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원의 철학(Perennial Philosophy)에 대한 켄 윌버의 비판 : 한국종교사상에서의 대안을 모색하며

        허훈(Hoon Heo)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21 OUGHTOPIA Vol.36 No.2

        ‘영원 철학(Perennial Philosophy)’은 전(全) 세계적으로 회자되고 있다. 하지만, 동아시아에서의 영원철학 연구는 헉슬리(A. L. Huxley)의 저작만을 번역·출간하는데 머물고 있다. 이에 영원철학의 범주에 아시아권의 인물이나 사상은 거의 거론되지 않는다. 그러나 한국 근대에 출현한 종교 사상들 특히 동학(1860)은 영원철학의 핵심교의 (That Art Thou, “그대가 그것이다.”)를 종지(宗旨)로서-‘인내천(人乃天)’으로-직접 표방한다. 동학은 그 누구도 영원철학으로 언급한 바 없지만, 헉슬리가 대표적인 영원철학의 표본으로 삼은 힌두교보다 거의 온전하게 영원철학의 정의에 근접해 있다. 또한, 켄 윌버(Ken Wilber, 1949~)에 따르면, 영원의 철학은 크게 두 가지의 결함을 갖는다. 하나는 “소여(所與)의 신화”의 함정에 빠져 있다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고래의 영원의 철학에는 “근대적인 ‘진화(進化)’의 관념이 부족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한국 근대에 출현한 동학과 김일부(金一夫, 1826∼1898)의 정역(正易)사상, 그리고 증산(甑山, 1871~1909)의 원시반본(原始返本) 사상은 현재 영원의 철학이 안고 있는 주요 결함에 대해 모종의 대안을 제시한다. The Perennial Philosophy has been spoken all over the world. However, Research on it in East Asia is limited to the translation and publication of Aldous Huxley’s works. Therefore, in the category of Perennial philosophy, Asian figures or ideas are rarely mentioned. However, among the religious ideologies, especially Donghak(東學, 1860) which appeared in the modern era of Korea, directly advocates the core doctrine(=That Art Thou, You are That) of the Perennial Philosophy as the Tenets of Donghak, that is, “Innaecheon(人乃天, humanity is Ultimate Reality)”. Donghak has never been mentioned as an Perennial philosophy, but it is almost completely closer to the definition of the Perennial philosophy than the Hinduism, which Huxley has us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Perennial philosophy. Also, according to Ken Wilber(1949-), the Perennial philosophy has two major flaws, one is “the myth of the given”, and the other is that the Perennial philosophy was “lack of the modern concept of ‘evolution’.” However, Donghak(東學, Eastern Learning) and Kim Il-Bu(金一夫, 1826–1898)’s Jeong-yeok(正易, A Correct Theory of Changes) ideology, and Jeung-san(甑山, 1871–1909)’s Wonsibanbon(原始返本, Seeking Out the Original Root) ideology which emerged in modern Korea, offer some kind of alternative to the major flaws of the Perennial philosophy.

      • KCI등재후보

        영원의 철학(The Perennial Philosophy)으로 본 대순사상의 인간관 : 칸트의 인간학을 중심으로

        허훈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8 대순사상논총 Vol.30 No.-

        본고의 목적은 인간관을 중심으로 영원의 철학에서 성인ㆍ현자, 사상가들이 정립한 주요 개념들을 살펴보고, 영원철학의 인간관이 대순사상의 인간관과 일치한다는 사실을 밝히는 것이다. 아울러, 서양 근대 철학을 종합한 칸트 역시 자신의 철학의 궁극적인 목표를 인간을 규명하는 데 두고 있는데, 대순사상의 인간관이 칸트가 인간학에서 제기했던 물음에 어떤 답변을 줄 수 있는가를 구명한다. 이렇게 영원한 철학을 근거로 대순사상과 서구의 그것(칸트의 인간관)을 비교해 보면, 대순사상의 특징이 극명하게 드러날 수 있다. 칸트는 자신의 철학의 궁극적인 목표를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라는 질문에 답하는 데 두었다. 그는 네 가지 물음을 던진다. 1)나는 무엇을 알 수 있는가? 2)나는 무엇을 행해야만 하는가? 3)나는 무엇을 희망해도 좋은가? 4)인간은 무엇인가? 그리고 네 번째 물음(인간학)이 다른 모든 물음을 집약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저작 어디에서도 인간 존재를 규정짓지 못한다. 그는 인간을 이성적 존재로 보았으며, 인간이 인간 자신을 직관할 수 있는 어떤 특별한 인식능력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결국 칸트는 인간 자신을 알 수 없는 존재로 남겨 놓는다. 반면에, 대순사상(영원의 철학)의 관점에서는, 칸트의 물음에 직설적인 답을 줄 수 있다. 대순사상의 인간은 본질적으로 궁극적 실재라고 할 수 있는 도(道) 혹은 신(神)과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인간은 신적 인식이 가능한 존재다. 영원의 철학에서도 ‘마음과 인식의 대상을 동시에 신성한 근본으로 이끄는 것이 최선의 길’이라고 하였다. 모든 사람의 궁극적인 정체성은 바로 신(神)이며, 실존하는 인간을 통해 궁극적 존재가 현실에 구현된다. 인간은 특별한 인식 능력 혹은 지각 능력을 갖추고 있다. 실천 수행을 통해 이 특별한 지적 직관을 발휘했던 사람들의 깨달음의 정수를 모아 놓은 것이 바로 영원 철학이며, 그 요지를 대순사상에서는 간명하게 표현하고 있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main concepts of human beings established by the saints and wise men in the Perennial Philosophy, and to reveal that the human view of Perennial Philosophy is consistent with the view of human beings of Daesoon Thought. In addition, Kant, who synthesizes Western modern philosophy, also sets out the ultimate goal of his philosophy of identifying human beings, wherein Kant asks what human beings are. The view of human beings in the Daesoon Thought reveals one kind of answer that can be given to Kant’s anthropological question. If we compare this idea with that of the Western world (a Kantian view of humanity) based on this Perennial Philosophy, the characteristics of Daesoon Thought can be revealed clearly. Kant set the ultimate goal of his philosophy to answer the question, “What is man?” With regards to this, he posits four questions: 1)What can I know? 2)What should I do? 3)What can I hope for? 4)What are human beings? And Kant says that the fourth question (related to anthropology) involves three other questions. However, he does not offer up his own definition of human existence anywhere in his works. He regarded humans as being rational, and he did not think that humans had any special cognitive ability to intuit into humanity itself. In the end, Kant leaves the human being as a sort of unknown entity. On the other hand, The concept of humanity in Daesoon Thought (Perennial Philosophy) can provide a straightforward answer to Kant’s question. This possible is because human beings in Daesoon Thought are not seen as different from the Dao (道) or deities (神), which can be called the essence of ultimate re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Daesoon Thought, humans have divine cognitive abilities. In Perennial Philosophy, this could be the best way to simultaneously lead the object of mind and cognition to the divine Ground. Humans have special cognitive or perceptual abilities. The ultimate identity of every person is God. The realization of the divine being by finding one’s true nature as a human being (the self) and the essence of the enlightenment of those who have shown this special intellectual intuition through training are both outcomes found at the core of perennial philosophy. These can be expressed clearly and obviously through the essence of Daesoon Thought.

      • KCI등재

        道와 인간 - 성리학의 영원의 철학(Perennial Philosophy)적 맥락 -

        김현경 한국동양철학회 2016 동양철학 Vol.0 No.46

        본 연구는 성리학이 갖는 영원의 철학(Perennial Philosophy)적 맥락을 짚어보는 것에 목적을 둔다. 동서고금의 수많은 종교의 심층에는 서로 상통되는 부분이 있다. 이것을 가리키는 이름은 여럿이다. 영성이나 신비주의라 하기도 하고, 세계 어느 지역에서나 시대를 막론하고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세계관이라는 의미에서, ‘영원의 철학’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 이 사상에 의하면 세계는 무수한 상호 연관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거대한 흐름 같은 것이고, 존재의 근거는 전체성으로 설명된다. 그런데 보통의 사람들은 자신의 개별적 자아에 대한 관심으로 인해, 부분적이고 왜곡된 앎을 갖고 전체로부터 소외된 채 지내고 있다. 현자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는, 신비적 합일의 체험에 관심을 둔다. 존재의 근거인 神이 자기 안에 있다는 깨달음을 통해 전체성을 회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요구되는 것이 자기중심적인 사고에서의 탈피이다. 현자들은 자신에게 주어지는 일을 저항 없이 받아들이며, 현재에 집중해서 사는 공통점을 갖는다. 天人合一에 목표를 두는 성리학의 道論과 인간 본성에 대한 탐구, 敬을 중심으로 하는 수양 이론은 영원의 철학의 기본 방향과 궤를 함께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examines Neo-Confucianism in connection with ‘Perennial Philosophy’. There is something in common which many religions across the ages and in all countries of the world share. It has several names such as spirituality or mysticism. It is, in addition, also referred to as the term ‘Perennial Philosophy’, meaning that it is an outlook on the world which repeatedly appears across eras and regions all over the world. According to the idea, the world is a kind of a great stream, comprised of countless interactions with the whole and the ground of being is accounted for by the wholeness. However, ordinary people have partial and distorted knowledge and dissociated from the whole due to their interest in individual self. Wise men take an interest in having experience of mystical union. In other words, by understanding that there is god inside of oneself, which is ground of being, the wholeness is recovered. In order for that, getting out of a self-centered mind set is required. As a result, wise men accept given tasks without resistance and share a commonality that is living, focusing on the present. Theories on Dao, inquiries on human nature and the theory on self-discipline based on Jing of Neo-Confucianism which aims to the harmony between nature and human beings can be seen in line with the Perennial Philosophy.

      • KCI등재

        AI의 영원철학(Perennial Philosophy)적 접근: 존재의 대둥지와 AQAL 프레임을 중심으로

        허훈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20 OUGHTOPIA Vol.35 No.2

        The emergence of AI(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is expected to have self-consciousness and autonomy, makes us dream of a rosy future, while raising concerns that humans may be subordinate to machines. In the philosophical approach to AI, especially singularity, traditional philosophies or theories of former philosophers are rarely applied, and modern philosophers often present the prospect of individual discussions from their own perspective. Moreover, even though borrowing philosophy theories from the past, philosophical theories that were at opposite points are being applied to the subject of AI at the same time. In this paper, I use “The Perennial Philosophy” and “Integrative Model” based on the perennial philosophy to establish the frame of AI research. In previous studies on the philosophy of AI, there is no research that approaches the perennial philosophy. Some scientists predict that if AI is created according to the way nature created the human brain, AI will also become spiritual existence and semantic existence. However, in the perennial philosophy, Divine Reality is inherent in our human beings, and every state of consciousness maintains its own body. Also, applying the AQAL(All Quadrant, All Level) can help to set up the AI research frame. The four corners of the AQAL can be presented as valid criteria for setting the AI frame. Strong AI or self-amplifying superintelligence, which is expected to emerge in the future, should be viewed in four areas and need to be evaluated as the "AQAL of intelligence." 자의식과 자율성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인공지능의 출현은 장밋빛 미래를 꿈꾸게 하는 동시에 인간이 기계에 종속될지도 모른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인공지능 특히 특이점(Singularity)에 관한 철학적 접근에 있어서, 전통철학이나 과거 철학자들의 이론이 적용되는 경우는 드물며, 현대 철학자들이 자신의 관점에서 개별적인 논조의 전망을 내놓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더욱이 과거 철학이론을 빌려오더라도 서로 대척점(對蹠點)에 놓여있었던 철학이론이 동시에 인공지능이라는 하나의 주제에 적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고에서는 인공지능 연구의 프레임 설정을 위해 ‘영원의 철학(The perennial philosophy)’과 영원의 철학을 근거로 성립된 통합적인 모델 ‘사상한(四象限)’을 원용한다. 일부 과학자들은 자연이 뇌를 만들었던 방식에 따라 인공지능을 만들면 인공지능 역시 정신적·의미론적 존재가 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하지만, 영원의 철학에서는 우리 인간 속에 신성(Divine Reality)이 내재하고 있으며, 모든 의식 상태는 저마다 자신의 몸을 갖는다는 관점을 견지한다. 또한 사상한을 응용하면,, 인공지능 연구 프레임 설정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사상한(AQAL, All Quadrant, All Level)의 네 코너는 인공지능 프레임 설정에 유효한 준거로서 제시될 수 있다. 향후 출현할 것으로 예상되는 ‘강한 AI’ 혹은 ‘재귀적(self-amplifying) 초지능’은 네 개의 영역에서 조망되고 평가받을 필요가 있다.

      • KCI등재

        道와 인간

        金昡,炅(Hyun kyung Kim) 한국동양철학회 2016 동양철학 Vol.0 No.46

        본 연구는 성리학이 갖는 영원의 철학(Perennial Philosophy)적 맥락을 짚어보는 것에 목적을 둔다. 동서고금의 수많은 종교의 심층에는 서로 상통되는 부분이 있다. 이것을 가리키는 이름은 여럿이다. 영성이나 신비주의라 하기도 하고, 세계 어느 지역에서나 시대를 막론하고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세계관이라는 의미에서, ‘영원의 철학’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 이 사상에 의하면 세계는 무수한 상호 연관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거대한 흐름 같은 것이고, 존재의 근거는 전체성으로 설명된다. 그런데 보통의 사람들은 자신의 개별적 자아에 대한 관심으로 인해, 부분적이고 왜곡된 앎을 갖고 전체로부터 소외된 채 지내고 있다. 현자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는, 신비적 합일의 체험에 관심을 둔다. 존재의 근거인 神이 자기 안에 있다는 깨달음을 통해 전체성을 회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요구되는 것이 자기중심적인 사고에서의 탈피이다. 현자들은 자신에게 주어지는 일을 저항 없이 받아들이며, 현재에 집중해서 사는 공통점을 갖는다. 天人合一에 목표를 두는 성리학의 道論과 인간 본성에 대한 탐구, 敬을 중심으로 하는 수양 이론은 영원의 철학의 기본 방향과 궤를 함께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examines Neo-Confucianism in connection with ‘Perennial Philosophy’. There is something in common which many religions across the ages and in all countries of the world share. It has several names such as spirituality or mysticism. It is, in addition, also referred to as the term ‘Perennial Philosophy’, meaning that it is an outlook on the world which repeatedly appears across eras and regions all over the world. According to the idea, the world is a kind of a great stream, comprised of countless interactions with the whole and the ground of being is accounted for by the wholeness. However, ordinary people have partial and distorted knowledge and dissociated from the whole due to their interest in individual self. Wise men take an interest in having experience of mystical union. In other words, by understanding that there is god inside of oneself, which is ground of being, the wholeness is recovered. In order for that, getting out of a self-centered mind set is required. As a result, wise men accept given tasks without resistance and share a commonality that is living, focusing on the present. Theories on Dao, inquiries on human nature and the theory on self-discipline based on Jing of Neo-Confucianism which aims to the harmony between nature and human beings can be seen in line with the Perennial Philosophy.

      • KCI등재

        영원철학(The Perennial Philosophy)으로 본 대순사상의 궁극적 실재

        허훈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9 대순사상논총 Vol.32 No.-

        현대과학자들은 우주라는 복잡계(複雜界)에서 질서의 기본 단위 즉 프랙털(fractal)의 원리를 찾으려고 애쓰고 있다. 프랙털은 수학이나 물리학에서 주로 사용하는 용어이지만, 어떤 궁극적 실재가 다면적 양상을 나타내는 이유를 설명하는 원리로서 적합하다. 프랙털은 이미 과학계에서는 상용화된 원리로서 컴퓨터 그래픽 분야에 널리 응용된다. 본고에서는 프랙털의 원리를 활용하여 대순사상에서 궁극적 실재가 구현되는 양상을 밝힌다. 대순사상에는 도, 상제, 신(신명), 무극, 태극, 천지 등 다양한 궁극적 실재들이 등장하는데, 이들 개념은 서로 회통한다. 즉 궁극적 실재가 프랙털 원리에 의해 구현된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궁극적 실재들의 일치ㆍ회통은 현대과학에 의해 뒷받침 되고 있음을 밝힌다. 그러나 전(全)세계의 주류 종교들을 인격신교와 비(非)인격신교로 나누었을 때, 대부분의 종교들은 궁극적 실재를 초월적이며 인격적인 존재로 상정하고 있으며, 이들은 신과 인간의 관계를 프랙털[음양 프랙털, 홀론]의 관계로 상정할 수 없다. 또한 궁극적 실재를 내재적이며 비인격적인 존재로 상정하는 종교들도 홀론의 실현 정도-모든 부분과 전체의 되먹힘-에는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대순사상은 가장 직접적으로 신(신명)과 인간이 음양 프랙털의 관계임을 명시하고 있다. 즉 “신(신명)은 음(陰), 인간은 양(陽)”, “인간이 곧 신적(神的) 존재”라는 것이다. 나아가 대순사상에서는 이 궁극적 실재를 다양한 관점에서 여러 가지 개념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이들이 회통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렇듯, 우주를 홀론(홀라키)으로 파악하는 관점은 영원철학의 핵심 요지(要旨)이기도 하다. 세계의 위대한 영적 스승들, 사상가들, 철학자들, 과학자들이 채택한 보편적인 종교관 즉 영원철학에 따르면 궁극적 실재는 서로 일치하며, 인간과 신은 서로 다르지 않다. 바꿔 말해 대순사상에 나타난 궁극적 실재론의 진리성은 현대 과학과 영원철학에 의해 뒷받침 된다. Modern scientists are trying to find the basic unit of order, fractal geometry, in the complex systems of the universe. Fractal is a term often used in mathematics or physics, it is appropriate as a principle to explain why some models of ultimate reality are represented as multifaceted. Fractals are already widely used in the field of computer graphics and as a commercial principle in the world of science. In this paper, using observations from fractal geometry, I present the embodiment of ultimate reality as understood in Daesoon Thought. There are various models of ultimate reality such as Dao (道, the way), Sangje (上帝, supreme god), Sinmyeong (神明, Gods), Mugeuk (無極, limitlessness), Taegeuk (太極, the Great Ultimate), and Cheonji (天地, heaven and earth) all of which exist in Daesoon Thought, and these concepts are mutually interrelated. In other words, by revealing the fact that ultimate reality is embodied within fractal geometry, it can be shown that concordance and transformation of various models of ultimate reality are supported by modern science. But when the major religions of the world were divided along lines of personality (personal gods) and non-personality (impersonal deities), most religions came to assume that ultimate reality was either transcendental or personal, and they could not postulate a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ity as Yin Yang (陰陽) fractals (Holon). In addition, religions, which assume ultimate reality as an intrinsic and impersonal being, are somewhat different in terms of their degree of Holon realization - all parts and whole restitution. Daesoon Thought most directly states that gods (deities) and human beings are in a relationship of Yin Yang fractals. In essence, “deities are Yin, and humanity is Yang” and furthermore, “human beings are divine beings.” Additionally, in the Daesoon Thought, these models of ultimate reality are presented through various concepts from various viewpoints, and they are revealed as mutually interrelated concepts. As such, point of view regarding the universe wherein Holarchy becomes a models in a key idea within perennial philosophy. According to a universalized view of religious phenomena, perennial philosophy was adopted by the world’s great spiritual teachers, thinkers, philosophers, and scientists. From this viewpoint, when ultimate reality coincides, human beings and God are no longer different. In other words, the veracity of the theory of ultimate reality that has appeared in Daesoon Thought can find support in both modern science and perennial philosophy.

      • KCI등재후보

        ‘영원의 철학’을 담은 연극 - 오타 쇼고의 현존의 미학을 중심으로

        김수기(Kim, Soo Gi)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20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13

        현대에 영성은 종교적 의미보다 훨씬 폭넓게 해석되고 있다. 영성의 현대적 의미는 헉슬리의 『영원의 철학』에 의해서 널리 알려졌다. 영원의 철학은 불완전하고 분리된 인간의 의식이 통일되고 단일한 ‘본질적 자아’로서 의식의 전환(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을 염원한다. 성찰, 수행, 훈련 등을 통해서 고차원적 의식을 지향하는 영원의 철학은 스타니슬랍스키, 미카엘 체호프, 피터 브룩, 그로토프스키와 같은 예술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다. 영원의 철학을 연극에 담은 오타 쇼고는 사회적 규범, 가치, 명예, 업적, 편견 등 인간의 의식에 축적된 사회적 틀(form)을 넘어서(trans) ‘지금, 여기’에 현존하는 생명과 긍정의 아름다움을 연극을 통해서 전달한다. 이 글은 <물의 정거장>에서 침묵, 느린 움직임, 물소리, 음악의 정교한 구성으로 배우와 관객이 ‘본질적 자아’를 만나게 하려는 오타 쇼고의 현존의 미학을 고찰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The meaning of spirituality, which is interpreted much broader than the religious meaning in modern times, is widely known by Huxley s 『The Perennial Philosophy』. The perennial philosophy pursues the desire for humans to escape from imperfect and separate consciousness and to find the essential Self as a unified unity with totality. The encounter with the ‘essential Self’ requires a higher-order 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 The perennial philosophy of converting imperfect consciousness into higher-order consciousness through reflection, practice, and training has had a great influence on artists such as Stanislavski, Michael Chekhov, Peter Brook, and Grotowski. Japanese director and playwright, Ota Shogo, could be considered as a perennial philosopher. Ota Shogo puts in a play what the beauty of the positivity existing in now and here is. In his plays, Ota Shogo sought to transcend the content of consciousness through the philosophy of ‘renunciation’, expressing “I m going to get rid of all the ground.” This article focuses on examining the meaning of Ota Shogo’s aesthetics of presence presented in <The Water Station>, which aims to make actors and audiences meet the essential Self through the elaborate composition of silence, slow motion, sound of water, and music.

      • KCI등재

        항존주의와 하브루타의 변증적 결합: 고전읽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최성훈(Seong-Hun Choi)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1 기독교교육정보 Vol.- No.69

        자본주의의 급성장으로 인한 정신세계와 물질문명 사이의 간극 및 인간성 상실로 인해 혼란을 겪은 20세기의 위기 상황에서 항존주의 교육철학은 기존의 실용주의적 진보주의 교육철학이 그러한 위기의 원인이라고 비판하며 등장하였다. 항존주의는 현대 문명과 교육이 물질주의, 세속주의, 과학숭배주의, 반지성주의, 회의주의에 빠져 동요하고 있음을 지적하며, 영구적, 보편적, 근본적 원리와 진리를 추구함으로써 그러한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로버트 허친스(Robert M. Hutchins)와 모티머 아들러(Mortimer J. Adler)가 개발한 항존주의 교육의 핵심 프로그램인 위대한 저서(Great Books)는 고전읽기를 통해 절대적 진리를 발견하는 한편, 이성을 계발하고 사고력을 증진하기를 도모하였다. 하지만 항존주의는 교수자의 역할을 중시하여 학습자의 개성과 요구를 수용하지 못함으로써 전인교육의 저해와 엘리트교육으로 전락할 위험성을 노출하였다. 기본적으로 두 사람이 짝을 이루어 서로 배우고 가르치는 유대 교수법인 하브루타(havruta)는 항존주의의 그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론이다. 20세기 후반에 세계 각국의 협동학습 사례로 소개되며 주목받기 시작한 하브루타는 우리나라에는 2010년대 초에 도입된 이후 질문, 논쟁, 비교, 짝 가르치기, 문제 만들기 등의 효과성이 입증되었다. 하브루타는 기본적으로 주제이해, 하브루타, 상호피드백의 3단계 및 이를 중심으로 경청하기, 재확인하기, 반문하기, 집중하기, 지지하기, 도전하기의 여섯 가지 핵심 실천의 원리들로 구성된다. 하브루타의 핵심은 관계성인데 이는 텍스트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 그리고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상호소통의 관계를 지칭한다. 하브루타의 관계적 측면을 중심으로 항존주의 교육의 고전읽기 프로그램을 전개하면 오늘날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요구하는 협력적 창의역량을 발휘할 수 있고, 글로벌 시대의 민주주의 시민의식 함양하는 한편, 타자를 용납하는 신앙적 관계성을 회복하는 데에도 공헌할 것이다. 다만 브루타를 활용한 고전읽기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성 실현과 효율성 증진을 위하여 짝을 이루는 학습자 수준의 균형, 교수자의 충실한 안내자 역할 수행, 그리고 고전읽기 프로그램의 운영과 구성에 대한 점검을 통해 프로그램의 내실을 기할 것이 요구된다. Perennialism appeared amid a social crisis such as the alienation of humans caused by the rapid growth of capitalism and dehumanization. Perennial philosophy pointed out that pragmatic progressivism is the main reason for the crisis and asserted that only the perennial and universal truth will overcome the crisis. Representative perennial educators such as Robert Hutchins and Mortimer Adler developed the Great Books program to find the absolute truth and develop rationality. However, perennialism exposes the danger of inhibiting well-rounded education because it focuses too much on the roles of teachers while ignoring the personalities and needs of students. Havruta, the traditional Jewish teaching method by pairing up between students, will be able to make up for the weakness of perennialism. Educators noticed the efficacy of Havruta when it was introduced as the example of cooperative learning in the late 20th century. Havruta was introduced in Korea in the early 2010s and its effectiveness in the field of questioning, debating, comparing, teaching pairs, and problem-solving was proved. Havruta includes three steps of the understanding of themes, havruta practicing, mutual feedback, and six practical principles of listening, articulating, wondering, focusing, supporting, and challenging. The core of havruta is a relationship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xt and stud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f the Great Books of perennialism utilizes the relational features of havruta, the perennialism overcomes its weaknesses and develops the creativity of students neede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KCI등재

        세계 주요 종교사상의 존재의 대둥지(The Great Nest of Being) 고찰 : 대순사상과 비교하여

        허훈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0 대순사상논총 Vol.35 No.-

        이른바 ‘존재의 대둥지(The Great Nest of Being)’는 영원철학의 존재론으로서 영원철학의 핵심 개념이다. ‘존재의 대둥지’는 역사적으로 존재해 왔던 세계 종교들의 심층, 즉 존재와 의식의 홀라키(holarchy)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본고에서는 세계 주류 종교들의 심층을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존재의 대둥지를 고찰해 보고, 대순사상에 나타난 존재의 대둥지는 역사적으로 출현했던 이들 대둥지를 종합하는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밝힌다. 영원의 철학에 따르면, 궁극적 실재에 대한 여러 종교들의 차이가 실제(實際)의 차이가 아니라 단지 용어상(用語上)의 차이에 불과하다. 즉 ‘동일(同一)한 궁극적 실재에 대한 상이(相異)한 표현(表現)’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따라서-언어학적으로-존재의 대둥지에 나타난 궁극적 실재관은 ‘동일한 기의(記意, signifié)’, ‘상이한 기표(記標, signifiant)’로 요약된다. 그런데 선행연구에서 밝힌 바와 같이 대순사상에서의 궁극적 실재는 초월적ㆍ인격적 존재인 동시에 내재적ㆍ비인격적이다. 이러한 사실은 특히 대순의 종지(宗旨)에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다. 즉 대순의 종지는 기존 종교사상의 존재의 대둥지에서 나타나는 실재에 대한 개념들과 그 지향점을 함축적으로 내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종교사상들이 내세웠던 이념들을 두루 아우를 수 있는-온 우주(The Kosmos)의 네 코너로서 사상한(four quardrants, AQAL)으로 고찰해 보면-범(凡) 우주적 이념을 두루 포괄한다. 따라서 대순사상의 종지(宗旨)는 궁극적 실재에 관한 세계 주요 종교사상의 동일한 기의(記意)를 아우르고, 상이한 기표(記標)를 해소할 수 있는 단초(端初)를 제공한다. ‘The Great Nest of Being (The Great Chain of Being)’ is a key ontological concept in Perennial Philosophy. The Great Nest of Being shows the depth of the world’s religions that have existed historically, and in this context, they represent holarchies of existence and consciousness. This paper examines the nests of various beings in order to grasp the depths of the world’s mainstream religions, and reveals that the great nest of being that appear in the Daesoon Thought has the characteristic of synthesizing other nests that have emerged previously in history. According to Perennial Philosophy, the differences among different religions in regards to ultimate reality are not differences in reality but merely differences in semantics. In other words, these differences are only ‘different expressions of the same ultimate reality.’ Thus, linguistically, ultimate reality in the great nest of being can be summarized as the ‘same in what is signifié (signified, 記意)’ and ‘different in the signifiant (signifier, 記標).’ As stated in a preceding study; however, ultimate reality in Daesoon Thought is both transcendent and personal, as well as intrinsic and impersonal. This fact is specifically stated in the Four Tenets (4大 宗旨) of Daesoon Thought. In other words, the Tenets of Daesoon implicitly acknowledge not only the concepts of reality and the direction that emerges from the base of existence in existing systems of religious thought, but also can encompass the ideologies of those systems of religious thought. Considering the four quadrants as the Kosmos (AQAL), it encompasses a universal ideology. Therefore, the tenets of Daesoon Thought encompass the same significance (meaning) of the major systems of religious thought throughout the world in regards to ultimate reality and provide a clue to the solution to the presence of different signifiers (signs).

      • A Lens on Idealism and Pragmatism Philosophies and their Learning Influences in EFL: Synthesis Literature Review

        Alharthi, Noha Abdullah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Network S 2022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and netw Vol.22 No.8

        The current paper discusses the two most widespread and contradictory educational philosophies of classic German Idealism and modern American pragmatism. Their perspectives of what is truth and what is the best way to distinguish the reasoning idealists from the experienced pragmatists. The implementations of Idealism and pragmatism have affected the education process for several ages and reflect various social changes. The role of schools, educators, environment, teachers, and learners are not the same in both philosophies. However, on reviewing the chronological transmission from Plato's Idealism to Dewey's pragmatism, the resemblances and differences are elaborated here with examples. Furthermore, how these philosophies helped founding advocators for perennialism, essentialism, progressivism, and reconstructio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