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감자 단엽묘 생산을 위한 기내배양과 microponic system의 환경요인 구명

        고선아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1855

        전 세계 4대 식량자원 중 하나인 감자(Solanum tuberosum L.)는 바이러스로 인한 생산량 감소의 문제로 조직배양을 이용한 무병주 생산으로부터 수경재배 소괴경 생산체계가 확립되면서 건전묘를 대량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기내 묘로부터 수경재배 묘를 얻는 순화과정에 많은 노력과 시간 등 경제적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가공용 감자 ‘새봉’의 무병주 대량생산을 위하여 microponic system에서 단엽 묘 유지를 위한 환경요인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Microponic system을 도입하기 위해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조직배양 기내환경요인을 알아보고자 배지 내 당 농도에 따른 감자의 생육을 비교하였다. 초기 뿌리형성은 배지의 당 농도 0.5%가 1.5%에 비해 4~5일 늦게 발생하여 유의성이 나타나고 생체중에서 MS배지에서 0.47g로 다른 배지들보다 높았다. 그러나 줄기길이, 마디수는 당 농도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양액의 농도에 따른 감자의 생육을 비교한 결과 전기전도도 1.0 dS․m-1, 1.5 dS․m-1 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배양액의 농도가 높은 2.0 dS‧m-1에서 절간길이가 짧아져 계대배양 시 치상체가 너무 작아 수량적 효율성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고 MS배지에서는 3주까지 꾸준한 생장이 지속되나 3주 후부터 생육이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Microponic system에서 광 변화가 감자의 단엽묘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30㎛ol·m-2·s-1, 50㎛ol·m-2·s-1, 70㎛ol·m-2·s-1 의 광 강도로 실험한 결과 30㎛ol·m-2·s-1 에서 63일, 50㎛ol·m-2·s-1 에서 34일, 70㎛ol·m-2·s-1 에서 29일로 나타나 30㎛ol·m-2·s-1 에서 가장 오랫동안 단엽상태를 유지할 수 있었다. 소괴경 생산을 위한 묘생산은 50㎛ol·m-2·s-1 과 70㎛ol·m-2·s-1 에서 생육의 유의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소괴경 생산을 위한 묘의 품질에서는 3개 처리 모두에서 양호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기공밀도는 70>50>30 ㎛ol·m-2·s-1 의 순으로 기공수가 많았다. 기공의 크기는 30㎛ol·m-2·s-1 의 저광도에서 길이 17.14µm, 2.8µm로서 70㎛ol·m-2·s-1의 13.3µm, 1.9µm에 비하여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0㎛ol·m-2·s-1에서 기공의 발달정도가 낮고 형태가 균일하지 못하면서 돌출형태가 70㎛ol·m-2·s-1에 비해 약한 것을 볼 수 있었다. 배양액농도변화가 감자 ‘새봉’의 단엽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배양액의 전기전도도를 0.2, 0.6, 1.0, 1.4, 1.8, 14.0 dS·m-1으로 조절하였다. 치상 7일 후 생존율은 0.2 dS·m-1에서 90%, 0.6 dS·m-1에서 100%, 1.0 dS·m-1에서 100%, 나머지 1.4, 1.8, 14 dS·m-1에서 0%이었다. 배양액의 농도를 1.0 dS·m-1으로 조절한 처리에서 이식 2일 후 뿌리가 발육 되어 18일 만에 7개의 엽, 길이 5cm, 생중 0.5g이상의 식물체로 생육하였다. 묘 생산을 위한 적정배양액의 농도는 0.6 dS·m-1이상 1.0dS·m-1수준으로 나타났다. Microponic system에서 감자 소식물체의 대량증식에 적합한 수경재배 시스템을 선발하고자 담액수경(DFT)방식, 분무경(aeroponic system)방식, 심지재배방식(wick hydroponic)의 시스템에 1마디, 3마디, 5마디씩 경삽하였다. 담액수경에 3마디 경삽하여 20일째 길이 5.31cm, 엽수 7.5개. 평균 뿌리내린 일수는 1.3일로 가장 양호하였다. 담액수경의 5마디 경삽처리에서 길이 5.95cm, 엽수 7.7일. 평균 뿌리내린 일수 1일로 3마디처리와 유의차가 없으나 삽수 묘로 이용할 목적이라면 3마디 처리가 경제적으로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된다. 심지재배방식에서는 1마디, 3마디, 5마디 모두 다른 두 시스템에 비해 가장 작은 값을 나타냈다. 이 중 가장 양호한 5마디 경삽처리는 줄기길이 3cm, 엽수 5개, 뿌리내린 일수 8일로 담액수경에 비해 0.5배 감소되었다. 분무경 방식에서는 초기 생육 시 저습으로 잎말림 현상이 관찰되었으므로 분무시간에 따른 상대습도를 높이는 방안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 For potatoes(Solanum tuberosum L.), one of the world’s four food resources, there is economic difficulties including a lot of time and efforts in the process which establishes the hydroponic system minituber production system and attempts healthy seedlings mass production from virus-free plant production which used tissue culture or gets hydroponic system seedlings from propagules because of declines in production due to virus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bring light on environmental factors to keep simple leaf seedlings in the microponic system for virus–free plant mass production of ’SeaBong, potatoes for processing.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otatoes according sucrose concentration in media were compared to examine in vitro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tissue culture which must be carried out to introduce the microponic system. Rhizogenesis of the initial stage has found that significance of sucrose concentration with 0.5% occurred and appeared 4 to 5 days later than that of sucrose concentration with 1.5%. And fresh weight has found that MS medium is higher than other media as 0.47g. However, the culm length and node numbers have found not to be influenced by sucrose concentration. The result which compared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otatoes according to concentration of culture media has found to be the best when the conductivity was 1.0 dS‧m-1 and 1.5 dS‧m-1. It is thought that too small explant will affect quantitative efficiency in passaged culture as the internode length gets shorter when it’s 2.0 dS‧m-1 that concentration of culture media is high. MS media has found that the growth continued for three weeks but the growth and development tended to be relatively slow. The result which was tested with light intensity of 30㎛ol·m-2·s-1, 50㎛ol·m-2·s-1, and 70㎛ol·m-2·s-1 to examine the effect of light change in the microponic system on maintenance of simple leaf seedlings of potatoes has found that the longest simple leaf state could be kept when light intensity is 30㎛ol·m-2·s-1 as it’s 63 days at 30㎛ol·m-2·s-1, 34 days at 50㎛ol·m-2·s-1, and 29 days at 70㎛ol·m-2·s-1. It has found to be no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rowth and development when it is 50㎛ol·m-2·s-1 and 70㎛ol·m-2·s-1. The quality of seedlings to produce seed potatoes has found to be all good in three types of treatment. The stomatal density observed with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has found that the number of stoma is higher in order of 70>50>30㎛ol·m-2·s-1. The size of stoma when it is 30㎛ol·m-2·s-1 has found to be larger as the length of 17.14µm and 2.8µm than that when it is 70㎛ol·m-2·s-1 as the length of 13.3µm and 1.9µm. The development of the stoma when it is 30㎛ol·m-2·s-1 could not be uniform as it was low and the protrusion shape could be found to be weaker than that when it is 70㎛ol·m-2·s-1. The conductivity of culture media was adjusted to be 0.2, 0.6, 1.0, 1.4, 1.8, 14.0 dS·m-1 to examine the effect of concentration change on the maintenance of simple leaf of potatoes, ‘SeaBong’. The survival rate 7 days after explant has found to be 90% when it is 0.2 dS‧m-1, 100% when it is 0.6 dS·m-1, 100% when it is 1.0 dS‧m-1, and 0% when it is 1.4, 1.8, and 14 dS·m-1. As a root was grown two days after transplantation in the treatment that concentration of culture media was adjusted to be 1.0 dS‧m-1, it was grown as the plant body with 7 leaves, the length of 5cm, and biopolymer of more than 0.5g in 18 days. The concentration of culture media was adjusted to be 0.6 to 1.0 dS·m-1. Stem cutting of each 1, 3, and 5 nodes was done in the deep flow technique(DFT), aeroponic system, and wick hydroponics. As the length was 5.31cm, there are 7.5 leaves, and the average number of days which put down roots is 1.3 days in the 20th day after stem cutting of 3 nodes was done, it was the best. In stem cutting of 5 nodes in the deep flow technique(DFT), there is no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t and stem cutting of 3 nodes as the length was 5.95cm, there are 7.7 leaves, and the average number of days which put down roots is 1 day. However, it is thought that stem cutting of 3 nodes is more economical than that of 5 nodes if it will be intended to be used as cuttings seedlings. In wick hydroponics, the 1, 3, and 5 nodes showed the smaller values than those of the other two systems. Stem cutting of 5 nodes which is the best among them is half the size of stem cutting of 5 nodes with the deep flow technique (DFT) as the length was 3cm, there are 5 leaves, and the average number of days which put down roots is 8 days. In the aeroponic system, increase of relative humidity according to spray time should be considered as leaf rolling was observed due to low humidity in the initial growth and development stage.

      • 공권력의 여성인권 침해에 관한 언론보도의 비교 : '한총련 시위학생 성추행' 사건보도를 중심으로

        고선아 광주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1855

        Korea is an authoritative society where military culture is somewhat approved as the result of division of the country so South and North Korea. In this authoritative society, laborers and women who belong to the minority group, the oppressed class, were not considered properly as mush as they hav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country. Especially, women have been excluded from getting the suitable social positions without being able to get away from the ongoing social and historical oppression. In fact, even the people who are classified as the intellectual group have played a part in a way to make the alienation of women happen in this society. If the news report that female university students demonstrating at Yeon-Se university were sexually harassed as a group by the police officers failed to be taken as a controversial hot social issue, what is the mechanism that makes it possible and what is the main problems of the news reports of that time? I will research on the dominated attitude of news reports of Korea's main newspapers and its fairness through the news report on the incident of the sexual harassment of the police officers on the demonstrati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belong to Hanchongyon whic happened at Yeon-Se University in 1996. The research topics are as follows. Research Topic 1: How did Korea's main newspapers prescrive Hanchongyon in 1996? Research Topic 2: How was the attitude of news reports of Korea's main newspapers about the police officers sexual harassment on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demonstrating at Yeon-Se university in 1996? Research Topic 3: Did the Korea's main press report fair enoug news reports on the incident of Hanchongyon and the police officers sexual harassment at that time? 「Seoul shinmun」, 「Chosun Ilbo」, 「Donga Ilbo」, and「Hangyeore shinmun」are the newspapers that were analyzed. I divided the attitude of the news reports of the mentioned four newspapers on the incident of the police officers sexual harassment on the demonstrati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to four reporting styles and analyzed them by the content of the news reports. I found out that they were treating the incident from each different point of view with the difference of balance. First of all, 「Seoul」,「Chosun」and「Donga」seem to take the hostile attitude toward Hanchongyon after the incident of 1996 at Yeon-Se university whereas 「Hangyeore」does not. This can be seen in the editorials of each newspaper at that time. Secondly, 「Seoul」,「Chosun」and「Donga」did not allocate much space for the reports on the incident of 1996 at Yeon-Se university while 「Hangyeore」reported the news considerably from the beginning of the happening. The number of the reports on Hanchongyon shown on 「Chosun」was 236 and that of 「Hangyeore」was 241. However, the numbers of the news reports on the police officers sexual harassment on the demonstrati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at Yeon-Se university shown on 「Chosun」and 「Hangyeore」were 12 and 22 respectively. This explains that even the radical newspaper in Korea, 「Hangyeore」, does not have any big difference from the conservative 「Chosun」and shows how the status of the rights of women in Korea is treated. Thirdly, 「Chosun」and 「Donga」appear to report the incident of 1996 at Yeon-se university from the rulers point of view while 「Hangyeore」takes the opposite. Therefore, these three newspapers do not fit the criterion of the news reports of the press should be fair and objective. Through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it can be concluded that each newspaper has its own viewpoint and treats a specific news in a biased manner not paying attention to the opposite views or the voices of the minorities, the oppressed. In other words, the press in Korea doesnt seem to report the fair and objective on a particular incident, nor does it take the neutral attitude for the just news report.

      • 바깥놀이 중심의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고선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sci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outdoor play for young children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What is an sci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outdoor play for young children? 1-1. What are the a goal and aims of the program? 1-2. What are the contents of the program organized? 1-3. What are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of the program organized? 1-4. What are the evaluation methods of the program? 2. What are the effects of the sci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outdoor play? 2-1. What ar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2-2. What ar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increasing young children’s curiosity? 2-3. What ar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In order to develop the sci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outdoor play for young children,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In addition, five-year-old children in a class were observed, teachers were interviewed and the draft of the program was developed. Suitability and validity of the draft was verified by experts. The developed program consisted of an goal, aims,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Details are as follows. The goal of the sci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outdoor play for young children was to develop a young child’s ability for exploring creatively his/her environment with curiosity. There were four aims to accomplish this goal: First, having attitude to actively explore phenomena and objects in outdoor areas with continuous curiosity about them. Second, raising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Third, developing abilities to use scientific process skills. Fourth, increasing understanding about scientific knowledge relating to outdoor environment. The educational contents consisted of three element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Knowledge included life sciences, physical sciences, and earth sciences. Skills included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ttitude consisted of curiosity.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of the program consisted of teaching-learning principles, teaching-learning procedure, teaching strategies, teacher’s roles, and teaching-learning materials. Teaching-learning principles are play-based principle, inquiry process-based principle, principle based on direct experience , the principle of integration, the principle of individuality and the principle of spontaneity. The teaching-learning procedure had 3 stages: exploration, inquiry, and communication. The stage of exploration was free play. The stage of inquiry was raising scientific questions and solving the questions. The stage of communication was representing scientific inquiry processes as scientific newspapers and sharing them with others. The teaching strategies were as follows: promoting creative thinking, causing and increasing curiosities, and encouraging young children’s active participation in scientific inquiry process. Strategies for promoting creative thinking included questioning to stimulate divergent thinking, questioning to stimulate convergent thinking, an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discussion. Strategies for causing and increasing curiosities were offering plenty of time for exploration, providing specific context and real materials, and causing cognitive conflicts. Strategies for encouraging active participation in scientific inquiry process were raising questions, organizing variously groups, inducing healthy competition, proposing the application of scientific process skills. The teacher’s roles were creator for outdoor environment, facilitator for discovering learning, and safety supervisor.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were play apparatus and play tools in outdoor areas, natural objects, instruments for exploring and measuring. Finally, evaluation of the program consisted of children's evaluation, teacher's evaluation, and program evaluation. This program was applied to 46 children (23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3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at two kindergartens in Seoul from September, 2013 to December, 2013 in order to examine its effects. The pre-test for young children’s creativity, curiosity, scientific process skills was conducted before applying this program. After applying the program for fourteen weeks, the post-test was conducted. The data were analyzed by ANCOVA with SPSS 15.0 WIN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post-test showed that a total score of creativity and its sub-scores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imagin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experimental group than comparative group. Therefore, this program influenced to increas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Second, the result of post-test show that a total score of curios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xperimental group than comparative group. A score of exploring behavior as sub-elements of curiosity were higher in experimental group than comparative group but a score of preference the unknown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result of post-test show that a total score of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its sub-scores (prediction, observing, categorizing, gauging, and discuss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experimental group than comparative group. Therefore, this program influence to increasing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In conclusion, the sci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outdoor play for young children was effective to increase young children’s creativity, curiosity, and scientific process skills. This reflects that this science education program is meaningful to apply in real educational field Also, the results suggest that this program is distinguished from previous science education programs. 본 연구의 목적은 바깥놀이 중심의 유아과학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만 5세 유아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바깥놀이 중심의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 1-1. 바깥놀이 중심의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무엇으로 설정할 것인가? 1-2. 바깥놀이 중심의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어떻게 조직할 것인가? 1-3. 바깥놀이 중심의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1-4. 바깥놀이 중심의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떻게 할 것인가? 연구문제 2. 바깥놀이 중심의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2-1. 바깥놀이 중심의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2. 바깥놀이 중심의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호기심 증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3. 바깥놀이 중심의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과정기술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바깥놀이 중심의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검토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현장관찰과 교사면담을 진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프로그램의 시안을 개발하였고, 전문가 협의 및 예비연구를 통해 시안의 적합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은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로 구성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바깥놀이 중심의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목적은 주변세계에 호기심을 갖고 창의적으로 탐구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네 가지의 구체적인 목표를 선정하였다. 첫째, 실외의 사물과 현상에 대한 지속적 호기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탐구하는 태도를 기른다. 둘째,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른다. 기르기, 셋째, 과학과정기술 활용 능력을 기른다. 넷째, 실외 환경과 관련된 과학 지식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킨다.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은 과학교육 내용의 3요소인 지식, 기술, 태도 측면으로 나누어 구성하였으며, 지식은 생명과학, 물리과학, 지구과학으로, 기술은 과학과정기술과 창의적 문제해결로, 태도는 호기심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교수-학습 원리, 교수-학습 과정, 교수 전략, 교사 역할, 교수-학습 자료로 구성하였다. 교수-학습의 원리는 놀이중심의 원리, 탐구과정중심의 원리, 직접 경험의 원리, 통합의 원리, 개별성의 원리, 자발성의 원리이다. 교수-학습 과정은 탐색, 탐구, 의사소통의 3단계로, 탐색 단계는 자유놀이의 단계이며, 탐구 단계는 과학적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하는 단계이며, 의사소통 단계는 과학탐구과정을 과학신문으로 표상하고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단계이다. 교수전략은 창의적 사고를 촉진하고, 호기심을 증진시키며, 과학 탐구 과정에 유아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전략으로 구성하였다. 창의적 사고를 촉진하는 전략은 확산적 사고를 촉진하는 질문하기, 수렴적 사고를 촉진하는 질문하기, 토의 기회 제공하기이며, 호기심을 유발하고 증진하기 위한 전략은 충분한 탐색 시간 제공하기, 구체적 상황과 실물자료 제공하기, 인지적 갈등 유발하기이며,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전략은 문제 제기하기, 다양하게 집단 구성하기, 건전한 경쟁 유도하기, 과학과정기술 활용 제안하기이다. 교사 역할은 실외 환경 조성자, 발견학습 촉진자, 안전 관리자이며, 교수-학습 자료로는 바깥 놀이터의 놀이기구나 도구, 자연물, 측정 및 탐색 도구 등이 포함된다. 프로그램의 평가 방법은 대상에 따라 유아 평가와 교사 평가 그리고 프로그램 평가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바깥놀이 중심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2013년 9월부터 12월까지 서울시에 위치한 유치원 2곳의 유아 46명(실험집단 23명, 비교집단 2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 유아의 창의성, 호기심, 과학과정기술에 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14주간의 프로그램 적용 후 동일한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렇게 수집한 결과는 SPSS 15.0 Windows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 분석을 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바깥놀이 중심의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바깥놀이 중심의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종합 창의성 및 창의성의 하위요소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 모두에서 실험집단의 사후점수가 비교집단의 사후점수보다 높았으며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바깥놀이 중심의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호기심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호기심 총점에서 실험집단의 사후점수가 비교집단의 사후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호기심의 하위 요소 중 탐색행동은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비교집단의 유아들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미지선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바깥놀이 중심의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과정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과학과정기술 총점과 과학과정기술의 하위요소인 예측하기, 관찰하기, 분류하기, 측정하기, 의사소통하기 모두에서 실험집단의 사후점수가 비교집단의 사후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유아의 과학과정기술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바깥놀이 중심의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호기심, 과학과정기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는 바깥놀이 중심의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함을 보여주는 것이며, 기존에 이루어졌던 과학교육 프로그램과 차별화된 프로그램으로서의 가치가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 광우병과 멜라민 사태에 대한 신문의 보도 프레임 연구

        고선아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News in newspapers reflect issues in reality, serving as a main passage for the public to perceive issues in reality. Therefore, reporting attitudes of newspaper's news have sufficient effects on how the public perceives a specific issue. In this modern society where scientific developments are rapidly performed and high-tech sciences are closely attached to daily life, in particular, news on scientific issue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serve as a foundation for desirable value judgement of the public. The last year of 2008 was a year when BSE(also known as mad cow disease) and melamine as scientific and economic issues attracted fullest attention.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porting attitudes of newspapers centered on the two issues, to identify problems of the attitudes of Korean newspapers, and to present desirable directions for reporting. In this study the author analyzed the news reported by the Dongailbo and the Hankyoreh by classifying the periods that mad cow disease and melamine were taken as issues, and then identified changes in the reporting attitudes by periods via frame analysis. As for the mad cow disease, the periods for analysis were divided into between January and March 2001 when the diseases spread over Europe, between December 2003 and January 2004 when mad cows were shown in US, between November 2006 and March 2007 when controversies emerged after the revision of import health requirements, and between April and July 2008 when candle demonstrations emerged as the Korea-US Beef Agreement was settled. As for the melamine, the periods for analysis were divided into September 2008 when the Chinese melamine crisis began to be reported, October 2008 whe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melamine in domestic products, and between November 2008 and February 2009 when the news on melamine began to be finish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news on both mad cow disease and melamine focused on the affairs rather than on the themes. Although the two issues have scientific facts, there were few news in which the two issues were dealt with to be scientific, and the rate was declined as time passed. In particular, the mad cow disease crisis had been reported as economic news, however, as time passed, the theme was treated as news on conflicts, and news on its economic and scientific aspects were declined. This phenomenon is in line with the news centered on issues, which were pointed out to be the problem of Korean journalism, indicating that the mad cow disease crisis was sought by formal realism and was reported to be an issue of conflicts. Meanwhile, as for the melamine crisis, there were few scientific news on it, despite presence of accurate information of the toxicity of melamine, indicating that it is insufficient to deliver accurate information needed for the public. Also, while the mad cow disease crisis with high uncertainty was concluded to be an issue of conflicts and responsibility attribution, the melamine crisis with high certainty was concluded to be an issue of economy, indicating that uncertainty and factors of controversy affected reporting attitudes. 신문의 기사는 현실의 이슈를 반영함과 동시에, 대중이 현실의 이슈를 인식하게 하는 중요한 통로가 된다. 따라서 신문의 기사가 갖고 있는 보도태도는 대중들이 어떤 이슈를 어떻게 받아들이는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과학적인 발전이 빠르게 이뤄지고 있고, 생활 속에서 첨단과학이 매우 가깝게 접목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과학적 이슈에 대한 보도는 대중들의 올바른 가치 판단의 근거가 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지난 2008년 한 해는 광우병과 멜라민이라는 과학적이고 경제적인 이슈가 큰 관심을 끌었던 해였다. 이에 본 연구는 광우병과 멜라민 사태를 중심으로 신문의 보도 태도를 분석하고, 현재 우리나라 신문의 보도 태도의 문제점을 파악해 앞으로 바람직한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광우병과 멜라민이 이슈로 다뤄진 시기를 구분해 동아일보와 한겨레 신문기사를 분석한 뒤, 시기별로 보도 태도의 변화가 있었는지를 프레임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광우병의 경우, 광우병이 유럽에서 확산되었던 2001년 1월~2001년 3월, 미국에서 광우병 소가 발생했던 2003년 12월~2004년 1월, 수입 위생 조건 개정 후 논란이 불거진 2006년 11월~2007년 3월, 한미 쇠고기 협상이 타결되면서 촛불집회가 일어났던 2008년 4월~2008년 7월을 분석 대상 시기로 삼았다. 멜라민의 경우에는 중국발 멜라민 사태가 보도되기 시작한 2008년 9월, 국산 제품의 멜라민 분석 결과가 발표된 2008년 10월, 그리고 멜라민 관련 보도가 마무리되는 2008년 11월~2009년 2월을 분석 대상 시기로 삼았다. 분석 결과, 광우병 사태나 멜라민 사태 모두 주제 중심보다는 사건 중심 보도에 치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두 사태 모두 과학적 사실(fact)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학적 뉴스로 다뤄지는 비율은 무척 낮았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그 비율은 더욱 줄어들었다. 특히 처음 경제적 뉴스로 보도되던 광우병 사태는 시간이 흐를수록 경제적이고 과학적인 보도는 줄어들고 갈등적 뉴스로만 다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그동안 우리나라 언론의 보도 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사건 중심 보도와 맥락을 같이하는 것으로, 광우병 사태가 형식적인 사실주의만을 쫓아 갈등적 사건 보도로 다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멜라민 사태는 멜라민 독성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멜라민 사태에 대한 과학적 뉴스의 비중이 낮아 대중들이 필요로 하는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데 부족했다는 걸 알 수 있었다. 또한 불확실성이 높은 광우병 사태는 갈등적이고 책임귀인적인 사건으로 귀결되는 반면, 확실성이 높은 멜라민 사태는 경제적 사건으로 귀결되어 불확실성과 논쟁적 요소가 보도 태도에도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순환예비품 이력관리를 위한 RFID Tag 적용방안 및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고선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철도차량의 순환예비품은 차량의 영업운행을 위해 짧은 시간에 정비를 하기위하여 불량 부품을 예비품으로 교환하는데, 이 예비품을 말한다. 이러한 예비품은 구성품의 고장 발생 또는 예방정비의 필요시 폐기하지 않고 정비 후 재사용하는 부품이다. 순환예비품은 대부분 고가이면서, 예비품 부족할 때 철도차량의 가용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효과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순환예비품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부품별로 식별할 수 있는 고유번호를 부여하고 이력 관리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식별번호를 기준으로 하는 현재의 방법은 순환예비품의 정확한 이력을 기록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문제점의 개선을 위해 바코드가 도입이 되고 일부 적용하고 있지만 한정된 데이터기록과 내구성의 취약점 등의 원인으로 그 활용은 확대 되지 못하고 있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데이터 수집을 자동화한 Tag로, 부품의 재고관리 및 이동자산의 이력 추적을 자동화할 수 있는 기술로 인정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RFID 기술의 철도차량의 순환예비품의 이력관리에 대한 적용 가능성과 그 방안에 대해 다루었다 Repairable items of railroad vehicle are recycling parts after maintenance without abolishment. Repairable items should be effectively managed because the price is high and it affects to the availability of railroad vehicle in case of lack of spare parts. Generally, specific ID number is given to each repairable items and their histories are managed. However, it need much time and effort to input exact data. Even though bar-cord is introduced and partly applied to overcome the weakness, it is not extensively used due to limited data and weak of durability.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one of automatic tags is recognized as a technology for the automatized inventory management of items. In this study, we deal with possibility and method to adapt historical management for repairable items of railroad vehicle with RFID technology.

      • 수경재배시스템에서 고구마의 생육특성

        고선아 서울시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국문 초록 고구마는 최근 NASA에서 미래의 우주식품으로 선정하였으며, 식물공장, 수직농장(vertical farm), 무병묘 육성에도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으므로 고구마의 수경재배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혼합 고형배지 (cocomut coir : perlite=7:3(v/v))베드에 고구마 괴근형성 위치를 알아 보고자 묻는 마디수를 각각 6마디, 8마디, 10마디로 달리하여 104일간 재배하였다. 실험결과 8마디 묻힘에서는 4.1개로서 가장 높았고 6마디와 10마디 처리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괴근 형성분포양상은 6마디 묻힘처리에는 4, 5, 6절에 88.2%, 8마디 묻힘에서는 6, 7, 8절에 88.0%, 10마디 묻힘에서는 8, 9, 10절에 76.47%가 형성되어 묻힘 마디수 처리에 상관없이 지제부에 근접한 주변 마디 부위에 괴근형성이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다음으로 다양한 수경재배시스템에서의 괴근형성 여부를 알아보고자 혼용 고형배지경 coconet coir 100%, coconut coir:perlite=5:5, coconut coir:perlite=7:3, perlite 100%, 순수수경 aeroponics, modified DFT, DFT로 사용하였으며 노지에 대조구를 두어 90일간 실험하였다. 고형 배지경 방식에서는 주당 괴근 형성이 60일∼90일후 처리에 따라 2∼9개 형성되었으나, 순수수경방식에서는 전혀 형성되지 않았다. 분지수는 coconut coir: perlite=7:3처리에서 9개를 형성하여 노지 0개에 비하여 높은 값을 보여주었다. 배지 재배에서 근권내 수분함량과 괴근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심지 방식을 이용하여 수경재배 하였다. 무심지처리 배지 내 수분함량은 16.2-20.6%로 가장 낮았으며, 2개심지 처리에서는 23.4∼43.5%, 4개심지 처리에서는 34.3∼55.4%, 6개심지 처리에서는 47.1∼56.0%로 가장 높았다. 심지 갯수에 따른 고구마생육특성에서는 처리간 차이가 없으나 심지를 2개 연결한 처리구의 근권내 함수량이 23.4~43.5%를 나타내어 괴근 형성률이 좋은 이 범위가 적합한 수준의 함수량인 것으로 판단 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basic information of sweetpotato cultivation in hydroponic systems at the University of Seoul from May to November 2009. The study was composed of three parts to find out: effect of number of planted nodes of cuttings on production of tuberous roots; effect of growing media on production of tuberous roots; and effect of moisture content in growing media on production of tuberous roots. For the first experiment, 6, 8 and 10 nodes of different cuttings were planted in mixed substrate (coconut coir:perlite = 7:3, v/v) and were cultivated for 104 days with the uos nutrient solution for potato. Eight-node-plant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tuberous root development. Two types of hydroponic system, mixed growing media (100% coconut coir; coconut coir:perlite=5:5; coconut coir:perlite=7:3; and 100% perlite) and water culture (aeroponics; DFT; and modified DFT), were adopted for the second experiment. For all the sweetpotato plants cultivated with mixed growing media, 2-9 tuberous roots per plant depending upon treatment were developed at 60 to 90 days after transplanting, whereas no tuberous roots were developed with water culture. Four polyvinyl chloride (PVA) bags were prepared. Bags filled with 100% coconut coir were installed over the nutrient solution. Each bag and nutrient solution were connected with 0, 2, 4 and 6 wicks, respectively. Sweetpotato cuttings were transplanted in each bag and were cultivated for 75 days to find out effect of moisture content of growing media on growth of sweetpotato. Results showed that number of tuberous roots per plant with 2 wicks was more than that of other treatment.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In conclusion, sweetpotato production can be performed successfully in the hydroponic system with substrate culture.

      • 알베르 카뮈의 이방인에 나타난 사물화 현상 연구

        고선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Cette étude se donne pour objet d'analyser la manière dont Albert Camus montre la réification à travers L'Étranger. Pour cela, nous analysons d'abord les caractétistiques du roman traditionnel qui a connu son apogée dans les années 1880 jusqu'à la fin du 19me sciècle. Nous étudions également le Nouveau Roman qui est apparu en proposant de nouvelles techniques et recherches sur le roman lui-même sous l'effet de l'étude de l'inconscient et de l'irrationnalisme du 19me sciècle jusqu'à la première moitié du 20me sciècle. C'est pour comprendre le contexte de l'année où ce roman est paru qu'il faut tenir compte du roman traditionnel et de Nouveau Roman à la fois. Il nous a semblé important de comprendre la contexte pour étudier la réification dans L'Étranger de Camus. Dans le roman traditionnel représenté ,par exemple, par Balzac, le personnage peut être pensé comme détérminé par la société; il a le pouvoir de présenter toute l'histoire. L'histoire se déroule chronologiquement et les lecteurs peuvent s'identifier ou se différencier des personnages. Cependant le Nouveau Roman apparu dans les années 1950, a refusé les techniques réalistes utilisées par le roman traditionnel. Les personnages du Nouveau Roman sont présentés comme des choses montrées de l'exterieur: les lecteurs ne peuvent plus comprendre facilement l'histoire présentées par des personnages réifiés. Camus a écrit L'Étranger en 1942 avant l'apparition du Nouveau Roman, mais il avait déjà conscience de l'absurdité du monde et pour lui, la réalité n'était pas claire. La conception du monde des auteurs du Nouveau Roman des années 1950 n'est pas différente de celle de Camus : on peut le comprendre en anlysant la conscience fine de la réalité dans L'Étranger. Dans le chapitre Ⅰ, nous avons étudié le roman traditionnel et ses limites narratives et également présenté les techniques nouvelles du Nouveau Roman pour dépasser ces limites. Pour cela, nous avons montré comment les personnages et l'histoire dans le roman traditionnel sont réifiés dans le Nouveau Roman. Chaque partie est composée d'analyse de citations de textes de L'Étranger pour compredre le technique de réification. Dans le chapitre Ⅱ, nous avons éclairci le lien entre l'absurde et la réification. Concernant le concept de l'absurde, nous avons suivi l'analyse de Henning Krauss. La partie 1 se développe en 3 étapes : l'absence de conscience humaine, la possibilité de conscience humaine et la révolte. Nous avons étudié le lien entre l'absurde et la réification au cours de ces 3 étapes. Dans la partie 2, nous avons défini le système juridique et la religion comme un mécanisme indépendant dans le monde réifié et a analysé qu'ils approfondissaient la réification des personnages et de l'histoire dans L'Étranger. Dans le chapitre Ⅲ, nous avons commencé à analyser la réification dans L'Étranger. La partie 1, Le Personnage, est consacrée, d'abord, à la réification de Meursault qui se dirige vers l'impersonnalité. Ensuite, nous avons analysé les réifications plus subtiles de la mère ou bien celle du prêtre et du directeur de l'asile avec celle de Meursault. Dans la partie 2, L'Histoire, nous nous sommes intéréssé aux témoins: le directeur de l'asile, le concierge de l'asile, Thomas Pérez, Céleste, Marie et Raymond. Ils aident à former le faux lien causal entre les comportements de Meursault et le meurtre en témoignant l'indifférence de Meursault après l'enterrement de sa mère. Nous y avons vu une conséquence de la réification de l'histoire qui a perdu le lien de causalité dans le Nouveau Roman. Les témoins Marie et Raimond sont perçus comme illogiques, et disparaissent en vain dans la cour de justice réifiée. Le témoins Raymond qui s'est dit que la cause du meurtre était le hasard s'est débarrassé de son idée d'une chose à abandonner même s'il se situe trés près de la vérité. Dans la partie 3, La Réification de la conscience humaine, se prolonge par l'étude du concept de L'Absurde et La Réification. Dans le chapitre Ⅳ, nous avons examiné ce roman sous l'aspect de sa technique narrative romanesque. La subjectivité "objectivée", la répétition et la technique de lentille objectivée sont révélées pour analyser la réification dans L'Étranger. Pour cela, la répétition des mêmes questions dans la salle de procès et l'apparition de divers types de soleil qui accompagnent Meursault sont analysés et l'impersonnalité de Meurault est analysée par des citations. L'Étranger de Camus a été étudié par beaucoup de chercheurs depuis sa publication. Nous avons essayé de compredre la réification dans L'Étranger sous l'aspect métaphisique et sous l'aspect formel à la fois. Nous avons ainsi ajouté une autre possibilité d'analyser la réification dans L'Étranger. 본 논문의 목적은 까뮈의 작품 『이방인』이 산업 사회의 사물화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것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830년대부터 19세기 말까지 프랑스의 소설장르에서 전성기를 구가하였던 전통소설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중반에 걸쳐 무의식과 비합리주의로 대표되는 사상에 영향을 받아, 새로운 기법과 소설 자체에 대한 탐구를 내세우며 등장한 누보로망의 경향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사회학적인 개념에서 시작된 사물화가 소설 장르에서 드러나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 소설이 출간된 시대적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통소설과 누보로망을 동시에 살펴보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카뮈가 『이방인』을 통해 드러낸 사물화 현상을 연구하는 데 있어, 이 상황 즉 전통소설의 위기에서 누보로망으로 이어지는 시대적 상황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발자크로 대표되는 전통소설에서 작중인물은 사회를 대변하는 전형적인 인물로 나타났다. 전통소설에서 작중 인물은 전지적 작가 시점에서 이야기 전체를 이끌어나가는 힘을 얻었다. 따라서 이야기는 시간의 흐름에 맞춰 정연하게 진행되고, 그 안에서 독자는 소설이 보여주는 그럴듯함을 통해 대리경험을 느끼거나, 반대로 소외되곤 했다. 그러나 프랑스의 문학 장르는 산업의 발달에 따른 외부세계의 사물화를 문학적 감수성을 통해 소설 장르에도 끌어들였다. 이와 함께 1950년대에 등장한 누보로망은 전통소설의 사실주의 기법들을 거부했다. 누보로망의 작중인물들은 외부에서 비춰지는 사물처럼 나타나며 전통소설에서 존재했던 인물과는 상이해진다. 이렇듯 사물화라는 사회현상과 더불어 누보로망에서 사물화된 작중인물이 전개하는 이야기는 독자가 간단히 따라가기 쉽지 않다. 누보로망의 출현에 앞서 1942년에 『이방인』을 출간한 까뮈는 이미 현실 세계가 부조리하다는 인식을 가졌던 작가였다. 1950년대 당시 문학인들이 가진 새로운 세계관은 까뮈에게 익숙한 것이었으며, 이는 『이방인』에 드러나는 날카로운 현실 인식을 통해 확연히 드러나고 있다. 제Ⅰ장에서는 이 작품이 출간되던 시기에 한계에 다다른 모습을 보이던 전통소설과 그에 대한 탈출구의 하나로 등장한 누보로망의 경향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사회학적인 의미로 사용된 사물화가 소설 장르에서 드러나는 양상을 고찰하였다. 이는 전통소설의 전형적인 인물과 논리적인 이야기가 누보로망에서 어떻게 사물화되어 나타나는지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드러날 것이다. 각 절에서는 『이방인』의 텍스트를 인용한 분석을 통해 실제 작품 속에서 사물화가 드러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제Ⅱ장에서는 부조리와 사물화의 관계를 조명하였다. 제1절에서는 부조리와 현실인식을 헤닝 크라우스의 분석에 의해 ‘부조리 의식의 부재’, ‘의식의 문제’와 ‘사회적 반항’으로 구분하였다. 각 단계에서 『이방인』 텍스트는 사물화된 세계와 자신에 대한 의식 가능성의 문제로부터 시작하여 사회적 반항의 단계로 논의되었다. 이 과정에서 부조리 의식이 사물화 현상으로 이행하는 현상을 규명하였다. 제2절에서는 법정으로 대표되는 ‘사법체계’와 ‘종교’를 사물화된 외부세계를 구성하는 하나의 단위 기제로 규정하였다. 그리고 이 기제들이 작품에서 작중인물과 이야기의 사물화 현상을 심화시키는 배경적인 기제로써 사용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제Ⅲ장에서는 본격적으로 『이방인』에 나타난 사물화 현상을 분석하였다. 제1절 ‘작중인물’에서는 우선 주인공 뫼르소의 탈인격화를 통해 사물화를 다루었다. 다음으로, 어머니, 사제, 원장에 대한 인용문을 통해 그들이 주인공 뫼르소와 달리 사물화된 세계에서 사물화된 자신을 숨기고 있거나, 전혀 알지 못하는 인물이라는 것을 분석하였다. 제2절 ‘이야기’에서는 이 작품의 제2부 법정 장면에서 나오는 원장, 문지기, 토마 페레, 셀레스트, 마리, 레이몽의 진술을 분석하였다. 그들은 살인사건과 무관하게 장례식 후 뫼르소의 행동을 비난하는 증언을 통해 살인사건과 뫼르소의 행동에서 인과관계를 형성하는 데 일조하고 있다. 이는 인과관계가 배제된 이야기 즉, 누보로망적인 사물화된 이야기로 분석되었다. 또한 마리와 레이몽의 진술은 사물화된 법정에서 비논리적인 진술로 취급되어 뫼르소에게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하고 무의미하게 사라졌다. 특히 살인사건의 원인이 ‘우연’ 때문이라는 레이몽의 증언은 진실에 가장 가까운데도 무의미한 이야기로 취급되어 필요없는 사물이 버려지는 것과 같이 묘사된다. 이처럼 제2절에서는 작품분석을 통해 이야기의 사물화 현상을 논의하였다. 제3절에서는 제1절과 제2절을 통해 드러난 사물화 현상을 ‘인간 의식의 사물화’로 귀결시켜 분석하였다. 작중인물의 사물화와 이야기의 사물화는 현실 세계에 속한 인간 의식의 사물화로 규명되었다. 제Ⅳ장에서는 『이방인』의 누보로망적인 묘사 기법의 측면을 살펴보았다. 『이방인』은 주인공 뫼르소를 중심으로 객관화되고 사물화된 누보로망적 묘사와 다양한 시선이 우세하는 세계로 설정된다. 이러한 설정 속에서 누보로망의 묘사 기법 중 ‘객관화된 주관’, ‘반복의 기법’ 그리고 ‘관찰자적 렌즈 기법’이 드러나는 장면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작품에 드러난 누보로망적인 묘사가 작품의 전반에 사물화을 드러내는 데 기여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이처럼 본 장은 『이방인』을 누보로망의 서술 기법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여 사물화를 분석하였다. 까뮈의 『이방인』은 오늘날까지 이제 더 이상 연구될 분야가 없다 할 만큼 수많은 연구자들의 분석대상이 되어 왔다. 그러한 기존의 연구 경향에 덧붙여 본 논문은 까뮈의 『이방인』에서 외부 세계가 갖는 부조리함으로 인해 체계와 종교적 가치가 사물화되어 나타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사물화된 세계에 속한 작중인물과 이야기도 어쩔 수 없이 사물화되고 있음을 세밀하게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필자는 『이방인』 연구에 있어 외부 세계의 사물화 현상에 주목한 분석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철도차량 스마트 유지보수시스템 도입 효과 분석 : 서울교통공사 2호선 유지보수시스템 중심으로

        고선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1855

        4차 산업혁명 시대적 흐름에 대응하고 작업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도시철도 운영사 최초로 서울교통공사에서는, 2017년부터 ICT, IoT 등의 기술을 적용하여 2019년까지 지하철 2호선 운영 차량 유지보수관리에‘철도차량 스마트유지보수 시스템’을 시범 구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전 호선으로 확대하여 상태기준보전 CBM (condition-based maintenance) 을 기반의 스마트 유지보수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유지보수 비용과 신뢰성을 최적화시키는 예지 정비 또는 예측진단으로 ‘예지보전(predictive maintenance) 기반 유지보수 비용절감’이라는 최적의 목적달성을 위해 필수적 환경구축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스마트 유지보수시스템의 확대 계획은 시범 구축과 운용현황을 기반으로 도입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현장 도입, 운용에 문제점에 대한 현장의 요구사항이 구체화 되고 실현되어야 할 것이다. 기존의 시스템 도입에 대한 전반적인 효과 분석 없이 확대구축만을 위해 투자 진행이 된다면 투자 대상의 규모 선정과 유지관리를 위한 예산에 대한 체계적인 계획 수립이 이루어지지 않아 시스템 구축 후 활용성 성공 가능 여부에 대하여 낙관적인 예측을 할 수 없다. 시스템 도입 초기 기대효과에 미치지 못하고 유지관리 어려움만 증폭되고 사장될 우려가 있다. 이번 연구는 이러한 시스템을 구축한 후 운용결과의 효과 연구를 통한 최적의 예산지원과 전략적으로 사업이 진행되어 인적, 물적 자원의 비효율적 소모를 최소화하고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확대 계획이 수립에 기초적으로 필요한 요구사항과 유지관리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하철 2호선 차량 경․중정비용에 사용되는 시험기 8종과 장비 2종을 선정하여 서울교통공사에서는‘스마트 유지보수시스템’이름의 교통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하철 2호선 운행 철도차량의 유지보수 시스템을 약 52억의 투자로 시범 구축(2017년~2019년)하였다. 이 시스템은 운용현황 및 전산시스템 RIMS 데이터와 본선에서 차량의 운행 시 진동과 온도 이상을 검지하는 장비 데이터, 차량 TCMS(Train Control Monitoring System) 모니터링, 고장데이터 등의 각각의 정보를 수합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분석시스템 형태의 구성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스템이 구축된 시범사례로 작업장 및 설비 운용자 측에서 실증적인 시설유지보수 사용결과를 토대로 효과분석을 하였다. 도입 전․후 효과는 경험치를 활용한 작업공정 프로세스 내용과 시간의 비교 분석을 토대로 현장 싸이클을 가지고 실제 편익에 대한 경제성 분석을 하였으며, 투자의 효과분석을 통해 타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실제 시스템에 접속한 실제 로그 데이터를 확인하고 분석하여 시스템의 활용도를 평가하고 분석결과를 통해 시범 구축 후 실제 현장 도입, 운용에 문제점을 구체화하여 시스템 확장 시 적용의 방향성,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4 Industrial Revolution time to flowing, it confronted and for work effectiveness raising the technique of ICT and IoT etc. from Seoul traffic and public corporation `railway car smart maintenance systems' in subway 2 line operation vehicle maintenance management at the city railroad operation company beginning, from 2017 it applied until 2019 demonstration it constructed. In the base which will reach it magnifies with the former good line and it does the smart maintenance system construction of condition standard preservation CBM (condition-based maintenance) base with aim. This maintenance expense and reliability optimization at the time of height `foreknowledge preservation (predictive maintenance) base maintenance cost reductions' respects the objective attainment of the optimum which is the essential environmental construction part is a possibility of doing with foreknowledge maintenance or prediction diagnosis. Magnification plan of smart maintenance system demonstration construction and use present condition in base positive analysis it will lead in about introduction and site to introduce and, in use in about problem point the requirement of site to be materialized must be come true. If the effective analysis which is general only a magnification construction respects becomes the investment progress without in about system introduction of existing and a possibility optimistically of predicting to about application characteristic successful possible yes or no the planning which is systematic does not become accomplished in about the budget for a investment target and a size lascivious and a maintenance and not to be after system constructing there is not. It will not be able to reach in system introduction initial expectation effect and maintenance only being difficult will be amplified and there is worry which president becomes. This time research after constructing like this system with budget support of the optimum which leads the effective research of use result the enterprise was human to be advanced strategically and, to minimize inefficient consuming of the resources the requirement where the magnification plan it will be able to secure a competitive power fundamentally is necessary in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general direction under presenting boil. It selected the tester 8 bell which is used in subway 2 line vehicle ten-million billion ․ impartial expense and the equipment 2 bell and maintenance system the subway 2 line operation railway car for the traffic service provision of `smart maintenance system' names from Seoul traffic public corporation demonstration construction (2017 ~2019) with about 5,200,000,000 investment. This system from use present condition and electric computer system RIMS data and this ship above operation at the time of vibrating and temperature of the vehicle under the index finger equipment data and the vehicle TCMS (Train Control Monitoring System) monitor ring, respectively information of out-of-order data etc. will construct a possibility total big data and it is a composition of the analytical system form which it does in the base which will reach. From the research which it sees the facility maintenance use result which in the demonstrative instance where like this system is constructed is positive from the workshop and equipment operator side it analyzed effectively with base. Before introducing the effects after ․ will pay and experience the work process process contents which it applies a site cycle with base and comparison analysis of time they had analysis of economy about actual conveniently, effective analysis of investment it led and propriety under confirming boil. It joined in and it connects in real system the actual log data which and it confirmed it analyzed and it evaluated analytical result it led and after demonstration constructing actual site it introduced and the directivity and a improvement program of system expansion at the time of application the application degree of system and, in use to materialize a problem point it presented.

      • 근접장 광학 현미경 제작 및 소멸파 측정

        고선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855

        근접장 주사광학 현미경은 기존 광학현미경에 비해 고분해능을 갖는다. 근접장 현미경은 해상도를 향상 시킬 뿐만 아니라 시료의 3차원 이미지와 동시에 근접장 내의 광 분포도 측정할 수 있다. 근접장 주사 광학 현미경은 Shear force를 감지하여 광섬유 탐침을 관찰 시료 표면에 접근시켜 근접장내에서의 시료의 굴곡과 광의 분포 등을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근접장 광학 현미경을 구성하는 방법과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고, 전반사에 의해 프리즘 표면에 생성된 근접장 소멸파를 측정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