법 (finite volume method)으로 이산화되며, 이산화 과정에서 요구되는 내삽 과정은 멱 법칙 방안 (power-law scheme)을 통해 계산된다. 일 방향 결합 방법 (one-way coupling)으로 두 모형을 결합하였으며, 기상청의 현업 국지예보모델 (LDAPS)에서 예측된 바람과 기온의 연직 분포를 초기/경계 조건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이상적 도시 구조에 대해 얻어진 풍동 실험 자료와 실제 도심 지역에서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된 지표면 온도 자료를 이용하여 CFD 모형과 도시 지표 에너지 수지 모형의 검증을 수행하였다. 실제 도심에서 가열 조건에 따른 열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중립, 균질 가열, 비균질 가열 조건의 수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제 도심 지역은 다양한 높이의 건물들이 혼재되어 있는 광화문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 영역에 약한 동풍이 지속되었던 2015년 9월 7일에 대해 수치 적분을 수행하였다. CFD 모형은 이상적 도시 구조의 풍동 실험에서 측정된 협곡의 흐름 특성과 기온의 공간 분포 특성을 잘 표현하며, 도시 지표 에너지 수지 모형은 건물과 도로면의 지표면 온도의 공간 분포를 현실적인 모의하였다. 지면 가열 효과는 보행자 높이의 풍속비 증가와 풍향 변화로 나타났으며, 이는 지표 기온의 일변화가 크게 나타날 수 있는 넓은 도로에서 더욱 명확하게 나타났다. 모의 영역 내에서 보행자 높이의 풍속비와 기온의 통계 분포는 균질 가열 조건과 비균질 가열 조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이들 기상 요소들의 공간 분포는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빌딩 규모 기상 미규모 모델링 체계는 도심 지표의 비균질 열 강제력을 현실적으로 반영할 수 있어 실제 도심 지역의 바람과 열 환경의 현실적 예측을 위한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Microscale meteorological environments in an urban area is important in determining air pollution level and thermal comfort, which consequently affects life style of residents in the 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building-scale meteorological modeling system for prediction of the microscale meteological environments and to evaluate pedestrian-level wind and thermal environments in a real urban area. In order to simulate meteorological environments in real urban areas, we developed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model and implemented an urban surface energy balance model into the model. The urban surface energy balance model is capable of calculating surface temperatures for real urban areas by parametrizing direct/diffuse shortwave radiative transfer processes within an urban canyon, turbulent sensible heat exchange processes based on the Monin-Obukhov similarity theory, and thermal conduction processes of the urban sub-surfaces. The CFD model is based on the RANS (Reynolds Averaged Navier-Stokes) equation assuming a non-hydrostatic and incompressible fluid. The standard k-ε model is used for turbulence simulation. The prognostic variables are discretized by finite volume method on the Arakawa-C grid system, and the interpolation process required in the discretization is calculated by the power-law scheme. The two models were combined using one-way coupling approach, which is forced by wind and temperature predicted by the LDAPS/KMA (Loc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CFD model and urban energy balance model were validated using wind-tunnel wind and temperature measurement and surface temperature measurement from a thermal imagery camera. In order to evaluate meteorological effect of realistic thermal forcing in the real urban area, simulations were conducted by no heating (neutral), homogeneous heating, and heterogeneous heating conditions. The study area is around Gwanghwamun represented by a high-density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 and numerical simulations were conducted for a day on 7 September 2015, characterized by a weak northeasterly wind throughout the day. The CFD well simulated canyon flow and temperature characteristics measured from wind-tunnel experiments and the urban surface energy balance model realistically simulat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urface temperatures around buildings and roads in the urban area. The surface heating increased pedestrian-level velocity ratio and changed wind directions more apperently on the wide roads where the surface temperature can be changed significantly. The statistical distributions in pedestrian-level wind speed and temperature were similar between the simulations with homogeneous heating and heterogeneous heating condition. However, the simulated meteorology can differ at different locations in the urban area. The results imply that heterogeneous surface heating is important in simulating microscale meteorological conditions in real urban areas. The building-scale meteorological modeling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a useful tool for prediction of wind and thermal environments in real urban areas.

      • 영상물을 이용한 정신교육과 강의방식의 정신교육이 정신질환에 대한 낙인에 미치는 효과 비교

        김동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영상물을 이용한 정신교육과 전통적 강의 방식의 정신교육이 정신질환에 대한 낙인에 미치는 효과 면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또 그 효과가 시간 경과에 따라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대상 및 방법: 대학생 107명을 대상으로 57명에게는 정신질환에 대한 낙인 해소 목적으로 제작된 영화를 보여주고 다른 50명에게는 그 영화의 내용을 강의 방식으로 교육 한 후 교육전, 교육 직후, 6개월 후에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을 평가하고 비교하였다. 결과: 1) 교육전, 교육 직후, 교육 6개월 후에 각각 측정한 편견 척도에서 영화 상영군과 강의 교육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영화 상영군과 강의 교육군 양군에서 교육 직후에는 교육 전에 비하여 편견 척도의 모든 문항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지만 교육 6개월 후에는 교육전과 비교 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영상물 방영 방식의 정신교육이 전통적 강의 방식에 비하여 정신질환에 대한 낙인 해소 면에서 차이가 없다는 본 연구 결과는 정신질환에 대한 낙인 해소에 필요한 자원이 부족한 국내 현실에서 그것을 극복 할 수 있는 한 가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전자빔 조사를 이용한 태양전지용 AZO 박막 특성 개선 연구

        김동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CO (transparent conducting oxide)는 태양전지, 디스플레이, TSP (touch screen panel), LED등 산업 전반에 사용 되고 있다. 현재 TCO 산업의 주를 이루고 있는 TSP와 미래 유망한 산업으로 생각 되어지는 다양한 구조의 태양전지, flexible 디스플레이등은 기판에 증착시에 결정화시키기 위한 온도에 제한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TCO의 저온 결정화 방법은 향후 핵심 기술로 생각되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luster sputter를 이용하여 AZO를 증착 하였으며, 저온 결정화 방법 중의 하나인 전자빔을 이용하여 결정화를 진행 하였다. 전자빔 결정화 후 XRD (X-ray diffraction)을 이용한 결정성 분석에서 ZnO의 주피크인 (002)방향의 결정성이 증가 하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Hall effect를 이용한 전기적 특성분석에서 비저항이 8.84x10-4 ohm.cm에서 4.73x10-4 ohm.cm로 감소 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광학적 특성 분석에서 투과율이 87%에서 89%로 증가 하였으며, 광학적 밴드갭이 3.34 eV에서 3.5 eV로 증가 하는 결과를 보였다.

      • 교정시설 수용자의 건강권 확대 방안에 관한 연구

        김동진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olicy measures for expanding health care rights of inmates in Korean correctional faciliti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investigate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realities of health care rights of inmates in correctional facilities through the literatures on the subject. To do that, this study finds out the necessities and problems of the health care rights of inmates in correctional facilities. The necessities and potentials discovered by the investigation include that the health care rights of inmates in correctional facilities have to be guaranteed such the same as the health care rights of average people in spite of inmates of correctional facilities. But the problems depicted by the investigation include the deficiency of professional medical persons, services and facilities in Korean correctional institutions, the insufficient support of administrative, financial and treatment programs which is appropriate to the conditions of inmates in correctional facilities. Based on the problems,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several policy directions for the expansion of health care rights of inmates in correctional facilities. They are ① the strengthening and expansion of medical experts and services in the correctional facilities, ② the development of new health care programs which is appropriate to the characteristics of inmates in correctional facilities, ③ the improvement and upgrade of legal, administrative, financial and environmental support systems which can be rehabilitate and secure the right of health care.

      • 지각된 체육학습환경에 따른 2x2 성취목표성향이 도움요청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동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2x2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perceived physical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 on help-seeking behavior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data of 285 male and female students in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as study subjects were applied to phys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in processing the data.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ata through the study methods and procedure,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with regard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physical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 in middle school students, 2x2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the differences in help-seeking behavio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partially observed and in examining the perceived physical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d challenges. With regard to 2x2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performance-avoidance. In help-seek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grad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lp-seeking.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s of perceived physical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 on 2x2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perceived threat and perceived competitive factors had statically significant effects in performance approach, in mastery-avoidance, perceived threat and perceived competitive factors had statically significant effects, perceived challenge, perceived threat and perceived competitive factors had statically significant effects in performance-avoidance, and in master-approach, perceived challenge, perceived threat and perceived competitive factors had statically significant effects in performance-avoidance.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effects of perceived physical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 on help-seeking behavior, in help-seeking behavior, perceived challenge and perceived threatening factors had statically significant effects and perceived threatening factors had statically significant effects in help-avoidance.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s of 2x2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help-seeking behavior, in help-seeking behavior, mastery-approaching factors had statically significant effects and mastery-avoidance, performance-avoidance, and mastery-approach had statically significant effects in help-avoidance. 이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 체육학습환경이 2x2 성취목표성향과 도움요청 행동에 미치는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중학교 남, 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285명의 자료를 실제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개인적 특성과 중학생의 지각된 체육학습환경, 2x2 성취목표성향, 도움요청 행동의 차이에서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지각된 체육학습환경을 살펴보면, 지각된 도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2x2 성취목표성향은 수행회피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도움요청 행동에서는 도움요청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체육학습환경이 2x2 성취목표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2x2 성취목표성향의 수행접근은 지각된 위협, 지각된 경쟁요인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숙달회피에는 지각된 위협, 지각된 경쟁요인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행회피에는 지각된 도전, 지각된 위협, 지각된 경쟁요인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숙달접근에는 지각된 도전, 지각된 위협, 지각된 경쟁요인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체육학습환경이 도움요청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도움요청 행동에는 지각된 도전, 지각된 위협요인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움회피에는 지각된 위협요인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2x2 성취목표성향이 도움요청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도움요청 행동에는 숙달접근요인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움회피에는 숙달회피, 수행회피가, 숙달접근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