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Numerical Studies of Heat Transfer Enhancement by Flow Control In a Wavy Fin Heat Exchanger

        김건우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Heat transfer enhancement by cross-cut induced flow control in wavy fin heat exchanger was studied numerically. The concept of cross-cut is cutting fi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w direction. Two-dimensional five-waved wavy fin with corrugation angle of 20° was used as the geometry for simulation. The cross cut was applied in the 3rd wave only in the simulation. The simulation was performed using non dimensional governing equations with a steady laminar flow rate in the range 100≤ Re ≤400. A parametric study was used to find the optimum position and length of the cross cut in the wavy fi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ptimized cross-cut wavy fin heat transfer performance was enhanced by a maximum of 23.8% greater than a typical wavy fin. The pressure drop also increased by a maximum 7.04% in optimized case, not as much as the heat transfer enhancement. Generally, the cross-cut applied plain fin had enhanced heat transfer because of the thermal boundary disturbance and block of longitudinal heat transfer. In the case of the wavy fin, additional heat transfer enhancement can be found because the cross-cut induced flow control makes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fluid at the middle of flow attach to the fin wall after the cross-cut region. 크로스 컷 유동 제어를 통한 웨이비 핀 열교환기의 열전달 성능 향상 평가를 수치해석 연구 방법을 통해 진행하였다. 크로스-컷이란 핀을 유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잘라내는 기술이다. 주름 각 20°, 5 개의 웨이브를 가지는 2차원 웨이비 핀을 사용하여 해석을 진행하였다. 크로스 컷은 3번째 웨이브에 1회 적용되었다. 해석에 사용된 모든 보존 방정식은 무차원화 하였다. 유동 영역은 정상 층류 영역인 100≤Re≤400으로 고정하였다. 크로스 컷 최적 적용 위치와 길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매개 변수 연구를 진행하였다. 해석 결과 최적 설계된 크로스 컷 웨이비 핀의 경우 열전달 성능이 일반 웨이비 핀보다 최대 23.8% 향상되었다. 압력 강하도 7.04% 증가하였으나 열전달 성능 향상에 비해 크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크로스 컷을 적용한 일반 핀의 경우 열 경계층 교란과 길이방향 열전달 차단 효과로 인해 열전달 성능이 향상된다고 보고되었다. 이를 웨이비 핀에 적용할 경우, 크로스 컷이 유동 중앙에서 흐르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유동을 핀에 근접하게 붙어 흐르게 하는 유동 제어를 가능하게 하여 추가적인 열전달 향상 효과가 나타나 성능 향상이 극대화된다.

      • 무인기용 터보프롭 엔진의 GUI기반 온라인 상태감시 및 진단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김건우 조선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Recently, an aero gas turbine health monitoring system has been developed for precaution and maintenance action against faults or performance degradations of the advanced propulsion system which occurs in severe environments such as high altitude, foreign object damage particles, hot and heavy rain and snowy atmospheric conditions. However to establish this health monitoring system, the on-line condition monitoring program is firstly required, and the program must monitor the engine performance trend through comparison between measured engine performance data and base performance results calculated by base engine performance model. This work aims to develop a GUI type on-line condition monitoring program for the PT6A-67 turboprop engine of a high altitude and long endurance operation UAV using LabVIEW. The base engine performance of the on-line condition monitoring program is simulated using component maps inversely generated from the limited performance deck data provided by engine manufacturer. The base engine performance simulation program is evaluated because analysis results by this program agree well with the performance deck data. The proposed on-line condition program can monitor the real engine performance as well as the trend through precise comparison between clean engine performance results calculated by the base performance simulation program and measured engine performance signals. In the development phase of this monitoring system, a signal generation module is proposed to evaluate the proposed on-line monitoring system. For user friendly purpose, all monitoring program are coded by LabVIEW, and monitoring examples are demonstrated using the proposed GUI type on-condition monitoring program.

      •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고려 건국과 통치 체제 정비 과정의 서술내용 분석

        김건우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9 개정 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의 고려 건국과 통치 체제 정비 과정의 서술내용 분석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in 2009 An Analysis of Establishment of Goryeo Dynasty and Oranizing Process of Its Government Written in High School Textbook 『Korean History』 역사교육전공 김 건 우 지 도 교 수 김 광 철 교과서는 역사 지식을 학습함에 있어 일종의 권위 있는 지침서라고 인식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교과서의 위상이 다양한 학습 자료 가운데 하나임을 두루 알고 있기 때문이다. 비록 그렇다하더라도 한국사교과서는 한국사학계의 연구 성과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정확하게 기술되지 않으면 안 된다고 본다. 또한 교과서는 교육과정에 명시된 집필기준안에 따라 서술되어야 하며, 본문의 내용 또한 학습자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전후 배경이 분명하게 서술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이 글에서는 고려전기로 시기를 한정하여, 새 교과서가 우리 학계의 고려전기 고려의 건국과 통치체제의 정비에 대한 일련의 연구 성과를 어떻게, 어느 정도 올바르게 반영하고 있으며, 아울러 교과서가 2009개정 교육과정의 집필기준안에 따라 서술되고 있는지, 그리고 교과서의 본문 내용이 사건의 전후 배경을 충분히 설명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본 결과 대체적으로 교과서들은 학계의 견해를 충분히 반영해 서술되고는 있지만 집필기준안에 따라 서술하는 교과서는 그리 많지 않았으며, 본문 서술 또한 사건의 전후 배경이 분명하게 서술되지 않고 있었다. 예컨대 본 주제와 관련 2009개정 교육과정의 집필기준안은 고려의 건국과 후삼국 통일, 통치체제의 정비과정을 동아시아의 정세 변화와 관련지어 파악하도록 되어 있지만 대부분의 교과서가 집필기준안에 적합한 내용은 아니었다. 본문 내용 또한 원인과 결과를 분명하게 서술되지 않고 있다. 먼저 고려 건국기, 왕건의 출신배경과 호족의 역할에 대해 연관성 있게 서술하는 교과서는 찾아볼 수 없었다. 그리고 광종과 성종의 집권화 정책을 서술 내용을 검토 했을 때도 정책을 시행하는 배경이 생략되어 있고 결과론적 서술로 일관되고 있었다. 아울러 고려의 지방제도에 관한 본문 내용에서도 삼화 교과서를 제외한 모든 교과서가 속현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밝히지 않고 있다. 교과서는 한국사학계의 견해를 충분히 반영하면서 교육과정에 명시된 집필기준안에 따라 고려시대를 세계사의 맥락 속에서 심층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그리고 본문 내용이 좀 더 구체적으로 역사적 사건의 전후 배경이 분명해야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보다 확장된 시각으로 고려 건국과 발전 과정을 조망함으로써 효과적인 역사 학습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 2009 개정 교육과정, 역사교육, 한국사교과서, 고려

      • 고등학교 초급학습자의 영어문법지식 향상을 위한 웹 기반 학습 연구

        김건우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영어 문법교육의 취약점을 알아보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서 웹 기반 문법학습을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한 결과를 분석 및 평가함으로써 바람직하고 효과적인 영어 문법학습 방안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기초 수준의 영어학습자에 도움이 되는 영어 문법 교육 자료를 제작하는데 이론적 기반으로 삼기 위해, 기존의 인쇄매체를 통한 자료 제시 및 지도 후의 학습결과와 웹 기반 학습 자료를 사용한 수업지도 후의 학습결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학습 자료 형태를 제안하기 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관련된 연구 문제는 첫째, 학습 집단 간의 기초 문법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연구 시행 전의 문법능력에 비하여 시행 후의 문법지식이 향상되었는가? 셋째, 연구 시행 후 웹 기반 학습 집단, 인쇄매체 기반 학습 집단, 통합매체 학습 집단 사이의 문법능력에 집단 간 차이가 존재하는가? 로 정리할 수 있다. 영어의 be동사, 부정사, 동명사 등의 문법 내용과 관련하여 제작한 웹 기반 학습자료를 제시한 실험집단과 인쇄매체 기반 학습자료를 제시한 통제집단, 그리고 통합 매체 학습자료를 제시한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2009년 3월부터 5월에 걸쳐 진행된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우선, 연구 시행 전의 각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드러나는 문법능력상의 차이가 없었다. 다음으로, 모든 집단의 연구 시행 후의 문법능력은 시행 전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학습매체의 형태에 따라 집단 간 문법능력은 차이를 보였으며, 웹 기반 학습자료로 수업을 진행한 집단이 가장 높은 성취수준을 나타내었다. 또한 설문조사 결과 분석 결과에서도 웹 기반 학습자료를 사용한 집단의 학습 만족도가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중․하위 수준의 영어 학습자에게는 자기주도적 학습을 할 수 있고 흥미 있는 학습자료 제시에 유리한 웹 기반 학습자료를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이를 문법학습에도 유의미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추후 보다 높은 수준의 영어 학습자 및 다른 문법 내용을 대상으로 한 추가 연구 결과에 따라 웹 기반 영어문법학습의 효과가 보다 확실히 인정될 수 있을 것이다.

      • 멘토의 자아효능감과 지원에 대한 인식이 멘토의 몰입에 미치는 영향

        김건우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공식적 멘토링 관계에서 멘토도 멘티와 공동 학습자이며, 멘토의 자아효능감과 몰입이 공식적 멘토링의 핵심성공요인이라는 인식에서 출발하여, 멘토의 자아효능감과 몰입의 인과요인간의 관계를 설정하고, 조직의 지원을 조절요인으로 설정해서 실증적인 자료를 통해, 인과요인들간의 직, 간접적인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공식적 멘토링에서 멘토의 자아효능감은 멘토의 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효능감의 구성요소인 과제난이도와 조직지원인식의 주효과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 상호작용효과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멘토의 자아효능감과 지원에 대한 인식이 멘토의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요인은 자아효능감의 구성요소인 과제난이도와 지원에 대한 인식의 구성요소인 조직지원에 대한 인식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멘토의 관점에서 환경적 요인인 지원에 대한 인식을 조명하고, 멘토 개인의 동기적 특성과 멘토의 몰입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동북아시아 평화공동체 구축과 한국의 교량국가론

        김건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동북아시아 지역에 평화공동체 형성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한국의 교량적 역할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이러한 평화공동체가 실현되기 위해 한국이 수행 가능한 혹은 수행해야 할 과제들을 짚어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평화, 평화공동체, 교량국가 등의 개념을 정의하고, 교량국가로서의 한국이 경제적, 외교적, 안보적, 인식적 분야에 있어 각각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하는지 살펴볼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동북아시아 평화공동체의 구상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동북아 평화공동체 구축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조건들을 확인하고, 그 중에서 기능적 장치인 한국의 교량적 역할이란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어떤 목표들을 정하여 어떤 전략들을 구사해야하는지 알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세계화라는 큰 흐름 속에 국제사회는 점차적으로 지역화 경향을 띄고 있다. 하지만 동북아시아는 역내 구성원들간의 문화적, 역사적,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이질성에서 비롯되는 불안전의 지속 (sustained insecurity), 대립과 불신의 역사적 기억 (historical memory of distrust and confrontation), 그리고 제도적 장치의 결여 (lack of institutional settings)라는 문제점들을 안고 있는 만큼 이러한 지역화 흐름에 합류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동북아시아 구성원들의 신뢰를 회복하고 경제뿐만이 아닌 모든 방면에서 교류 및 협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촉진자 역할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다.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 교량국가다. 교량국가란 지역 경제협력을 위한 경제적 허브역할, 역내 국가들간의 소통이 원활할 수 있도록, 그리고 불필요한 외교마찰의 방지와 분쟁발전 가능성이 있는 외교사안들을 해결할 수 있는 정직한 중재자 역할, 역내 안보협력구조의 구축을 위해 안보협력을 촉진시키는 역할, 그리고 지역적 인식 공유를 위한 인식 촉진자 역할을 자발적으로 수행하는 국가를 의미한다. 교량국가라는 매개체를 통해 궁극적으로 동북아시아에 구축되어야 하는 것이 평화공동체, 즉, 적극적인 평화와 구성적 공동체의 개념을 도입하고 관념의 공유를 통한 평화와 공동번영을 추구하는 공동체다.본 연구에서 분석수준은 연구목적과 분석대상을 고려하여 지역차원의 국제체제 수준으로 설정하고자 한다. 그리고 연구방법으로는 역사적 접근법과 사례중심적 접근법을 사용하고자 한다. 또한, 구성주의에 입각하여 지역 공동체를 형성하는 과정을 인식적인 차원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구조와 행위자간 상호관계와 규범 및 정체성과 같은 문화적 환경이 국제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는 이론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성주의적 해석에 입각한 공동체 형성 및 외교정책은 중진국(Middle Power) 외교정책에서도 사용되는 만큼 중진국 외교정책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살펴볼 것이다.이러한 작업을 통해 동북아시아에는 평화공동체를 구축하는데 있어 여러 장애요소가 내재되어 있지만 이를 극복할만한 충분한 잠재력을 지녔다는 결론을 내렸다. 하지만 동북아시아 역내 구성원들간의 다차원적인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평화공동체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한국이 경제, 외교, 안보, 인식 측면에서 적극적으로 교량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19세기 후반 독일이나, 1950년대부터 벨기에, 오늘날 네덜란드나 아일랜드와 같이 다차원적인 분야들에서 역내 국가들의 협력을 이끌어 낼 수 있으면 동북아시아 평화공동체의 구축도 충분히 현실화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strategy for building a Northeast Asian Peace Community(NAPC). It mainly focuses on the roles that South Korea can or must undertake in order to successfully establish a peace community in Northeast Asia. In order to achieve such objective, it first defines the terms peace, peace community, and bridge State. Than it investigates what South Korea can do as a bridge State in the economical, diplomatical, security and cognition spheres. Based on these terms it tries to provide a specific plan for constructing the NAPC. In other words,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search for diverse conditions that are necessary for building the NAPC and especially play close attention to the role of South Korea as a bridge State and its strategies for achieving such goal.With globalization being the general trend of international society, many regions are starting to form regional communities. However, Northeast Asia is having trouble joining such trend. This is because Northeast Asia is a region with a serious cultural, historical, political, economical, and social heterogeneity. Due to such differences, this region is confined to sustained insecurity, historical memory of distrust and confrontation, and lack of institutional settings.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the reliance among nations must be established and the interchange and cooperation among the nations must be recuperated. Such solution can be provided by a bridge State that can act as an accelerator in diverse spheres.A bridge State is a country that acts as an economical hub for active economical cooperation, as an honest mediator that avoids unnecessary conflicts, as an accelerator of security cooperation, and as an accelerator for a common cognizance among the nations within the region. Through the intermediation of a bridge State, Northeast Asia must try to establish a peace community, in other words, a community aiming for peace and co-prosperity while co-owning ideas.Considering the objective of the paper and the target of analysis, the level of analysis in this paper will be set to a regional dimension international system level. Moreover, it will be based on a historical and case-centered approach method. It will also try to explain the construction of a regional community from a cognizance level based on constructivism. This is because constructivism pays attention to the effects that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e and actors, and the cultural environments such as norms and identity have upon international relations. Constructivism is not only utilized to explain the formation of communities but also to explain the foreign policies of the Middle Powers. Therefore this paper will also explain briefly about the Middle Powers'''''''' foreign policies and its constructivist analysis in order to define a bridge State.Through the processes mentioned above, this paper concludes that although there are many hindrances for building the NAPC, it is quite possible to overcome those difficulties and that Northeast Asia has such potential. However, in order to overcome such difficulties and to build the NAPC, the members constituting Northeast Asia must be linked appropriately in the economical, diplomatic, security, and cognizance spheres by South Korea. Such role resembles the German foreign policy in the late 19th Century, Belgium foreign policy after the Second World War, and today''''''''s economic policies of Netherlands and Ireland. If South Korea is capable of undertaking these multi-dimensional bridging role, the construction of a NAPC can be realized.

      •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 내 유체의 유향, 유속, 유량의 동시 계측 방법

        김건우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simple method for simultaneous measurement of flow direction, velocity and flow rate of water in the pipe without change of buried pipe in soil. The ultrasonic measurement set up consiste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ultrasonic transducers with curved wedges, pulser/receiver, oscilloscope, piping system with water pump with flow-meter and computer. the curved wedge for mode conversion of ultrasonic wave generated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ultrasonic transducers were designed and fabricated in order to contact to the external surface of pipe. Two received ultrasonic wave signals were obtained from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water in the pipe, respectively. The difference of arrival time between two receiving ultrasonic wave signals at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water flow was presented. Considering the number of reflection of ultrasonic wave signal in the pipe, the correction factor to correct the difference between real values and measured values of flow rate and velocity was presented. As the results, the accurate measurement of flow rate and velocity of water in the pipe including flow direction was possible by using the difference of arrival times of ultrasonic wave and correction factor.

      • 가이드라인을 이용한 동적 손동작 인식시스템 구현

        김건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가이드라인을 이용하여 학습예제를 사용하지 않는 동적 손동작인식(Dynamic Hand Gesture Recognition)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동적 손동작 인식 시스템은 전처리모듈, 손추적모듈, 손모양검출모듈로 구성되어있다. 전처리모듈은 복잡한 환경에서 정확한 손의 모양을 찾기 위하여 피부색을 검출 하고, 피부색이 검출된 프레임으로부터 노이즈를 제거한다. 피부색검출은 조명 조건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피부색 검출 성능이 가장 좋은 YCbCr색상공간을 사용하였다. 손추적모듈은 전처리된 프레임에서 정확한 손 영역을 찾고, 손 영역의 무게중심점을 구하여 무게중심점의 이동을 추적한다. 손모양검출모듈은 동적 손동작 인식에서 사용될 손의 모양을 정적 손동작 인식(Static Hand Gesture Recognition) 방법을 이용하여 검출한다. 손모양검출모듈에서 검출된 세 가지 요소(Start Image, Stop Image, 손의 이동방향)를 조합하여 동적 손동작을 인식한다. PC(Personal Computer)에서 응용프로그램에 적용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기 위해 320*240 해상도를 가지는 130만화소 USB웹캠을 사용하였으며 복잡한 배경과 단순한 배경으로 구분 지어 9가지 동영상으로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가이드라인을 이용한 동적 손동작 인식 시스템이 기존 학습예제를 이용한 방법에 비해 약 5%의 속도 향상이 있었으며, 비슷한 인식률을 가지고 학습 예제 없이 손 동작 인식이 가능한 것을 확인 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Dynamic Hand Gesture Recognition method that needs not modeling, with guideline. Dynamic Hand Gesture Recognition system consists of Pre-processing Module, Hand Tracking Module and Hand Shape Detection Module. Pre-processing Module detects skin color for finding out exact hand shape on complex environment and removes noise from skin color detected frames. We use YCbCr color space that is best for skin color detection, because skin color detection reacts sensitively on lighting condition. Hand Tracking Module finds out exact hand area from pre-processing frames and calculates the center of gravity point of hand area. After then, it tracks mov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point. Hand Shape Detection Module detects hand shape, that will be used on Dynamic Hand Gesture Recognition, using Static hand Gesture Recognition method. Dynamic Hand Gesture Recognition method works with three elements (Start Image, Stop Image, Movement direction of hand) detected from Hand Shape Detection Module. We use USB webcam (1.3M pixels, 320*240 resolution) to verify applying to PC (Personal Computer) application and experiment nine movies that are complex background and simple background. Dynamic Hand Gesture Recognition system using guideline is 5% faster than existing modeling method and has recognition ratio as well as ratio of modeling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