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구조모형분석 =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7131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고 나아가 그것의 영향력을 확인하는 데 있다. 다문화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하여 유아교사의 다문화교...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고 나아가 그것의 영향력을 확인하는 데 있다. 다문화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하여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효능감과 관련된 변인으로 다문화 경험, 다문화 인식, 다문화 태도 그리고 다문화교육 환경자원을 도출하고 이들과 효능감과의 관련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 대상은 대구·경북의 유아교육기관 48곳의 유아교사 294명이었다. 설문결과를 SPSS 18.0활용하여 기초통계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18.0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측정모형 분석, 제안모형 분석을 단계적으로 실시한 결과 연구자가 설정한 연구모형은 모형적합도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또한 설정한 변인들 중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효능감에는 다문화 경험과 다문화교육 환경자원 변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variables in relation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was to analyze the magnitude effect of the variables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This study pro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variables in relation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was to analyze the magnitude effect of the variables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This study proposed 4 factors to predic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which were the early childhood educators` life experience in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perception, multicultural attitude and the environmental resourc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e participants responding to the 81 survey items were 294 early childhood educators from Yeongnam provinc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AMOS 18.0 to carry out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easurement model analysis and structural model analysis. As the results of the SEM, the fitness of the model was appropriate, in which the early childhood educators` life experience in multiculturalism and the environmental resourc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significantly explaine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o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민경, "한국의 다문화교육정책 담론 분석" 한양대학교 2010

      2 오경석,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현실과 쟁점" 한울아카데미 2007

      3 김갑성, "한국 내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연구"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18 (18): 57-95, 2008

      4 하경애,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영향요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2010

      5 김아영,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 실태 조사" 서울교육대학교 2006

      6 박래복, "중등교사의 다문화적 효능감 형성 과정" 한국교원대학교 2010

      7 금지윤, "유아교육기관의 다문화가정 유아 지도 현황 및 교사의 요구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2008

      8 윤현숙,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 비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415-430, 2008

      9 채영란,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적 교사효능감에 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12 (12): 165-190, 2008

      10 성영화, "유아교사의 다문화 신념 측정도구 개발 및 교사 관련 변인 탐색"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0

      1 이민경, "한국의 다문화교육정책 담론 분석" 한양대학교 2010

      2 오경석,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현실과 쟁점" 한울아카데미 2007

      3 김갑성, "한국 내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연구"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18 (18): 57-95, 2008

      4 하경애,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영향요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2010

      5 김아영,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 실태 조사" 서울교육대학교 2006

      6 박래복, "중등교사의 다문화적 효능감 형성 과정" 한국교원대학교 2010

      7 금지윤, "유아교육기관의 다문화가정 유아 지도 현황 및 교사의 요구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2008

      8 윤현숙,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 비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415-430, 2008

      9 채영란,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적 교사효능감에 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12 (12): 165-190, 2008

      10 성영화, "유아교사의 다문화 신념 측정도구 개발 및 교사 관련 변인 탐색"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0

      11 장지영,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신념과 실제" 광주여자대학교 2008

      12 전덕수,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관한 인식 및 실제" 연세대학교 2007

      13 이채호, "유아교사용 다문화 인식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311-324, 2010

      14 최윤영, "유아교사관련 변인에 따른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 계명대학교 2008

      15 오채선, "유아 다문화 교육의 현실과 교육적 대안"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167-197, 2008

      16 김현경, "유아 다문화 교육과 관련한 국내 연구 동향에 관한 소고" 한국아동교육학회 17 (17): 105-115, 2008

      17 신은수, "유아 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수 효능감과 놀이 운영 실제 신념에 관한 도구 개발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49-69, 2004

      18 김현주, "예비보육교사와 현직보육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관한 인식" 한국아동교육학회 17 (17): 117-128, 2008

      19 송지연,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다문화교육 신념 연구" 중앙대학교 2008

      20 정진숙, "보육교사의 다문화적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1

      21 이선미, "보육교사의 다문화교육 신념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5 (15): 185-214, 2008

      22 류정아, "다문화지표 개발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9

      23 윤갑정, "다문화시대 유아교사의 문화적 역량 개발 방향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 15 (15): 55-85, 2008

      24 한석실, "다문화시대 유아교사교육의 방향 모색" 미래유아교육학회 14 (14): 29-53, 2007

      25 우종현, "다문화사회도래에 따른 국민의식 제고방안"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2008

      26 이명희, "다문화교육에 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인문과학연구소 14 (14): 259-289, 2009

      27 김이선, "다문화가족지원사업 추진체계 개선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0

      28 고선주, "다문화가족 현황 및 지원정책 방향" 5-29, 2010

      29 채정란, "다문화 교육의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 생활주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1999

      30 김혜자,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효능감 및 교육 실제" 건국대학교 2009

      31 정대현,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신념과 실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3 (13): 309-328, 2009

      32 정선희, "다문화 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조사" 이화여자대학교 1997

      33 서현, "다문화 관련 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89-116, 2009

      34 송지준,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2011

      35 박성연, "그림책을 활용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종 및 타문화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1

      36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 기준과 그 근거" 19 (19): 161-177, 2000

      37 박미경, "교사를 통해 본 다문화 가정 유아의 특성 및 교사의 어려움: 결혼이민자 가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07

      38 옥장흠, "교사들의 다문화적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191-221, 2009

      39 모경환, "경기도 초·중등 교사들의 다문화적 효능감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9 (39): 163-182, 2007

      40 Atwater,C.S, "Waking up to difference: Teaching, color-blindness, and the effects on students of color" 35 (35): 1-8, 2008

      41 Gerbing, D. W., "Viability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s a precursor to confirmatory factory analysis" 3 (3): 62-72, 1996

      42 Riggs, I,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74 : 625-638, 1990

      43 Munroe,A, "The roundtable dialogue of the initial construct validation study of the Munroe Multicultural Attitude Scale Questionnaire(MASQUE)" 1 (1): 222-236, 2003

      44 Guyton, E. M., "The Multicultural Efficacy Scale: Development, Item, Selection, and Reliability" 7 (7): 21-29, 2005

      45 Barretto, "The Multicultural Education Quick Assessment Test"

      46 Horenczyk, G., "Teachers'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ism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18 : 435-445, 2002

      47 Tschanen-Moran, M, "Teacher efficacy: Its meaning and measure" 68 (68): 407-414, 1998

      48 Gibson, H,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76 (76): 559-582, 1984

      49 Bandura,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84): 191-215, 1977

      50 Siwatu, K. O,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self-efficacy beliefs" 4 (4): 1-15, 2009

      51 Gay,G, "Preparing for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53 (53): 106-116, 2002

      52 Baker,G.C, "Planning and organizing for multicultural instruction" Addison-Wesley 1994

      53 Bandura, A, "Perceive self-efficacy in co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28 : 117-148, 1993

      54 Banks,J.A, "Multicultur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3rd ed.)" Allyn and Bacon 1994

      55 Wasonga,T.A, "Multicultural education knowledge base, attitudes and preparedness for diversity" 19 (19): 67-74, 2005

      56 Sleeter, C. E, "Making choic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Five approaches to race, class, and gender(3rd ed.)" John Wiley and Sons 1999

      57 Price,J.N, "Lessons from against the odds" 53 (53): 117-119, 2002

      58 Hurly, A. E.,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guideline, issues, and alternatives" 18 : 667-683, 1997

      59 Enochs, L. G, "Establishing factorial validity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100 : 194-202, 2000

      60 Morrison,G.S, "Early childhood education today(7th)" Prentice Hall 1998

      61 Irwin,L.H, "Do rural and urban elementary teachers differ in their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70 (70): 38-44, 1999

      62 Roberts-Walter,P.F, "Determining the validity and reliabiltity of the cultural awareness and beliefs inventory" University of A&M 2007

      63 Marshall,P.L, "Cultural diversity in our schools" Wadsworth 2002

      64 Derman-Sparks, L., "Anti-bias curriculum: Tools for empowering young children" NAEYC 1992

      65 Banks,J.A,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4th ed.)" Allyn and Bacon 2008

      66 배병렬, "Amos 17.0 구조방정식모델링: 원리와 실제" 청람 2009

      67 김대업, "AMOS A to Z" 학현사 2009

      68 김계수, "AMOS 18.0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한나래아카데미 2010

      69 경향신문, "10만번째 귀화인에 관한 보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1 1.81 1.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4 1.91 2.283 0.5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