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n Analysis of South Korea's International Veterans Affairs Programs

        구티에레즈 켄 란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285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has acknowledged the contributions of the UN Korean War veterans and expressed its gratitude through International Veterans Affairs (IVA), consisting of programs that convey thanks and honor through commemorative events, the granting of merits, the preservation and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on their wartime participation, and the enhancement of networks with war-related publics. Being such, IVA will have implications on Korea’s national image and relationships and effectively, on Korea’s diplomacy. Despite the increasing emphasis on international veterans affairs along with the growing number and diversity of its programs, its novelty and uniqueness to Korean historical development have limited research on this topic.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potential of IVA as a diplomatic tool first by situating it within the frameworks of soft power and Korea's middle power and public diplomacy. Thereafter according to these concepts, an in-depth analysis of IVA programs is provided by gathering and organizing related policy data. It is found that international veterans affairs go beyond the expression of thanks and honor. IVA is more than the spontaneous mix of the different programs that recompense and honor the UN veterans. Rather, IVA is a coordinated effort that results from the government’s active processing of a unique historical resource into a diplomatic asset mobilized for national goals: As an expression of appreciation for the UN participation in the Korean War, IVA seeks to reinforce the universal values of freedom and peace for which the war was fought. In support of these values, IVA is explicitly geared toward improving Korea’s imag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strengthening partnerships with its wartime allies. 한국 정부는 유엔참전용사들의 기여를 인정하고 감사를 표현하는 일환으로 국제보훈사업을 추진하였으며, 이는 기념 행사 주최, 훈장 수여, 참전 당시 기록 보존 및 발간, 참전용사 관련 외국 인사들 간의 네트워크 강화 등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국제보훈사업은 한국의 국가 이미지를 제고하고, 유엔참전국과의 우호를 증진시켜 결과적으로 한국의 외교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국제보훈사업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이에 따른 프로그램 증진 및 다양화가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역사 상 국제보훈사업이 가지는 독특함과 새로움으로 인하여 이에 따른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보훈사업을 소프트 파워와 중견국로서의 한국의 위상, 그리고 공공외교의 틀 안에서 외교적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후 이러한 틀에 따라 관련 정책 데이터를 수집, 정리하여 국제보훈사업 프로그램에 대한 심층 분석을 제공하고자 한다. 국제보훈사업은 감사와 명예라는 표현을 넘어, 국제사회에서의 이미지 제고와UN 참전국들과의 협력 강화라는 한국의 국가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외교적 자산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국가보훈사업은 경쟁력 있는 외교적 자산으로서, 그것은 독특한 역사적 원료를 통해 가공된 산물이다. 국가보훈사업은 유엔의 한국전쟁 참전에 대한 감사를 표시하며, 유엔이 전쟁을 통해 이룩하고자 했던 자유와 평화의 보편적 가치를 강화하고자 한다.

      • 국민국가의 카오스 : 한국전쟁 참전국 '에티오피아'의 형성과 균열하는 상상의 지리

        김승윤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266

        본 연구는 에티오피아 한국전쟁 참전용사 담론의 지형을 분석하고, 담론의 질서 안에서 나타나는 ‘냉전’과 ‘국민국가’의 (재)구성 과정을 살핀다. 에티오피아의 참전과 관련된 다양한 언표들은 독특한 구조와 규칙을 가진 하나의 담론으로 자리 잡는다. 참전용사 담론은 상상의 지리 “에티오피아”를 생산하고, 이는 냉전 기억과 두 나라의 관계가 구성되는 데 영향력을 발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참전용사 담론과 냉전 지형의 관계를 규명하여, 참전의 맥락에서 특정한 방식으로 상상되는 냉전의 역사를 재구성한다. 또한, ‘국민국가’를 동질적이고 통합적인 공동체로 상상하는 강고한 믿음을 논파하려 한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다음의 세 가지 질문을 던진다. 첫째, 에티오피아 참전용사 담론이 참전의 역사에 관하여 말하는 대상과 방식은 무엇인가? 그리고 그 가운데 어떤 역사가 밀려나는가? 둘째, 참전용사 담론이 생산하는 상상의 지리 “에티오피아”는 냉전을 기억하는 방식에 어떤 영향과 효과를 발휘하는가? 셋째, 참전용사 담론이 전제하는 “에티오피아”라는 국민국가 단위는 어떤 방식으로 성립되고 구체화하는가? 연구의 주요 현장은 춘천과 서울이다. 춘천은 에티오피아 참전용사의 주요 전투지역으로, 현재 에티오피아의 참전에 관한 기념관과 관련 단체가 소재한 곳이다. 연구자는 춘천을 방문하여 인터뷰와 자료조사를 진행했다. 그리고 서울 노량진에 위치한 에티오피아 식당에서 일하며 약 10개월간 현장연구를 수행했다. 본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2장은 참전용사 담론의 구체적인 특징을 파악하여 담론의 지형도를 그려낸다. 한국 사회가 에티오피아의 참전을 기억하는 방식은 두 나라 현대사의 변곡점들과 맞물리며 구성되어왔다. 1990년대부터 형성된 참전용사 담론은 신화, 상상, 발전이라는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공산 진영에 맞서 한국을 지켜줬지만 결국 악에게 패배해버린 “자유의 수호자” 에티오피아의 이야기는 비극적인 영웅 신화의 형태로 기억되고 있다. 신화 속 영웅들의 땅“에티오피아”는 연속적인 하나의 역사를 토대로 형성된 국민국가라는 상상의 지리로 재현된다. 그리고 “에티오피아”의 도움에 보답하려면 한국이 나서서 그들의 개발을 도와야 한다는 ‘보은과 발전’의 서사가 자리 잡는다. 3장은 한국과 에티오피아가 제3세계 비동맹주의와 관계하는 양상에 주목한다. 한국전쟁과 참전의 역사를 기억하는 방식은 전쟁과 냉전에 대한 두 나라의 인식과 태도를 보여준다. 그러나 냉전을 자유/공산의 이분법적 대결로만 이해하는 기존의 관점은 제3세계 비동맹주의를 경유한 복잡다단한 역사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다. 특히, 에티오피아는 적극적으로 비동맹의 조류에 동참했다. 그중에서도 에티오피아와 쿠바가 보여준 제3세계 사회주의 연대의 역사는 한국의 참전용사 담론이 상상하는 “에티오피아”의 형상과 사뭇 다른 결을 드러낸다. 이처럼 냉전은 글로벌한 차원에서 펼쳐진 ‘지구사’였고, 기존의 인식론은 한국전쟁과 냉전의 중층적인 맥락을 충분히 다루지 못한다. 4장은 노량진의 에티오피아 식당 ‘셀람’에서 진행한 현장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참전용사 담론이 상상하는 국민국가 “에티오피아”를 재검토한다. ‘셀람’은 한국에 거주하는 에티오피아 이주민들에게 자국어를 사용하면서 익숙한 음식을 먹고 에티오피아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집과 같은’ 장소다. 하지만 이곳은 국민국가 에티오피아가 처한 곤경, 즉 역사적으로 복잡하게 뒤얽힌 종족 갈등의 단층선이 드러나는 곳이기도 하다. 에티오피아 이주민들이 경험하는 균열은 ‘셀람’의 사운드스케이프를 통해 순간적으로 나타난다. 음악은 정치적 이슈와 맞물리며 미묘한 긴장을 조성하고, 이 과정에서 담론이 재현하는 동질적인 “에티오피아”라는 범주가 해체된다. 한편, 에티오피아라는 통일적인 단위는 거대한 인프라스트럭처, 그리고 여기에 관계된 이집트 같은 외부의 ‘적’이 있을 때 일시적으로 성립되곤 한다. 하지만 이러한 장면은 오히려 ‘국민국가’라는 범주가 매우 유동적이고 불안하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줄 뿐이다. 5장은 국민국가 범주 바깥에 위치한 에티오피아 출신 난민의 활동 과정에서 참전의 의미가 전유되는 장면을 발견한다. 난민은 국민국가의 테두리 바깥에 위치한 ‘적’이자 ‘다른 인간형’으로 간주되지만, 한국의 에티오피아 난민은 참전의 역사를 통해 ‘고마우면서 불편한 존재’라는 독특한 위치를 점한다. 참전용사 담론은 에티오피아의 참전을 되갚아야하는 ‘선물’로 구성하고, 포괄적인 국제개발의 형태로 이를 되돌려준다. 하지만 국내에 거주하는 에티오피아 난민은 한국의 ‘환대’를 다시 상환하여 양측의 관계를 연장한다. 또한, 그들은 한국 정부의 난민 심사제도를 비판하며 “참전을 기억하라”고 요구한다. 이처럼 에티오피아 난민이 발휘하는 정치적인 행위자성은 참전용사 담론이 상상하는 “에티오피아”의 허구성을 증명한다. 결론적으로, 한국과 에티오피아를 연결하는 참전용사 담론은 하나의 서사로 모든 이야기를 환원한다. 담론은 한국 사회가 받아들이는 상상된 “냉전”의 세계사를 구성하는 데 요긴한 역사와 기억을 끌어당기고, 그렇지 못한 서사를 말소시킨다. 그러나 완벽한 질서를 구축한 것처럼 보이는 담론은 늘 예상하지 못한 곳에서 어긋나버린다. 본 연구는 단일한 거대서사로 상상되어 온 20세기 냉전사를 복수의 서사들이 중층적인 맥락에서 상호작용하는 역사들로 재구성하는 작업의 결과물이다. 이는 결국 ‘국민국가’라는 범주의 예측 불가능성을 증명하는 것으로 귀결된다. 연구자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내용을 근거로, ‘국민국가’라는 일반 범주를 질서 있게 배치된 코스모스가 아닌, 예측 불가능하게 충돌하고 결합하며 새롭게 생성되는 카오스적인 것으로 이해해야 할 필요성을 주장한다. 그리고 에티오피아의 참전이라는 특수한 맥락에서 국민국가가 상상되고 구성되는 카오스적인 방식들을 따라갔던 이러한 시도가 인류학적 현장을 물리적 실체로 환원하지 않는 연구의 한 사례로 읽히길 기대한다. This thesis analyzes (re)structuring courses of the ‘Cold War’ and ‘nation-state’, with examining the topography of discourse about Ethiopia’s war veterans in the Korean War. Various statements relating to Ethiopia’s participation in the Korean War become a discourse that has a unique structure and rule. The discourse of war veterans produces imagined geography as “Ethiopia” that could influence on constructing the memory of the Cold Wa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Ethiopia. Thus, this thesis investigates relations between the discourse and Cold War terrain and tries to restructure a history of the Cold War that is imagined in a specific way in the context of war participation. Also, It confutes a strong belief which considers a ‘nation-state’ as an identical and unitive community. Following these objects, I make three questions. First, What is the subject and method in which the discourse talks about the history of the war? And what kind of history is being pushed aside? Second, How does the imagined geography as “Ethiopia” produced by the discourse affect the way of memorizing the Cold War? Third, How is the unit of nation-state “Ethiopia” assumed by the discourse established and embodied. The Fields of this thesis are Chuncheon and Seoul. Chuncheon, the main battlefield of the Ethiopian army in the Korean War, is now the place where the memorial of Ethiopia’s war participation and relating organization locates. I visited several places there and conducted interviews and researches. Furthermore, I did fieldwork for 10 months in an Ethiopian restaurant which is placed in Noryangjin, Seoul. In Chapter 2, I figure out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discourse and describe its topography. The way which Korean society memorizes Ethiopia’s participation in the Korean War has been interlocked with turning points of modern histories. The discourse, being built from the 1990s, consists of myth, imagination, and development. The story about Ethiopia as “Guardians of Freedom” which protected South Korea against the communist camp but had been defeated by ‘evil’ is now memorized as a kind of tragic hero myth. “Ethiopia” which is the land of a hero is represented as imagined geography which means a nation-state based on a unilinear history. Then, the narrative of ‘Repaying and Development’ establish, calling for Korea to help Ethiopia’s development to appreciate their sacrifice. In Chapter 3, I focus on the aspect that Korea and Ethiopia connected with the Non-alignment movement of the Third World. The way of memorizing the Korean War history could show how do both two countries cognize and have attitudes about the Korean War and Cold War. But, the existing viewpoint, which understands the Cold War only as a dichotomy of liberalism/communism, fails to explain complicated histories related to the Non-alignment movement. In particular, Ethiopia joined the current of Non-alignment actively. Above all, the history of the third world socialism solidarity between Ethiopia and Cuba reveals a quite different side with a shape of imagined “Ethiopia”. In this way, the Cold War has been a ‘global history’ that spread worldwide, and the conventional epistemology cannot handle the multi-layered context of the Korean War and Cold War enough. In Chapter 4, I reexamine the nation-state “Ethiopia” which is imagined by the discourse based on fieldwork data about the Ethiopian restaurant ‘Selam’ in Noryangjin. This restaurant is a place like ‘home’ for Ethiopian migrants living in Korea. Because they could use their language, enjoy familiar food, and listen to Ethiopian music there. However, this is the place where the predicament of nation-state Ethiopia comes out. In other words, a fault line of ethnic conflict, which is historically intertwined with each other, shows its existence. Ruptures experienced by Ethiopian migrants appear through the ‘soundscapes’ of ‘Selam’ in a moment. Music interlinked with political issues fosters subtle tensions. In the meantime, the category which is represented by the discourse as identical “Ethiopia” is deconstructed. Withal, this unitary unit temporarily constructs when the mega infrastructure project regarding with ‘enemy’ of the nation-state, such as Egypt, exist. This phenomenon, though, only confirms the fact that the category of ‘nation-state’ is very fluid and precarious. In Chapter 5, I capture scenes that refugees from Ethiopia, who stand outside of the nation-state, appropriate the meaning of war participation during their activity in Korea. Refugees are usually considered ‘enemy’ who locates outside of the nation-state’s boundary, or ‘a type of person’. But Ethiopian refugees in Korea occupy the distinctive position that is ‘thankful but uncomfortable being’ on account of war participation history. The discourse transforms the devotion of Ethiopia into a ‘gift’ that should be repaid, then gives it back with a form of comprehensive international development. Nevertheless, Ethiopian refugees exte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by repayment for Korea's ‘hospitality’. They, also, request to “Remember war participation”, criticizing the refugee screening system of Korean governments. On this account, their political activity proves the fabrication of imagined “Ethiopia”. In conclusion, the discourse about war participation, which connects Ethiopia and Korea, reduces every kind of story to one single narrative. It pulls some history and memory which are useful for constructing the world history of imagined “Cold War”, acceptable for Korean society. It, on the other hand, erases unuseful narratives. But the discourse, seeming like forge the perfect order, is always disjunctured in unexpected places. This thesis is an outcome of reconstruction that tries to rewrite the Cold War history imagined as a single ‘Master Narrative’ to ‘histories’ which consist of multiple narratives in multi-layered contexts. As well, the thesis ends up describing the unpredictability of the ‘nation-state’ category. On the basis of this thesis, I argue that we need to understand the fact that a general category ‘nation-state’ is not the cosmos which is arrayed in orderly, but the things of chaotic which collide, combine, and create with each other unpredictably. I, finally, hope that this thesis, which follows the chaotic way in which the nation-state is imagined and constructed in the specific context of Ethiopia’s war participation, will be read as an example of research that does not reduce anthropological fields to a physical entity.

      • 상이군인의 형성과 자활

        김규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15867

        본 논문은 한국전쟁 시기에 대규모로 발생한 상이군인 집단에 주목하고 있다. 1950년대는 상이군인의 자활을 목적으로 여러 가지 정책과 재활치료 및 의수족 보급이 이루어졌던 시기였으며, 위 대책들을 중심으로 그들의 삶의 변화를 조명하였다. 그리고 시기별로 시행되었던 자활대책의 한계점과 성과에 대해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나아가 한국전쟁 당시 상이군인의 자활을 위해 도입되었던 재활의 개념이 상이군인의 삶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는지 논하였다. 상이군인은 국가의 부름을 받아 한국전쟁에 투입되어 그 대가로 자신의 몸을 희생하였고 1950년대 초 전쟁영웅으로 추앙받았다. 이승만 정부는 상이군인들의 사회복귀를 돕고자 정양원을 설치하여 그들을 수용하였지만 정양원은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였다. 게다가 상이군인을 위한 연금 정책도 미봉책에 그쳤다. 이후 상이군인들의 불만이 왜관사건으로 표출되었고, 국가는 그 사건을 공산당의 모략과 반국가적 행위로 묘사하여 그들의 요구 사항을 묵살하였다. 그럼에도 상이군인들의 불만의 깊이를 확인한 정부는 직업보도, 연금제도, 합동결혼식, 귀농정책을 중심으로 한 자활 대책을 추진하지 않을 수 없었다. 하지만 정부의 직접 개입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장기적인 안목에서 치밀하게 계획되었던 정책이 아니었기에, 사실상 한국전쟁 상이군인들은 자활이란 명분 아래 방치되었다. 한국 정부가 방치함으로써 생긴 그 공백을 그나마 해외에서 주목하였다. 한미재단과 UNKRA를 중심으로 진행된 해외 원조는 상이군인의 자활을 위해 재활의 개념을 도입하여 재활치료를 국내에 정착시키고 발전시켰고, 최신식 의수족을 도입 및 보급하는 등 상당 부분에서 성공적인 의학발전을 이뤄냈다. 하지만 상이군인의 삶은 ‘의학’만으로는 ‘재활’될 수 없었다. 더욱이 해외 원조로 재활치료가 국내에 소개되는 과정에서 이승만 정부는 이에 적극적으로 보조하지 않았고, 이로 인해 가장 필수적이고 기본적인 의수족 보급마저도 꾸준히 지원되지 않았다. 결국 그들은 의수족마저 거부하는 양상을 보였는데, 이는 국가로부터 방치되고, 사회적으로 소외된 결과였다. 무엇보다 치료중심의 재활은 상이군인 스스로가 매 순간 직면해야 하는 장애에 대한 두려움, 그리고 당시 장애를 바라보는 사회적인 인식을 바꾸는 데까지는 연결되지 못했다. Abstract The Creation of Korean War Veterans and Their Self-Support Kyu Min Kim Medical Humanities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This paper is focused on a large group of disabled soldiers occurring during the period of Korean War. In 1950s, many policies and physical rehabilitation were conducted and prosthetic limbs were provided for the self-support of disabled soldiers, so it highlighted changes in their lives around such measures above. It analyzed and evaluated the limits and achievement of the measures for self-supports, which have been conducted by each period. It, furthermore, discussed what an effect the concept of rehabilitation introduced for disabled soldiers' self-support during the Korean War has had on their lives. In the early 1950s, disabled soldiers were worshipped as war heroes in reward for being committed by the nation to the Korean War and sacrificing their bodies to it. Although the Lee Seungman administration built Jengyangwon for helping them return to the society and allow them to be accommodated in it, it could not perform its own function. Moreover, they were driven out of the society, as the pension policy for them turned out to be a mere makeshift. Then, their complaint was manifested as the Waegwan accident, but the government ignored their request, by describing the accident as an artifice planned by Communists as well as an antinational activity. Nevertheless, it could not but pursue the measures for their self-support, such as the vocational guidance, the pension plan, the joint wedding and the policy for returning to rural areas, after verifying the depth of their complaint. The government's direct intervention, however, was not implemented, and such a policy was not elaborately planned from a long-term vision, so the disabled soldiers resulted from the Korean War were left alone under the name of self-support. The gap caused by the Korean government's neglect attracted attention only from foreign institutions. The overseas aid primarily provided by the American-Korean Foundation and UNKRA allowed the physical rehabilitation to be established and developed in Korea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rehabilitation concept, for the self-support of disabled soldiers, and also made a substantial contribution to the successful medical development through the int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up-to-date prosthetic limbs. Their lives, however, could not be 'rehabilitated' only with 'medicine'. Moreover, the Lee administration did not engage in the process in which the physical rehabilitation was introduced to Korea through the overseas aid, but also even basic prosthetic limbs were not steadily supported. Above all, therapy-based rehabilitation could not lead to changes in social perceptions on and fears for disabilities, which disabled soldiers should face at every mo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