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서인식의 명확성, 대인관계만족도 정서적 안녕감의 구조적 관계

        권지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에서는 정서의 처리과정인 정서인식의 명확성이 대인관계와 정서적 안녕감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서인식의 명확성이 대인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통해 정서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지를 구조적 모형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성인기 초기의 대학생으로 충청지역에 위치한 남녀 대학생 206명이었으며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정서인식의 명확성, 대인관계만족도, 정서적 안녕감척도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질문지였다. 연구결과, 정서인식의 명확성, 대인관계만족도와 정서적 안녕감은 모두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정서인식의 명확성은 대인관계만족도와 정서적 안녕감에 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대인관계만족도 역시 정서적 안녕감에 의미 있는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정서인식의 명확성이 정서적 안녕감에 대한 영향의 경우, 대인관계 만족도가 매개하는 부분매개모형을 검증하는데 있어서 적합도가 좋은 모델의 기준에 미치지 않았다. 때문에 이 연구의 모델은 적절하지 않은 모델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모델이 이론에 의해 추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적합도가 좋지 않은 결과의 원인을 추론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결과에 영향을 미칠만한 환경적 요인을 통제하지 못하였을 가능성이다. 둘째는 통계적으로 모형을 평가하는데 적절한 자료표집이 되지 못하였을 가능성이다. 마지막으로, 각 변인을 측정하는 척도가 모형을 설명하기위해 적절하지 못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In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find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clarity, which is one of emotional procedur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emotional well-being. Specifically, this study was tried to verify with structral model that emotional clarity affects emotional Well-being by mediator of interpersonal relations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6 university students of early adulthood in Chung Chong Do province, and research method, which is self-report type questionnaire consists of barometers of emotional clarity, interpersonal relations satisfaction and emotional Well-being was used. As a result,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motional clarity, interpersonal relations satisfaction and emotional satisfaction respectively. Emotional clarity statically affected both interpersonal relations satisfaction and emotional well-being, interpersonal relations satisfaction also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well-being. However, in case of emotional clarity's effect on emotional well-being, fidelity of verification that the partial mediation model of interpersonal relations satisfaction didn't meet the criteria of a suitable model, in case of emotional clarity's effect on emotional well-being. For this study, because the model is not suitable models can be evaluated. However, in case of emotional clarity's effect on emotional well-being, fidelity of verification that the partial mediation model of interpersonal relations satisfaction didn't meet the criteria of a suitable model. Therefore the model of this study is not suitable can be evaluated. Despite tha fact that the model of this study was deduced by theories, the results had poor fidelity. The causes of poor fidelit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possible not to control t environmental factors, which would affect results of this study. Second, data collection might be not adequate to evaluate statistically models. Finally, it is hard to exclude incongruent parameter in order to measure of each variable to describe the model.

      •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권지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미디어 리터러시를 구성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미디어 리터러시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현재 개발되어 있는 검사 도구들이 언론학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에, 국어교육에서 수용하여 교수·학습하고 있는 미디어 리터러시와는 거리가 있다. 미디어 리터러시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 실증적인 연구 또한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국어교육의 미디어 리터러시를 그 대상으로 삼아 인식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국어교육에서 접근하고 있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미디어 리터러시의 구성 요인을 탐색한 선행 연구의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를 위한 구겅과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 요인을 파악하였다. 초기 구성 요인은 크게 수용과 생산으로 나눌 수 있으며 수용에는 ‘특성 이해’, ‘비판적 이해’, ‘자기 조절’이 포함하며 생산에는 ‘자아 표현’, ‘사회적 의사소통’, ‘윤리 및 규범’을 포함한다. 개발된 검사 도구 초안은 국어교육 전문가들과 협의를 통하여 수정 보완하였다. 개발된 검사 도구는 총 39개 문항으로 된 자기보고식 설문지이며,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경기도의 B중학교 중학생 361명, 경상북도의 S고등학교 고등학생 357들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PASW와 WINSTEPS를 사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 문항 적합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문항의 신뢰도는 Cronbach α=.850으로 높은 수준의 신뢰도를 보였다. 요인 분석 결과, 2개의 요인이 각각 2개로 나뉘어, 총 여덟 개의 요인이 되었다. 문항의 경우 3개의 문항이 삭제되어, 36개의 문항이 남았다. 이 중 자기조절이라는 한 요인을 구성하고 있던 두 개의 문항은 WINSTEPS를 통한 문항적합도 분석에서 부적합하여 삭제되었다. 또한 Rasch 분석을 통해 척도의 반응 범주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능력 측정에 유의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차원성 검증을 통해 미디어 리터러시를 구성하고 있는 하위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이후 차별기능 문항 분석을 통해 그룹 간 차이를 나타내는 문항이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최종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검사 도구의 구성요인은 수용영역에 ‘특성 이해’, ‘비판적 이해’, ‘자료·정보의 활용’ 생산영역에 ‘자아 표현’, ‘사회적 의사소통’, ‘쓰기 윤리’, ‘언어생활 규범’으로 구성되었다. 최종 검사 도구는 32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국어교육학적인 측면에서 미디어 리터러시에 더욱 관심을 가지고, 미디어 리터러시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지도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기를 바란다.

      • Support Vector Machine을 활용한 만성질환자의 복약순응 분류 예측

        권지혜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Due to the importance of medication compli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this study performed secondary data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2017 Korea Health Panel Study to develop a classification model, using machine learning (ML) and support vector machines (SVMs), for identifying factors that influence and are related to drug compliance. Method: Of the 17,184 household members surveyed, 1,346 adults aged 18 years or older, who were receiving medical care for one or more chronic diseases including hypertension, diabetes, and hyperlipidemia,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ATA 15.1 program, while the predictive classification model for medication compliance was modelled using R version 4.0.4 and SVM, an ML model that is used for both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A logistic regression (LR) model was used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predictive model. Result: The SVM model identified age, number of chronic diseases, hypertension, stress, education level, and sex as factors that influenced medication compli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Conversely, the LR model identified restrictions to medical services, marital status, hypertension, depression, resolution of questions by doctors, and hyperlipidemia as the influential factors. Among the ML techniques used to construct the predictive model in this study, SVM demonstrated a lower level of performance than LR.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e need for identifying a potential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through a data normalization procedure b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input variable properties. It is also likely that the low specificity may have resulted from an unbalanced data set, leading to poor performance. Conclusion: Different from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it was evident in this study that mental or physical stress, restrictions to medical services, and resolution of questions by doctors wer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medication compliance in individuals with hypertension and hyperlipidemia, among other chronic diseases. Such findings indicate the need for additional research to identify yet-to-be-studied factors influencing medication compliance,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of strategies to practice and maintain medication compliance among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Furthermore, limitations in data must be overcome, and further research applying various ML techniques must comparatively analyze the suitability and accuracy of predictive classification models, based on the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for medication compliance among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Key words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medication compliance, machine learning, support vector machine, prediction model 본 연구는 만성질환자의 건강관리에 핵심 요소인 복약 순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머신러닝(Machine learning)기법인 Support Vector Machine 방법을 이용하여 분류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2017년 한국의료패널데이터를 이용한 이차 자료 분석 연구이다. 전체 조사 대상자 17,184명의 가구원 중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중 한가지 이상의 만성질환을 진단받아 의료기관을 이용 중인 18세 이상 성인 가운데 최종 분석에 포함된 대상자 수는 총 1,346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TATA 15.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고, 복약순응 분류 예측 모델은 R Version 4.0.4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계 학습 기법 중 분류와 회귀 모두에 사용되는 Support Vector Machine(SVM) 방법을 이용하여 모델링하였다. 로지스틱 회귀(LR) 모델로 예측 모델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만성질환자의 복약순응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은 SVM 모델에서 연령, 만성질환의 개수, 고혈압, 스트레스, 교육정도, 성별 순으로 나타났다. LR 모델에서는 의료이용 제한, 결혼상태, 고혈압, 우울증, 궁금증 해소, 고지혈증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예측모델에서는 머신러닝기법 중 SVM 이 LR 보다 저하된 성능을 보였다. 이는 불균형 데이터 집합으로 인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모델의 특이도가 낮게 도출되어 저조한 성능을 보였다. 추후 입력 변수 속성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자료 정규화 방법을 통해 모델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 선행연구의 결과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만성질환자의 복약 순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고혈압 또는 고지혈증의 만성질환을 가진 경우, 정신·신체적 스트레스, 의료이용 제한, 의사와의 궁금증 해소가 복약순응의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복약 순응 관련 요인들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와 만성질환자의 복약 순응 실천 및 유지 전략 중재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의 만성질환자 복약순응 분류 예측 모델을 기초로 향후 데이터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다양한 머신러닝기법을 적용한 분류 예측 모델의 적합성 및 정확도를 비교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주요어: 만성질환자, 복약순응, 머신러닝, Support Vector Machine, 예측 모델

      • 한국어를 기반으로한 음성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방법론

        권지혜 성신여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동차용 네비게이션(navigation) 서비스, 일부 관공서의 시각 장애우를 위한 음성 브라우저 서비스, 철도청의 ARS를 이용한 철도 예매 서비스 등과 같이 점차 음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수요가 늘고 있다. 이는 '음성'이라는 인간의 기본적인 의사소통 도구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음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방법론에 대하여 알아보고, 우리말의 특성을 반영한 프롬프트 및 인식 문법의 설계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음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본 요소인 대화(다이얼로그)를 폼 필링 시스템 주도(Form-Filling Directed) 대화, 폼 필링 상호 주도(Form-Filling Mixed Initiative)대화, 메뉴 선택(Menu Select) 대화의 유형으로 나누어 정형화 하여 모델링 하였다. Voice is the most natural way in human communication. Demand for VUI(Voice User Interface) has been increasing in many systems such as automobile navigation system, voice browser for blinds and ARS(Audio Response System) for advanced ticket purchasing system.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VUI design methodology for English. For some parts of the VUI design methodology such as prompt design, intonation planning and recognition grammar development, we propose the detailed strategies in order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poken language. According to the proposed design strategies, we also present a formal model for dialog design. The dialog is the basic unit in VUI. We classify dialogs into tree types : Form Filling Directed dialog, Form Filling Mixed Initiative Dialog and Menu Selection Dialog. For each type of dialogs, we develop a formal model that can be used in dialog design.

      • 고대 그리스의 에토스론과 중.고등학교 음악교육에 관한 연구

        권지혜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악교육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기록에 의하면 체계적인 음악교육은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스 시대의 음악은 모든 학문의 기초로서 인간교육을 위한 본바탕이 되었으며 에토스론에 근거한 음악교육을 통하여 인간은 예술적 소양을 지닌 교양인으로 거듭날 수 있었다. 당시 철학자들도 인간교육은 음악으로부터 시작된다고 생각하여 피타고라스는 우주의 질서가 반영된 음악을 통해 인간은 자연의 섭리를 깨닫게 되며 육체와 정신이 정화(淨化)되어 영혼의 조화를 이루게 된다고 하였다. 플라톤은 인격과 덕(德)을 갖춘 이상국가의 인간상을 제시하기 위해 음악의 윤리적·도덕적 작용을 강조하였으며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성격과 습관에 영향을 주는 음악뿐만 아니라 인간의 감정을 정화·순화시켜 쾌락(카타르시스)을 느끼게 하는 오락·여가·유희의 음악을 함께 강조하였다. 그리스 시대에 행해진 음악교육과 오늘날의 학교 음악교육을 비교하여 보면 첫째, 그리스인들은 음악이 인간의 심성과 인격 그리고 도덕성을 기르는 기본적인 요소임을 분명히 알고 그들의 삶과 생활 속에 적용시켜 인격적 주체로서의 삶, 전인적 인간으로서의 삶을 영위하였다. 오늘날 학교 교육에서 음악과 교육목표는 전인적 인간 양성에 있지만 실제 학교에서 음악교육이 원래 목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학생들의 성격, 습관, 도덕성이 변화되어 인격적으로 완성되는 삶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둘째, 그리스인들은 말과 언어를 습득하기 이전에는 음악을 제외한 다른 영역들이 학습되어지는 것은 어렵다고 보았으며 인간은 태어난 후부터 성인이 될 때까지 장기간에 걸친 음악교육을 통해 이성적인 사고(思考)와 가치관을 형성하게 된다고 보았다. 오늘날 학교 교육에서는 국어, 영어, 수학과 같은 지식 위주의 교과목들이 기본교육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생들의 정서함양을 위한 음악교육은 집중 이수제를 통해 단기간의 수업에 그치고 있어 학생들의 자아정체성 혼란, 가치전도(價値顚倒)현상, 개인 이기주의와 같은 문제들이 발생되고 있다. 셋째, 그리스인들은 효과적인 음악교육을 위해 위대한 시인이 쓴 서정시(敍情詩)에 화음을 붙여 노래 부르거나 악기를 연주함으로써 학생들의 감성과 영혼을 다스리는 훈련을 하였다. 오늘날 음악 수업에 활용되는 악곡은 학생들의 귀에 익숙하여 쉽게 들을 수 있는 만화 혹은 영화 주제가, 대중음악 등이 주를 이루고 있어 동·서양의 전통음악과 예술가곡 그 외의 다양한 음악을 통한 깊은 감성과 서정성을 기르기 어려우며 이로 인해 학생들은 순간의 쾌락, 충동적인 감정에 치우치게 된다. 고대 그리스 시대의 음악이 지닌 인격교육·전인교육으로서의 가치는 오늘날 학교 교육에서 음악교육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제시하여준다. 그리스인들이 음악의 본질적인 의미와 가치를 인식하고 그들의 삶 속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음악을 활용해 나갔던 것처럼 오늘날 학교 음악교육이 이를 바탕으로 이루어져 학생들의 말과 행동 그리고 습관이 변화되어 교양과 인격을 갖춘 전인(全人)의 삶이 완성되어지기를 기대한다. Even though historical clues to identifying the origin of musical education are scarce, it is commonly accepted that ancient Greeks began the first systematic education of music. During the Greek Era, music was regarded as a primary and essential part of all the educational areas and it was believed that every human could become an artistically well-grounded culturati through musical education based on the Greek ethos. Among Greek philosophers, in particular, Pythagoras believed that since music reflects the order of the Universe, man can not only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the Nature but also attain perfect peace and harmony of the soul through musical education. Plato focused on the moralistic and ethical roles of music to propose an idealistic human image in his ideal country. Aristotle put great emphasis on entertainment or recreational purposes of music creating emotional catharsis to human mind and body as well as rational and instructional purposes of music giving great effects on human characteristics and practices. 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of musical educa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especially, is to present a variety of educational issues in relation to today's school education of music, compared with ancient Greek one. First of all, ancient Greeks were ful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musical education in cultivating human mentality, personality and mortality. They believed that music can make them live a life of higher mentality and morality. Although today's school education of music emphasizes comprehensive education, however, it is really difficult to expect students to grow as a whole person since musical education in schools is not offered enough to convert their mentality, personality and morality. Second, ancient Greeks thought that except music, it is almost impossible to educate children before they pick up their first language and speech. Also, they believed that young children can build their own rationality and responsibility only when their musical education is continually provided until they are fully grown. However, as today's school education overemphasizes some knowledge-based classes such as Korean and English languages or mathematics, musical education crucial to develop students' sound body and mind is treated as a short-term intensive course. This educational environment is now bringing about various mental and social problems among students such as self-identity disorder, value inversion phenomenon, individual or collective selfishness. Finally, for more effective musical education, ancient Greeks sang or played famous ancient Greek poets' lyrical verses to awaken students' sensibility and spirit. Today's school education of music, on the other hand, tends to use popular or cartoon theme songs that can be easily learnt by students. For that reason, students often lack deep sensibility and lyricism which can be acquired only by learning a variety of Western or Oriental classical music works or other art songs. Besides, students can be carried away by their instant feeling or sensual pleasure as proper musical education is not offered at school. The great value of musical education that ancient Greeks showed us as a character building tool demonstrates the necessity and justification of today's school education of music. Therefore, as ancient Greeks realized the educational value and nature of music and applied it to their real life, I conclude that today's school education of music must be used as a basic tool to purify students' words and actions. Through proper musical education, our students will grow as a culturati who has great personality and morality.

      • 기혼 여성근로자의 개인 및 가정요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권지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dividual factors (traditional family values, modern family values, gender role attitudes) and family factors (annual household income, preschool children, household share ratio) on depression of married female worker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mental health of married female workers by proving the mediating effect, and to provide a practical intervention basis from a social welfare point of view as well as policy suggestions for married female worker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o married female workers' personal factors affect depression?' Second, 'Do married female workers' home factors affect depression?', Third, 'Married female workers' personal and family factors and depression. Is job satisfaction mediating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child?'. The subject of analysis was 2,083 married and wage-earning women among 9,602 women aged 19 to 64 who participated in the 7th survey of the Gender Equality and Family Panel, a nationwide panel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Women's Policy Institute. For the research mode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an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onger the traditional family values ​​of married female workers, that is, the stronger the idea of ​​marriage and family, the lower the depression level. On the other hand, the stronger the modern family values, that is, the greater the degree to which marriage is an option, and the individual values ​​resulting from marriage are separated from the family and recognized as an individual existence, rather than being interpreted within the family, the level of depression increases. Also, in the case of gender role attitude,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attitude that the gender roles of women and men were not separated and perceived that they were at a fair level, the lower the level of depress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family factors on depression of married female workers, it was found that annual household income had a significant effect.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annual household income, the lower the depression level. Third, it was found that household factors, objective factors, such as housework sharing ratio and preschool childre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as that the subjective factors of women's 'attitudes and values' are more important to the level of depression than the objective factors experienced by married female workers. Fourth, when the depression caused by job satisfaction was confirm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the lower the level of depression. Also,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t was confirmed that job satisfaction had a mediating effect only in the modern family value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ccording to the main analysis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an approach to the values ​​and attitudes of married female workers.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in order to lower the depression level of married female workers, subjective perception of how women themselves feel in the situation is more important than the objective situation that women experience. And this is not just for women. In order for family values ​​and gender role attitudes to work positively in the home, the change in men's perception must also be taken serious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oceed with a program for this purpose. However, changing individual values ​​and attitudes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resolved in a short time, so a longer-term approach is needed. Second, it is an approach to job satisfaction of married female workers. In light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the lower the depression level. In order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married female worker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ractical system for reconciling work and family in an organization where they can maximize their abilities. .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combine effort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with the active publicity of the government to spread a culture that can make good use of the system for work-family balance. Finally, it is an approach to mental health policy for married female workers. At the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installed in each ward, the national policies and policies are implemented and diversified to operate and diversify projects for the promotion of mental health of general residents and the prevention of mental diseases, especially for married female workers You will need a budget.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 여성근로자의 개인요인(전통적 가족가치관, 현대적 가족가치관, 성역할태도) 및 가정요인(연간가구소득액, 미취학자녀, 가사분담비율)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직무만족의 매개 효과를 입증함으로써 기혼 여성근로자의 정신건강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기혼 여성근로자를 위한 정책적 제언은 물론 사회복지적 관점에서 실천적 개입근거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 여성근로자의 개인요인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기혼 여성근로자의 가정요인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기혼 여성근로자의 개인요인 및 가정요인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직무 만족이 매개하는가?’이다. 분석 대상은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전국 규모의 패널조사인 여성가족패널 7차 조사에 참여한 만 19세~64세 여성 9,602명 중 기혼이면서 임금 근로자인 여성 2,083명이다. 연구 모형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회귀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 여성근로자의 전통적 가족기치관이 강할수록 즉, 결혼과 가족을 중시하는 관념이 강할수록 우울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현대적 가족가치관이 강할수록 즉, 결혼을 선택사항으로 개인의 가치관이 가족 안에서 해석되기 보다는 가족과 자신을 분리하여 개별적인 존재로 인식하는 정도가 클수록 우울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성역할태도의 경우, 여성과 남성의 성역할이 구분되어 있지 않고 공평한 수준이라고 인식하는 태도가 강할수록 우울수준이 낮아진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기혼 여성근로자의 가정요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연간가구소득액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연간가구소득액이 높을수록 우울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가정요인에서 객관적인 요소인 가사분담비율과 미취학자녀는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혼 여성근로자가 경험하는 객관적인 요인 보다는 여성이 가진 ‘태도, 가치관’의 주관적인 요소가 우울수준에 더 중요한 의미가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넷째, 직무만족에 따른 우울을 확인했을 때 직무만족이 높아질수록 우울 수준이 낮아진다는 결과가 나타났고,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로는, 현대적 가족가치관에서만 직무만족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분석 내용에 따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 여성근로자의 가치관과 태도에 대한 접근이다. 본 연구에서 기혼 여성근로자의 우울수준을 낮추기 위해서는 여성이 경험하는 객관적인 상황보다는 그 상황에서 여성이 스스로 어떻게 느끼는지의 주관적인 인식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것은 단지 여성에게만 해당되는 내용이 아니며, 가족가치관과 성역할태도가 가정 내에서 긍정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남성의 인식변화도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 및 진행할 필요가 있다. 단, 개인의 가치관과 태도를 변화시키는 것은 단 시간 내에 해결될 수 있는 부분이 아니기에 보다 장기적인 접근이 필요하겠다. 둘째, 기혼 여성근로자의 직무만족에 대한 접근이다. 본 연구에서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우울수준이 낮아진다는 결과로 비추어볼 때 기혼 여성근로자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조직에서 일과 가정을 양립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일・가정 양립을 위한 제도를 잘 활용할 수 있는 문화가 확산되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홍보와 함께 조직차원에서의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겠다. 마지막으로, 기혼 여성근로자를 위한 정신보건정책에 대한 접근이다. 구마다 설치되어 있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일반 지역주민의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 예방을 위한 사업, 그 중에서도 기혼 여성근로자를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다양화 될 수 있도록 국가 차원에서의 정책과 예산 마련이 필요하겠다.

      • 한국어 교사의 그릿과 직무만족도 양상 분석 및 상관관계 연구

        권지혜 韓國外國語大學校 KFL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grit and job satisfac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nalyze the pattern, and confirm the correlation. To this end, 127 Korean language teachers were surveyed using Grit-O Scale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 and the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1. As a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in grit average depending on whether the teacher was married or not and grouped final educational level. And the job satisfaction was related to final educational level,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ience, monthly income, the reason for choosing Korean language teacher as a job. There was a weak correlation between grit and job satisfaction. ‘Perseverance of effort’ that is the sub-factor of grit showed a relatively clear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compared to ‘consistency of interest’ that is another sub-factor of grit. As a result of checking the sub-factors of grit and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consistency of interest’ had a weak correlation with ‘work burden’, and ‘perseverance of effor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nnovation’, ‘development’, and ‘teacher profession’. This means that it can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job satisfac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hrough teacher education that promotes grit and ‘perseverance of effort’. Furthermore, it suggests that it can affec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 예비은퇴자의 레저동기, 레저만족, 레저제약과 은퇴불안의 관계

        권지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motivation, leisure satisfaction, and retirement anxiety in prospective retiree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leisure constraints. In addition, it aim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eisure motivation of potential retirees and, based on which, the logical correlation of retirement anxiety through leisure constraints. By doing so,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data that can contribute to the decrease of retirement anxiety in prospective retirees as well as the expansion and promotion of leisure.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 total of 310 male and female potential retirees in their 50s (age between 51 and 60) living in Seoul and the Gyeonggi metropolitan area were surveyed on smartphones. After excluding 67 survey sheets poorly answered or considered not reliable, 243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and AMOS 26.0 programs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in the research subjects, it was found that leisure moti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The details were as follows: 1) Mental/psychological stability moti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which can be interpreted that leisure satisfaction increases if they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to feel better or get a relaxation. 2) Health moti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leisure satisfaction increases if they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health or improving fitness. 3) Social relation motivation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This implies that their relationship with members in leisure activities is not important for prospective retirees. 4) Pleasure motiv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which indicates that leisure satisfaction increases when they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for joy, pleasure, and self-contentment. Based on the results, the leisure motivation of potential retirees could be regarded as a significant factor for leisure satisfaction in many aspects. In particular, pleasure motivation had the greatest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the difference in individual satisfaction depends on how much they enjoy and have positive attitudes for leisure activities. Second, the leisure satisfaction of the prospective retiree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etirement anxiety. This could be interpreted that just satisfying with leisure is not enough to relieve the psychological anxiety, retirement anxiety. Based on the results, it could be assumed that for prospective retirees, retirement was a reality that they get to face one day as well as causes overwhelming psychological anxiety. Third, the leisure satisfaction of the prospective retirees had a negative effect on leisure constraints. This suggests that the higher the leisure satisfaction of prospective retirees, the lower the leisure constraints. Based on the results, satisfaction obtained through leisure can be seen as an important factor in solving various constraints that individuals can feel and experience through leisure. Fourth, the leisure constraints of the potential retiree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retirement anxiety. This means that the less leisure constraints the prospective retirees feel, the lower the retirement anxiety. Based on the results of preceding studies in which constraints acted as a variable to reduce stress and psychological anxiety, this study could also assume that leisure constraints affect the psychological condition, retirement anxiety. Fif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isure satisfaction and retirement anxiety of the potential retirees, the mediating effect of leisure constraints was significant; it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the two variables. While leisure satisfaction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retirement anxiety, leisure constraints act as a mediator between the two variables and lower retirement anxiety. Based on the results, it was important to not only increase the level of leisure satisfaction but also lower leisure constraints. Sixth,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leisure satisfaction and constraints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isure motivation and retirement anxiety of the prospective retirees. The details are as follows: 1) The path indirect effect of mental/psychological stability motivation → leisure satisfaction → leisure constraints → retirement anxiety was significant, indicating that the leisure satisfaction and constraints of prospective retiree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psychological stability motivation and retirement anxiety. 2) The path indirect effect of health motivation → leisure satisfaction → leisure constraints → retirement anxie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motivation and retirement anxiety. 3) The path indirect effect of social relation motivation → leisure satisfaction → leisure constraints → retirement anxiety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4) The path indirect effect of pleasure motivation → leisure satisfaction → leisure constraints → retirement anxiety was significant,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leasure motivation and retirement anxiety. Unlike preceding research on leisure for the elderly,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bout retirement, which could be a direct and realistic problem, and leisure satisfaction in prospective retirees. Carrying out research that could be a useful resources to prospective retirees in achieving psychological stability, this study was considered well-timed and informative. In addition, it had a theoretical value in that it was the first and foremost study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nd retirement anxiety, and it wa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future research on leisure. 본 연구는 예비은퇴자의 레저동기, 레저만족 및 은퇴불안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레저제약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예비은퇴자의 레저동기에 따른 레저만족 수준을 알아보고, 이를 중심으로 레저제약을 통한 은퇴불안의 논리적 연관성을 밝힘으로써 예비은퇴자의 은퇴불안을 감소시키며, 더 나아가 레저의 저변확대 및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50대(51세~60세) 남녀 예비은퇴자를 대상으로 총 310부의 스마트폰 설문을 실시하였고, 회수된 응답 중 불성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67부를 제외한 243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와 AMO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맞게 분석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은퇴자의 레저동기와 레저만족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레저동기는 레저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정서/심리적 안정 동기는 레저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분전환이나 안정을 취하고 싶은 이유로 레저활동에 참여한다면 레저만족이 높아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2) 건강 동기는 레저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 유지나 체력 증진을 위한 목적으로 레저활동에 참여한다면 레저만족이 높아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3) 사회관계 동기는 레저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레저활동에 있어 구성원과의 관계는 예비은퇴자에게 중요하지 않은 부분으로 해석할 수 있다. 4) 즐거움 동기는 레저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쁨과 즐거움을 느끼고 자기만족을 위해 레저활동에 참여하면 레저만족이 높아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예비은퇴자의 레저동기는 많은 부분 레저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볼 수 있다. 특히, 즐거움 동기가 레저만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이는 레저활동에 있어 얼마나 긍정적이고 즐거운 마음으로 참여하는가에 따라 개인이 느낄 수 있는 만족감의 차이도 달라진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예비은퇴자의 레저만족은 은퇴불안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레저에 만족하는 것 한 가지로는 은퇴불안이라는 심리적 불안을 해소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예비은퇴자에게 은퇴라는 것은 언젠간 맞닥뜨리게 될 현실임과 동시에 아주 크게 다가오는 심리적 불안임을 추측해볼 수 있다. 셋째, 예비은퇴자의 레저만족은 레저제약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은퇴자의 레저만족이 높을수록 레저제약은 낮아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레저를 통해 얻게 되는 만족감은 레저를 통해 개인이 느끼고 경험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제약을 해소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볼 수 있다. 넷째, 예비은퇴자의 레저제약은 은퇴불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비은퇴자가 레저제약을 적게 느낄수록 은퇴불안이 낮아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제약이 스트레스와 심리적 불안 등을 낮추는 변인으로 작용하는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근거로 이 연구에서도 레저제약이 은퇴불안이라는 심리적 상태에 영향을 주는 변인임을 예측할 수 있다. 다섯째, 예비은퇴자의 레저만족과 은퇴불안의 관계에서 레저제약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변인 간의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레저만족은 은퇴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던 결과와 달리, 두 변인 사이에서 레저제약은 매개역할을 함으로써 레저제약을 통해 은퇴불안을 낮춘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레저만족 수준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만족을 높게 느끼는 것과 동시에 레저제약을 낮추는 것 또한 중요한 부분임을 예측해 볼 수 있다. 여섯째, 예비은퇴자의 레저동기와 은퇴불안의 관계에서 레저만족과 레저제약의 이중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정서/심리적 안정 동기 → 레저만족 → 레저제약 → 은퇴불안의 경로 간접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예비은퇴자의 레저만족과 레저제약은 정서/심리적 안정 동기와 은퇴불안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2) 건강 동기 → 레저만족 → 레저제약 → 은퇴불안의 경로 간접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 동기와 은퇴불안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3) 사회관계 동기 → 레저만족 → 레저제약 → 은퇴불안의 경로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4) 즐거움 동기 → 레저만족 → 레저제약 → 은퇴불안의 경로 간접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즐거움 동기와 은퇴불안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노인을 대상으로 한 레저 연구들과는 다르게 예비은퇴자의 직접적이고 현실적인 문제로 다가올 수 있는 은퇴에 대한 불안과 레저만족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했다. 이처럼 예비은퇴자의 심리적 안정에 도움이 될 만한 연구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시의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레저와 은퇴불안의 관계를 규명한 최초의 시도였다는 점에서 이론적으로 가치가 있을 것이며, 향후 레저학연구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