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뇌교육 기반 세계시민교육 교육과정 설계 방향 탐색 = Exploring Brain Education bas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1279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larify the conceptual relevance of brain education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o suggest brain education bas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rain education bas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aim at empathizing with values required to bring about a peaceful, just, and sustainable society, and inducing transformation of attitudes and behaviors. Second, the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developed to cultivate integrated competencies in cognitive, socio-emotional, and behavioral domains. Third, it should provide learners with experiential activities that they can practice in their daily lives and find a solution at first hand. Fourth, it should help learners reflect on themselves objectively by practicing activities directly related to their lives and situation. Based on the study, follow-up studies are proposed as follows: First, the brain education bas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esented in this study needs to be field tested and complemented by education stakeholders. Second, programs should be complemented by topics and issues that are relevant and appropriate to different age groups.
      번역하기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larify the conceptual relevance of brain education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o suggest brain education bas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rain educatio...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larify the conceptual relevance of brain education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o suggest brain education bas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rain education bas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aim at empathizing with values required to bring about a peaceful, just, and sustainable society, and inducing transformation of attitudes and behaviors. Second, the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developed to cultivate integrated competencies in cognitive, socio-emotional, and behavioral domains. Third, it should provide learners with experiential activities that they can practice in their daily lives and find a solution at first hand. Fourth, it should help learners reflect on themselves objectively by practicing activities directly related to their lives and situation. Based on the study, follow-up studies are proposed as follows: First, the brain education bas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esented in this study needs to be field tested and complemented by education stakeholders. Second, programs should be complemented by topics and issues that are relevant and appropriate to different age group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대훈, "행복교육 실현을 위한 글로벌 시민교육(Global Citizenship Education) 개선 방안 연구" 교육부 2013

      2 이민경, "한국사회의 다문화 교육 방향성 고찰: 서구 사례를 통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18 (18): 83-104, 2008

      3 추정인, "학대피해 노인을 위한 뇌교육활용 용서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연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4

      4 김용찬, "평화교육을 위한 초등학생의 세계시민적 자질 조사연구" 19 (19): 19-37, 2007

      5 권오정, "초등학생용 자기성찰지능 척도 및 프로그램 개발"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8

      6 김도연, "청소년 대상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최근 연구동향 및 뇌교육 적용 가능성 탐색"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대학원 2011

      7 고병진, "청소년 뇌교육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뇌파활성도와 정신력 및 자기조절능력의 변화"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0

      8 박현미, "청소년 글로벌 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217-247, 2015

      9 박순녀, "직장인의 멘탈헬스 증진을 위한 ‘고객맞춤식 뇌교육 기반 명상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연구: K사 생산직을 대상으로"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4

      10 이동민, "중등 지리 교육과정에 반영된 세계시민교육 관련 요소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4 (54): 1-19, 2015

      1 조대훈, "행복교육 실현을 위한 글로벌 시민교육(Global Citizenship Education) 개선 방안 연구" 교육부 2013

      2 이민경, "한국사회의 다문화 교육 방향성 고찰: 서구 사례를 통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18 (18): 83-104, 2008

      3 추정인, "학대피해 노인을 위한 뇌교육활용 용서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연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4

      4 김용찬, "평화교육을 위한 초등학생의 세계시민적 자질 조사연구" 19 (19): 19-37, 2007

      5 권오정, "초등학생용 자기성찰지능 척도 및 프로그램 개발"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8

      6 김도연, "청소년 대상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최근 연구동향 및 뇌교육 적용 가능성 탐색"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대학원 2011

      7 고병진, "청소년 뇌교육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뇌파활성도와 정신력 및 자기조절능력의 변화"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0

      8 박현미, "청소년 글로벌 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217-247, 2015

      9 박순녀, "직장인의 멘탈헬스 증진을 위한 ‘고객맞춤식 뇌교육 기반 명상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연구: K사 생산직을 대상으로"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4

      10 이동민, "중등 지리 교육과정에 반영된 세계시민교육 관련 요소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4 (54): 1-19, 2015

      11 김은주, "자기주도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뇌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뇌파분석 연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0

      12 오기성, "인성교육에 대한 인문학교육 및 교육신경과학의 함의" 교육연구원 37 (37): 59-80, 2017

      13 손나윤, "어머니의 자기성찰 수준, 사회적 지지와 어머니의 상호작용 행동과의 관계 : 학령전기 발달지연 아동과 일반 아동 비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4

      14 신혜숙, "심신수련을 통한 홍익인간의 육성 : 한국선도를 중심으로" 107-125, 2006

      15 하태민, "심리적안녕감 향상을 위한 뇌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09

      16 이성회, "세계시민교육의 실태와 실천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15

      17 김옥순, "세계시민교육 참여 청소년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 연계형 창의적 체험활동의 일례를 중심으로"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36) : 7-28, 2013

      18 성열관, "세계시민교육 교육과정의 보편적 핵심 요소와 한국적 특수성에 대한 고찰" 한국교육개발원 37 (37): 109-130, 2010

      19 노찬옥, "세계 시민교육에 대한 시안적 연구 -세계 시민의 위상과 세계 시민교육의 방향 탐색0"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3 : 89-108, 2001

      20 장미연, "생태유아교육의 교육내용에 대한 뇌과학적 고찰"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9 (9): 81-108, 2010

      21 정은, "사회신경과학적 관점에서 바라 본 장애아동의 인성발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9 (9): 325-345, 2008

      22 김경은, "사회과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 - 세계적 문제에 대한 민감성 함양을 중심으로 -" 교과교육연구소 16 (16): 231-256, 2012

      23 모경환, "사회과 글로벌 시티즌십 교육의 동향과 과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6 (46): 73-108, 2014

      24 이승연,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글로벌 시민성 분석 -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2 (22): 17-32, 2015

      25 윤인진, "민족교육, 시민교육, 세계시민교육"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50) : 4-22, 2012

      26 류현민, "명상 유형에 따른 중재효과 메타분석: 요가 명상, 불교 명상, 마음챙김 명상, 복합적 명상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0 (10): 1-17, 2014

      27 박형빈, "도덕성에 대한 뇌신경과학적 접근의 도덕교육적 함의"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43) : 141-194, 2013

      28 정지현,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 참여 고등학생의 ‘세계시민 되기’의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323-350, 2015

      29 김순하, "뇌체조와 음악줄넘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격성, 자기조절 및 자율신경에 미치는 영향"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3

      30 이승헌, "뇌안의 위대한 혁명 B.O.S"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출판부 2007

      31 정종진, "뇌기반 학습의 원리와 실제" 학지사 2015

      32 신재한, "뇌기반 자기주도적학습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16

      33 박선미, "뇌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4 이승헌, "뇌교육의 미래와 비전" 1 (1): 1-12, 2006

      35 이승헌, "뇌교육원론"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출판부 2010

      36 안체윤, "뇌교육에 기반한 부모의 자기성찰지능 향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6

      37 곽윤정, "뇌교육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학습에 미치는 영향" 2 : 1-17, 2008

      38 김주남, "뇌교육 인성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4

      39 강명숙, "뇌교육 인성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2012

      40 김정숙, "뇌교육 인성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09

      41 신재한,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과정이 청소년의 인성지수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6 (6): 977-994, 2015

      42 오기성, "뇌과학적 관점에서 본 민주시민교육" 인문사회과학연구소 (41) : 5-43, 2013

      43 신재한, "뇌과학적 고찰을 통한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방향 탐색" 한국아동교육학회 25 (25): 257-273, 2016

      44 정봉영, "뇌과학에 기반한 학생 창의・인성 함양 및 학습력 증진 방안 연구" 교육부 2011

      45 김명희, "뇌 기반 교육과정 모형의 개발과 그 시사점" 한국교육과정학회 22 (22): 135-164, 2004

      46 김혜성, "뇌 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인간친화 지능과 자아성찰 지능에 미치는 영향"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09

      47 김동식, "네트윅 기반 학습에서 협력적 성찰지원 도구 설계 전략 탐색" 한국컴퓨터교육학회 5 (5): 89-106, 2002

      48 고아라, "글로벌시민교육 교원 연수의 효과 분석"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10 (10): 95-134, 2015

      49 박성인, "글로벌 사회의 시민성 교육 접근 방법" 4 (4): 17-34, 2012

      50 현은자, "그림책을 활용한 세계시민교육" 학지사 2013

      51 강순원, "국제이해교육 맥락에서 한국 글로벌시민교육의 과제"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9 (9): 1-32, 2014

      52 국제개발협력시민사회포럼, "국내외 시민사회 교육개발협력의 동향과 과제: 2015 세계교육포럼 및 국제교육개발협력 증진을 위한 시민사회 역량강화 연구 최종보고서" 국제개발협력시민사회포럼 2015

      53 김진희, "공정여행 수업활동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의 의미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41 (41): 213-239, 2014

      54 조윤숙, "감수성 훈련을 적용한 한국형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2

      55 Hicks, D., "Thirty years of global education: a reminder of key principles and precedents" 55 (55): 265-275, 2003

      56 Martin, F., "Teaching the global dimension: key principles and effective practice" Routledge 163-175, 2007

      57 Rapoport, A., "Research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formation Age Publishing Ind 119-135, 2015

      58 Lo, J. Y.-Y., "Research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formation Age Publishing Inc 137-162, 2015

      59 Guo, L., "Preparing teachers to educate for 21st century global citizenship: envisioning and enacting" 4 (4): 1-23, 2014

      60 Kirkwood, T. F., "Our global age requires global education: clarifying definitional ambiguities" 92 (92): 10-15, 2001

      61 Davies, L., "Global citizenship: abstraction or framework for action?" 58 (58): 5-25, 2006

      62 Oxley, L., "Global citizenship: a typology for distinguishing its multiple conceptions" 61 (61): 301-325, 2013

      63 UNESC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pics and learning objectives" Th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15

      64 Pak, S. Y.,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oals and challenges in the new millennium"

      65 Massey, K.,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a secondary geography course: the students’ perspectives" 4 (4): 80-101, 2014

      66 Oxfam,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 a guide for schools" Oxfam 2015

      67 Osler, A., "Changing citizenship: democracy and inclusion in education" Open University Press 2005

      68 김용찬, "21세기 트렌드와 다문화사회 민주시민교육의 방향과 과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3 (23): 1-13, 2016

      69 차경수, "21세기 사회과교육과정과 지도법" 학문사 2000

      70 교육부, "2015 세계시민교육(GCED) 중앙선도교사 발대식"

      71 국제뇌교육협회, "2014 유엔글로벌콤팩트 참여보고서" 국제뇌교육협회 2014

      72 김용신, "2011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의 글로벌교육 지향성 분석"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 (20): 1-11, 2013

      73 강명옥, "'바른 생활태도 습관화'를 위한 뇌교육 프로그램 실행연구 : 중학생들을 중심으로"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