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및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황예지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3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and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on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for this purpose, 315 university students (124 men and 191 women) completed measures of CNS, CERQ, and SAOQ,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The research problem we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covert narcissism on university life adjustment? Third, What is the effect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on university life adjustment and what is the gender difference?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d stepwis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university life adjustment and covert narcissism.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university life adjustment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ies and it showed an negative correlation with maladaptive emotion control strategies. Second, I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target instability and hypersensitivity/vulnerability among sub-factors of covert narcissism influenced university life adjustment. Third, the more they use adaptive emotion control strategies, the more they adapt to university life, and the more they use maladaptive emotion control strategies, the less they adapt to university life. Among cognitive emotion control strategies, male students were influenced by plan reconsideration, acceptance, catastrophe, self-criticism, and rumination. And the female students were influenced by the plan reconsideration, positive reevaluation, and catastroph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djustment effect of gen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emotion control strategies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confirmed the adjustment effect of gen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ies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Through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life adjustment,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covert narcissism. and adaptive cognitive control strategies that are adaptable to university life are important factor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s suggest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및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내현적 자기애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성별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대학생 315명(남 124명, 여 191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척도(CNS),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CERQ), 대학생활적응 척도(SACQ)를 실시하고 SPSS 22.0을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 대인관계능력 및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내현적 자기애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하며 성별에 따른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상관분석, 다중 회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내현적 자기애와 대학생활적응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하위요인인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은 대학생활적응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부적응적 정서조절전략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내현적 자기애의 하위요인 중 목표불안정과 과민/취약성이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할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높아지며 부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할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낮아졌다. 남학생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중 계획 다시 생각하기, 수용, 파국화, 자기비난, 반추 순으로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쳤으며, 여학생은 계획 다시 생각하기, 긍정적 재평가, 파국화 순으로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쳤다.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 효과를 분석한 결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활적응에 적응적인 인지조절전략이 중요한 요소이며 내현적 자기애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윤성호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21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를 매개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 재학 중인 1∼4학년과 대학원 재학 중인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학업스트레스 척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대학생활적응 척도로 구성되어 있고 최종 404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에서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Pearson 상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SPSS PROCESS Macro 4.0을 통해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간접효과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스트레스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대학생활적응과 유의한 부적 상관,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사회적 지지, 대학생활적응와 유의한 정적 상관, 사회적 지지는 대학생활적응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지에 대해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유형별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학업스트레스와 과제난이도 선호를 동시에 투입한 경우 과제난이도 선호는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학업스트레스와 자기조절 효능감을 동시에 투입한 경우와 학업스트레스와 자신감을 동시에 투입한 경우에는 자기조절 효능감과 자신감이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도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판단하면 취업에 최우선을 두는 교육 행정과 취업 스팩을 쌓고 높은 학점을 받아야 한다는 강박증적인 학업스트레스를 갖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대학의 교육목표가 무엇인지,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노력이 무엇인지, 졸업 후 사회에 진출해 수행할 역할에 대해 생각해 볼 여유를 갖게 하는 방안이 제공되어야 한다. I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We survey college and graduate students. The questionnaire surveys academic stress, academic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The final sample had 404 responses. Then,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in SPSS 21.0,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SPSS PROCESS Macro 4.0. I also used bootstrapping verification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ademic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Academic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university life adjustment. Second, academic self-efficacy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When academic stress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were simultaneously input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ach subtype of academic self-efficacy, task difficulty preference did not have a meaningfu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However, self-regulation efficacy and confid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when both academic stress and self-regulation efficacy were inputted and when academic stress and confidence were simultaneously inputted. Third,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I conclude that educators should not prioritize employment outcomes and prevent excessive stress on students to build up employment related qualifications. A plan should allow students to think about their goals, what efforts are required to achieve them, and the role that they will play in society after graduation.

      • 재한 중국유학생의 유학기간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진흠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3289

        전 세계의 국제화 영향으로 국가 간 교류가 활발해지고 다른 국가로 유학을 떠나는 유학생 또한 증가하였다. 특히 한국은 중국과 인접한 국가로써 유학을 오는 학생이 많다.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의 통계월보(2015.4월호)에 따르면 한국 내 유학생의 61.6%(5만5천409명)이 중국인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유학생에 대한 지원 서비스가 부족하여 중국학생의 한국 유학에 대한 선호도가 떨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의 통계월보(2015.4월호)통계에 따라 실제로 2011년부터 중국인 유학생들의 수가 감소하는 추세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많은 중국유학생들은 한국 내 유학과정에서 다양한 어려움과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겪으면서 유학생활에 만족스러운 적응을 하지 못하고 부적응하는 학생들이 많이 나타났다. 이러한 유학생활은 유학기간에 따라 적응의 수준이 달라진다. 서선자(2010)는 단기유학생이 장기유학생보다 대학환경 적응을 더 잘한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한국에 체류하는 기간이 늘어날수록 다양한 문화차이 문제들을 경험하며 스트레스를 받음을 알 수 있다. 또 다른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유학기간에 따라 유학생의 심리문제와 호소문제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유학생의 한국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인구통계학적 측면으로는 성별, 학력, 경제력, 전공, 한국어 실력 등이 있으며, 사회 심리적 측면으로 문화적응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자기존중감, 사회적 지지, 자아정체감, 대인관계, 적응유연성, 스트레스 대처방식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서지연, 2009; 황나리, 2011; 황해연, 2007). 이러한 점에 비추어 유학생에 대한 지원, 상담에 대한 방법에 차별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한 중국유학생의 유학기간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대학생활적응의 차이가 어떠한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연구를 통해 재한 중국 유학생의 집단 별 심리상태를 이해하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파악하여 집단특성에 맞는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생활지도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바탕으로 서울특별시 소재한 대학교를 다니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자기효능감 척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 대학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활용하여 연구가설에 따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유학생들은 4개의 집단으로 나누었으며 그 기준은 다음과 같다. 한국에 체류한 기간이 1년 안 되는 유학생은 1집단, 1년 이상 2년 미만 유학생은 2집단, 2년 이상 3년 미만 유학생은 유학기간 3집단, 3년 이상 된 유학생은 4집단이다. 또한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과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학기간에 따른 재한 중국유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유학기간이 1년이 안된 유학생 집단은 유학기간 3년 이상 된 유학생 집단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학기간이 길수록 자기효능감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F = 3.115, p < .05). 다음으로 유학기간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대학생활적응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5). 하지만 평균점수의 변화에 있어서 중국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의 수준은 유학기간 1년 안 되는 시기에 제일 높고 기간이 지날수록 점점 떨어지다가 유학기간 3년 이상 될 때 다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학생활 동안 여러 문화충격과 스트레스를 겪으며 대학생활에 부적응감을 많이 느끼지만 유학기간 3년 이상 될 때 유학생활에 익숙해지고 적응도 잘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재한 중국유학생의 유학기간에 따른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학기간에 따른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차이가 있었다(p < .05). 또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이 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재한 중국유학생의 유학기간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인 문제중심적 대처, 사회적지지 대처, 개인정서적 대처, 소망적사고가 각각 대학생활적응에 어떤 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한 결과, 유학기간이 1년이 안된 유학생 집단은 문제중심적 대처와 사회적지지 대처에서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5). 반면에 개인정서적 대처와 소망적사고는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방정식에 대한 R²값은 .525로 나타나 전체에 52.5%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유학기간 1년 이상 2년 안 되는 유학생집단에서는 문제중심적 대처가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적지지대처, 개인정서적 대처, 소망적사고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 > .05). 유학기간 2년 이상 3년 안 되는 유학생집단에서는 문제중심적 대처, 사회적지지 대처, 개인정서적대처는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망적사고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 > .05). 유학기간 3년 이상 된 유학생집단은 문제중심적대처와 사회적지지 대처, 개인정서적 대처는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망적사고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 > .05). 따라서 재한 중국유학생의 유학기간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이 있음을 나타낸다. 이 연구의 결과는 재한 중국유학생의 유학기간에 따른 자기효능감이 차이가 있으며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대학생활적응의 차이가 없는 것이다. 유학기간에 따른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사용하고, 대학생활적응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자기효능감이 낮을수록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사용하며 대학생활적응이 낮았다는 것을 보였다. 따라서 유학생이 유학기간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를 파악하고 집단특성에 맞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Under the exchanges between the countries which affected by the world’s internationalization, the world's international students are becoming more active which also leading the increasing of students who decides to study in another country. In particular, Korea has a lot of foreign students coming to study such as Chinese students and neighboring countries.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Justice Immigration Policy Division of Statistics monthly report (2015.4 issue) 61.6%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55,409 people) is Chinese students. However, the lack of support servic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have been pointed out as a reason that dropping the preference for Chinese students study in Korea. Depending on the Immigration Policy Center of Statistics monthly report (2015.4 issue) statistics from 2011, the Chinese actually began to appear a tendency to decrease the number of students. Many Chinese students are experiencing a variety of difficulties and acculturation stress in the study process, studying in Korea did not make a satisfactory adjustment to life. The students’ life will vary depending on the level of adaptation study period. Standing seonja (2010) reported that short-term international students adapt to the university environment better than the long-term international students. This shows that the duration of study in Korea experience a variety of cultural issues and the students can be seen surfing with stress. Another studies according to the study period, the appeal hearing problems and problems of students showed difference. Factors affecting university life adaptation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are as follows: Demographic aspects as gender, education, economic, majors, Korean skills, etc. and psychological aspects as acculturation stress, self-efficacy, self-esteem, social support, self-identity, relationships, resilience, the ways of coping list, etc. It appeared to affect (seojiyeon, 2009; Huang Sahib, 2011; hwanghaeyeon, 2007). There is a need for a differentiation in the method for consultation.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to the difference between self-efficacy and the ways of coping list and college adjustment period, according to the study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In addition, by understanding the collective mentality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through the study and to identify the ways of coping list aims to help providing effective education and counseling services for the population guidance and counseling program for group characteristics. Based on this need and purpose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300 people attending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materials were surveyed. The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self-efficacy, coping measure, college life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descriptive statistics hypothesis by utilizing SPSS 18.0. Stude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that are based on are: Students are less than one-year residence period in Korea as group one, more than 1 year less than 2 years students are group two, more than 2 years less than 3 years as group three, the students who stained in Korea more than three years are group four. In addition,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summary of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nese students in Korea in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study period, a one-year study period untested students group was higher than the Chines students in Korea studying at least three years. The longer the study period showed that self-efficacy is falling (F = 3.115, p <.05). And the ways of coping strategies with college adjustment period of the stud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average level of Chinese students in college adjustment in change scores was found again increased when more than three years getting the best high and fall. Gyeokeumyeo several cultural impact and stress while studying abroad become accustomed to when living abroad for more than three years but feel a sense of much study period maladjusted in college life can also be seen as well-adapted. The results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to test the effects of college life,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study perio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mpact on the college life. Also showed higher self-efficacy are well-college life. The study period of international stud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s of college life. Problem-focused coping sub-factors of coping, social support, coping, personal and emotional coping, wishful thinking is a result of how they impact on each college life validation, international student population is one year study period is problem-centered coping untested In coping and social support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ollege life. On the other hand deal with the emotional and personal wishful thinking it was that it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ollege life. There values ​​for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is seen in 52.5% of the total appears to .525. Students in the class are not more than one year study period 2 years deal with the central issu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ollege life. However, social support, coping, personal and emotional coping, wishful thinking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5). Students in the group that should 3 years study period of two years or more problem-focused coping, social support, coping, personal and emotional coping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college life, wishful thinking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5).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in groups more than three years is a problem-oriented coping and social support coping, personal and emotional coping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college life, wishful thinking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5). The coping strategies according to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indicates that a significant impact on college life.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self-efficacy is different depends on the period of studying abroad and there is no difference in coping strategie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The higher the efficacy according to the study period using an aggressive coping, and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college life adjustment. The lower self-efficacy and the use of passive coping showed that the lower the college life adjustment. Therefore, we should underst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nternational student groups according to the study period, and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community consultation program for the international students.

      • 아프가니스탄인 유학생의 한국대학생활 적응과정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Haidari Sultan ali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3258

        세계화의 영향으로 인해, 한국대학에 교육받는 외국인 유학생 수가 증가하고 있다. 외국인 유학생을 더 적극적으로 유치하고자 한국은 ‘Study Korea Project’를 진행되어 오고 이들을 제대로 지도하고 지원하는 목적으로 그동안 수많은 연구도 진행되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2년에 외국인 유학생 수는 163,697명이며, 이 중에 78명이 아프가니스탄인 유학생이다. 본 연구는 아프가니스탄인 유학생의 한국대학생활 적응과정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이다. 연구자는 5명의 아프가니스탄인 유학생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에 따라 아프가니스탄인 유학생의 한국대학생활 적응과정은 ‘풍요로운 환경’, ‘극복하기 어려운 장벽’, ‘귀국 선택의 어려움’, ‘배우며 나아가기’와 같은 4가지로 분류되었다. 풍요로운 환경은 아프가니스탄인 유학생이 한국에서 모국과 달리, 잘 발전된 사회 경험을 포함한다. 아프가니스탄인 유학생이 한국에서 수준 높은 교육환경을 만끽하며, 종교적 의무 없는 사회 질서를 경험한다. 그리고 자유와 안전이 보장되어 있어서 개인이 자신의 가치와 목표를 인식하고 결정의 권한 갖는 것을 경험한다. 문화 차이, 학문적 수준 차이, 경제적 문제가 극복하기 어려운 장벽이다. 아프가니스탄인 유학생이 지역사회 구성원과 관계 맺는 것과 한국의 나이 문화 이해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낀다. 아울러, 국적으로 인해 판단이나 무시당해서 큰 스트레스와 불안감을 경험한다. 그리고 아프가니스탄인 유학생이 종교의 차이와 히잡으로 인해 부정적인 시선을 받고 이 부분도 그들에게 극복하기 어려운 장벽이다. 귀국 선택의 어려움은 위험하고 안전하지 않은 아프가니스탄의 상황과 유학생의 선택 책임감을 포함한다. 탈레반의 재 정권으로 인해 나라가 안전하지 않고 시민들이 더 이상 근무, 교육 등 다양한 활동을 자유롭게 하지 못한다. 아울러, 탈레반에 의해 여성의 권리가 제한되어서 그들이 귀국을 두려워한다. 이런 상황에서 귀국하면 가족에게 큰 부담이 될 수 있어서 한국대학생활 적응과정이 아무리 어려워도 극복해야 하는 것을 선택한다. 그뿐만 아니라, 연구참여자들이 유학은 자기의 선택이어서 포기하지 않고 적응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한다. 배우며 나아가기는 다양한 활동을 포함한다. 첫째는 폐쇄적인 태도를 버리고 한국식 사회 질서에 순응해야 할 필요를 느낀다. 둘째, 모국의 종교적 가치관에서 벗어나고 언어장벽을 극복하는 것이 필수다. 그리고 소속 대학의 지원시스템 사용하는 것도 사회적응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것에 큰 도움이 된다. 셋째, 좋고 성공적인 미래를 만들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노동시장과 맞는 전공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Globalization has made it easier for students to study abroad and it has had a profound effect on increasing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at Korean universities. on the other hand, to increases the enrollment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n Institutions, Korean government has implemented the ‘Study Korea Project’. according to the statistics from the Korean Statistical Office, in 2022,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attending Korean universities were 163,697, including 78 students from Afghanistan. to provide proper guidance and assistance to the foreign students, numerous studies has been conducted but the Afghan students remained unstudied.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Korean University Life Adjustment Process of Afghan Students. For the purpose of fulfilling the study, five Afghan students which are attending Korean universitie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for about six months from March to August 2022. In this qualitative study, in-depth,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university life adjustment process of Afghan students are shown as ‘prosperous environment’, invincible barriers’, ‘the challenging return home’, and ‘learning and advancing’. A prosperous environment in Korea offers a great opportunity to Afghan students to study in a well-developed society and enjoy a high-quality educational environment. Also, they experience a new societal order without religious obligations. Moreover, they can experience the assurance of freedom and safety, allowing them to recognize their own values and goals and have the authority to make decisions. Cultural differences, disparities in academic standards, and financial challenges pose the significant barriers that are difficult to surmount. these barriers prevent Afghan students to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the local community. Additionally, they experience significant stress and anxiety due to judgment and disregard based on their nationality and religious differences. The challenging return home include the dangerous and unsafe situation in Afghanistan and the responsibility of the students for their choice. Due to the Taliban regime, the country is no longer safe, and people, specially women are not allowed to work and study. Due to restrictions on women’s right imposed by the Taliban, they fear returning home. despite the challenges of adjusting to Korean society, they tend to stay and overcome them. Furthermore,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considering studying abroad as their own choice, make diligent efforts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adjustment without giving up.

      • 스포츠동아리활동 참여가 대학생의 사회적 유능성 및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창훈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00251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consequences caused by participation at sport club to university student's social ability and adjustment with campus life . To fulfill the goal I have chosen 400 university students studying at near by Seoul. But, number of instance used at analysis is only 367. On the other hand statistics programs used at analysis are one way ANOVA,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outcome of this analysis through above steps are down below. First, on the difference in social ability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in sports club activities, and leadership and sociability have similarities statistically, they are proportionated with how much they participate. Especially, leadership appeared to be the most positively at highly participating group; sociability appeared positive relatively with the participation. Second, on the difference in adjusting campus life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in sports club activities, and social adjustment has similarities statistically, they are proportionated with how much they participate. Especially, social adjustment appeared to be the most positively at highly participating group. Third, on social ability affecting in campus life adjustment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at sports club activity, self control brings positive effect on scientific adjustment, independent and sociality brings positive effect on social, emotional, physical adjustment, and sociality brings positive effect on affection towards cam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