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 공공도서관의 청각장애인서비스 지침 개선에 관한 연구

        조혜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blic library has offered equal accessibility to information and materials to everyone, and also sought to provide the disabled with various kinds of the services. Guidelines for library services to the deaf community were made by National Library Support Center for the Disabled in Korea, but the deaf community has been discriminated in re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guidelines for library services to the deaf community in the public library in Korea. The guidelines provide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the deaf people to librarians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lementation of library services. For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case study and survey were performed. Literature review was carried to explain the definitions and the features of deaf people, and the importance of library services for them. Then, the elements among guidelines and manuals for library services to deaf people which have developed by international and national library communities―IFLA(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LA(American Library Association), National Library Support Center for the Disabled in Korea, and JLA(Japan Library Association)―were analyzed and reviewed. Next, survey questionnaires were performed to look into public library services for deaf people. The major findings of survey were as follows. First, training of library staffs for deaf community was not conducted for the most libraries. The condition of assisting devices was very poor. Primarily, the collection was made of Video/DVDs and picture books which were easy to read. Second, 66.2% of the public libraries did not provide library services for the deaf people. The reasons were no visiting of deaf people and lacking of budget and personnel. Also, the library service for deaf people was limited to a basic service such as borrowing books. Third, 80.9% of public libraries didn't use guidelines and manuals for library services to disabled people. Many people recognized the advantages of guidelines and manuals for library services to disabled people. However, more than half of the librarians answered that guidelines and manuals for library services to disabled people were not helpful. Fourth, 'training of library staff', 'communication', 'kind of assisting devices', 'type of collection', 'accessibility to local library homepage', 'service purpose', 'target', 'service for visitors', 'privacy protection', 'service accessibility', 'formation of collaboration plans with related agencies in deaf community', 'kind of programs', 'publicity', 'kind of convenient facilities' and 'convenience of facilities for deaf people' were more than 4 points in Likert-type scale. Fifth, 'degree and certification of librarian', 'opening the curriculum in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guarantee of up-to-date devices', 'selection criteria', 'service for non-visitor', 'technical attitude for service', 'construction of content in local library homepage' and 'definition and commentary of related terms' were more than 3 points. 'Employment of deaf staff members' and 'group establishment for library services to the deaf community' was less than 3 points. Based upon the results, the mandatory and optional elements were suggested within the framework of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Library Services for the Disabled󰡕 developed by National Library Support Center for the Disabled in Korea in 2009. First, in the aspect of the physical access to library, two mandatory elements were proposed, which were 'kind of convenient facilities' and 'convenience of facilities for deaf people'. Second, in the aspect of the collection development, 'type of collection' was proposed as a mandatory element, and 'selection criteria' was suggested as an optional element. Related to the type of collection, it was required to add books and materials related to hearing impairments, relevant to understanding level of the deaf, helpful to the real life. Also, in the selection criteria, it was necessary to describe details such as content, understanding level, author's view, and so on. Third, in the aspect of services and programs, eight mandatory and three optional elements were proposed. As mandatory elements, there were 'service purpose', 'target', 'communication', 'privacy protection', 'service for visitors', 'service accessibility', 'kind of programs', and 'publicity'. Then, as optional elements, there were 'technical attitude for service', 'service for non-visitor', and 'definition and commentary of related terms'. It was desirable to add concrete content about developing services and programs according to the types and ages of the deaf. Fourth, in the aspect of assisting devices, 'kind of assistive devices' was proposed as the mandatory element, and 'guarantee of up-to-date devices' was suggested as the optional element. It was required to state clearly the functions, features, usages of assisting devices and materials or services available to recent equipments and techniques. Fifth, in the aspect of web accessibility and universal design, 'accessibility to local library homepage' was proposed as a mandatory element, and 'construction of content in local library homepage' was suggested as an optional element. It was desirable to describe basic structure and content of the homepage accessible to the deaf in detail. Sixth, in the aspect of personnel, 'training of library staff' was recommended to the mandatory element. On the other hand, four elements were suggested as optional elements, which were 'degree and certification of librarian', 'employment of deaf staff members', 'opening the curriculum in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group establishment for library services to the deaf community'. To provide services conforming to characteristics and requirements of the deaf, it was proposed to train staffs properly, to establish courses related to library services to the deaf, and to set up the department which took full charge. Finally, in the collaboration of related agencies, 'formation of collaboration plans with related agencies in deaf community' was proposed as a mandatory element. It was necessary to collaborate with the deaf community agencies in process of developing and planning library services to the deaf and to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international and national agencie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provide some basics of recognition of librarians and specialists for conditions and guidelines of library service for deaf people. Based upon these elements, public libraries should modify and supplement the guidelines reflecting the local circumstances. Eventually, this guideline will help librarian to provide professional and effective library services to the deaf people. 지식정보사회에서 모든 사람에게 자료와 정보의 동등한 접근권을 구현하는 것은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책무이다. 우리나라는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의 접근권 보장을 위해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에서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기준 및 지침󰡕을 제정하여 국가 차원에서 다각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도서관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장애인서비스는 주로 시각장애인과 지체장애인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므로 청각장애인은 여전히 현실 속에서 차별과 소외 속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국내 공공도서관의 사서에게 청각장애인서비스의 길잡이 역할을 하는 청각장애인서비스 지침의 개선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국내외 지침과 매뉴얼의 비교․분석, 장애인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는 공공도서관의 청각장애인서비스의 현황과 지침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헌연구로 청각장애인의 정의와 특징, 필요한 도서관 서비스를 파악하였으며, IFLA의 Guidelines for Library Service to Deaf People(2nd Edition), ALA의 Guidelines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for the American Deaf Community, 일본의 「聴覚障害者も使える図書館に 図書館のためのマニュアル 改訂版」, 우리나라의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기준 및 지침」과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매뉴얼」을 비교․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청각장애인서비스와 관련된 도서관 현황과 지침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대상은 국내 공공도서관 중에서 장애인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는 173개관의 장애인서비스 담당사서와 2000년부터 2011년까지 학술논문 중 청각장애인에 대한 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와 문헌정보학 관련 학술지에 장애인서비스 관련 학술논문이 실린 학계 전문가 29명,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에 근무하는 사서 7명이었다. 사서용 설문지는 총 173인 중 설문을 거부한 42인을 제외한 136명에게 발송하여 68부가 회수되어 50%의 회수율을 보였고, 전문가용 설문지는 총 37명 중 거부한 2명을 제외한 35부를 발송하여 27부가 회수되어 77.1%의 회수율을 보였다. 청각장애인서비스 현황과 지침에 대한 설문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다수의 도서관에서 청각장애인서비스를 위한 사서 연수 프로그램이 실시되지 않았으며 도서관의 보조공학기기 구비 상황은 매우 열악하였다. 청각장애인용 장서는 주로 영상자료와 쉬운 내용으로 글보다는 그림으로 표현된 장서가 대부분이었다. 둘째,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66.2%가 청각장애인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지 않으며 그 이유로 청각장애인의 미방문, 예산과 인력부족이었다. 그리고 현재 실시중인 청각장애인서비스는 대출 관련의 단순 서비스가 대부분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공공도서관에서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지침 및 기준 혹은 매뉴얼은 80.9%가 사용하지 않았다. 지침이나 매뉴얼의 이점에 대해서는 대다수가 인지하고 있었으나 장애인서비스 담당 사서의 반수이상은 서비스 제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직원 연수, 의사소통의 방법, 보조공학기기 및 장서의 종류, 자관 홈페이지의 접근성, 서비스의 목적, 서비스의 대상자, 방문자 서비스, 개인정보의 보호, 서비스의 접근성, 유관기관과의 협력, 프로그램의 종류, 홍보방법, 편의시설의 종류와 시설의 편의성은 리커트 척도 기준으로 모두 4점 이상의 중요도를 보였다. 다섯째, 사서의 자격조건, 청각장애인서비스 교과목 개설, 커뮤니케이션의 최신성, 장서의 선정 기준, 비방문자 서비스, 서비스의 기술적인 태도, 자관 홈페이지의 구성, 관련 용어의 정의 및 해설은 3점 이상의 중요도로 분석되었으며 청각장애인 사서의 고용과 전담부서의 설치는 3점 미만으로 조사되었다. 설문조사 결과로 요소별 중요도의 평균값이 4점 이상인 요소는 필수 요소로, 3점 이상-4점 미만인 경우는 권고 요소로 나누었다. 그리고 3점 미만으로 분석된 청각장애인 사서의 고용과 전담부서 설치도 권고 요소로 포함시켰다. 그 이유는 이 요소들이 이미 외국의 표준 지침에 명시되어 있으며, 국내 현황 조사 결과에서 사서와 전문가 집단 중 한 집단 이상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했기 때문이다. 이를 토대로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의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기준 및 지침」(2009)을 중심으로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 내․외부의 물리적 접근 항목에는 편의시설의 종류와 시설의 편의성을 필수 요소로 제안한다. 둘째, 장서구축 항목에는 장서의 종류를 필수 요소로, 장서의 선정 기준을 권고 요소로 제안한다. 장서의 종류는 청각장애관련 도서 및 청각장애인의 이해수준과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자료들을 추가․기술할 필요가 있으며 선정기준은 장서의 내용과 이해 수준, 저술 관점 등에 관한 내용을 명시하여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서비스와 프로그램 항목에는 서비스의 목적, 서비스의 대상, 의사소통의 방법, 개인정보의 보호, 방문자 서비스, 서비스의 접근성, 프로그램의 종류, 홍보방법을 필수 구성요소로, 서비스의 기술적인 태도, 비방문자 서비스, 관련 용어의 정의 및 해설을 권고 요소로 제안한다. 청각장애인의 유형별, 연령별에 따른 서비스와 프로그램의 개발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보조공학기기의 항목으로 보조공학기기의 유형를 필수 요소로, 커뮤니케이션의 최신성을 권고 요소로 제안한다. 보조공학기기의 기능과 특징, 활용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 보완과 새로운 기기와 기술로 자료나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내용을 명시할 필요성이 있다. 다섯째, 웹 접근성과 유니버설 디자인 항목에서 필수 요소로 자관 홈페이지의 접근성을, 권고 요소로 자관 홈페이지의 구성을 제안한다. 청각장애인이 접근할 수 있는 홈페이지의 구성과 내용을 구체적으로 기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섯째, 인력자원의 개발 및 활용의 항목에서 필수 요소로 도서관 직원의 연수, 권고 요소로 사서의 자격, 청각장애인 사서의 고용, 문헌정보학과의 청각장애인서비스 관련 교과목의 개설, 전담부서의 설치를 제안한다. 청각장애인의 특성과 요구에 부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력의 적절한 교육과 연수, 청각장애인서비스 관련 과목 개설, 전담부서의 설치의 필요성에 대해 기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곱째, 국내외 유관기관과의 협력 항목에서 필수 요소로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제안한다. 도서관의 청각장애인서비스 개발과 계획에 청각장애인 관련단체의 참여와 국내외 청각장애 관련기관에 관한 정보제공을 기술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서비스의 현황 및 지침에 대한 사서와 전문가의 인식을 바탕으로 국내 청각장애인서비스지침의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공공도서관에서 청각장애인서비스의 지침이 명확히 제시되면 사서는 효율적인 청각장애인서비스 제공에, 청각장애인은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받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공공도서관 어린이 이용자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최정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lan for improvement of children's user education in public librar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sists of the literature research, case studies and survey questionnaires. In the literature research, target group of children's user education, children's user education in public libraries and necessities of the children user's education were studied. For the case studies, children user education programs of 6 public libraries in United States and Canada were analyzed into five types, which were point-of-use instruction, library orientation, library instruction, bibliographic instruction and the other user education by email and homepage survey. And the methods, contents, target groups, and frequencies of library user education programs were studied. For the analysis of the present status, librarians in charge of children's user education, and users in children's libraries were selected from the list of statistical data of 2008 in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b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were surveyed by homepage and telephone. The questionnaire survey for librarians was conducted during the period between Oct.,23, 2009 and Nov.,23, 2009 by email, mail, fax and visit. And 124 answered were used for analysis. And the questionnaire survey for adult and child users was conducted during the period Oct.,23, 2009 and Nov.,8, 2009 at 2 children's libraries. Forty adults and fifty eight children participated for the survey and those answers were analysed. The summary of results from the suvey is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librarians thought children's user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Training librarians in charge of children's user education and increasing number of children's librarians in the libraries, developing more detailed programs according to the children's development stages and offering various programs for child and adult were suggested. Second, library orientation was the most important education for children. And the library instruction was the most important education for adult users. Among the educational methods, library tours and visual materials were better types for children, and lectures and library tours were better for adult users. Also, the most important content for all user group was library manner. Third, adult users preferred a library orientation as library tours and lectures as education methods, and library manner, usage of library material, classification and arrangement of material were chosen as educational contents. Fourth, children preferred visual materials and library tours as library orientation programs and the regulation of the libraries, usage of library materials, classification and arrangement of material were needed as educational contents. Based upon the results of case studies and survey questionaires, the plan for improvement of children's user education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establishing basic contents of children's user education programs, diversification of children's user education programs, increasing publicity of children's user education, and making full use of human resources are needed as operational elements. Second, organization of library user education by children's development stage and adult's role are inevitable as contents elements. In conclusion, this study was aimed to propose practical plans to improve children's user education in public libraries. With better children's user education programs, public libraries will be able to increase their children and adults user's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for using public libraries. 어린이의 독서 및 외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공공도서관의 어린이서비스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공공도서관 어린이서비스의 일환으로, 어린이 이용자교육은 어린이에게 도서관의 기능과 역할,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어린이가 활용하게 함으로써 어린이의 도서관 이용을 지원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현행 어린이 이용자교육은 어린이이용자의 발달단계별 특성이나 어린이와 동반하여 도서관을 방문하는 성인이용자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견학이나 체험활동 등 단기적이고 일시적인 프로그램 중심으로 제공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어린이 및 동반하는 성인이용자의 이용 편의를 높이고, 이용자교육 담당사서의 이용자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에 도움이 되며, 공공도서관의 질 높은 어린이 이용자교육의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목적으로 공공도서관 어린이 이용자교육의 개선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공공도서관 어린이 이용자교육의 대상을 살펴본 후 일반적인 이용자교육의 정의 및 내용과 공공도서관 어린이 이용자교육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공공도서관 어린이 이용자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외국사례 분석을 위해서『공공도서관 자료 서비스 통계 보고서 2006 : 어린이서비스 설문 특별판(Public Library Data Service Statistical Report 2006 : Special Section - Children Library Service)』에 제시된 북미지역 873개 공공도서관 중 어린이 프로그램 참여자 수 상위 20개 도서관을 선정한 후, 홈페이지 상에서 어린이 이용자교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어린이서비스 담당사서 대상의 이메일 조사를 통해 실제로 어린이 이용자교육을 제공하는 것으로 확인된 로스엔젤레스 카운티 공공도서관, 토론토 공공도서관, 멀티노마 카운티 도서관, 마이애미-대드 공공도서관, 홀 카운티 도서관, 킹 카운티 도서관 6개 도서관을 최종 선정하였다. 각 도서관의 어린이 이용자교육 프로그램을 서비스현장교육, 도서관 오리엔테이션, 도서관교육, 서지교육, 기타 이용자교육의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고, 개별 프로그램의 방법, 내용, 대상, 실시빈도를 살펴본 후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국내현황 조사를 위해서 문화체육관광부 국가도서관 통계시스템에서 제공되는 『2008 전국 도서관통계조사』에 제시된 공공도서관 644개관 중 어린이도서관 43개관과 공공도서관 일반 중 어린이실이 있으며, 『한국도서관기준』의 공공도서관 성인용 자료 대 아동용 자료의 권장 구성 비율인 70~75% 대 25~30% 기준을 근거로 30% 이상의 어린이 자료 비율을 충족하는 221개관, 총 264개관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도서관에 대한 홈페이지 및 전화조사를 통해 14개관은 제외하고, 250개관의 어린이 이용자교육 혹은 어린이실 담당사서들 중 설문에 응답하기로 한 222명의 사서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 중 124부(55.9%)를 회수하였다. 이용자 대상 설문조사는 앞서 선정된 250개 도서관에 대한 홈페이지 및 전화조사를 통해 정기적인 어린이 이용자교육이 실제로 실시되고 있음을 확인한 2개 도서관의 성인 및 어린이이용자를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설문에 응답하기로 한 성인 45명과 어린이 61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한 후, 최종 분석에 각 40부(89.9%)와 58부(95.1%)를 사용하였다. 현황 조사 결과, 국내의 공공도서관 어린이 이용자교육은 견학, 체험활동, 일일독서교실과 같은 도서관 오리엔테이션 중심으로 실시되고 있었으며, 실제로 이용자들도 이러한 방식을 선호하고 있었다. 외국의 공공도서관 어린이 이용자교육이 도서관 오리엔테이션 뿐 아니라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는 도서관교육과 서지교육을 통해 제공되고 있는 것에 비해 국내 공공도서관의 사서 및 이용자는 도서관 이용의 기본사항인 도서관예절을 교육하는 것이 더 시급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비교적 낮은 난이도의 도서관 오리엔테이션을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제까지 공공도서관 어린이 이용자교육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방법이나 내용에 대해 사서와 이용자들이 인식할 기회가 없어 이용자교육에 대한 관심이나 정보가 부족한 것으로 보였으며, 이에 대한 연구 및 홍보가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어린이 이용자교육의 개선방안을 운영요소, 내용요소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첫째, 운영요소는 기초 자료와 도구의 구축, 프로그램 다각화, 홍보 및 대상 이용자 확대, 인적자원 활용의 네 범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기초 자료와 도구의 구축은 이용자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매뉴얼 개발, 다양한 이용자교육 도구의 개발의 두 방안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프로그램 다각화는 도서관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의 세분화, 숙제지원서비스의 제공, 도서관예절 중심의 기초교육 확대, 어린이 전용 온라인교육 프로그램 제공의 네 방안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홍보 및 대상 이용자 확대는 적극적인 이용자교육 홍보 실시, 기존 프로그램과 연계한 이용자교육 확대, 자원봉사자 대상의 이용자교육 확대의 세 방안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인적자원 활용은 이용자교육 담당 및 어린이 전문사서의 배치, 이용자교육 담당사서를 위한 계속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용자교육 담당사서 간 협력을 위한 협의회 내 분과 개설의 세 방안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둘째, 내용요소로는 어린이의 발달단계별 특성에 따른 이용자교육 구성, 성인이용자의 역할에 따른 이용자교육 구성을 제안하였다. 어린이의 발달단계별 특성에 따른 이용자교육 구성을 위해 어린이이용자를 영유아, 취학전 어린이, 초등학교 1~2학년, 초등학교 3~4학년, 초등학교 5~6학년으로 나누어 교육유형, 방법, 내용을 살펴보았으며, 성인의 역할에 따른 이용자교육 구성을 위해 성인이용자를 부모 및 보호자, 유치원 및 초등학교 교사로 나누어 교육유형, 방법, 내용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제공되고 있는 공공도서관 어린이 이용자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어린이 이용자교육에 관한 요구 및 개선사항을 모색하여 이를 토대로 공공도서관 어린이 이용자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개선방안을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어린이 이용자교육이 개선된다면, 공공도서관은 어린이 및 성인이용자의 이용 목적과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어린이 이용자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어린이 및 성인이용자의 이용 편의와 만족도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한국 기록관리학 대학원 교육지침서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이윤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archival education is designed to allow one to gain knowledge of archives management theory and practice to fulfill one’s duties as an expert. Due to the current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role of an expert should include not only traditional archives management but also new archives management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electronic records and information technology. Therefo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guidelines for a graduate program in archival studies in Korea to produce experts of both theory and practice. The guidelines are used for foundations of enhancing the expertise of archivists and records managers by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curriculum in response to the changing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environment.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were used for this study to design guidelines for a graduate program in archival studies. First, through a literature review, guidelines from SAA and ACA and certification criteria from ARA, ASA, ACA, ICRM, and IRMS were analyzed to extract common components, 11 of which were knowledge categories and 40 were knowledge contents. The 11 knowledge categories included ①the nature of records and archives, ②selection, appraisal, and acquisition, ③arrangement and description, ④preservation, conservation, ⑤reference services and access, ⑥outreach, instruction, and advocacy, ⑦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⑧digital records management, ⑨knowledge for professionals, ⑩contextual knowledge, ⑪information technology. Second, 25 graduate schools of archival science in Korea and 23 overseas graduate schools of archival science were analyzed to obtain their department name, curriculum, and courses, and improvements were derived from the graduate schools in Korea. Domestic graduate schools have fewer credits and fewer required courses than overseas graduate schools. The program was not specialized because the graduate school was established as a cooperative program. Of 25 universities, 15 organized courses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According to the knowledge categories, the categories of ⑥outreach, instruction, and advocacy, ⑨knowledge for professionals, and ⑪knowledge of information technology were not independently conducted, while courses related to history and administration were very subdivid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and adjust subdivided courses and conduct essential courses while focusing on the 11 categories of knowledge. Third,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102 members of the council on archivists from July to September 2020 and was analyzed using SPSS and Excel. According to the survey, archivists took several courses related to ②selection, appraisal, and acquisition, ①the nature of records and archives, ③arrangement and description, ⑤reference services and access, and ④preservation, conservation. Archivists recognized that the archival curriculum did not adequately reflect changes in the information environment and new courses on digital records were required. In examining the priority assigned to the knowledge categories, those that had higher representation than the average were identified as ②selection, appraisal, and acquisition ⑧digital records management, ③arrangement and description, ⑤reference services and access, ①nature of records and archives, ④preservation, conservation. Although they did not take many courses on knowledge categories of ⑧digital records management and ⑪information technology, the need for each high knowledge category was investigated. Fourth, to verify the adequacy and content validity of the components, knowledge categories, and knowledge contents of the guidelines, professional assessments were carried out. To collect feedback on the components, knowledge categories, and knowledge contents of the guidelines, the Delphi survey technique was used with 16 professionals of the field from December 28, 2020, to March 19, 2021. With SPSS. 24.0 and MS Office Excel 2016, the mean, standard deviation, median, and quadrant of the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agreement, degree of convergence, and content validity ratio,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first evaluation, “preface” and “mission and goals” were integrated, “faculty” was adjusted to require more than one full-time professor; “affiliated” and “student requirements” were deleted; and “learning resources”, “administrative resources” and “facilities and job support” were integrated. Accordingly, were found six components to the guidelines for a graduate program in archival studies. The knowledge categories were integrated into eight categories: ①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basics ②selection, appraisal, and acquisition ③classification, arrangement, and description ④preservation, conservation ⑤reference services and outreach program ⑥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⑦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⑧information technology. Based upon the descriptive opinions on knowledge contents, the components of the knowledge categories were moved, added, merged and changed.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content validity ratio, convergence, and agreement through the second evaluation, there were no items that had inappropriate values; hence, there were no deleted items in the components, knowledge categories, or knowledge contents. Based upon the descriptive opinions on the knowledge contents, one knowledge contents were moved to different knowledge categories: ‘reference service as information technology changes’. Five were added: ‘role and history of records professionals’, ‘concepts and definitions of records and archives’, ‘understanding institutional management and administrative systems’, ‘management characteristics by type of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 ‘use and assessment of finding aids. Ten that need to be changed to clarify the terms were adjusted: ‘formulation and practice of records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classification of current and semi-current records’,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metadata and related standards’, ‘information disclosure act, privacy act, information freedom act, copyright’, ‘user needs analysis and information service assessment’, ‘establishing records governance’, ‘understanding different electronic recording production systems’, ‘understanding the latest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to records management’. Fifth, based on the contents included in the overseas guidelines and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graduate schools, the Korea guidelines for a graduate program in archival studies presented the opinions of records managers and archivists. There are six components of the Korea guidelines for a graduate programs in archival studies: preface, curriculum, faculty, structure of the learning process, administrative support, and conclusions. The knowledge categories are ①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basics ②selection, appraisal, and acquisition ③classification, arrangement, and description ④preservation, conservation ⑤reference services and outreach program ⑥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⑦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⑧information technology. Knowledge consists of 44 contents: ①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basics include ‘concepts and definitions of records and archives’, ‘type and characteristics of records’, ‘principles of records management’, ‘Law of Records’, ‘history of records and records management’, ‘role and history of records professionals’ and ‘code of ethics and code of conduct for archivists’; ②selection, appraisal, and acquisition include ‘disposition, disposal, and transfer of current and semi-current records’, ‘appraisal theory of archives’, ‘selection, appraisal, and acquisition of archives’, ‘formulation and practice of records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and ‘evaluation policies and practices of other countries’; ③classification, arrangement, and description include ‘classification of current and semi-current records’, ‘arrangement and description of non-current records’, ‘classification of business and records’ and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metadata and related standards’; ④preservation, conservation include ‘measures and activities for preservation and conservation of records by medium’, ‘preservation facilities, environment, and facilities’ and ‘disaster preparedness and risk management’; ⑤reference services and outreach program includ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rchival finding aids’, ‘promotion of records through SNS, exhibitions, and marketing’, ‘reference service based on records and user needs’, ‘user needs analysis and information service assessment’, ‘reference service policy development’, ‘information disclosure act, privacy act, information freedom act’, ‘reference service as information technology changes’ and ‘use of data set and public data’; ⑥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include ‘the importance of records as institutional information assets’, ‘understanding institutional management and administrative systems’, ‘best practices and benefits of records management’, ‘records management procedures and standards’, ‘management characteristics by type of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 “resource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of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s’, ‘policies and procedures in the records management program’ and ‘establishing records governance’; ⑦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include ‘designing, implementing, evaluating, and maintaining records management systems’, ‘processing and functional requirements of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various types of electronic records, such as data sets, web records, SNS, and email’, ‘electronic records laws and regulations’ ‘electronic recording quality requirements’, ‘understanding different electronic recording production systems’ and ‘principles and strategies for long-term preservation of electronic records’; and ⑧information technology includes ‘applic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to records management’ and ‘understanding the latest information technology’. The guidelines for a graduate program in archival studies in Korea were designed in five stages. This study is the first to create guidelines for a graduate program in archival studies in Korea and may be used as a reference or a basic resource for the establishment of graduate education guidelines in educational institutions, related societies and associations or public-private governance cooperation systems. Each graduate school can design basic courses in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using the knowledge categories and can standardize courses based on the knowledge contents. The guideline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educational ones that reflect the opinions of those in the field, such as records managers and archivists. In this sense, they are practical guidelines that are desired in the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field. Even if new topics related to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emerge in the future or new knowledge is required by professionals, it is possible to design for updating components and knowledge categories of records management by applying the research methods used in this study. 기록관리 교육 과정은 전문가로서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기록관리 이론과 실무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도록 하는 것이다. 현재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해 전문가로의 역할은 전통적인 기록관리 뿐 아니라 전자기록과 정보기술에 관한 이해를 기반으로 새로운 기록관리를 주도적으로 실행하는 역할까지로 확장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표는 기록관리 지식과 실무 역량을 겸비한 전문가를 배출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대학원 교육 현실에 맞는 교육지침서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교육지침서는 변화하는 기록관리학 환경에 대응하는 교육 과정의 기반을 마련하여 기록관리전문가의 전문성을 높이는 토대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록관리전문가 교육을 위한 기록관리학 대학원 교육지침서 모형을 설계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 방법을 수행하였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SAA, ACA 교육지침서와 ARA, ASA, ACA, ICRM, IRMS 인증기준을 분석하여 교육지침서와 인증기준의 공통 구성요소와 공통 지식범주, 지식내용을 추출하였다. 공통 지식범주는 ①레코드와 아카이브의 본질 ②선별, 평가, 수집 ③정리와 기술 ④보존과 보존처리 ⑤정보서비스와 접근 ⑥아웃리치, 지도, 옹호 ⑦관리와 행정 ⑧디지털 자료 관리 ⑨전문직에 대한 지식 ⑩맥락 지식 ⑪정보기술이다. 둘째, 국내 25개와 국외 23개 기록관리학 대학원의 소속, 명칭, 교과 과정, 교과목명을 분석하였고, 국내 대학원의 개선사항을 도출하였다. 국내 대학원은 이수학점이 국외보다 적으며 기본적으로 습득해야 할 기본 지식을 지정한 필수 과목이 거의 없었다. 또한, 실습과목이 대부분 선택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대학원 과정은 프로그램별로 특성화되지 못하였다. 정보기술 관련 교과목을 편성한 대학은 25개 중 15개로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지식범주별로 확인하면 ⑥아웃리치, 지도, 옹호, ⑨전문직에 대한 지식, ⑪정보기술 지식범주가 독립적으로 개설되지 못하였다, 반면에 역사학, 행정학 관련 과목은 매우 세분화되어 개설되어 있었다. 따라서 세분화된 과목을 통합하여 조정하고 11개 지식범주를 위주로 필수 과목을 개설할 필요가 있다. 셋째, 2020년 7월부터 9월까지 기록관리 관련 협의회 회원 1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SPSS. 24.0과 MS Office Excel 2016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기록관리전문가는 ②선별, 평가, 수집, ①레코드와 아카이브의 본질, ③정리와 기술, ⑤정보서비스와 접근, ④보존과 보존처리 관련 과목을 많이 수강하였다. 기록관리 종사자는 현재의 기록관리학 교과 과정이 정보환경의 변화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므로 새로운 교과 과정이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범주의 우선순위를 조사하였는데 평균보다 상위의 값을 나타낸 지식범주는 ②선별, 평가, 수집, ⑧디지털 자료 관리, ③정리와 기술, ⑤정보서비스와 접근, ①레코드와 아카이브의 본질, ④보존과 보존처리로 확인되었다. ⑧디지털 자료 관리와 ⑪정보기술은 많이 수강하지는 않았지만, 필요성은 높은 지식범주로 조사되었다. 넷째, 지침서의 구성요소, 지식범주 및 지식내용의 적절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문가 평가를 실시하였다. 대학원에서 기록관리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원과 기록관리 종사자의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전문가를 포함하여 16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2차에 걸쳐 전문가 평가를 하였고 SPSS. 24.0 및 MS Office Excel 2016을 통해 내용타당도 비율, 수렴도, 합의도 등을 포함한 기술 통계량을 분석하였다. 1차 평가를 통해 구성요소에 있어서 ‘서문’과 ‘사명과 목표’를 통합하였고, ‘교원 요건’은 1명 이상의 전임교수가 필요하다는 내용으로 조정하였고, ‘소속’과 ‘학생 선발 요건’은 삭제하였으며, ‘학습 자원’, ‘행정 지원’, ‘물리적 자원과 시설’, ‘재정 지원, 취업 지원’은 ‘행정적 지원’으로 통합․조정하였고 ‘교육 내용’, ‘교육 과정’, ‘결론’을 포함하여 6개로 조정하였다. 지식범주에 관한 전문가의 서술식 의견을 반영하여 지식범주의 명칭을 변경하였으며 지식범주를 8개로 통합 조정하였다. 이렇게 하여 ①기록관리 기초 ②선별, 평가, 수집 ③분류, 정리, 기술 ④보존과 보존처리 ⑤정보서비스와 기록 활용 ⑥경영과 행정 ⑦전자기록 관리 및 시스템 ⑧정보기술의 8개 지식범주로 조정하였다. 지식범주의 구성요소인 지식내용에 관한 서술식 의견을 반영하여 영역 이동, 문항 삭제, 문항 추가, 문항 수정을 하였다. 2차 평가에서 내용타당도 비율, 수렴도, 합의도를 측정한 결과 부적절한 값을 가지는 항목은 없었다. 2차 평가의 서술식 의견을 반영하여 ‘정보기술 변화에 따른 정보서비스’문항을 ⑧정보기술 지식범주에서 ⑤정보서비스와 기록 활용 지식범주로 이동하였고 ‘기록전문직의 역할과 역사, ‘기록의 개념과 정의, 속성’, ‘기관의 경영 및 행정체계 이해’, ‘기록관리기관 유형별 기록의 종류와 관리 특성’, 검색도구의 활용과 평가’를 추가하였으며 ‘컬렉션 개발’ 등의 10개 문항은 명확한 용어로 변경하였다. 다섯째, 국외의 교육지침서에 포함된 내용과 국내 대학원의 현황분석을 기준으로 기록관리 종사자의 의견과 기록관리 교육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한국 기록관리학 대학원 교육지침서 모형을 개발하였다. 교육지침서의 구성요소는 서문, 교육 내용, 교원 요건, 교육 과정, 행정적 지원, 결론의 6개이다. 교육 내용은 8개 지식범주로 구성하였는데 ①기록관리 기초 ②선별, 평가, 수집 ③분류, 정리, 기술 ④보존과 보존처리 ⑤정보서비스와 기록 활용 ⑥경영과 행정 ⑦전자기록 관리 및 시스템 ⑧정보기술(IT)이다. 지식내용은 44개로 구성하였는데 ①기록관리 기초에는 ‘기록의 개념과 정의, 속성’, ‘기록의 유형과 특성’, ‘기록관리 기본원칙’, ‘기록관리 관련 법’, ‘기록과 기록관리의 역사’, ‘기록전문직의 역할과 역사’, ‘기록전문직의 윤리 강령과 행동 강령’을 포함하였다. ②선별, 평가, 수집에는 ‘현용, 준현용 기록의 처분, 폐기, 이관’, ‘기록 평가 선별 이론’, ‘비현용 기록의 선별, 평가, 수집’, ‘수집정책의 개발과 실행’, ‘각국 평가정책 및 평가 실무’를 포함하였다. ③분류, 정리, 기술에는 ‘업무 분류와 기록 분류’, ‘현용, 준현용 기록의 분류’, ‘비현용 기록의 정리·기술 원칙과 표준 적용’, ‘메타데이터 이해와 적용 및 관련 표준 이해’, ‘전거레코드와 시소러스 등 검색도구 개발’을 포함하였다. ④보존과 보존처리에는 ‘기록 매체별 기록 보호 및 보존 대책과 활동’, ‘보존 시설, 환경, 설비’, ‘재해 대비와 리스크 관리’를 포함하였다. ⑤정보서비스와 기록 활용에는 ‘검색도구의 활용과 평가’, ‘교육, 행사, 웹사이트, SNS, 전시, 기록콘텐츠, 마케팅을 통한 기록 홍보’, ‘소장기록과 이용자 필요에 기반한 정보서비스’, ‘이용자 요구 분석과 정보서비스 평가’, ‘접근정책 개발’, ‘정보공개법, 개인정보보호법, 정보자유 관련 법, 저작권법’, ‘정보기술 변화에 따른 정보서비스 이해’를 포함하였다. ⑥경영과 행정에는 ‘기관 정보자산으로서 기록의 중요성’, ‘기관의 경영 및 행정체계 이해’, ‘기록관리 모범사례와 혜택’, ‘기록관리 업무 절차 및 업무 표준’, ‘기록관리기관 유형별 기록의 종류와 관리 특성’, ‘기록관리기관의 자원 관리와 조직 구조’, ‘기록관리 프로그램의 정책과 절차’, ‘기록정보 거버넌스 확립’을 포함하였다. ⑦전자기록 관리 및 시스템에는 ‘기록관리시스템의 설계, 구현, 평가 및 유지 관리’, ‘기록관리시스템의 처리 과정과 기능 요건’, ‘데이터세트, 웹기록, SNS, 이메일 등 다양한 전자기록 유형과 특성, 관리 과정’, ‘전자기록 관련 법규와 제도’, ‘전자기록 품질요건’, ‘다양한 전자기록생산시스템에 대한 이해’, ‘전자기록의 장기보존 원칙과 전략’을 포함하였다. ⑧정보기술에는 ‘기록관리에 정보기술의 적용방안’, ‘최신 정보기술의 이해’를 포함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한국 기록관리학 대학원 교육지침서는 기록관리기관에 근무하는 종사자와 교육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한 지침서이다. 교육지침서 모형 제시를 통해 기록관리학 대학원에서 준수해야 하는 최소한의 기준을 제시하며, 이론과 실무 역량을 갖춘 기록관리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기록관리학 대학원 교육 과정에서 준수해야 하는 요건인 구성요소와 교육 내용인 지식범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육지침서 모형은 전자기록, 데이터세트, 웹 기록 등 다양한 기록 유형과 기록관리시스템과 IT 정보기술 관련 지식범주를 포함한 것이 특징이다. 본 연구는 대학원 교육지침서 개발에 관한 종합적인 첫 번째 연구로서 향후 기록관리학 교육기관, 학회나 협회, 공공과 민간의 거버넌스 협력 체제에서 기록관리학 대학원 교육지침서를 제정할 때 참고하거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각 대학원에서 기록관리학 교과목을 설계하고 강의계획안을 작성할 때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변화하는 기록 환경과 함께 기록관리 분야에 새로운 주제나 전문지식이 필요하게 될 경우, 본 연구에 사용한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기록관리학 교육의 구성요소와 교육 내용을 새롭게 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 기록물의 분류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윤혜선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Records management was introduced to South Korea with the enactment of Act on the Management of Public Records in 1999. Since then, records management has focused largely on public records in the nation with a relatively low progress in the collection and management of private records. There are limitations with recordings of various social phenomena and events in an ever changing society with records only generated in the public sector. Demand for diverse archives, including citizens' records, community archives, and archives of religious groups, has grown in recent years with an emphasis on systematic records management in the private sector. In this context, the private sector is making an effort to create an active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important historical records, but it is not easy to embody the contexts of manuscripts correctly and manage them systematically due to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collections from various places in addition to the institutional defects and cost issues. Therefore, this study set out to categorize the records of the Coalition for Democratic Reunification and the People’s Movement(DRPM) and develop them into a group collection. Established as a coalition of several organizations in 1985, the Union engaged in activities out of power to resist the regime. Despite the historical value of its records, however, there was not much effort to manage and transfer its records during its four years of activities, which raises concerns of the possible disappearance of its records. Trying to create a collection of the records, the investigator organized the ones that were kept by the donator at the Archives of the Korea Democracy Foundation and analyzed their record information through a digital archive. For this, the study took a series of measures including literature study, case study, analysis and reorganization of records content, development of a classification system, and expert review. The specific research method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the manuscripts was examined, and their nature was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at of the archives. It is rare for manuscripts to make a collection, like archives, that create a collection of the massive internal records of a group (organization). Since records by various producers are collected, it is difficult to categorize the records by the source while maintaining their context. After exploring categorization methodologies to find one fit for manuscript records based on the case study of other organizations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e investigator analyzed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Korea Democracy Foundation's digital archive, Open Archive, by the year and event and further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its group collection. Secondly, the study analyzed the background and activity of the DRPM and the time, forms, and content of its records as productive features. The major events and activities of the Union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by period based on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its purpose, codes, periodic situations, and activity scope throughout its history. Its activitie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headquarters, branch, and committee as the subclass of producers that were productive features of the records. Its records were distinguished by four periods of activities: foundation and early days, its fight against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its fight against the corrupt presidential election, and its developmental deconstruction and the foundation of a new People's Movement Union for Democratic Unification as well as the periods before and after its foundation and unknown periods. As for the record forms, the records were divided into general documents and publications. Thirdly, the collection of the Union records was categorized by the subject based on the categories of democratization movement groups by Jeon Myeong-hyeok, which were applied to the Archive of the Korea Democracy Foundation. This categorization method organized the records at its Archive into 18 categorizes based on the movements of democratization movement organizations by sector including labor, farmers, youths, students, culture & art, education & science, religion, citizens, environment, women, human rights, health & medicine, press and publication, politics, coalition, and international movements. Based on Jeon's categories, the present study excluded or redefined the subject areas that were not closely related to the activities of the Union and added new ones according to need. Finally, the study presented a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group collection of the DRPM," which includes producers (organizations), time of production, subjects, and types analyzed above, which makes it possible to connect the records. This classification system for its group collection was evaluated by classification experts in the academic circles and researchers of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who were positive about it as it sorted out the manuscript records of the Union by period, subject, and form into a single classification system and accordingly promoted convenience for the researchers. Based on expert evaluations and opinions,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Union was revised. Finally, the final draft was completed.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will contribute to greater efficiency in the search of records about the DRPM as the study developed a classification system to re-categorize its records of various sources and enable their easy access and utilization in a digital archive. A group collection holds special significance as it offers comprehensive access to the records of a group's activities and specific content. The organization and application of a new classification system will show the overall structure of a collection and offer a guide towards related records in a digital archive, thus promoting the active service of records information. In addition, the organization of a group collection according to classification and application by manuscript producer will provide a basic structure as a case of various collection organizations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records in archives. 1999년 공공기록물 관리법이 제정되고 기록관리가 도입되면서 국내 기록관리는 주로 공공기록 관리 중심으로 이루어져 민간기록물 수집과 관리는 상대적으로 미흡하게 진행되어왔다. 공공영역에서 생산하는 기록만으로는 변화하는 시대의 다양한 사회적 현상, 사건 등을 기록화 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최근 들어 시민 기록 수집, 공동체 아카이브, 종교 단체 아카이브 등 다양한 아카이빙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였고, 민간영역에서 체계적인 기록관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민간영역은 중요한 역사 기록물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지만, 제도적 미비, 비용 문제 이외에도 다양한 소장처로부터 수집된 본연의 특성 때문에 매뉴스크립트의 맥락을 제대로 구현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작업은 쉽지 않다. 본 연구는 1985년에 여러 단체의 연합조직으로서 창립되어 정권에 대항하여 재야의 중심에서 활동하는 등 역사적인 가치가 있지만, 4년이라는 활동 기간동안 기록관리 및 이관 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소실 우려가 있는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의 기록물을 분류하여 단체컬렉션으로 개발하고자 하였다.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의 컬렉션 구성을 위해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에서 기증자별로 흩어져서 보존하고 있는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의 기록물을 생산자 중심으로 조직하여 디지털 아카이브를 통해 기록 정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사례조사, 기록물 내용 분석 및 재조직, 분류체계 개발, 전문가 평가를 실시하였는데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매뉴스크립트의 개념에 대해 서술한 후 매뉴스크립트의 성격에 대해서 아카이브와 비교 분석하였다. 매뉴스트립트는 아카이브처럼 한 단체(조직)가 조직 내부의 기록물을 다량 수집하여 하나의 컬렉션을 이루는 경우는 드물고, 대개 다양한 생산자의 기록물이 수집되어 있어 기록물의 맥락을 유지하면서 각 기록물을 출처별로 분류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타기관 사례 조사와 이론적 고찰을 통해서 매뉴스크립트 기록에 적합한 분류 방법론에 대해서 알아보고 현재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에서 운영하는 디지털 아카이브인 오픈아카이브에서 제시하는 연대별, 사건별 분류체계를 분석하고 더 나아가서 단체컬렉션 구성의 의의를 밝혔다. 둘째, 민통련이라는 조직의 설립배경, 활동 등을 분석하고, 기록의 생산적 특징인 시기, 유형 등과 내용을 분석하였다. 민통련의 설립 목적, 강령, 활동하던 시대적 상황, 활동 범위 등 역사를 포괄적으로 분석하여, 시기별 주요 사건과 활동 등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기록의 생산적 특징인 생산자의 하위분류로 본부/지부, 각 위원회의 활동 등으로 나누었다. 민통련은 본부뿐만 아니라 지역의 활동도 활발했기 때문에 민통련의 서울, 강원, 경기, 경남, 경북지부, 특별위원회 등의 기록 정보를 추가하였다. 또한 시기적 구분은 민통련의 활동을 바탕으로 민통련의 창립과 초창기 활동, 개헌투쟁시기 민통련, 대통령선거 투쟁시기, 민통련의 발전적 해체와 새로운 민중운동연합의 건설 등 총 4개의 활동시기와 창립 이전과 해체 이후, 미상으로 나누었다. 또한 기록물 유형은 일반 문서와 간행물, 단행본으로 나누었고, 간행물은 종류와 발행주체로 세분화하였다. 셋째,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에 적용되었던 전명혁(2004)의 민주화운동 단체를 바탕으로 나눈 범주를 차용하여 민통련 컬렉션의 주제 분류를 시도하였다. 이 분류 방법은 사료관 소장 기록물을 민주화운동 단체들의 부문운동으로 정치, 노동, 농민, 인권, 통일평화, 시민, 청년, 학생, 문화예술, 교육학술, 종교, 환경, 여성, 보건의료, 언론출판, 연합, 빈민, 국제운동 등 18개 부문으로 범주화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명혁의 범주를 기본으로 하여 민통련의 활동과 크게 연관이 없는 주제영역은 제외하거나 재정의하였고, 추가로 필요한 영역은 새롭게 추가하여 확장하였다. 넷째, ‘민통련 단체컬렉션’의 분류체계를 제시하였다. 여기에는 앞서 분석한 생산자(조직), 생산 시기, 주제, 유형이 포함되어 기록물의 연결이 가능하게 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개발한 단체 컬렉션 분류체계에 대한 전문가 평가를 받았다. 학계의 분류 전문가는 기록의 출처에 해당하는 조직 분류는 단체컬렉션을 생성할 때 가장 기본적인 원칙이며, 시기, 주제, 유형 분류 등 다계층기술규칙을 준수하였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주제 전문가는 주제 분류를 확장한 것에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며, 디지털 아카이브에 적용했을 때 효용성이 있을 것이라고 평가하였다. 최종적으로 전문가가 지적한 사항인 분류 기호의 복잡성, 시기 구분 수정, 조직의 명칭의 적합성 여부 등을 반영해서 민통련 분류체계를 수정하여 최종안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출처의 민통련 생산 기록을 재분류하여 디지털 아카이브에서 해당 기록으로의 접근과 활용이 용이한 분류체계 개발을 통해 민통련 자료의 검색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단체컬렉션은 단체의 활동과 구체적인 내용 등을 포함하는 기록에 포괄적으로 접근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렇게 새로운 분류체계의 구성을 통한 적용은 디지털 아카이브에서 해당 컬렉션의 전체 구조를 보여주고 관련 기록물로 안내하여 적극적인 기록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매뉴스크립트 생산자에 따른 분류 및 적용에 따른 단체컬렉션 구성은 보존기록에서 기록 분류를 통한 다양한 컬렉션 구성에 대한 하나의 사례로서 기본 구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인문사회 연구데이터 아카이브의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신영란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인문사회 연구데이터 아카이브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인문사회 연구데이터란 관련 후속 연구와 교육에 지속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학술적 보존의 가치가 있는 양적 및 질적 자료로 연구적, 교육적, 그리고 증거적 활용 가치가 있다. 서구에서는 일찍부터 가치 있는 연구데이터를 발굴하여 아카이빙하고 연구와 교육에 활용될 수 있도록 전문 데이터 아카이브들이 발달해 왔다. 반면에 우리나라의 경우는 이러한 연구데이터들이 기록 관리에 대한 인식 부족과 기술적인 문제, 그리고 제도적인 문제 등을 총망라하는 여러 가지 문제들로 인하여 그동안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소실되는 경우가 빈번했다. 대표적인 연구관리기관인 한국연구재단(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이하 NRF)에서도 연구과정에서 수집했거나 산출한 원자료 등이 연구가 종료된 후 유실되거나 방치되고 있어,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관련 분야의 후속 연구와 심화 연구를 지원한다는 목적으로 기초학문자료센터(Korean Research Memory, 이하 KRM)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KRM 사업은 연구데이터의 공유에 대한 제도적 측면이나 연구자의 인식 전환에 기여하는 등 여러 성과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활용에 대한 문제점이 계속해서 지적되고 있으며, 타 기관과의 협력 및 연계를 통해 활용성을 높이는 등의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제기되고 있다. 연구데이터는 활용을 통해 그 가치가 극대화될 수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서비스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아울러 학술연구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고급 인적자원 양성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있어서 연구데이터의 국가적 관리 및 연계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공공 영역과 민간 영역이 협력하는 국가 단위의 다분야 또는 다기관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 단위의 협력체계 구축을 기반으로 하는 인문사회 연구데이터 아카이브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문헌연구, 현황 및 사례 조사, 그리고 심층 면담을 통한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였다. 첫째, 문헌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논의된 연구 활동에서 산출되는 연구기록에 대한 개념과 유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기초하여 인문사회 연구데이터의 개념과 가치를 비롯하여 연구데이터 서비스의 중요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아울러 인문사회 연구데이터를 보존하고 전문적으로 서비스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데이터 아카이브의 개념과 요건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선행연구에서 진행된 논의를 정리하고 본 연구의 이론적인 토대를 마련하였다. 둘째, 현황조사에서는 KRM의 현황을 설립 배경 및 목적, 조직 구성과 사업 내역, 시스템 구성 및 운영 현황, DB 구축 현황, 그리고 서비스 현황 순으로 다각적인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KRM의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개선해야 할 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셋째, 국내외 사례조사는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인문사회 연구데이터 아카이브의 협력체계 구축과 서비스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포괄적인 협력을 표방하며, 단일 유형의 데이터가 아닌 비교적 여러 유형의 인문사회 연구데이터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 데이터 아카이브를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에 따라 AHDS(The Arts and Humanities Data Service), ESDS(Economic and Social Data Service), GESIS(German Social Science Infrastructure Services), HRAF(The Human Relations Area Files, Inc.), ICPSR(Inter-University Consortium for Political and Social Research)이 포함된 국외 5개 아카이브와 20세기민중생활사연구소, 한국사회과학데이터센터, 한국사회과학자료원,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이 포함된 국내 4개, 총 9개의 아카이브를 최종적으로 선정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선정된 각 데이터 아카이브의 사례는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사업 운영과 조직 구성 특징, 서비스 데이터 유형 특성, 그리고 제공 서비스 특징으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협력을 통한 운영 방식과 서비스 방법 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넷째, 인문사회 연구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전문가 조사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의 참여자로는 KRM의 사업을 잘 알고 있으며, 연구데이터를 전문적으로 생산하고 활용하는 연구자 집단을 표집하였고, 준거적 선택을 원칙으로 연구데이터를 실제로 생산하고 활용하는 인문사회분야 연구자 중 KRM의 시범사업부터 직접 참여하여 구축과 사업 운영의 경험이 풍부한 연구자들을 먼저 선정하였다. 그리고 면담을 진행한 후, 새로운 면담 참여자가 필요할 때는 눈덩이 표본추출 방식을 활용하여 선행한 면담 참여자의 추천을 받아 면담 참여자를 확보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사회과학 6명, 인문학 5명, 총 11명에 대한 면담이 성사되었다. 면담은 2012년 4월 23일부터 5월 25일 사이에 이루어졌으며, 문헌연구와 현황 및 사례 조사 결과를 토대로 인문사회 연구데이터 서비스의 활용성·가치·개선사항·발전방향이라는 프로토콜로 구성된 반구조화 된 면담지를 이용한 개별면담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KRM의 문제점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국내 인문사회 연구데이터 서비스의 개선방안과 협력체계 구축의 타당성 검증 및 구축 요건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자의 정보 요구를 분석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국가가 운영하는 유일한 인문사회분야 연구데이터 서비스인 KRM의 현황을 조사함으로써 연구데이터 서비스의 전반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분석할 수 있었다. 그리고 국내외 사례조사 결과를 통해 협력과 서비스 방식의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전문가 조사 결과에서는 인문사회 연구데이터 서비스의 발전방향으로 협력기반 연구데이터 아카이브의 운영이 타당하고, 적극적 협력 방식과 밀결합 형태의 협력체계가 적합하다고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협력체계에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연구관리기관인 NRF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야 하며, 그 역할에 대해서는 연구 관리 및 지원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아울러 KRM 및 국내외 사례의 비교·분석을 통해 연구데이터 서비스의 배경에는 OAIS 참조모형 등 디지털 아카이빙의 기술적 적용과 연구데이터의 라이프사이클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큐레이션 활동이 토대가 되고 있으며, 실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에 적용된 대표적인 도구로 DDI, 자료탐색 도구, OAI-PMH, DOI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구축 요소에 반영할 수 있는 주요 키워드는 연구데이터 중심 서비스, 연구자 중심 서비스, 그리고 교육 서비스로 정리할 수 있었고, 전문가 조사 결과를 통해 요구되는 세부 기능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를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인문사회 연구데이터 아카이브의 발전 방안으로 연구데이터의 라이프사이클 모델을 기본 요건으로 하는 협력기반 서비스 중심의 개념적 발전 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인문사회 연구데이터 아카이브의 발전적 모형에는 도출한 연구결과를 모두 적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향후 포털 서비스를 목표로 하기 위하여 서비스의 요소로 포털의 개념과 공유, 참여, 개방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웹 2.0의 기술적 요소를 반영하는 것도 고려하였다. 본 연구는 NRF가 연구 관리 및 지원 기관으로서 그 중심이 되고, 인문학 및 사회과학 분야 전문 데이터 아카이브들이 컨소시엄 형태로 구성된 국가 단위의 협력체계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각 협력체의 역할 범위와 기능을 분명하게 규정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협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중심의 발전적 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인문사회 연구데이터 아카이브의 발전적 모형은 향후 구축을 통해 우리나라 인문사회 연구데이터의 허브이자 나아가 종합적인 관문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인문사회 학술연구의 활성화와 학습 및 교육 활동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한국십진분류법의 문헌정보학 분야 분류체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온혜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LIS) has been rapidly grown against the backdrop of changes of information media, increment of the amount of information, enhance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long with the advance over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review the reflection of academic development and changes of LIS in the 020 of LIS in the 6th edition of KDC, and to propose the final draft of amendments which properly reflects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LIS. For this matter, literature research, transition process of the several editions of KDC,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ajor literature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of professionals throug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For the literature research, academic categories were setup by analysing previous studies of academic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in the field of LIS since 2000. From the 1st edition to the latest 6th edition of KDC, revised and changes in LIS fields were reviewed while understanding the composition. In sequence, the 6th edition of KDC was analyzed comparatively in each subject according to the academic categories in DDC, NDC and UDC. Upon comparatively analyzing the transition process of KDC, there were almost no changes made on subjects from the 1st to the 2nd, following the 3rd edition, development of the library techniques arose information science subject, and information science started to effect environment of library and business in the 4th edition where the term “Library Information Science” was brought out. From the 4th edition, significant additions were made to the headings while computer related work becomes common in library. However, the space of future headings was secured by including the unnecessary items to the higher headings of the 4th when the 5th was revised. The 6th edition established new headings updating modernized terms of classification, increasement of related writings and reflecting the scholarship which radically developed among social interests while keeping the basic structure of existing edition.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transition process of KDC, supplementations for the field of LIS(020) in the 6th edition of KDC are as follows: First, information policy should be classified with properly related broader subject that embodies developments and growth of the society. Second, for the users, notes should be added to Alternative Classification(024.48), which is recently added to acquisition processing and preservation(024), since explanation of the title does not exist. Upon comparative analysis of primary classification scheme, the structure of LIS of KDC follows the main points and details of NDC, and new terms and technologies are reflected but not as segmentalized as DDC. The improvement suggestions in LIS of the 6th edition of KDC are follows. First, LIS(020) includes informatics but the result of analyzing academic categories of LIS shows that the informetrics, which is continuously growing of attention since 2000, is classified at Bibliometrics under Books, Bibloigraphy(010). Therefore, connection through informatics is not possible where the supplementation is needed. Second, in Library Management(023), Librarian is applied with characteristic of professional, generally recognized as professional and also in the field of professional at the academic categories of LIS. Therefore, a strong professional meaning should be suggested at Librarian(023.2). Third, the amount of materials of Acquisition Processing and Preservation(024) has been rapidly grown since increasing of publication and digital materials but the aquisition is in singular classification and lack of details need to be supplemented. In the field of cataloging and bibliographic control (024.3), form of lists and types of heading only included kinds of forms with lack of logical methods. Furthermore, there were insufficient headings related with automation library work, on the other hand technical details were developed. The fields of classification, notation, and subject analysis (024.4) can be subdivided into several categories of classification. But only single heading was developed, moreover detail of index, which simplifies information retrieval, was not existed. Fourth, the library service, which is classified singularly in Library Service and Activities(025), should be categorized since classifying into general and special services is possible through the details of the academic categories. Fifth, The contents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which included in preservation were distributed into the heading of records management, also archives and type of recorder was unable to be classified. Therefore, the academic background and revising for the LIS field in the 6th edition of KDC were made referring to other classification system were as follows. First, Bibliometrics in Books(010.15) should be relocated under Informetrics(020.15) to unfold with related titles and comprehensive acceptance. Second, reference notes are added into the information policy of Library and Society(020.13) in LIS(020) to unfold with policies and related titles. Third, for Library management(023), notes are added into professional for comprehensive acceptance. For the field of acquisition processing and preservation (024), insufficient section of acquisition was supplemented and notes was described so that the subject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acquisition items. Also, acquisition for materials from geographic areas was added. For the collection development, specific type of institution about detailed categories was supplementally applied under subordinate section. With the section of cataloging and bibliographic control (024.3), changes were made to the names of headings according to scientific evidence and the composition was sorted out so the deployment can be carried out at the same level, along with addition of categories for new technologies. In classification, notation, subject analysis section (024.4), subordinated headings were applied under subordinate section of general classification systems. Also notes were described with details of headings that enable subjects classified according to each title for index of headings. Also, in Alternative Classification(024.28), definition notes are suggested for users to understand its' meanings. Fifth, the library service of specific library is added under Library Service in Library service and activities(025) and also reference notes are added. Lastly, for the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distributed records management were allocated into related headings to be included into notes and describing here notes along with adding notes to fragment recorders into categories. The suggested amendments earned positive reviews by the professional for classification theory in the academia and librarians who are in charge of classification in libraries of universities, that although limitation of KDC maintenance existed, additions and fragmentation of headings expand expression of variety of titles of information in the field of LIS. The amendments of KDC 020 LIS field that are sugges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resources to revise the next version of KDC. 문헌정보학은 지식정보사회의 도래와 함께 정보매체의 변화, 정보량의 급증, 정보기술의 발달 등의 환경을 배경으로 빠르게 성장되어 왔다.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분야의 학문적인 발전과 변화를 KDC 제6판 문헌정보학 분야에 충분히 반영되었는지 살펴본 후, 학문적 특성을 반영한 문헌정보학 분야의 수정전개표 최종(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KDC의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주요 문헌분류체계 비교분석을 통해 수정전개표를 도출하였고 이에 관한 전문가 평가를 수행하였다. 문헌연구는 2000년 이후에 연구된 문헌정보학 분야의 학문적 특성 및 구조에 관한 선행 연구를 중심으로 학문적 범주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KDC 제1판부터 제6판까지 문헌정보학 분야의 개정되고 변화되어 온 내용과 구성, KDC 편찬시 주로 참고해온 DDC, NDC, UDC를 선정하여 문헌정보학의 학문적 범주에 따라 항목을 비교분석하고 KDC 제6판에서 개정이 필요한 항목을 도출하였다. KDC 변천과정을 비교분석한 결과, 제1판에서 제2판까지 항목 변경은 거의 없었고 제3판에서부터 도서관 환경에 변화가 생기며 정보학 관련 항목이 생기기 시작하였다. 제4판부터는 정보 기술이 도서관의 업무에 많은 영향력을 미치면서 분류항목명이 많이 추가되어 크게 변화가 있었으나 제5판으로 개정되면서 제4판의 불필요한 항목들을 상위항목에 포함시켜 분류 공간을 확보하였다. 제6판의 경우, 기존 판의 기본구조를 최대한 유지하자는 기본방침과 분류표 용어의 최신화와 현행화를 반영하고 관련된 저작의 증가, 사회적 관심과 급진적으로 발전하고 변화하는 학문을 반영하여 항목을 신설하였다. KDC 변천과정을 고찰하면서 KDC 제6판 문헌정보학 분야에 보완되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정보학(020)에서 도서관과 사회 항목은 정보정책을 포함하고 있으나 이 항목은 도서관과 정보에만 국한된 것으로 포함 주기에 들어가기보다는 국가 사회 발전이란 좀 더 큰 맥락에서 관련주제와 분류될 필요가 있다. 둘째, 수서, 정리 및 보존(024)에서 ‘024.48 대안적 분류’가 추가되었는데 새로운 분류항목명으로 항목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없으므로 이용자를 위한 정의주가 필요하다. 주요 문헌분류체계와 KDC를 비교분석한 결과, KDC 문헌정보학 분야의 전개구조는 NDC의 요목 및 세목을 많이 따르고 있었으며 용어와 최신 기술을 반영하고 있었지만 DDC보다는 분류항목을 덜 세분하고 있었다. KDC 제6판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개선되어야할 분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정보학(020)은 정보학을 포함하고 있으나 문헌정보학 학문적 범주의 분석결과 2000년 이후부터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계량정보학을 분류할 수 있는 항목은 없었으며 도서학, 서지학(010) 하위항목인 계량서지학만 존재하였다. 그러므로 계량분석이란 주제를 총괄할 수 있는 계량정보학, 계량과학에 대한 분류 항목 제시 및 보완이 필요하다. 둘째, 도서관 경영, 관리(023)에서 다루고 있는 사서직은 전문직종에 해당되므로 해당 항목인 ‘023.2 도서관직원, 사서직’에 전문직에 관한 사항을 강조하고 전문직으로서의 사서직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셋째, 수서, 정리 및 보존(024) 분야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출판물이 급증하고 디지털 정보자료의 비중이 커지면서 자료의 양이 방대해졌는데 자료 수집은 단일항목으로 전개되고 세부항목이 부족하여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목록법, 서지조정(024.3) 분야에서 목록형태와 종류는 형태별 종류만 포함하고 있었으며 논리적 체계성이 부족하였다. 또한 도서관 자동화 업무의 세부 기술들이 개발되었는데 이에 관련된 항목이 부족해서 이에 대한 추가가 필요하다. 분류법, 기호법, 주제분석(024.4) 분야는 하나의 항목으로 전개하고 정보검색을 용이하게 해주는 색인에 대한 추가적인 세부 항목이 필요하다. 넷째, 도서관 봉사 및 활동(025)에서 정보서비스는 학문적 범주의 세부영역을 통해 일반봉사와 특수봉사로 구분될 수 있는데 단일항목으로 전개하고 있어서 이에 대한 구분이 필요하다. 다섯째, 기록관리 및 보존기록관(026.99)은 관련 저작을 따로 모아서 세부주제별로 분류하고자 하는 도서관의 경우, (028)에 별법항목을 두어 적용할 수는 있지만, 별법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보존기록관을 모으고 기록관의 유형을 세분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주요 문헌분류체계를 참고하고 학문적 특성을 반영하여 제안한 KDC 제6판 문헌정보학 분야의 관한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학, 서지학(010)에서 계량서지학은 계량정보학에 포함되며 이는 정보학의 세부영역으로 관련된 주제와 전개될 수 있도록 항목을 이치시키고 포괄적으로 수용하기 위해서 계량정보학으로 항목명을 변경하였다. 둘째, 문헌정보학(020)은 ‘020.13 도서관과 사회’에 포함되는 정보정책에 대해서 정책과 관련된 보다 포괄적인 주제에 전개할 수 있도록 참조주기를 제시하였다. 셋째, 도서관 경영, 관리(023) 경우, 전문직으로서 사서직을 강조할 수 있도록 주기에 전문직을 추가하였다. 넷째, 수서, 정리 및 보존(024) 분야는 자료수집의 부족한 항목을 보완하기 위해 자료수집 항목을 주제에 따라 분류할 수 있도록 포함주기를 기술하고 지역 자료를 위한 수집 항목을 신설하였으며 장서개발의 하위항목에 특정 유형 기관에 대한 세부항목을 추가로 전개하였다. 목록법, 서지조정(024.3) 분야에서는 항목명을 변경하고 동일한 수준에서 전개되도록 분류기호를 변경하여 이치하였으며 새로 생긴 기술 항목을 추가하였다. 분류법, 기호법, 주제분석(024.4) 분야의 경우, 색인을 주제에 따라 분류할 수 있도록 세부항목을 전개하며 포함주기를 기술하였다. 그리고 ‘024.28 대안적 분류’의 항목은 항목명에 대한 정의 주기를 제공하였다. 다섯째, 도서관 봉사 및 활동(025)은 정보서비스의 단일항목 하위에 특수한 도서관의 정보서비스를 추가하고 주기사항을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기록관리학 분야는 분산되어 있던 보존기록관을 각 해당 영역으로 이치하여 주기사항에 포함시키고 지시주기를 제공하였으며 기록관을 유형별로 세분할 수 있도록 포함주기를 추가하였다. 수정전개표(안)에 대한 학계의 분류전문가와 대학도서관 분류담당 사서인 실무자에게 받은 평가는 기존 KDC 분류체계 변동으로 인한 재분류 문제가 있지만 항목의 신설과 세분화로 다양한 주제의 자료를 표현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이었다. 전문가 평가 의견을 반영해서 수정전개표 최종안을 작성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KDC 제6판 문헌정보학 분야의 개선 방안은 이후 KDC의 개정작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폐교 사립대학 기록물 관리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이재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Due to the recent demographic cliff, the schooling population has been steadily declining and the number of college admissions has also sharply dropped. With the prediction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at 38 universities in Korea will be closed within the next three years, Korean universities face the crisis of being a closed university. The closure of universities is associated with va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the recession of local merchants as well as students, faculty, and staff. In particular, the legal, administrative, historical, and informational values of university records shed light on the importance of follow-up process and management of closed university records. Although closed university records need to be systematically managed in accordance with legal procedures similar to other public records, there is no practical and clear legal standard for the management of such records at present; management standard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losed) university records and individual universities’ situations and specificity have not been sufficient. In this regard, this study, which examined the ambiguous standards for closed university records management and analyzed the relevant problems, suggested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s a way to improve the records management of closed universities. The methods used in the study included literature review, current circumstance analysis, interviews. First, the study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records, analysis of closed institutions and records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disclosure requests were made for institutions related to management of closed university records, and information on the status of closed universities and their records management was collec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current circumstances of closed universities and their records management system using educational statistical annotation data were presented. The issues that might occur in records management were also analyzed. Moreover, in order to suggest a realistic improvement plan,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s with five practitioners directly and indirectly in charge of management of closed universities and their records to examine the actual issues arising from the closed university records management process.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analysis results of the issues revealed in the current closed university records management system. First, the fundamental problems of closed university records management stemmed from poor records management of the closed universities themselves. Second, the transferred documents of the closed universities were limited to the legal documents of academic rosters and processing of a university’s basic property. Third, in case of transferring records of a closed university to a consignment agent, the agreed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the transferring period were somewhat vague. Fourth, the records were simply stored without classifications, and the detailed list of the records kept by the contracting company was also inadequate. Fifth, records were not managed by professional staffs. Sixth, there was no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n relation to these problems, this study classified the Ministry of Education, Korea Advancing Schools Foundati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the (closed) universities as the closed university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 in charge, closed university records consignment management institution, central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 and university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 respectively to suggest the institutional tasks according to legal issues. Meanwhile, as an improvement plan for the management of closed university records,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linking the Ministry of Education – Korea Advancing Schools Foundation - National Archives of Korea - (closed) universities in a basis of the governance networks-typed integrated management structure was propose to establish and maintain support, sharing, and cooperation.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closed university records mentioned above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support system is a linkage between the closed university records management bodies; National Archives of Korea should actively support the archives management of closed universities by reviewing the legal system related to closed university records, publishing manuals for closed university records management, records management consulting, staff assignment, and records management evalu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take responsibilities to properly manage closed university records, such as initiating relevant legal revisions of non-disposition order of closed university records and expansion of transfer records, reviewing general management of closed university records of consigned institutions, funding professional staffs of records management. Also, by reinforcing university records management to reflect the records management item in the university evalu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play an active role of systematizing records management prior to university closure. On the other hand, Korea Advancing Schools Foundation, which is the consigned management institution of closed university records, should establish specific management standards such as providing records transfer consulting and preparing records management regulations. As a part of supporting the operation of private universities with relatively weak records management, digitalizing tasks should be planned and implemented for providing digital record generation system and records management system. The sharing system is associated with the continuity of closed university records management. Upon the decision of university closure, the closed university submits the current records report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Korea Advancing Schools Foundation should report the transfer results of closed university records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National Archives of Korea should share the management situations of closed university records to open the possibilities of continuous cooperation. For the cooperation system, organizing the cooperation bodies of closed university records management should lead to the common objective by negotiating the support range and adjusting the stakeholders’ interest according to the management roles of closed university records management bodies. A variety of opinions should be shared to enhance the quality of university records management based on the cooperation system of the university records management bodies. Finally, this study visualized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per stage, taking an integrated approach to the closed university records management process. The study classified the separate roles and tasks of the management bodies according to the current legal and institutional issues and proposed improvement plans per institution according to the records management stage in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can contribute to effective closed university records management in the future. 최근 인구절벽의 위기 속에 학령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대학의 입학 충원율도 급감하면서 교육부는 향후 3년 내 국내 대학의 38개교가 폐교할 것이라는 예측을 하는 등 현재 한국의 대학은 폐교라는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폐교대학의 등장은 학생, 교수, 교직원은 물론, 지역상권의 침체 등 다양한 사회 문제로 비화한다. 특히 폐교대학에서 생산된 기록물에 대한 후속조치 및 관리에 대한 문제는 대학기록물 자체가 갖는 법적·행정적·역사적·정보적 가치를 고려할 때, 주요하게 논의되어야 할 사항 중에 하나이다. 그에 따라 폐교대학 기록물 역시 여타 공공기록물과 마찬가지로 적법한 절차에 따라 체계적으로 관리될 필요가 있지만, 현재 폐교대학 기록물 관리에 관한 실질적이고 뚜렷한 법제적 기준이 부재하고, (폐교)대학기록물이라는 특성 및 개별 학교의 현실과 특수성에 부합하는 관리기준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리기준이 모호한 폐교대학 기록물 관리실태를 파악하고, 그 문제점을 분석하여 폐교대학 기록물 관리의 개선 방안으로 통합관리체계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 현황분석, 면담조사를 이용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대학기록물의 특성과 폐지기관 및 폐교 기록물 관리체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폐교대학 기록물 관리와 관련된 유관기관을 대상으로 정보공개청구를 진행하여 폐교대학 현황 및 폐교대학 기록물 관리 현황에 관한 정보를 입수하고 교육통계연보 자료를 활용하여 폐교대학 현황 및 현행 폐교대학 기록물 관리체계를 밝히고, 기록관리 측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뿐만 아니라 폐교 및 폐교대학 기록물 관리와 직·간접적으로 관련있는 유관기관 실무자 5인과의 면담조사를 통해 폐교(대학)기록물 관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실무적인 문제를 검토하여 현실적인 관리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데 활용하였다. 현행의 폐교대학 기록물 관리체계 내에서 드러나는 문제점에 대한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폐교대학 기록물 관리의 원천적인 문제는 폐교대학 측의 부실한 기록물 관리에서 비롯된다. 둘째, 폐교대학의 이관기록물이 법적으로 학적부 및 학교기본재산의 처리사항을 기재한 서류로 제한되어 있다. 셋째, 폐교대학 기록물 위탁기관으로 기록물 이관 시, 이관 시기에 대한 합의된 원칙과 기준이 다소 모호한 측면이 있다. 넷째, 기록물분류체계가 없이 단순 보관 상태로 보존되어 있으며, 위탁업체를 통해 관리되는 보유기록물에 대한 상세목록 역시 부실하다는 문제가 있다. 다섯째,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에 의해 관리되지 않고 있다. 여섯째, 통합관리체계가 부재하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바탕으로 교육부, 한국사학진흥재단, 국가기록원, (폐교)대학을 각각 폐교대학 기록물 책임기관, 폐교대학 기록물 위탁관리기관, 중앙기록물관리기관, 대학기록물 관리기관으로 구분하여 법제적 쟁점에 따른 기관별 과제를 제시하였다. 또한 폐교대학 기록물 관리를 위한 개선 방안으로, 거버넌스 네트워크 통합관리구조를 바탕으로 교육부-한국사학진흥재단-국가기록원-폐교대학으로 연계되는 통합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지원체계·공유체계·협력체계를 유지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상의 폐교대학 기록물의 통합관리모형(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원체계는 폐교대학 기록물 관리주체 간의 연계 지원체계로, 국가기록원은 폐교대학 기록물 관련 법제 검토, 폐교대학 기록물 관리 매뉴얼 제작, 기록관리 컨설팅, 직원 파견, 기록관리 업무 평가 등 폐교대학 기록물 관리 현장을 적극 지원하여야 하며, 교육부는 폐교대학 기록물 관리가 제대로 수행될 수 있도록 폐교대학 기록물 처분 중지 명령 및 이관기록물 범위 확대 등 관련 법 개정을 주도하고, 위탁관리기관의 폐교대학 기록물 관리와 관련된 제반 사항을 점검하며 예산지원을 통해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배치를 권고하는 등 책임기관으로서의 책무를 이행하여야 한다. 또한 대학평가 내 기록관리 항목을 반영하여 대학기록물 관리를 강화함으로써 폐교 이전 단계부터 기록관리가 체계화될 수 있도록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역할을 담당하여야 한다. 한편 한국사학진흥재단은 폐교대학 기록물 위탁관리기관으로서 폐교대학 내 기록물 이관 컨설팅을 제공, 폐교대학 기록물 관리규정 마련 등 구체적인 관리기준을 정립할 필요가 있으며 상대적으로 대학기록관리 부실한 사립대학 경영지원의 일환으로 전자기록생산시스템 및 기록관리시스템 보급과 관련된 전자화 사업을 기획·시행할 필요가 있다. 공유체계는 폐교대학 기록물 관리의 지속성과 관련이 있다. 대학의 폐교가 결정되면, 폐교대학은 교육부와 한국사한진흥재단으로 보유기록물 현황보고서를 제출하고, 한국사학진흥재단은 폐교대학 기록물 이관 결과를 교육부에 보고하여야 하며, 국가기록원으로는 폐교대학 기록물 관리 현황을 공유하여 지속적인 업무협의의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한다. 협력체계는 폐교대학 기록물 관리주체 간의 협의체를 구성하여 관리주체별 역할에 따른 업무지원 범위를 협의하고 이해관계자들의 이해를 조정하여 공통의 목표를 유지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또한 대학기록물 관리주체 간의 협력체계를 통해 대학기록관리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다양한 의견을 개진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앞서 분석하고 검토한 모든 결과를 바탕으로 폐교대학 기록물 단계별 통합관리체계를 도식화하여 제시함으로써 폐교대학 기록물 관리 프로세스를 통합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본 연구는 분산되어 있는 관리주체의 역할과 과제를 현행 법·제도적 쟁점에 따라 구분하고 통합관리구조 내에서 기록관리 단계에 따라 기관별 개선 방안을 도출함에 따라 향후 효과적인 폐교대학 기록물 관리에 관한 기초자료 및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국내 공공도서관의 도서기호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박열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도서기호는 동일 분류항목으로 분류된 여러 자료를 일정한 기준에 따라 추가 기호를 부여, 개별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용자는 분류기호와 도서기호로 이루어진 청구기호를 이용하여 서가에서 특정 자료를 식별할 수 있다. 국내 도서관 현황조사에서는 도서기호의 잦은 중복 발생, 그로 인해 길어지는 기호의 복잡성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었으나 새로운 도서기호법의 제안이나 기존 기호법의 개정에 대한 연구가 적어 개선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므로 도서기호를 변경하거나 개선하고자 하는 도서관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공도서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도서기호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했으며, 문헌연구, 설문조사와 면담, 실제 도서기호 비교분석, 전문가 평가 방법을 사용하였다. 문헌 연구에서는 도서기호의 의의와 기호법의 유형에 따른 특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국내 공공도서관의 도서기호 담당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담을 실시하고, 설문대상 도서관에서 실제 부여된 도서기호를 비교하여 도서기호 이용의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기존 도서기호의 문제점 분석을 바탕으로, 기호의 중복을 최소화하고 이용자가 이해하기 쉬운 도서기호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직 사서와 학계 분류 전문가를 통하여 제시된 개선 방안의 실용성을 평가받았다. 설문 및 면담, 실제 도서기호 비교를 바탕으로 드러난 현용 도서기호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구기호가 이용자들이 이해하기 어렵게 되어있다. 둘째, 중복기호가 다수 발생하나 중복기호를 그대로 사용하는 도서관이 많고, 개별화하는 경우 기호가 복잡해지는 경우가 많다. 셋째, 외국인 저자명의 한글표기와 번역 표제를 그대로 사용하며 이 때문에 자료가 분산될 가능성이 있다. 넷째, 기입어 선정 대상에 대한 기준이 없다. 이상의 현황 문제점을 바탕으로 국내 공공도서관에 적합한 도서기호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개선 방안의 목적은 첫째, 이용자들이 쉽게 이해하고 식별할 수 있는 도서기호를 만드는 것, 둘째, 기호 중복을 최소화하고, 상세한 개별화 방안을 마련하는 것, 셋째, 기입어 선정의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엘로드 기호법을 기반으로 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엘로드 기호법은 저자명과 표제를 그대로 채기하기 때문에 이용자가 기호를 이해하기 쉽고, 기호 작성도 간단하며, 저자기호의 중복 발생률이 낮고 다양한 판의 구별이 용이하다. 개선 방안은 크게 기본원칙과 부차적 기호로 나누어 제시하였으며, 기본원칙에서는 저자의 특성에 따라 기입어 선정 기준을 알 수 있게 하였다. 번역서의 경우, 외국인 저자명의 한글 표기, 번역표제를 그대로 사용하게 하되, 유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별법을 마련하여 자관에서 선택할 수 있게 하였다. 부차적 기호 규정은 다른 기호법을 사용하는 도서관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보편성을 가지도록 하였다. 복본, 권차, 전기서, 비평서 등을 위한 부차적 기호 사용법을 제시하였으며, 표제 중복에 의한 중복기호의 개별화 방안을 마련하였다. 전문가 평가 결과, 기호의 식별이 용이하고 기호 작성이 간단하다는 점, 중복기호 개별화를 위한 방안이 높이 평가되었다. 그러나 업무 효율성을 위해서는 개선 방안이 기호 자동생성 프로그램에 반영되어야 한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특정 표현과 기호가 적합하지 않거나 불필요하다는 의견을 반영하여 지적된 표현을 수정하고, 번역자 등의 표기는 자관에서 선택하여 간략화할 수 있도록 변경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도서기호 개선 방안은 기존 도서기호법의 문제점을 느끼고 변경 혹은 개선하고자 하는 국내 공공도서관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보다 효율적인 도서기호 개발의 기초자료로 쓰일 수 있을 것이다. Library materials within the same subject class are subarranged by assigning book numbers. Library users can identify a specific item using a call number, the combination of a class number and a book number. Although researches on Korean libraries show problems of duplication and complexity of current book numbers.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new book number system or improvement of existing book number systems, so libraries are having difficulties for amendment for book number. Therefore, additional studies on book numbers are necessary for libraries that are willing to change or modify book numbers system. This study suggests the modification for book numbers in Korean public libraries. Research methods are literature review, questionnaire surveys, interviews, comparison of actual book numbers and professional reviews.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 of the book number were studied. The questionnaire surveys and the interviews with public librarian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inconvenience of using current book number systems. By comparison of actual book numbers, problems of existing book number system were analyze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modification of book numbers. Finally, the modification were reviewed by librarians and academic professionals. The analysis of problems of current book number systems are as follows. First, current call numbers are not easy to understand for library users. Second, many libraries use duplicated book numbers. Some libraries removed the duplication by adding notations, but it makes the call number more complex. Third, since libraries use foreign author’s names in Korean alphabet and use the book titles translated in Korean, works by a given author or various editions of same work might not be collocated on the shelves. Fourth, there are no criteria for selection of which bibliographic element to be the entry for book number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modification of book numbers base on the problem analysis. The purposes of the modification are; to make the book number more user-friendly; to minimize duplication of notations and provide the guideline for removing duplicated notations; to provide the selection criteria of entry for book numbers. The modification was formulated based on Elord book number. Elord book number uses authors name and book title as it is, not symbolize by numbers. Therefore, Elord book number is easy to understand and assign notations, and the rate of duplication is low. The modification consists of general rules and additional notation rules. The general rules provide criteria of entry by authorship of materials, and alternative rules for collocating translated materials are offered. Additional notation rules provide common grounds for libraries that use other book number systems. Finally, librarians and academic professionals evaluated the modification. The simplicity for identifying and assigning notation is highly evaluated. Rules for eliminating duplications are also positively evaluated. It is pointed out that the modification should be applied to automatic notation programs. Some expressions and rules were considered inappropriate or unnecessary, so amendments were made following the reviews. The modification for book numbers suggested in this study will help Korean public libraries that need to change or modify book number systems. Also, the modification will be useful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more efficient book numbers.

      • 듀이십진분류법 국내법 분야 분류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이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문헌분류체계인 DDC는 서구 위주의 분류표로서 동양 관련 자료의 분류에 어려움이 있다. 이런 문제는 영미법 계통을 따르는 서구와 달리 대륙법 계통을 따르는 동양의 법학 관련 자료를 분류하는데 있어서도 문제점으로 나타났으며 법학전문대학원 도입으로 인한 다양한 주제의 논문 등 연구 성과 산출도 동양 법학 관련 자료의 분류문제를 심화시켰다. DDC를 사용하는 대학도서관이 법학대학의 교육목적을 보다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서관 소장 법학 관련 자료에 대한 체계적인 조직 및 관리가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는 만큼 DDC 국내법 분야에 대한 개선안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들 국내외 법학 자료에 대한 체계적인 분류를 위해서 DDC 법학부분의 국내법 분야를 개선하여 동서와 양서 모두를 수용하여 분류할 수 있는 DDC 법학 분야의 국내법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개론서를 바탕으로 법학 분야와 그 체계를 파악하고 표준문헌분류체계인 DDC, LCC, KDC, 법원도서관분류표, NDC를 각각 국내법 분야별로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법학전문대학원이 설치된 전국 25개 대학도서관 분류담당사서를 대상으로 법학분류와 주제접근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1개 대학이 설문에 회신하여 84%의 응답률을 보였다. 이 중 DDC를 채용하고 있는 15개(72%) 대학도서관의 설문응답지와 DDC 법학 분야 분류표의 항목전개 비교분석을 통해 파악한 현행 분류표의 분류전개 상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륙법과 영미법 체계의 법률 용어의 상이함을 해결하고 두 법체계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표목조정 및 대륙법 관련 항목을 추가해야 한다. 둘째, 행정법, 형법 등과 같이 주제전개가 미흡한 부분의 세부항목들을 추가해야 한다. 셋째, 형사소송법, 민사소송법과 같이 여러 곳으로 분산되는 비슷한 주제항목은 한곳으로 모아 관련 자료가 분산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넷째, 행정조직법 아래 포함되어야 할 지방정부가 그와 동일한 계층의 분목에 위치하고 있는 것과 같이 계층적으로 문제가 있는 항목은 논리적으로 재전개해야 한다. 다섯째, 신지식재산권제도, 전자소송과 같은 신법 관련 자료의 증가에 대비하여 중요한 신법들을 수시로 분류표 상에 신설하도록 해야 한다. DDC와 타 분류체계와의 비교분석 및 분류실무자 대상 설문조사 결과 지적된 위와 같은 문제점을 바탕으로 한 주요 개정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헌법 분야에서 입법학, 국법학을 포함한 헌법의 기본원리에 대한 항목의 신설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이를 적절한 위치의 공 기호인 342.01 쪽에 신설하였다. 둘째, 행정법 분야에서는 행정법 관련 주제항목들이 342 헌법 하에 속해 있는 관계로 주로 행정조직 부분만 미흡하게 전개되고 있어 질서행정법, 급부행정법 등과 같은 행정작용법과 행정쟁송 관련법을 한국의 국내법체계를 반영하여 신설하였다. 셋째, 형법 분야에서는 형사법원을 포함한 형사소송 관련법을 347 소송법 및 법원 쪽으로 이치시켰으며, 타 분류표에 공통적으로 나와 있는 형사정책, 범죄학, 형벌론, 행형학 관련 항목과 어느 나라에서나 존재하는 특별형법 항목도 신설하였다. 넷째, 소송법 및 법원 분야에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343 형법 하에 전개되어 있는 형사소송 관련법들을 347 소송법 및 법원 요목으로 이치하여 소송법 관련 자료가 한 데 모이도록 하였으며 의학주제 하에 전개되어 있는 법의학 항목을 신설하여 의학 쪽과 양자택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섯째, 사법 분야에서는 대륙법에만 있는 법률용어인 채권법, 물권법 항목을 신설하였다. 또한 법 계통 간에 취급범위가 다른 상법에 대해서는 해당 표목에 ‘대륙법에서의 상행위법을 포함한다.’는 주기를 추가하였으며, 상행위법을 포함한 대륙법에서의 상법 분류를 위해 ‘상법전’이라는 표목을 신설하여 ‘대륙법계통의 ‘상법’은 여기에 분류한다.’라는 주기를 포함하도록 했다. 여섯째, 주제항목 전개상 논리적 체계성이 결여된 부문에 대한 수정과 신법관련 자료 증가에 대비하여 관련 상위 주제 하에 새로운 무체재산법, 전자소송법 항목을 신설하였다. 이렇게 마련된 수정 전개표(안)에 대해 학계 및 실무에 있는 정보조직 전문가를 통한 타당성 검증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전문가 평가는 대학의 학계 자료조직 전문가 1명과 법학 전문가 1명, 대학도서관에서 정보조직 실무를 담당하는 전문가 3명을 통해 수행하였으며 이를 위해 본 연구의 국내법 분야의 문제점을 비교분석하여 종합한 결과와 수정 전개표(안)을 평가 자료로 제시하여 이에 대한 의견을 서면을 통해 수렴하였다. 전문가 평가 결과, 학계 전문가와 대학도서관 자료조직 실무자 모두 수정 전개표(안)이 전반적으로 실제 법학 분야의 학문과 지식체계를 세부적으로 잘 반영하고 있으며 영미법과 대륙법 체계를 모두 반영하기 위해 수정전개한 부분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더불어 수정 전개표(안)에 대한 제안을 바탕으로 지역보다 주제를 앞세운 조합방식을 우선적으로 채용할 것을 제시하였으며 세부 주제들을 상위항목의 주기사항에 포함시켜 낭비될 수 있는 분류기호를 삭제하였다. 또한 국내법을 법형식별로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이용자들에게 제공한다면 유용할 것이라는 제안을 반영하여 공통보조표인 T.1. 표준세구분표의 ‘-026 법률’하에 법형식별로 세부기호를 추가로 전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법 분야를 대상으로 문헌분류체계 비교분석과 분류담당사서와 학계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우리 실정에 더욱 적합한 DDC 법학 분야의 수정전개 분류표를 제시하였다. A Study on Developing Modifications for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in Municipal Law field There are some problems to classify the eastern literature with DDC which is western oriented method and widely used in the world. DDC treats only Continental-american law, so it is difficult to classify Asian law materials which follows the Continental law. The various themes of law literature which are emerged by the adoption of Korean law school system also makes it is more difficult to classify them appropriately. In order to efficiently achieve the educational purpose of the law school and to service university library users properly, it is essential to organize and manage the whole materials appropriately, so it is required to modify DDC in Municipal Law fiel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mendments of municipal law field in DDC, the 23rd edition for appropriately classifying both western and eastern literatures. The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the law fields in municipal law are analyzed with the law introductory books. Second, the problems within the field of municipal law in DDC are scrutinized by comparative analysis among the five classification schemes : DDC, LCC, KDC, NDC and Supreme Court library of Korea classification. Third, the questionnaire on the problem of DDC application to law literatures was sent to 25 librarians who work at the university library which have a law school. 21(84%) librarians replied to the questionnaire and 15(72%) of them are using DDC for classifying the literatures. By comparison with five classification schemes and results of the survey from university librarians, problems of municipal law field are as follows. First, to embrace the legal system of Continental law and Anglo-american law which have different legal theory and to reconcile different legal terms between Continental law and Anglo-american law, the adjustment of headings and the addition of the items which are related to Continental law should be added. Second, detailed classification items should be added to the insufficient subject development part such as administrative law and criminal law. Third, the distributed similar topics to various parts on the classification scheme such as criminal procedure law and civil procedure law should be together in one category. Fourth, classification items in hierarchical problems should be logically redeveloped. Fifth, increasing new law related topics such as new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ystem and e-litigation, important new laws should be frequently added on the classification schedule. According to these problems, municipal law field in DDC needs extensive amendments as follows. First, some classification items are placed in the empty number, 342.01 for adding the concept of the fundamental constitution including the science of legislation and national law in the field of constitutional law. Second, in the field of administrative law, the part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s poorly developed since items related theme belong to the 342 constitutional law. Thus, new concepts related to the law of administrative action and affairs which reflect the Korean municipal law is established. Third, in the field of criminal law, criminal procedure law including criminal courts is moved to 347 procedure law and the courts. Furthermore, criminal policy, criminology, punishment theory, all of which are commonly existed in other classification schedules, and items of special criminal law which exists in every countries' law systems are newly introduced. Fourth, in order for procedure law related literatures to be gathered under one category, all classification items related to criminal procedure law which are placed in 343 criminal law are moved to 347 procedure law and the court. In addition, the forensic medicine which is placed under 614 medical science is newly numbered in under the law category to be classified in the both side. Fifth, in the field of jurisdiction, the law of obligation and reality which exist only in the Continental law is newly introduced. Moreover, in 346.07 commercial law which has different coverage between every legal system, the note 'Class here the commercial activity law in the Continental law' is added and the heading of 'commercial law' is added with the note 'Class here the commercial law in the Continental law'. Sixth, in preparation of the increase of literatures which is related to the new laws, new intangible property laws and e-litigation law are newly placed. Furthermore, the insufficient logical part are amended In order to verify the academic and practical feasibility on the suggested amendments, professionals' review has been implemented and reflected in the amended classification schedule. Professionals' review was conducted by a classification professional who teaches classification theories at university and three university librarians who execute practical work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validity review, the comparative analysis with five classification schemes of law field and suggested amendments had been sent to professionals as the evaluation object in writing, also their replies collected in writing.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professionals' review, suggested amendments well reflect the academic and knowledge system practical law field. In addition, they positively evaluated the amended and developed parts which were to reflect both Anglo-american law and Continental law system. Futhermore, based on the suggestion for amendm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subject-oriented number building method rather than region-oriented one, and eliminate some numbers which could be uselessly wasted by moving the lower level classification items to the upper classification item with the including note. In addition, based on the suggestion that municipal law materials separated by law types would be helpful for users, new classification items of detailed law types were developed under '-026 law' which is placed in Table 1. standard subdivisions. This study suggests the amendment of DDC the 23rd in municipal law field with analysis of comparing classification schemes and reflection of professional and university librarians. Futhermore, this study provides the fundamental foundation for more practically suitable amended DDC in municipal law field.

      • 개신교 기록관 운영 활성화 방안

        권미정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Korean records management,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law and institutions, has undergone a lot of development with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but is insufficient in terms of private document management. Especially aspect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the document of Protestant Church has gone through the modern history of Korea, and should be managed and preserved as an important private document that reflects the local communities to which era and churches belong along with religious values. However, Protestant lost or damaged a lot of documents, and is not able to properly manage current recorded products despite its history of 130 years and its revival as 'one of three great religions of Korea. Recording and awareness of managing them are needed while some institutions and churches began record management recently. Nevertheless users' demands for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which are cultural activities based on recording is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activation scheme of archives services of Protestant archives through situation survey and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archives services to promote the awareness of the need of church archives and help church archives practically. For this purpos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necessity for this study through research of church records, church archives, and archives services were derived. Then the meaning, importance, and types of church records and operational features and effects on church records of church organizations were dealt with. Also, concepts and transitions of concept and roles of the archives services and reasons why the service is required in Protestant church archive were investigated. For a survey of types of archives services case study on Moon-Won Seol(2008), Hye-Rhan Chang(2008),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Diplomatic Archives were conducted. Second, domestic and foreign Protestant Archives to investigate examples of operation of archives services were investigated. In cases of foreign, 'The National Archives of the PC(USA)' and 'General Commission on Archives & History' of Protestant Archives of america which have related with the information of establishing country and society deeply were investigated. In cases of domestic, 'Shinil Presbyterian Church', 'Youngnak Presbyterian Church',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Church' which established by experts of documents in Seoul were investigated through collecting information, visiting web site, sending e-mails, and interviews with archive manager by phone. In the case of 'Shinil Presbyterian Church', 'Youngnak Presbyterian Church', interviews with archive manager were carried out. Third, Archive of Saemoonan Church was chosen for investigating of archive service, and carrying out and analyzing of survey of archive users. Because this church is one of the Presbyterian church which has most believes of the Protestant church in Korea, established by a protestant missionary, pastor Underwoo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d which has 15 thousand registered believers also. Archive of Saemoonan church established as a historical archive of church in 2003. Since its opening, it was examined the needs of the evaluation and use of the service that the Church Archives has carried out until now. One hundred fifty persons who visited archive of Saemoonan Church for two months from Nov. 1, 2014 to Dec. 31, 2014 were surveyed. One hundred twelve persons(about 75%) were answered and most of them were believers of that church. According to survey result, the 50∼60 age band uses archive of this church more than other age bands. Their awareness of documents concentrated on history, tradition of Saemoonan Church and missionary Underwood rather than managing and displaying documents, activities and role of recording managers. The roles of document managers were managing records, church public relations, educations, and publications in order of it's value. And the most valuable role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was that related with displaying documents and keeping archive hall. And respondents of the survey were interested in experiencing programs for youth and students and seminars of history between Saemoonan Church and Korean Protestant history and they requested develop these programs continuously. They referred to documents while studying history of church and many activities of church. They mentioned searching tools of documents also. Pictures, videos were most frequently used documents. And respondent preferred displaying, publishing, web service or anything like these. In addition, various position opinions about improving information services, and several kinds of cultural contents were got. Several ways of invigorating Operating Activation of in the Protestant Church Archive based on aspects of environment, services and roles of Saemoonan Church were proposed. First, environments which have to prepared for Operating Activation of in the Protestant Church Archive are as follows : establishing and improving regulation for documenting, subdivision and expert organization and role, space and environment for managing records and preserving, systematic and expert organization, improving various and activated document collecting method. Second, several methods to improve archive services for Saemoonan Church Archive which were searching and browsing services, value-added services, increasing service usability are proposed. In searching and browsing services, improving usability which aspect of on-line service, web service and establishing regulation for using documents and education them were proposed. In value-added services, scholarship systems which support expert organization for displaying, activity, web service, education, publishing, and studying history of church, etc. are proposed. In increasing services usability, improved web service and free gift event for public relations, network movement, and etc. are proposed. Third, expending Saemoonan Church Archive to cultural complex center which can support christian culture ministry are proposed. In this study, improving archives services of Protestant church by investigated archives of Protestant church especially Saemoonan Church and analyzed archives services and survey in archive are proposed. Most studies were dedicated to national and public record archives, but this study concentrated in archives services of the private area especially church archives and analyzed survey for user of archive which were significant. Through this study, many churches of Korea will consider the value of the recoreds again. And this study will be able to use for Operating Activation of in the Protestant Church Archive and other studies. 한국의 기록 관리는 법과 제도의 정비를 통해 비교적 짧은 기간 내 많은 발전을 이루었지만 아직 민간기록물 관리는 매우 미흡하다. 특히 한국의 근현대사와 함께 한 개신교 기록물은 종교적 가치와 더불어 시대와 교회가 속한 지역사회를 반영하는 중요 민간기록물로서 관리하고 보존되어야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개신교는 130여년의 역사와 한국의 3대 종교로서 부흥했던 과거에 비해 상당수의 기록물들을 유실 또는 훼손하였으며 현존하는 기록물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 일부 기관과 교회들이 기록 관리를 시작했지만 기록과 기록 관리에 대한 인식 자체가 부족한 환경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시, 출판, 교육 등 기록을 기반으로 한 여러 문화 사업인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요구와 필요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개신교 기록관의 기록관 서비스 현황 조사와 분석을 통해 개신교 기록관 운영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여 교회기록관의 역할과 필요성을 규명하고 교회기록관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교회 기록, 교회기록관, 기록관 서비스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이론적 배경과 연구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교회 기록의 의미와 중요성, 모기관인 교회의 조직과 운영상의 특징이 교회 기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 교회 기록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또한 기록관 서비스의 개념과 역할의 변천 및 개신교 기록관에서 서비스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 기록관 서비스의 유형에 대해서는 설문원(2008)과 장혜란(2008), 국가기록원과 외교부 외교사료관의 경우를 통해 살펴보았다. 둘째, 국내외 개신교 기록관을 선정하여 기록관 서비스 운영 사례를 조사하였다. 국외 사례는 국가의 수립과 사회의 형성에 개신교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미국의 개신교 기록관 중에서 미국 장로교 총회사료관(미국 장로교 역사학회, PCUSA Historical Society)와 연합감리교회 아카이브(General Commission on Archives & History)를, 국내 사례는 서울에 소재한 교회기록관 중 기록관 수립 단계부터 기록관리전문요원이 개입한 신일교회 역사관, 영락교회사료관, 백주년기념교회 양화진기록관을 선정하여 문헌 자료와 웹 사이트, 이메일, 담당자와의 전화 통화로 기록관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았고 신일교회와 영락교회의 경우는 기관을 방문하여 기록관 담당자를 통해 조사하였다. 셋째, 기록관 서비스에 대한 조사 및 이용자 대상 설문조사의 시행과 분석을 병행할 기관은 한국 개신교단 중 가장 많은 신도수를 보유한 장로교단 중에서 한국의 첫 개신교 선교사 언더우드 목사가 설립한 최초의 조직 교회이면서 교인수가 15,000명에 육박하는 새문안교회 기록관을 선정하였다. 2003년에 ‘교회사료관’의 명칭으로 설립된 새문안교회 기록관은 다양한 서비스를 수행해왔으며, 이에 대한 이용자들의 평가와 요구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은 2014년 1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두 달간 교회사료관을 방문한 15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그 중 112부(약 75%)가 회수되었고 응답자 대부분이 새문안교회 교인이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교회사료관을 이용한 주 대상층은 50∼60대였으며 기록관에 대한 인식은 기록 관리, 전시, 교육과 같은 기록관의 활동과 역할보다는 새문안교회의 역사와 전통, 언더우드 선교사 등 모기관의 역사적 특징과 관련한 답변이 대부분이었다. 또한 이용자가 생각한 기록관의 주요 역할은 기록관리, 교회홍보, 교육, 출판 순이었으며 기존 서비스 중에서 가장 중요하고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은 상설전시관 운영과 관련 서비스였다. 또한 어린이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체험 프로그램의 운영과 새문안교회와 한국 개신교의 역사를 다룬 세미나에 대한 평가도 높았으며 이런 교육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운영 및 개발 요청이 있었다. 기록물 열람에서는 교회에 대한 역사 공부와 교회 부서에서의 활동을 위한 자료의 참고가 높았으며 검색 도구의 필요성이 여러 차례 언급되었다. 이용한 기록물의 유형은 사진과 영상 자료가 1위였으며 전시, 홈페이지, 출판 등 다방면에서 최신 매체를 활용한 기록관 서비스가 선호되었다. 또한 전문적이고 깊이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할 것과 다양한 주제와 관점의 문화컨텐츠가 활성화되기를 바라는 등 기관의 발전 방향에 대한 긍정적인 의견이 많이 나왔다. 이를 바탕으로 새문안교회 교회사료관을 중심으로 개신교 기록관 운영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환경, 서비스, 역할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첫째, 기록관 운영 활성화를 위해 선행되거나 제반되어야 할 환경으로 기록관 규정의 수립과 보완, 기록관 조직의 세분화와 전문화, 기록 관리와 보존을 위한 공간과 환경,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기록관리, 기록물 수집의 다양화와 활성화를 들었다. 둘째, 새문안교회 교회사료관이 기존 시행했던 기록관 서비스를 중심으로 검색 및 열람서비스, 부가가치 서비스, 활용촉진 서비스의 각 분야별 보완과 개선 사항 및 새로운 사업을 제시하였다. 검색 및 열람서비스에서는 기록이용의 안내와 기록물 이용을 위한 환경, 온라인 서비스, 웹(홈페이지) 서비스 측면에서의 개선안과 이용 규정의 수립과 안내 및 관련 교육을 제시하였다. 부가가치 서비스에서는 전시, 행사, 웹 서비스, 교육, 출판 분야에서의 개선안과 연구 분야로 교회 역사와 관련 기록을 연구하는 전문가 집단의 조직․운영과 관련 연구를 지원하는 연구 장학 제도를 제안하였다. 활용촉진 서비스에서는 홍보, 연계 활동, 기타 활동 측면에서의 개선안과 새로운 웹 서비스와 기념품 사업을 제시하였다. 셋째, 교회를 모기관으로 둔 기록관으로서 새문안교회 교회사료관이 복합문화공간으로서 역할을 확장하고 문화 선교 측면에서의 기록관 서비스 효과에 대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외 개신교 기록관의 기록관 서비스 운영 사례 조사 및 새문안교회 교회사료관의 기록관 서비스의 분석과 이용자 설문 조사를 기반으로 개신교 기록관 운영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공립기록관과 전문가 연구에 집중되어 있는 상황에서 민간 영역인 종교기록관의 기록관 서비스와 이용자에 관한 연구는 의미하는 바가 크다. 본 연구는 국내 많은 교회들이 기록에 대한 가치를 재고하고 기록관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