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arbon Nanotube Dispersed by alpha-Synuclein And Its Applications on Hydrogel

        권예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Lewy bodies are protein aggregates that are commonly found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one of the degenerative brain diseases. The main protein of the Lewy bodies is known as α-synuclein. α-Synuclein is a protein with 140 residues and is predominantly distributed in the brain. This protein is usually known as intrinsically disordered protein (IDP), so it has random shape. In addition, it has the property that adhere to the various surfaces. To take advantage of these chracteristics of α-synuclein, this study began with purifying α-synuclein. As a result, high yield of the protein was obtained. Next, the degree of dispersion of carbon nanotubes in aqueous solution using proteins was performed. Carbon nanotubes are excellent in strength, electrical properties, and light heat, and are used in many fields. But, carbon nanotubes are disadvantageous to use in vivo without functionalizing them because of hydrophobic surface. α-Synuclein, which adheres well to hydrophobic surfaces, best disperses carbon nanotubes with these characteristics in solution than other proteins. Further, the α-synuclein-carbon nanotube (αS-CNT) was added to hydrogel known as a biocompatible material. As containing the αS-CNT, alginate hydrogel and alginate/ polyacrylamide hydrogel were improved their elasticity and electrical properties. Alginate/ poly(N-isopropylacrylamide) hydrogel was added with photothermal effect because of containing αS-CNT. These hydrogels can be applied to the biomedical field as a matrix to differentiate neural stem cells later, or to the soft robotics that repeatedly shrinks and expands in response to light. 퇴행성 뇌질환 중 하나인 파킨슨 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는 루이체(Lewy body)라는 단백질 응집체가 공통적으로 발견된다. 이를 이루는 주 단백질은 알파-시뉴클레인으로, 이는 140개의 잔기를 가지는 단백질이며 주로 뇌에 많이 분포한다. 알파-시뉴클레인은 내재적으로 비정형적인 형태를 가지며, 다양한 표면에 잘 결합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알파-시뉴클레인의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기 위해, 본 연구는 알파-시뉴클레인을 정제하는 과정에서부터 진행하였다. 그 결과, 높은 수율의 단백질이 얻어졌다. 이후, 정제한 알파-시뉴클레인과 여러 단백질을 이용하여 수용액상에서 탄소나노튜브의 분산 정도를 비교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탄소나노튜브는 강도와 전기적 특성, 광열 현상 등이 뛰어나 여러 분야에서 쓰이지만 소수성 표면을 가져 기능화하지 않고서는 생체 내에 사용하기 불리하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탄소나노튜브를 소수성 표면에 잘 결합하는 알파-시뉴클레인이 다른 단백질들보다 용액 내에서 가장 잘 분산시켰다. 더 나아가, 앞서 얻은 알파-시뉴클레인-탄소나노튜브 (αS-CNT)를 생체 친화적인 물질로 알려진 하이드로젤에 첨가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alginate gel, alginate/ polyacrylamide hydrogel의 신축성 및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켰고, alginate/ poly(N-isopropylacrylamide) hydrogel에 광열 효과를 첨가시켰다. 이렇게 제작된 하이드로젤들은 추후 신경줄기세포를 분화하게 할 수 있는 매트릭스로서 바이오 메디컬 분야로 응용하거나, 빛에 반응하여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는 soft robotics 분야로 응용할 수 있다.

      • 무동기 학생들의 탈무동기는 무엇으로 가능한가? : 초등학생의 무동기 변화 양상에 따른 개인적 및 환경적 요인의 변화

        권예지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nging patterns of students' academic amotivation in relation to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during the school year. I examined the students’patterns of amotivation changed longitudinally from 6th grade to 7th as their academic burden increased. In this study, I used 3rd(6th grade) and 4th(7th grade) wave data from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Participants were 1,495 males(51%) and 1,439 females(49%). First of all, I analyzed the latent profiles of 6th and 7th grade students using five regulation types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five potential profile groups in both grades. 'Group 1' was the amotivated group which showed the higher level of amotivation, 'Group 2' had a higher level of autonomous motivation, and 'Group 3' showed an average level of motivation. Although Group3's amotivation value was higher than that of Group 1, the value of motivation types other than intrinsic motivation were higher, so it was difficult to define Group3 as 'Amotivated'. 'Group 4' had more autonomous motivation with lower controlled motivation and amotivation than the average (Group3). 'Group5' was similar to Group2 and Group4 in terms of high autonomous motivation but had more controlled motivation. After analyzing the potential profile of each grade, I focused on amotivation change, I classified 3 groups. In this analysis, I found that amotivation changes longitudinally. The first group is the 'Amotivation In' group, which did not belong to the amotivated group in 6th grade but entered it in 7th grade. Second group is the ‘Amotivation Stay' group belonging to the 'Amotivation Group' both 6th and 7th grade. Third one is the‘Amotivation Out’group. Which belonged to the amotivated group at 6th grade, but deviated from the amotivated group in 7th grade. 127 students were classified as the 'Amotivation Out' group and 109 students were classified as the ' Amotivation Stay' group. Of the 236 students that were classified as the 'Amotivation group' in 6th grade, 53.8% of students left and 46.2% maintained amotivation. Among 2,693 students who were not classified as the 'Amotivation group' at 6th grade, 11.6% students entered the 'Amotivation group'. I used repeated measures ANOVA to analyze how personal (academic self-efficacy) and environmental factors (rational explanation of parents,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peer relationship) changes affect 'Amotiv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self-efficacy, rational explanations of parents, and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type of amotivational change. First, the difference of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ccording to the type of amotivation change is as follows: Academic self-efficacy and rational explanations of parents are lower in 'Amotivation Stay' group than in 'Amotivation Out' and 'Amotivation In' groups . The learner who deviated from amotivation had higher academic self - efficacy and felt parents used more rational explanation than the 'Amotivation Stay' group. Meanwhile, the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students who entered the amotivation group were higher than the students who kept amotivation for a year. This means that even students who are classified as the same amotivational group in the 7th grade, they may have different psychological states. It suggest that learners' can be amotivated when they feel self-efficacy and parental rational explanations are less than before. The variables which had interaction effect with the type of amotivational change were academic self - efficacy, rational explanation of parents, and teacher - student relationship. The 'Amotivation In' group had lower academic self - efficacy and teacher - student relationship than the 6th grade, and 'Amotivation Out' group showed better self - efficacy and teacher - student relationship in 7th grade. In the case of parental rational explanations, both the 'Amotivation Stay' group and the 'Amotivation Out' group recognized that parental explanations increased at 7th grade. In the case of peer relationships,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which may b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peer relationships. The difference in peer relationship values in all groups and periods was not large compared with other factors. Peer relations had a higher value than other factors in all groups and period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minimum value and the maximum was only 0.14. This means that learners in the 6th grade and the 7th grade perceived the peer relations positively than the other factors.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e change in peer relations affects the amotivation of the learner, needs to extract the learner who felt a big change in the peer relationship for the follow-up study. In order to prevent learners from being amotivated, it will be helpful to increase the students’ achievement experience and increase academic self-efficacy by presenting tasks in which learners can feel value and interest. Also parents' rational explanation may influence the learner's motivation by nurturing their autonomy. Base on some limitation of this study, I suggests some implication for the next studie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utilized the data restricted to students in Gyeonggi-do. Using data from national units is needed to ensure the representativeness of all students in Korea.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firm whether amotivation of 6th grade and 7th is higher than those of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longitudinal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changes in amotivation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rd, it is necessary to explore various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related to motivation and amotivation of learners. Although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in terms of personal factor,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concept could be another plausible factors influencing learner's motivation. Regarding environmental factors, future study could explore the effect of autonomy support and control of parents and teachers to help amotivated students to be motivated.

      • 음악교육이 인격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성장단계(유아기 ~ 청소년기)를 중심으로

        권예지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마음을 다스릴 수 있는 정서교육은 과거의 어느 때 보다 중요하며 인간의 감정에 깊은 영향을 주는 음악교육은 올바른 인격형성을 위한 출발점이 된다. 본 논문은 음악교육이 성장단계별로 인격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궁금증에서 비롯된 문헌 연구이다. 따라서 음악교육의 필요성과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탐색하며, 성장단계별(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특징을 이해하고 인격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음악은 음의 배합에 의해 사람의 감정을 감동시키는 것으로 무의미한 음의 나열이 아니라 어떤 느낌을 야기시키는 그런 음들의 시간적 예술이다. 이는 음이 곧 다양한 음악적 감정의 표출 및 의사전달의 핵심 매체가 된다는 뜻이다. 따라서 음을 통해 개인의 음악적 생각과 느낌을 다양한 수준에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음악적 능력 향상이 학교 음악교육에서 추구하는 본질적 목적 가운데 하나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뒷받침 한다고 할 수 있다. 음악교육의 역사적 변천을 통해 전인교육을 목적으로 하여 조화로운 인간을 형성하고 인간의 이성과 감성을 균형 있게 갖춘 인간을 육성하기 위해 음악교육의 필요성을 강조 하였다. 또한 인간의 삶에 있어서 음악의 가치를 인정하고 음악을 삶의 일부로 인정하며, 음악을 생활화하고 음악과 음악활동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와 가치관을 가진 전인을 육성해야 한다. 따라서 음악교육의 궁극적 가치 및 목적은 풍부한 음악적 경험을 통해 심미적 안목과 창조적 능력을 발달시키며, 바람직한 가치관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다. 인간성 상실의 시대에서 살아가고 있는 인간은 인간성을 회복하고 일상생활을 위한 활동으로 음악을 추구해야 한다. 음악적 인간생활을 윤택하게 하고, 표현의 능력을 기르는 동시에 어느 교육보다 조화롭게 생활할 수 있는 전인 교육이 되어야 한다.이에 음악교육이 인격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성장 단계별로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유아기 음악교육이 인격형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아의 잠재력 계발과 성장을 위한 것이다. 또한 인격과 정서를 도야하고 자아를 표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데 있다. 둘째, 아동기 음악교육이 인격형성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 자신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며, 인간이 느낄 수 있는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을 갖게 된다. 셋째, 청소년기 음악교육이 인격형성에 미치는 영향은 인간이면 갖게 되는 모든 종류의 감정을 음악을 통해 폭 넓게 체험할 수 있으며, 감정적인 성숙이 이루어짐으로써 자신의 내적 상태를 다스릴 수 있게 된다. 살펴본 바와 같이 음악교육은 다양한 음악에 대한 열린 경험을 통해 포괄적인 음악적 식견을 가진 사람을 길러내는 것을 본질적 목적으로 삼아야 할 필요가 있다. 음악교육을 통해 이성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능력과 감성적으로 느낄 수 있는 부분을 스스로 제어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게 되길 기대해본다. Emotional education that can control minds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past time, and music education becomes a start point of forming correct personality. This study is a literature research derived from curiosities on how the music education affects to personality formations by growth phases. Therefore, the study searches about the necessity of music education and prospective directions, and tries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by growth phases (infancy, childhood, adolescent period), and then intends to research on how it affects to personality formations. Music impassions people by combining sounds, and is a temporal art of such sounds causing certain feelings, not its meaningless array. This means that the sound becomes the core intermediate of exposing various musical emotions and communicating in other words. So, personal thoughts and feelings shall be expressed from various levels through sounds. This point could be said as supporting a fact that enhancement of musical abilities shall be one of essential purposes that have to be pursued in the education of school music. This study emphasized the necessity of music education so as to form harmonious human aiming at wholeness education through historical changes of music education, and to rear persons who equipped with human reason and affections in balance. Also, the whole man who recognize the value of music in human life and accepts the music as a part of living, and further has desirable attitudes and sense of values shall be brought up. Thus, ultimate value and goals of the music education is to trainpeople so as to have desirable sense of values while making development of creative abilities along with aesthetic perspectives through musical experiences. Human living in the time of humanity loss has to recover humanity and pursue music as an activity for good daily life. Education for whole man shall be carried out so that it makes musical living enriched and manage harmonious life than any other education while rearing expression’s abilities at the same time. Therefore, as a result of looking into effects of music education on the personality formation by growth phases, the study could get conclusions same as followings. First, effects of music education in infancy on the personality formation are to cultivate potentials of infants. Also, it has purposes of training personality and emotion along with nourishing self-expression abilities. Second, effects of music education in childhood on the personality formation are to make them see themselves positively, and have controlling abilities of emotions that can be felt by human. Third, effects of music education in adolescent period on the personality formation is to make them to broadly experience all kinds of emotions kept by all human through music, and control their inner states by acquiring emotional maturity. As shown above, music education is required to consider rearing persons who have comprehensive musical insights through open-experiences on the various music as its essential purposes. This study expects that students could build up abilities of thinking reasonably and controlling the emotional parts in person through this music education.

      • Prevalence rates of obesity, central obesity, normal weight obesity and the associated factors in a north korean refugee population in south korea

        권예지 고려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Background & aims: Obesity is an undesirable outcome of poor life-style habits and behaviors.. Despite the increasing number of NK refugees in South Korea, there is very limited documented information on their health condition, especially in relation to prevalence rate of lifestyle diseases as they accommodating to westernized life style of South Korea. This study was aime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rate of obesity, central obesity, normal weight obesity and the associated factors in NK refugees. The relationship among body fat distribution and selected biomarkers are determined to analyze how normal weight obese can be a potential risk for development of the metabolic syndrome Methods and results: Anthropometric measurement of 340 NK refugees was analyzed. For the comparison, 2008 KNHNES and the clinical examination of 680 adults at the KUMC-Anam were used. The overall prevalence of obesity and central obesity were 24.4% and 21.8%. For the corresponding South Koreans, they were 30.2% and 25.8% respectively. All the subjects were divided with sex-specific tertiles of BF%. Among the normal BMI (18.5-22.9 kg/m2) subjects, the highest tertile of BF was labeled as NWO. The overall prevalence of NK NWO was 4.1% and the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metabolic abnormalities (P=0.013). Conclusions: NK refugees are in a transition state to developing obesity as they assimilating into South Korean society. The prevalence of NWO in NK refugees was higher compared with SK, and this indicated the increasing risk of cardiometabolic dysregulation among high %BF NK individuals.

      •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한 비소세포성 폐암환자에 대한 동반진단검사의 안전성 및 유효성 확인

        권예지 成均館大學校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동반진단은 특정 환자의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의약품을 선택하기 위해 약물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미리 예측하는 검사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써, 환자 개인의 유전자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환자의 치료방법을 선택하는 정밀의료 기술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동반진단 검사의 안전성 및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임상 문헌을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통합적으로,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3개의 데이터베이스 (MEDLINE, EMBASE, COCHRANE)에서 검색한 문헌들을 선택 및 배제기준에 따라 제외 하였으며, 선택된 문헌들을 SIGN의 방법론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질 평가를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 6개의 문헌이 선택되었으며, 해당 문헌들의 질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대부분의 문헌에서 동반진단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지표를 가지고 항암제를 처방하여 치료하였을 때가 기존 치료방법을 사용했을 때보다 긴 전체 생존기간 및 무진행 생존기간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객관적 반응률 또한 비교적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기존 진단 검사방법과 동반진단 검사의 진단 정확도를 비교하였을 때에도 높은 특이도, 민감도, 양성 예측도, 음성 예측도, 정확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들은 동반진단 검사 결과를 이용하여 정확한 지표를 가지고 표적 항암 치료제 또는 면역 항암제로 치료했을 때가 기존 진단검사 방법을 사용하거나 기존 화학요법을 사용하여 치료 했을 때보다 더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고등학생의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조절효과

        권예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그들의 학업소진, 정서지능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조절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결국 이러한 검증을 통해 외부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고등학생의 학업소진이 개인의 정서적 능력을 활용함으로써 해소될 수 있음을 드러내고자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고등학생의 학업소진, 정서지능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고등학생의 정서지능은 학업소진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셋째, 고등학생의 정서지능은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소진의 관계를 조절하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 경기 소재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505부가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2.0로 분석하였다. 먼저 Cronbach's alpha 계수로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고, 기술통계 분석과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여 변인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또 단순회귀분석을 통해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정서지능이 각각 학업소진에 주는 영향을 검증하고, 마지막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고등학생의 학업소진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으며, 고등학생의 정서지능과 학업소진은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은 고등학생의 학업소진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정서지능은 학업소진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셋째,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고등학생의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은 조절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이 학업소진에 분명한 영향을 주며, 그 관계를 정서지능이 조절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밝혀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를 통해 학업소진에 대처할 수 있는 개인의 내적 자원을 찾았다는 시사점을 가지며, 이는 고등학생의 정서지능을 다룸으로써 소진을 막는 효과적인 방안 마련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가정이나 학교, 상담현장에서 고등학생의 건강한 정서발달을 도모하는 책무를 더욱 강화하고, 이에 걸맞는 환경 개선을 위한 실천적 노력이 필요하다.

      • 조경유산의 등록문화재 확대방안 연구

        권예지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제적으로 유산의 범주가 근현대유산까지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세계유산에 공원과 도시 등의 근대유산이 등재되었다. 이는 역사적 가치가 뛰어나지만 현재도 사용되고 있어 변용되거나 멸실될 가능성이 높은 유산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국내에서 근현대유산은 등록문화재 제도에서 관리되고 있다. 그러나 주로 동산과 건축유산을 중심으로 보호되고 있어, 조경유산의 등록기준과 자원조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조경유산의 등록문화재 확대방안을 목적으로 하여 등록기준과 대상, 분류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경과 건축의 특성에 맞는 등록기준을 운영하는 해외에 비해 국내 「문화재보호법」의 등록문화재 제도는 단일 등록기준을 규정하고 있어서 건축과 조경유산의 특성을 반영할 수 없다. 또한 조경유산의 대표적인 자원인 정원을 포함하는 명승이 등록문화재의 대상에서 제외되고 있어 법 개정의 개선이 시급하다. 둘째, 조경유산의 등록기준으로 조경문화의 발전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 시대를 반영하거나 특징짓는 조경이 잘 남아있는 것, 주요 작가의 작품, 중요한 인물 또는 역사적 사건과 관련된 것 등을 제시하였다. 셋째, 근대유산의 등록제도를 운영 중인 일본과 영국의 등록문화재 범주와 등록체계, 대상 등을 고찰하고 우리나라의 조경유산 범주에 참조할 수 있는 자료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국토교통부에서 발간한<조경설계기준(2019)>이 일본과 영국의 조경유산 등록범주와 대상을 대부분 포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조경설계기준(2019)>의 항목을 참조해서 조경유산의 분류체계를 정립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밝혔다. 넷째, 조경유산의 분류방안을 기존 근대유산 분류체계인 대분류-중분류-소분류의 체계로 동일하게 구성하였다. 대·중분류는 근대건축유산 분류방안의 항목으로 분류하여 대등한 체계를 갖출 수 있었다. 다섯째, 소분류는 <조경설계기준(2019)>의 항목을 참조하였다. 총 73개의 항목에 관해 유사성과 독자성 등을 파악하고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의 분류 등을 참조하여 신설, 통합, 제외 등의 과정을 거쳤다. 1차와 2차 분류 및 재조정을 통해 도시공원, 광장, 녹지 등 총 64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여섯째, 근대건축유산의 분류방안과 비교했을 때, 대·중분류가 건축과 차별화된 체계를 형성할 수 있고, 소분류의 항목들이 건축의 대상과 중복되지 않아 독자성을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조경유산의 범주를 정리하고 등록문화재 제도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등록기준, 대상, 분류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질적인 조경유산 목록화 조사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조경유산의 분류체계로 제도화를 위해서는 소분류에 해당하는 대상의 발굴 가능성을 시대성과 역사성, 생활상 등에서 탐색하여 검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 자기자비명상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신체상 불만족, 신체 수치심, 자아존중감 및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부정적인 신체상을 가진 여대생을 대상으로

        권예지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자비명상 프로그램이 부정적인 신체상을 지닌 여대생의 신체상 만족도, 신체 수치심, 자아존중감 및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신체상 만족도를 조사하였으며, 신체상 불만족 점수가 상위 35%에 해당하며 참여를 희망하는 29명을 선별하여 무선할당을 통해 처치집단에 15명, 통제집단에 14명으로 할당하였다. 처치집단은 주 1회, 50내외로 총 6회기의 자기자비명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신체상 만족도 척도(BES), 자기자비 척도(K-SCS), 객체화된 신체의식 척도(K-OBCS)의 하위 요인인 신체 수치심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SES), 삶의 만족 척도(SWLS), 삶의 만족 예상 척도(LSES), 긍정 및 부정정서 척도(PANAS)이다. 최종적으로 처치집단 13명, 통제집단 12명의 데이터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이들은 처치 전, 후에 각각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처치 1개월 후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처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신체상 불만족, 신체 수치심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 및 삶의 만족 예상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긍정정서와 부정정서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처치의 효과로 감소한 신체상 불만족, 신체 수치심이 1개월이 지난 추후검사에서도 유의하게 유지되었으며, 증가한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 및 삶의 만족도 점수도 1개월이 지난 추후 검사에서 유의하게 유지되었다. 논의에서 전반적인 결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다루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compassion meditation program on body satisfaction, body shame, self-e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negative body image.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of this study were composed of upper 35%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negative body image. The 25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6-week self-compassion meditation program group(N=13) or a control group(N=12). Measures were BES, K-SCS, K-OBCS, SES, which were measured three times: prior to intervention(pre-test), following intervention(post-test), and at one-month follow-up. Compared to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 resulted in decreased body dissatisfaction and body shame as well as increased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and expectation of life satisfactio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at post treatment in terms of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The one-month follow-up showed the persistence of beneficial changes. The utility of this self-compassion meditation program, implication, and area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