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불안정한 삶과 예술 노동 : 무용수의 예술 활동을 중심으로

        조형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860

        이 연구는 제도권 교육 체제 안에서 교육받은 무용수의 예술 노동에 대한 탐구이다. 한국에서 무용은 강한 제도권 교육과 재생산 시스템을 갖춘 순수예술의 형태로 예술의 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 무용수들과 안무가들이 어떤 방식을 통해 직업적 정체성을 가지고 자신의 예술 작업들을 정체화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문화연구적 접근이 이루어진 바가 없다. 여기에서 출발한 이 연구는 무용 제도권 교육이 형성하고 있는 예술 장을 바탕으로 무용수가 어떻게 자신의 직업 정체성을 형성하고 자신의 무용 작업들을 하나의 예술 노동으로서 인식하는지 연구하였다. 이 연구 과정에서, 젊은 무용 예술가들이 처해있는 예술계 내부에서의 노동 현실을 드러내고, 그들이 그 구조적 문제를 어떻게 극복하고 협상해 나가는지 고찰하였다. 주로 20대에서 30대에 걸쳐있는 아홉 명의 무용수와 안무가들을 대상으로 한 이 연구는 반구조화된 심층 면접 인터뷰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연구자가 분석한 사실은 크게 세 가지로 제시할 수 있다.먼저 무용수들은 제도권 교육을 통해 예술가의 직업적 정체성을 만들어가며, 예술계 내부의 아비투스를 습득하게 된다. 특화된 중등교육기관과 대학 무용과라는 제도권 교육을 거치며 무용수는 완벽하게 예술계의 내부인으로 만들어지며, 여기에서 형성된 도제적 권력관계는 무용수의 예술 노동을 왜곡하는 근거가 된다. 다음으로, 무용수와 안무가의 비예술 노동은 예술 노동을 지속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며, 때로는 예술가의 예술 노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삶을 영위하기 위해 비예술 노동을 병행할 수밖에 없는 예술가들은 이 과정에서 비예술 노동으로 인해 예술 노동이 소진되거나, 훼손되는 경험을 하게 된다. 무용수들에게 있어 가장 접근성 높은 ‘비예술’ 노동은 레슨이지만, 제도권 교육이라는 문화자본을 형성하지 못하였거나 혹은 제도로부터 탈주하기를 원하는 무용수들은 예술과 완벽하게 상관없는 노동을 통해 생존 전략을 모색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왜곡된 노동 상황에서 무용수와 안무가는 자기 자신이 처해있는 상황과 경합하고 ‘창조적 욕망’을 통해 그것을 극복해 나간다. 무용수와 안무가들이 작업을 지속하게 만드는 정동은 비물질노동을 가능하게 하는 ‘창조적 욕망’이다. 여기에서 예술가들의 정동적 노동이 하나의 새로운 ‘노동’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예술 노동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무용수와 안무가의 예술 노동을 문화연구적으로 접근하면서, 이전까지 노동의 영역에 포함되지 않았던 예술이 하나의 노동으로 형성되는 과정을 조명하였다. 특히 문화산업의 조직적 체계가 갖추어지지 않은 순수예술에 대한 문화연구를 통해, 기존의 문화산업 노동자 연구에서 노동자성에 가려 완전히 드러내지 못했던 창작에 대한 욕구와 그 정동을 자세히 살펴보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예술가라는 정체성을 하나의 직업적 정체성으로 구체화하고 무용수와 안무가들이 스스로에게 가지는 노동자성과 그 왜곡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예술가들이 처해있는 상황을 실질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논의를 시도했다. 더 나아가 예술가들의 복지와 노동 상황에 대한 인식이 이제 막 시작된 한국 사회에서, 본 연구는 예술 노동과 그 사회적 가치에 대한 논의의 방향성을 제안한다. This is an cultural study on artistic labor of dancers who have been trained in institutionalized educational systems. In South Korea, dance, as a form of fine art, is sustained by standardized institutional systems of education that perpetuate this education practice. However, there has been no cultural study on how dancers and choreographers obtain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and define their artistic work as in terms of a labor. In this context, this study sheds light on how dancers establish professional identities and how they acknowledge their dancing as artistic labor in this field of art that is based on such institutionalized education systems. In particular, I analyzed the labor climate and the systematic problems of the art world to which young dance artists encounter, and how they deal with these conditions. Applying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methodology, 9 dancers or choreographers who have experienced institutionalized education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ee main findings we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dancers obtain habitus of the art world to which they belong while they have established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as artists based on institutionalized education. Trained in art-specialized secondary schools and colleges, dancers have well-developed as insiders of the art world. In apprenticeship of this institutionalized education, the power relationship between the master and the dancer provides grounds to deteriorate value of artistic labor; price for artistic labor. Next, dancers’ and choreographers’ non-artistic labor is an crucial factor that upon occasion determines whether they are able to continue their artistic labor. Many artists engaging in non-artistic labor for their living experience their art labor seems to disbenefit because they are exhausted or depleted in engaging in their non-artistic labor. The most feasible non-artistic labor for dancers is giving lessons. However, dancers who do not have the cultural capital of institutionalized education or who want to avoid these institutions have to seek labor that is completely irrelevant to their art practice in order to earn a living. Last, dancers and choreographers struggle to overcome their inner conflicts regarding disadvantageous labor situation by pursuing their own creative desire. An affect that allows dancers and choreographers to continue their art work is this ‘creative desire', which has art work to be included the boundary of non-material labor. In order to have artists' affective labor be acknowledged as a new form of labor, social agreement concerning artistic labor is necessary. Approaching dancers’ and choreographers’ artistic labor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study,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process of how art work has been established as a kind of labor. By performing cultural research on fine art, which is less-industrialized, I aimed to analyze artists’ yearning and affect for creation, which were mostly ignored in the previous studies on labor of the cultural industry. We attempted to generate discussions that may change labor situations artists faces in reality, by investigating how artists establish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as an artist.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a direction for the discussion of artistic labor and its social values in South Korea, which has recently started to pay attention to artists’ welfare and labor.

      • 비디오댄스 안무에 있어 영상기법 활용에 관한 연구

        김경신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1851

        오늘날 영상의 활용을 통한 비디오댄스의 새로운 안무형태는 무용창작 활동에 하나의 새로운 장르로써 자리 잡기 시작하였다. 비디오댄스는 인간의 상상력을 보다 광범위하게 표현하고 시간, 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나 무용의 다양한 표현 양식과 인간의 신체가 만족시킬 수 없는 시각적, 청각적 효과를 영상의 힘을 빌어서 인간의 감성을 만족시키는 것이다. 인간의 언어를 배제하고 육체의 움직임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에 도달하는 것에 어려운 점을 안고 있던 무용예술에 있어서 비디오 댄스가 주는 해결책은 충분한 문화의 혜택일 것이다. 비디오댄스의 가치와 효율성을 수용함으로서 무용은 타(他) 분야의 예술과 상호공생관계 속에서 총체 예술적인 가능성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영상기법을 활용한 비디오댄스의 공간 활용과 새로운 공간에서 나타나는 이미지를 통해 대중에게 무용예술의 이해를 최대한 부여하며, 영상기법의 결과물인 비디오댄스의 다중적인 효율성을 판단하고 비디오댄스의 영상을 고려한 새로운 안무의 시도를 도모하는 것에 연구의 의미를 두려한다. Ⅱ.장에서는 비디오 댄스란 무엇인지 개념과 생성배경을 정리하였으며, 영상의 개념을 정리하여 영상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돕고 새로운 안무형태에 접근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안무의 요소를 공간, 시간, 움직임으로 구분하고 각 요소의 특성을 기술하여 영상의 효과를 안무의 요소에 접목시키기 위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Ⅲ.장에서는 영상기법 중 기본적이면서 영상과 안무의 접목을 시도했을 경우 그 효과의 극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기법을 중심으로 요약하여 정리하였다. 기본촬영기법, 구도기법, 시점기법, 카메라기법, 편집기법 등의 5가지 단락으로 나누어 비디오댄스에서 가장 많이 보여지고 활용되어지는 각 항목별 세부기법을 기술하여 실제적으로 작품을 분석하는데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Ⅳ.장에서는 실제로 영상기법이 가장 잘 활용되어졌다고 생각되는 작품을 선정하여 작품별로 영상효과가 나타난 장면을 캡쳐하여 그것에 표를 만들었다. 장면마다, 사용된 영상기법의 효과와 공간, 시간, 움직임이 주는 효과를 기술함으로써 비디오댄스에 있어 효율적인 안무 방법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작품의 선정은 해외 작품 중 Rosas무용단의 안네 테레사 더 께에르스마커(Anne Teresa do Keersmaeker)가 안무한 "Rosas danst rosas"와 "TIPPEKE"를 DV8 physical theatre의 로이드넬슨이 안무한"Dead deams of Monochrome men"와 "Enter Achilles"를 선정하여 각 작품에서 보여지는 대표적인 영상기법을 통해 무용의 이미지를 분석하려한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비디오댄스 작품의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자료를 통하여 비디오댄스에 있어 영상기법을 활용한 안무방법을 제시하고 그 방법을 통하여 공간, 시간, 움직임의 표현방식에 극대화를 가져오리라 사료되며, 새로운 표현방식으로 창작의 폭을 넓힐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비디오댄스에 사용되는 영상기법을 파악하여 비디오댄스 안무에 있어 영상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로써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두었다. · 본 연구는 연구의 범위를 비디오댄스의 영상기법을 통한 안무형태에만 한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 다뤄지는 영상기법은 작품분석을 위한 기본적인 영상기법이며, 안무에 있어 영상과의 접목을 시도하는 비디오댄스의 분석을 위한 영상기법이므로 극히 한정된 영상기법을 다루었다. ·본 연구는 비디오댄스 작품 중 영상기법의 이해가 용이하고 그 활용도가 높은 작품 Rosas무용단의 안네 테레사 더 께에르스마커(Anne Teresa do Keersmaeker)가 안무한"Rosas danst rosas"와 "TIPPEKE"를 DV8 Physical theatre의 로이드넬슨이 안무한"Dead dreams of Monochrome men"와 "Enter Achilles"를 선정하여 분석하였기 때문에 영상기법을 활용한 모든 비디오댄스에서 나타나는 이미지에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러한 특수성들은 안무형식에도 반영되어 공간구성에 있어서 방향. 초점의 이동과 그룹간의 공간디자인과 장면배치 등에서 다양한 변화를 가지는 구성형식을 발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디오기술과 영상을 활용하여 극적 표현을 효과적으로 유도해낸다는 점과 이야기체 줄거리 전개방식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안무방법을 파악해낼 수 있었다. 그리고 무용에 있어서의 중력을 초월하는 공간사용의 확대성을 가능케 하는 독특한 구성이 지적될 수 있고, 이는 새로운 개념의 동작개발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므로 상상의 분야에 대한 더욱 개척되어질 비디오댄스만의 독특한 안무영역과 구성 방법을 구현하여 무용영역의 확대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비디오댄스만이 가지는 특수성을 기초로 하여 비디오댄스의 안무적 특성을 다각도에서 고찰해봄으로써 안무가의 창작활동에 있어서 보다 폭넓은 표현방법을 제시하여 비디오댄스의 창작작업에 대한 기술적 지식과 안무적 방식을 제공한다는 데에 이 글의 의의가 있다. A new choreographing form of video dance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image has today been positionedas one new genre. Video dance expresses the human imagination more extensively and satisfies the human emotion by getting away from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and taking advantage of the power of the image to have the visual and auditory effect unable to be satisfied by the human body. In the dance art which has difficulty arriving at the subject to attempt to express the movement of the body by excluding the human language, the solution to it given by video dance would be a sufficient benefit of culture. Dance could implement the total artistic possibility in the mutual symbiotic relationship with arts in other fields by accommodating the value and efficiency of video dance.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offer the general public the maximumunderstanding of dance art through the image appearing in the new space as well as the spatial application of video dance usingthe image technique, judge the multiple efficiency of video dance, the product of the image technique and make a new attempt atnew choreography taking the image of video dance into consideration. Chapter 2 addressed the concept and generative background of video dance and presented the method of helping with the basicunderstanding of the image and approaching an new form of choreography. And it provided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graftingthe effect of the image on to the element of choreography by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lement by dividing the element of choreography into space, time and movement. Chapter 3 summarized the image technique with a focus on the technique able to maximize the effect when the image was grafted on to choreography. And it attempted to help make an actual analysis of works by dividing the image technique into the basicshooting technique, the composition technique, the visual-point technique, the camera technique and the editing technique and describing the detailed technique in each item most seen and used in video dance. Chapter 4 tabulated the selected works thought to make good use of the image technique by capturing the scene showing the image effect. It addressed the effective choreographing method in video dance by describing the effect of the image technique used in each scene and the effect given by space, time and movement.'Rosas danst Rosas' choreographed by Anne Teresa de Keersmaeker of the Rosas Dance Company and 'Dead Dreams of Monochrome Men' and 'Enter Achilles' choreographed by Lloyd Nelson of the DV8 Physical Theatre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image of dance through the typical image technique shown in each work. Finally chapter 5 presented the choreographing method making actual use of the image technique in video dance through data obtained through the analysis of video dance works and the plan to maximize the expressive mode of space, time and movement through the application of such a choreographing method and attempted to consider the direction for being able to broadenthe scope of creation in a new way of expression.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 in that it attempted to enhance the applicability of the image in choreographing video dance by identifying the image technique used in video dance: First, this study confined its scope only to the form of choreography through the image technique of video dance. Second, this study dealt with the basic image technique for analysing works, which was an extremely limited image techniqueas it was the one for analyzing the video dance attempting to graft the image on to its choreography. Third, this study selected and analyzed 'Rosas danst Rosas' choreographed by Anne Teresa do Keersmaeker of the Rosas Dance Company and 'Dead Dreams of Monochrome Men' and 'Enter Achilles' choreographed by Lloyd Nelson of the DV8 Physical Theatre whoseimage techniques are easy to understand and whose applicability is high, of the works of video dance.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it to the image found in all works of video dance using the image technique. By reflecting these specifics in the form of choreography, it was possible to discover the form of composition that had diverse changes in such matters as direction in the spatial composition, the movement of the focal point, and space design between groups and scene layout and the like. And it was also possible to identify the method of choreography that could induce the dramatic expression using the video technology and image and overcome the limitation in the method of developing the narrative plot. And the peculiar composition can be pointed that make it possible to expand the use of space beyond gravity in dance, which presents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the motion of new concept.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expand the dance domain can be expected by implementing the domain of choreography and method of composition peculiar to video dance to be further exploited in a field of imagination. As mentioned above an attempt was made to investigate the chor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video dance with the specifics inherent in video dance as the basis. Therefore,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ed the wider range of expressive modes in choreographers' creative activity and provided a technical knowledge and choreographical method of the creative work of video dance.

      • 한국무용수의 창작경험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민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85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korean dancers cultural specisal quality that form during creative choreographing through examining their work process.In this study, qualitative study was us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creative choreographing to dancers themselves. Furthermore, ethnography was used to closely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reative dance as well as dancers' individual values, perception and relief about it.Data were through in-depth interview, participant observation, work analysis, and results were brought forth through analysis of three stages which was made up of transcription, coding and categorization.Results were categorized into, participants' comprehension, meaning of creative choreographing, characteristics of creative choreographing and meaning, special quality of modern Korean Creative Dance, and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First, periodical and individual situation has influence on the beginning of choreographing.Second, creative choreographing needs deep understanding of art, which leads to unique thought of dancers.Third, it appeared that elements of generally-known choreographing did not function separately, but showed interaction among themselves. They expressed freedom rather than suppression.Fourth, modern Korean Creative Dance changed the concept to' that express all emotion of Korea' from 'that express traditional Korean emotion'.Conclusively, creative choreographing express actual life, not just art actually ethnography was a good tool to draw data of creative choreographing from the participants' subjective view.The result of this study, show that in creating movement participants show difference in method or form, experience period or frequency, tendency major and career of choreographer.Therefore, further study needs to be done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that use creative movement and on case studies which applied this program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무용수가 창작하는 과정과 작품을 살펴봄으로써, 창작경험과정에서 형성해온 그들만의 문화적 특성을 파악하고 의미를 이해하는데 있다.본 연구에서는 무용수에게 있어 창작과 창작경험의 특성 및 의미를 이해하고, 나아가 한국창작무용의 특성을 규명하며,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인 창작경험을 질적연구를 통해 참여자들의 외면뿐만 아니라 내면적인 가치체계나 인식체계, 신념 등을 이해하고자 문화기술지를 사용하였다.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심층면담, 참여관찰, 작품분석 등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전사, 약호화, 범주화 과정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를 연구 참여자의 이해, 창작의 의미, 창작경험의 특성 및 의미, 현대 한국창작무용의 특성 등 4가지로 범주화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첫째, 창작을 시작하는 데에는 문화의 흐름에 따른 시대적 상황과 개인의 경험이 영향을 미친다.둘째, 창작은 전통적인 움직임과 틀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전제로, 단순한 모방의 단계에서 탈피하여 창작자 자신만의 사고와 개성을 지닌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고 제작하는 과정으로, 신체 움직임 예술인 무용에 있어 필수적인 활동이다.셋째,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창작의 요소들은 각자의 기능을 하는 것이 아니라 창작이 끝날 때까지 요소들 간에 계속적인 상호작용을 하였고, 움직임에 있어서 규제나 억압에서 벗어나 자유로움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넷째, 현대 한국창작무용은 ‘전통적인 한국정서를 표현하는’에서 ‘한국의 모든 정서를 표현할 수 있는’으로 그 개념이 변화하였다.결론적으로, 창작경험은 단지 예술 활동으로서의 경험이 아니라 실제 삶을 이야기하고 표현할 수 있는 경험이었고, 문화기술지는 개인의 주관적 경험인 창작경험을 무용수 자신의 입장에서 직접적이고 생생한 자료들을 이끌어 내는데 좋은 방법론적 도구 역할을 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볼 때 움직임을 창작함에 있어, 창작자의 개인적 성향이나 전공, 경력 등과 창작에 참여하는 방법이나 형태, 경험 시기 혹은 빈도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에 따른 후속연구가 필요하고, 창작을 접목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프로그램을 접목한 사례에 대한 연구가 향후 지속되어야 할 과제이다.

      • 젊은 안무가 지원 사업의 유형별 현황 및 요구도

        박소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requirements of the support project for young choreographers and to analyze its characteristic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otal of 14 support projects for young choreographers and six young choreographer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confirmed. The support project for young choreographers can be divided into performance-type, educational-type, competitive-type and other types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 support. In particular, four performances, four educational programs, five contestants, and one other type of performance were selected. Other types of cases have the characteristic of providing fellowship support in the form of monthly installment bonuses. In addition, the details of the support project for young choreographers include organizers, qualifications, business contents, deliberations, application methods and submissions, among which are related to the type of support project for young choreographers. The survey on the needs of young choreographer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ix young choreographers to investigate the obstacles to the creative activities of young choreographers and the needs of young choreographers. As a result, the number of responses to the expansion of performance-type support projects, expansion of budget, economic support, continuous support, expansion of interview deliberation, human resource connection support, practice room support and administrative procedures were high. Although various requirements have been put forward, most of the answers ar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 economy, so it can be concluded that young choreographers should focus on economic and environmental policies. Keywords : Young choreographers, rising choreographers, next-generation choreographers, support for young artists, dance support, creative support

      • Social Dance After Social Practice: Between the Stage and the Museum

        Evans, Randi Mari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ProQuest Disser 2022 해외박사(DDOD)

        RANK : 1803

        This dissertation examines dance practices by choreographers and visual artists from the late 20th century whose work incorporates a range of (often marginalized) communities in order to address the social issues of their time. I argue that these participatory and collective dances by Anna Halprin, Adrian Piper, and Bill T. Jones are overlooked in the nascent genealogy of social practice that has yet to consider dance as either a medium or conceptual frame. Conversely, I contend that the frame of social practice addresses a gap in dance studies that has yet to contend with the ethics, power dynamics, and history of community-based and community-sourced dance practices. Through the conscious deployment of bodies in space, social practice often appears as staged encounters, and performance studies scholars, such as Shannon Jackson, have analyzed it as such. Yet, I argue social practice is also inherently choreographic. By bringing a dance framework to social practice—and an art historical framework to dance studies—I demonstrate the synergy between social practice and the ethos of Black social dance: improvisation, community, and collectivity. Such connections and influences prompt the need to elaborate new frames and categories around what I call “social practice dance.”.

      • Judson Group에 나타난 안무특성이 현대무용에 미친 영향 : 21세기 현대무용과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최선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565

        본 논문은 Judson Group에 나타난 안무특성이 현대무용에 미친 영향을 21세기 현대무용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연구 하였다. Judson Group은 머스 커닝햄이 새로운 동작개발 차원에서 본인의 스튜디오에서 로버트 던에게 구성 work shop을 열게 한 것을 계기로 그 work shop을 받은 학생들이 안무한 작품을 Judson Church에서 발표회를 가져 Judson Dance Theater 라는 하나의 그룹이 탄생한 그룹이다. 이것은 후일 미국 현대무용의 대표적인 활동으로 인식되었으며 이들의 활발한 작업은 21세기 현대무용에 큰 영향을 미쳤다. 무용에서의 안무나 창조의 개념은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것에 있다. 이는 모든 창작 예술의 성격이며 창작 무용이 가져야 할 본질인 것이다. 본 논문을 분석하고 연구하며 Judson Group이라는 무용단이 가진 그들만의 특성이 묻은 안무성향을 알 수 있었다. Judson Group의 안무 특성이 21세기 현대무용에 미친 영향은 기본 안무의 양식으로 자리 잡아 창작의 자유로움을 주었으며, 신체의 이용을 통하여 더욱 다양한 움직임을 창조하도록 도와주었다. 이를 통하여 디지털 미디어와 조화되었던 21세기 현대무용의 성격에 대한 정리를 할 수 있었으며, 21세기 현대무용이 가진 안무 성향에 관해 알아 볼 수 있었다. 또한 그로 인하여 21세기 현대무용이 가진 무한한 가능성을 제시하게 되었다. The present paper carried out a comparative analysis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choreographic characters as featured by Judson Group on the modern dance in the 21st century. Judson Group was born with the name of Judson Dance Theater when a presentation was given at the Judson Church for the dancing works choreographed by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workshop organized by Robert Dunn. Merce Cunningham suggested him to hold a workshop in his studio in order to develop new movements. These were recognized later as the representative activities of the contemporary dance in the US, exerting fundamental influences upon the modern dance in the 21st century. The concepts of choregraphy or creation in dance have usually been connected with the endless pursuit of something new. Such concepts must be equivalent to the characters found in all types of creative art, not to speak of the creative dance. In the process of this analytical study, it was possible for me to determine the inclination revealed characteristically in the choreography of the dance troupe Judson Group. The choregraphic features of the Judson Group have exercised such effects on the modern dance in the 21st century that its choregraphy has become the basic style of choreography in the modern dance, setting creative works free and by thus helping create more diverse movements by making use of human body. This study provided me with a chance to systematically trace up the characters of the modern dance that stand in harmony with digital media of the 21st century and to investigate the choreographic tendency of the 21st-century's dance. It also enabled me to make suggestions for an infinite potential the contemporary dance of the 21st century ow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