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 자아존중감 평가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for Young Children’s’ Self-Esteem Rating Sca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583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사용 유아 자아존중감 평가척도 개발 및 타당화를 위한 연구로 ′The Behavioral Rating Scale for Presented Self-Esteem in Young Children‵을 토대로 교사용 유아 자아존중감 평가척도를 개발하...

      본 연구는 교사용 유아 자아존중감 평가척도 개발 및 타당화를 위한 연구로 ′The Behavioral Rating Scale for Presented Self-Esteem in Young Children‵을 토대로 교사용 유아 자아존중감 평가척도를 개발하고, 그 척도의 문항 양호도, 타당도,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만 5세반 유아 171명 이었으며 연구도구는 ′The Behavioral Rating Scale for Presented Self-Esteem in Young Children‵을 번역과 역 번역의 과정을 거쳐 내용을 면밀히 분석하고, 유아교육 전문가 4인이 선행연구를 토대로 10문항을 추가로 구성하여 개발된 25문항이다. 문항 양호도를 알아보기 위해 문항-전체 상관을 살펴보았으며 도구의 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신뢰도 분석을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6문항이 제거되었고, ′The Behavioral Rating Scale for Presented Self-Esteem in Young Children‵에서 5개요인(도전적인 일에 대한선호, 시작/독립심, 사회적 접근/회피, 사회․정서적 표현, 의지력)을 기초로 본 연구에서는 3개요인(시작/독립심, 학습성취, 사회․정서성)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결과에서 ′The Behavioral Rating Scale for Presented Self-Esteem in Young Children‵에서의 도전적인 일에 대한 선호와 시작/독립심이 하나의 요인으로 통합되었고, 사회적 접근/회피와 사회․정서적 표현이 하나의 요인으로 통합되어 검출된 것이며, 학습성취에 대한 하나의 요인이 검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의 적합도와, 신뢰도 계수는 매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인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아존중감과 자기능력 지각에 대한 Pesrson 상관계수를 도출하여 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과 자기능력 지각은 매우 높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measurement structure of the behavioral rating scale of presented self-esteem for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171 children aged 5 in Korea. The child self-esteem scale w...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measurement structure of the behavioral rating scale of presented self-esteem for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171 children aged 5 in Korea. The child self-esteem scale was composed of 25 items based on related self-esteem studies.
      The results from EFA identified the three dimensions of a modified child self-esteem scale(initiative/independence, accomplishment/achievement of target, social emotional expression and imitation) and 6 items were removed. CFA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simple measurement model with the complex measurement model based on EFA. Based on the evaluation, GFI=.991, AGFI=.984, NFI=.994, and RMR=.012 were recommended. In the reliability analyses for eachsubscale, Cronbach`s=αfor modified young children self-esteem scale subscales ranged from .815 to .900. Self perceived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was found to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self esteem. This shows that self perceived competence is related to a young child’sself-esteem.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velop valid constructs of child self-esteem and to examine the measurement structure of a self-esteem scale with psychometric approach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금창,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개인 내 및 개인 간 변인들의 영향력과 성차"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 황성우, "창의적 무용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3 이영애, "집단미술 요법이 유아의 공격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2002

      4 윤영숙, "자화상 표상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5 김순민, "자아존중에 대한 부모교육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6 김기현, "유치원 교사의 언어수준이 유아의 창의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26 : 89-111, 2000

      7 최민수, "유아학대 경험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7 (7): 131-151, 2002

      8 김영숙,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가정환경의 제요인" 동국대학교 대학원 1997

      9 최현미,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외적변인에 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0 박희숙,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유치원 적응력간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337-356, 2007

      1 박금창,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개인 내 및 개인 간 변인들의 영향력과 성차"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 황성우, "창의적 무용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3 이영애, "집단미술 요법이 유아의 공격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2002

      4 윤영숙, "자화상 표상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5 김순민, "자아존중에 대한 부모교육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6 김기현, "유치원 교사의 언어수준이 유아의 창의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26 : 89-111, 2000

      7 최민수, "유아학대 경험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7 (7): 131-151, 2002

      8 김영숙,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가정환경의 제요인" 동국대학교 대학원 1997

      9 최현미,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외적변인에 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0 박희숙,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유치원 적응력간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337-356, 2007

      11 지성애, "유아의 자아 존중감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7 (7): 3-67, 2003

      12 김영신, "유아의 사회적 적응 행동에 관한 사례연구 -교사와유아의 개별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11 (11): 73-92, 2007

      13 박은경,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과 유아의 자아존중감과의 연구"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4 류승희, "유아의 대인불안과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0 (10): 235-249, 2005

      15 배경숙, "유아의 기질과 부모의 기질요구도 및 유아의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연구" 13 (13): 137-152, 2004

      16 박수윤, "유아의 기질 및 자아개념과 교사-유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7 이주리, "유아 및 아동의 가정환경 및 또래환경과 역량지각"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4

      18 채정아, "웃음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유머감각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7

      19 김숙현, "어머니의 초기 대상관계가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7

      20 진영희,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및 역할 만족도와 유아의 자아능력 지각과의 관계"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1 이미정, "아버지의 자기존중감 및 양육행동이 아동의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7

      22 박영애, "아동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의 특성 및 상호관계" 한국아동학회 5-23, 2000

      23 박영애, "아동의 성별에 따른 성격특성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 12 (12): 275-286, 2003

      24 신동주, "부부간 친밀관계경험과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및 유아의 자아존중감의 관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301-324, 2011

      25 박영애, "부모의 양육행동 및 형제관계와 아동의 자존감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1995

      26 유봉자, "미술심리치료 기법을 활용한 유아미술 교육과정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정서발달에 미치는 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7

      27 김오순, "명상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유치원 적응능력,스트레스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6

      28 류정숙, "긍정적 자아개념 활동을 통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증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4

      29 이주리, "가정환경과 아동의 역량에 대한 자기지각" 9 (9): 131-144, 1991

      30 Taylor, S. L., "We can cook! snac preparation with toddlers and twos" 27 (27): 29-33, 1999

      31 Asendorpf, J. B., "Traits and relationship status: Stranger versus peer group inhibition and test intelligence versus peer group competence as early predictors of lter self-esteem" 65 (65): 86-98, 1994

      32 Harter,S, "The perceived directionality of the link between approval and self-worth: The liabilities of a looking glass self-orientation among young adolescents" 6 : 285-308, 1986

      33 Harter,S, "The perceived competence scale for children" 53 : 77-87, 1982

      34 Verschueren,K, "The internal working model of self, attachment and comptence in five-year-olds" 67 (67): 2493-2511, 1996

      35 Croker, J., "The costly pursuit of self-esteem" 130 : 392-414, 2004

      36 Dohnt, H., "The contribution of peer and media influrences to the development of body satisfaction and self-esteem in young girls: A prospactive study" 42 (42): 929-936, 2006

      37 Harter, S., "The Pictorial Scale of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for Young Children" 55 : 1969-1983, 1984

      38 Haltiwanger,J, "The Behavioral Referents of Presented Self-Esteem in Young Children" 1989

      39 Nelson, L. J., "Social withdrawal, observed peer acceptance, and the development of self-perceptions in children ages 4 to 7 years" 20 : 185-200, 2005

      40 Kemple,K.M, "Shyness and self-esteem in early childhood" 33 (33): 173-182, 1995

      41 Warner,L, "Self-esteem: A byproduct of quality classroom music" 76 (76): 19-23, 1999

      42 Bosson, J. K., "Self-enhancement tendencies among people with high explicit self-esteem: The moderating role of implicit self-esteem" 2 (2): 169-187, 2003

      43 Karen,D, "Preschooler′s Inferred Self-Esteem: The behavioral rating scale of presented self-esteem in young children" 57 (57): 204-206, 1996

      44 Fuchs-Beauchamp,K.D, "Preschoolers` inferred self-esteem: The Behavioral Rating Scale of Presented Self-esteem in Young Children" 157 : 204-210, 1996

      45 Searcy,Y.D, "Placing the Horse in Front of the Wagon: Toward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of Self-Esteem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4 (24): 121-131, 2007

      46 Coopersmith,S, "Parental charateristics related to self-esteem. In,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Freeman 1967

      47 Lindsey, E. W., "Mother-child dyadic synchrony in European American and African American families during early adolescence: Relations with self-esteem and prosocial behavior" 54 (54): 289-316, 2008

      48 Wylie,R.C, "Measures of self-concept"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89

      49 정계숙, "Jigsaw-Ⅰ협동학습 전략을 적용한 유아 신체표현활동 프로그램의 지연된 자아존중감 증진 효과 연구" 22 (22): 217-235, 2002

      50 Greenberg,P, "Ideas that work with young children: Why not academic preschool? (Part 1)" 45 (45): 7-80, 1990

      51 Reese, E, "Children′s Self-esteem and Moral self: Links to parent-child conversations regarding emotion" 16 : 460-463, 2007

      52 Curry, N. E., "Beyond self-esteem: Developing a genuine sense of human value"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1990

      53 Haltiwanger,J, "Behavioral refernts of presented self-esteem in young children"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중앙유아교육학회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영문명 : Chung-Ang Society Of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42 2.42 2.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7 2.56 2.707 0.5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