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만성 중심 장액맥락망막병증 (Chronic Central Serous Choroidopathy)에서 유리체강 내 베바시주맙 주입술 전 후의 전방 내 사이토카인 농도변화 연구

        정진욱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목적 : 만성 중심 장액맥락망막병증의 치료로 유리체강 내 베바시주맙 주입 전 후 안구 내 사이토카인의 농도변화와 치료 효과와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만성 중심 장액맥락망막병증을 가진 환자 12명 12안을 대상으로 하였고 백내장수술이 예정된 환자 6명 6안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대조군은 백내장 수술 전, 대상군은 유리체강 내 베바시주맙 주입술 전과 1개월 후에 채취된 전방수를 이용하여 각종 전방 내 사이토카인 (VEGF, PDGF-AA, IL-6, IL-8, MCP-1, IP-10)의 농도변화를 비교하였고 시력 및 빛간섭 단층촬영으로 측정된 중심망막두께 변화와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 두 군의 베바시주맙 주입 전 유리체강 내 전방수의 cytokine level비교 결과, 만성 중심 장액맥락망막병증군에서 IL-6, IL-8, PDGF-AA, MCP-1 cytokine level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수치로 나타났다 (각각 p=<0.01, 0.049, <0.01, 0.031). 12명의 만성 중심 장액맥락망막병증 환자에서 베바시주맙을 주입하고 1달 후의 cytokine의 변화를 비교해 본 결과, IL-8의 경우는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p=0.046), VEGF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그 외의 cytokine (IL-6, IP-10, PDGF-AA, MCP-1)에서는 주입 전후 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베바시주맙 치료 후 VEGF의 변화폭이 클수록 중심망막두께의 감소율이 증가하였다. 결론 : 만성 중심 장액맥락망막병증에서 베바시주맙 주입 1개월 후 VEGF는 감소하고 IP-8은 증가하였으며 이는 만성 중심 장액맥락망막병증에서 맥락막 허혈이 병의 기전임을 의미한다.

      • 자기권 내부에서 관측된 EMIC 파동의 통계적 특성과 의미

        노성준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지구 방사선 벨트는 고에너지의 대전된 입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자기권 내부에서 발생하는 여러 플라즈마 파동과 상호작용 할 수 있다. 그 중에서Electromagnetic Ion Cyclotron (EMIC) 파동은 양성자의 온도 비등방성 () 에 의해서 발생하는 전자기파로 수소 이온의 회전 주파수 이하의 주파수를 갖는다. 이론적으로 EMIC 파동은 사이클로트론 공명 (cyclotron resonance)를 통해 높은 에너지를 갖는 전자들을 지구 대기로 낙하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방사선 벨트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EMIC 파동에 대해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Van Allen Probe (VAP) 의 자기장 관측 자료를 통해, 비교적 내부 자기권에서 발견되는 EMIC 파동의 통계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먼저, 관측된 EMIC 파동이 발생한 위치를 수소밴드(fcHe≦f<fcH)와 헬륨밴드(fcO≦f<fcHe)로 분류하여 확인하였다. 수소밴드 이벤트는 아침지역에서, 헬륨밴드는 오후지역에서 자주 관측되었다. 이벤트 발생 시의 플라즈마권계면의 위치에 대해 수소밴드는 바깥쪽에서(68%), 헬륨밴드는 안쪽에서(78%) 주로 발생하였음을 확인했다. 다음으로 관측된 파동과 그 당시의 지자기 활동의 관계에 대해 확인하였다. 지자기 현상과 관련된 이벤트 발생을 확인하기 위해 서브스톰, 태양풍 동압력 증가, 지자기폭풍 그리고 지자기가 조용한 시간의 네 경우로 이벤트들을 분류하였다. 서브스톰과 지자기폭풍에 연관된 이벤트가 가장 많이 확인되었고 태양풍 동압력 증가에 관련된 이벤트가 가장 적게 확인되었다. 지자기가 조용한 시간에 발생한 이벤트의 수는 적지 않았고 대부분이 낮 지역에 몰려있었다. 세 번째로, 관측된 EMIC 파동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파동의 세기는 모든 위치에서 0.01 nT2/Hz 이상을 보였고 위치에 따른 연관성은 보이지 않았다. f/fcH는 위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wave normal angle은 적도 근처에서도 큰 값을 보였다. ellipticity는 많은 경우 선형 편광에 가깝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관측된 EMIC 파동들의 특성과 cold plasma 분산관계를 이용하여 전자의 최소 공명 에너지를 계산하였다. 대부분의 파동에서 공명에너지는 2 MeV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EMIC 파동이 2 MeV 이하의 전자에 미치는 산란 영향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다른 이론을 적용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Earth's radiation belts are composed of high energy charged particles, which often interact with various plasma waves. Electromagnetic Ion Cyclotron (EMIC) wave is one of such waves, as excited by proton temperature anisotropy () and propagating below the local proton cyclotron frequency. Theoretically, EMIC waves can resonate with relativistic electrons and precipitate them into the Earth's atmosphere. Thus, understanding of EMIC wave is important to research of radiation belt dynamics. In this thesis, we examin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EMIC waves observed in the inner magnetosphere by Van Allen Probes (VAP). First, we check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observed EMIC waves with distinction between H-band (fcHe≦f<fcH) and He-band (fcO≦f<fcHe) waves. H-band events are frequently detected in morning side and He-band events are frequently detected in afternoon side. We also examine the location of EMIC wave events with respect to the plasmapause locations. H-band events are mostly detected outside of the plasmapause and He-band events are mostly detected inside the plasmapause. Next,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bserved EMIC wave events and geomagnetic activities and solar wind dynamic pressure. To determine the effects by geomagnetic activities and solar wind dynamic pressure associated with EMIC wave event occurrence, we divide all the EMIC wave events into four groups which are (i) substorm events, (ii) enhanced solar wind dynamic pressure events, (iii) geomagnetic storm events and (iv) quiet time events. The substorm and geomagnetic storm associated events have the largest portion out of the total events and the solar wind dynamic pressure events are rare. The occurrence of the quiet time events is non-negligible and most of these events are detected on the dayside. Third, we check the properties of the observed EMIC waves. The power of the waves is above 0.01 nT2/Hz at all positions and other dependence is not seen. The normalized wave frequency by local proton frequency (f/fcH) decreases with increasing MLAT. Waves with highly elliptical polarization and oblique propagation angle are seen even near the equator. Finally, we calculate electron minimum resonant energy by using the property of observed EMIC waves and cold plasma dispersion relation. We find that the resonant energy for most of the observed EMIC waves exceeds 2 MeV. This implies that to explain the effect of EMIC wave on the relativistic electrons < 2 MeV, we should consider an alternative possibility.

      • 태양전파폭발 위치감지기를 이용한 태양 플레어 전파 폭발 및 그에 따른 무선기기 영향 연구

        황보정은 충북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Solar radio bursts can disturb high-tech radio instruments such as cellular phones, GPS, and radar on Earth and in space. They are often accompanied by related solar activities such as X-ray and UV radiations, solar energetic particles, coronal mass ejections (CMEs), and shock waves. Therefore, solar radio bursts need to be continuously monitored. This thesis consists of mainly three parts. First, we introduce the Korean Solar Radio Burst Locator (KSRBL) which is a radio spectrograph that observes solar radio in the frequency range between 0.245-18 GHz with the capability of locating wideband gyrosynchrotron bursts. It has been installed in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in 2009.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iral feed, the beam center varies in a spiral pattern with frequency, making a modulation pattern over the wideband spectrum. For this thesis, we have carried out calibration tests of KSRBL. The calibration process consists of antenna calibration, flux * A thesis for the degree of Doctor in August 2015. calibration, and demodulation. Antenna calibration is to determine the position, the width, and the peak value of the beam, flux calibration is to determine the conversion factor between the measured unit to the Solar Flux Unit (SFU), and demodulation is to determine the burst position and remove the modulation pattern.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location and spectrum of the bursts observed by the KSRBL with those from the Nobeyama Radioheliograph (NoRH), the Nobeyama Radio Polarimeter (NoRP), and Atmospheric Imaging Assembly (AIA).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KSRBL provides the ability to locate flaring sources on the Sun within 2′. With this capability, the KSRBL provides the location information that are useful to study space weather, solar-terrestial effects, and solar activities. Second, using the observations by KSRBL, we have identified a total of 12 solar radio bursts since its installation in 2009. In this thesis we have focused on the 2011 August 09 flare which is one of the largest X-ray flares of Sunspot Cycle 24, although its spatial information is rather limited due to its position close to the western limb. We determined the location of high energy electrons using the hard X-ray observations the Reuven Ramaty High-Energy Solar Spectroscopic Imager (RHESSI) and the microwave spectra from the KSRBL, observations. The KSRBL microwave spectrum shows significant fluxes at low frequencies, implying that the high energy electrons reside in a inhomogeneous coronal volume highly concentrated at strong magnetic fields, and rapidly expanding with decreasing magnetic fields. Based on a simple modeling of the microwave spectrum, we found that the microwave source should be located above the inner pair of magnetic poles in a large quadrupolar configuration. The time-dependent evolution of the magnetic field distribution and the total nonthermal energy derived from the microwave spectra are also consistent with the standard picture of multiple magnetic reconnections recurring at a magnetic null point that forms above the magnetic quadrupoles and moves up with time. Third, we have studied the influence of solar radio bursts on wireless systems. For this study, we used solar microwave (1-18GHz) data of the Solar Radio Burst Locator (SRBL), which was operated in Owens Valley Radio Observatory(OVRO) of the United States. For comparison, we considered the 1.8GHz band of the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PCS) served by KTF and LG TeleCom. A cellular phone interruption can occur when the solar flux density is greater than the level corresponding to the thermal noise floor () of the system. The values of a base station and a cell phone are estimated to be about 3500 sfu and 17000 sfu, respectively, when the temperature is C, the antenna gain of a base station is 10, and the antenna gain of a cellular phone is 2. There were three radio burst events whose fluxes are greater than of a base station during the 162 days of period from March 19th to August 27th, 2001, and one of them had the flux greater than of a cellular phone. We also compared the maximum GOES X-ray flare flux to the maximum of 1.8GHz flux for each event. As a result, we found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GOES X-ray flux and SRBL flux (r=0.97) and we suggest that the flare of an X-ray intensity level over M6.5 can affect PCS. KSRBL data is of high quality ? high enough for basic science research and also for space weather monitoring such as estimating potential effects of solar radio emissions on all kinds of wireless technologies such as cell phone, navigation radar systems,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s. Therefore, continuous uses of the data are expected in future. 한국천문연구원에 설치된 태양전파 망원경 Korean Solar Radio Burst Locator (KSRBL)은 0.245-18 GHz 에 이르는 넓은 주파수 대역을 가지고 있고 태양면상에 일어나는 태양 전파 폭발의 위치를 감지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 망원경의 파라볼라 안테나 피드로 사용되는 log-spiral 안테나는 여러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수신 할 수 있고 각 주파수의 빔 센터는 다양하게 분포하게 된다. 이 특징으로 인해 태양 전파 폭발의 위치가 안테나 피드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상대적 위치에 따라 스펙트럼의 주기적인 변조 패턴이 나타난다. 이 패턴의 위상과 진폭을 이용하여 원 스펙트럼으로 복원하면 태양 전파 폭발의 위치를 유추 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한 위치 감지를 위해서는 시스템 보정이 필요한데 안테나 보정을 통해 빔 최대값과 빔 폭 중심 위치를 구하고 플럭스 보정을 통해 관측된 전파 플럭스 값을 SFU (Solar Flux Unit)로 변환 해 준다. 관측된 값에 이런 보정과정을 거쳐 변조 복원 과정, 즉 변조 패턴을 없애 주는 과정을 통해 태양폭발 위치를 마지막으로 찾아낸다. 우리는 KSRBL의 위치감지 성능 및 스펙트럼 정확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Nobeyama Radioheliograph (NoRH), Nobeyama Radio Polarimeter (NoRP), Atmospheric Imaging Assembly (AIA)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태양면상에 전파 플레어의 위치 감지 정확도가 2′안으로 매우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측정 되었다. 태양전파 폭발은 지구상에 GPS, 휴대폰, 레이더등과 같은 많은 종류의 첨단 전파 시스템에 교란을 주는데 이를 대비하기 위해 태양 전파폭발에 대한 연구와 감시는 앞으로 더욱 더 필요하다고 볼 수 있겠다. 태양 전파 폭발은 종종 X-ray, UV, 태양 활동에 의해 가속된 입자들, 태양 질량 물질 분출(CMEs), 충격파 등을 동반하게 된다. 그러므로 KSRBL과 같은 넓은 대역의 정확성이 높은 태양폭발 감지 시스템은 우주환경이나 태양활동의 물리적인 연구를 하는데 훌륭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할 수 있겠다. 2011년 8월 9일에 발생한 태양 플레어는 X6.9에 해당하는 아주 강한 이벤트이다. 그러나 플레어가 태양의 가장자리에 발생하여(N18W80) 위치적으로 스펙트럼 정보를 얻는데 제약이 있다. 이런 위치적인 제약을 보완해 주는 역할로 태양전파 (마이크로파대역)데이터를 통해 고에너지 입자에 관한 연구를 함으로써 태양 플레어의 물리적인 해석을 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위해 태양전파 망원경 KSRBL로부터 관측된 전파 데이터와 Reuven Ramaty High-Energy Solar Spectroscopic Imager (RHESSI)에서 관측된 hard X-ray데이터를 이용하였다. hard X-ray와 태양 마이크로파의 시간에 따른 flux변화를 보면 약간의 시간지연은 있지만 거의 흡사한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발생 원인인 대전된 가속된 입자가 거의 같은 장소로 부터 유입되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hard X-ray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태양전파 스펙트럼 모델 fitting에 필요한 요소들을 구하였다. 이날 플레어가 발생한 동안 3개의 peak지점을 선정하여 각 지점들에 해당하는 스펙트럼을 연구하였다. 관측된 KSRBL의 태양전파 스펙트럼을 보면 저주파수 대의 flux가 자기장과 플라즈마 요소들 간의 균질한 상태를 가정한 모델의 값보다 매우 천천히 증가하는데 이는 즉 균질한 상태의 모델과는 맞지 않는 비 균질한 상태라고 가정할 수 있겠다. 그래서 채층으로부터 코로나 영역대에 걸쳐있는 플레어 루프를 높이에 따라 7개의 지역으로 따로 구분하고 이에 따른 자기장과 부피 등의 값을 다르게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비열적 전자의 개수와 에너지 분포를 구하였다. HMI (Helioseismic and Magnetic Imager) 자력기록을 이용하여 자기력선을 외삽하여 그려 봄으로써 이날 플레어가 일어난 장소에서의 자기력선의 구조와 자기력선 재결합 지역 등을 유추해 볼 수 있었다. 또한 태양전파 스펙트럼 모델 fitting에 사용한 요소들이 자기장의 값과 연관하여 얼마나 타당한지 또한 태양전파 폭발이 어떤 자기력선에서 더욱 밀접한 관계가 있는지 등을 확인 해 볼 수 있었다. 플레어가 발생한 동안 3개의 플럭스 최대값 지점의 hard X-ray 와 Microwave에서 계산된 열적, 비열적 전자 에너지의 분포와 자기장의 세기 등을 비교해 볼 수 있었다. 그 결과 전체 가속된 전자의 3040%는 자기력선을 따라 플레어 루프의 바닥으로 떨어지고 나머지 6070%는 상층부 즉 코로나 영역대의 자기장에 갇혀 남아 있는 것으로 보였다. 또한 자기장의 세기는 시간에 따라 최대값 778 G에서 414 G으로 감소했는데 이는 자기력선 재결합 지점이 시간에 따라 위로 상승하면서 자기장 세기가 약해진 것이 아닌 가 추축되어진다. 이번 연구는 EUV 이미지만으로는 플레어의 물리적인 연구를 하기에 부적합한 태양 가장자리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태양전파 데이터를 이용하여 플레어의 물리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한 것에 그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2009년 KSRBL이 한국에 설치되기 전, 선행 연구로 Owens Valley Radio Observatory(OVRO)에서 운영한 Solar Rado Burst Locator (SRBL)를 이용하여 태양전파폭발로 인한 휴대폰 통화 품질의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휴대폰 통신을 위해 주로 사용되는 1.8 GHz 주파수 밴드를 고려하였다. 시스템 자체의 열적 바닥 잡음 () 기준 값 보다 태양 전파 폭발지수가 더 클 경우, 휴대폰 통신 두절이나 통화 품질에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휴대폰 자체의 안테나와 기지국 안테나의 을 구하기 위해 온도를 C 로 같은 값으로 주고 휴대폰 안테나 이득 값을 2, 기지국 안테나 이득 값을 10로 정하였다. 그 결과 휴대폰 안테나의 은 17000 sfu 그리고 기지국 안테나의 값은 3500 sfu 로 계산 되었다. 2001년 8월 27일부터 3월 19일 까지 162일 간의 SRBL 데이터를 분석 해 본 결과 3개의 전파 폭발 이벤트가 값 보다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동일 기간 동안 GOES X-ray 플레어 최대 플럭스 값과 1.8GHz의 SRBL 이벤트의 최대 플럭스 값을 비교 해 본 결과 두 데이터간의 상관관계가 0.97로 아주 높았고 X-ray 플레어 강도가 M6.5 이상 인 이벤트는 휴대폰 통화 품질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예측 할 수 있었다. 이처럼 태양 폭발로 인한 휴대폰 통신 장애뿐만 아니라 GPS, 레이더, 위성 통신 시스템 등의 모든 전파 관련 시스템들의 교란에 대한 잠재적인 영향력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KSRBL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한국천문연구원의 우주환경예보센터에서 더욱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코러스 파동 발생 원인인자의 통계적 분석

        이동희 충북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휘슬러 모드 코러스 파동은 지구자기권에서 발생하는 가장 대표적이고 강한 플라즈마 파동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권 바깥 지역에서 관측되며, 방사선벨트 외대 내의 고에너지의 전자나 이온에 의해 발생되거나 그것들과 강하게 상호작용한다. 파동-입자 상호작용은 내부 자기권역학의 핵심이며, 파동에 대한 이해는 우주물리학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 연구는 Time History of Events and Macroscale Interactions during Substorms (THEMIS) 위성자료를 토대로 코러스 파동의 원인인자를 확인하기 위한 통계적 상관관계 분석이다. 우리는 코러스 파동의 발생 원인으로 주목받고 있는 서브스톰과 전자 위상공간밀도의 비등방성을 코러스 강도의 크기나 발생 시점과 비교하여 인과관계의 타당성을 통계적으로 시험하였다. AL 지수가 급감하는 시기를 서브스톰 확장기의 시작점(onset)으로 정의하였을 때, 선정한 이벤트 중에 서브스톰과 코러스 파동이 관련 있는 경우는 불과 21.3% 뿐이었다. 반면 전자 위상공간밀도의 비등방성 파라미터 분석 결과, 연구한 코러스 이벤트 중에 79.5%가 양수의 비등방성 파라미터와 연관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비등방성 파라미터가 양수라는 것은 전자 속도의 피치각 분포가 90°에서 피크에 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자 위상공간밀도 비등방성은 약 30 keV보다 작은 전자의 에너지대에서 현저하게 나타난다. 우리의 통계적 연구 결과에 따르면, 코러스 파동은 서브스톰 확장기 시작점과는 상관없이 수-수십 keV 에너지인 전자의 위상공간밀도 비등방성에 의하여 발생한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서브스톰의 확장기 시작점에 국한되지 않고 서브스톰 성장기 동안 증가하는 대류에 초점을 두어 코러스 파동과의 연관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에너지가 높을수록 비등방성 인자가 증가하는 시기의 지연과 그 크기 감소의 원인을 밝히는 것을 새로운 연구 주제로 제안한다. Whistler chorus wave is one of the strongest and most representative waves existing within the Earth's magnetosphere. The wave is generally observed outside the plasmasphere, and strongly interacts with or is generated by energetic electrons and ions in the outer radiation belt. Wave-particle interaction is a key physics element in the inner magnetospheric dynamics. Thus, understanding the relevant wave is critical and has been a subject of intense research in space physics. This thesis is a statistical analysis to determine the validity of the physical factors that have been suggested as responsible for chorus wave activation. We use the wave and energetic electron flux data obtained from the Time History of Events and Macroscale Interactions during Substorms (THEMIS) observations. We test two factors: substorms and anisotropy in the electron phase space density (PSD). First, we determine substorm onsets by a sharp drop of AL. We find that only ~21.3% of the chorus events are related with substorms. Second, we estimate PSD of electrons for a number of chorus events, and find that ~79.5% of the studied chorus events are associated with positive anisotropy in PSD where the pitch angle distribution of electron velocity peaks at 90 degrees. This PSD anisotropy is prominent at the electron energy range < ~30 keV. We suggest that chorus wave activation is caused by a positive anisotropy of electrons in the energy of a few to tens of keV regardless of substorm onset. In future works, we ne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onvection during substorm growth phase and determine its relevance to chorus onsets. Also we propose an interesting new research topic to examine the cause of the time delay and decrease of anisotropy parameter increases for higher energies.

      • THEMIS 위성 관측 데이터를 이용한 플라즈마권계면의 결정

        조정희 충북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It is well known that the plasmapause is influenced by solar wind conditions and geomagnetic disturbances, and empirical models have been proposed previously. The plasmapause is the outer boundary of the plasmasphere which is filled with cold (~1eV) and dense plasma (10 - ). The plasmapause locations are defined as a thin layer across which the plasma density changes rapidly. In this thesis, we identified the locations of the plasmapause using the plasma density data from the Time History of Events and Macroscale Interactions during Substorms (THEMIS) satellite for the period 2008-2012, corresponding to the ascending phase of solar cycle 24. The plasmapause was rigorously determined by requiring density gradient by a factor of 15 within L-change = 0.5. We statistically determined the correlation of the plasmapause locations with geomagnetic indices and solar wind parameters. We identified a broad range of time delay at which the geomagnetic indices, AE, Dst, and Kp, are reasonably correlated to the plasmapause locations. As for the solar wind parameters, we found that the plasmapause locations are best correlated with the solar wind speed, while other factors like IMF Bz can play a minor role. We developed specific fit models based on the geomagnetic indices and solar wind parameters. As our database covers a period of weak geomagnetic and solar wind conditions over the ascending phase from near-sunspot minimum, our statistical results differ from previous works that cover near-sunspot maximum. This yields the result that the prediction accuracy for very weak solar wind state such as our interval is lower for previous works than our study. For future works, developing the Lpp model based on a more general way of multiple regression method is desired. We also expect an improved Lpp model by using the THEMIS and Van Allen Probes data together. These models will be utilized to predict space weather. 플라즈마권계면은 태양풍의 상태와 지자기 교란에 영향을 받는다고 잘 알려져 있으며, 이전에 경험적 모델이 제안되어 왔다. 플라즈마권계면은 플라즈마권의 바깥 경계로 플라즈마권은 저에너지 (~1eV) 플라즈마가 밀집해있는 (10 - ) 지역이다. 플라즈마권계면의 위치는 플라즈마 밀도가 급격히 변하는 지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 본 학위 논문 연구에서는 THEMIS 위성에서 얻은 플라즈마 밀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태양 주기 24의 태양 극소기에서 극대기로 가는 위상에 해당하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의 플라즈마 권계면의 위치를 결정하였다. 플라즈마 권계면은 L변화가 0.5 이내에서 밀도 변화가 15배 이상이 되는 곳으로 엄격히 결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자기 지수와 태양풍 변수를 이용하여 플라즈마 권계면의 위치와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결정하였다. 먼저 지자기 지수, AE, Dst, 그리고 Kp가 플라즈마권계면의 위치와 적절하게 상호 관련이 있는 시점의 넓은 범위의 시간지연을 정하였다. 다음으로 태양풍 변수에 대해서는, 플라즈마권계면의 위치가 태양풍 속도변수와 가장 좋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반면 태양풍 행성간 자기장의 z 성분 (IMF Bz)등의 다른 변수들은 플라즈마권계면에 영향을 적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자기 지수와 태양풍 변수를 토대로 구체적인 플라즈마권계면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관측 데이터는 태양 극소기에서 극대기로 가는 기간에 걸쳐 수집된 것으로서 약한 지자기 활동과 태양풍 상태를 많이 포함한다. 반면, 과거 타 연구자들이 개발한 예측 모델은 태양 극대기 기간에 수집된 데이터에 바탕을 두어 우리의 통계적 결과와 다르다. 이것은 본 연구에 사용된 기간과 같이 매우 약한 태양풍 상태의 기간에는 그 정확도가 우리의 모델에 비해 낮은 결과를 준다. 앞으로의 연구는 다중회기분석법을 이용하여 좀 더 일반적인 방법으로 플라즈마권계면 예측 모델을 만들 것이다. THEMIS 위성과 Van Allen Probes위성 데이터를 함께 사용하여 좀 더 개선된 모델을 기대할 수 있다. 이렇게 만든 모델은 우주환경을 예보하는데 이용될 것이다.

      • THEMIS 위성 관측 데이터를 이용한 방사선 벨트 전자 플럭스의 경계조건 결정

        신대규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방사선 벨트 (radiation belt)의 구조는 반경 (radial), 에너지 (energy), 피치 각 (pitch angle) 확산 (diffusion)을 포함하는 확산 방정식 (diffusion equation)을 풀어 재현 또는 예측 될 수 있다. 확산 방정식은 초기조건과 경계조건, 확산 지수 (diffusion coefficient), 플라스마 권계면 (plasmapause)의 위치와 같은 몇 가지 인자에 의해 그 해가 결정된다. 방사선 벨트 분야에서는 이와 같은 주요 인자를 실제 관측 값으로부터 최대한 정밀하게 도출하여 사용하려는 많은 노력이 있어왔다. 이 논문에서는 바깥쪽 방사선 벨트의 경계지역에서 전자 플럭스 경계조건을 결정 하였다. 이를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하나는 전자 플럭스의 에너지에 따른 분포 특성, 다른 하나는 경계지역의 전자 플럭스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태양풍 조건 결정이다. 이 연구를 위해 Time History of Events and Macroscale Interactions during Substorms (THEMIS) 위성에 탑재된 Solid State Telescopes (SST)와 Electrostatic Analyzer (ESA)가 관측한 전자 플럭스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2007년 THEMIS 위성관측 이전에는 적도면에서 방사선 벨트 경계지역을 관측한 위성 미션이 없었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는 경계조건을 정밀히 결정한 최초의 시도이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는 방사선 벨트 모델링에 실질적 경계조건 값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 태양풍 내 작은 규모의 자속 로프에 대한 관측적 특징과 자기 폭풍 및 서브스톰 발생과의 관계

        김명준 충북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Magnetic flux ropes, which are often observed in interplanetary corona mass ejections, have long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factor for space weath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observational characteristics of small-scale magnetic flux ropes (SMFRs) observed in the solar wind and their geoeffectiveness. We have identified a total of 309 small-size magnetic flux ropes from 1998 to 2016 using solar wind observations near the Earth and compared with normal magnetic flux ropes, also called magnetic clouds (MCs). First, SMFRs and MCs are similar in the solar wind speed and proton densities, but the distributions of magnetic field strength, duration time and expansion speed show different aspects. The average magnetic field strength of SMFRs is 7.4 nT, weaker than the magnetic clouds (10.6nT). In addition, the average duration time and expansion speed of SMFRs are 2.5 hours and 2.6 km/s, respectively, which are 10 times smaller than MCs. We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MFRs and sunspot cycle. Unlike MCs, association of occurrence rate of SMFRs with sunspot cycle is not obvious and a number of SMFRs were observed even near solar minimum. Furthermore, we examined the geoeffectiveness of SMFRs. As a result, we found that for 88 (28.5%) SMFRs, a substorm was likely triggered by impact of a SMFR. In contrast, only 2 of the SMFRs caused geomagnetic storms. Based on these observational results, we used a global MHD simulation to study the response of the Earth’s magnetosphere and ionosphere to SMFRs. We considered two cases of SMFR where Bz of them (1) changes its direction from northward to southward and (2) remains continuously northward. In the first case, the magnetic reconnection region on the dayside moves to the equator and shows the possibility of magnetic reconnection in the tail region. However, in the second case, the configuration of the magnetosphere continuously maintains a dipole-like shape. Both of them indicate an increased cross polar cap potential which is appropriate to trigger the substorms. 행성간 코로나 질량 방출 기간에 종종 관측되는 자속 로프는 지구 우주환경에 중요한 요소로서 오랫동안 인식되어왔다. 이번 연구에서는 태양풍 내에서 발견되는 자속 로프 중 작은 규모의 자속 로프에 관한 관측적 특징과 자기 폭풍과 서브스톰 발생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998년부터 2016년까지 태양과 지구 사이에 존재하는 라그랑주 점 L1에서의 태양풍 관측값을 이용하여 309개의 작은 규모의 자속 로프를 선별하였고 자기 구름이과 비교 분석을 하였다. 우선, 두 그룹 간 태양풍 속도와 양성자 밀도에서는 비슷한 분포도를 가졌으나 자기장 세기, 지속 기간 그리고 팽창 속도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작은 규모의 자속 로프의 평균 자기장 세기는 7.4 nT로써 자기 구름보다 (10.6 nT) 약했다. 또한, 작은 규모의 자속 로프의 지속 기간과 팽창 속도는 각각 2.5 시간과 2.6 km/s로 자기 구름보다 10배 정도 작은 값을 가졌다. 그리고 작은 규모의 자속 로프와 태양 흑점 활동 간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자기 구름과 달리 작은 규모의 자속 로프는 태양 흑점 활동과의 연관성이 분명하지 않으며 오히려 태양 흑점 활동이 조용한 시기에 다수 관측되었다. 더 나아가, 작은 규모의 자속 로프가 지구 우주환경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88개 (28.5%)의 작은 규모 자속 로프 기간에 서브스톰이 야기된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자기 폭풍의 경우, 단 2개의 자속 로프만이 지자기 폭풍을 야기시켰다. 또한 위의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글로벌 MHD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작은 규모의 자속 로프의 지구 우주환경 영향력을 자세히 분석하였다. 작은 규모의 자속 로프 자기장 성분 중 Bz가 (1) 북쪽에서 남쪽 방향으로 바뀌는 경우와 (2) 지속적으로 북쪽으로 유지하는 경우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지구 자기권과 전리층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1)의 경우, 낮 지역의 자기재결합이 적도 부근으로 이동하였으며 꼬리 지역의 지구 자기권에서 자기재결합의 가능성을 보여줬다. 하지만 (2)의 경우, 지구 자기권의 모습이 쌍극자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였다. 극 지역 포텐셜의 변화는 서브스톰의 시작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줬다.

      • 드라마 <더 글로리> 복수 서사 연구

        통예예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the last decade, the spread of revenge dramas has established itself as an important trend in Korean dramas, providing new alternatives to audiences tired of love stories. With the rise of OTT platforms, drama creators are attempting a variety of genres through exploratory and practical innovation, and these changes are yielding positive results. Research into revenge narratives is necessary to explore the nature, development, and changes of revenge dramas in new environments. The study first categorizes revenge narratives into three types: familial revenge, romantic revenge, and societal revenge,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nd identifying ten common features among them. Particularly, it focuses on the societal revenge type to which "The Glory" belongs and subdivides it into revenge for personal honor and revenge for collective justice. After analyzing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the study utilizes narrative theories from Robert McKee and Gérard Genette to conduct a detailed analysis of "The Glory" in five aspects: hatred design, character structure, temporal structure, spatial structure, and value system. In the hatred design aspect of "The Glory," it includes both the superficial cause of school violence and the deep-seated reason of class disparity. From the character structure perspective, the avenger is honest and kind, supporters represent the good of various strata, and the targets of revenge are pure evil. In the temporal structure, the narrative shifts from a linear to a nonlinear structure through an extensive story duration, an outline of the revenge preparation stage, flashbacks and foreshadowing, and repetitive narration techniques. Spatially, the narrative function of the same space is altered, turning spaces of harm into spaces of revenge and pre-revenge spaces into sanctuaries. From a value system viewpoint, moral and ethical dilemmas persist, revenge is incomplete, and female characters suffer more violence. Through such analysis, the study provides not only an in-depth textual analysis of "The Glory" but also a theoretic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 wide range of revenge narratives, thereby offering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and creative works. 최근 십 년 동안, 복수극의 확산은 한국 드라마의 중요한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으며, 사랑 이야기에 대한 피로감으로 인해 관객들에게 새로운 선택지를 제공하고 있다. OTT 플랫폼의 부상과 함께, 드라마 제작자들은 탐색적 혁신과 활용적 혁신을 통해 다양한 장르를 시도하며, 이러한 변화는 긍정적인 성과를 가져오고 있다. 복수 서사에 대한 연구는 복수극의 본질, 발전, 및 새로운 환경에서의 변화를 탐구하여 필요하다. 연구는 먼저 복수 서사를 혈연 복수, 사랑 복수, 사회 복수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각각의 특징과 이들에 공통되는 열 가지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중에서 <더 글로리>가 속한 사회 복수 유형을 중점적으로 분석하며 사회 복수는 개인 명예를 위해 복수와 집단 정의를 위해 복수의 두 가지 형태로 나눈다. 유형과 특징을 분석한 후, 로버트 맥키와 제라르 주네트 등의 서사학 이론을 사용해서 <더 글로리>의 증오 디자인, 인물 구조, 시간 구조, 공간 구조, 가치관념 다섯 가지 측면에 대해 구체적인 분석을 하였다. <더 글로리>의 증오 디자인 측면에서, 표면적인 원인 학교 폭력과 심층적인 원인 계급 차이를 포함한다. 인물 구조 측면에서, 복수자는 정직하고 착하며, 보조자는 각 계층의 선을 대표하며, 복수 대상은 단순한 악이다. 시간 구조 측면에서, 장시간의 이야기 시간과 복수 준비 단계의 개요 서사, 소급 제시와 사전 제시, 중복 서사의 방식을 통해 선형의 이야기 구조를 비선형의 서사 구조로 변환시켰다. 공간 구조 측면에서, 같은 공간의 서사 기능 변함을 사용하여 피해 공간을 복수 공간으로, 복수 준비 공간을 구원의 공간으로 변화시켰다. 가치관념 측면에서, 도덕 윤리적 딜레마 여전히 있다, 복수가 철저하지 못한다 그리고 여성 캐릭터는 더 많은 폭력을 당한다.

      • 한-중 로맨스 웹소설의 서사구조 비교 : 〈김비서가 왜 그럴까〉와 〈향밀침침신여상〉을 중심으로

        이가성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development of web novel markets in South Korea and China through an investigation of both countries' web novel industries. While China has expanded its web novel market primarily through large web novel platforms, South Korea has provided web novels across various platforms, experiencing activation through transmedia storytelling. Accordingly, this study conducts an analysis of successful web novel cases in South Korea and China, comparing and examining the narrative structures and character representations of both countries, and suggesting approaches for qualitative improvement in the Chinese web novel market. The research focuses on South Korea's web novel "Why Secretary Kim?" and China's web novel "Ashes of Love" as the subject of analysis. "Why Secretary Kim?" and "Ashes of Love" are both based on the Cinderella narrative and involve protagonists with differing social statuses. Through this, readers experience situations they would not commonly encounter, as the male protagonist develops affection for the female protagonist, who remains unaware of it, thus evoking the emotions associated with the Cinderella narrative. However, the two novels exhibit differences in specific details such as the female protagonist's hardships, the timing of the first encounter between the main characters, character development, plot characteristics, and the progression of romance. These differences contribute to the unique appeal of each work and fulfill the role of satisfying readers' diverse preferences. Furthermore, "Why Secretary Kim?" and "Ashes of Love" express the complexity of romance and emotions through the portrayal of triangular relationships among siblings. In "Why Secretary Kim?", the emotional competition between Lee Young-joon and Lee Sung-yeon revolving around Kim Mi-so depicts realistic human emotions and intricat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fluenced by a blend of family and work-related conflicts. On the other hand, in Ashes of Love", Wu Bong and Yun Ok, as the sons of gods, blur the boundaries between human and divine through human emotions and interactions, accentuating the sacredness of their triangular relationship. These two works present various forms of romance through different cultural contexts and storytelling techniques, providing each work with its unique charm and style, thus offering readers and audiences diverse perspectives and interpretations. Moreover, in terms of realistic and fantastical character narratives, both "Why Secretary Kim?" and "Ashes of Love" establish affectionate relationships by accentuating disparities in social status or abilities. "Why Secretary Kim?" illust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le protagonist, Young-joon, who possesses wealth and power, and the female protagonist, Mi-so, who possesses talents but lacks wealth and power. On the other hand, "Ashes of Love" presents an affectionate relationship in an unrealistic context, where both the male and female protagonists possess extraordinary abilities. Jin Jin, the female protagonist, is a divine being with supernatural powers, while Wu Bong, the male protagonist, is the son of heaven and a god of war. They fall in love due to past events, and an affectionate narrative spanning multiple lifetimes unfolds. Ultimately, both works establish necessary relationships between characters through disparities in their social status or abilities. In the analysis of female-centric romantic utopias, "Why Secretary Kim?" and "Ashes of Love" captivate female readers. "Why Secretary Kim?" portrays the realization of love through realistic settings and the growth of relatable characters, while "Ashes of Love" depicts dreamlike and fantastical love through a fantasy setting and the fateful encounters of extraordinary characters. These two works showcase various forms of love in their own unique ways, assisting readers in understanding and exploring their own relationships and emotions. These works inspire female readers with dreams and hopes, offering them inspiration, courage, and strength to love themselves and navigate life's challenges. Additionally, through emotional dialogues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se works appeal to readers' emotions, providing solace and happiness. Lastly, "Why Secretary Kim?" and "Ashes of Love" utilize mystery structures to narrate romance. In "Why Secretary Kim?", a mystery unfolds from the male protagonist Young-joon's reasons for preventing the female protagonist Mi-so from resigning, and it becomes increasingly complex as it becomes linked to a past kidnapping incident. As Young-joon reveals the secret behind the past incident, the romance relationship is completed. On the other hand, in "Ashes of Love", the mystery surrounding the female protagonist Jin Jin's birth serves as a major plot element. The resolution of the conflict between Jin Jin, Wu Bong, and Yun Ok occurs when it is revealed that Jin Jin is not the daughter of heaven but rather the daughter of water. However, this resolution gives rise to new conflicts. Such mystery structures allow readers to engage with the works, communicate with them during the process of inferring and understanding the facts within the story, and serve as significant plot elements. They provide readers with a sense of tension, satisfaction through mystery resolution, increase interest in the works, and enhance immersion. In conclusion, "Why Secretary Kim?" and "Ashes of Love" have achieved significant success through their unique narrative structures and character representations. Despite different cultures and social backgrounds, both works effectively convey powerful emotions and empathy to readers through common themes and elements.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hese success factors can be crucial for qualitative improvement in the Chinese web novel market. Additionally, this research provides valuable insights for web novel authors, showcasing various possibilities in storytelling techniques and character composition. By utilizing these insights in their creative endeavors, authors can effectively convey emotions to a broader range of readers. 본 연구는 중국과 한국의 웹소설 시장에 대한 조사를 통해 두 나라의 웹소설 발전 상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중국은 대형 웹소설 플랫폼을 중심으로 확장되었으며, 한국은 다양한 플랫폼에서 웹소설을 제공하며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통한 활성화를 경험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웹소설 성공 사례를 분석하여 양국의 서사구조와 캐릭터 표현 방식을 비교 분석하고, 중국 웹소설 시장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으로는 한국의 웹소설 '김비서가 왜 그럴까'와 중국의 웹소설 '향밀침침신여상'이 선택되었다. '김비서가 왜 그럴까'와 '향밀침침신여상'은 신데렐라 서사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주인공들은 지위 차이를 가지고 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일반적으로 접할 수 없는 상황을 경험하며, 남자 주인공은 여자 주인공에게 호감을 가지지만, 여자 주인공은 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서사 구조를 통해 신데렐라 서사의 감성을 자극한다. 그러나 두 작품은 세부적인 내용에서 차이를 보이며, 여자 주인공의 어려움, 남자 주인공과의 첫 만남 시점, 캐릭터 개발, 플롯의 특징, 로맨스의 발전 방식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차이점은 각 작품의 독특한 매력을 형성하고 독자들의 다양한 취향을 충족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김비서가 왜 그럴까'와 '향밀침침신여상'은 형제간의 삼각관계를 통해 각각의 로맨스와 감정의 복잡성을 표현하고 있다. '김비서가 왜 그럴까'에서는 이영준과 이성연이 김미소를 둘러싼 감정적인 경쟁을 통해 현실적인 인간 감정과 복잡한 인간 관계를 그렸다. 반면 '향밀침침신여상'에서는 욱봉과 윤옥이 천신의 아들로서 신성함을 갈등을 통해 인간적인 감정과 상호작용하여 인간과 신 사이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든다. 이렇게 두 작품은 서로 다른 문화적 맥락과 스토리텔링 방식을 통해 다양한 로맨스를 보여주고, 각각의 작품에 독특한 매력과 스타일을 부여한다. 이는 독자와 관객에게 다양한 관점과 해석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현실적 인물과 비현실적 인물 서사에서 '김비서가 왜 그럴까'와 '향밀침침신여상'은 사회적 지위나 능력의 차이를 극대화하여 애정 관계를 형성한다. '김비서가 왜 그럴까'는 남자 주인공 영준과 여자 주인공 미소 사이의 관계를 재력과 권력의 차이를 통해 그린다. 반면 '향밀침침신여상'에서는 금멱과 욱봉이 초월적 능력을 가진 인물로서 천신의 아들이라는 역할을 한다. 이 둘은 서로 다른 인물이지만, 사건을 통해 서로를 사랑하게 되고 삼생에 걸친 애정서사가 전개된다. 결국, 두 작품 모두 캐릭터들의 사회적 지위나 능력의 차이를 통해 필요한 관계를 형성한다. 여성 중심의 낭만 유토피아 분석에서 '김비서가 왜 그럴까'와 '향밀침침신여상'은 여성 독자들을 사로잡는다. '김비서가 왜 그럴까'는 현실적 배경과 실제적 인물들의 성장을 통해 사랑의 실현을 그리며, '향밀침침신여상'은 판타지적 배경과 초월적인 인물들의 운명적 만남을 통해 꿈과 환상의 사랑을 그린다. 이 두 작품은 각자의 방식으로 사랑의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며, 독자들이 자신들의 사랑과 관계를 이해하고 탐색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작품들은 여성 독자들에게 꿈과 희망, 사랑에 대한 영감을 주고, 자신을 사랑하고 삶의 도전에 대처할 수 있는 용기와 힘을 선사한다. 또한, 감성적인 대화와 디테일한 묘사를 통해 독자들의 감성에 어필하며, 위안과 행복을 선사한다. 마지막으로, '김비서가 왜 그럴까'와 '향밀침침신여상'은 미스테리 구조를 활용하여 로맨스를 서사화한다. '김비서가 왜 그럴까'에서는 여주인공 미소의 퇴사를 막으려는 남주인공 영준의 이유로부터 미스테리가 시작되며, 과거의 납치 사건이 연관되어 복잡성이 높아진다. 이로써 영준이 과거 사건에 대한 비밀을 밝히면서 로맨스 관계가 완성된다. 반면, '향밀침침신여상'에서는 여주인공 금멱의 출생 미스테리가 주요 플롯으로 작용한다. 금멱이 천제의 딸이 아닌 수신의 딸로 밝혀짐으로써 금멱과 남주인공 욱봉, 윤옥 사이의 천륜 갈등이 해결되지만, 이는 새로운 갈등을 조성한다. 이러한 미스테리 구조는 독자가 작품 내의 사실을 추론하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작품과 소통하며, 주요한 줄거리 요소가 된다. 이는 독자들에게 긴장감과 미스테리 해결에 대한 만족감을 제공하며, 작품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몰입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김비서가 왜 그럴까'와 '향밀침침신여상'은 독특한 서사구조와 캐릭터 표현 방식을 통해 큰 성공을 거두었다. 두 작품은 서로 다른 문화와 사회적 배경에도 불구하고 공통된 테마와 요소를 통해 독자들에게 강력한 감동과 공감을 전달하였다. 이러한 성공 요소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은 중국 웹소설 시장의 질적 향상을 위해 중요한 방안이 될 수 있다. 또한, 이 연구는 웹소설 작가들에게도 유익한 인사이트를 제공하며, 이야기를 풀어내는 방법과 캐릭터를 구성하는 방법에 다양한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작가들은 새로운 창작 활동에서 이러한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더 많은 독자들에게 감동을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한·중 위안부 영화의 상처 서사 연구

        원정문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일본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북한·중국·필리핀·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여성을 ‘위안부’로 강제 징용했다. 전후 일본이 이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 못하자 ‘위안부’ 문제는 오랫동안 은닉된 의제였다가 20세기 말 한국인 생존자의 지목으로 대중적 시야로 돌아왔다. 1990년대 이후 중국과 한국은 일련의 '위안부' 영화를 제작하여 '위안부'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크게 높이고 '위안부' 집단에 대한 인식을 확대했으며 여성과 여성의 권익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높였다. 본고는 중국과 한국의 '위안부'를 소재로 한 영화를 선정하여 비교 연구하여 양국의 스크린 속 '위안부'의 이미지를 탐구하고, 또한 영화의 상처 서사, 역사 재현 등의 방면의 특징과 차이점을 심층 분석하여 향후 같은 소재의 영화 창작에 참고하여 더 많은 우수한 작품을 생산하고자 한다. 본고의 본론 부분은 총 4장으로 나뉜다. 제1장은 '위안부' 문제의 역사와 현황을 되돌아보며, 한중 양국의 '위안부' 소재 영화의 창작 개황을 상세히 정리한다. 2장에서는 영화 속 '위안부'의 이미지를 분석하며, 양국이 '위안부'의 이미지 형상화에 차이점을 탐구하며, 이미지 뒤에 숨겨진 양국 영화의 문화적 취향 문제에 대해 탐구한다.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성 관념의 영향으로 '위안부'는 종종 수치로 간주되어 그녀들이 가정과 사회로부터 오랫동안 스트레스를 받아 장기적으로 '실어'의 곤경에 빠지게 한다. 제3장에서는 한국과 중국 영화의 상처 서사의 차이점을 중점적으로 분석한다. 서사적 욕구, 영화의 시청각적 표현, 서사적 전략, 각 유형의 영화 속의 역사 재현 네 가지 차원에서 양자의 특징과 차이를 정리한다. 서사적 욕구 차원에서 한중 양국 영화는 상처 증언으로의 전화, 상처에 대한 반성, 상처에 대한 소비 경향 세 가지 측면을 담고 있다. 시청각적 표현 차원에서는 양국의 영화 창작자들이 각자의 민족의 가요를 통해 영화 분위기를 조성과 감정 전달하며, 주관적·객관적 샷의 사용을 통해 서로 다른 인물이 처한 상태를 부각시키며, 조명의 변화 대비로 인간성의 상실과 복귀를 표현한다. 서사 전략 차원에서 양국 영화는 내적 과 외적의 서사적 시점, 시공간적 교차와 다선병치된 서사적 구조, 개인서사와 거대서사의 서사적 언어를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양국의 각 유형의 영화가 '위안부'라는 성폭력과 관련된 특수한 역사의 재현에 대해 논의한다. 제4장에서는 한중 양국의 '위안부' 소재 영화의 상처 서사의 특징과 차이점을 요약하며, 이 소재의 영화 창작에 대해 성찰한다. During World War II, Japan forcibly recruited women as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s" in many Asian countries, including North Korea, China, the Philippines, and Indonesia. After the war, when Japan failed to completely solve the problem,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issue had long been a hidden agenda, but returned to the public view at the end of the 20th century with the pointing of a Korean survivor. Since the 1990s, China and Korea have produced a series of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films, greatly raising social interest in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issue, expanding awareness of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group, and raising public understanding of women's rights and interests. This paper selects and compares films based on Chinese and Korean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to explore the image of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on the screen of the two countries, and analyzes in-depth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in the film's wound narrative and historical reproduction to produce more excellent works. The body part of this paper is divided into four chapters. Chapter 1 looks back on the history and current status of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issue and summarizes the creation of films based on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in both Korea and China in detail. Chapter 2 analyzes the image of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in the film, explor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image shaping of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and explores the cultural taste issues of films from both countries behind the image. Due to the influence of traditional East Asian gender notions,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is often regarded as a disgrace, causing them to be under stress from home and society for a long time and fall into the predicament of "real language" in the long run. Chapter 3 focuses on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wound narrativ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films.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the two are summarized in four dimensions: narrative desire, audiovisual expression of the film, narrative strategy, and reproduction of history in each type of film. In terms of narrative needs, Korean and Chinese films contain three aspects: a call to testimony of wounds, reflection on wounds, and consumption trends for wounds. In terms of audiovisual expression, film creators from both countries create and convey the film atmosphere through their own ethnic songs, highlight the state in which different characters are faced through the use of subjective and objective shots, and express the loss and return of humanity in preparation for changes in lighting. In terms of narrative strategy, films from both countries show the narrative perspective of internal and external, the narrative structure of spatio-temporal intersection and multi-line juxtaposition, and the narrative language of personal and giant narratives. Finally, each type of movie in both countries discusses the reproduction of a special history related to sexual violence called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Chapter 4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wound narratives in films based on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between Korea and China, and reflects on the creation of films based on this mater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