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농인(聾人)의 부부적응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고경자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deaf person have which experience in the marital adjustment process, and developing theory to help martial adjustment of deaf person.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t used grounded theory which Strauss and Corbin(1996) adduce among qualitative research.   The participant of this research is total 15 which is 6 married men and 9 married women. The average age of participant was 37.17years men, 42.9 years women. 14 out of 15 participants lost their hearing before 3 years of age, and 1 out of 15 participants lost their hearing at 12 years of age. Duration of marriage is 5 to 25 years, and the average duration is 13.4 years. The research participants have used Korean Sign Language to communicate with spouse, and with hearing parents, used written conversation and Korean vocal language for communication. Also, with children of deaf adult(CODA), they have used all Korean vocal langeage, finger sign language, sing language according to Korean grammar and Korean sign langu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below.   The analysis of material have studied according to the coding procedures, in open coding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interview with participants. abstracted name to represent event, accident, situation and action. Through this process, it induced the concept of a total 154, also according this concept induced subcategory of 53 and upper category of 20. Casual condition turned out by this analysis is ‘feeling affection by perpect communication each other’, ‘raised level of self-acceptance with their sopuse’, ‘feelings of homogeneity’ with the spouse, and central phenomenon is ‘struggling to protect the love of couples like the lighthouse in the boundless ocean’   Contextual conditions was indeced as ‘communication like needle-holes and barriers of prejudice that can not be broken down', ‘existing reality to be overcome and overcome', ‘comrade sense of couples', ‘living as a deaf person in the dominant hearing culture’, ‘supportive system to help marital adjustment of deaf person’, ‘lack of education and counseling opportunities for deaf couple', ‘catastrophic crisis experience' and ‘attitudes of the couples'.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is ‘patience', ‘expressing negative emotions', ‘negotiating conjugal relationship’, ‘noticing each other’s intention and thoroughly understanding’, ‘couple growing up together'. The analysis of the continuous processes of these actions/interactions showed that the ‘fantasy stage', ‘fantasy destroy stage', ‘chaos stage', ‘conflict stage,’ ‘negotiate stage’, and ‘stabilize stage’.   People, who participate in ‘Fantasy stage’, had a vague hope that couple relationship will be happy. Participants of ‘fantasy destroy stage’ experienced a disappointment to spouse and realistic hardship. People in “chaos stage’ are in trouble to make the best plan between couple relationship. Participants for ‘conflict stage’ have started express inconstant emotion to spouse. People, participated in ‘negotiate stage’, have started help each other with duty and responsibility for their children. Lastly, participate in ‘stabilize stage’ began to feel comfortable after understating each other thoroughly.   Couple adjustment process of deaf person in Axial coding has been worked out ‘after devoting true heart and interdependence, separately and together enjoy happiness’. The Central Category is showed central phenomenon to unify all categories in this study. The ‘after devoting true heart and interdependence, separately and together enjoy happiness’ is that couple take surrounding with spouse and couple, adapt to the change, and accept pain each together and truly embrace.   Marital adjustment standardized repeatedly appearing relationship about core of the category and other categories based on hypothetic standardization and relationship statement. Central properties of this type came up with ‘reliability', ‘emotional expression', ‘sensitivity', ‘effort will'. ‘reliability’ is trusting spouse rather than other people and ‘emotion expression’ is expressing positive emotion and negative emotion between couple. ‘Sensitivity' is a degree of sensitivity to the interests and problems of the spouse and ‘effort will' is the ability to adapt to take action in couple system and environment change, it is related to accept and respect the differences of couple. In this research, ‘after devoting true heart and interdependence, separately and together enjoy happiness’ process is based on the result, their types analysed as follows: the type of ‘couple reliance’, ‘resignation’, ‘preserve keep face’, ‘effort of respect’. Lastly, conditional/consequential matrix suggest schematically to understand the result of research and this research’s phenomenon. Through conditional/consequential matrix, it helps understand microscopic, macroscopic context which effect action/interaction of participants at individual level, family level, society level. On the basis of research result, we have discussed concretely social, politic plan for practice to help deaf couple adaption, and have given a politic proposal. Also, it suggested a followed-up study. Through this research, it can provide to help education and counsel program as basic material for the couple adaption of deaf person.

      • 종합병원 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직무배태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고경자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종합병원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직무배태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P시 에 소재한 500병상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3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7월 2일부터 7월 20일까지 조사하였다. 연구도구는 회복탄력성, 직무배태성, 이직의도와 관련된 설문지를 제공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version 25.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를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회복탄력성은 평균 3.38점이며, 하위 요인 중 긍정성이 가장 높고 자기조절능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직무배태성은 평균 3.05점으로 하위 요인 중 적합성이 가장 높았고 희생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이직의도는 평균 3.13점으로 나타났다. 이직의도에 따른 일반적 특성은 성별, 연령, 직위, 결혼상태, 총 임상경력, 현 부서경력, 근무부서, 이직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이직의도는 회복탄력성(r=-.28, p<.001)과 직무배태성(r=-.53,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복탄력성과 직무배태성은 통계적으로 양의 상관관계(r=.46, p<.001)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종합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희생(β=-.39)이었으며, 적합성(β=-.29), 긍정성(β=-.15), 연계(β=.12), 대인관계(β=.11), 이직경험(β=-.09)순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회귀모형은 유의하였으며(F=35.66, p<.001), 모형의 설명력은 42%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종합병원 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직무배태성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종합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회복탄력성과 직무배태성을 증진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며 조직차원에서의 지원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resilience and job embeddedness on turnover intention in general hospital nurses. The empirical data was collected from a self-administered surve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mong 333 nurses working in 2 general hospital (over 500 beds), located in Gyeongsangbuk-do Province.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July 2, 2018 to July 20. The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ʼs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WIN 25.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ilience was indicated to be 3.38 on a 5-point scale. The area of the highest resilience was positive tendency, and the lowest area of the resilience was self-regulation ability. Second, the job embeddedness making score was 3.05 on a 5-point scale. The area of the highest job embeddedness was fit and the lowest area of the job embeddedness was sacrifice. Third, turnover intention was indicated to be 3.13 on a 5-point scale. turnover intention meaningful differences were dependent on sex, age, position, marital status, clinical experience, clinical experience in current hospital, department experience, work department, and experience of turnover.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resilience (r=-.28, p<.001) and job embeddedness (r=-.53, p<.001) correlated with turnover intention. Also, resilience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r=.29, p<.001) with job embeddedness. Fifth, as are result of perform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f turnover intention, the most influencing factor was sacrifice (β=-.39), fit (β=-.29), positive tendency (β=-.15), link (β=.12), interpersonal relationship (β=.11), followed by experience of turnover. (β=-.09). The amount of variance in turnover intention was indicated to be 42% (F=35.66, p<.001). In conclusion, resilience and job embeddedness have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erefore, efforts to improve resilience, job embeddedness, and organizational support are required for the enhancement of turnover intention.

      • 일개 암전문병원 임상간호사의 중심정맥관 관리에 대한 지식과 수행도

        고경자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일개 암전문병원 간호사의 중심정맥관 관리에 대한 지식과 수행도와 이들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암전문병원 간호사에게 적용할 수 있는 중심정맥관 관리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일개 암전문병원의 간호사 135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5년 10월 14일부터 10월 20일까지로 설문지 회수율은 100%였고, 누락된 항목이 있는 응답지 9부를 제외한 설문지 총 126부(93.3%)가 최종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도구는 Labeau 등(2009), Yoo, Oh, Hur와 Choi (2012), Kim (2013)에서 사용한 중심정맥관 관련 감염관리 지침에 대한 지식문항과 문헌(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2; Oncology Nursing Society, 2010)을 검토하여 본 연구의 취지에 맞게 수정 보완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대상자의 중심정맥관 관리에 대한 지식은 79.5점이었고, ‘중심정맥관 삽입부위 조작 전후에 손 위생을 한다’와 ‘일혈이 발생되면 항암제 주입을 즉시 중단한다’에서 100%로 가장 높게 나왔으며, ‘열이 발생하면, 중심정맥관 제거를 고려한다’에서 20.6%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중심정맥관 관리에 대한 수행도는 91점이었다. 중심정맥관 관리에 대한 수행도에서 정기적인 헤파린 희석액 관류와 삽입부위 소독에 대한 퇴원교육관련 문항이 전체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중심정맥관 관리에 대한 지식은 25세 이하보다 26세부터 30세까지와 31세 이상의 연령대에서 높았으며(F=5.75, p=.004), 임상경력이 많을수록 높았고(t=-2.54, p=.012), 드레싱 경험이 있을 때 높았으며(F=7.54, p=.001), 터널형 중심정맥관의 사용경험이 있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2.20, p=.029). 중심정맥관 관리에 대한 수행도는 31세 이상의 연령대에서 높았으며(F=14.62, p<.001), 임상경력이 많을수록 높았고(t=-4.53, p<.001), 일평균 중심정맥관 관리 환자 수가 많을수록 높았으며(F=-2.53, p=.013), 채혈경험이 있을 때 높았고(F=4.93, p=.032), 터널형 중심정맥관 사용경험이 있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2.21, p=.032). 중심정맥관 관리에 대한 전체 지식과 수행도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r=.225, p=.011)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심정맥관 관리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이 높을수록 수행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심정맥관 관리에 대한 지식과 수행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심정맥관 관련 간호실무지침을 포함한 교육 프로그램과 지속적인 재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 주요어: 암전문병원, 간호사, 중심정맥관 관리, 지식, 수행도

      • 문화예술교육이 학습자의 정서적 변화에 미치는 효과 분석 연구

        고경자 추계예술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While importance of education regarding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becoming larger, most cultural-based facilities educations in nation are processing, however education participation rate and evaluation absence are operating as a blocking elements on formation of consensus on value and effectivenes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alysis of affective effect elements including behavior, attitude, view of value, belief etc. is important no less than approach chance to education infrastructure and its acces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essence and cause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then to recognize learner’s emotional change through empirical analysis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affective effect and participation motive. This study sets up hypotheses as followings in order to achieve purpose of this research. Hypothesis 1. Experiment group would be higher than controlled group in affective effect among self- image, self-directed power and body-image. Hypothesis 2. Those who are high in experience frequency would be the highest in affective effect from alienation. Hypothesis 3. A high group with high inner participation motive would be the highest at affective effect in self-directed power. Hypothesis 4. As scholarship is high, affective effect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ould be high. Research results through this study are same as followings. First, by adopting hypothesis 1, for adult learner who are vulnerable to liquor and medicine and are suffering from stress solution, more specialized and systemized education program which is good at health are required while enjoying sound leisure and culture. Second, the maximization of affective effect as alienation decrease by rejection of hypothesis 2 was not even proportional to experience frequenc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ut the experienc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worked importantly in alienation decrease and self- image scopes. Third, by adopting hypothesis 3,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helpful to find out life meaning, personal relations and self-confidence improvement same as the previous research. Fourth, this was rejection of hypothesis 4 and derived different results from preceding researches in which as much as high in educational background with high socio-economic bracket, they were apt to be higher in desire and effect of educational participation for self realization.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what was got first through case studies is that education program shall be composed and processed by classification with participation motives along with sex, age, education and educational experience frequency. Second, as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contributing to life worth chase, stress solution and health improvement of adult learners, specialized and systemized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supplied. Third, for lower income bracket with short educational background, educational program for self-directed enforcement shall be systemized to inspire personal relation and self-confidence while finding meaning and purpose of life. Fourth, attractive strategy for drawing on non-participating group to cultural accommodation bracket is required based on cross analysis on learner characteristic and affective effect for utilizing culture and art education widely and effectively.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전국 대부분의 문화기반시설에서 교육이 진행되고 있으나 저조한 교육참여율이나 교육의 효과에 대한 평가의 부재는 문화예술교육의 가치와 효과에 대한 공감대의 형성과 확산을 가로막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생산과 효율을 앞세운 물질만능주의의 팽배와 정신적인 측면에서의 비정상화가 가속화되면서 사회, 교육 전반에 문화예술교육이 갖는 의미는 더욱 심대해 지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개인의 정서적 측면에 미치는 행동, 태도, 가치관, 신념 등 정의적 효과 요인에 대한 분석이 교육 인프라, 접근의 기회 제공에 못지않게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교육의 본질과 요인을 살펴보고 문화예술교육의 정의적 효과와 참여동기의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실증적인 분석을 통하여 학습자의 정서적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자아상, 자기주도력, 신체상 중에서 신 체상에서 정의적 효과가 가장 높을 것이다. 가설 2. 문화예술교육 경험빈도가 높은 사람은 자아상의 소외감에서 정 의적 효과가 가장 높을 것이다. 가설 3. 내적 참여동기 욕구가 높은 집단이 자기주도력에서 정의적 효과 가 가장 높을 것이다. 가설 4. 학력이 높을수록 문화예술교육의 정의적 효과도 높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1>의 채택으로 술과 약에 노출이 많고 스트레스 해소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성인학습자들을 위하여 건전한 여가와 문화를 즐기면서도 건강에도 좋은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가설 2>의 기각으로 소외감 감소라는 정의적 효과의 극대화가 문화예술교육경험빈도 수와는 비례하지만 않았을 뿐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소외감 감소와 자아상 영역에 있어서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셋째, <가설 3>의 채택으로 문화예술교육이 삶의 의미를 재발견하고, 대인관계 및 자신감 향상에 도움을 준다는 선행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넷째, <가설 4>의 기각으로 사회경제적 계층이 높은 고학력자들일수록 자아실현을 위한 교육 참여의 욕구와 효과가 높아진다는 성인교육 선행연구들과는 다른 결과를 도출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연구 결과로 얻어진 것은 문화예술교육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교육프로그램들의 성별, 연령별, 학력별, 교육경험 빈도 수 및 참여동기별로 세분화하여 구성되고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이 성인 학습자들의 인생 보람 추구와 스트레스 해소 및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 있으므로 이들의 내 ∙ 외적 건강을 위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프로그램이 개발, 보급되어야 한다. 셋째, 학력이 낮은 저소득층에게 삶에 대한 의미와 목적을 재발견하고, 대인관계와 자신감을 고취시키기 위해서 자기주도력 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화하여야 한다. 넷째, 문화예술교육의 광범위하고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특성과 정의적 효과에 대한 교차분석을 기반으로 비참여 집단을 문화수용층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유인전략이 선행되어야 한다.

      • 고등학교 수학여행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고경자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교교육활동의 일환으로 일선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수학여행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수학여행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구지역 고등학교의 수학여행에 대한 실태분석을 통하여 수학여행의 계절, 일수, 학기, 이용숙박시설, 여행참가비, 목적지 및 전반적인 만족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둘째, 수학여행 경험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여행 참가 전에 가졌던 중요도와 참가 후에 느끼는 만족도를 비교하여 차이점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셋째, 고등학교 수학여행에서 학생들이 지각하는 참가 목적의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넷째, 미래의 수학여행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여 효율적인 고등학생의 수학여행에 대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는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 2, 3학년 학생으로 수학여행에 참가한 경험이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학교 형태별 유형에 따라 인문계와 실업계로 분류하였고, 성별 유형에 따라 남학생과 여학생으로 분류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학교 형태별로는 인문계는 인문계 남자고등학교, 인문계 여자고등학교, 인문계 남녀공학고등학교 등 3개 형태에 재학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업계는 공업계 고등학교, 정보계(상업계) 고등학교, 관광계 고등학교 등 3개 형태에 재학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지는 총 600부를 배포하였으며, 그 중 성실하게 조사에 응한 501명 학생들의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수학여행에 관한 실태분석에서 수학여행의 시기로는 봄, 수학여행의 일수는 3박 4일, 수학여행의 시기는 2학년 1학기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이용숙박시설로는 인문계 및 실업계 학생 213명(42.5%)이 여관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나 아직도 여관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수학여행에 참가하기 위한 비용은 학교 형태별로 인문계 학생의 경우 8-12만원이 159명(31.7%)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수학여행 목적지는 학교 형태별로 인문계 학생 252명(50.3%)의 전원이 강원도 일대를 목적지로 한 반면, 실업고 학생의 경우 제주도가 177명(35.3%), 강원도 일대가 72명(14.4%)으로 여행 목적지가 강원도 일색에서 제주도로 변화되는 현상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수학여행에 참여했던 학생들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보통으로 응답한 학생들이 239명(47.7%)으로 절반을 차지하고 있으나, 대체로 불만족이라고 응답한 학생들이 182명(36.4%)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수학여행의 참가 전의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숙박시설의 청결성, 음식, 여행지의 목적지, 숙박시설의 위생시설, 학창시절의 추억 만들기 순의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일곱째, 참가 후의 만족도 학창시절의 추억 만들기, 일상생활 탈출기회, 수학여행의 기간, 일수, 시기 순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덟째, 미래의 수학여행지로 희망하는 국내 목적지는 인문계, 실업계 모두 제주도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희망하는 해외 여행지로는 인문계는 유럽, 일본, 중국 순으로 나타났으며, 실업계는 일본, 유럽, 중국을 희망하는 나라로 나타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problems of school excursion practiced as a way of educational activities of school, and to suggest some improvement plans for the effective school excursion. More specific object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ality of school excursion of high schools in Daegu city area, I investigated the seasons, days, semester, facilities, tour fees, destinations, and general satisfaction of school excursion. Second, with the students who have been school excursion as the subjects of investigation, a comparison of the significance expected before the excursion with the satisfaction after the excursion was made along with an analysis of differences and problems. Third, I investigated the degree of significance of participation in school excursion felt by students in the midst of high school excursion. Fourth, along with the investigation of the opinions for future school excursion, I tried to seek an effective high school excursion. As the research scope, I selected those who have participated in school excursion among 1st, 2nd, and 3rd grade of high school students located in Daegu city area. Following the classification of school types, I differentiated high schools into academic high schools and industrial high schools, and after the sexual distinction I differentiated students into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did a cross analysis. Following school types, in regard to academic high schools, I selected students from male high schools, female high schools, and mixed high schools, and in regard to industrial high schools, I selected students from industrial high school, information high schools, and tourism high schools. Among 600 question papers distributed to students, I collected 501 papers with sincere answers, and analyzed them. First, in the analysis of the realities of school excursion, it was revealed that mostly the school excursion took place in spring, for three nights and four days, and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nd academic grade. Second, from the fact that 213 students(42.5%) of academic and industrial schools took inns as their accommodation facilities, it was revealed that a great portion of students are still using inns. Third, among the school excursion expense, 80,000-12,000 Won was the highest fee among the 159 students(31.7%) from academic high schools. Fourth, from the fact that the whole 252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50.3%) chose Kangwondo area as their destinations of school excursion, while 177 students(35.3%) from industrial schools chose Chejudo, and 72 students(14.4%) Kangwondo, it was revealed that the destination is changing from Kangwondo to Chejudo. Fifth, the average answer to the general satisfaction was 239 students(47.7%), that is an half of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school excursion, but the unsatisfactory answer was 182 students(36.4%). Six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ignificance considered before school excursion, it was revealed in order of the cleanliness of accommodation facilities, food, tour destination, hygienic facilities of accommodation, and building remembrance of school life. Seventh, it was revealed that the significance after school excursion was considered in order of building remembrance of school life, chance to escape from daily life, term of school excursion, days, and seasons. Eighth, academic and industrial school students favored Chejudo as the domestic destinations for the future school excursion, and academic school students chose their expecting foreign destination in order of Europe, Japan, and China, but industrial school students chose in order of Japan, Europe, and China.

      • 전통주거에 있어서 정지영역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고경자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가 살아가는데 의·식·주는 삶을 지탱해주는 기본요소이며, 그 중에서 '먹는다는 것'은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욕구이다. 음식을 다루는 공간은 전통주거에서는 여성의 영역으로서 인식하여 등한시 되어 왔으며 엄격한 생활 안에서도 정지는 다양한 공간형성과 다기능적이며, 융통적인 공간으로 주거 내에서 독특한 문화를 이루며 발전해 왔다. 그러므로 주생활이 이루어지는 안채에서 가사작업이 이루어지는 정지가 가지는 의미는 크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현존하는 전남지역 전통주거의 정지를 이루는 실들의 구성과 배치관계를 통해 정지유형을 분류하여, 정지의 공간구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의해 살펴보았다. 위의 공간고찰을 통해 전남지역 전통주거의 정지의 특성과 변화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지의 공간구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크게 입지적, 규모적, 건립시기로 분류할 수 있다. 입지적 요인으로는 지역별 위치, 안채의 평면유형, 안채 좌향 등으로 추출할 수 있고, 규모적 요인으로 안채에 대한 정지면적비와 안채의 도리방향 규모, 안채의 보방향 규모, 정지의 정면칸수로 추출하고, 마지막으로 건립시기에 따른 요인으로 분석할 수 있다. 1. 입지에 따른 정지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별 정지유형의 분포를 살펴보면 정지형과 정지방형이 가장 우세하게 나타났으며, 찬방형은 산간지역과 같은 대지조건이 열악한 지역에서 니타났다. 정지방·찬방형은 남부해안쪽으로 갈수록 분포도가 높아진다. 실배치는 지역적 특성보다는 각각의 주거마다 대지가 가진 입지조건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안채유형은 一자형 안채가 우세하게 나타나며, 모든 안채 유형에서 정지형과 정지방형이 고루 분포되었다. 一자형은 퇴간의 발달과 겹집화로 도리방향과 보방향으로도 실구성이 활발히 이루어진다. 실전면형이 우세하며 다른 유형에 비해 다양한 실배치가 이루어지고 있다. ㄱ자형, ㄷ자형, h자형은 평면유형의 특성상 일반적으로 정지가 꺽임부에 위치하여, 대개 그 폭이 1칸∼1.5칸 정도 돌출되기 때문에 실전면형 배치가 주로 이루어지며, 정지의 실구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h자형의 경우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보방향으로 실이 분리됨으로써 독립된 공간의 성격을 가지게 된다. 一자형 안채 유형에서 실들이 구성될 때는 정지의 부속시설로써의 기능이 더 강하다. 셋째, 안채의 좌향은 남동향-남향-서향에 걸친 남향 위주의 배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기피하는 서향집이 이 지역에서는 적지 않게 배치됨을 알 수 있다. 안채의 좌향과 정지유형의 관계를 살펴보면, 그 상관성을 찾기가 어렵다. 넷째, 정지의 위치는 대부분 서쪽과 북쪽에 배치된다. 이는 풍수지리설이나 음양오행설 등 유교적인 영향으로 음(陰)에 해당하는 퇴사쪽에 배치되는 원리를 따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남향집일 때 서쪽 즉 오른쪽에 정지를 배치하는 관습이 있는데 이 지격에서는 서쪽과 동쪽이 비슷한 분포를 보이고 있다. 택보요전(宅譜要典) 주조법(廚造法) 조(條)에 의해 정지의 길흉(吉凶)을 판단해 보면 82채의 조사가옥 중 42채가 길(吉)한 위치에 놓임을 알 수 있었다. 2. 규모에 따른 정지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안채의 도리방향으로 퇴간 형성이 활발함을 볼 수 있다. 총 82채의 조사가옥 중 한쪽퇴를 가진 가옥은 30채, 양쪽퇴를 가진 가옥은 26채로 거의 대부분 가옥이 퇴칸을 가지고 있다. 조사대상 가옥의 대부분이 5칸양쪽퇴집과 6칸한쪽퇴집으로 구성되며, 도리방향의 규모가 확대될수록 정지에 실구성이 많아지며, 5칸집까지 기타형인 전체정지형이 높게 나타나다가 6칸집부터 실전면형 배치가 많아짐을 볼 수 있다. 둘째, 안채의 보방향은 82채 중 전후퇴짐이 48채, 16채, 후퇴집 9채이고, 특히 한칸 전후퇴집이 42채로 가장 우세하며, 홑집에 후퇴와 전후퇴로 안채가 구성될 때 정지방·찬방의 실분리가 이루어지며, 겹집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안채의 중심부와 정지부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안채의 중심부와 정지부분의 기둥열은 대부분 일치하지 않고 정지부분은 공간의 실구성에 따라 자유롭게 기둥열이 배치됨을 알 수 있다. 셋째, 안채의 정지면적은 평균 5.29칸의 27.55%로 안채의 전체면적에 약1/3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안채의 면적이 커질수록 정지가 차지하는 면적도 커질 것이라고 생각이 되나 정지를 구성하는 실들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꼭 함께 커진다고는 볼 수 없다. 안채에서 정지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질수록 실구성이 활발히 이루어지며, 실배치는 정지면적이 안채의 1/3 이상을 차지하는 실전후면형으로 구성된다. 넷째, 정지의 도리방향이 1칸∼1.5칸일 때는 주로 정지의 후면에서 실구성이 이루어지며, 2칸 정도일 때는 정지의 전면에서 이루어진다. 이는 정지에 실이 구성되더라도 정지의 면적은 일정하게 나타난다. 이는 정지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이 정지방이나 찬방으로 옮겨가기 때문이다. 정지의 면적은 전면 또는 안방 건어편쪽으로 실이 형설될 때 정지의 면적이 커진다. 3. 건립시기에 따른 정지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정지의 공간변화 또한 사회적 변화와 함께 1876년대 개항을 전후로 한 시기와 1910년 한일합방을 전후로 하여 활발히 공간변화가 이루어진다. 정지의 고전적인 모습인 'ㅁ' 형태의 정지형이 1900년대까지 꾸준히 유지되어 오고 있으며, 1900년대 부터 수장고 외부돌출형과 수장고 내부구획형이 나타나고 있다. 정지방향은 안채의 전면애 대부분 위치하나 1700년 후반에 건립된 가옥 중 후면에 놓이는 배치도 보이며, 1900년대까지도 실배치가 전후면에 고루 분포함을 알 수 있다. 찬방형은 1880년대 정도 나타나며 안채의 전후면에 나타남을 볼 수 있는데 정지의 폭과 같은 크기로 배치되어 있다. 정지방·찬방형도 1880년대 이후부터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실배치는 정지의 전면에 위치하나 시간이 지남으로써 정지의 전후좌우에 다양하게 구성 됨을 알 수 있다. 4. 정지의 부속시설인 정지영역은 장독대와 우물의 배치관계로 살펴볼 수 있는데, 장독대와 우물이 함께 있는 경우보다 따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경우가 많으며, 장독대와 우물은 정지 가까이에 위치하나, 장독대는 안채의 뒤쪽에서, 우물은 앞마당쪽에서 우세하며 배치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dicat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process of deveoplment of Jeong-Ji in traditional houses in Cheon-nam region from the viewpoint of space. The factors effecting the formation of Jeong-Ji are conditions of location, the scale of building and the established period. Conditions of location include regional locations, the plan type of An-chae, and An-chae geomantic aspect. The factor of the scale of building includes rate of size of Jeong-Ji by An-chae and the size of Dori of An-chae, the size of Bo of An-chae, and the numbers of front Kan of Jeong-Ji. And the established period is the third factor effecting the formation of Jeong-Ji. The characteristics of Jeong-Ji by location follows such as: 1. Jeong-Ji type and Jeong-Jibang type appear the most frequently and Chanbang type appears sometimes in the place in which land condition is rough. 2. The plan type of An-chae is generally '-' type and Jeong-Ji and Jeong-Jibang type are general one in all An-chae types. 3. The geomantic aspect of An-chae is mostly the south wing house, but sometimes west wing house appears. 4. By theory of 'poong soo', Jeong-Ji is seated on the west wing or the north wing. The characteristics of Jeong-Ji by scales follows such as; 1. Mostly 5Kan both-side Toi-Kan and 6Kan one-side Toi-Kan appear. 2.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oi advances toward Dori direction rather than Bo direction. 3. The space of Jeong-Ji occupies 1/2 to 1/3 of the total space of An-chae. 4. The scale rate of Jeong-Ji is getting bigger when Jeong-Ji forms front type or facing type toward An-bang. The characteristics of Jeong-Ji by established period follows such as: With the opening of Korea in 1876 and the unification of Korea and Janpan in 1910, the space scale in traditional houses had changed. Until 1900 'ㅁ' type of Jeong-Ji had been reserved and after 1900 built-out store places and built-in store places were introduced and developed in their separate ways. Numbers of room in Jeong-Ji were getting abundant and the formation of rooms had changed from frong-back system of Jeong-Ji to various formations located near Jeong-J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