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방문화원 성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민경애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599

        Driven by the current decentralization trends, local governments have paid attention to cultural decentralization and ensuring cultural self-governance, which has led to the establishment of local cultural institutions and the expansion of their roles. The 231 local cultural centers, which served as policy partners of the government, are also requir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policy-making and decision-making, rather than passively implement policies due to changes in the social, political, and technological environment. In particular, with the paradigm shift from vertical to horizontal governance, local governments, media, citizens, and businesses have established cultural governance based on horizontal relationships. As a result, the local cultural ecosystem has undergone drastic changes. Therefore, local cultural centers are required to fulfill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organization and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local culture.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performance of local cultural center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performanc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local cultural centers by focusing on the delivery system of local cultural policies and investigat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erceptions of government officials and local cultural center workers regarding these factors. The research aims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al centers and the promotion of local culture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between the two groups. First, the researcher set up professionalism, linkage, accessibility, appropriateness, and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as factors that affect the performance of local cultural centers. The measures of professionalism are knowledge and skills, work proficiency, and work competence. The measures of linkage are information exchange with other organizations, cooperation with other organizations, and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The measures of accessibility were convenient location for service provision, information provided to service users, and reasonable fees for services. However, the latter was excluded from the factor analysis due to low commonality. The measures of appropriateness are service provision that meet the needs of consumers, type of service, and quality of service.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is the challenging atmosphere to respond to change and the degree of risk-taking for organizational development.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ere analyzed. After analyzing a total of 316 responses, it was found that government employees rated the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and the performance of the local cultural center lower than the local cultural center employees. In terms of the effects of each influencing factor, all had a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except professionalism. When respondents are categorized, government officials perceive professionalism, linkage, and accessibility as having no significant impact, while local cultural center staff perceive accessibility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s having no significant impact. In particular, it is notable that local cultural center workers rat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s having no significant impact on performance. When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interaction between appropriateness and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when analyzed by respon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significant for government official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appropriateness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significant for local cultural center employees. Policy recommend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gap between the perceptions of the two groups should be minimized. The two groups have different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and linkage, and they evaluate the degree of each influencing factor differently. In particular, the evaluation of local governments influences the budget of local cultural centers and the structure of local cultural ecosystems and cultural governance. Therefore, local cultural centers should recogniz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between groups and try to narrow the gap.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leadership model that fits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ultural centers. The president of a local cultural center is an unpaid, part-time position, and retired government officials, businessmen, and renowned people are more likely to be elected than professionals. As a result, local cultural center presidents have a great deal of pride. However, they cannot prioritize the interests of the organization or present a vision for the organization. As a consequence, they are in an adversarial relationship with their staff, including the general manager, in many cases. Inevitably, internal conflicts within the organization will influen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ultural centers, develop a leadership model for local cultural center presidents that can be mutually beneficial, and improve the selection and system of local cultural center presidents accordingly. This study revealed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government officials and local cultural center workers regarding the performance of local cultural center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In particular, the study found that the impact and moderating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performance were insignificant, suggesting that it is essential to develop a leadership model for local cultural centers to improve the current situation. Although the 231 local cultural centers nationwide have been leading the way in promoting local culture for more than 70 years, they are not widely regarded as stakeholders in policy implement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analyzes local cultural centers as a delivery system for achieving the goals of local cultural policies. 지방분권의 흐름에 힘입어 지방정부는 문화 분권과 문화 자치의 확보에 관심을 기울였고, 이에 지역 내 문화기관의 설립과 역할의 확대가 이루어졌다. 정부의 정책파트너 역할을 담당했던 231개의 지방문화원도 사회적, 정치적, 기술적 환경 변화에 따라 수동적으로 정책 집행을 하기보다는 능동적으로 정책 수립 및 결정에 참여하기를 요구받고 있다. 특히, 수직적 거버넌스에서 수평적 거버넌스로 패러다임이 변화하면서, 지방정부와 언론, 시민, 기업 등이 수평적 관계에 기반을 둔 문화 거버넌스를 구축하였다. 이에, 지역문화생태계는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방문화원은 조직설립의 목적을 달성하고, 지역문화진흥에 일조해야 하는 사명을 가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지역문화원의 성과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지역문화정책의 전달체계에 주목하여 지방문화원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구하고, 이러한 요인에 관하여 공무원과 지방문화원 직원의 인식 차이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두 집단의 인식 차이 분석을 통해 지방문화원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지역문화진흥을 도모하고자 한다. 우선, 지방문화원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문성, 연계성, 접근성, 적절성, 혁신적 조직문화를 설정하였다. 전문성의 측정지표는 지식과 기술, 업무 숙련도, 업무 처리능력이며, 연계성의 측정지표는 타 기관과의 정보 교류, 타 기관과의 업무협조, 지방정부와 업무협조이다. 접근성의 측정지표는 서비스 제공에 편리한 위치,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 서비스의 적절한 이용료였으나 서비스의 적절한 이용료는 요인분석 결과 공통성이 낮아 제외하였다. 적절성의 측정지표는 수요자 욕구에 적합한 서비스 제공, 서비스의 종류, 서비스의 질이며, 혁신적 조직문화는 변화에 대응하는 도전적 분위기와 조직발전을 위해 위험을 감수하는 정도이다. 또한,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총 316명의 답변을 분석한 결과, 공무원은 지방문화원 직원보다 성과 영향요인은 물론 지방문화원의 성과에 대해서도 모두 낮게 평가하였다. 각 영향요인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해서는 전문성을 제외한 모든 요인이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응답자를 구분하면, 공무원은 전문성, 연계성, 접근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인식하는 반면, 지방문화원 직원은 접근성과 변혁적 리더십이 유의하지 않다고 평가하였다. 특히, 지방문화원 직원은 변혁적 리더십이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평가하였다.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적절성과 혁신적 조직문화와의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다만, 응답자를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공무원은 혁신적 조직문화와 변혁적 리더십의 상호작용이 유의하다고 했으며, 지방문화원 직원은 적절성과 변혁적 리더십의 상호작용이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연구 결과에 따른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간 인식의 간극을 좁혀야 한다. 두 집단의 인식 중에서 전문성과 연계성에 대한 정의가 상이하며, 각 영향요인의 정도를 다르게 평가하고 있다. 특히, 지방정부의 평가는 지방문화원의 예산은 물론 지역문화생태계와 문화 거버넌스의 구조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지방문화원은 집단 간 인식 차이를 인지하고, 간극을 좁히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둘째, 지방문화원의 특성에 맞는 리더십 모델의 개발이 필요하다. 지방문화원장은 무보수 비상근직으로 전문인보다 퇴직 공무원, 사업가, 명망가 등이 선출되고 있다. 그래서 지방문화원장으로서의 자긍심은 높지만, 조직의 이익을 우선하거나 조직의 비전을 제시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능력이 미흡하다. 이에 지방문화원 사무국장을 비롯하여 직원들과 적대적 관계에 놓이는 경우가 다수 있다. 조직 내부의 불협화음은 결국 조직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지방문화원의 특성을 이해하고 상생할 수 있는 지방문화원장 리더십 모델을 개발하고, 이에 따른 지방문화원장 선출 및 제도 개선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지방문화원 성과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해 공무원과 지방문화원 직원의 인식이 다르다는 사실을 밝혔다. 특히, 연구 결과에서 변혁적 리더십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조절효과가 미미하였으므로 현재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지방문화원의 리더십 모델 개발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전국 231개 지방문화원은 70여 년 동안 지역문화진흥에 앞장서 왔음에도 불구하고, 정책의 집행에 참여하는 이해관계자로 보는 시각은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지방문화원을 지역문화정책의 목표 달성을 위한 전달체계로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 저작권 정책변동과정에 대한 연구 : 음악공연권을 중심으로

        이수정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Copyright is regarded as the main growth resource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key factor of cultural development. For this reason, the importance of copyright is increasing. The copyright act grants owners exclusive rights and protects their rights. At the same time, the copyright act restricts monopolistic utilization of copyright holders and helps people fair and legal utilization. As such, the copyright act aims to ultimately develop culture and industries by guaranteeing the right of not only copyright holders but also users. There is a controversial debate around the world regarding the purpose of such the copyright act. Some assert that copyright protection should be strengthened to protect rights held by the copyright holder and holder of neighboring copyright. Others, however, insist that the copyright protection should be relaxed to balance copyright protection and utilization. Although conflicts and disputes over copyright continue to emerge as important issues around the world, studies on how the Korean copyright policy has changed and whether it has developed in line with the purpose of the copyright act have been lacking. This study began with an awareness of such a problem. Therefore, in this study,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Korean copyright policy was analyzed by studying the change process of performance rights, which is most frequently used in the field of music copyright. Moreover, as an analysis case, the store music service case, which had a severe conflict in the field of performance rights until recently, was selected. In order to analyze the case of conflicts in store music service, this study divided the conflict process from 2006 to 2019 into conflict ignition period, conflict amplification period, and institutional settlement period. The research framework used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ACF)’, which is useful in analyzing long-term policy changes, and applied the ‘Social Network Analysis(SNA)’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In summary of the analysis results, it is first shown that the main external factor in the conflict process of store music services is litigation among various actors. As a result of such lawsuits, the copyright act was revised, or the interaction and activities of policy actors were actively developed. Second, despite of the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major actors and advocacy coalitions over time, it was analyzed that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pro-advocacy coalition and anti-advocacy coalition formed early in the conflict process and their belief systems were maintained.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key actor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music performance rights was the ‘Korea Music Copyright Association’.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role of policy brokers was perform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 copyright-related department. Fourth, the changes in Korea's copyright policy before 2006 were carried out to sign up for the International treaty accession or trade agreements. On the other hand, after 2006, the study confirmed that they were embedded to the need for its own policy changes related to changes i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 Fifth, the final policy output during the institutional settlement period, which is the last period, was the decision to maintain the provision for restricting performance rights. The study showed that the change in music performance rights was characterized as the 'Policy Maintenance' among the types of policy changes suggested by Hogwood & Peters(1983).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olicy change process for music performance rights, it was found that the Korean copyright policy did not develop in the direction of pursuing a harmonious balance of rights—between copyright owners and users as specified in the purpose of the copyright act. This is because copyright-related discussions were mainly conducted in terms of copyright protection or user regulation, and there was no concern on the public interest aspect through the activation of use. Therefore, in order to serve the original purpose of copyright policy, continuous revision of the fair use clause and related discussions need to be further activa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ducted a richer and more detailed study by combining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and ‘Social Network Analysis’. In addition, the study has the implications that supplemented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by analyzing copyright, which was mainly studied in sociology and law, with the perspective of policy studies. 저작권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성장동력이자 문화산업 성장 및 문화발전의 핵심요소로서 그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저작권법은 저작권자에게 저작물에 대한 배타적 권리를 부여하고 이를 보호하는 동시에, 권리의 독점적인 향유를 제한하고 저작물을 공정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도모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문화 및 산업을 발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저작권법 도입 취지를 둘러싸고, 저작권자 및 저작인접권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저작권 보호를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과 저작권법의 본래 목적인 저작권 보호와 이용의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저작권 보호를 완화해야 한다는 주장은 세계 각국에서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세계적으로 저작권을 둘러싼 갈등 및 분쟁이 계속해서 중요한 쟁점으로 떠오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한국 저작권 정책의 변동과정이 어떠하였으며 저작권법의 본래 취지대로 발전하고 있었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음악 저작권 분야에서 가장 활용 빈도가 높은 공연권의 변동과정을 분석하여 한국 저작권 정책 발전 방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분석사례로는 공연권 분야에서 최근까지 갈등이 극심했던 매장음악서비스 사례를 선정하였다. 매장음악서비스 갈등사례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06년부터 2019년까지의 갈등 과정을 갈등점화기, 갈등증폭기, 제도정착기로 구분하였다. 연구분석틀로는 장기간의 정책변동과정 분석에서 유용하게 활용되는 옹호연합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정책하위체제 분석에 사회연결망분석을 적용하여 옹호연합모형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매장음악서비스 갈등 과정에서의 주요 외적 요인은 다양한 행위자들 간의 소송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소송의 결과로 저작권법이 개정되거나 정책행위자들의 상호작용 및 활동이 활발히 전개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주요 행위자 및 옹호연합 구성은 시기별로 변화했음에도 불구하고, 갈등 과정 초기에 형성된 공연권 확대 찬성 옹호연합 및 반대 옹호연합의 대립 구도와 이들의 신념체계는 유지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음악공연권 변동과정에서 핵심 행위자는 ‘한국음악저작권협회’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정책중개자 역할은 저작권 관련 주무 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가 수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2006년 이전 한국 저작권 정책변동은 국제조약 가입 또는 통상협정을 위해서 진행된 반면, 2006년 이후에는 국내외적 환경 변화에 따른 자체적인 정책변동의 필요성에 의해서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마지막 시기인 제도정착기의 최종적인 정책산출은 공연권 제한 조항의 유지 결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공연권 정책변동은 정책을 구성하는 일부 내용의 변동은 발생할 수 있으나 정책의 기본적인 특성은 지속되는 ‘정책유지’ 유형에 해당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음악공연권 정책변동과정 분석을 통해 한국 저작권 정책의 흐름을 살펴본 결과, 한국 저작권 정책은 저작권법 목적에서 명시한 바와 같이 저작권자와 이용자 권리의 조화로운 균형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발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 관련 논의가 주로 저작권 보호 강화 또는 이용자 규제 측면에서만 진행되었으며, 이용 활성화를 통한 공익 측면과 관련해서는 별다른 논의가 없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저작권 정책의 본래 목적에 부합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공정이용 조항의 지속적인 개정과 이와 관련한 논의가 더욱 활성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옹호연합모형과 사회연결망분석을 결합해 적용함으로써 보다 풍성하고 면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사회학, 법학 분야에서 주로 연구되던 저작권을 정책학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선행연구의 한계를 보완한 연구라는 함의를 지닌다.

      • 지방자치단체 지식기반산업 발전방안 강구 : 부천시 아파트형 공장을 중심으로

        정영태 가톨릭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수도권지역에서 중소제조업체의 경영은 공장부지의 감소와 수도권지역 제조업에 대한 입지규제로 인하여 이중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중소제조업체의 설 땅은 점점 잃어가고 있고 생산활동 등의 제약으로 인하여 타 지역으로 이전하거나 이전을 계획하고 있어 도시 안에서 지속적으로 기업활동을 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도권지역이 가지고 있는 외부효과 때문에 중소제조업체의 기능은 여전히 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산업성장의 기초가 된다는 점에서 이를 무조건 이전시키지 말고 환경적인 문제가 적은 도시형 업종에 대해서는 산업구조의 고도화와 첨단화를 유도하고 지식기반산업으로 발전시킨다는 측면에서 입지할 수 있도록 지원을 해야 한다. 최근 수도권지역에서 중소제조업체의 입지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으로 아파트형 공장이 주목받고 있다. 외국의 경우에도 아파트형 공장은 공업용지가 부족한 국가에서 활성화되고 있고 우리나라는 1980년대 후반부터 설립되기 시작했다. 특히, 1995년 이후 민간이 시행하는 아파트형 공장에 대해서는 자금 및 세제 등의 정책지원이 확대되면서 민간 건설업체들이 아파트형 공장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공급이 급속히 늘기 시작하였다. 앞으로도 민간 건설업체와 지방자치단체의 계획에 따르면 아파트형 공장의 공급은 지속적으로 확대가 될 전망으로 보인다. 특히, 부천시는 아파트형 공장을 중심으로 첨단산업, 문화산업, 서비스산업 등 지식기반산업이 활성화 될 것으로 전망이 된다. 아파트형 공장은 부지확보가 용이하고 관리비의 절감, 공장의 집단화로 인한 정보교류 등의 장점이 있는 반면, 주차난의 증가와 입주기업 작업 공간 확장의 어려움, 높은 이직률, 층간소음 등이 단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아파트형 공장이 급속도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도시 내 중소제조업체들의 입지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아파트형 공장의 건설과 공급이 적절한 대안인지 등에 대하여 정책적 방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파트형 공장이 부천지역의 중소제조업체들에 대한 입지문제 해결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적절한 대안이 될 수 있는지와 둘째, 현재 아파트형 공장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바람직한 방향인지 셋째, 아파트형 공장의 바람직한 활성화를 위한 대안적 유형을 제시하고 넷째, 아파트형 공장의 운영에 따른 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개발협력사업 성과관리 개선방안 연구 : AHP분석을 이용한 성과관리를 중심으로

        한승수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우리나라는 건국초기부터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의 도움으로 경제성장의 발판을 마련하였고 지난 반세기 동안 온 국민이 합심해서 세계 역사상 유례가 없는 빠른 경제성장과 민주화로 지금의 경제대국을 이룩하였다. 신흥공여국으로 2010년 경제협력개발기구 개발원조위원회에 가입한 이후 국가 차원의 통합된 공적개발원조 지원을 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의 개발협력 전문 싱크탱크인 글로벌개발센터(Center for Global Development)와 브루킹스 연구소(Brookings Institution)가 공동으로 펴낸 「공적개발원조 질적평가(The Quality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2014년 ODA 질 평가 보고서에서 ‘한국 원조의 질’ 평가 순위는 최하위권으로 나타나서 한국의 공적개발원조가 현재 잘 되고 있는지, 앞으로 바람직한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공적개발원조기관인 한국국제협력단(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의 개발협력사업 성과관리 방안에 대해서 연구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KOICA의 평가절차는 평가기획, 평가실시 및 평가종료, 평가결과 반영 및 이행/환류 3가지로 구분하고 이론적 논의를 통해 각 단계의 중요요인 및 지표들을 선정하고 지표의 우선순위를 분석한다. 또한 KOICA 관련 업무 또는 수행평가를 한 사람이 KOICA 사업성과관리에 대해서 잘 알고 있다고 가정하고 KOICA 관련 업무 또는 수행평가를 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계층분석기법(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활용하여 중요요인 및 지표들 사이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도출하였고,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KOICA 사업성과관리 중요요인 중에서 KOICA 개발협력사업 종합지표(1위)가 가장 중요하다고 나타났다. 2위는 국내·외 정보공유강화, 3위는 국내·외 모니터링 강화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KOICA 개발협력사업 종합지표의 8가지 지표 중에서 산출 결과물(Outcome) 목표달성 사업비율 지표(1위)가 가장 중요하다고 나타났다. 최빈국내 배정된 예산 중 KOICA사업의 기간내 집행률, MDGs 사업 예산율, 26개 중점협력국 중 최빈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의 기간내 집행률, 비구속성 원조비중, 사업산출물(Output) 목표달성 사업비율, 프로젝트 설명자료, 프로젝트 규모의 중간값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내·외 정보공유강화에서 (국외) 원조 수원국에 대한 평가결과 공유강화, (국내) 국회, 국민, 시민단체에 대한 평가결과 공유강화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내·외 모니터링강화에서 (국외) KOICA 현지 사무소 권한 및 모니터링 강화, (국내) 국무조정실 산하 통합성과관리평가팀 신설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할 수 있다. 첫째, KOICA ODA의 질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QuODA 지표 중에서 기관의 특성에 맞는 지표들을 선정하여 KOICA 개발협력사업 종합지표의 수립이 필요하다. 둘째, KOICA 개발협력사업 종합지표에서 현재 산출물(Output) 중심의 사업성과지표 관리방안에서 사업의 목적에 충실하고 일관성을 유지하며 영향력까지 포함하는 산출 결과물(Outcome) 중심의 사업성과지표 관리방안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셋째, 국내·외 정보공유강화에서는 우리나라가 IATI(International Aid Transparency Initiatives)에 가입하기 위해서 국제규범에 맞게 원조투명성에 대한 제도가 정비되어야 하며, 원조 수원국과 긴밀한 의사소통 및 KOICA ODA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과 감시가 필요하다. 넷째, 국내·외 모니터링강화에서는 KOICA 현지 사무소 권한, 인력, 예산 지원을 강화해야 하며, 산출 결과물(Outcome) 중심의 성과관리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With its fast economic growth and democratization, South Korea has grown into the present-day major economic nation, and it has changed to an assistance provider from an assistance recipient, enabling it to provide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The global ODA size has shrunken since the 2008 when the world experienced an economic crisis as a considerable number of nations have reduced their ODA sizes, while South Korea doubled its ODA size from USD 802 million in 2008 to USD 1.597 billion in 2012. However, according to 2014 ODA quality evaluation report of The Quality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QuODA"), jointly published by the US ODA think-tank CGD (Center for Global Development) and Brookings Institution, South Korea's ODA quality was evaluated as the lowest level, raising a question of whether or not South Korea's ODA runs well or is moving in the desirable direc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asures for managing the ODA achievements of the ODA agency of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 and to derive implications. The process of evaluating KOICA is classified into evaluation planning, execution of evaluation and completion of evaluation, and adoption of evaluation results and transition/feedback. The ODA activities are discussed theoretically, major factors and indicators in each stage are selected and the prioritization thereof is analyzed. In addition,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he relative importance of major factors and indicators is derived, and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to select indicators among QuODA indicators to effectively evaluate the quality effect of KOICA ODA and to establish total KOICA ODA evaluation indicators. Second, there is a need to examine the total KOICA ODA evaluation indicators, and to shift from the current output-centered performance indicator management method to outcome-centered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which focuses on the purpose of projects, which offers a consistent guideline, and which includes impacts. Third, to boost the sharing of domestic and overseas information, South Korea needs to join International Aid Transparency Initiatives ("IATI") by improving the aid transparency system according to international norms, to have close communication with aid recipients, and to support and monitor KOICA ODA to boost its quality. Fourth, to boost the domestic and overseas monitoring, there is a need to boost the authority, manpower and budget support of local KOICA offices, to manage performance based on outcomes and to continue to monitor ODA activities.

      • 조직 구성원 간 신뢰가 조직시민행동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해양경찰조직을 대상으로

        최동황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우리나라 해양경찰청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조직 내 신뢰와 조직시민행동 및 조직성과와의 관계를 실증연구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해양경찰청의 본청과 현장업무를 수행하는 인천해양경찰서를 대상으로 한정하여 중앙지원부처와 현장 간의 인식도 비교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본청과 현장 내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인식도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조직 내 신뢰, 협력, 정보공유가 조직시민행동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중요성을 회귀모형을 구성하여 앞서와 같이 본청과 현장 간 비교를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할 것이며, 이러한 실증적 검토를 통하여 조직 구성원 간 신뢰에 따른 해양경찰공무원의 조직성과 제고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이론적 방법과 경험적 방법을 적절히 혼합하여 적용하였다. 우선 이론적 방법으로는 조직 내 신뢰에 대한 개념, 조직시민행동 및 조직성과의 의의, 이들 간 영향관계, 우리나라에서 해양경찰이 갖는 의미에 대한 고찰을 실시하며 특히 해양경찰조직의 특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다. 한편 경험적 방법으로는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과 구성원의 심층면담을 통해 설문결과를 보충하였다. 분석은 본청과 현장 내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인식도 차이를 규명한 후, 독립변인인 조직 내 신뢰, 협력, 정보공유가 종속변인인 조직시민행동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모형을 구성하여 양 조직을 비교하였고, 그에 따라 조직 구성원 간 신뢰에 따른 해양경찰공무원의 조직성과 제고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우선 본청과 현장의 인식도 차이결과, 많은 문항에서 인천서가 본청에 비해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적지 않은 문항에서 직급과 근무연한이 높을수록 인식도 결과 역시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회귀분석 결과, 해양경찰청(본청)의 경우 조직시민행동에 대해, ‘조직신뢰’(β=.114), ‘동료신뢰’(β=.161), ‘협력’(β=.236), ‘정보공유’(β=.313)가 유의수준 0.05 이하에서 통계적 유의미성을 나타내었고, 조직성과에 대해서는 ‘조직신뢰’(β=.274), ‘협력’(β=.143), ‘정보공유’(β=.277)가 유의수준 0.05 이하에서 통계적 유의미성을 나타냈다. 한편 현장조직인 인천해양경찰서의 경우에는 조직시민행동에 대해 ‘조직신뢰’(β=.262), ‘동료신뢰’(β=.200), ‘협력’(β=.328), ‘정보공유’(β=.147)가 유의수준 0.05 이하에서 통계적 유의미성을 나타냈다. 또한 조직성과에 대해서는 ‘조직신뢰’(β=.462), ‘동료신뢰’(β=.152), ‘협력’(β=.169), ‘정보공유’(β=.206)가 유의수준 0.05 이하에서 통계적 유의미성을 나타냈다. This research shows the effect relations with inter-personal trus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Korean Coast Guard.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tries to compared realization between Korean Coast Guard and Incheon Coast Guard. also, this research studies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etween Korean Coast Guard and Incheon Coast Guard. Finally, this research constructs the regression model for the effect of inter-personal trust, collaboration, information sharing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hrough this regression analysis, this research suggested some implications concerning the improvemen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Korean Coast Guard. This research adopted not only theoretical method but also empirical method. First, theoretical method examined about the concept about inter-personal trus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Korean Coast Guard. and empirical method executed survey and in depth interviews of KCG members Analysis was construed perception difference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Korean Coast Guard and Incheon Coast Guard. Also, based on the conceptual framework, this research have done an analysis that inter-personal trust, collaboration, information sharing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have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s the dependent variables respectively between Korean Coast Guard and Incheon Coast Guard. First, in the case of the Korean Coast Guard, analytic results showed that the trust to organization, trust to co-worker, collaboration, information sharing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05 level for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hen it comes to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three variables mentioned above except trust to co-worker for the adequacy of implementation structu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05 level Next, in the case of the Incheon Coast Guard, analytic results showed that the trust to organization, trust to co-woker, collaboration, information sharing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05 level for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hen it comes to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four variables also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05 level

      • 주민자치위원회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주민자치위원회 활동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김문호 가톨릭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1999년 효율적인 작은 정부와 주민중심의 행정서비스 체계를 갖추고자하는 취지로 읍·면·동의 업무를 축소하고 주민자치센터를 설치하였다. 주민자치센터는 지역주민들의 모임과 토의공간을 제공하여 주민자치를 실천하는 장으로 만들고자 하였으며, 주민자치위원회를 구성하여 진정한 주민자치 실현 방안을 모색하였지만 지방자치단체의 여건에 따라 다른 형태로 전개되어갔다. 주민자치위원회 제도가 15년의 운영에서 당초 의도했던 주민자치가 활성화되기보다는 대부분의 자치 활동이 취미 여가 프로그램 운영에 그치고 주민센터내 다른 단체와 대동소이한 봉사활동 정도에 그치고, 제대로 된 주민자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으며 주민자치위원회가 자치를 위한 권한도 없이 동장의 자문조직에 그치고 있다. 본 연구는 민간주도의 주민자치를 실현하고 관주도 방식의 주민자치운영을 개선하기 위하여 주민자치위원회 성과 요인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주민자치는 주민에 의한, 주민을 위한, 주민의 자치가 되어야한다. 당연히 주민이 주체가 되어 추진되어야한다는 명제 아래 주민자치위원회의 기능과 역할제고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민주도로 운영되는 주민자치위원회 사례와 부천시 주민자치위원회의 인식도를 비교 평가하였으며, 주민자치위원회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도출하고 그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주민자치위원회의 성과 제고와 활성화를 위한 설문문항들을 만들어 주민주도형의 성공사례와 관주도형의 부천시사례를 비교 평가하였다. 분석은 두 집단을 합한 전체를 포함하여 총 3개의 집단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인식도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성공사례에 비해 부천시의 주민자치위원들이 관주도형 주민자치위원회 운영에 익숙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신규위원 선정에 대해서는 기존위원이나 봉사단체 인사의 추천에 의존하고 있어 위원 구성의 질적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성과요인을 조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주민자치위원회의 성과요인으로 주민자치위원장 리더십, 역량, 참여, 프로그램, 재정을 설정하였다. 각 관측변수들의 평균을 종합한 결과, 재정 요인을 제외한 모든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에서 성공사례와 부천시의 평균값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부천시에 비해 성공사례에서는 역량과 참여의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민자치위원회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회귀분석하였다. 회귀분석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전체 조사대상자는 리더십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고, 성공사례에서는 역량 요인이, 부천시에서는 리더십 요인이 성과에 가장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체조사대상자와 성공사례, 부천시 3개 집단 모두 정도의 차이는 있었으나 참여 요인이 두 번째로 높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성공사례에서는 리더십과 재정 요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고, 부천시에서는 역량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도출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민자치위원의 선정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둘째, 주민자치위원회가 관주도형에서 탈피하여 주민주도로 운영될 수 있도록 위원들의 역량과 주민참여를 강화해야 한다. 셋째, 관주도형에서 주민주도형으로 전환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기 위한 주민자치위원장의 리더십을 강화하고, 전담인력을 배치해야 한다. Community centers were newly established at the levels of Eup, Myon and Dong in the government system in Korea in 1999 with the aim of making these lowest administration systems smaller but more efficient and achieving citizen autonomy. Community centers were intended to serve as venues for meeting and discussion in the course of pursuing autonomy amongst residents. Residents Autonomy Committees (RAC) were organized to play a pivotal role in driving citizen autonomy. However, the outcomes resulting from RACs vary among local governments. After 15 years of the RAC system, the intended goal of achieving citizen autonomy has been hardly realized given that community centers are currently operated to provide a variety of courses (language or leisure time activities) for residents. Moreover, RACs are not authorized to promote autonomy amongst residents and maintain a limited role, including advisory services to the Chief Officer of Dongs and organizing volunteer activiti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performance of RACs and to suggest solutions to improve state-led RAC systems and citizen autonomy as intended. Citizen autonomy can be defined as the administrative system of the residents, by the residents, and for the residents. As residents play the central role in citizen autonomy,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solutions to enhance the role and functions of RAC. A successful case of RAC was compared with Bucheon RAC. Its perception was compared and analyz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RACs and the relationship of significant variables. A questionnaire was created to identify data need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RACs, and a successful case of a resident-led RAC and state-led Bucheon RAC were compare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ree groups, including an overall group (combing successful case and Bucheon City). Based on analysis results, the operation of Bucheon RAC was less autonomous compared with the successful RAC case. For instance, the Bucheon RAC relied on the recommendation of its members or an external party to appoint a new member, signifying a need for improvement.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RACs included the leadership and competence of the chair of the RAC, resident participation, programs, and financial resources. Based on the analysis of variables, the mean values of the successful case and Bucheon C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except financial resources. The perception of competence of the chair and resident participation were more significant in the successful case than Bucheon City.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variable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RACs, and the results revealed that leadership wa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overall participants and in Bucheon City. However, competenc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successful case. Participation was the second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RACs in the three groups, although its statistical significance varied among them. In the successful RAC case, leadership and financial resources were not significant to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RAC, and competence was not significant in Bucheon C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solutions can be suggested. First, the appointment system of members should be improved. Secondly, the competence of RAC members and resident participation should increase to foster autonomy in the operation of RACs. Lastly, the leadership of the chair of the RAC should increase, and appropriate personnel should be appointed to switch from state-led operation to resident-led operation.

      • 홈리스 복지서비스 전달체계 효과성의 영향요인 분석 : 공급자와 수혜자 인식비교를 중심으로

        정광열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599

        초 록 우리나라의 홈리스 정책은 노숙인과 부랑인의 숫자가 급격히 증가하는 상황 속에서 정책 대안에 대한 별다른 체계적 준비 없이 서둘러 시작되었기 때문에, 근시안적이고 임기응변적 정책이 될 수밖에 없었다. 더욱이 2005년에는 노숙인과 부랑인을 나누는 분류기준이 명확하지 않은 상황 속에서, 노숙인 사업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전담하고, 부랑인 사업은 중앙에서 전담하는 이원화된 전달체계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이원화된 전달체계로 인하여 발생한 노숙인 정책과 부랑인 정책의 연계성 부족은 부랑인시설의 정체성 문제를 불러왔으며 수용시설의 효과적 관리와 노숙인의 재활과 자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낳게 되었다. 즉 비효율적인 관리와 다양한 지원체계 상의 문제점, 정책의 수립과 집행과정의 전반적인 문제점 등을 양산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의 다루게 될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숙인 사업과 부랑인 사업을 이원화된 전달체계로 관리하는 것이 과연 효과적인가? 둘째, 홈리스 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현황은 어떠하며, 효과적인가? 셋째, 홈리스 복지전달체계는 업무특성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효과성에 어떤 차이가 있으며, 어떤 시사점을 제시하는가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홈리스 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공급자와 수혜자를 대상으로 조직 요인과 인력 요인, 그리고 재정 요인, 서비스 공급 용인과 서비스 질 요인을 모두 포함하는 홈리스 복지서비스 전달체계 효과성의 영향요인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홈리스 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실증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공급자, 즉 홈리스 복지서비스 전달체계와 관련된 중앙 및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전원과 노숙인 복지시설과 부랑인 복지시설의 직원에게 2009년 4월 6일부터 4월 18일까지 2주 동안 이메일을 통해서 760 배의 설문지를 배포하고 수혜자, 즉 홈리스에게 같은 기간에 자기기입식 조사방식으로 총 1,100부의 우편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지에 대해 SPSS 16.0 사회과학통계패키지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교차분석, 평균차이분석, 신뢰성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실증적 분석을 통해 홈리스 복지전달체계의 효과성을 분석해 본 결과 첫째,효과성에는 개별적 관심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만족도에는 보증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효과성에는 공급자와 수혜자를 막론하고 개별적 관심이 효과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공급자와 수혜자간 영향요인에 있어 많은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공급자 측면에서는 조직이나 인력, 그리고 재정적 영향요인이 큰 영향을 미치는데 반해 수혜자 측면에서는 대부분이 서비스의 공급이나 질적 변수들의 영향요인들이 크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숙인과 부랑인의 특성상 전달체계의 주요 요소인 조직이나 인력, 재정적 요인에 대해서는 별로 관심이 없고 다양한 복지서비스 혜택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노숙인과 부랑인의 효과성과 만족도에 차이가 나타나고 있어 노숙인과 부랑인들이 받는 복지서비스의 격차를 줄일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인 홈리스 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홈리스 복지서비스전달체계의 개선을 위해서는 노숙인과 부랑인을 홈리스라는 이름으로 통합하여, 노숙인과 부랑인이 모두 동일하고 공평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독립적인 복지전담기관의 설치(홈리스복지사무소 등)가 필요하다. 둘째, 지역특성 및 복지대상자의 요구를 반영하는 복지정책의 수립이 요구된다. 서울권에 노숙인이 집중되어 있다는 현황분석에서 알 수 있듯이 각 지역적 특성에 맞는 홈리스 복지정책의 수립이 필요하다. 셋째, 홈리스 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공급자들의 업무여건 개선과 함께 인력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복지전달체계의 공급자들은 조직 요인, 인력 요인, 재정 요인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분석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복지전담인력의 전문성 발휘를 위해서는 업무여건의 개선과 전문성의 질을 높이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는 지역특성을 고려한 복지전담인력의 증원 및 배치이다. 조직 요인의 기능분담성과 접근용이성, 인력 요인의 전문성, 그리고 서비스 공급 요인의 적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복지 전담인력이 적재적소에서 최상의 복지서비스를 공급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지역 특성을 고려한 복지전담인력의 배치가 필요하다. 이들 요인들 이외에도 홈리스 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책 담당자의 해결의지와 적극적 실천능력이 선행되는 것이 중요하다. 동시에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공급자와 수혜자간의

      • 군·경찰 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개인-조직 가치적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염영섭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Recently, interest and preference for public sector jobs have been decreasing. Early retirement of young public officials is also on the rise. Accordingly, the crisi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the public sector is approaching. In particular, this is especially true in the case of Military and Police organizations facing the Cliff of military service resources as Specific public officials who require strong Self-sacrifice and Commitment. As an alternative to this, various studies are actively being conducted with a lot of interest in Public Service Motivation(PSM). However, the subjects of the study so far have been mainly Public Organization Workers or General Public Officials. Through a survey of Specific Public Officials, especially Military and Police officers, this study attempted to cla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SM and Innovative Action(IA) and demonstrate the Mediating Effect of Person-Organization Fit(POF)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M and IA. A total of 1,842 respondents were surveyed, 1,513 Soldiers and the Civilian Workers in the Military from the headquarters of all kinds of the military and all former units of the Air Force, 212 Police officers from Gwangju Metropolitan Police Agency, and 117 Maritime police officers from five organizations under the Korea Coast Guard. Among them, the response data of the Army and Marine Corps(194 persons) were mainly used to analyze Descriptive Statistics on positive perception for each item because data could not be entered into the statistical program. On the other hand, the response data of the Navy, Air Force, Police, and Maritime Police(1,648 persons) were input into the SPSS 21 and AMOS 21 programs and used for various analyses such a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d Hypothesis Verificati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SM and IA was verified using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s, and the Mediation Effect of POF was verified through Mediating Regression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SM of Military and Police officers had a positive(+) effect on IA. Among the four sub- variables of PSM, the Compassion(C) variable was not extracted as a distinguishing factor, and it was found that PSM had a large impact on IA in the order of Commitment to Public Interest(CPI), Attraction to Policymaking(AP), and Self-Sacrifice(SS). The control variabl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Gender, Religion, Duration of service, and Occupation. Second, the PSM of Military and Police officers had a positive (+) effect on POF and POF on IA. In addition, PSM had a positive(+) effect on IA through POF, and POF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them. Third, the perception of PSM(CPI, AP, SS), POF, and IA among all male respondents of Military and Police officers were generally higher than that of female, married people were higher than that of unmarried, 40s to 50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ir 20s to 30s, and 3 to 4 dependents or more were higher than 0 to 1.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 change in perception of PSM, POF, and IA through the Internalization of the Core Values of the organization and the process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ver a long period of time. Fourth, although most Military and Police organizations pursue 'Dedication' and 'Sacrifice' as common values, the level of perception of Self-Sacrifice(SS) was the lowest among the sub-variables of PSM. This means that sufficient motivation for Commitment and Self-Sacrifice(SS) is not achieved. Therefore, in addition to various direct and indirect External Motivation measures, the necessity of various efforts by organizational managers to inspire them through strengthening Intrinsic Motivation was raised. 최근 공공부문 일자리에 대한 관심과 선호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젊은 공직자들의 조기퇴직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공공부문의 인적자원 관리의 위기가 다가오고 있다. 특히, 강한 자기희생과 헌신이 요구되는 특정직공무원으로서, 병역자원 절벽에 직면한 군·경찰 조직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써, 공공봉사동기(Public Service Motivation, PSM)에 대한 많은 관심과 함께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대상은 주로 공공조직 종사자나 일반직공무원 위주였다. 본 연구는 PSM이 남다를 것으로 보이는 특정직공무원, 그중에서도 군·경찰 간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이들의 PSM과 혁신행동(Innovative Action, IA) 간의 인과관계를 밝히고, PSM과 IA 간의 관계에서 개인-조직 가치적합성(Person-Organization Fit, POF)의 매개효과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 응답자는 총 1,842명이었고, 각 군 본부 및 공군 전 예하부대 소속 하사 이상 군인·군무원 1,513명, 광주지방경찰청 소속 경찰 간부 212명, 해양경찰청 산하 5개 기관 소속 해양경찰 간부 117명이었다. 그중에서 육군과 해병대(194명)의 응답자료는 통계프로그램에 자료 입력이 불가능하여 문항별 긍정적 인식 등에 관한 기술통계량 분석을 위주로 활용하였다. 반면에, 해·공군과 경찰·해양경찰(1,648명)의 응답자료는 SPSS 21, AMOS 21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요인분석, 상관관계, 가설검증 등 다양한 분석에 활용하였다. PSM과 IA 간의 인과관계 검증은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였고, POF의 매개효과는 매개회귀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경찰 공무원의 PSM은 IA에 정(+)의 영향이 있었다. PSM의 4가지 하위변수 중 동정심(C) 변수는 별도의 요인으로 추출되지 않았고, 공익몰입(CPI), 정책호감(AP), 자기희생(SS) 순으로 PSM이 IA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변수는 성별, 종교, 근속기간, 직업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군·경찰 공무원의 PSM은 POF에, POF는 IA에 각각 정(+)의 영향이 있었다. 또한, PSM은 POF를 매개로 IA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POF는 이들 사이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군·경찰 공무원 전체 응답자들의 PSM(CPI, AP, SS), POF, IA에 대한 인식은 대체로 남성이 여성보다,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40∼50대가 20∼30대보다, 부양가족수 3∼4명 이상이 0∼1명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장기간에 걸친 조직의 핵심가치 내재화, 조직사회화 과정 등을 통하여 PSM, POF, IA에 대한 인식 변화의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넷째, 대다수 군·경찰 조직들이 ‘헌신’과 ‘희생’을 공통적인 가치로 추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PSM의 하위변수들 중에서 자기희생(SS)에 대한 인식수준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곧 헌신과 자기희생(SS)을 위한 충분한 동기부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양한 직·간접적 외재적 동기부여 방안 이외에도 내재적 동기부여 강화를 통해서 이를 고취하기 위한 조직관리자들의 다각적인 노력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 국가보훈정책 결정과정에서의 정책네트워크 분석 : 보훈대상 및 보상체계 개편과정을 중심으로

        이성국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599

        Based on policy network theory, the dissertation analyses actors,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 structure in the reforming policy beneficiaries and compensation system. First, the dissertation explores the actors in the reforming process. At the policy agenda setting stage, there are such official actors as President,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individual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National Policy Committee which is the National Assembly Standing Committee, and such unofficial actors as existing veterans organizations, veterans organization candidates, research centers, and experts. At the policy making stage, in addition to the actors of the previous stage, there are such official actors as Prime Minister's Office,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nd the Secretariat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such unofficial actors as civil society organizations, political parties, and mass media. Among the government ministries involved, those who have relevance to compensation and treatment of veterans and patriots including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National Police Agency take the lead. At the policy legislation stage, the National Policy Committee takes the pivotal role, and instead of existing veterans organizations, 'Bohoon Jikimi,' a non-government organization, takes an active role, which seems to have, to some degree, an influence on legislative process of the National Assembly. Second, the dissertation examines the interactions in the reforming process. At the policy agenda setting stage,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and veterans organizations show conflicting relationship, but they share the view of the necessity of overhaul of the policy beneficiaries and compensation system. Overall, cooperative relationship is predominant over conflicting one. At the stage of policy making, both conflicting relationship and cooperative relationship coexist, but conflicting one is predominant since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nd the National Police Agency have different opinions on army civilians’ eligibility as armed service members in regards to their benefit. Also, veterans organizations are concerned about reduction of the existing benefits for veterans and patriots, and raise objections. At the policy legislation stage, both the ruling party and the opposite parties take a cautious attitude since they are concerned about the possibility of shrinking benefits, which leads to the overall conflicting relationship. Third, the dissertation analyses the relationship structure in the reforming process. The policy agenda setting stage has closed structure of relationship among the government including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the National Assembly Standing Committee, veterans organizations, and experts, and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centralized structure. The policy making stage also has closed structure of relationship among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other VA-related government ministries, veterans organizations, and experts, and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centralized structure. At the policy legislation stage, there is closed structure of relationship among VA-related ministries or organizations, and bill judgement subcommittee of the National Policy Committee-centralized structure. Throughout the overall process, the policy network has a type of policy community. At the policy agenda setting and the policy making stage, President and government ministries including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take the leading role, and at the policy legislation stage, bill judgement subcommittee of the National Policy Committee plays a leading role while the existing veterans organizations who are most related to the veterans policy don’t play an active role. This study offers suggestions for veterans affairs policy making process as follows: First, considering symbolic aspects of veterans affairs works and their purpose of cultivating love for na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way to explain the policy to the public in order to draw their attention and to proactively ask for the consent of the public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Second, it is required to set up a system or institutional strategy for drawing interest and assistance from the local government who has rarely joined in veterans affairs policy-making process, but who establishes and implements policies to realize the philosophy of honoring national meritorious persons. Third, future veterans affairs policy is expected to become more complex and various, which requires more cooperation among related ministries. In this regard, it is needed to establish a governmental organization who can coordinate negotiation, cooperative system, and conflicts between ministries. Fourth,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has created policy alternatives and has explained them to veterans organizations. The organizations gave their views, but they have not fully reflected. In this regard, improvement needs to be made in order to sufficiently reflect their voices. Fifth,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government needs to be improved. To this end, the meeting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ruling party needs to be held more often, and the opposition parties as well as ruling party need to be involved in the meeting. In addition, more comprehensive and professional study on veterans affairs policy, and a strategy to persuade the National Assembly are required. Sixth, policy-making decision should be based on the necessity, but at the same time, policy-making process is influenced by interest and dynamics of various actors. In this regard, process of mediation, persuasion, and agreement needs to be made in order to resolve conflicts of interest of individual actors. Seventh, interest and support from the public are required to make a veterans affairs paradigm that contributes to the national integration and peaceful reunification between two Koreas. To this end, we need to make efforts for more open and cooperative veterans affairs policy-making process where various actors can take part in. 보훈대상 및 보상체계 개편과정을 정책네트워크이론을 통하여 행위자, 상호작용, 관계구조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행위자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정책의제설정단계에는 공식행위자로서 대통령, 국가보훈처, 개별 국회의원, 국회 상임위원회인 정무위원회가 있고, 비공식행위자로는 기존보훈단체와 신규보훈진입 요구단체, 연구기관·전문가가 있다. 정책입안단계에는 공식행위자 중에 정부부처인 국무총리실, 국방부 등을 비롯하여 국회사무처 등이 추가로 참여하고 비공식행위자 중에는 시민사회단체, 정당, 대중매체가 추가로 참여하게 된다. 그러나 정부부처의 경우 보훈대상자에 대한 보상과 예우업무관련 부처인 국방부, 기획재정부, 보건복지부, 경찰청 등이 위주가 되었다. 정책입법화단계에서는 정무위원회가 중심이 되었는데 기존 보훈단체가 행위자로 나타나지 않고 오히려 ‘보훈지킴이’라는 자생단체가 적극적인 역할자로 나타났고 이것이 국회 입법과정에서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상호작용에 대한 분석결과는, 정책의제설정단계에는 국가보훈처와 보훈단체 간에 갈등적 관계를 보이기는 했으나 보훈대상 및 보상체계 개편의 필요성 자체에 대해서는 인식을 같이 했다고 할 때 전체적으로 협력적 관계가 갈등적 관계보다 우세했다. 정책입안단계에는 갈등적 관계와 협력적 관계가 공존했으나 군무원의 보국수훈자인정문제와 관련하여 국방부와 경찰청과 이견이 있었고 보훈단체들은 기존 보훈수혜내용의 하락을 우려하여 문제를 제기함에 따라 갈등적 관계가 우세했다. 정책입법화단계에는 국회에서 여당과 야당의 구분 없이 기본적으로 개편이 기존의 보훈수혜 내용보다 축소될 것을 우려하여 신중한 태도를 보임에 따라 전체적으로 갈등적 관계를 보였다. 셋째, 관계구조에 대한 분석결과, 정책의제설정단계에는 국가보훈처 등 정부와 국회상임위원회, 보훈단체, 전문가 위주의 폐쇄형이며 국가보훈처가 주도한 집중형의 모습을 보였고, 정책입안단계에도 국가보훈처와 보훈관련 정부부처, 보훈단체, 전문가 등 보훈관련기관이나 단체, 대상자 중심의 폐쇄형이었고 국가보훈처가 주도하는 집중형이었다. 정책입법화단계에서는 국가보훈처와 보훈관련 기관이나 단체 중심이고 국회 정무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가 주도하는 집중형이었다. 전 과정에서 정책네트워크의 유형은 정책공동체유형을 나타냈는데, 정책의제설정단계와 정책입안단계에는 대통령과 국가보훈처 등 정부가, 정책입법화단계에는 국회정무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가 주도적인 역할을 했으며, 보훈정책의 주된 수요자인 기존 보훈단체의 역할은 활발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가 앞으로 보훈정책결정과정에서 시사하는 바를 제시해 보면, 첫째, 국가보훈업무가 상징적인 측면이 강하고 보훈의 궁극적 목표가 국민들의 나라사랑하는 마음을 기르는데 있다고 할 때 보훈정책에 대하여 일반 국민이나 시민사회단체의 동의가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 일반국민이나 시민사회단체의 관심을 일으킬 수 있도록 설명하고 이들의 동의를 적극적으로 구하는 절차가 필요하고, 둘째, 보훈정책결정과정에서 지방자차단체의 참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나, 보훈관련 법에서 보훈이념을 구현하기 위한 시책을 수립·시행하도록 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협조를 적극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하는 체계나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앞으로의 보훈정책은 더욱더 복잡하고 다양해지는 가운데 관련부처의 협조사항도 늘어 날 것이 예상되는 바, 이를 위한 협상기술과 협조체제, 그리고 부처 간 갈등에 대한 정부차원의 조정기제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넷째, 국가보훈처 중심의 정책대안이 마련된 후에 보훈단체에 설명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이 과정에서 보훈단체에서는 의견을 개진하지만 보훈단체의 의견이 제대로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고 있는데 대한 개선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국회와 정부 간의 관계채널의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지금의 당정회의를 보다 활성화할 필요가 있고 당정회의의 대상도 여당은 물론 야당과도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또 국가보훈정책에 대한 보다 종합적이고 전문적 연구와 국회 설득전략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여섯째, 정책결정의 준거기준으로 당위성도 중요하지만 근본적으로 정책과정의 속성이 여러 행위자들의 이해관계와 역학적 관계에 따라 이루어지는 정치적인 경향이 강한 만큼 개별 행위자들의 이해관계에 따른 갈등적 요소를 해결 할 수 있는 조정과 설득, 합의과정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일곱째, 국민통합과 평화통일기반조성에 기여하는 국가보훈 패러다임을 위해서는 전 국민의 관심과 지지가 필요한 바, 이를 위해서는 보다 개방적이고 다양한 계층이 참여할 수 있는 협력적인 보훈정책결정과정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