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사회불안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022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사회불안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

      본 연구는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사회불안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423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내현적 자기애 성향은 학교생활적응과 유의한 부적상관이(r=-.51, p<.01) 있었으며 내현적 자기애는 사회불안과 유의한 정적상관이(r=.70, p<.01), 학업적 자기효능감과는 유의한 부적상관이(r=-.39, p<.01) 있었다. 사회불안은 학교생활적응과 유의한 부적상관이(r=-.50, p<.01),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교생활적응과 유의한 정적상관이(r=.63, p<.01) 있었으며 사회불안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부적상관이(r=-.51, p<.01)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불안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내현적 자기애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졌으며(β=.41, p<.001) 사회불안은 학교생활적응에 매개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β=-.05, p<.001). 본 연구 결과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의 청소년이 학교생활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 학업적 자기효능감, 특히 자기조절 효능감과 자신감을 높여주는 것이 학교생활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anxiety and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covert narcissism and school life adaptation. The subjects were 423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anxiety and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covert narcissism and school life adaptation. The subjects were 423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vert narcissistic personality tendency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chool life adaptation(r=-.51, p<.01). Covert narcissism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anxiety(r=.70, p<.01) but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self-efficacy(r=-.39, p<.01). Social anxiety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chool life adaptation(r=-.50, p<.01), academic self-efficac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chool life adaptation(r=.63, p<.01), and social anxiety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self-efficacy r=-.51, p<.01).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anxiety and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self-efficacy has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chool life adaptation(β=.41, p<.001), and social anxiety has no mediating effect on school life adaptation(β=-.05, p<.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f adolescents with covert narcissism have difficulties in adapting to school life, increasing academic self-efficacy, especially self-control efficacy and self-confidence, may be helpful to improve adolesc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
      • Ⅳ. 연구 결과
      • Ⅴ. 논의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혜신, "한국판 아동청소년용 사회 불안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1 (21): 429-443, 2002

      2 김아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및 타당화 연구" 39 (39): 95-123, 2001

      3 나동진, "학업 성취의 사회적 목표와 학업 성취의 관계에 있어서 학업적 자기 효능감과 학업 불안의 매개 효과" 교육종합연구소 6 (6): 131-152, 2008

      4 최지원, "학교부적응청소년의 MMPI-A 특성 및 학교생활적응수준" 한국청소년학회 18 (18): 265-284, 2011

      5 전재천, "초등학생의 집단 따돌림과 부모의 양육태도, 학교적응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6 김동민, "체육고등학교 운동선수의 내현적자기애와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7 노원재,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8 이원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류" 한국열린교육학회 17 (17): 89-118, 2009

      9 최인희, "청소년의 자기애 성향과 시험불안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10 강예모,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의식의 매개효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2 (12): 331-348, 2012

      1 문혜신, "한국판 아동청소년용 사회 불안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1 (21): 429-443, 2002

      2 김아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및 타당화 연구" 39 (39): 95-123, 2001

      3 나동진, "학업 성취의 사회적 목표와 학업 성취의 관계에 있어서 학업적 자기 효능감과 학업 불안의 매개 효과" 교육종합연구소 6 (6): 131-152, 2008

      4 최지원, "학교부적응청소년의 MMPI-A 특성 및 학교생활적응수준" 한국청소년학회 18 (18): 265-284, 2011

      5 전재천, "초등학생의 집단 따돌림과 부모의 양육태도, 학교적응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6 김동민, "체육고등학교 운동선수의 내현적자기애와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7 노원재,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8 이원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류" 한국열린교육학회 17 (17): 89-118, 2009

      9 최인희, "청소년의 자기애 성향과 시험불안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10 강예모,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의식의 매개효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2 (12): 331-348, 2012

      11 정유진, "청소년 학교생활 적응의 관련 변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12 김다솜,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성취압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3 신재은, "중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불안에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14 한혜림, "자기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수치심 경향성을 매개변인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15 박영미, "아동의 모애착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6 양윤란, "아동과 청소년의 사회불안과 우울 증상간의 시간적 관계" 한국임상심리학회 27 (27): 35-50, 2008

      17 유석주, "실업계 여자고등학생의 귀인성향과 학습태도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8 오수남,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통제력 및 정서조절이 중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9 조소희,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편집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0 이인숙, "대학생의 자기애 성향과 대인불안 및 방어성간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1 이상미, "내현적 자기애와 청소년의 우울 및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9

      22 김제영, "내현적 자기애와 분노 표현방식이 또래 괴롭힘 경험 및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23 권은미,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공포증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6

      24 장하나, "내현적 자기애 특성과 자기조절 학습전략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주관적 안녕감의 차이"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25 강선희, "내현적 자기애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4 (14): 705-723, 2002

      26 김종운,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내현적 자기애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4 (14): 1041-1054, 2014

      27 심미정, "간호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및 자기주도적 학습태도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2 (12): 328-337, 2012

      28 "http://kostat.go.kr"

      29 P. Wink, "Two faces of narcissism" 61 (61): 590-597, 1991

      30 A. Bandur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Freeman & Company 1997

      31 S. Akhtar, "Overview: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139 : 12-20, 198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