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아의 기질 및 영아-교사간 애착안정성에 따른 또래간 상호작용 차이

        영아 대구가톨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의 기질과 영아-교사간 애착 안정성에 따라 영아의 또래간 상호작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영아의 기질(순한, 중간, 까다로운)에 따라 또래간 상호작용(우호적·적극적, 우호적·소극적, 적대적·적극적, 적대적·소극적 상호작용)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2. 영아-교사간 애착 안정성(안정, 불안정)에 따라 또래간 상호작용(우호적·적극적, 우호적·소극적, 적대적·적극적, 적대적·소극적 상호작용)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시 달서구에 위치한 S어린이집의 영아 33명이다. 영아의 기질을 측정하기 위해 걸음마기 기질 질문지(Toddler Temperament Questionnaire: TTQ)를 최영희(1989)가 번안한 도구로 측정하였고, 영아-교사간 애착 안정성 점수는 애착 Q-set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또래간 상호작용의 분석도구는 Holloway와 Reichhart-Erickson(1988)의 관찰 도구를 번안한 김난실(2004)과 조윤정(1997)도구를 사용하였다. 보육시설 내 자유선택놀이시간 동안 10초 동안 무작위로 영아를 찾아, 15초 관찰, 10초 기록의 시간표집법을 사용하여 관찰하였으며, 각 영아 당 80회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의 기질에 따라 또래간 상호작용에서 우호적·적극적, 우호적·소극적, 적대적·적극적 상호작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순한 기질과 중간 기질의 영아는 까다로운 기질의 영아보다 우호적·적극적 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순한 기질의 영아는 중간 기질과 까다로운 기질의 영아보다 우호적·소극적 상호작용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적대적·적극적 상호작용은 까다로운 기질의 영아가 순한 기질과 중간 기질의 영아보다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간 애착 안정성은 또래간 상호작용에서 애착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교사와 안정된 애착을 형성한 영아는 교사와 불안정한 애착을 형성한 영아보다 우호적·적극적 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불안정한 애착의 영아가 안정 애착의 영아보다 적대적·적극적 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oddlers’ Peer Interaction according to Their Temperament and Attachment to teacher Cho, Young-A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Supervised by Professor Kim, Soo-You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oddlers’ peer interaction differs according to their temperament and attachment to teacher.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below: 1.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toddlers’ peer interaction (actively positive behavior, passively positive behavior, actively negative behavior, passively negative behavior) according to their temperament(easy, moderate, difficult)? 2.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toddlers’ peer interaction (actively positive behavior, passively positive behavior, actively negative behavior, passively negative behavior) according to teacher attachment(securely attached to teacher , insecurely attached to teacher)? The subjects became accomplished with 33 toddlers located at Dalseo-ku, Daegu Korea. The Korean version (by choi, young-hee)of Toddler Temperament Questionnaire(TTQ) was measured to individuate toddlers` temperament. The attachment security was assessed with attachment Q-set. Analysis Instrument for Peer Interaction (Kim, 2004; Jo, 1997), a Korean version of Holloway and Reichhart-Erickson(1988)'s observation instrument was used for the instruments for toddlers` peer interaction. Toddlers’ Peer Interaction were measured through observations. The sample toddlers(objects of observation) are selected at random in ten second of indoor free play time. The observations were conducted 80 times per each toddler through time sampling method(15 seconds observation and 10 seconds recording) during indoor free play tim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oddlers’ peer interaction(actively positive behavior, passively positive behavior, actively negative behavior)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tively positive behavior was observed more in easy and moderate temperament group than difficult temperament group. Passively positive behavior are shown in easy temperament group than moderate and difficult temperament group. And actively negative behavior was shown in difficult temperament group than easy and moderate temperament group. Second, Attachment to teach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oddlers’ peer interaction according to Attachment type. Actively positive behavior was observed more in toddlers securely attached to teacher than toddlers insecurely attached to teacher. But actively negative behavior was observed more in toddlers insecurely attached to teacher than securely attached to teacher.

      • 두경부 편평세포암종에서 E-cadherin 발현양상과 임상병기, 세포분화도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구영아 翰林大學校 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1855

        Background and Objectives : In recent years, much attention has been directed towards cell adhesion molecules. Loss or reduction of the cell-cell adhesion molecule, E-cadherin has been shown to have a major role in the differentiation and the progression of many human malignancies via intercellular Ca"dependent adhesion. E-cadherin Reduction of E-cadherin in human malignancies appears to be associated with differentiation, invasion, and possibly prognosis.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E-cadherin as a marker for differentiation and invasiveness of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Materials and Methods : Twenty nine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were used this study. The specimens of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tissues were cut into 5 ㎛ sections and the section was melted at 37℃ over-night. The slides were then dewaxed, hydrated, and washed with phosphate-buffered saline. The slide were heated by using microwave for 5 min in pH 6.0 citrate buffer to retrieve the antigen. After blocking endogenous peroxidase activity in water with 3% hydrogen peroxide for 30 min, specimens were incubated with normal 10% goat serum for 10 min to block non-specific binding. Tissue sections were then incubated with anti-E-cadherin (E-CD) antibody HECD-1(Zymed, Sanfrancisco, CA) at 37℃ for 30 min. Biotinylated anti-mouse IgG(1/500) was applied as asecond antibody for 30 min incubation was followed to visualize streptavidin-biotin immunoperoxidase exposure.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between T and N stage and the expression of E-cadherin(p=0.025, P=0.015). The cell differentiation was also correlated with the reduction of E-cadherin(p=0.005) Conclusion : E-cadherin may be linked to progression and differentiation of the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E-cadherin immunostaining in the primary tumor appear to be a good marker for the invasiveness and the metastasis of tumors.

      • 호르몬 요법중인 폐경 여성에서 Pamidronate 병합 치료시 골 밀도 및 골 흡수 표지자 변화

        구영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Background/Objectives: Hormone therapy is effective in reducing postmenopausal bone loss and has been a mainstay of therapy for the management of postmenopausal osteoporosis. However, 5-15% of postmenopausal women on hormone therapy continue to lose bone and experience fractures. Several clinical studies have reported that a combination therapy with HT and bisphosphonate results in a greater increase in bone mineral density (BMD) than either therapy alone. However, for patients who have gastric problems associated with oral bisphosphonate treatment, another route for administration of bisphosphonate is needed. Therefore, we evaluated the effect of adding intravenous pamidronate to ongoing HT on BMD in postmenopausal women. Materials and Methods: Eighty-five postmenopausal women were retrospectively selected who had undergone HT for 1 year. Women with premature or induced menopause, smoking, heavy drinking, endocrine disease, or medication affecting bone metabolism were excluded.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receiving HT plus pamidronate (n = 41), and those receiving oral placebo with HT (n=44). Pamidronate was given at 30 mg with 500 ml normal saline over 2 hours every 3 months. HT was performed in an individualized manner. Conjugated equine estrogen (0.625 mg/d) or its equivalent was given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progestogen. Placebo was administered as a tablet identical to oral bisphosphonate with unparallel manner. All women received oral calcium supplementation if tolerable. The BMDs and bone resorption markers (DPD,NTX) were measured at baseline and after 12 months of treatment. Result(s): At 12 months, the percentage of the BMD decreas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pamidronate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17.0% vs. 40.9%, respectively, P=0.0363).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NTX (P=0.009) in the pamidronate group. The addition of pamidronate to ongoing HT was generally well tolerated with no adverse effects. Conclusion(s): Based on our study, we suggest a combined treatment of pamidronate and HT for postmenopausal women who have gastric problems with oral bisphosphonate and low BMD despite ongoing treatment with HT. We found that this combination treatment was generally well tolerated. 목적: 호르몬 요법은 폐경 여성에서 골 소실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나, 5-15%의 여성에서는 치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골 소실을 보인다. 이 경우, 서로 작용 기전이 다른 약제를 함께 사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골다공증을 치료하기 위해 병합 요법을 시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위장관 질환으로 인해 경구 비스포스포네이트를 병합 할 수 없을 때 주사형 파미드로네이트를 호르몬 요법과 병합함으로써, 골 밀도 및 골 흡수 표지자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2개월 이상 호르몬 요법을 시행 받은 폐경 여성 중, 호르몬 요법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골 소실을 보이거나 골 밀도가 낮은 (T<-2.0) 85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파미드로네이트 제재 (41명)를 12개월간 병합 투여 후, 위약 (44명) 투여 군과의 골 밀도 및 골 흡수 표지자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과: 파미드로네이트를 3개월 간격으로 1년간 정주 병합한 군에서, 골 밀도 감소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고 (P=0.0363), 골 흡수 표지자 (혈청 NTX) 농도가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P=0.009). 골 밀도 변화는 대조군에 비해 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부작용은 없었고, 처음 투여 시에만 급성기 반응(발열)이 발생되었으나 이는 반복 투여 시에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 결과, 파미드로네이트 주사 제재는 경구용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재를 복용하기 어려운 폐경 여성에서, 호르몬 요법 중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골 소실을 보일 때 효과적인 병합 요법 제재로 적용 가능하다.

      • 고어드 스커트의 시각적 이미지 연구 : 중년 비만체형 여성을 중심으로

        구영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중년 비만 체형 여성의 고어드 스커트 설계에 있어서 고어드 스커트의 고어수, 플레어가 시작되는 위치, 플레어의 분량의 변화에 따른 고어드 스커트의 시각적 이미지 변화를 알아봄으로써 중년 비만 체형의 여성에게 긍정적인 이미지로 인식될 수 있는 고어드 스커트를 설계함에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고어드 스커트의 고어수, 플레어의 시작 위치, 플레어 분량에 따라 고어드 스커트를 설계하여 20수의 광목을 소재로 총 27종류의 실험복을 제작하였다. 완성된 실험복을 중년 비만 체형의 인체 치수에 가까운 피험자를 선정하여 착용시키고, 착용한 모습의 전면, 측면, 후면의 사진 자료를 가지고 고어드 스커트의 이미지를 평가하였다. 이미지 평가 방법은 의류학을 전공한 전문가 집단에 의해 형용사 의미미분척도를 사용하여 시각적 이미지 평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Ver.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연구 문제별로 기술통계, 분산분석, Duncan test를 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중년 비만체형 여성을 위한 고어드 스커트의 고어수 변화에 따른 시각적 이미지를 전면, 측면, 후면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전면에서는 ‘뚱뚱해 보이 는-날씬해 보이는’의 1항목에서만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고, 측면과 후면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고어, 8고어 스커트가 6고어 스커트에 비해 다소 날씬해 보이는 이미지에 가까워 고어수에 따른 이미지 지각에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특히 6고어 스커트는 뚱뚱해 보이는 이미지가 다소 강하게 나타나 비만 체형의 결점을 보완해 주지 못하고 있었는데 이는 6고어 스커트는 앞, 뒤 중심선이 골로 재단됨으로 인해 나타난 결과라고 생각되어진다. 전면, 측면, 후면의 방향 모두에서 4고어 스커트는 편안한, 품위 있는, 포멀한 이미지로 나타났고, 6고어 스커트는 편안한 이미지로 나타났다. 8고어 스커트는 편안한, 자연스러운 이미지로 나타났다. 전면, 측면, 후면의 이미지 평가항목의 평균을 살펴보면, 6고어 스커트는 세방향모두 4고어 스커트와 8고어 스커트에 비해 부정적인 이미지로 나타났으므로 중년 비만체형 여성에게 6고어 스커트는 적합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2. 중년 비만체형 여성을 위한 고어드 스커트의 플레어 시작 위치 변화에 따른 시각적 이미지를 전면, 측면, 후면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전면에서는 ‘불편한-편안한’, ‘보기 싫은-보기 좋은’, ‘촌스러운-세련된’, ‘어색한-자연스러운’, ‘품위 없는-품위 있는’의 5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즉 전면에서는 플레어 시작위치가 엉덩이 둘레선에서 시작되어 그 위치가 중간인 고어드 스커트가 시각적 이미지 평가항목에서 모두 긍정적인 이미지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고, 플레어 시작위치가 엉덩이 둘레선과 무릎선의 이등분위치에서 시작되어 그 위치가 낮은 고어드 스커트는 시각적 이미지 평가항목에서 모두 부정적인 이미지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측면에서는 뚱뚱해 ‘보이는-날씬해 보이는’, ‘하체가 짧아 보이는-하체가 길어 보이는’, ‘배가 나와 보이는-배가 들어가 보이는’, ‘나이 들어 보이는-젊어 보이는’, ‘불편한-편안한’, ‘보기 싫은-보기 좋은’, ‘촌스러운-세련된’, ‘무거운-가벼운’, ‘둔해 보이는-날렵해 보이는’, ‘어색한-자연스러운’, ‘유행에 뒤지는-유행에 맞는’, ‘멋없는-멋있는’의 12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즉 측면에서는 플레어 시작위치가 다트끝에서부터 시작되어 그 위치가 높은 고어드 스커트가 시각적 이미지 평가항목에서 모두 긍정적인 이미지에 가깝게 나타났고, 전면과 마찬가지로 플레어 시작위치가 낮은 고어드 스커트는 시각적이미지 평가항목에서 모두 부정적인 이미지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후면에서는 ‘불편한-편안한’, ‘어색한-자연스러운’, ‘보기 싫은-보기 좋은’의 3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플레어 시작위치가 높은 고어드 스커트와 중간인 고어드 스커트가 긍정적인 이미지로 나타났고, 플레어 시작위치가 낮은 고어드 스커트는 부정적인 이미지로 나타났다. 전면, 측면, 후면의 방향 모두에서 플레어 시작위치가 높은 고어드 스커트는 편안한, 자연스러운 이미지로 나타났고, 중간인 고어드 스커트는 편안한, 보기좋은, 자연스러운, 품위 있는 이미지로 나타났다. 플레어 시작위치가 낮은 고어드 스커트는 포멀한 이미지로 나타났다. 전면, 측면, 후면의 이미지 평가항목의 평균을 살펴보면, 플레어 시작위치가 낮은 고어드 스커트는 세 방향에서 모두 플레어 시작위치가 높은 고어드 스커트와 중간인 고어드 스커트에 비해 부정적인 이미지로 지각되었으므로 중년 비만체형 여성에게는 플레어 시작위치가 낮은 고어드 스커트는 적합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3. 중년 비만체형 여성을 위한 고어드 스커트의 플레어 분량 변화에 따른 시각적 이미지를 전면, 측면, 후면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전면에서는 ‘나이들어 보이는-젊어 보이는’의 1항목에서만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고, 플레어 분량이 커질수록 젊어 보이는 이미지에 더 가깝게 지각되었다. 측면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후면에서는 ‘무거운-가벼운’, ‘넓어 보이는-좁아 보이는’의 2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어 플레어 분량 3cm는 가볍고 좁아 보이는 이미지로 지각되었고, 5cm와 7cm는 무겁고 넓어 보이는 이미지로 지각되었다. 전면, 측면, 후면의 방향 모두에서 플레어 분량 3cm인 고어드 스커트는 포멀한 이미지로 나타났고, 플레어 분량 5cm인 고어드 스커트는 자연스러운, 품위 있는, 포멀한 이미지로 나타났다. 플레어 분량 7cm인 고어드 스커트는 편안한 이미지로 나타났다. 전면, 측면, 후면의 이미지 평가항목의 평균을 살펴보면, 플레어 분량이 5cm인 고어드 스커트가 가장 긍정적인 이미지로 나타나 중년 비만체형 여성에게는 플레어 분량이 중간인 고어드 스커트가 가장 적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중년 비만체형 여성에게 긍정적인 이미지로 인식될 수 있는 고어드 스커트는 4고어와 8고어의 고어수를 갖고, 플레어 시작위치가 다트 끝에서 시작하거나 엉덩이 둘레선에서 시작하는 플레어 시작 위치를 갖으며, 플레어 분량은 5cm인 고어드 스커트가 중년 비만체형 여성에게 긍정적인 이미지로 인식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고어드 스커트의 각 변인에 따른 패턴 설계법이 달라짐에 따라 나타나는 고어드 스커트의 형태와 이에 따른 이미지 변화를 규명하여, 패턴상에서 미리 완성되어진 고어드 스커트의 형태와 그 이미지를 예측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의복 제작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references in designing a gored skirt, which can give a positive image to mid-age obese women, with the change of visual image of a gored skirt according to the number of gores of a gore skirt, the starting point of flares, and the difference of a flare's width in the design of a gored skirt for mid-age obese women. For this research, total 27 different types of experimental skirts were designed and made with a material of 20 thread cott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gores of a gore skirt, the starting point of flares, and the difference of a flare's width. The images of gored skirts were evaluated with the pictures of experimental people, who have a mid-age obese body-shape, wearing the experimental skirts, from the front, side, and back view. With the semantic differential scale, expert group, whose major was clothing and textile, evaluated the visual images. SPSS Version 12.0 statistics program was utilized to analyze data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Duncan test were used according to research problems. The conclusion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1. The result of the visual images with the change of the number of gores in a gored skirt for mid-age obese women, from the front, side and back view; on the item 1, 'looks fat - looks thin',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from the front view, but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from the side and back view. A skirt with 4 gores and 8 gores made a rather thinner image than a skirt with 6 gores, which mean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ir perceiving images. Especially, the image of fatness was rather greater in a skirt with 6 gores, which couldn't compensate the weakness of a obese body-shape, and this result was supposed to come from the result that was cut as a folded line for the front and back central line. From the front, side and back view, a 4 gored skirt had images of comfortable, gracious, and formal, a 6 gored skirt had comfortable and a 8 gored skirt had comfortable and natural. The average of image evaluation items from the front, side, and back view showed that a 6 gored skirt had more negative images rather than a 4 gored shirt and a 8 gored skirt, so it is not appropriate for mid-age obese women. 2. The result of the visual images with the change of the starting point of flares in a gored skirt for mid-age obese women from the front, side and back view; from the front view,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5 items of 'uncomfortable - comfortable', 'looks bad - looks nice', 'unrefined - refined', 'unnatural - natural' and 'ungracious - gracious'. From the front view, a gore skirt, whose flare started from the hip-line and was located in the middle part, gained more positive evaluations for the visual image evaluation items and a gore skirt whose flare started from the right middle of the hip-line and knee-line gained more negative evaluations for all of the visual image evaluation items. From the side view,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12 items such as 'looks fat - looks thin', 'short lower body - long lower body', 'bulging belly - flat belly', 'looks old - looks young', 'uncomfortable - comfortable', looks bad - looks nice', 'unrefined - refined', 'heavy - light', 'looks dull - looks swift', 'unnatural - natural', 'unfashionable - fashionable' and 'styleless - stylish'. From the side view, a gore skirt whose flare started from the end of the dart and was located in a higher part gained more positive evaluations for the visual image evaluation items and, as same in the front view, a gore skirt whose flare started from a lower part gained more negative evaluations for all of the visual image evaluation items. From the back view,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3 items, 'uncomfortable - comfortable', 'unnatural - natural' and 'looks bad - looks nice'. A gored skirt whose flare started from a higher or middle position gained more positive images, and a gored skirt whose flare started from a lower part gained more negative images. From all the views, front, side, and back views, a gored skirt with a high flare-starting point had comfortable and natural image evaluations and a skirt with a middle flare-starting point had comfortable, nice, natural, and gracious image evaluations. A gored skirt with a low starting point gained formal image evaluation. The average of image evaluation items from the front, side, and back view showed that a gored skirt with a low starting point was perceived as a more negative image than a gored skirt with a high or middle starting point, which means that a gored skirt with a low starting point is not appropriate for mid-age women with obesity. 3. The result of the visual images with the change of a flare's width in a gored skirts for mid-age obese women from the front, side and back view;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1 item, 'looks old - looks young', from the front view and the wider a flare's width is, the younger they look.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from the side view, but meaningful differences were shown in 2 items, 'heavy - light' and 'looks wide - looks narrow' from the back view, which means flares with 3cm width were perceived as light and narrow images and flares with 5cm or 7cm width were perceived as heavy and wide images. From all the views- front, side and back views, a gored skirt with 3cm wide flares gained formal images and a skirt with 5cm wide flares got natural, gracious, and formal images. A gored skirt with 7cm wide flares got comfortable images. The average of image evaluation items from the front, side, and back view showed that a gored skirt with 5cm wide flares was perceived as the most positive image, which means that a gored skirt with flares of middle width is the most appropriate for mid-age obese women. With the overall research results, a gored skirt with 4 or 8 gores, with flares starting from the end of the dart or hip-line and with flares of 5cm width can be perceived as the most positive images for mid-age women with obesity. This study is supposed to contribute to making a gored skirt which can give positive images to mid-age obese women, by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images according to the style of gored skirts, which will be revealed with the change of the way of designing patterns and predicting the style and image of a gored skirt in advance on its pattern.

      • 싱글맘의 평생학습적 요구와 정책

        영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39

        ‘싱글맘(single mom)’은 이혼을 하거나 독신인 여성이 결혼 생활을 유지하지 않는 상태에서 아이를 낳아 혼자 양육하는 경우를 일컫는다. 최근 들어 싱글맘 가구는 그 수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데, 평생학습은 싱글맘 가구가 사회의 빈곤층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준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의 하나인 학습 생애사를 통하여 싱글맘의 평생 학습적 요구와 평생학습 정책을 알아보는 연구이다. 이 연구를 위한 연구문제는 싱글맘의 삶과 학습경험은 어떠한지, 이와 관련된 싱글맘의 평생학습활동과 평생학습 참여동기는 어떠한지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싱글맘의 평생학습을 돕기 위한 정책적 요구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싱글맘은 사회적 편견과 경제적 어려움, 가사노동과 자녀양육 등 싱글맘으로서 해결해야 할 많은 과제들을 안고 있었다. 그 중 가장 큰 어려움은 자녀 양육 문제와 경제적 문제였는데 특히 싱글맘 이후 1~2년은 싱글맘에게 매우 중요한 삶의 전환시기로 이 때 정부 지원이 많이 필요하다. 둘째, 싱글맘의 사유인 이혼, 사별, 미혼 중 출산 등의 사건은 삶의 전환이 되는 사건으로 싱글맘이 평생학습에 참여하게 되는 평생학습의 동기가 된다. 싱글맘의 평생학습 참여를 방해하는 요소로는 첫째가 시간적인 부족이고, 둘째가 경제적인 문제였다. 개인적 문제와 심리적인 부분은 개인적으로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싱글맘 이전의 학습경험이 긍정적이고 다양할수록 싱글맘의 평생학습 활동의 학습에 대한 기대와 만족감이 높았다. 싱글맘이 필요로 하는 평생학습은 직업능력 및 기능향상 교육이며, 싱글맘의 가정경제 안정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업능력교육이나 직업훈련교육이 절실하다. 넷째, 싱글맘이 가장 원하는 지원은 가정경제에서 부담이 큰 자녀의 사교육비 지원이었고, 보다 질 높은 교육의 기회를 자녀에게 주고 싶어 했다. 평생학습 참여를 위해 학습 참여의 장애요소를 정부가 적극적으로 해소해주었으면 했다. 싱글맘도 여성인력의 하나이다. 이는 국가와 사회의 중요한 인적자원의 개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싱글맘의 평생학습의 기회를 확대시켜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평생학습프로그램을 지원하여야 한다. 그리고 싱글맘의 자녀 양육은 직업 훈련 선택과 직업선택을 저해하는 가장 큰 요인이 되므로, 싱글맘의 평생학습 참여를 위해 아동보육서비스를 확대하고, 영아전담 보육시설의 확충 등 다양한 보육기회가 보장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국공립 보육시설을 확충하고, 민간시설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확대 되어야 한다. 주제어: 싱글맘, 학습생애사, 여성인적자원, 평생학습정책 ‘Single mom’ is a newly coined phrase that refers to a divorced or unwed mother who raises children on her own. Recently, the number of single mom households has been increasing in accordance with the growing divorce rate. Lifelong learning prevents single mom households from falling into poverty and gives them an opportunit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ives. This study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determine single moms’ needs for lifelong learning and what policy changes should be implemented by the government. We aimed to generally understand what single moms have experienced in their lives and in lifelong learning through their learning histories. The questions were made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single moms’ lives, learning experiences, and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learning activities in order to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in lifelong learning programs. Based on this research we aim to realize the political importance for single moms to participate in lifelong learn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ngle moms are faced with difficulties such as social prejudices, economic hardships, domestic labor, child care and so on. The greatest difficulties were child care and economic hardship. Especially, the first year or two after being a single mom is very important time for single moms. At this time, government support is required. Second, in terms of single moms' lifelong learning activities, the more positive and diverse single moms’ educational experiences had been, the higher their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with learning are. Lifelong learning for single moms involves vocational competency and promotion training. Vocational competency education or vocational training education is needed to stabilize single moms’ household economies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ives. Third, divorce, bereavement, and unwed birth, which are important changes in single mom's lives, affect their motivation for lifelong learning. Hurdles that keep single moms from participating in lifelong learning are lack of time and economic problems.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is preferred for lifelong learning because it grants certifications and licenses. Person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depended on each single mom's perception gap. Forth, the cost of private education, which puts a lot of pressure on household economies,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policy change needed for single moms to participate in lifelong learning. Single moms want to give their children high quality education. Also, Single moms want government to work more aggressively towards breaking down these barriers to participating in lifelong learning. Thus, understanding single moms as women workers who are important human resources in society should be intensified. Systematic lifelong learning programs should be supported to expand opportunities for single moms and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Furthermore, child care services and facilities should be increased and expanded to allow single moms to participate in lifelong learning. For this, public child care centers and government support for private child care centers should be expanded. <Keyword: single mom, learning life history. women’s resources, lifelong learning policy>

      • 환경적 안구건조증 모델에서 안구 건조증 치료 후보물질로서 RCI001의 효능

        구영아 가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39

        Dry eye disease (DED) is prevalent and mainly caused by tear hyperosmolarity and tear film instability owing to desiccating stress. We evaluated the therapeutic effects of topical RCI001 (RCI) and compare its efficacy with that of 1% prednisolone acetate (PDE) and 5% lifitegrast (Lifite) in an environmental dry eye disease (DED) model. Scopolamine-induced 6-week-old BALB/c mice in a dry chamber were used as an environmental DED model. The eyes of mice were topically treated with phosphate-buffered saline (PBS), PDE, Lifite, or RCI twice a day for a week. Ocular surface staining (OSS), tear secretion, inflammatory cytokines in the ocular surface and lacrimal gland, and immunofluorescence staining in the conjunctiva and cornea (CC) were assessed. RCI demonstrated better improvement of OSS and tear secretion than PBS (OSS/tear secretion: P<0.01/<0.001) and better clinical efficacy than PDE and Lifite on day 7 (improvement rate of OSS – RCI: 32.45%, Lifite: 13.13%, PDE: 12.25%, PBS: 0.76%; tear secretion – RCI: 7.0±0.3 mm, Lifite: 6.6±0.4 mm, PDE: 6.5±0.5 mm, P<0.01). In the RCI group, inflammatory cytokines in the CC (TNF‐α, CXCL1, IL‐18, IL‐1β, IL‐17a, and IL‐6) and lacrimal gland (IFN‐γ, IL‐18, IL‐17a, IL‐1β, IL‐6, TGF‐β, and IL‐10)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those in the naïve control, Lifite, and PDE groups (P>0.05). RCI also resulted in lower expression of oxidative stress markers in the CC than PDE and Lifite (4-HNE, NOX2, and NOX4 in the conjunctiva; NOX2 in the cornea). Topical RCI001 exhibited excellent therapeutic effects in environmental DED models by stimulating tear secretion, modulating oxidative stress, and improving corneal epithelial healing compared to 1% PDE and 5% lifitegra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