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행복증진을 위한 개입 활동들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 5요인의 역할 탐색 = The Role of Big-Five Personality Traits as the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 Affecting the Effectiveness of Happiness-Enhancing Intervention Activ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007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initial scores and change rates of happiness-related outcome measures and the association between dimensional personality traits from the Five-Factor Model and individual differences of change rates in outcome measures which were induced by the intervention program. 55 Korean middle-aged women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one of two treatment conditions: (a) condition A in which consisted of the first 5 sessions of individual-focused activities and the last 5 sessions of relationship-focused activities, (b) condition B in which the orders of program were reversed. Finally, data from 48 participants were analyzed by hierarchical linear model. Outcomes showed that only for the SWLS in condition B, the higher the initial score was, the faster the score of each measure increased as sessions progressed. Findings also indicated that only in Condition A, participants showing greater neuroticism and greater extraversion improved significantly more rapidly across time.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initial scores and change rates of happiness-related outcome measures and the association between dimensional personality traits from the Five-Factor Model and individual differences of change rates in 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initial scores and change rates of happiness-related outcome measures and the association between dimensional personality traits from the Five-Factor Model and individual differences of change rates in outcome measures which were induced by the intervention program. 55 Korean middle-aged women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one of two treatment conditions: (a) condition A in which consisted of the first 5 sessions of individual-focused activities and the last 5 sessions of relationship-focused activities, (b) condition B in which the orders of program were reversed. Finally, data from 48 participants were analyzed by hierarchical linear model. Outcomes showed that only for the SWLS in condition B, the higher the initial score was, the faster the score of each measure increased as sessions progressed. Findings also indicated that only in Condition A, participants showing greater neuroticism and greater extraversion improved significantly more rapidly across tim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행복증진을 목적으로 지금까지 서양에서 개발되고 효과가 검증된 다양한 행복증진 활동들이 행복과 안녕감을 증진시키는 효과의 개인차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 5요인의 역할을 탐색하였다. 이때 행복증진을 위한 활동들을 개인주의적 요소들(개인-초점적 요소들)과 집단주의적 요소들(관계-초점적 요소들)로 나누어 두 부류의 요소들을 서로 다른 두 순서로 배치하여 결과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소재 중년 여성들 55명을 대상으로 두 조건(개인-초점적 활동들을 먼저 실시한 조건, 관계-초점적 활동들을 먼저 실시한 조건)으로 나누어 행복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사전, 중간, 사후 세 시점의 측정치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4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위계적 선형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초점적 활동들을 먼저 실시한 조건의 경우에만, 심리적 안녕감으로 측정한 성과측정치에서는 신경증이 높은 개인들의 경우에, 그리고 삶의 만족도로 측정한 성과측정치에서는 외향성이 높은 개인들의 경우에 이들 성격적 변인들의 점수가 낮은 개인들보다 변화율이 좀 더 빠른 속도로 진보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그리고 본 연구의 의의와 추후 연구를 위한 제안들이 논의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행복증진을 목적으로 지금까지 서양에서 개발되고 효과가 검증된 다양한 행복증진 활동들이 행복과 안녕감을 증진시키는 효과의 개인차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 5요인...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행복증진을 목적으로 지금까지 서양에서 개발되고 효과가 검증된 다양한 행복증진 활동들이 행복과 안녕감을 증진시키는 효과의 개인차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 5요인의 역할을 탐색하였다. 이때 행복증진을 위한 활동들을 개인주의적 요소들(개인-초점적 요소들)과 집단주의적 요소들(관계-초점적 요소들)로 나누어 두 부류의 요소들을 서로 다른 두 순서로 배치하여 결과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소재 중년 여성들 55명을 대상으로 두 조건(개인-초점적 활동들을 먼저 실시한 조건, 관계-초점적 활동들을 먼저 실시한 조건)으로 나누어 행복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사전, 중간, 사후 세 시점의 측정치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4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위계적 선형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초점적 활동들을 먼저 실시한 조건의 경우에만, 심리적 안녕감으로 측정한 성과측정치에서는 신경증이 높은 개인들의 경우에, 그리고 삶의 만족도로 측정한 성과측정치에서는 외향성이 높은 개인들의 경우에 이들 성격적 변인들의 점수가 낮은 개인들보다 변화율이 좀 더 빠른 속도로 진보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그리고 본 연구의 의의와 추후 연구를 위한 제안들이 논의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둘순, "현실요법을 적용한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8

      2 윤성민, "행복증진을 위한 긍정심리활동들의 효과비교:개인-초점적 활동과 관계-초점적 활동" 한국상담심리학회 24 (24): 121-148, 2012

      3 윤성민, "한국판 긍정심리치료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707-732, 2010

      4 유태용, "한국판 HEXACO 성격검사의 구성타당화 연구"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18 (18): 61-75, 2004

      5 서은국, "한국인의 행복 지수와 그 의미" 213-232, 2010

      6 김광일, "한국인의 신체화 경향에 관한 논고" 12 : 1440-1443, 1972

      7 연병길, "한국 정신보건에 관한 역학적 조사. 정신질환의 5년 추적조사(I)" 7 : 198-210, 1983

      8 임영희, "중년 기혼여성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4

      9 국승희,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성격의 5요인 모델과 주관적 삶의 질의 관계" 한국임상심리학회 23 (23): 983-998, 2004

      10 남정자, "정신건강을 위한 접근책-우울증 실태분석을 중심으로" 59-66, 1997

      1 강둘순, "현실요법을 적용한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8

      2 윤성민, "행복증진을 위한 긍정심리활동들의 효과비교:개인-초점적 활동과 관계-초점적 활동" 한국상담심리학회 24 (24): 121-148, 2012

      3 윤성민, "한국판 긍정심리치료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707-732, 2010

      4 유태용, "한국판 HEXACO 성격검사의 구성타당화 연구"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18 (18): 61-75, 2004

      5 서은국, "한국인의 행복 지수와 그 의미" 213-232, 2010

      6 김광일, "한국인의 신체화 경향에 관한 논고" 12 : 1440-1443, 1972

      7 연병길, "한국 정신보건에 관한 역학적 조사. 정신질환의 5년 추적조사(I)" 7 : 198-210, 1983

      8 임영희, "중년 기혼여성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4

      9 국승희,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성격의 5요인 모델과 주관적 삶의 질의 관계" 한국임상심리학회 23 (23): 983-998, 2004

      10 남정자, "정신건강을 위한 접근책-우울증 실태분석을 중심으로" 59-66, 1997

      11 황은숙, "이혼가정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성화 방안"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2 권석만, "우울증" 학지사 2000

      13 이화령, "외향적 기질과 행동이 유발하는 정적 정서"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2 (22): 159-175, 2008

      14 김명소,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 :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15 (15): 19-39, 2001

      15 이은경, "신경증과 외향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우울과 긍정적 정서의 중요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16 김광일, "신경정신과 입원환자에 대한 통계적 고찰" 17 : 83-96, 1974

      17 서경현, "성격과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 Big 5 성격요인과 BAS/BIS를 중심으로"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5 (15): 169-186, 2009

      18 구본용, "성격 및 환경요인과 행복과의 관계" 한국상담학회 6 (6): 1-9, 2005

      19 임영진, "성격 강점과 긍정 심리치료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20 조성윤, "내담자의 낙관성 수준에 따른 상담 회기 및 상담자 평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21 김희라, "개인 용서상담 프로그램이 위기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0

      22 채중민, "감사하기가 행복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23 Gable, S. L., "Will you be there for me when things go right? Supportive responses to positive event disclosures" 91 (91): 904-917, 2006

      24 Anderson, C., "Who attains social status? Effects of personality and physocal attractiveness in social groups" 81 : 116-132, 2001

      25 Fredrickson, B. L., "What good are positive emotions?" 2 : 247-270, 1998

      26 Ryff, C. D.,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69 (69): 719-727, 1995

      27 McCrae, R. R., "The stability of personality : Observations and evaluations" 3 : 173-175, 1994

      28 Suh, E. M., "The shifting basis of life satisfaction judgments across cultures : Emotions versus norms" 74 : 482-493, 1998

      29 Levinson, D. J., "The seasons of a man's life" Knopf 1978

      30 Diener, E.,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49 (49): 71-75, 1985

      31 Fredrickson, B. L.,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56 : 218-226, 2001

      32 Miller, T. R., "The psychotherapeutic utility of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 A clinician's experience" 57 (57): 415-433, 1991

      33 Boehm, J. K., "The promise of sustainable happiness, In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667-677, 2009

      34 King, L. A., "The health benefits of writing about life goals" 27 (27): 798-807, 2001

      35 Lyubomirsky, S.,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Does happiness lead to success?" 131 (131): 803-855, 2005

      36 Zinbarg, R. E., "The Role of Personality in Psychotherapy for Anxiety and Depression" 76 (76): 1649-1688, 2008

      37 Dunn, E. W., "Spending money on others promotes happiness" 319 (319): 1687-1688, 2008

      38 Allen, S. E., "Relation of client psychological type and therapeutic effectiveness: An exploratory study. Doctoral dissertation, Northeastern University" 46 : 2792-, 1985

      39 Parks, A., "Pursuing happiness in everyday life: The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of online happiness seekers" 2012

      40 Lyubomirsky, S., "Pursuing happiness : The architecture of sustainable change" 9 (9): 111-131, 2005

      41 Spek, V., "Predictors of outcome of group and internet-based cognitive behavior therapy" 105 (105): 137-145, 2008

      42 Rashid, T., "Positive psychotherapy inventory"

      43 Seligman, M. E. P., "Positive psychotherapy" 61 (61): 774-788, 2006

      44 Seligman, M. E. P., "Positive psychology progress : Empirical validation of interventions" 60 (60): 410-421, 2005

      45 Vella-Brodick, D. A.,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s: Research evidence, practical utility, and future steps, In Mental well-being: International contributions to the study of positive mental health" Springer 331-353, 2013

      46 Buss, A. H., "Personality as traits" 44 : 1378-1388, 1989

      47 Diener, E., "Persona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In Well-being: The foundations of hedonic psychology" MIT Press 213-229, 1999

      48 Schueller, S. M., "Personality Fit and Positive Interventions: Extraverted and Introverted Individuals Benefit from Different Happiness Increasing Strategies" 3 (3): 1166-1173, 2012

      49 Sheldon, K. M., "Persistent pursuit of need-satisfying goals leads to increased happiness : A 6-month experimental longitudinal study" 34 (34): 39-48, 2010

      50 Fredrickson, B. L., "Open hearts build lives : Positive emotions, induced through loving-kindness meditation, build consequential personal resources" 95 (95): 1045-1062, 2008

      51 Ogrodniczuk, J. S., "NEO-five factor personality as predictors of response to two forms of group psychotherapy" 53 (53): 417-442, 2003

      52 Costa, P. T., "NEO-PI-R professional manual. Odessa"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92

      53 Belsky, J.,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 in young adulthood and their life course, mental health, and personality correlates" 17 (17): 460-471, 2003

      54 Triandis, H. C.,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Westview Press 1995

      55 Harkness, A. R., "Individual differences science for treatment planning : personality traits" 9 (9): 349-360, 1997

      56 Lambert, M. J., "Implications of outcome research for psychotherapy integration, In Handbook of psychotherapy integration" Basic Books 94-129, 1992

      57 Lyubomirsky, S., "How do simple positive activities increase well-being?"

      58 Cheavens, J. S., "Hope therapy in a community sample : A pilot investigation" 77 (77): 61-78, 2006

      59 Otake, K., "Happy people become happier through kindness : A counting kindness intervention" 7 (7): 361-375, 2006

      60 Ryff, C. D.,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57 (57): 1069-1081, 1989

      61 Enright, R. D., "Forgiveness is a choice: A step by step process for resolving anger and restoring hop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1

      62 Freedman, S. R., "Forgiveness as an intervention goal with incest survivors" 64 (64): 983-992, 1996

      63 Pavot, W., "Extraversion and happiness" 11 : 1299-1306, 1990

      64 Costa, P. T., "Environmental and dispositional influences on well-being : Longitudinal follow-up of an American national sample" 78 : 299-306, 1987

      65 Sin, N. L., "Enhancing well-being and alleviating depressive symptoms with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s : A practice-friendly meta-analysis" 65 : 467-487, 2009

      66 Schueller, S. M., "Disseminating self-help: Positive psychology exercises in an online trial" 14 : 63-, 2012

      67 Rolland, J-P., "Dimensional personality traits and treatment outcome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108 (108): 241-250, 2008

      68 Lu, L., "Culture and conceptions of happiness : Individual oriented and social oriented SWB" 5 : 269-291, 2004

      69 Emmons, R. A., "Counting blessings versus burdens :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gra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daily life" 84 (84): 377-389, 2003

      70 Lyubomirsky, S., "Becoming happier takes both a will and a proper way : An experimental longitudinal intervention to boost well-being" 11 : 391-402, 2011

      71 Shin, D., "Avowed happiness as an overall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life" 5 : 475-492, 1978

      72 Seligman, M. E. P.,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Free Press 2002

      73 Vincent, C. E., "An open letter to caught generation" 21 (21): 143-150, 1972

      74 Wood, A. M., "A social-cognitive model of trait and state levels of gratitude" 8 (8): 281-290, 2008

      75 Boehm, J. K., "A longitudinal experimental study comparing the effectiveness of happiness-enhancing strategies in Anglo Americans and Asian Americans" 25 : 1263-1272, 2011

      76 Goldberg, L. R., "A broad-bandwith, public-domain, personality inventory measuring the lower-level facets of several Five-Factor models, In Personality psychology in Europe Vol. 7" Tilburg University Press 7-28, 1999

      77 통계청, "2001년 생명표"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07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2 2.32 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9 2.58 3.685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