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군 공상 간부환자의 의료지원체계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강맑음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92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medical assistance system for professional soldier patients with injury while on duty(IwoD) who did not meeting criteria for recuperation after IwoD (group A). The medical assistance systems for group A, civil servant (group B), and police officer (group C), respectively were compared in seque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dical assistance system for group A is most vulnerable. The reason was that because group A were banned from receiving benefits according to related laws stating that group A should seek medical treatment only at military hospital. Those restrictions force group A to use only military medical facility, limiting their right of medical selection. The insurer reimbursement for a member of group A who receive treatment from private hospital, therefore, is clawed back.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professional soldiers whose insure reimbursements were clawed back for last five years(2010-2014) and the were 406 and the total, average and maximum amounts were 0.69 billion, 1.7 million and 15.3 million won, respectively. The three recommendations, based on those results, to avoid case of being clawed back related professional soldier patients with IwoD and to ensure medical assistance for them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ed laws should be revised to secure private medical assistance. Second, the system to help professional soldiers to use private hospital, like active-duty soldier health insurance, should be established. Third, as a measure to minimize the harms on sacrifices in case of failing such revision and maintaining those limitation in using private hospital, procedure improvement in current judgement for recuperation after IwoD, reinforcing medical assistance by improving military medical service, and improvement of educational method for professional soldiers about procedure related to recuperation after IwoD are recommended. Every people have right to be health, especially, national respect and reward for those dedicating to defending state and national security should be rationalized. Furthermore, the national reward for soldier patients injured from performing mission of defending state should be sufficient, however they are in dead angle area where they are banned from access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 social insurance, forcing them to cover the damage with private resource, not national assistance. It is impossible to devote and perform in truth for nation without confidence that the damages caused by patriotic actions are covered and rewarded by n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promotes reconsideration about current status and structural problem of medical assitance system for professional military patient with IwoD and facilitates policy improvement and assistance expansion for the medical assistance for them to be sufficient and be rational. 이 연구는 군(軍) 임무수행 중 상이가 발생된 직업군인 중 공무상요양범위에 충족되지 않은 공상간부에 대한 의료지원체계가 합당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위해 연구 대상의 집단을 기준으로 비공상군인, 일반직공무원, 경찰공무원 등과 의료지원체계를 순차적으로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공무상요양범위에 충족되지 않은 공상간부의 의료지원이 가장 취약함을 알 수 있었다. 그 이유는 군 공무상요양의 범위에 충족되지 않는 공상 직업군인들은 군 병원의 진료를 원칙으로 하는 관련법령에 따라 국민건강보험의 급여제한자로 분류되어 건강보험의 급여보장을 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로인해 이 집단은 군 의료시설을 이용해야만 하는 의료선택권의 제한이 있었으며, 만일 본인 희망에 따라 민간병원에서 요양을 할 경우 공단부담금이 환수되는 피해가 발생하고 있었다. 공단부담금이 환수된 군 간부의 수는 최근 5개년(2010~2014년)간 총 406명으로, 총 6억 9천만원이 환수조치, 이중 최고 환수액은 약 1,530만원이며, 이를 평균환수액으로 산출시 1인당 약 170만원으로 조사되었다. 이를통해 이 연구는 공상간부에 대한 공단부담금 환수 사례를 방지하고, 공상간부의 의료지원 보장을 위한 방안을 3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민간의료지원 보장을 위한 관련법령의 근거마련 방안과 둘째, 현역병 건강보험과 같은 군 간부의 민간의료기관 이용 보장제도의 신설방안이다. 그리고 셋째, 군 공상간부에 대한 민간의료지원 보장이 개선 되지않고, 국민건강보험 급여의 제한이 지속되어질 경우 현 구조적 제도에서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현재의 공무상요양심의 절차의 개선과 군 의료서비스향상을 통한 의료지원 강화, 공무상요양절차에 대한 간부교육 방법 개선을 제안하였다. 모든 국민은 건강할 권리가 있으며, 특히 국가의 방위와 수호를 위해 헌신하는 이들에 대한 국가적 예우와 보상은 합당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더욱이 국가 방위를 위한 임무수행 중 부상당한 군인에 대한 국가의 보상은 부족함이 없이 보장 되어야하나, 법과 규정의 제한으로 사회보험인 국민건강보험의 보장도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에 놓여진 피해자들이 있으며, 피해의 몫은 국가가 아닌 개인의 재산으로 감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가를 위해 다쳤을 때, 국가가 나를 보호해주고, 책임져준다는 믿음이 있어야, 국가에 대한 헌신과 성실한 임무수행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 이 연구를 통해 군 공상간부에 대한 의료지원체계의 현 실태와 구조적문제에 대해 재논의가 이루어지고, 이들에 대한 의료지원이 합당하게 보장될 수 있도록 제도개선과 의료지원 정책이 실현되어지길 기대해 본다.

      • 의료급여가구 영유아의 예방접종률과 관련요인 분석 : 대도시 일개구를 중심으로

        이현승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89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grasp the performance levels of state immunization through the examination of (i) immunization rate, (ii) timely immunization rate, and (iii) three-stage complete immunization rate of children receiving medical Assistance in large cities and (2) to present different means of increasing low-income household immunization rates and to suggest various avenues of improving government-funded free vaccination program. Over periods extending from May 3rd through 8th of 2004 and from May 23th through 30th of the same year,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88 children under the age of 24 months who were residing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receiving medical assistance. In the analysis of immunization related-factors, Chi-square test was adopted and by using the BCG-Hepatitis B vaccine-DPT-Polio complete immunization rate as a dependent variable, the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in complete immunization rate according to the studied immunization related-fact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1.As reasons of delayed or ommitted to get vaccinations, 38.6% of the interviewee responded 'illnesses of a child', 22.8% answered 'just forgot to get one', and 20.2% replied 'lack of money'. 2. As reasons for using the public health centers, 54.9% responded 'low cost', 22.0% answered 'trust', and as reasons for using private medical centers, 36.7% replied 'the convenient location', 33.3% answered 'familiar through visits for other illnesses'. 3.The rates of getting vaccination at the public medical centers varied according to the kind of a vaccination. In case of the BCG vaccine, the rate marked 30.0%, as for the Hepatitis B vaccine, the rate marked 11.9%, 45.0%, 59.1% (in order of the 1st, 2nd, and the 3rd vaccination), as to the DPT-Polio vaccine, the rate marked 55.0%, 59.4%, 60.7%(in order of the 1st, 2nd, and the 3rd vaccination), and in case of the MMR vaccine, the rate reached 64.7%. 4. The percentage of possessing a vaccination schedule book was 94.3%.5.Concerning the immunization rate, the BCG vaccine reached 95.2%, the Hepatitis B vaccine marked 100.0%, 97.6%, 90.0%(in order of the 1st, 2nd, and the 3rd vaccination), the DPT-Polio vaccine rated 97.5%, 87.7%, 87.1% respectively(in order of the 1st, 2nd, and the 3rd vaccination), and the MMR vaccine marked 83.3%.6. Regarding the timely immunization rate, the BCG vaccine rated 61.0%, the DPT-Polio vaccine marked 87.7%, 78.1%, 74.3%(in order of the 1st, 2nd, and the 3rd vaccination), and the MMR vaccine reached 61.1%.7. As to the complete immunization rate, as defined the percentage of children who recieved three doses of Hepatitis B vaccine and DPT-Polio vaccine, rated 90.0% and 85.7% respectively.8.The BCG-Hepatitis B vaccine-DPT-Polio complete immunization rate of the group of less than 20 minute-distances from the public health centers turned out to be 96.67%. Meanwhile, the BCG-Hepatitis B vaccine-DPT-Polio complete immunization rate of the group of over 20 minute-distances recorded 76.92%, which is statistically meaningful(P<0.05). The immunization rates of the children with medical assistance were lower than the results of the whole population in preceding studies. Despite the removal of financial barriers through free services provided at the public health centers, the main reasons behind lower immunization rates were (1) the inconvenient and far locations of the public health center and (2) the financial costs of vaccinations incurred in case of private medical clinic use. Such barriers arising from demographic barriers of public health center use and financial burdens from private medical clinic use means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free services provided by the government are limited only to the public health centers. Therefore, the government must explore different means of expanding the free services to the private sector in order to adequately and timely provide its services of free vaccinations. 이 연구의 목적은 대도시 의료급여가구 영유아의 예방접종률, 적기접종률, 완전접종률 조사를 통해 예방접종 이행실태를 파악하고, 예방접종 관련요인을 분석하여 저소득층의 예방접종률 향상방안과 국가 무료예방접종사업의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2004년 5월 3일부터 8일까지와 동월 23일부터 30일까지 2차에 걸쳐 총 12일간, 인천광역시 4개구 24개월 미만의 의료급여가구 영유아 127명 중 88명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예방접종 관련요인 분석은 BCG-B형간염-DPT-Polio 완전접종률을 종속변수로 선정하고, 관련요인에 따른 완전접종률의 차이를 카이제곱검사로 검정하였다. 의료급여가구 영유아의 예방접종 이행실태 설문결과, 예방접종의 누락 및 지연 사유로 “아이의 질환”이 38.6%, “깜박 잊어버려서“가 22.8%, ”돈이 없어서“가 20.2%순이었다. 접종기관 선택이유에 대하여 보건소를 이용하는 이유로 ”비용저렴”이 54.9%, “신뢰감”이 22.0%순이었고, 민간의료기관을 이용하는 이유로 “이용이 편리한 위치“가 36.7%, ”질병으로 평상시 이용“이 33.3%순이었다. 접종기관 분포는 보건소에서 접종받는 비율이 BCG는 30.0%, B형간염 1차, 2차, 3차는 각각 11.9%, 45.0%, 59.1%, DPT-Polio 1차, 2차, 3차는 각각 55.0%, 59.4%, 60.7%, MMR은 64.7%이었다. 예방접종 수첩보유율은 94.3%이었다. 예방접종률은 BCG가 95.2%, B형간염 1차, 2차, 3차는 각각 100.0%, 97.6%, 90.0%, DPT-Polio 1차, 2차, 3차는 각각 97.5%, 87.7%, 87.1%이었고, MMR은 83.3%이었다. 적기접종률은 BCG가 61.0%, DPT-Polio 1차, 2차, 3차는 각각 87.7%, 78.1%, 74.3%, MMR은 61.1%이었다. B형간염과 DPT-Polio 3회 완전접종률은 각각 90.0%와 85.7%이었다. 예방접종 관련요인 분석결과, 거주지에서 보건소까지의 도달시간이 “20분 이하”인 군의 BCG-B형간염-DPT-Polio 완전접종률은 96.67%인 반면, “20분 초과”인 군의 BCG-B형간염-DPT-Polio 완전접종률은 76.92%로, 거주지에서 보건소까지의 도달시간이 “20분 초과”인 군에서 BCG-B형간염-DPT-Polio 완전접종률이 낮았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이번 연구에서 의료급여가구 영유아의 예방접종률과 적기접종률은 전 계층을 대상으로 조사된 선행연구결과들과 비교해 낮았다. 보건소 무료예방접종사업으로 재정적 장애요인이 제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의료급여가구 영유아의 예방접종률과 적기접종률이 낮은 이유는, 이번 연구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보건소가 거주지에서 멀리 떨어진 경우 이동상의 어려움으로 보건소 이용이 제한을 받게 되고, 민간의료기관을 이용할 경우 본인이 부담해야하는 접종비용으로 인해 민간의료기관 이용이 제한을 받기 때문이다. 이러한 보건소 이용시의 지리적 접근성의 차이와 민간의료기관 이용시의 재정적 부담이 발생하는 원인은 무료접종기관을 보건소에 국한시킨 현행 보건소 중심의 무료예방접종사업에서 기인한다. 따라서 어느 영유아나 접종기관 이용에 장애를 받지 않고 적기에 적절한 예방접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국가 무료예방접종사업의 범위를 민간의료기관으로 확대하는 방안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 한국의 베트남·라오스 교류협력으로 본 남북 보건의료 교류협력 사업 연구

        전해림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890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 importance of health and medical treatments has come to the fore around the world. In terms of the country, the health and medical treatment sector is the most basic and essential element which constitutes the quality of human life, and is also occupying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meeting human basic needs for human beings. As seen in the recent COVID-19 and other illness cases, including infectious diseases, in the meantime, the disease of a country is being recognized as a global problem, not an issue limited to the relevant region. Accordingly, it could be said that the field which the South and the North must be first interested in and move together is the health and medical treatment sector. Since the international society's aid to North Korea began in earnest in 1995 due to the North Korean flood damage, health and medical aid to North Korea has continued. However, the current health and medical treatment in North Korea are in the state that the basic health care must be expanded. In this context, this study is starting with the question, “if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utochthonic survival capacity for the North Korean health and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the transition from emergency aid to developmental aid to North Korea, wouldn’t it be possible to find a way for the two Koreas to coexist and reconcile with each ot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the strategic study on effective cooperation for inter-Korean health and medical treatments. To this end, we are going to seek a partial answer from the Country Partnership Strategy (CPS) established by South Korea in providing the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for Vietnam and Laos, which are socialist countries, similar to North Korea. South Korea has the experience of transforming itself from the recipient country that has received the ODA until the late 1990s after liberation to the position of a donor country through economic development with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In addition to that, in the health and medical treatment sector, as East and West Germany signed the basic relations treaty in 1972 and it is the sector that East Germany proposed ahead of other sectors, the friction due to political issues could be minimized, and in the long term, it will be able to be a cornerstone for stable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보건의료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국가에서 보건의료 분야는 인간의 삶의 질을 구성하는 가장 기초적이고 핵심적인 요소이며, 인간의 인적 기본 수요를 충족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최근 코로나19 및 그동안의 감염병 등 질병사례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국가의 질병은 해당지역에 국한된 문제가 아닌 전 지구차원의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때문에 남과 북이 가장 먼저 관심을 가지고 움직여야할 분야는 보건의료 분야라고 할 수 있다. 1995년 북한의 수해로 인해 국제사회의 대북지원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이래로 북한에 대한 보건의료 교류협력 및 지원은 지속되어 왔다. 하지만 현재 북한 보건의료는 기초적인 보건의료부터 확충해야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북한에 대한 긴급구호적 지원에서 개발지원으로의 전환을 통해 북한 보건의료 체제의 자생적인 생존능력을 높여준다면, 남북이 서로 상생하고 화해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질문에서 출발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궁극적으로 효율적인 남북한 보건의료 교류협력을 위한 전략연구 모색이다. 이를 위해 한국이 북한과 유사한 사회주의 국가인 베트남과 라오스에 대해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를 제공하는데 있어 세운 국가협력전략(Country Partnership Strategy: CPS)에 대해서 부분적인 해답을 찾아보고자 한다. 또한 남북 간 보건의료 분야 교류사업을 살펴보고 김정은 시대의 보건의료 분야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은 해방 이후 1990년대 후반까지 공적개발원조를 받은 수원국에서 비교적 짧은 기간 내 경제발전을 통해 공여국의 위치로 변모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아울러 보건의료 분야는 동서독이 1972년 기본조약을 체결하고 동독이 다른 분야보다 먼저 제안해 온 분야인 만큼 정치적 사안으로 인한 마찰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남북한의 안정적인 교류협력의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Medication Assisted Treatment Enrollment for the Marana Health Center

        Fiske, James T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The University of 2019 해외박사(DDOD)

        RANK : 2847

        Purpose: The purpose of this quality improvement project was to present the ASI for adoption as an integral part of the MAT enrollment and assessment protocol at one federally funded healthcare center in Southern Arizona. Background: Deaths related to opioids have reached epidemic proportions in the United States. From 2000 to 2014, the percentage of fatalities related to opioid increased by 200%. Some 4-6% of those who misuse an opioid prescription will become heroin addicts. One treatment model that has worked is the medication-assisted treatment (MAT); it combines FDA approved medications and counseling to treat substance abuse. Treatment requires at least 12 months to be effective. To establish how compliant patients will be to achieve remission, we must determine how severe the patient believes their addiction is and factors affecting treatment. A tool that addresses this is the Addiction Severity Index (ASI).Method: This QI project was a description of the outcome of a change proposal using the PDSA model. The design was a pre-/post-test with an educational intervention followed by a secondary post-test at 30 days. Health Care Providers within a rural clinic Southern Arizona participated in an educational intervention through a one-day in-service followed by a 30-day trial of the ASI. The pre-test was administered prior to the in-service to identify knowledge base. This was followed by the intervention and the first post-test. The second post-test was administered after the 30 days trial implementation to evaluate change. Results: Thirty-eight invitees attended the in-service. Twenty-eight respondents completed the initial post-test (74%). After the 30 days follow-up, 38 people were sent the questionnaire forms based on the previous attendance record, and 13 responded (21%) responded. Results were positive for the ASI tool as useful within the setting. The consensus from the in-service and 30 days follow up is that the ASI is cost-effective and efficient for enhancing MAT treatment. Conclusion: The implementation of the ASI was successful, as evidenced by its current use. ASI is now being used within the clinic for addiction patients. However, without a sustainability strategy, it may not continue to be used as an enrollment tool. .

      •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의료급여제도 업무 조사

        최영은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636

        의료급여 제도는 일정수준 이하의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그들이 자력으로 의료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경우 국가 재정으로 의료혜택을 주는 공적부조제도이다. 의료보호법이 1977년 최초 제정된 이래, 여러 차례 제도개선이 이루어졌으나 아직까지 여러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는데, 특히 의료급여 관리체계의 문제는 서비스의 남용 및 과잉을 낳고, 진료비의 증가를 야기하며, 이는 다시 의료급여 재정의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의료급여 관리체계의 문제는 공공부조제도가 실행되는 조직과 이를 담당하는 인력 즉, 공공부조를 집행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인 전달체계의 문제로도 볼 수 있다. 우리나라 공공부조 전달체계로는 보건복지부→시·도→시·군·구→읍·면·동→국민기초생활급여수급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읍·면·동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시행에 있어서 수급자에게 직접적인 급여를 전달하는 가장 핵심적인 전달 인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사회복지전담공무원에 관한 최근 연구들에 의하면 이들의 업무는 최소한의 수급권자 선정과 급여 지급 업무 이외에 전문적인 서비스 제공을 시도하지 못하는 실정이라고 조사되고 있다. 특히, 의료급여 업무와 관련해서도 그 역할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고 있다. 일선 자치단체(읍·면·동)에서 수행하는 직접적인 의료급여 대상자 선정과 관련하여 1998년 감사원 보고에서 의료급여 대상자의 선정과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하였다. 의료급여법이 그 취지에 맞게 제대로 실행되기 위해서는 관리체계, 특히 의료급여제도를 현장에서 담당하고 실행하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 시·군·구 및 읍·면·동에 배치되어 기초생활보장업무를 수행하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의료급여제도에 관한 업무를 어느 정도 수행하고 있으며, 그러한 업무가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합리적인 의료이용을 위해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전국 시·군·구와 광역시·도청, 읍·면·동 사무소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약 7,200명의 메일링 리스트에서 전국 각 동 중 한 명을 무작위 표본 추출하고, 여기서 표본 추출된 총 3,800명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E-mail을 이용하여 웹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회수된 설문지 165개를 최종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해 SAS V 8.1을 사용하였으며, 빈도와 분포, 상관분석, t-test,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의료급여 업무 중 수급권자 선정 업무의 경우, 수급권자 발굴을 위한 가정방문(20.0%)을 제외하고 수급권 신청 및 처리, 소득 및 부양의무자 조사, 의료급여증 발급, 1,2종 차이 설명의 업무는 항상 수행하는 비율이 모두 70.0%이상을 차지하였다. 수급권자의 의료기관 이용안내업무의 경우, 급여일수 연장승인신청서 처리(88.2%)와 급여일수 제한조치 설명(71.9%)외에 의료급여기관의 진료범위와 단계적 진료절차 설명, 왕진신청 설명, 의료급여와 비급여 항목 설명, 가정간호 급여 설명, 필요시 의료기관 방문 동행, 수급권자의 건강상태 등에 관해 해당 의료기관에 상담 업무 경우는 모두 항상 수행하는 비율이 30.0%이하를 차지하였다. 수급권자의 비용부담 안내는 모든 항목에서 항상 수행하는 비율이 40.0% 이하로 낮았으며, 본인부담금 정도 설명, 장애인 보장구 급여비 청구에 관한 설명 및 처리, 본인부담항목인 식비에 관한 설명, 진료비 대불제도 설명, 대불신청서 작성 업무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복지자원 연계업무 또한, 지역사회 보건의료기관, 복지기관 등의 서비스 정보 제공 및 서비스 소개나 연계업무를 항상하는 비율이 각각 35.6%, 38.5%로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급여 업무 수행정도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를 비교한 결과, 수급권자 선정 업무를 제외하고 수급권자의 의료급여기관 이용 안내, 수급권자의 비용 부담 안내, 지역사회 복지자원 연계의 업무는 필요하다고 느끼는 정도에 비해 실제 그들이 각 업무를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업무의 필요성과 업무 수행정도의 차이가 가장 큰 항목은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의료기관 이용안내와 비용부담 안내 업무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의료급여가 그 취지에 맞게 제대로 전달되기 위해서는 의료급여 전담체계가 구축되어야 하며,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확충하고, 정기적인 보수교육의 실시와 더불어 보건부문 기관과의 유기적인 연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의료급여 전달체계의 개선을 통하여 의료급여제도가 저소득층의 건강을 합리적으로 보호하는 제도로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job performance of national public social welfare specialists who are in charge of the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in the medical aid program and to get their opinions about necessity of the job performance. In order to examine job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in the medical aid program, a public social welfare specialists was randomly sampled in each area among national 7,200 public social welfare specialists, so 165 public social welfare specialists answered prepared questionnaires through e-mail. The data analysis has been made by using frequency, correlation, t-test and ANOVA test through SAS V 8.1.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mong job performance of public social welfare specialists in the medical aid program in the case of selecting the recipients, the rates of 'to perform always' are more than 70.0% except for a home visit for looking for recipients in this items; the application for recipients and processing, examine for income and a person responsible for supporting, giving of a certificate of medical aid program and a task that explain the difference of category 1 and 2 recipients of the medical aid program In the case of guiding tasks for the health care use of recipients, the rates of 'to perform always' are less than 30.0% in these items; introduction of medical examination and treatment ranges and explanation of medical treatment process in phase, explanation of a doctor's visit request, explanation of medical aid and non-medical aid, explanation of nursing home, going to health care institutions together if the recipients want, checking out the recipients' health status with health care institutions. In the case of guiding tasks for a burden of health care cost, all the rates of 'to perform always' is less than 40.0%. In the case of task of linking recipients with social welfare resources in the community, the rates of 'to perform always' are 35.6%, 38.5% respectively in these items; furnishing of services information and recommend or connection about community health care institutions and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conclusion, the job performance of public social welfare specialists in the medical aid program is concentrated on the only work of selecting the recipients in comparison with other works; guiding for health care use of recipients, guiding for a burden of health care cost, linking recipients with social welfare resources in the community. 2. Though the comparison the degree of the job performance of public social welfare specialists with the degree of how necessary the job performance is, guiding task for health care use of recipients, guiding task for a burden of health care cost and a task of linking recipients with social welfare resources in the community are revealed except for selecting the recipients that the public social welfare specialists couldn't do their job well, as they thought that they had to do. Therefore, to enforce the medical aid program appropriately the whole responsibility system in the medical aid program have to be established. Additionally the number of social workers have to be increased and implement of regular training is needed. Moreover, the organic connection between public social welfare specialists and health care institutions have to take effect. Through these improvement of delivery system, medical aid program will be developed as a reasonal system to protect the health of low-income class.

      • Retention Rates and Burnout Among Medical Assistants: An Evaluation Study

        Seay-Morrison, Timothy P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University of Sout 2019 해외박사(DDOD)

        RANK : 2623

        Burnout among physicians is increasing and the country braces for a shortage of doctors to meet the public’s demand in the decade ahead. Medical assistants, the key professionals supporting physician practices have not been studied regarding burnout and retention. This study used a tool previously validated with physicians, the Professional Fulfillment Index (Trockel et al., 2018) and new survey item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influences on burnout (work exhaustion) among medical assistants in a large academic health system. The study validated the tool for use with this population and validated three additional scales to examine as they relate to work exhaustion. Work exhaustion was found to be low among medical assistants in this population (M = 2.32) and professional fulfillment/meaningfulness of work was found to be high (M = 4.08). Organizational culture, professional fulfillment, and self-efficacy were found to be predictors of work exhaustion (R² = 0.438) with negative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culture found to be the strongest predictor of work exhaustion among medical assistants (β = -0.34). These data and the qualitative findings provided the recommendations that the organization should deploy a set of interventions to demonstrate broa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burnout reduction and should leverage the medical assistants as role models within the organization.

      • 응급형 생체계측 단말기 평가 기술 개발

        김이웅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619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the standards for the physiological monitoring device that can be used in emergency use. Recently the development for the physiological monitoring device in emergency use that is essential to the emergency situation, is increased.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for standard development to assess the high level of the safety and performance are also increased.This research consists of 1)determination of specifications for defining physiological monitoring device that can be used in emergency and medical assistant, 2)risk analysis and its risk mitigation, 3)defining the standard, and 4)validation for the developed standard.In the first step, after reviewing the specifications of commercialized general medical devices, define the proper specification for emergency use. Using the modified hazard analysis, risk analysis for defined specification and its risk mitigation are suggested. Through the examination and experimentation using the prevailing international standards (IEC, ISO, AAMI, ASTM, etc.), the standard is provided. Finally, the validation for the standard was performed not only in virtual emergency environment (temperature and humidity chamber), but also in real emergency situation using ambulance.The scope of the emergency medical device in this research is ECG, SpO2, Impedance respiration, non-invasive blood pressure, and temperature. Also, medical assistant consists of procedure of emergency treatment, human anatomical diagram, dictionary of emergency pharmacy and medical calculator.The risk for misuse and abuse that may occur during the emergency medical device use has been investigated and analysed. It is proposed the risk analysis result and the risk mitigation guideline with the research for the risk countermeasure.A medical device, YM1000 that is commercialized, is used in validation for the developed standard. The results (before / during / after the test) of the temperature / humidity / vibration test under the consideration of the emergency environment, show that the accuracy of all physiological parameter is within the acceptance criteria which means the developed standard has the appropriate validity.The simulation test to demonstrate the emergency situation shows that the proposed specifications for most of physiological parameters are within the acceptance criteria. But, the failure of non-invasive blood pressure for the performance accuracy leads to the necessity of the further study for NIBP operation accuracy standard in emergency situation.It is developed the testing and standard that can be applied to the physiological monitoring device in emergency us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result can be used in the assessment of the mobile emergency assistance device and used in the assessment standard applied in the product registration of manufacturing licence and import licence process. And it can be used a design guideline that the engineers who work in the medical system development should follow.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응급상황에 사용될 수 있는 응급용 생체계측 단말기 및 어시스턴트 평가를 위한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다. 최근 응급상황 발생 시 필수적인 응급용 생체계측 단말기 및 어시스턴트에 대한 개발이 증가하고 있으며, 개발된 기기들에 대한 높은 안전성 및 성능 평가를 위한 기준개발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본 연구의 내용은 응급형 생체계측 단말기 및 어시스턴트를 정의하기 위한 사양을 결정, 위험분석 및 위험완화 방안 심사기준 설정, 유효성 평가로 구성된다.우선 상용화된 일반 의료기기의 사양을 조사한 후 연구목적에 맞는 적합한 사양을 결정하고, 결정된 사양에 대하여 수정된 Preliminary hazard analysis(PHA) 기법을 적용하여 예상되는 위험의 분석과 위험완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다양한 국제규격(IEC, ISO, AAMI, ASTM 등)에 대한 조사와 실험을 통해 연구목적에 부합되는 심사기준을 설정한다. 최종적으로 설정된 심사기준의 타당성 및 문제점을 확인하기 위하여 응급상황을 고려한 실험실 수준의 시험(항온, 항습, 진동) 및 구급차를 이용한 모의 응급상황 시험을 통해 유효성 평가를 실시하였다.응급형 생체계측 단말기로 사용될 수 있는 의료장비들로 심전계, 산소포화도, 임피던스를 이용한 호흡계, 혈압계, 체온계 등을 선정하였고, 어시스턴트는 응급 처리방법, 인체 구조 모식도, 응급약물 참조사전 및 medical calculator, 등을 포함하고 있다.선정된 사양을 갖춘 의료장비가 사용 중 오작동, 오사용 등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위험을 검토/분석하고, 위험 완화 방안을 연구하여 “위험분석 결과 및 위험완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설정된 심사기준의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현재 상용화되어 응급용으로 사용 중인 장비(YM1000)를 이용하여 다양한 응급상황을 고려한 실험조건 하에서 항온, 항습, 진동시험을 수행한 결과 시험 전, 시험 중, 시험 후에 얻은 결과는 모두 정확도 측면에서 허용 표준편차 이내의 값을 보여줌으로 제시한 사양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실제 구급차를 이용한 응급상황 모의실험을 통해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한 사양의 대부분은 허용오차 범위 내에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기존의 비관혈적인 방법을 채택한 혈압계를 사용 시 진동으로 인한 부정확한 혈압을 얻음으로써 응급상황에서 사용될 혈압계 심사기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상기의 결과들을 토대로 국내 시험 및 기준방법으로 적용 가능한 응급형 생체계측 단말기 및 어시스턴트 평가기술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평가기술은 모바일 응급지원 어시스턴트 장비의 기준 및 평가, 제조/수입 심사기준으로의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응급용 의료 시스템 관련 설계자가 기본적으로 숙지해야 할 설계지침으로도 활용 가능할 것이다.

      • 대한민국 해외긴급구호대의 세계보건기구 응급의료팀 인증에 대한 질적연구

        김대동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602

        Background and Purpose : Humanitarian activities by Korea in response to international disasters are carried out in the form of the Korea Disaster Relief Team(KDRT) dispatched by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The UN Disaster Response Team evaluation criteria regarding overseas emergency relief teams are divided into rescue team and emergency medical team(EMT). In the certification evaluation conducted by the United Nations International Search and Rescue Advisory Group, the rescue team of the KDRT received the highest grade of Heavy in 2011, and their capabilities were recogniz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ut the EMT of the KDRT does not yet have any grades recogniz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nd from 2016 to the present, it is preparing for the certification of the type 1 fixed EM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areas of preparation and improvement are urgently needed for the certification of the WHO Type 1 fixed EMT of the Republic of Korea. Methods :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us of Korea on the minimum standard capacity for EMT, the level of readiness and achievement of the minimum standards was looked into by investigating the EMT activity of the National Medical Center. In addi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related experts, we sought to come up with an improvement plan by gathering expert opinions on the capabilities that the EMT of the KDRT should have. Results : Korea has promoted its certification process for type 1 EMT since 2016, but has been delayed due to the lack of governance in the command structure and nationwide interest rather than the complexity of the certification preparation itself. In addition, the most important issues seem to be on the ability to prepare enough logistics to enable self-sufficiency and strengthening the capacity for dispatched personnel. The shortage of experts related to disaster relief and emergency disaster medical treatment has also been pointed out as a factor that prevents efficient KDRT EMT activities. In comparison with that of advanced foreign donor countries, there is a limit in Korea’s humanitarian aid in that it is confined to natural disasters. It has been found that agreements and support systems such as the circulation of materials at the National Medical Center and the use of military transport aircraft were needed for more efficient and diverse activitie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forming teams by module,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ster, as well as public-private cooperation with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s) with verified capabilities, in order to strengthen the expertise and capacity of the emergency medical team. Conclusion : In order to achieve systematic, integrated and efficient development assistance advocated by the Korean government, and to be certified by the WHO EMT, an organized implementation system and efficient governance of the host and enforcement of agencies are absolutely necessary. To this end, through the acquisition of certification of the EMT and collaboration with logistics experts as well a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experts, we should bear the responsibility to play a role that fits our capabilities in this international society in the age of a global epidemic. 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의 국제 재난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은 외교부에서 파견하는 대한민국 해외긴급구호대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UN 재난대응팀에서는 해외긴급구호대를 구조팀과 응급 의료팀으로 각각 나누어 평가하는데 유엔 국제탐색구조자문단 주관의 인증평가에서 대한민국 해외긴급구호대의 구조팀은 2011년 최상급인 Heavy 등급을 받아 그 역량을 국제 사회에서 인정받았지만 응급의료팀의 경우는 아직 국제보건기구에서 인정하는 어떠한 등급도 가지고 있지 않으며 2016년부터 현재까지 제 1형 고정형 응급의료팀 인증을 위해 준비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한민국 해외긴급구호대의 세계보건기구 제 1형 고정형 응급의료팀 인증을 위해 어떠한 부분에서의 준비와 개선이 시급한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국제보건기구에서 배포한 응급의료팀별 최소기준 역량에 대한 우리나라의 현 주소를 파악하기 위해 국립중앙의료원 내 공공보건의료본부에 속한 재난 해외응급의료지원팀을 통해 최소기준에 대한 준비도 및 달성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국제적십자사연맹과 국제보건기구의 해외응급의료팀 관리 문건을 바탕으로 해외긴급구호대 응급의료팀 관련부서 실무자 및 실제 파견자와의 심층 면접을 통해 우리나라 해외긴급구호대의 응급 의료팀이 갖추어야 할 역량에 대한 의견을 전문가 의견법을 통해 수집 후 개선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가 2016년부터 제 1형 응급의료팀 인증절차를 추진하였으나 현재까지 지연되는 이유는 인증준비 자체의 복잡성보다는 국가적인 관심과 지휘관련 구조에 있어 거버넌스가 부족해 준비 지속성과 업무 연속성이 떨어지는 것이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되었다. 또한 응급의료팀 인증과정 중 자급자족과 관계된 물류준비 능력과 파견인력 소집에 관한 역량강화가 응급의료팀 활동에 있어 중요한 문제라는 의견이 있었으며 그 외에도 재난구호 및 응급재난의료관련 전문가의 부족도 지적되었다. 외국 선진공여국과 우리나라와의 비교에서는 우리의 인도적 지원이 자연재난 후 지원에만 머무르는 한계가 있음과 좀 더 효율적이고 다양한 활동을 위해 국립의료원에서 물자의 순환활용이나 국방부의 군수송기를 활용과 같은 협약 및 지원체계가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또한 응급의료팀의 전문성과 역량강화를 위해 역량이 검증된 비정부기구(NGO)과의 민관협력과 함께 재난의 종류에 따라 모듈별 팀 구성을 고려하는 것도 필요하겠다. 결론: 우리 정부가 표방하는 체계적, 통합적, 효율적 개발원조를 달성하고 해외긴급구호대 응급의료팀의 세계보건기구 인증을 위해서는 총괄적인 재난상황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을 위해 주관기관과 시행기관의 체계적 추진체계 구축과 효율적인 거버넌스의 위임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응급의료팀의 인증획득과 물류전문가 및 공적개발원조 전문가와의 협업을 통해 대한민국 해외긴급구호대 응급의료팀으로서의 책무성과 전문성을 갖추어 세계적 유행시대에 살고 있는 국제사회에서 우리의 역량에 맞는 역할을 감당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