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실체 이원적 인간론에 대한 비판과 그 대안 : 부활체의 문제를 중심으로

        김남호 ( Kim Nam-ho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7 기독교철학 Vol.24 No.-

        기독교 교리의 핵심 중 하나는 바로 부활(영: resurrection, 독: Auferstehung)에 대한 믿음이다. 부활은 십자가에 못 박혀 돌무덤에 묻힌 예수를 통해서 발생한 하나의 사건이다. 신약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도 예수처럼 부활하게 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부활은 하나의 사건이고, 하나님의 약속이며, 그 전 과정의 메카니즘이 밝혀지지 않은 기적이다. 그러나 부활의 문제는 형이상학적으로 인간론의 문제와 인격 동일성의 문제와 맞물려 있다. 본 논문은 부활체의 문제를 중심으로 해서, 실체 이원적 인간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실체 이원적 인간론은 실체 이원론을 바탕으로 한 인간론이므로, 실체 이원론이 직면한 심각한 이론적 난점이 실체 이원적 인간론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뿐만 아니라, 실체 이원적 인간론은 유아주의적 삶의 태도와 죽음의 파토스라는 또 다른 문제를 초래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동물주의(animalism)와 구성 관점(constitution view)이 제시된다. 본 논문은 왜 구성 관점이 부활체의 문제와 인간론의 문제에서 가장 신뢰할만한 이론인지를 보여주고자 한다. One of the core doctrines of Christianity is faith about resurrection. Resurrection is an incident from Jesus who has been buried under the stone grave after he was crucified on the cross. The New Testament of the Bible states that those who believe in Jesus Christ will resurrect as Jesus Christ did. Resurrection is one incident, the promise by God, and the entire mechanism of this wonder has not been clarified. However, the issue with resurrection is metaphysical, and it is interconnected with the issue of human theory and the sameness of human identity. In this study, centered on the issue of the resurrected, the human theory of substance dualism is critically reviewed. The human theory of substance dualism is based on substance dualism, and thus the theoretical difficulties that the substance dualism faces are applied to this human theory of substance dualism. Moreover, the human theory of substance dualism brings another problems called solipsistic attitude of life and pathos of death. As a solution, the animalism and the constitutional view are proposed. In this paper, the reason that the constitutional view is the most reliable theory for problems with the resurrected and the human theory.

      • KCI등재

        실체이원론과 김재권의 짝짓기 문제

        이선형 한국분석철학회 2022 철학적 분석 Vol.- No.4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examine and evaluate Jaegwon Kim’s argument against Cartesian substance dualism. In Physicalism, or Something Near Enough, Kim argues that an immaterial soul cannot causally interact with anything, whether it is a material thing or another soul, because souls are not located in space. This is what is called “the pairing problem” or “the pairing argument.” This argument has been criticized on the ground that it implicitly presupposes reductionism about causation. However, in support of Kim, I argue that his pairing argument does not depend on reductionism in any obvious way. And I suggest one possible way of solving the pairing problem. 본 논문의 목적은 데카르트적 실체이원론을 반박하는 김재권의 짝짓기 논증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김재권은 그의 저서 『물리주의』에서 데카르트의 실체이원론이 가정하는 비물리적 실체인 영혼(마음)은 전적으로 공간성을 결여하기 때문에 그 어떤 것과도 인과 관계를 맺을 수 없다는 논증을 제시한다. 이른 바, “짝짓기 문제” 또는 “짝짓기 논증”이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짝짓기 논증이 성립하기 위해 김재권이 가정하고 있는 암묵적 가정들을 면밀히 분석하고, 인과에 관한 비환원주의적 입장에 의해 짝짓기 문제를 해결하려는 전략을 비판한다. 또한 실체이원론자의 입장에서 짝짓기 논증을 반박할 수 있는 한 가지 가능한 대안을 제시한다.

      • KCI등재

        현대사회에서 시가 읽히는 방식

        이명찬 한국문학교육학회 2002 문학교육학 Vol.10 No.-

        The presupposition of this study is that poetry is a kind of linguistic art and the criterion of a good poem is based on the monism of from and substance. And 'linguistic' means that a poem is connected with a person's life through the language. However in korean modern poetical history this humanistic concept of poetry has encoded the author centrism. But as is generally known. in this century the author centrism has been decoded by the reader centrism in world history of literature. Accordingly we have to re-code the concept of reading poetry to the critical dialogue between authors. And the voluntary experience of filling up gaps with the dialogue is very joyful. But in the post-modern point of view, ultimately a reader isn't a author but a reader. Because the voluntary reading of a reader isn't writing but reading. Although a reader makes the meaning of a text, he doesn't make the text itself. But a reader always wants to grasp completely a text. He desires to take part in a text as an author. But as long as a person is reading. he is a reader. So we convert the substance of literature education: from the impression and exception of texts into the experience of writing texts virtually. In conclusion, making poets is the ultimate aim of literature education. Not to analyze a text as a reader but to create a text as an author is the way of the best realization of one's linguistic ability.

      • KCI등재후보

        Does Consciousness-Collapse Quantum Mechanics Facilitate Dualistic Mental Causation?

        ( Alin Christoph Cucu ) 서울대학교 인지과학연구소 2020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Vol.21 No.3

        One of the most serious challenges (if not the most serious challenge) for interactive psycho-physical dualism (henceforth interactive dualism or ID) is the so-called ‘interaction problem’. It has two facets, one of which this article focuses on, namely the apparent tension between interactions of non-physical minds in the physical world and physical laws of nature. One family of approaches to alleviate or even dissolve this tension is based on a collapse solution (‘consciousness collapse/CC) of the measurement problem in quantum mechanics (QM). The idea is that the mind brings about the collapse of a superposed wave function onto one of its eigenstates. Thus, it is claimed, can the mind change the course of things without violating any law figuring in physical theory. I will first show that this hope is premature because energy and momentum are probably not conserved in collapse processes, and that even if this can be dealt with, the violations are either severe or produce further ontological problems. Second, I point out several conceptual difficulties for interactionist CC. I will also present solutions for those problems, but it will become clear that those solutions come at a high cost. Third, I shall briefly list some empirical problems which make life even harder for interactionist CC. I conclude with remarks about why no-collapse interpretations of QM don’t help either and what the present study has shown is the real issue for ID: namely to find a plausible integrative view of dualistic mental causation and laws of nature.

      • KCI등재후보

        뇌 과학의 관점에서 본 배아의 생명권

        유경동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4 생명윤리정책연구 Vol.8 No.2

        인권은 인간의 속성과 연관된 권리이며 기본권은 헌법이 명시한 권리이다. 따라서 인권이 자연법적인 권리라고 한다면 기본권은 실정법의 권리인 것이다. 중요한 점은 기본권이 인권에 의하여 추론되는 권리임으로 생명을 중시하는 인권의법 해석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생명의 개념이 광의적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헌법에 근거한 생명권과 기본권에 대한 적용은 그 영역이 매우 협소하다. 헌법재판소는“구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제13조 1항인“누구든지 임신외의 목적으로 배아를 생성하여서는 아니된다.”라는 법률과 연관된 초기배아의 기본권과 배아연구와 연관된 위헌소송에서 인간의 생명과 연관된 기본권과 생명권을 정의하고 판시한 바 있다. 필자는 이 글에서 헌법재판소에서 판시한 배아의 생명권을 살펴보고 판시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리고 뇌과학의 관점에서 생명윤리정책에서 고려되어야 할 요소들을 고찰하고자 한다. 필자가 다루고자 하는 주요 쟁점은 배아의 생명권과 이와 연관된 뇌과학의 관점이다. 뇌 과학의 기본적인 입장에서 보면, 생명의 시작은 뇌가 만들어지는 순간, 즉 수정부터 시작된다. 특히 배아 이전의 정자나 난자와 같은 유전적 요인을 통하여 임신 3-4주부터는 배아가 본격적으로 두뇌를 생성하기 시작한다. 필자는 이 글에서 배아의 연관된 뇌의 사유능력을‘기능’과‘의식’의 구분 없이 사용하며, 다만 인간의 사유는 뇌의 시작과 연결되며, 배아의 능력이 뇌를 좌우한다는 관점에서 논지를 전개한다. 인간 개체의 생명은 뇌를 통하여 항상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뇌가 없는 인간은 상상할 수 없다. 이 항상성을 지키기 위한 뇌의 목적은 바로 생명의 보호에 있으며 우리가 법에서 말하는 자유나 평등과 같은 개념 또한 인간의 뇌에서 작동하는 정신작용이며 또한 생명의 특징이기도 하다. 물론 인간의 생명은 유전인자와 같은 일차적인 요소와 신체의 외부적인 사회 환경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지속되기때문에 생명을 뇌의 기능적인 관점에서 보는 뇌결정론의 한계는 있지만 뇌를 구성하는 배아단계부터 인간의 기본권과 생명권을 인정해야 한다는 입장에서 뇌를 강조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본다. 뇌의 항상성은 생명권뿐만 아니라 인간의 존엄성에 기초가 되는 자아개념이나 의지와 같은 정신작용과 관계가 있다. 필자는 이점을 부각시키기 위하여 뇌과학의 이론 중에서“해방생물학(liberation Biology)”을 강조하며, 배아단계부터 형성되는 뇌의 도덕적 주체성을 고찰한다. 이를 뒷받침하는 이론들은“부수적 현상론(epiphenomenalism)”, “이원적 상호론(dualistic interactionalism)”, “실체이원론(substance dualism)”, “심신일원론(mind/brain identity theory)”과“유심론(mentalism)”등이다. 이러한 이론을 소개하는 목적은 인간의 도덕적 주체성에 대한 뇌과학의 해석을 통하여 배아초기부터 작동하는 뇌의 정신 활동과 이에 따른 인간의 주체성에 대한 이해에 다양한 해석이 공존하고 있음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다양한 관점의 공통성은 배아의 유전적 정보로 말미암아 인간은 인간다운 항상성을 유지하며 사유와 자기책임의 도덕적 특징을 가진다는 점에 있다. 한편, 결론으로 필자는 생명윤리정책에 있어서 법의 사유의 확장과 도덕적 능력의 배양을 강조하면서 생명윤리와 같은 영역에 인간의 책임과 생명에 대한 두려움과 경외의 필요성에 대하여 강조한다. According to the main purpose of Bioethics and Safety Act, “no one shall produce embryos other than for the purpose of pregnancy.” However, under the current Act, the human embryo should not be regarded with the same legal status as a human being. It does not admit the right to life of the human embryos. But the increasing knowledge of the human brain has opened a new horizon for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and found that the human embryos can be treated with the same legal standard as a human being because they are linked to the origins of the human life. In this regard, neuroscience encompasses various issues in connection with the brain and the embryo, allows us to understand how the human embryos contribute to the moral and ethical judgements in the course of the early stage of the brain growth. In the discussion of neuroscience in regard to the issues of moral potential of the human embryos, the theories of epiphenomenalism, dualistic interactionalism, substance dualism, mind/brain identity theory, and mentalism are engaged to explore the meaning of human life, free will, and moral subjectivity. After considering all the factors of the above issues briefly, this paper comes to a conclusion that the right to life of the human embryos must not be limited but be considered as valuable as that of a human being. To achieve this goal, the government and scientific communities are encouraged to revise the standard of the right to life for the human embryos, earliest forms of human beings, and reestablish supervision on life ethic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