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의 무형문화유산 보전과 활용

        김광희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4 국내박사

        RANK : 247647

        韓國無形文化遺產的保存和運用 A Research for the Safeguarding and Utilis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Korea 姓名 : 金光熙(Kim Kwang Hee) 學科 : 文化信息專業 指導敎授 : 宣釘奎(Seon Jung-gyu) 無形文化遺產不僅是傳統文化,又是活生生的文化。 無形文化遺產是指一個集體或團體與其生活的環境、自然、歷史相互影響時, 不斷重新創造出來的知識、技術、演藝和文化表達的總和。無形文化遺產在一個集體內具有共享的性質, 通過人類的生活傳承下去。 包括聯合國教科文組織(UNESCO),國際社會從只保護建築等有形文化資產的保護活動脫離出來,擴展到無形文化遺產的保護,也就是說國際社會重新認識了無形文化遺產的價值。為了保護無形文化遺產國際社會漸漸加深對無心文化遺產的關心,但是在這關心的另一面因世界化 、都市化、文化一體化政策以及年輕人們的關心不足,很多文化遺產正在逐漸消失。 無形文化遺產容易喪失傳承能力,並可能成為“殘留文化” 。因此給無形文化遺產附加“生命力”,並研究如何改善保護體系是關鍵。 直到1990年後半期,韓國在無形文化遺產的指定和保存、持有人的管理等方面採取了相當先進的政策,但是目前逐漸把聯合國教科文組織保護無形遺產的方式作為典範,所以韓國也有必要改善並補充無形文化遺產的保護制度。需要改善無形文化財產的元真性原則、傳承教育制度、國家的傳承支援資金制度、現行文化財產保護體系,無法充分運用得無形文化遺產政策和制度。 據MBC『時事雜誌2580』(2013.11.17)報導,2013年全國40%的主要無形文化遺產沒有繼承人,面臨消失的危機。人們都贊同應該改善1962年有形文化遺產為中心的文化財產保護制度。除了要提供支援資金以外,還需要為了避免無形文化遺產的孤立而奠定基石。直到今日人們不斷議論了對無形文化遺產保護的研究與方案,但是缺乏具體實現的方案,導致了重要無形文化資產面臨消失的危機。光議論,不實踐無法成為保護無形文化遺產的方案。在日本,如相撲賽場和歌舞伎演藝場等常設表演場地吸引很多觀眾,這對從事無形文化遺產的人們生活有了直接的幫助。但是在韓國除了每月支援一定的資金以外沒有實踐性的活動。這就是為甚麼要把無形文化遺產奠定為生業的基石。 在日本,人們在遵守無形文化遺產元真性的同時,隨時代的變化籌畫創造性發展,日本就是通過這種方式傳承無形文化遺產並保護人類文化遺產的。如果想要引起新的創造欲,只憑對重要無形文化遺產的自豪感是不夠的,因此不僅要奠定以無形文化遺產維生的基石,還要發現能夠吸引繼承者的價值並且要在現實生活中努力尋找能夠被活用的價值。另外,為了獲得能使無形文化遺產的產業化成為現實的持續性與自生能力,實質並且全面的努力是必不可少的。譬如人們把跆跟(Taekkyeon)按現代潮流的變化,在美國華盛頓以歌劇的方式試演就是一種例子。這就是為甚麼目前需要在保護無形文化遺產的基礎上更進一步,提出系統性的對策來運用無形文化遺產並活性化。總的來說就是想要以此為前提進行研究。 此研究目的是掌握有關無形文化遺產保護與運用政策的論點,並提出改善的方案。以此為基礎提出無形文化遺產的運用方案。為了具備保護和運用無形文化遺產的方案,首先要分析聯合教科文組織(UNESCO)的保護協議,以及中國、日本、法國等與韓國相似的國家,或者具有先進無形文化遺產國家的傳統文化政、特殊性與方向性。當然,無形文化遺產的保護與運用政策隨其國家的歷史、社會、文化的狀況有所不同,但是分析政策的方向便可發現,無形文化遺產普遍帶有的性質使各個國家都有共同強調的社會支援制度。希望通過分析這類政策,能夠提出各種政策和方案,使得我們國家能在改善無形文化遺產的保護體系方面獲得啟發。 國際社會的文化遺產保護活動,從建築為主的有形文化遺產保護逐漸轉移到了肉眼看不見卻存在於世上的無形文化遺產的價值。目前,在轉變為UENESCO保護文化遺產方式為典範的趨勢下,改善無形文化遺產政策與制度的研究具有下列的意義。 现代社会要研究无形文化遗产的五个意义如下。 第一,現代人在精神上獲得安樂感。 第二,通過保護傳承傳統美來實現人類愛。 第三,通過弘揚民族精神來擴大同質性。 第四,通過擴大文化自信心來獲得樂觀思維。 第五,通過運用文化遺產培養文化產業。 韓國無形文化遺產的保護與傳承運用制度並不全都是符合上述意義的,而且制度的運用也並不是很令人滿足。在此文探究了無形文化遺產保護與傳承政策的歷史和論點。還提示了因無形文化遺產原真性原則,難以傳承、運用、創造的現實。隨著在社會上對傳統文化的需求降低,無形文化遺產面臨著無法繼續傳承下去的危機,也隨著社會環境的變化產生了徒弟式傳授教育的不足、不符合現實的支援資金、進修證明交付等問題,這些就是此文題出來的論點。 無形文化遺產或者傳統文化表達作品的利用實例逐漸增加,其潛在價值受到人們的重視,有關論證逐漸增加。因此對無形文化遺產的知識產權法規與制度進行了討論。分析知識產權的論點,還討論了傳統知識和傳統表達方式、傳統技術的知識產權保護及制度的改善。因今日有關無形文化遺產的社會糾紛等,極其需要無形文化遺產的保護、傳承及運用方面的法律與制度援助。 除了上述韓國無形文化遺產保護傳承和運用政策的改善方案外,還研究了無形文化遺產信息的運用。 首先討論了無形文化遺產的保護傳承和創意傳承的方案。第一,無形文化財的概念擴展到無形文化遺產,擴大其保護範圍以及多樣化。第二,無形文化財的持有者改稱為“人類文化財”。只改名稱為“人類文化財”沒有任何意義。要把對無形文化財的熱情、態度還有生活傳承方式等考慮在內,把它稱為“人類文化財”。再加上一定部分的實惠的話,給傳承著附加自豪感。第三,有關無形文化遺產的價值、知識、技能或者藝能等方面引進“典型性”。無形文化遺產要有創造性並要傳承下去。目前,用法律規定按照當時指定為無形文化遺產時的內容來傳承,這是需要改善的部分。第四,無形文化遺產進修證明的發布應該還給國家。第五,要加強無形文化遺產的定期調查。第六,需要制定無形文化遺產的緊急保護方案。第七,需要認可無形文化遺產傳承集體。第八,需要繼承者對無形文化遺產的認知轉換。第九,無形文化遺產要更加有創造性,並且傳承發展下去。 此後,提出了防止無形文化遺產的“化石化”和活性化方案。第一,無形文化遺產的傳授教育的改革,第二,無形文化遺產傳授教育無館的現代化。不僅是設施方面,在內容上也要一起進行現代化。第三,要制定振興傳統工藝的方案。 再後,對幾個問題進行了討論。在合理的原則下,政府和集體應該實行的無形文化遺產支援制度及運用的支援方式需要改善和補充。第一,需要支援者認識的轉換。第二,需要無形文化遺產傳承支援體系的改善。第三,制定為了無形文化遺產的保護傳承及運用的法律意義,並比較、檢討了『文化財保護法』和現行的『無形文化遺產的保護及振興的法律(案) 。 保護傳承政策的最後討論了關於無形文化遺產的知識產權法令以及制度的改善。分析無形文化遺產知識產權的論點為根據,探究了傳統知識產權、傳統表達知識產權、傳統技術知識產權的實例及有關法令和制度。 此文把無形文化遺產內容的運用分為三部分,第一是傳統藝能信息,第二是傳統技能信息,最後是以傳統文化為素材的數碼信息。在傳統藝能信息里講的是對“阿里郎”、“四物遊戲”和“男社黨遊戲”的傳統表演之特性與運用實例。海外的藝能信息中講的是中國的無形文化遺產“黃梅戲”,傳統雜技“時空之旅”的運用實例,以及法國的“想像慶典”和“巴黎秋季慶典”之特性和運用實例。傳統藝能的運用方案記述了下面幾個部分,第一,獲取信息途徑的變化。第二,為了創作和運用傳統藝能要正確保護、傳承、融合和培養先進藝術家。第三,擴大文化·社會接近性。第四,與教育節目聯繫運用傳統藝能信息。最後是傳統藝能的世界化戰略。目前,世界面臨著“全球化時代”、“國際化時代”,各個國家把自己的無形文化遺產直接舉辦為一個慶典,或者利用無形文化遺產為動機計畫文化活動,活躍國家觀光旅遊產業。如果要對韓國的無形文化遺產進行世界化,就要對其更深的韓國文化。開發傳統慶典的方案中提到了口頭文學家的作用、多邊調查和開發、企劃經營過程的標準化。第二,在傳統技能信息部門擴大傳統文化商品產業的溝通與共鳴能力,為了實現國際社會提示了一些具體方案的擴充。第三點是傳統數碼信息運用方案。文化遺產以保護為主的政策轉為積極運用文化遺產的趨勢。並且韓國的信息通信技術(IT)和文化技術(CT)的發展提供了能夠保護運用文化遺產的可能性。因此,傳統數碼信息的運用方案要準備電腦存檔系統,並通過有關文化遺產的視頻、電視節目等來擴大對國民的服務。 文化是生活的糧食,所以在生活當中通過實踐來不斷創造並繼承,這才是真正的無形文化遺產的傳承。也要通過與現代文化的溝通及融合繼續創造發展為具有歷史性的“活生生的無形文化遺產”。不僅是無形文化遺產能力持有人、團體和所有有關人士要把文化力量和文化創造力凝聚起來,並成為一個尊重文化名譽、文化自豪的象徵,還要成為國家和社會文化的開始。保護傳承無形文化遺產的最好方法是在正確地傳承無形文化遺產和普及的同時,繼續擴展有現實性、發展潛力的新作品,又通過不斷的研究活動來累積無形文化遺產的持續性。保護和傳承的互補成為動力,無形文化遺產的生命力將獲得永遠的文化價值與光彩。 核心詞彙:無形文化遺產、無形文化財、無形文化遺產保護、無形文化遺產的運用、無形文化遺產政策、無形文化遺產信息、傳統文化信息。 韩国无形文化遗产的保存和运用 A Research for the Safeguarding and Utilis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Korea 姓名: 金光熙(Kim Kwang-hee) 學科: 文化信息专业 指導敎授: 宣釘奎(Seon Jung-gyu) 无形文化遗产不仅是传统文化,还是活生生的文化。无形文化遗产是指一个集体或团体与其生活的环境、自然、历史相互影响时,不断重新创造出来的知识、技术、演艺和文化表达的总和。无形文化遗产在一个集体内具有共享的性质,通过人类的生活传承下去。 包括联合国教课文组织(UNESCO),国际社会从只保护建筑等有形文化资产的保护活动脱离出来,扩展到无形文化遗产的保护,也就是说国际社会重新认识了无形文化遗产的价值。为了保护无形文化遗产国际社会渐渐加深对无形文化遗产的关心,但是在这关心的另一面因世界化、都市化、文化一体化政策以及年轻人们的关心不足,很多文化遗产正在逐渐消失。 无形文化遗产容易丧失传承能力,并可能成为“残留文化”。因此要给无形文化遗产附加“生命力”,并研究如何改善保护体系是关键。 直到1990年后半期,韩国在无形文化遗产的指定和保存、持有人的管理等方面采取了相当先进的政策,但是目前逐渐把联合国教科文组织保护无形遗产的方式作为典范,所以韩国也有必要改善并补充无形文化遗产的保护制度。需要改善无形文化财产的原真性原则、传承教育制度、国家的传承支援资金制度、现行文化财产保护体系、无法充分运用的无形文化遗产政策和制度。 据MBC『时事杂志2580』(2013.11.17)报导,2013年全国40%的主要无形文化遗产没有继承人,面临消失的危机。人们都赞同应该改善1962年有形文化遗产为中心的文化财产保护制度。除了要提供支援资金以外,还需要为了避免无形文化遗产的孤立而奠定基石。直到今日人们不断议论了对无形文化遗产保护的研究与方案,但是因缺乏具体实现的方案,导致了重要无形文化资产面临消失的危机。光议论,不实践无法成为保护无形文化遗产的方案。在日本,如相扑赛场和歌舞伎演艺场等常设表演场地吸引很多观众,这对从事无形文化遗产的人们生活有了直接的帮助。但是在韩国除了每月支援一定的资金以外没有实践性的活动。这就是为什么要奠定把无形文化遗产为生业的基石。 在日本,人们在遵守无形文化遗产原真性的同时,随时代的变化筹划创造性发展,日本就是通过这种方式传承无形文化遗产并保护人类文化遗产的。如果想要引起新的创造欲,只凭对重要无形文化遗产的自豪感是不够的,因此不仅要奠定无形文化遗产为生的基石,还要发现能够吸引继承者的价值并且要在现实生活中努力寻找能够被活用的价值。另外,为了获得能使无形文化遗产的产业化成为现实的持续性与自生能力,实质并且全面的努力是必不可少的。譬如人们把跆跟(Taekkyeon)按现代潮流的变化,在美国华盛顿以歌剧的方式试演就是一种例子。这就是为什么目前需要在保护无形文化遗产的基础上更进一步,提出系统性的对策来运用无形文化遗产并活性化,总的来说就是想要以此为前提进行研究。 此研究目的是掌握有关无形文化遗产保护与运用政策的论点,并提出改善的方案。以此为基础提出无形文化遗产的运用方案。为了具备保护和运用无形文化遗产的方案,首先要分析联合教科文组织(UNESCO)的保护协议,以及中国、日本、法国等与韩国相似的国家,或者具有先进无形文化遗产国家的传统文化政策、特殊性与方向性。当然,无形文化遗产的保护与运用政策随其国家的历史、社会、文化的状况而有所不同,但是分析政策的方向便可发现,无形文化遗产普遍带有的性质,使各个国家都有共同强调的社会支援制度。 希望通过分析这类政策,能够提出各种政策和方案,使得我们国家能在改善无形文化遗产的保护体系方面获得启发。 国际社会的文化遗产保护活动,从建筑为主的有形文化遗产保护逐渐转移到了重新认识肉眼看不见却存在于世上的无形文化遗产价值。目前在转变为UNESCO保护文化遗产方式为典范的趋势下,改善无形文化遗产政策与制度的研究具有下列的意义。 现代社会要研究无形文化遗产的五个意义如下。 第1, 现代人在精神上获得安乐感。 第2, 通过保护传承传统美来实现人类爱。 第3, 通过弘扬民族精神来扩大同质性。 第4, 通过扩大文化自信心来获得乐观思维。 第5, 通过运用文化遗产培养文化产业。 韩国无形文化遗产的保护与传承运用制度并不全都是符合上述意义的,而且制度的运用也并不是很满足。在此文探究了无形文化遗产保护与传承政策的历史和论点。还提示了因无形文化遗产原真性原则,难以传承、运用、创造的现实。随着在社会上对传统文化的需求降低,无形文化遗产面临着无法继续传承下去的危机,也随着社会环境的变化产生了徒弟式传授教育的不足、不符合现实的支援资金、进修证明交付等问题,这些就是此文提出来的论点。 无形文化遗产或者传统文化表达作品的利用实例逐渐增加,其潜在价值受到人们的重视,有关论证逐渐增加。因此对无形文化遗产的知识产权法规与制度进行了讨论。分析知识产权的论点,还讨论了传统知识和传统表达方式、传统技术的知识产权保护及制度的改善。因今日有关无形文化遗产的社会纠纷等,极其需要无形文化遗产的保护、传承及运用方面的法律与制度援助。 除了上述韩国无形文化遗产保护传承和运用政策的改善方案外,还研究了无形文化遗产信息的运用。 首先讨论了无形文化遗产的保护传承和创意传承的方案。第一,无形文化财的概念扩展到无形文化遗产,扩大其保护范围以及多样化。第二,无形文化财的持有者改称为“人类文化财”。只改名称为“人类文化财”没有任何意义。对无形文化财的热情、态度还有生活传承方式等考虑在内,把他称为“人类文化财”。再加上一定部分的实惠的话,给传承者附加自豪感。第三,有关无形文化遗产的价值、知识、技能或者艺能等方面引进“典型性”。无形文化遗产要有创造性并要传承下去。目前,用法律规定按照当时指定为无形文化遗产时的内容来传承,这是需要改善的一部分。第四,无形文化遗产进修证明的发布应该还给国家。第五,要加强无形文化遗产的定期调查。第六,需要制定无形文化遗产的紧急保护方案。第七,需要认可无形文化遗产传承集体。第八,需要继承者对无形文化遗产的认知转换。第九,无形文化遗产要更加有创造性,传承发展下去。 此后,提出了防止无形文化遗产的“化石化”和活性化方案。第一,无形文化遗产的传授教育的改革。第二,无形文化遗产传授教育馆的现代化。不仅是设施方面,在内容上也要一起进行现代化。第三,需要制定振兴传统工艺的方案。 再后,讨论了一下几个问题。在合理的原则下,政府和集应该实行的无形文化遗产支援制度及运用的支援方式需要改善和补充。第一,需要支援者认识的转换。第二,需要无形文化遗产传承支援体系的改善。第三,制定为了无形文化遗产的保护传承及运用的法律意义,并比较检讨了『文化财保护法』和现行的『无形文化遗产的保护剂振兴的法律(案)』。 保护传承政策的最后讨论了关于无形文化遗产的知识产权法令以及制度的改善。分析无形文化遗产知识产权的论点为根据,探究了传统知识知识产权、传统表达知识产权、传统技术知识产权实例及有关法令和制度。 此文把无形文化遗产内容的运用分为三部分,第一是传统艺能信息,第二是传统技能信息,最后是以传统文化为素材的数码信息。在传统艺能信息里讲的是对“阿里郎”、“四物游戏”和“男社党游戏”的传统表演之特性与运用实例。海外的异能信息中讲的是中国的无形文化遗产“黄梅戏”,传统杂技“时空之旅”的运用实例,以及法国的“想象庆典”和“巴黎秋季庆典”之特性和运用实例。传统艺能的运用方案方面记述了下面几个部分,第一,获取信息途径的变化。第二,为了创作和运用传统艺能要正确保护、传承、融合和培养新近艺术家。第三,扩大文化·社会接近性。第四,与教育节目联系运用传统艺能信息。最后是传统艺能的世界化战略。目前,世界面临着“全球化时代”、“国际化时代”,各个国家把自己的无形文化遗产直接举办为一个庆典,或者利用无形文化遗产为动机计划文化活动,活跃国家观光旅游产业。如果要对韩国的无形文化遗产进行世界化,就要对其更深的韩国化。开发传统庆典的方案中提到了口头文学家的作用、多边调查和开发、企划经营过程的标准化。第二,在传统技能信息部门扩大传统文化商品产业的沟通与共鸣能力,为了实现国际社会提示了一些具体方案的扩充。第三点是传统数码信息运用方案。文化遗产以保护为主的政策转为积极运用文化遗产的趋势。并且韩国的信息通信技术(IT)和文化技术(CT)的发展提供了能够保护运用文化遗产的可能性。因此,传统数码信息的运用方案要准备电脑存档系统,并通过文化遗产视频的活性化来电视等数码节目对国民的服务。 文化是生活的粮食,所以在生活当中通过实践来不断创造并继承,这才是真正的无形文化遗产的传承。也要通过与现代文化的沟通及融合,继续创造发展为具有历史性的“活生生无形文化遗产”。不仅是无形文化遗产能力持有人、团体和所有有关人士要把文化力量和文化创造力聚集起来,并成为一个尊重文化名誉、文化自豪的象征,还要成为国家和社会文化的开始。保护传承无形文化遗产的最好方法是正确的传承无形文化遗产和普及的同时,继续扩散有现实性、发展性的新作品,又通过不断地研究活动来累计无形文化遗产的持续性。保护和传承的互补成为动力,无形文化遗产的生命力会获得永远的文化价值和光彩。 核心词汇:无形文化遗产、无形文化财、无形文化遗产保护、无形文化遗产的运用、无形文化遗产政策、无形文化遗产信息、传统文化信息。 韓国の無形文化遺産の保全と活用 A Research for the Safeguarding and Utilis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Korea 姓名: キム グァンヒ(Kim Kwang-hee) 學科: 文化コンテンツ学 専攻 指導敎授: シン ジョンギュ(Seon Jung-gyu) 無形文化遺産は伝統文化であると共に、生きる文化だ。無形文化遺産は共同体と集団が自らの環境、自然、歴史の相互作用によって絶えることなく再創造してきた各種の知識と技術、公演芸術、文化的表現を合わせ持つ。無形文化遺産は共同体内で共有する集団的な性格を持ち、人を通じて生活の中で伝承されてきた。 ユネスコを含む国際社会は文化遺産の保護活動を建築物中心の有形文化財から今では無形の生きた遺産(living heritage)、つまり無形文化遺産の価値を新しく認識している。無形文化遺産を保護するための国際社会の関心が高まっている一方、未だに世界化と急速な都市化、文化統合政策に加え、若い世代の関心不足により多くの無形遺産が滅びている。無形文化遺産は伝承力の喪失や残存文化化してしまう可能性が高い分野だ。その為無形文化遺産に新しい生命力を与えられるよう保全体系の改善方案を研究する必要がある。 1990年代後半まで韓国は無形文化財の指定と保全、保有者の管理等、非常に進んだ政策を行ってきた。だが、ユネスコ中心の無形遺産保護パラダイムに変わってきている現時点で、韓国の無形文化遺産保護制度は改正し補う必要がある。無形文化財原型保存主義の原則、伝授教育制度と国家伝承支援金、現行文化財保護法の体系、活用されていない無形文化遺産の政策と制度を改善しなければならない。 MBC『時事マガジン2580』(2013. 11.17, チョ イミョン)の報道によれば2013年現在、全国の重要無形文化財の40%が、後継者がいない為に消滅危機に陥っているという。1962年に施行された有形文化財中心の文化財保護制度を見直すべきだという声が高まっている。一定金額を支援するだけでなく、孤立しないような基盤を作らなければならない。今まで無形文化遺産の保護についての研究と代案がたくさん議論されてきたが、具体的な実践に移せるほどの議論はまだ足りないという結果が重要無形文化財の消滅危機につながったのだ。保全しようという声を高めるだけでは実質的な代案にはならない。日本の場合、相撲競技場や歌舞伎公演会場のような常設会場が観客を呼び込み無形文化遺産に携わる人々の生計に直接支援をしているが、韓国の場合、毎月一定金額を支援することを除いては、直接的な活動が不足しているのが現実である。稼業として継いでいくだけの基盤を作る代案が必ずしも必要なのだ。 日本の場合、無形文化財の原型を守り、伝授しながら時代の流れに沿った創造的な発展を図っている。このように無形文化遺産を伝承しながら人間文化財も保全しているのだ。そのためには生活基盤を作ることはもちろん、後継者が進み出るほどの価値をみつけることが必要だ。新しい創作欲求を呼び起こすぐらいの価値を発見するには、重要無形文化財といった自負心だけでは解決しないためである。現実に生活の中で活用できる新しい価値を見つける努力も必要だ。無形文化遺産の産業化が可能なほどの生命力と自生力を確保するため、実質的かつ体系的な努力が伴わなければならない。テッキョン(韓国伝統武芸)を現代的な流れに沿ったミュージカルとしてアメリカのワシントンで試演しているのが一つの例と言えるだろう。無形文化遺産を保護するという次元からもう一段階進み、積極的な活用と活性化させるための組織的な代案が必要であり、こういった意図で本研究を進めようと思う。 本研究の目的は無形文化遺産の保全と活用政策の争点を把握し、改善方案を示すことである。また、これをもとにして無形文化遺産のコンテンツ活用方案を示そうと思う。無形文化遺産の保全と活用の改善方案を立てるためには、まずユネスコ無形文化遺産保護協約、中国や日本、フランスなどといった、韓国と類似した無形遺産先進国家の伝統文化に対する政策の特殊性及び方向性を分析しよう。もちろん、無形文化遺産の保全と活用についての政策は国ごとの歴史的、社会的、文化的状況により異なるのが一般的だ。だが政策の方向性を分析してみると、無形文化遺産が持つ普遍的な属性により各国において共通的に重要視される社会的支援制度のパターンを見つけ出すことができる。こういったパターンの分析を通し、韓国の無形文化遺産の保全体系の改善を示唆する政策代案を示そうと思う。 国際社会の文化遺産保護活動は建築物中心の有形文化財から徐々に目には見えない生きた無形文化遺産の価値を新しく認識する方向へと旋回してきている。ユネスコの無形遺産保護パラダイムに変わってきている現時点で、無形文化遺産に対する政策と制度を改善するための研究は次のように意義づけることができる。 現代社会で無形文化遺産を研究しなければならない意義を5つの面で把握した。 第一に、現地人の精神的な安楽の充足 第二に、伝統美の伝承と保全を通じた人類愛の実現 第三に、民族精神を高揚する事によった同質性確保 第四に、文化的な自信の確保を通じた肯定的思考の高揚 第五に、文化遺産の活用を通じた文化産業の育成 韓国の無形文化財の保全と活用制度が本取材に添うように満足に運営されていた訳ではない。これについて本稿では無形文化遺産の保全、活用政策の歴史と争点について探究した。無形文化財の原型保存主義による伝承·活用·創造の難しさを争点に置いた。伝統文化に対する社会的需要の低下による伝承断絶危機の高調、社会環境の変化による徒弟式伝授教育の効率性の不足、非現実的な伝承支援金、履修証交付問題等を争点化した。 無形文化遺産または伝統文化表現物の利用事例が増加し、潜在的価値が注目され、関連紛争事例が増加している。これに対し無形文化遺産の知識財産権に対する法令と制度整備について述べた。知識財産権の争点を分析し、伝統知識と伝統表現、伝統技術の知識財産権保護と制度整備を述べた。無形文化遺産分野の社会的な葛藤の発生等、無形文化遺産の保全及び活用のための法的·制度的な裏付けが切実に要求されているためだ。 上で述べた韓国無形文化遺産の保全と活用政策の改善方案に加え、無形文化遺産コンテンツの活用を探究した。 まず無形文化遺産の保全と創意伝承方案について述べた。第一に、無形文化財の概念を無形文化遺産にまで拡大し、保護範囲を拡大及び多様化する必要がある。第二に、無形文化財の保有者を『人間文化財』に改称するのだ。しかし、名称だけを『人間文化財』に改称するのでは何の意味もない。ただ無形文化財を気遣う心と身だしなみ、そして生活·伝承方式などが『人間文化財』になるべきだ。それに一定の恵沢を付け加えれば伝承者に自負心を植え付けることができるだろう。第三に、無形文化遺産の価値、知識、機能または芸能等に関する『典型』性の導入である。無形文化遺産は創造的に伝承され発展しなければならない。本来の属性とは関係なしに、法的に指定される当時の内容に基づいて連行するよう規制されている点は改善しなければならない。第四に、無形文化遺産の履修証の発行は、国家に還元する必要がある。第五に、無形文化遺産の定期調査を強化しなければならない。第六に、無形文化遺産の緊急保護方案を立てなければならない。第七に、無形文化遺産の伝承共同体の認定が必要だ。第八に、継承者が認識を転換する必要がある。第九に、無形文化遺産はより創造的に継承され、発展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論じた。 次に無形文化遺産の化石化防止と活性化方案を提示した。第一に、無形文化遺産の伝授教育の革新方案を示した。第二に、無形文化遺産の伝授教育観の現代化である。施設面だけではなく、内容も一緒に現代化しなければならない。第三に、伝統工芸の振興のための方案を立てる必要がある。 その次に、政府と団体が合理的な原則のもとに施行するべきである無形文化遺産の支援制度及び活用のための支援方式もまた補完されなければならない。第一に、支援者の認識の転換が必要だ。第二に、無形文化遺産の伝承支援体系の改善が必要である。第三に、無形文化遺産の保全及び活用のための法律制定の意義と、『文化財保護法』と現在推進されている『無形文化遺産の保全及び振興に関する法律(案)』を比較し、検討した。 保全と活性化政策の終わりに無形文化遺産の知識財産権の法令と制度整備について述べた。無形文化遺産の知識財産権をめぐる争点分析をもとにし、伝統知識の知識財産権、伝統表現の知識財産権、伝統技術の知識財産権の事例と慣例法令及び制度を探究した。 本稿では、無形文化遺産のコンテンツ活用を伝統芸能コンテンツ、伝統機能コンテンツ、そして伝統文化を素材として扱ったデジタルコンテンツに分類し、記述した。第一に、伝統芸能コンテンツではアリランとサムルノリ、ナムサダンノリについて伝統公演コンテンツの特色と活用事例を調べてみた。芸能コンテンツの海外事例としては、中国の無形文化遺産である『ファンメヒ(黄梅戏)』、伝統曲芸のブランドである『時空之旅』の活用事例とフランスの『想像祭り』と『パリの秋祭り』の特色と活用事例を探ってみた。伝統芸能コンテンツの活用方案としてはコンテンツの確保に至る経路の多辺化、創作と活用のための伝統芸能の正確な保全、融合·複合と新進芸術家の養成、文化·社会的な接近性の確保、教育プログラムと連携した伝統芸術コンテンツの活用、世界化戦略を挙げた。また、韓国の遊びと祭りについて全般的に記述した。世界は今、『地球村時代』、『グローバル化時代』を迎え、自国の無形文化遺産をそのまま祝祭化したり、それをモチーフに文化行事を企画し、韓国事業の活性化を図っている。韓国の無形文化遺産を世界化するとすれば、もっと韓国らしいものを確立しなければならない。伝統祭りの開発方案として口承文学専攻者の役割、多次元的な調査の開発、企画運営課程の標準化などを示した。第二に、伝統機能コンテンツの分野では、伝統文化商品の産業界の疎通と共感を広め、グローバル進出戦略を実現するためのプラットホームの拡充を示した。第三に、伝統デジタルコンテンツ活用方案を述べた。文化遺産は保存中心の政策から積極的な文化遺産の活用政策のパラダイムに転換する時点にまで至った。また、韓国の情報通信技術(IT)と文化技術(CT)の発展は、文化遺産を保存し、活用できる多様な可能性を見せてくれた。これに伝統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活用方案として無形文化遺産のサイバーアーカイブシステムを備え、ヘリテージチャンネルの活性化を通じたデジタルプログラムにおける国民サービスの拡大を示した。 文化は人生と一体であるため、生きる上で実践しながら絶えることなく創造的に継承することが真の無形文化遺産の伝承といえる。現代文化との疎通と融合を通し、『生きる無形文化遺産』として歴史的な創造と発展を重ねていかなければならない。無形文化遺産の機能·芸能保有者と団体はもちろんのこと、これに関連するもの全ての文化の力量と文化の創造力をあわせ、文化的プライドと文化的名誉を尊重するシンボルになるべきであり、また国家と社会の文化的根源になるべきである。一番望ましい無形文化遺産の保全方向は、正確な伝承と普及が成り立ち、発展的かつ現実的な新しい作品の創作と拡散が持続し、絶えることなく研究活動を積み重ね、該当する無形文化遺産の生命力を強化していくという点にある。保護と伝承の有機的な相互補完が発展の原動力となり、無形文化遺産の生命力は永久的な文化的価値を獲得し光を放つことになるだろう。 重要単語: 無形文化遺産、無形文化財、無形文化遺産の保全、無形文化の活用、無形文化遺産政策、無形文化遺産コンテンツ、伝統文化コンテンツ。 A Research for the Safeguarding and Utilis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Korea Name: Kim Kwang-hee Major: Study of Cultural Contents Department: Applied Linguistics and Culture Studies School: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Thesis Advisor: Professor Seon Jung-gyu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a traditional culture simultaneously a living ongoing cultur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ncompasses all types of knowledge, skills, performing arts and cultural expressions that communities and groups have constantly recreated through the reciprocal action among their environment, nature and history.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s the communal characteristics of common sharing within the group and has been passed along through the lives of people. There has been a shift in perception of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from focusing on the tangible cultural heritage centered on architecture to newly acknowledging the value of the living heritage, in other words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cluding the UNESCO. Despite the towering interest towards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with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re is a considerable los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ue to globalisation, rapid urbanisation and cultural integration policies along with the lack of attention of the younger generati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s high possibility of transgressing into remaining culture and losing transmission ability. Therefore it is crucial to seek improvement in preservation method to give life t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Until the late 1990s, the Republic of Korea laid out a considerably advanced policy in designation and preservation policy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owever, the new shift i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aradigm driven by the UNESCO calls for an amendment of Korea’s current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olicy. There needs to be improvements in the current principle of preserving the origi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orm, transmission training system, national transmission support fund,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olicy structure and ineffective applic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olicy and institution. MBC "Preview Magazine 2580" (Jo Eui-myeong, November 17, 2013) in 2013 reported that almost 40 percent of the significant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on the brink of extinction without a successor.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 change in the tangible cultural heritage-centered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policy enacted in 1962. Establishment of conditions to hinder isolation of the cultural heritage is required instead of a mere funding system. The lack of concrete action amidst several discussions and research to seek alternatives for protec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what resulted in the crisis of extinction of cor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 mere suggestion can not be a practical solution for the preservation. In Japan, permanent venues such as Sumo stadiums or Kabuki theaters attract large number of audiences directly assisting the lives of the people i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dustry. On the contrast, Korea only supports the people in the industry through monthly funding without practical support system. A solution to lay a foundation for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dustry to provide occupations that generate real revenues is necessary. Japan is striding forward to seek creative development with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eing transferred according to the trend of time without losing its original form. Human cultural treasures remain preserved with the transmission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is demands a foundation upon which the people i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dustry can generate revenue and discover the value for embarkation of the successor. The pride in being a cor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lone does not evoke the desire for new creation. Efforts to seek new values that can be utilised in real life is necessary. The efforts should be accompanied by practical and systematic efforts to ensure the vitality and self-sustaining ability for the commercialisation platform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musical performance of Taekgyeon that corresponds to modernity in Washington D.C. is a representative example. This study intends to take a step further from simple protec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 pursue institutional solutions for active utilisation and vitalis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issu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and utilisation and suggest improvement solutions. Furthermore, ways to utiliz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ontents will also be presented. In order to establish improvement method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and utilisation, the study analyses the orientation and uniqueness of the traditional culture policies of the countries including China, Japan, France, etc. advanced i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imilar to Korea as well as the UNESCO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Generally,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policies differ among countries depending on their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Nevertheless, analysis of policy orientations suggests common type of critical social support system in each country based on the collective property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ifferent types of policies among the countries, the study attempts to suggest the policy solutions for Kore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improvement.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efforts are gradually turning to newly recognising the values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from tangible architectural cultural asset protection. At current point of UNESCO’s paradigm shift toward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intangible property cultural heritage policies and system has following purposes. The following five purposes to investigate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the modern society were identified. First, the fulfillment of the spiritual comfort of the people in modern society. Second, realisation of love for mankind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preservation of traditional beauty. Third, procurement of homogeneity through promoting national spirit. Fourth, enhancing positive thinking through securing cultural self-confidence. Fifth,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y though the utilisation of cultural heritage. Kore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and utilisation policies have not met the above conditions so far. This study explores the history and the issues of the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and utilisation policies. We focus on the difficulty of the transmission and utilisation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ue to the preservation of the original form principle. The break of transmission cycle, lack of effectiveness of apprenticeship vocational education due to changes in social environment, minimal transmission funding status and the issuance completion certificate due to social decrease in demand for traditional culture are spotlighted in the report. As the utilisation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raditional cultural expressions increase and their potential values are spotlighted, related dispute cases are also escalating. In this paper, we look into the laws and institutions related t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e analysed the issue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raditional knowledge and expression,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of traditional techniques and system maintenance. There needs to be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the preservation and utilis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he social conflicts arising thereof. In addition to the previously discussed Kore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and utilisation policy, the report explores the utilis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ontents. Creative succession methods and preserv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discussed. First, by extending the concept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range of protection needs to be expanded and diversified. Second, holder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hould be designated as ‘living human treasure’. However this should not be limited to a mere renaming. Only the mindset, demeanor, life style and succession methods need to be designated as ‘living human treasure’. Also, certain benefits can instill the sense of price in the successors. Third, introduction to typicality concerning values, knowledge, skills and arts is requir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hould be developed and succeeded in creative ways. Regulation based on the context at the time of institution fail to reflect of the real content and should be improved. Fourth,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ertificate should be returned to the country. Fifth, regular inspection o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hould be strengthened. Sixth, emergency protection measures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e needed. Seventh,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uccession community should be acknowledged. Eighth, there needs to be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the successor. Ninth, creative ways to transmit and develop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discussed. In addition, fossilisation and protection schemes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ere proposed. First, innovative vocational training schemes were suggested. Second, the study looks into modernization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vocational education center. There needs to be a modernization of the context along with the modernisation of facilities. Third, measures to promote traditional crafts are required. Furthermore government and organization’s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support system and utilisation support schemes should be amended under a rational principle. First there needs to be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the supporter. Second, the succession system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hould be improved. Third, the purpose of the cultural heritage legislation for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were examined.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and "Preservation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aw” were also compared and analysed. Finally,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egislation and system maintenance for preservation and revitalisation schemes were discussed. The examples and the common law on traditional knowledge, traditional expression and traditional skill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were examined based o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ssue. In this paper, the utilis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ontents was divided into traditional arts contents, traditional functional contents, and digital contents featuring traditional culture. First, the examples of characteristics and utilisation of traditional arts contents including Arirang, Samulnori, and Sandangpaenori were examined. The study further investigates overseas examples of traditional arts contents including Chin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wangmaehui(黄梅戏)' and all-round traditional brand ‘Sigongjireo(时空之旅)’, France’s ‘Imaginative Festival’, and ‘Paris Autumn Festival’. For traditional arts contents utilisation scheme, diversification of contents procurement routes, sound preservation of traditional arts for creation and utilisation, fostering of fusion artists, securing cultural and social accessibility, educational programs in connection with the use of traditional entertainment contents and globalisation were suggested. Also, general idea of Korea’s play and festivals were described. Countries are currently seeking to invigorate their tourism through festivals and cultural events under the them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long with ‘Globalisation’ and ‘Internationalisation’. In order to globalise Kore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 needs to have strong national color. The role of oral literature majors, multi-dimensional research development, and standardisation of planning and operation process were examined as traditional festival development schemes. Second, expanding the communication and empathy of traditional cultural product industry to prepare a platform for global stage for traditional functional contents was suggested. Third, utilisation of traditional digital contents was discussed. Cultural heritage is at the point of a paradigm shift from the policy of preservation centered approach to active utilisation. Also, Korea’s information technology (IT) and culture technology (CT) have opened up a wide range of possibilities for preservation and utilisation of cultural heritage. Expansion of public service of the digital programs through vitalisation of heritage channel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yber archive preparation for traditional digital contents utilisation scheme were studied. Culture should be continuously inherited creatively and practiced in real life to be referred to as a tru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uccession. Through the fusion and communication with the contemporary culture, cultural heritage should be developed and historically recreated as ‘liv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olders and related organization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eed to cooperate with cultural competence and creativity and represent cultural pride and honor. The optim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is accompanied by precise succession and dissemination of the heritage, continuous diffusion of developmental and innovative work creation and relentless accumulation of research activities that enhance the vitality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rough constant complementary development between preservation and successi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ill obtain everlasting and shining cultural value. Key word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utilisati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olicy,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ontents,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무형문화유산은 전통문화인 동시에 살아있는 문화이다. 무형문화유산은 공동체와 집단이 자신들의 환경, 자연, 역사의 상호작용에 따라 끊임없이 재창조해온 각종 지식과 기술, 공연예술, 문화적 표현을 아우른다. 무형문화유산은 공동체 내에서 공유하는 집단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사람을 통해 생활 속에서 전승되어 왔다. 유네스코를 포함한 국제사회는 문화유산 보호 활동을 건축물 위주의 유형 문화재에서 벗어나 이제는 무형의 살아있는 유산(living heritage), 즉 무형문화유산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고 있다. 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국제사회의 관심이 높아져가고 있는 한편에는 아직도 세계화와 급속한 도시화, 문화통합정책과 더불어 젊은 세대의 관심 부족으로 인해 많은 무형유산이 사라지고 있다. 무형문화유산은 전승능력의 상실이나 잔존문화화 가능성이 높은 분야다. 그렇기 때문에 무형문화유산에 새로운 생명력을 줄 수 있도록 보전체계의 개선방안을 연구하는 것이 절실한 시점이다. 1990년대 후반까지 한국은 무형문화재의 지정과 보전, 보유자의 관리 등에서 상당히 앞선 정책을 펼쳐왔다. 그러나 유네스코 위주의 무형유산 보호 패러다임으로 바뀌고 있는 지금 시점에서 한국의 무형문화유산 보호제도는 개정·보완될 필요가 있다. 무형문화재 원형보존주의 원칙, 전수교육 제도와 국가전승지원금, 현행 문화재보호법의 체계, 활용되지 못하는 무형문화유산 정책과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MBC『시사매거진2580』(2013. 11. 17, 조의명)보도에 따르면 2013년 현재 전국 중요무형문화재의 40%가 후계자 없이 소멸될 위기에 처해 있다고 한다. 1962년 시행된 유형문화재 중심의 문화재보호제도를 고쳐야 할 때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일정액의 돈을 지원하는 것만이 아닌 고립되지 않도록 기반여건을 마련해야 한다. 그동안 무형문화유산의 보호에 관한 연구와 대안들이 많이 논의되어 왔으나 구체적인 실천에 옮길 만한 논의가 여전히 부족한 결과가 중요무형문화재의 소멸 위기를 불러온 셈이다. 보전하자는 목소리만 높여서는 실질적인 대안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일본의 경우, 스모경기장이나 가부키공연장 같은 상설 공연장이 관객을 끌어들이면서 무형문화유산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생계에 직접 도움을 주고 있지만 한국의 경우에는 매월 일정액의 돈을 지원하는 이외의 직접적인 활동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생업으로 이어갈 기반을 마련하는 대안이 절실한 이유이다. 일본의 경우, 무형문화재의 원형을 지켜 전수하면서 시대의 흐름에 맞게 창조적 발전을 꾀하고 있다. 이렇게 무형문화유산을 전승하면서 인간문화재도 보전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먹고 살 수 있는 기반 마련은 물론 후계자가 나설만한 가치를 발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새로운 창작 욕구를 불러일으킬 만한 가치의 발견은 중요무형문화재라는 자부심만으로는 해결되지 않기 때문이다. 현실생활 속에서 활용될 수 있는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려는 노력 또한 필요하다. 무형문화유산의 산업화가 가능할 만한 생명력과 자생력을 확보하기 위한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택견을 현대적인 흐름에 맞게 뮤지컬 공연으로 미국 워싱턴에서 시연을 하고 있는 경우가 한 예가 될 것이다. 무형문화유산을 보호하는 차원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적극적인 활용과 활성화를 위한 조직적인 대책이 절실한 이유이고, 이런 의도에서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무형문화유산 보전과 활용 정책의 쟁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무형문화유산의 콘텐츠 활용방안 또한 제시하고자 한다. 무형문화유산 보전과 활용의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 우선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협약, 중국, 일본, 프랑스 등 한국과 유사하거나 무형유산 선진 국가의 전통문화 정책의 특수성 및 방향성을 분석한다. 물론 무형문화유산의 보전과 활용에 대한 정책은 나라마다 그 나라의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정책의 방향성을 분석해보면 무형문화유산이 갖는 보편적 속성에 의해 각 나라에 공통적으로 중요시되는 사회적 지원제도의 유형을 발견해 낼 수 있다. 이러한 유형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 무형문화유산의 보전체계 개선에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정책대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제사회의 문화유산 보호활동은 건축물 위주의 유형 문화재로부터 점차 눈에 보이지 않지만 살아있는 무형문화유산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는 쪽으로 선회하고 있다. 유네스코의 무형유산보호 패러다임으로 바뀌고 있는 현 시점에서 무형문화유산 정책과 제도 개선을 위한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현대사회에서 무형문화유산을 연구해야 하는 의의를 다섯 가지 측면에서 파악하였다. 첫째, 현대인의 정신적 안락감의 충족이다. 둘째, 전통미의 전승과 보전을 통한 인류애의 실현이다. 셋째, 민족정신의 고양을 통한 동질성 확보다. 넷째, 문화적 자신감의 확보를 통한 긍정적 사고 고양이다. 다섯째, 문화유산의 활용을 통한 문화산업의 육성이다. 한국 무형문화재의 보전과 활용제도가 본 취지에 부합하도록 만족스럽게 운영되었던 것만은 아니다. 이에 본고에서는 무형문화유산 보전과 활용 정책의 역사와 쟁점에 대해서 탐구하였다. 무형문화재 원형보존주의로 인한 전승·활용·창조의 어려움을 쟁점으로 제시하였다. 전통문화에 대한 사회적 수요 저하로 인한 전승 단절 위기 고조, 사회 환경의 변화로 인한 도제식 전수교육의 효용성 부족, 비현실적인 전승지원금, 이수증 교부의 문제 등을 쟁점화 하였다. 무형문화유산 또는 전통문화표현물의 이용사례가 증가하고 잠재적 가치가 조명 받으면서 관련 분쟁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무형문화유산의 지식재산권에 대한 법령과 제도정비에 관해 논하였다. 지식재산권의 쟁점을 분석하고, 전통지식과 전통표현, 전통기술의 지식재산권 보호와 제도정비를 논하였다. 무형문화유산 분야의 사회적 갈등 발생 등 무형문화유산의 보전 및 활용을 위한 법적·제도적 뒷받침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기 때문이다. 앞에서 논한 한국무형문화유산 보전과 활용 정책의 개선방안과 더불어 무형문화유산 콘텐츠의 활용을 탐구하였다. 먼저 무형문화유산의 보전과 창의계승 방안을 논하였다. 첫째, 무형문화재의 개념을 무형문화유산으로 확장하여 보호의 범위를 확대 및 다양화 할 필요가 있다. 둘째, 무형문화재 보유자를 ‘인간문화재’로 개칭하는 것이다. 다만 명칭만을 ‘인간문화재’로 개칭하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오로지 무형문화재를 위한 마음과 몸가짐 그리고 생활·전승방식 등이 ‘인간문화재’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일정한 혜택을 부여하면 전승자들에게 자부심을 심어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무형문화유산의 가치, 지식, 기능 또는 예능 등에 관한 ‘전형성(典型性)’의 도입이다. 무형문화유산은 창조적으로 계승되고 발전되어야 한다. 본디 속성과 상관없이 법적으로 지정될 당시의 내용에 입각하여 연행(演行)되도록 규제되고 있는 점은 개선되어야 한다. 넷째, 무형문화유산 이수증의 발급은 국가로 환원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무형문화유산의 정기조사를 강화해야 한다. 여섯째, 무형문화유산의 긴급 보호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일곱째, 무형문화유산 전승공동체의 인정이 필요하다. 여덟째, 계승자의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아홉째, 무형문화유산은 보다 창조적으로 계승되고 발전되어야 함을 논하였다. 다음에는 무형문화유산의 화석화 방지와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무형문화유산 전수교육의 혁신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무형문화유산 전수교육관의 현대화이다. 시설 측면만 아니라 관리 측면이 함께 현대화되어야 한다. 셋째, 전통공예의 진흥을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합리적인 원칙 아래 시행되어야 하는 정부와 단체의 무형문화유산 지원제도 및 활용을 위한 지원방식 또한 보완되어야 한다. 첫째, 지원자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무형문화유산 전승지원 체계의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무형문화유산의 보전 및 활용을 위한 법률 제정의 의의와, 「문화재보호법」과 현재 추진되고 있는 「무형문화유산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안)」을 비교 검토하였다. 보전과 활성화 정책의 마지막으로 무형문화유산 지식재산권 법령과 제도정비에 관해서 논하였다. 무형문화유산 지식재산권의 쟁점 분석을 바탕으로 전통지식 지식재산권, 전통표현 지식재산권, 전통기술 지식재산권의 사례와 관례법령 및 제도를 탐구하였다. 본고에서는 무형문화유산의 콘텐츠 활용을 전통예능콘텐츠, 전통기능콘텐츠, 그리고 전통문화를 소재로 한 디지털 콘텐츠로 분류하여 기술하였다. 첫째, 전통예능콘텐츠에서는 아리랑과 사물놀이, 그리고 남사당놀이에 대한 전통공연 콘텐츠의 특성과 활용사례를 살펴보았다. 예능콘텐츠 해외 사례로는 중국의 무형문화유산 ‘황매희(黄梅戏)’, 전통잡기 브랜드 ‘시공지려(時空之旅)’의 활용사례와 프랑스 ‘상상축제’와 ‘파리가을축제’의 특성과 활용사례를 살펴보았다. 전통예능콘텐츠 활용방안으로는 콘텐츠 확보 경로의 다변화, 창작과 활용을 위한 전통예능의 정확한 보전, 융·복합과 신진 예술인 양성, 문화·사회적 접근성의 확보, 교육프로그램과 연계한 전통예능콘텐츠의 활용, 세계화 전략을 꼽았다. 또한 한국의 놀이와 축제에 대해 전반적으로 기술했다. 세계는 지금 ‘지구촌 시대’, ‘국제화 시대’를 맞아 자국의 무형문화유산을 그대로 축제화 하거나, 그것을 모티브로 문화행사를 기획하여 관광활성화를 꾀하고 있다. 한국의 무형문화유산을 세계화하자면 더욱 한국적인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 전통축제의 개발 방안으로 구비문학 전공자의 역할, 다차원적 조사 개발, 기획운영 과정의 표준화 등을 제시했다. 둘째, 전통기능콘텐츠 분야에서는 전통문화상품 산업계의 소통과 공감을 넓히고 글로벌 진출 전략을 실현하기 위한 플랫폼의 확충을 제시하였다. 셋째, 전통디지털콘텐츠 활용방안을 논하였다. 문화유산은 보존위주의 정책에서 적극적인 문화유산 활용정책의 패러다임으로 전환되는 시점에 이르렀다. 또한 한국의 정보통신기술(IT)과 문화기술(CT)의 발전은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이에 전통디지털콘텐츠의 활용 방안으로 무형문화유산 사이버 아카이브 시스템 마련, 헤리티지 채널 활성화를 통한 디지털 프로그램의 대국민 서비스 확대를 제시하였다. 문화는 삶의 양식이기 때문에 삶의 현장에서 실천하면서 끊임없이 창조적으로 계승할 수 있어야 진정한 무형문화유산의 전승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 문화와의 소통과 융합을 통해 ‘살아있는 무형문화유산’으로 역사적인 창조와 발전을 거듭해나가야 한다. 무형문화유산 기·예능보유자와 단체는 물론 관련된 모든 이들이 문화 역량과 문화 창조력을 모아 문화적 긍지와 문화적 명예를 존중하는 표상이 되어야 함은 물론 국가와 사회의 문화적 원천이 되어야 한다. 가장 바람직한 무형문화유산의 보전 방향은 정확한 전승과 보급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발전적이고 현실적인 새로운 작품 창작과 확산이 지속되어야 하며, 끊임없는 연구 활동의 축적으로 해당 무형문화유산의 생명력을 강화해 나가는 데 있다. 보호와 전승의 유기적인 상호보완이 발전의 원동력이 되면서 무형문화유산의 생명력은 영원한 문화적 가치를 획득하고 빛을 발하게 될 것이다.

      • 채용경로와 보상만족도에 따른 조직몰입도 차이 연구

        김광희 誠信女子大學校 人力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1990년대 후반 우리나라가 경험한 IMF 경제위기를 전후하여 국내 기업의 경영방식은 상당히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기업 지배구조의 개선, 핵심 역량에의 집중 등 기존의 경영방식과는 모든 면에서 비교되는 상당히 빠른 속도의 변화를 현재까지도 진행중에 있다. 그 중에는 기업의 채용방식 역시 포함되어 있다. 학교를 갓 졸업한 신입 사원들을 대량으로 채용하여 사회진출 초기부터 그 기업의 문화와 경영방식을 주입하며 인재를 양성해 오던 내부 노동시장 중심의 인력운영에서 이제는 필요한 인력을 수시로 외부에서 경력사원으로 충원하는 외부 노동 시장 중심의 인력운영으로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채용방식의 변화는 IMF 기간동안의 인력부문의 양적인 구조조정과 맞물려 기업 구성원들의 조직몰입을 상당히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평생직장, 평생고용이라는 암묵적인 계약이 일방적으로 파기되는 상황하에서 기업 구성원들은 자신이 사회진출 후 처음 몸 담고 상장해왔던 현재의 기업이 더 이상 시혜적으로 자신의 고용과 성장을 보장하여 주지 않는다는 사실과 외부에 형성되기 시작한 노동시장의 확대에 따라 예전만큼의 헌신적 충성이나 조직몰입을 나타내지 않게 변화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최근의 인원 구조조정과 채용방식의 변화에 따라 조직몰입도의 약화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과연 경력채용 출신사원들의 조직몰입도가 신입채용 출신사원들에 비하여 차이가 있는지를 국내 C社의 실증사례를 통하여 살펴보고 또한 그 과정에서 구성원들의 조직몰입도를 확보할 수 있는 시사점 등에 대하여 논의를 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한 바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Ⅰ. 신입채용출신의 구성원이 경력채용출신의 구성원보다 보상만족도(물질적, 절차적, 상징적)가 높게 나타날 것이다. 에 대한 검증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가설 Ⅱ. 신입채용출신의 구성원이 경력채용출신의 구성원보다 조직몰입도(명목적, 수익적)가 높게 나타날 것이다. 에 대한 검증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실증연구 결과는 C社가 조직문화적인 강점과 경영진의 리더쉽이 강하게 발휘되면서 조직유인력이 강하여 경력채용 출신사원들의 조직동화가 빠르며, 보상 및 제반 관리시스템 상에서 신입채용 출신과 경력채용 출신의 구성원들 사이에 인지되고 있는 차별적 처우가 거의 존재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에 대하여는 향후 다른 기업의 사례나 C社의 조직문화 등에 대한 좀 더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하여 보완될 수 있겠으나, C社의 조직문화와 내부적인 특성에 대한 자료분석과 관련자 인터뷰 등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번째는, C社는 열린 기업문화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자율복장제, '님'자 호칭, Flexible Time제 등의 도입이 국내 대기업 중에서는 가장 빨랐다는 점은 이러한 사실을 강하게 뒷받침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제도적인 조직문화뿐만 아니라 조직내 정실주의이나 연고주의 등이 거의 없이 능력과 역량에 따라 인재를 해치하고 처우하며 육성시키고 있다는 점은 대부분의 내부 구성원이 공감하고 있는 사실이다. 두번째는, 합리적이고 공정한 인사관리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구성원의 평가와 보상시스템의 운영에 있어 8, 90년대 이미 MBO식 평가보상체계를 운영하여 왔고, 90년대 말에는 이러한 평가보상 체계를 외부 컨설팅사와의 1년여에 걸친 Project 등을 통하여 좀더 Global Standard에 맞는 모습으로 지속적으로 보완, 발전시키고 있는 점들이 내부 구성원들로부터 평가의 납득성, 보상의 공정성 등을 제고시키는 데 많은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가설 Ⅲ. 물질적 보상만족도, 절차적 보상만족도, 상징적 보상만족도는 명목적 조직몰입 및 수익적 조직몰입과의 영향정도에서 차이를 보일 것이다. 에 대한 검증결과 명목적 조직몰입은 상징적 보상만족도, 물질적 보상만족도, 절차적 보상만족도의 순서로 강한 영향을 받으며, 수익적 조직몰입은 절차적 보상만족도, 물질적 보상만족도, 상징적 보상만족도의 순서로 강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연구 결과의 시사점으로는 통상적인 인식으로는 수익적 조직 몰입에는 물질적 보상이 가장 중요한 결정요인이라고 할 수 있으나, 실증연구의 결과로는 물질적 보상의 수준보다는 분배절차상의 공정성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즉, 보상을 통한 조직몰입도 제고를 위하여는 보상의 수준보다는 보상 분배절차의 공정성 확보에 더 많은 고민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가설 Ⅳ. 채용경로에 따라 보상만족도(물질적, 절차적, 상징적)와 조직몰입도(명목적, 수익적)의 관계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에 대한 검증결과 절차적 보상만족도와 명목적 조직몰입도의 관계에서 채용경로의 조절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신입채용 출신사원과 경력출신 사원간에 보상제도의 진행 절차에 대한 이해도가 다소 차이가 나며, 이러한 이해도의 차이가 명목적 조직몰입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이 된다. 즉, 경력출신 사원들에 대한 제반 제도 및 조직에 대한 더 많은 정보가 제공되어져야 함을 짐작할 수 있는 결과이다. 가설 Ⅴ.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라 보상만족도(물질적, 절차적, 상징적)와 조직몰입도(명목적, 수익적)의 관계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에 대한 검증결과 직급에 따라서는 조직의 상징적 보상만족도가, 성별과 학력수준에 따라서는 조직의 절차적 보상만족도가 차이가 나며 이러한 만족도의 차이는 수익적 조직몰입도 수준에는 영향이 없으나, 명목적 조직몰입도 수준에는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몰입도 제고를 위해서는 구성원 전체에 대한 일률적인 보상방안의 시행보다는 구성원 계층에 따라 취약한 부분을 명확히 파악하고 그 취약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한 차별화 된 보상방안을 수립하여 시행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임을 시사하고 있다. 이상 본 연구의 결과는 조직 몰입도의 결정요인으로 채용경로가 예상되었던 만큼의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오히려 그 조직이 가지고 있는 문화적인 특징, 인사관리 시스템상의 공정성 등이 조직몰입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며, 그러한 영향은 비단 경력채용 출신사원 뿐만 아니라 학교를 갓 졸업하고 그 조직에 처음으로 입사한 신입채용 출신사원들에 대하여도 동일한 것이다. 조직의 문화적 특성과 인사관리 시스템의 보완 등을 통하여 채용경로가 상이한 구성원의 인지적 불평등감을 얼마든지 해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강한 기업문화의 구축과 공정한 인사관리 시스템의 구축이 구성원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핵심적인 요인이라는 기존의 인사관리 부문의 연구결과를 강력히 지지하며, 조직몰입도 등의 저하를 이유로 경력채용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기업들에 대하여는 귀중한 시사점을 주는 연구결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Since Korea experienced the IMF economic crisis in the late 1990s, management methods of Korean companies have been rapidly changing. Corporate governance and focusing on core competencies are among the list of management methods, which are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change at a rapid pace. The corporations employment method is also one of the changes. Gone is the personnel management system centered on internal labor market after employing a large number of fresh graduates from college and infusing the companys culture and management methods from early on. Now we see a rapid pace of change and personnel management of external labor market by recruiting employees with career records from outside the company whenever necessary is becoming more common. This change of employment method together with quantitative restructuring in personnel during the IMF period is pointed out as a key factor of severe weakening of the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Unilaterally taken away of the unspoken contract of lifetime job and lifetime employment, the employees are changing to not showing self-sacrificing loyalty or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before because they can no longer expect their companies at which they started their social life and built a career to guarantee their employment and growth. As discussions are heating up with the weakening of worker commitment to employer, this study will take a look at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t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between new employees and employees with career records with an actual case of Korean company C and discuss issues such as a way to secure employees commitment to organization.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 verified hypothes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Hypothesis Ⅰ. The new employees have higher satisfaction levels than employees with career records in material compensation, procedural compensation and symbolic compensation. But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verification result. Hypothesis Ⅱ. Those who were employed as new employees will have a higher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those hired with career records.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verification result. Hypothesis Ⅲ.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procedural and symbolic compensations and nomi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and beneficiary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there will be differences depending on a employment channel.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These verified results show that in company C, there are strong organizational incentives manifested by top management leadership, and no unfair treatment in compensation and other management system for employees with records in other companies. These results can be supplemented later by cases of other companies and deeper study into company C's corporate culture, but we can earn following suggestions from data analysis and interviews with those involved about company Cs corporate culture and internal characteristics. First, company C keeps open-minded corporate culture. The fact that C-companys introduction of flexible dress code, mutually respectful designations and flexible time system was the first among big Korean corporations strongly supports the claim. Also most of the employees sympathize that there is no support for favoritism and personal connections within the company and personnel are arranged, treated and trained according to their abilities and competencies. Second, there is a reasonable and fair personnel management system. In management of employees evaluation and compensation system, the MBO-style evaluation and compensation system has been operated even from the 1980s and 1990s, and in the late 1990s this kind of compensation system went through 1-year project with an outside consulting firm and was developed more suitably for the Global Standard, contributing to a higher understanding of evaluation and compensations by employees. Hypothesis Ⅳ. Material, procedural and symbolic compensations will show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evel of influences of nomi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rofitable organizational commitment. Verified, nomi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more strongly influenced by in order of symbolic, material and procedural compensations, while profitable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more strongly influenced by in order of procedural, material and symbolic compensations. This verified study result suggests that usually in profitable organizational commitment, material compensation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decisive factor but in fact the fairness of procedural compensation is more important than a level of material compensation. In other words, in order to strengthen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compensation, more efforts should go to the obtaining the fairness of compensation allotment procedure, not the level of compensation. Hypothesis Ⅴ. In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 procedural and symbolic compensations and nominal and profitabl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 will be differences depending on demographic variables. Verified, only the group of employees with work experience of 4 to 7 years showed a specifically low level of satisfaction in procedural and material compensation compared to other groups. The abov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employment channel does not influence as a decisive factor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contrary, the organizations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fairness of human resource system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more and the influences apply as much to the new personnel employed fresh out of college as to the newly employed experienced personnel. It is possible to solve employees cognitive sense of unfairness of different employment channels through organizations cultural characteristic and supplement of personnel management system. In conclusion, this study supports established studies of personnel management in that the establishment of strong corporate culture and fair personnel management system is a key factor in bringing out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improvement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study also suggests an important issue to the companies who do not activate the employment of experience personnel for reasons such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 서울지역 중학생의 학교급식위생 및 영양에 관한 인식도 조사

        김광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ent study have investigated the middle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sanitation and nutrition for the school food service in Seoul, Korea. Their knowledge, practice, and education experience of sanitation and nutrition for the school food service were surveyed for effective management of sanitation and nutrition of school food service for students. 1. 52.9% of the participants were females. 52% of the participants’ mothers were housewives. The participants with housewife moth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their food behavior (3.56±0.32) than ones with working mothers(2.78±0.49). 2. 87.2% of the participants have received nutrition education. More than half of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nutrition education was necessary. 84.8% of the respondents was educated by the handout or bulletin boards for nutrition information. However, they want that variety of education methods are to be developed. 3. There was an increase concerns in health and sanitation as increase of participants’ ages. The subjects of nutrition education varied among the gender. Male participants preferred to ‘relation of diet and health’, while female participants preferred to ‘eating habits’, ‘healthy diet’, ‘cooking’ and ‘healthy choice in restaurant’. 4. The participants with sanitation education excelled in the knowledge of sanitation score opposed to the students without sanitation education. Regarding to the practice of sanitation, the following questions receiv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the students with sanitation education; ‘hand sanitation after bathroom usage’, ‘types of drinking water consumed’, and ‘bookbag's sanitation’, ‘use food cap, gloves, masks on serving’, ‘use only food utensils on serving’, ‘wash your hands before serving’ Thus,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improvement of sanitation's knowledge and practice.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listed above,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found the need for further development in sanitation and nutrition education. The current school meal system has improved with the adoption of HACCP and sanitary checklists. However, student's knowledge of sanitation does not agree to their practice. A nutrition teacher must have a knowledge for the nutrition and sanitation education in order to prevent food related illnesses in school food service. Furthermore, the education should be pitched to the students with informative, yet fun approach to heighten their interest. Therefore, variety of education materials and methods about sanitation must be developed and advertised effectively. Sanitation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ll not only enhance their knowledge, but the students will be able to practice their knowledge in their daily lives.

      • EM 알고리즘을 이용한 집단 약동·약력학 모형 추정방법에 대한 고찰

        김광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집단 약동/약력학의 기본 개념을 정리하고, 약동/약력학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소프트웨어인 NONMEM에서 제공하고 있는 추정방법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EM 알고리즘을 이용한 방법들인 ITS, IMP, IMPMAP, SAEM 방법의 성능을 자세히 살펴보고, 기존의 선형근사를 이용한 FO, FOCE 등의 방법에 비하여 추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정확한 추정치를 계산해주는 ITS 방법을 이용하여 초기치를 구한 후, 이를 IMP, IMPMAP, SAEM 등의 방법에 대한 초기치로 이용하여 좀 더 정확한 추정치를 짧은 시간에 계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bout the fundamental concepts of population pharmacokinetics and pharmacodynamics. In this study, we analyzed and compared the estimation methods provided by NONMEM, which is most widely used software in the pharmacometric area. Especially, this paper closely looked into ITS, IMP, IMPMAP and SAEM method based on EM algorithm, and figured out that they took more running time than FO, FOCE and etc. method based on the formal linear approximation method in estimating model. To improve this speed problem, we suggest to calculate initial values first by using ITS method that shows precise estimation values in a relatively short time. After than, use these values as initial values in EM based estimation methods. This approach gives us more exact estimation values within short time in calculation.

      • 인터넷쇼핑몰 서비스품질이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신뢰와 고객만족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김광희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논 문 개 요 급속하게 성장한 인터넷은 전 세계에 걸쳐 광범위한 연결성과 정보공유의 용이성 등으로 인해 소비자에게 제품과 서비스를 판매하는 주요한 유통경로가 되고 있다. 가속화되고 있는 정보통신 혁명은 산업혁명에 비유 할 만큼 인류의 삶의 형태를 획기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그와 동시에 인터넷은 국가차원에서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기간산업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개인 차원에서의 정보화, 지식화 사회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필수 불가결한 수용매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인터넷쇼핑몰 사업체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고 치열해지는 경쟁을 고려해 볼 때, 고객에게 더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생존할 수 있는 길이다. 기업은 고객과 기업간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고객들이 어떤 인터넷쇼핑몰 서비스에 관심이 있는지 알아야만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모색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고객만족에 영향이 있는 인터넷쇼핑몰 서비스 품질에 대한 요인들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e-서비스품질의 향상은 고객유지, 방문자 수 증가, 고객 충성도, 구전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고 전자상거래에 있어 온라인 경쟁우위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전자상거래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논의는 아직 초기 단계이다. 인터넷쇼핑몰의 서비스품질에 관한 기존연구는 SERVQUAL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e-비즈니스의 영역이 확대되면서 전자상거래 서비스 품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나, SERVQUAL을 전통적인 서비스업과는 다른 특성을 가진 전자상거래 서비스에 적용하기에는 있어 문제가 있고 온라인 서비스 환경에 맞게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제시된 온라인 서비스품질 모델을 바탕으로 하여 인터넷쇼핑몰의 서비스품질이 신뢰와 고객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인터넷쇼핑몰의 서비스품질에 대한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신뢰와 고객만족의 매개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한 후, 인터넷쇼핑몰을 통해 구매 경험이 있는 205명을 대상으로 연구문제에 해당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2.0K for Windows를 통해 연구모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품질의 반응성과 유형성은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품다양성과 가격공정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불편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고객들은 문의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제공받기를 원한다. 또한 인터넷쇼핑몰에서 가격과 상품 다양성을 요구하지 않고 오프라인처럼 제품이 고객의 마음에 들면 가격을 구애 받지 않고 구매를 한다는 설문조사를 통해 나타났다. 따라서 부분채택 되었다. 둘째, 인터넷쇼핑몰의 서비스품질(반응성, 유형성, 상품다양성, 가격공정성) 모두 고객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온라인 판매자들은 소비자들의 재구매를 높이기 위해 높은 서비스품질을 통한 고객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특히, 반응성, 유형성, 상품다양성, 가격공정성 순으로 고객만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터넷쇼핑몰을 이용하는 고객에게 필요한 정보와 서비스를 신속하게 제공하고, 인터넷쇼핑몰 관리자가 온라인 환경에서 상품을 표현하는 디자인, 검색, 탐색, 정보 등 고객이 쉽게 사용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고객이 구매 할 수 있는 상품의 종류가 다양하고 새로운 상품이 자주 업데이트 되고, 제공하는 상품의 가격과 배송비용이 적절한 정도가 되면 고객만족은 인터넷쇼핑에 만족을 느끼며 즐길 것이다. 따라서 모두 채택되었다. 셋째, 인터넷쇼핑몰에서 구매자의 신뢰와 고객만족은 재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객만족이 신뢰에 비해 재구매의도에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터넷쇼핑몰의 재구매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구매자의 신뢰와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모두 채택되었다. 넷째, 인터넷쇼핑몰에서 신뢰와 고객만족은 서비스품질과 재구매의도 간의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쇼핑몰에서의 서비스품질 중 반응성과 유형성은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을 통해 신뢰는 인터넷쇼핑몰에서 서비스품질 중 반응성, 유형성과 재구매의도간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부분채택 되었다. 그리고 인터넷쇼핑몰의 서비스품질 모두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문헌연구를 통해 인터넷쇼핑몰의 서비스품질이 신뢰와 고객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실증연구를 통해 서비스품질요인 중 반응성과 유형성 요인만이 인터넷쇼핑몰에 대한 신뢰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터넷쇼핑몰에 대한 고객만족에는 서비스품질 요인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신뢰와 고객만족은 인터넷쇼핑몰 서비스품질과 재구매의도간에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인터넷쇼핑몰 기업들의 사이트를 운영에 필요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 미용관련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가치관 연구

        김광희 성결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difference in beauty high school students' inherent and extrinsic career values between when they just started their high school life and when they are about to be graduated so that educators may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a basic reference to do career counseling and develop more systematic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s. To achieve this purpose, I set the following subjects for this study. First, what kind of inherent career values do beauty high school students have? Second, what kind of extrinsic career values do beauty high school students have? The objects of this study is 334 students enrolled in certified beauty high schools located in the capital area. I carried out a survey of them and then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and χ² test for the statistical treatment of the survey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first result is about inherent career values of the students. 71.8% of them answered that they will study beauty more in a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 while a significant number of the others who answered that they will get a job(50.5%) because of their family reasons. 75% of the students were worried about their future career, and 89.8% of them recognized their interests and aptitudes. They answered that the biggest reasons of getting a job are 'money(38%)' and 'to show their talents and abilities to others(32.8%)' and that the most important career values are 'self-realization(28.3%)’ and 'financial richness(23.7%)’. They answered that the most important values of life are 'physical and mental health(38%)’, ‘good personality and community service(22.6%)’ and that the most important occupational goal is 'to live their own life according to their philosophy of life(37.6%)’. A majority of them answered that they will change their job if it is not right for them(58.7%). A significant number of graduating seniors who changed their job preference answered that the change is because 'it is not right for them(56.3%)’. They also replied that they are certain of their success in their career(48.1%)’. The first result is about extrinsic career values of the students. A lot of them chose their high school 'by themselves(44%)’. The most important reasons of satisfaction with their school life is their 'aptitude(45.9%)' and 'future potential(27.9%)', while the reason of dissatisfaction is because of 'not right for them(38.7%)'. Most of their parents hoped that their children will go to 2-year or 4-year college after graduation(77.1%), and the students also replied that they will need a diploma of at least a 2-year college(73.3%). The result showed that the social recognition of beauty high schools is low(28.7%), while the future of beauty-related jobs is promising(66.4%). However, a lot of students think that 'there are high or low jobs(46.2%)'. The most influential source in choosing a job is 'broadcast media(29.6%)', while the influence of their 'class teacher' is very low(8.5%). They replied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s for success are 'money(38.9%) and 'aptitude and ability(33.8%)'. The third result is about general matters. Most of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y go to beauty high school because of their 'aptitude and interest(81.7%)'. A lot of them chose their future career when they are 'middle school seniors(56%)', and most of them are satisfied with the school they have chosen(84.1%). The most preferred subjects are 'hair design(41.6%)', 'makeup(32%)' and 'skin care(22%)', and the most preferred future careers are 'hair designer(43.9%)', 'makeup artist(23.5%)' and 'esthetician(18.9%)'. 본 연구는 미용관련 고등학교에 진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입학과 졸업직전의 진로가치관의 내재적 가치와 외형적 가치를 비교분석하여 학생들의 바람직한 진로를 위한 방안 모색과 체계적인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미용관련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가치관의 내재적 가치는 어떠한가? 둘째, 미용관련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가치관의 외형적 가치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수도권 학력인정 미용관련 고등학교 학생 334명을 설문조사하여 빈도분석(%)과 χ² 검정으로 통계처리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가치관의 내재적 가치를 살펴보면, 71.8%의 학생들이 미용관련 전공으로 진학을 하겠다고 했으며, 진학을 하지 않겠다는 학생은 가정형편상 취업(50.5%)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자신의 장래 직업문제에 대해 75%의 학생들이 고민을 하고 있으며, 89.8%의 학생들이 자신의 흥미나 적성에 대해 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직업을 갖는 이유는 ‘돈(38%)’, ‘자신의 소질과 능력발휘(32.8%)’ 순으로 나타났으며, 본인의 진로가치관은 직업 활동을 통해 ‘자아실현(28.3%)’, ‘경제적인 보수취득(23.7%)’ 순으로 나타났다. 인생의 가치관은 ‘심신의 건강(38%)’, ‘훌륭한 인격과 사회봉사(22.6%)’ 순이었고, 미래 직업관은 ‘내 나름대로의 인생관을 갖고 떳떳하게 사는 사람(37.6%)’으로 나타났다. 선택한 직업이 적성에 맞지 않으면 당연히 바꾸어야 한다(58.7%)고 하였고, 3학년 학생 중 희망분야가 변경된 학생은 ‘적성에 맞지 않기 때문(56.3%)’이며, 졸업 후 직장생활에 ‘자신 있다(48.1%)’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진로가치관의 외형적 가치를 살펴보면, 고등학교는 ‘본인스스로(44%)’ 진로를 선택하였고, 고등학교 재학의 만족이유는 ‘적성(45.9%)’, ‘장래성(27.9%)’ 순이었으며, 불만족이유는 ‘적성에 맞지 않아서(38.7%)’로 나타났다. 부모님은 자녀가 고등학교 졸업 후 2년제 또는 4년제 대학(교)으로 진학(77.1%)하기를 희망하였고, 학생들도 2년제 대학 이상의 학력이 필요하다(73.3%)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미용관련고등학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낮게(28.7%) 나타났으나 미용관련 직업에 대한 향후 전망은 좋다(66.4%)로 나타났으며, 직업에 ‘귀천이 있다(46.2%)’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직업 선택의 영향력은 ‘방송매체(29.6%)’의 응답이 높은 반면, ‘담임선생님(8.5%)’은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인생의 성공요인은 ‘돈(38.9%)’, ‘적성과 능력(33.8%)’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적 사항의 경우, 고등학교를 진학한 이유는 미용에 ‘적성과 관심(81.7%)’이 있어서, 진로결정은 ‘중학교 3학년(56%)’때 이루어졌으며, 선택한 학교에 대하여는 높은 만족도(84.1%)를 보였다. 미용과목 중 관심 있는 과목은 ‘헤어(41.6%)’, ‘메이크업(32%)’, ‘피부미용(22%)’ 순이고, 희망분야는 ‘헤어디자이너(43.9%)’, ‘메이크업아티스트(23.5%)’, ‘피부관리사(18.9%)’ 순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