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피노자는 부수현상론자인가

        박삼열(Park Sam-Yel) 대한철학회 2008 哲學硏究 Vol.107 No.-

        스피노자 진술 중에는 ‘정신에 대한 신체의 우월성’을 강조하는 것처럼 보이는 진술들이 있다. 우리는 이러한 진술들을 만날 때 마다 『윤리학』 전반에 걸친 스피노자의 평행론적 진술에도 불구하고, 그의 심신론을 부수현상론(epiphenomenalism)으로 해석하려는 유혹을 강하게 느끼게 된다. 그래서 우리는 스피노자 심신론을 해석할 때 부수현상론으로 빠질 위험을 안고 있다. 이러한 위험을 염려하는 현상을 필자는 ‘에피포비아(epi-phobia)’ 현상이라고 이름지었다. 스피노자 심신론에 대한 해석에는 이러한 에피포비아(epi-phobia) 현상이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 필자는 스피노자 심신론에 대한 올바른 해석을 위해서 에피포비아 현상은 해소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에피포비아 현상을 제거하지 않으면, 우리는 스피노자의 평행론적 진술과 부수현상론적 진술 사이에서 혼란을 겪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자는 평행론이 스피노자의 진정한 의도라는 전제 하에서 부수현상론적 해석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본 논문에서 필자가 제시한 부수현상론적 해석에 대한 비판과 문제해결은 우리로 하여금 스피노자를 부수현상론자로 만들게 되는 에피포비아 (epi-phobia) 현상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스피노자 심신론을 해석할 때 부수현상론으로 빠질 위험을 제거하는 데 있다. 이러한 작업은 스피노자 심신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도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본 논문이 스피노자의 에피포비아 진술에 대해 잘못된 선입관을 가지거나, 평행론과 부수현상론이라는 전혀 다른 두 개의 해석 사이에서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Spinoza’s discussion of the relation of mind to the body, there are some statements that can be understood as meaning the superiority of the body over the mind. Whenever we encounter these statements, in spite of parallellistic statements throughout the Ethics, we feel a strong temptation of interpreting Spinoza’s theory as epiphenomenalism. Thus it contains a risk that we may fall into the epiphenomenalistic interpretation. I named this situation as an "epi-phobia" phenomenon. In order to get an adequate interpretation, we ought to remove the "epi-phobia" phenomenon; otherwise it is likely that we are confused by the incompatibility between epiphenomenalism and parallellism. In this paper, I criticize the epiphenomenalistic interpretation believing that Spinoza’s real intention is parallellism. By this process of work, we are no longer worried about "epi-phobia" phenomenon, and thus we can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Spinoza’s mind-body theory. Throughout this work, I hope that this paper would help those people who are in trouble owing to the two completely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epiphenomenalism and parallelism.

      • KCI등재

        조종 인과론과 상위 인과의 문제

        김성수(Sungsu Kim) 한국분석철학회 2009 철학적 분석 Vol.0 No.20

        이 논문의 목적은 조종 인과론의 틀 내에서는 상위 속성이 하위 속성으로 환원되지 않는 경우에도 상위 인과와 하위 인과가 서로 양립 가능함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조종 인과론을 설명하고 조종 인과론 틀 내에서의 비환원적 물리주의와 상위 인과의 양립가능성 논증을 살펴본다. 그리고 이 논증을 비판하는 반박 논증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조종 인과론의 틀은 환원론을 미리 전제하지 않고 동시에 그 이유로 부수현상론을 걱정하지 않으면서 상위 인과와 하위 인과를 경험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Reductive physicalists argue that if a higher-level property is not reducible to its lower-level supervenience base property, the higher-level property is causally inert. In this paper, I defend the compatibilist interventionist claim that interventionism shows that this reductive physicalist argument is flawed. I critically examine the incompatibilist interventionist claim that interventionism implies epiphenomenalism, and conclude that interventionism provides a non-reductive physicalist framework for empirical investigation of higher-level causation without fearing epiphenomenalism.

      • KCI등재후보

        도움 안 되는 반사실적 논변

        최훈 중앙대학교부설 중앙철학연구소 2004 철학탐구 Vol.16 No.-

        데이비드슨의 무법칙적 일원론은 정신 부수현상론을 함축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그 비판을 벗어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으로서 데이비드슨의 엄격한 법칙을 반사실적 조건문으로 바꾸어 인과 관계를 설명함으로써 부수현상론을 피하려는 시도가 제시된다. 이 논문에서는 일단 어떤 속성이 인과적으로 힘이 있음을 반사실적 조건문을 통해 정의하려는 시도 자체에 매력이 있음을 인정한다. 그래서 그 정의를 계속 세련되게 만들어 그 중 가장 낫다고 생각되는 정의에 도착하겠다. 그러나 정신 속성은 그 정의를 만족하지 못하고 따라서 반사실적 논변으로도 정신 속성에 인과적 힘이 있음이 보여질 수 없다고 주장하겠다. 그 과정에서 익숙함은 인과적 효력을 따질 때 중요한 고려 기준이 아님을 지적할 것이다. The anomalous monism proposed by Donald Davidson is criticized that it will be implies mental epiphenomenalism One way to get out of that difficulty is to explain the causal relation by replacing the strict law of Davidson by counterfactual conditionals. This paper tracks the definition to endow mental properties with causal power, and conclude that mental properties cannot have mental property in any definition.

      • KCI등재후보

        뇌 과학의 관점에서 본 배아의 생명권

        유경동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4 생명윤리정책연구 Vol.8 No.2

        인권은 인간의 속성과 연관된 권리이며 기본권은 헌법이 명시한 권리이다. 따라서 인권이 자연법적인 권리라고 한다면 기본권은 실정법의 권리인 것이다. 중요한 점은 기본권이 인권에 의하여 추론되는 권리임으로 생명을 중시하는 인권의법 해석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생명의 개념이 광의적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헌법에 근거한 생명권과 기본권에 대한 적용은 그 영역이 매우 협소하다. 헌법재판소는“구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제13조 1항인“누구든지 임신외의 목적으로 배아를 생성하여서는 아니된다.”라는 법률과 연관된 초기배아의 기본권과 배아연구와 연관된 위헌소송에서 인간의 생명과 연관된 기본권과 생명권을 정의하고 판시한 바 있다. 필자는 이 글에서 헌법재판소에서 판시한 배아의 생명권을 살펴보고 판시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리고 뇌과학의 관점에서 생명윤리정책에서 고려되어야 할 요소들을 고찰하고자 한다. 필자가 다루고자 하는 주요 쟁점은 배아의 생명권과 이와 연관된 뇌과학의 관점이다. 뇌 과학의 기본적인 입장에서 보면, 생명의 시작은 뇌가 만들어지는 순간, 즉 수정부터 시작된다. 특히 배아 이전의 정자나 난자와 같은 유전적 요인을 통하여 임신 3-4주부터는 배아가 본격적으로 두뇌를 생성하기 시작한다. 필자는 이 글에서 배아의 연관된 뇌의 사유능력을‘기능’과‘의식’의 구분 없이 사용하며, 다만 인간의 사유는 뇌의 시작과 연결되며, 배아의 능력이 뇌를 좌우한다는 관점에서 논지를 전개한다. 인간 개체의 생명은 뇌를 통하여 항상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뇌가 없는 인간은 상상할 수 없다. 이 항상성을 지키기 위한 뇌의 목적은 바로 생명의 보호에 있으며 우리가 법에서 말하는 자유나 평등과 같은 개념 또한 인간의 뇌에서 작동하는 정신작용이며 또한 생명의 특징이기도 하다. 물론 인간의 생명은 유전인자와 같은 일차적인 요소와 신체의 외부적인 사회 환경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지속되기때문에 생명을 뇌의 기능적인 관점에서 보는 뇌결정론의 한계는 있지만 뇌를 구성하는 배아단계부터 인간의 기본권과 생명권을 인정해야 한다는 입장에서 뇌를 강조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본다. 뇌의 항상성은 생명권뿐만 아니라 인간의 존엄성에 기초가 되는 자아개념이나 의지와 같은 정신작용과 관계가 있다. 필자는 이점을 부각시키기 위하여 뇌과학의 이론 중에서“해방생물학(liberation Biology)”을 강조하며, 배아단계부터 형성되는 뇌의 도덕적 주체성을 고찰한다. 이를 뒷받침하는 이론들은“부수적 현상론(epiphenomenalism)”, “이원적 상호론(dualistic interactionalism)”, “실체이원론(substance dualism)”, “심신일원론(mind/brain identity theory)”과“유심론(mentalism)”등이다. 이러한 이론을 소개하는 목적은 인간의 도덕적 주체성에 대한 뇌과학의 해석을 통하여 배아초기부터 작동하는 뇌의 정신 활동과 이에 따른 인간의 주체성에 대한 이해에 다양한 해석이 공존하고 있음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다양한 관점의 공통성은 배아의 유전적 정보로 말미암아 인간은 인간다운 항상성을 유지하며 사유와 자기책임의 도덕적 특징을 가진다는 점에 있다. 한편, 결론으로 필자는 생명윤리정책에 있어서 법의 사유의 확장과 도덕적 능력의 배양을 강조하면서 생명윤리와 같은 영역에 인간의 책임과 생명에 대한 두려움과 경외의 필요성에 대하여 강조한다. According to the main purpose of Bioethics and Safety Act, “no one shall produce embryos other than for the purpose of pregnancy.” However, under the current Act, the human embryo should not be regarded with the same legal status as a human being. It does not admit the right to life of the human embryos. But the increasing knowledge of the human brain has opened a new horizon for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and found that the human embryos can be treated with the same legal standard as a human being because they are linked to the origins of the human life. In this regard, neuroscience encompasses various issues in connection with the brain and the embryo, allows us to understand how the human embryos contribute to the moral and ethical judgements in the course of the early stage of the brain growth. In the discussion of neuroscience in regard to the issues of moral potential of the human embryos, the theories of epiphenomenalism, dualistic interactionalism, substance dualism, mind/brain identity theory, and mentalism are engaged to explore the meaning of human life, free will, and moral subjectivity. After considering all the factors of the above issues briefly, this paper comes to a conclusion that the right to life of the human embryos must not be limited but be considered as valuable as that of a human being. To achieve this goal, the government and scientific communities are encouraged to revise the standard of the right to life for the human embryos, earliest forms of human beings, and reestablish supervision on life ethic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AI 목사의 가능성과 그 문제: 마음, 영혼, 혹은 ‘의식적 의지’의 본질을 중심으로

        전대경 ( Dae Kyung Jun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9 조직신학연구 Vol.32 No.-

        AI와 종교는 오늘날 뿐 아니라 앞으로는 점점 더 큰 연관을 갖게 될 것이다. 그 이유는 크게 3가지 때문이다. 첫째, AI가 사회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사회와 교회는 아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사회가 영향을 받으면 교회도 그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된다. 둘째, AI의 도래와 더불어 트랜스휴머니즘 같은 새로운 종교(믿음 혹은 신앙)들이 생겨난다. 특이점 주의가 한 좋은 예이다. 셋째, AI에게 전자인격 혹은 도덕적 행위자로서의 인격을 주어야 한다는 주장이 계속해서 대두된다. 이러한 문제는 철학이나 법학을 넘어 신학적인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일각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사람들은 내면적 공허함으로 인해 더욱더 교회를 찾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 공허함을 채울 수 있는 것은 “영성”이고 이것은 오직 하나님만이 해주실 수 있다는 것이다. 또 혹자는 ‘설교자는 하나님과의 영적 교제를 통한 성령의 감동과 더불어 자신의 체험과 “인격”이 포함되어야 하기에, 로봇 설교자의 설교는 비성경적’이라고 한다. 여기에 우리 논의의 핵심이 있다. 로봇 설교자는 인간 설교자를 대체할 수 없다. 인공지능의 기능이 아무리 훌륭해도 마음이 없기에 인격이 없고, 인격이 없기에 영성을 가질 수 없기 때문이다. 본 소고에서는 인공지능은 결코 목사를 대체할 수 없지만 목회를 돕는 훌륭한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먼저, 영성의 부재라는 현대 교회의 내부적 위기와 인공지능이라는 외부적 위기를 다룬다. 다음으로, 신경과학, 심리학, 심리철학의 도전을 다룸으로써 인공지능에게 ‘자율적 지능’(마음)의 가능성이 불가함을 논증한다. 마지막으로 인공지능이 교육에 활용 되는 사례와 블록체인에 대해서 살핀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은 목사의 기능적 역할은 제한적으로 할 수 있겠지만, 마음과 인격 그리고 영성이 없기 때문에 목사 자체를 대체할 수 없음을 밝힌다. 즉 인공지능은 부목사(assistant pastor)가 아닌 목회비서(assistant to the pastor)로서의 역할을 위해서만 가능함을 주장한다. AI and religion will become more and more relevant today as well as in the future. There are three main reasons for this: First, AI will have a huge impact on society. Society and the Church are very closely connected. When society is affected, the church is affected accordingly. Secondly, with the advent of AI, new religions(or beliefs) arise. Transhumanistic singularitarianism is a good example. Third, there continues to be a claim that AI should be given the character of an electronic person or moral agent. This problem is a theological problem beyond philosophy or law. Some argue that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eople will find more and more churches due to internal voidness. The inner hollowness can be filled with spirituality, which God only can provide. It is rightly argued by a pastor that AI preacher is nonbiblical because the preacher must include his experience and personality in addition to the spirituality through his/her intimate relationship with God. This is the key to our discussion. Robot preachers can not replace human preachers. No matter how wonderful the fun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would be, AI can not be a pastor since it has neither mind, nor personality, it is absurd to expect spirituality from it. In this article, it is argued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can never be a substitute for a pastor, but can be a great tool to help for pastoring. First, it deals with the internal crisis of the modern church, which is mostly the absence of spirituality, and the external crisis of artificial intelligence. Secondly, by dealing with the challenges of neuroscience, psychology, and philosophy of psychology, the inabi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to have “autonomous intelligence”(mind) is examined. Lastly, the cas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used in education and the block chain are dealt. Through this, although artificial intelligence may do, in a limited sense, some functional role of pastor, it can not replace pastor itself due to the lack of mind, personality, and spirituality. It is clarified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is only possible for the role of assistant to the pastor, not assistant pastor.

      • KCI등재

        물리계의 수반은 물리학과 일치하는가?

        이종왕(Lee, Jong-Wang) 새한철학회 2014 哲學論叢 Vol.76 No.2

        수반개념은 현대분석철학의 중심개념으로 다루어지고 논의 되어왔다. 철학자들은 수반으로 두 종류의 맞대고 있는 집합들 사이의 관계를 부수현상의 문제를 넘어서 설명하려고 하면서, 심리철학의 어려운 문제들도 해결하려고 시도해왔다. 어떤 철학자들은 자연적 또는 물리적 속성들에 수반하는 미적 속성들과 윤리적 속성들을 전제하면서 이 기묘한 속성들을 이 자연계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려고도 시도했다. 그러나 수반개념은 물리적인 사건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부수현상인과를 보여주는 사고 실험들에서 강력하게 그 사용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즉 물리계 내에서 서로 맞대고 있는 거시 층의 사건들과 미시 층의 사건들의 연결이 필요한 이유는 거시인과가 미시인과에 의한 부수현상인과인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이었다. 부수현상은 적절하지 않은 설명모델이므로 이것을 수반으로 간주하고 설명해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 놀라운 것은 이런 방법으로부터 정신적 사건들 또는 속성들이 물리적인 것들에 의한 부수현상인과이므로 이 두 영역들 사이도 역시 수반으로 설명되어져야한다는 유추가 설득력을 가지고 논의되어왔다는 것이다. 나는 이 논문에서 이 논변을 비판적으로 논의하면서 검토할 것이다. 이곳에서 물리학과 인과에 대한 상식적인 견해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그렇게 하면서 나는 흄의 인과의 네 가지 조건들과 김에 의해서 개정된 각 조건의 인과항에 대한 논의를 검토하고, 이 논의에 새로운 논점들을 추가하면서 조금의 조정을 할 것이다. According to Kim, macrocausation should be viewed as a kind of epiphenomenal causation which itself is not able to have any causal power but exists as an effect in the chain of causation. Then he argues that macrocausation as an epiphenomenal causation should be explained as the supervenient causation on microcausation. He also argues that the problem of mental causation is very similar to the one shown in the relation between macrocausation and microcausation and thus mental causation should be regarded as a kind of the so-called supervenient epiphenomenal causation. This seems to me to be a shocking analogy.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Kim"s argument by critically discussing this analogy. The concept of folk physics will play a crucial role in this examination. I will also examine Hume"s four conditions of causation and Kim"s suggestions for the causal relata which fit well for the each condition. In so doing, I will offer a little amendment of Kim"s conditions for the causal rel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